KR102463052B1 -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052B1
KR102463052B1 KR1020200164150A KR20200164150A KR102463052B1 KR 102463052 B1 KR102463052 B1 KR 102463052B1 KR 1020200164150 A KR1020200164150 A KR 1020200164150A KR 20200164150 A KR20200164150 A KR 20200164150A KR 102463052 B1 KR102463052 B1 KR 102463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us
composition
injection
operation button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5741A (ko
Inventor
김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미스클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미스클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미스클럽
Priority to KR1020200164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052B1/ko
Publication of KR20220075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01N25/06Aeros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nitrogen compounds
    • A01N33/02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01N33/1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는, 분사용 조성물과 발포 가스를 저장하며, 원통형의 캔 형태로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부 상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충진된 상기 분사용 조성물을 분사하도록 누름식으로 조작되는 작동버튼; 상기 작동버튼에 의해 공기 통로가 오픈되면, 압축 저장된 상기 분사용 조성물을 상기 본체부 상부 주변의 공기중으로 분사하는 우산형 노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살균 소취제 주성분 외에 코로나(COVID19)바이러스 사멸 성분의 방역액체를 혼합하여 캔형태의 용기에 주입하여 사용 유효 기간 내에 차량 내 또는 실내 공간에서 원터치로 누르면 사방으로 연무가 발생하면서 해당 공간을 살균하고, 소취함과 동시에 코로나(COVID19) 바이러스를 사멸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 {One-touch sterilization, quarantine, and deodorization device for vehicles and indoor spaces}
본 발명은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살균 소취제 주성분 외에 코로나(COVID19)바이러스 사멸 성분의 방역액체를 혼합하여 캔형태의 용기에 주입하여 사용 유효 기간 내에 차량 내 또는 실내 공간에서 원터치로 누르면 사방으로 연무가 발생하면서 해당 공간을 살균하고, 소취함과 동시에 코로나(COVID19) 바이러스를 사멸하는,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이동성이 최적화된 수단인 만큼 인간의 활동성과 가장 긴밀하게 연관을 맺고 있는 시스템 중 하나이다.
또한 최근에는 자율주행자동차의 대두로 미 래에는 자동차가 단순히 이동수단에 필요한 도구가 아닌 하나의 생활공간 개념으로 패러다임이 변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자동차 내부 청결성은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현재 자동차 내부 청결은 전적으로 사용자에게 맡겨져 있는 상황이며, 차량 내부 소독에 관한 편의사항은 전무하다고 볼 수 있다. 즉, 현대인의 특성상 자동차 시트 위에서 땀을 흘리거나 음식물을 흘리고 제대로 청소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로 인해 곰팡이, 세균 및 해충 등이 서식할 수 있으며, 바닥재에는 탑승자의 신발에 묻은 오염물질 및 습기 등에 의하여 상기한 곰팡이, 세균 및 해충 등이 서식함으로써, 탑승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계절을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특성상 외부적 환경에 의해 쉽게 습해지거나 자주 사용하는 에어컨이나, 히터로 인해 차 내부에 통풍 활성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오염되기 쉬운 자동차 실내를 종래에는 주로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차량 실내에 서식하는 세균 및 해충 등을 제대로 제거할 수 없었으며, 특별히 자동차의 실내를 살균할 수 있는 대책이 없었으므로, 자동차 실내 탑승자의 건강이 우려될 뿐 아니라 차량 실내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코로나가 전세계적으로 유행을 하고 있어 코로나에 대한 소독도 일상에서 매우 중요하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6435호(공고일: 2001.06.15.), 명칭: 원터치식 연속분사용 스프레이 레버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살균 소취제 주성분 외에 코로나(COVID19)바이러스 사멸 성분의 방역액체를 혼합하여 캔형태의 용기에 주입하여 사용 유효 기간 내에 차량 내 또는 실내 공간에서 원터치로 누르면 사방으로 연무가 발생하면서 해당 공간을 살균하고, 소취함과 동시에 코로나(COVID19) 바이러스를 사멸하는,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실내의 공기여과 장치인 에어컨, 필터 등으로 오염된 차량내 공기를 원터치로 살균, 소취 및 소독함으로써 차량내 공기 순환부를 살균 소독하는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내 오염을 최소화하면서 코로나(COVID19) 바이러스를 포함한 주요병원체를 살균하고 악취를 제거하는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는,
분사용 조성물과 발포 가스를 저장하며, 원통형의 캔 형태로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부 상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충진된 상기 분사용 조성물을 분사하도록 누름식으로 조작되는 작동버튼;
상기 작동버튼에 의해 공기 통로가 오픈되면, 압축 저장된 상기 분사용 조성물을 상기 본체부 상부 주변의 공기중으로 분사하는 우산형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우산형 노즐은 노즐 분출 입구에 미세한 필터 침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부는 뚜껑을 추가 구비하고,
상기 뚜껑을 열고 상기 작동버튼을 눌러 분사가 시작되면 걸림장치에 상기 작동 버튼의 걸림을 확인하고, 작동버튼을 그대로 놓아두면 분사가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용 조성물은,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대장균, 살모넬라균, 리스테리아균, 쉬겔라균, 비브리오콜레라균, 장염비브리오균, 바실러스 세레우스균, 예르시니아균, 장출혈성대장다재내성녹농균, 반코마이신내성 장내구균, 메치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반코마이신내성 황색포도상구균, C형간염 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폴리오 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홍역바이러스, 에이즈바이러스,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인체코로나바이러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조류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중 적어도 하나를 살균한다.
상기 분사 조성물은 천연 살균 성분인 박토스터알렉신외 알킬디메틸벤질 암모늄, 염화알킬벤질디메틸 암모늄 및 정제수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 조성물은 전체중량이 125g이고, 박토스터알렉신 39g, 알킬디메틸벤질 암모늄 11g, 염화알킬벤질디메틸 암모늄 11g, 정제수 36g, HFC-134a 28g의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 조성물은 전체중량비를 100으로 하는 경우, 박토스터알렉신 31.2, 알킬디메틸벤질 암모늄 8.8, 염화알킬벤질디메틸 암모늄 8.8, 정제수 28.8, HFC-134a 22.4의 중량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살균 소취제 주성분 외에 코로나(COVID19)바이러스 사멸 성분의 방역액체를 혼합하여 캔형태의 용기에 주입하여 사용 유효 기간 내에 차량 내 또는 실내 공간에서 원터치로 누르면 사방으로 연무가 발생하면서 해당 공간을 살균하고, 소취함과 동시에 코로나(COVID19) 바이러스를 사멸하는,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 실내의 공기여과 장치인 에어컨, 필터 등으로 오염된 차량내 공기를 원터치로 살균, 소취 및 소독함으로써 차량내 공기 순환부를 살균 소독하는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내 오염을 최소화하면서 코로나(COVID19) 바이러스를 포함한 주요병원체를 살균하고 악취를 제거하는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의 우산형 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의 분사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에 사용되는 분사용 조성물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에 사용되는 분사용 조성물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의 우산형 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의 분사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에 사용되는 분사용 조성물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에 사용되는 분사용 조성물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는,
분사용 조성물과 발포 가스를 저장하며, 원통형의 캔 형태로 형성된 본체부(120);
상기 본체부(120)의 외부 상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충진된 상기 분사용 조성물을 분사하도록 누름식으로 조작되는 작동버튼(140);
상기 작동버튼(140)에 의해 공기 통로가 오픈되면, 압축 저장된 상기 분사용 조성물을 상기 본체부(120) 상부 주변의 공기중으로 분사하는 우산형 노즐(130)을 포함한다.
상기 우산형 노즐(130)은 노즐 분출 입구에 미세한 필터 침(131)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부(120)는 뚜껑을 추가 구비하고,
상기 뚜껑을 열고 상기 작동버튼(140)을 눌러 분사가 시작되면 걸림장치에 상기 작동 버튼(140)의 걸림을 확인하고, 작동버튼(140)을 그대로 놓아두면 분사가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용 조성물은,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대장균, 살모넬라균, 리스테리아균, 쉬겔라균, 비브리오콜레라균, 장염비브리오균, 바실러스 세레우스균, 예르시니아균, 장출혈성대장다재내성녹농균, 반코마이신내성 장내구균, 메치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반코마이신내성 황색포도상구균, C형간염 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폴리오 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홍역바이러스, 에이즈바이러스,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인체코로나바이러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조류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중 적어도 하나를 살균한다.
상기 분사 조성물은 천연 살균 성분인 박토스터알렉신외 알킬디메틸벤질 암모늄, 염화알킬벤질디메틸 암모늄 및 정제수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분사 조성물은 전체중량이 125g이고, 박토스터알렉신 39g, 알킬디메틸벤질 암모늄 11g, 염화알킬벤질디메틸 암모늄 11g, 정제수 36g, HFC-134a 28g의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분사 조성물은 전체중량비를 100으로 하는 경우, 박토스터알렉신 31.2, 알킬디메틸벤질 암모늄 8.8, 염화알킬벤질디메틸 암모늄 8.8, 정제수 28.8, HFC-134a 22.4의 중량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주요 병원체 26가지 이상의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조성물은 혼합되어 본체내에 주입된 상태에서 주 성분의 변형 없이 캡슐형태로 존재하고, 분사후에 산소와 만나면 캡슐이 터져 살균효과를 극대화 할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본체부(120)를 잡고 뚜껑을 열거나 제거한다.
그리고 나서, 작동 버튼(140)을 누른다. 이때 작동 버튼(140)은 내부의 분사용 조성물이 외부의 공기중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통로를 열어주는 역할을 하며, 공지된 버튼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면, 내부의 분사용 조성물이 우산형 노즐(130)을 통해 공기중으로 배출이 된다. 이때, 우산형 노즐(130)은 도 3과 같이, 사방으로 골고루 분사를 하게 된다.
작동버튼(140)을 눌러 분사가 시작되면 걸림장치(150)에 상기 작동 버튼(140)의 걸림을 확인하고, 작동버튼(140)을 그대로 놓아두면 분사가 지속된다. 여기서 작동버튼(140)과 걸림버튼(150)은 공지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사된 연무형태의 조성물 성분이 공기 순환을 통해 살균, 탈취, 소취의 효과를 발생한다. 특히, 전체중량이 125g이고, 박토스터알렉신 39g, 알킬디메틸벤질 암모늄 11g, 염화알킬벤질디메틸 암모늄 11g, 정제수 36g, HFC-134a 28g의 중량을 갖는 조성물이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대장균, 살모넬라균, 리스테리아균, 쉬겔라균, 비브리오콜레라균, 장염비브리오균, 바실러스 세레우스균, 예르시니아균, 장출혈성대장다재내성녹농균, 반코마이신내성 장내구균, 메치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반코마이신내성 황색포도상구균, C형간염 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폴리오 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홍역바이러스, 에이즈바이러스,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인체코로나바이러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조류 인플루엔자바이러스를 사멸하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살균 소취제 주성분 외에 코로나(COVID19)바이러스 사멸 성분의 방역액체를 혼합하여 캔형태의 용기에 주입하여 사용 유효 기간 내에 차량 내 또는 실내 공간에서 원터치로 누르면 사방으로 연무가 발생하면서 해당 공간을 살균하고, 소취함과 동시에 코로나(COVID19) 바이러스를 사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 실내의 공기여과 장치인 에어컨, 필터 등으로 오염된 차량내 공기를 원터치로 살균, 소취 및 소독함으로써 차량내 공기 순환부를 살균 소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내 오염을 최소화하면서 코로나(COVID19) 바이러스를 포함한 주요병원체를 살균하고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분사용 조성물과 발포 가스를 저장하며, 원통형의 캔 형태로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부 상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충진된 상기 분사용 조성물을 분사하도록 누름식으로 조작되는 작동버튼;
    상기 작동버튼에 의해 공기 통로가 오픈되면, 압축 저장된 상기 분사용 조성물을 상기 본체부 상부 주변의 공기중으로 분사하는 우산형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우산형 노즐은 노즐 분출 입구에 미세한 필터 침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는 뚜껑을 추가 구비하고,
    상기 뚜껑을 열고 상기 작동버튼을 눌러 분사가 시작되면 걸림장치에 상기 작동 버튼의 걸림을 확인하고, 작동버튼을 그대로 놓아두면 분사가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분사용 조성물은,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대장균, 살모넬라균, 리스테리아균, 쉬겔라균, 비브리오콜레라균, 장염비브리오균, 바실러스 세레우스균, 예르시니아균, 장출혈성대장다재내성녹농균, 반코마이신내성 장내구균, 메치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반코마이신내성 황색포도상구균, C형간염 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폴리오 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홍역바이러스, 에이즈바이러스,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인체코로나바이러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조류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중 적어도 하나를 살균하고,
    상기 분사용 조성물은 천연 살균 성분인 박토스터알렉신외 알킬디메틸벤질 암모늄, 염화알킬벤질디메틸 암모늄 및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용 조성물은 혼합되어 본체내에 주입된 상태에서 주성분의 변형 없이 캡슐형태로 존재하고, 분사후에 산소와 만나면 캡슐이 터져 살균효과를 발생하며,
    상기 분사용 조성물은 전체중량이 125g이고, 박토스터알렉신 39g, 알킬디메틸벤질 암모늄 11g, 염화알킬벤질디메틸 암모늄 11g, 정제수 36g, HFC-134a 28g의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분사용 조성물과 발포 가스를 저장하며, 원통형의 캔 형태로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부 상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충진된 상기 분사용 조성물을 분사하도록 누름식으로 조작되는 작동버튼;
    상기 작동버튼에 의해 공기 통로가 오픈되면, 압축 저장된 상기 분사용 조성물을 상기 본체부 상부 주변의 공기중으로 분사하는 우산형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우산형 노즐은 노즐 분출 입구에 미세한 필터 침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는 뚜껑을 추가 구비하고,
    상기 뚜껑을 열고 상기 작동버튼을 눌러 분사가 시작되면 걸림장치에 상기 작동 버튼의 걸림을 확인하고, 작동버튼을 그대로 놓아두면 분사가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분사용 조성물은,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대장균, 살모넬라균, 리스테리아균, 쉬겔라균, 비브리오콜레라균, 장염비브리오균, 바실러스 세레우스균, 예르시니아균, 장출혈성대장다재내성녹농균, 반코마이신내성 장내구균, 메치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반코마이신내성 황색포도상구균, C형간염 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폴리오 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홍역바이러스, 에이즈바이러스,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인체코로나바이러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조류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중 적어도 하나를 살균하고,
    상기 분사용 조성물은 천연 살균 성분인 박토스터알렉신외 알킬디메틸벤질 암모늄, 염화알킬벤질디메틸 암모늄 및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용 조성물은 혼합되어 본체내에 주입된 상태에서 주성분의 변형 없이 캡슐형태로 존재하고, 분사후에 산소와 만나면 캡슐이 터져 살균효과를 발생하며,
    상기 분사용 조성물은 전체중량비를 100으로 하는 경우, 박토스터알렉신 31.2, 알킬디메틸벤질 암모늄 8.8, 염화알킬벤질디메틸 암모늄 8.8, 정제수 28.8, HFC-134a 22.4의 중량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

KR1020200164150A 2020-11-30 2020-11-30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 KR102463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150A KR102463052B1 (ko) 2020-11-30 2020-11-30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150A KR102463052B1 (ko) 2020-11-30 2020-11-30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741A KR20220075741A (ko) 2022-06-08
KR102463052B1 true KR102463052B1 (ko) 2022-11-03

Family

ID=81980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150A KR102463052B1 (ko) 2020-11-30 2020-11-30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0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435Y1 (ko) * 2000-12-08 2001-06-15 임성근 원터치식 연속분사용 스프레이 레버
JP6558899B2 (ja) * 2011-12-07 2019-08-14 アイピーイーエル イティバニル プロデュトス エスペシアイス エルティーディーエー 殺菌剤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KR102019789B1 (ko) * 2019-05-31 2019-09-09 신한기술그룹 주식회사 미스트 분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1517B1 (ko) * 1998-04-27 2001-04-02 문희수 분수 노즐
KR101711050B1 (ko) * 2016-09-19 2017-02-28 (주) 필텍에어졸 천연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435Y1 (ko) * 2000-12-08 2001-06-15 임성근 원터치식 연속분사용 스프레이 레버
JP6558899B2 (ja) * 2011-12-07 2019-08-14 アイピーイーエル イティバニル プロデュトス エスペシアイス エルティーディーエー 殺菌剤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KR102019789B1 (ko) * 2019-05-31 2019-09-09 신한기술그룹 주식회사 미스트 분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741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43110A1 (en) Disinfection
JP2001519678A (ja) 空気の消毒方法
KR20080036596A (ko) 과산화수소 증기로 룸 오염제거
JP2000202009A (ja) 殺菌脱臭ガス供給方法及び供給装置
US20210338872A1 (en) Disinfecting Fogger
JP4970124B2 (ja) 害虫用捕獲具、及びこの害虫用捕獲具を備えた吸引装置
KR20190108248A (ko) 공기청정 기능이 부가된 장난감 살균 소독장치
JP2014506496A (ja) オゾンおよび噴霧流体を用いる浄化システム
KR102463052B1 (ko)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
KR20160000308U (ko) 편백나무를 이용한 천연 제습제 및 방향제
US20120189490A1 (en) Cleansing system using ozone and nebulized fluids
JPH03184552A (ja) 掃除機内の殺菌、防虫、脱臭方法
US20220062479A1 (en) Disinfection Bomb
KR102255867B1 (ko) 양변기용 교체형 위생패드
KR102195167B1 (ko) 플라즈마 이오나이저와 방향성살균제가 적용된 실내의 정화방법
KR20100001770U (ko) 애완동물용 살균 탈취장치
JPH11285525A (ja) 殺菌脱臭ガス供給装置
KR200424618Y1 (ko) 살균 및 냄새 제거기능과 청소가 간편한 신발장
AU2010200764A1 (en) Improved disinfection
KR20110100515A (ko) 초음파 진동기를 이용한 기화식 휘산기
JP2004275464A (ja) クリーンルーム用物品受け渡し装置
US11998652B2 (en) Fogger disinfectant device
WO2021141027A1 (ja) 室内用空間除菌剤及び室内用空間除菌器具
US20230372569A1 (en) Environmental decontamination
KR200408432Y1 (ko) 살균기능의 가습장치를 구비한 다용도 제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