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1517B1 - 분수 노즐 - Google Patents

분수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1517B1
KR100281517B1 KR1019980015883A KR19980015883A KR100281517B1 KR 100281517 B1 KR100281517 B1 KR 100281517B1 KR 1019980015883 A KR1019980015883 A KR 1019980015883A KR 19980015883 A KR19980015883 A KR 19980015883A KR 100281517 B1 KR100281517 B1 KR 100281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ube
pressure
present
inje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5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3633A (ko
Inventor
문희수
Original Assignee
문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희수 filed Critical 문희수
Priority to KR1019980015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1517B1/ko
Publication of KR19980033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517B1/ko

Links

Landscapes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의 모양을 창출하는 분수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수의 분사시 물의 모양을 화려하게 창출하기 위한 노즐이 다양하게 있으나, 종래의 노즐로는 10m 이상의 고공으로 분수하기에는 역부족이고, 또한 물이 분사되는 과정에물이 같은 굵기로 유지하지 못하고 물줄기가 굵어져 그 결과 사방으로 비산되어버려 고공분사에 저해가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물의 와류를 방지하는 장치와 물을 응집하여 토출할 때의 압력을 높이는 장치를 순차적으로 결합 구성한 분수노즐을 제공하여 물을 고공으로 분사시 물의 비산이 방지되어 그 결과 분사점으로부터 약 150m 이상의 높이로 분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분수노즐
본발명은 유원지나 관광지 등의 호수에 화려함을 창출하고자 분수대를 설치함에 있어서, 물을 고공으로 뿜어내어 아름다운 모양을 형성하는 분수노즐에 관한 것이다.
분수노즐이라함은 우산형, 부채형, 안개(스프레이)형, 직선형 등으로 다양한 물의 모양을 창출하는 하는 것으로서 분수대에서 가장 중심적인 요소로서 금속 또는 비금속재료로 만들어져 수중펌프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분수노즐에 있어서 단순히 공중으로 분출하는 분수노즐(일명: 샤프분수)이 있었으나 물이 공중으로 분사되는 과정에 물이 같은 굵기룰 유지하지 못하고 물줄기가 굵어져 그 결과 사방으로 비산되어버려 10m 이하의 높이로 분사할 수밖에 없고 고공으로 분사하기 위하여 수중펌프의 토출압력을 높이면 조금 더 높이 분사되기는 하나 이역시 위와같은 문제점 때문에 고공분출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
그래서 호수나 강과 같은 넓은 곳에서는 물의 분사높이가 낮아 멀리서는 눈에 잘띄지 않는 등의 이유로 분수시설을 하지 않아 야외 나들이하는 사람들에게 미려감과 시원한감을 주지 못하는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중펌프에 연결되어 물을 분사하는 노즐에 물의 와류를 방지하는 창치와 물을 응집하는 장치 및 물을 토출하는 장치를 순차적으로 결합 구성한 분수노즐을 제공함에 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본발명인 분수노즐로 물을 고공으로 분출하면 물이 공중으로 분사되는 과정에 최초의 물줄기의 굵기를 그대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물의 비산이 방지됨에 따라 물은 분사점으로부터 약 150m이상의 높이로 분출될 수 있고, 호수나 강과 같은 넓은 곳에서도 사람들 눈에 잘 뜨이는 분수시설을 제공할 수 있는데 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1은 본발명의 사시도
도2는 본발명의 종단면도
도3은 본발명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발명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와류방지관 2. 정류관 3. 압력관 11. 21. 격판 12. 22. 32. 돌출편
12a. 22a. 32a. 천공 13. 받침편 14. 연결관 15. 23. 23a. 33. 플랜지
24. 원추구 31. 아스탈 34. 토출구
이하, 본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발명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발명의 단면도이고, 도3은 본발명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발명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3에서와 같이 본발명은 와류방지관(1), 정류관(2), 압력관(3)으로 나누어져 서로 순차적으로 밀착 체결하여 구성한다.
와류방지관(1)은 저면이 밀폐되고 상단부에는 플랜지(15)를 용착하고 하부의 일측에 수중펌프(4)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관(14)을 형성하여 와류방지관(1)과 관통되게 용착하고, 그 와류방지관(1)의 외주벽 하단부에는 지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수개의 받침편(13)을 형성하고, 상단부의 소정영역에는 와류방지관(1)을 로프 등을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는 돌출편(12)을 형성하여 가장자리에 천공(12a)을 형성하고, 와류방지관(1)내에는 연결관(14)의 위치에서부터 위로 소정의 간격으로 구획지게 격판(11)을 형성하되, 상단부로 약간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기 격판(11)은 상당한 압력으로 수중펌프(4)에서 토출되는 물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물을 구획지게 통과시켜 와류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정류관(2)은 저면을 개방하고, 상부로 좁게 경사지게하면서 외주의 양측에 천공(22a)을 가진 돌출편(22)을 형성하고, 상하단부에는 플랜지(23)(23a)를 용착한 정류관(2) 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구획지게 격판(21)을 형성하되, 상단부로 약간 돌출시키면서 소정의 크기로 원추구(24)를 형성한다.
상기 격판(21)은 와류방지관(1)으로부터 통과하는 물을 그대로 구획지게 통과시키면서 상부의 원추구(24)에서 구획지게 통과하는 물을 응집하는 것이다.
압력관(3)은 저면이 개방되고 하단부에는 플랜지(33)를 용착하면서 외주의 양측에 천공(32a)을 가진 돌출편(32)을 형성하고, 압력관(1)을 상부로 좁게 경사지게하면서 내주에 내마모성이 강한 아스탈(31)을 고착하되, 상단부의 토출구(34)를 아래의 관경보다 상당히 좁게 형성한다.
특히 압력관(3)에는 상당한 수압에 의해서 마찰력이 상당하므로 마찰 손실이 적고 내마모성이 높은 아스탈(31)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이다.
상기 돌출편(12)(22)(32)은 관들의 조립작업이나 설치작업 과정시 돌출편(12)(22)(32)의 천공(12a)(22a)(32a)에 로프 등의 끈을 끼워서 기구를 이용하여 이동에 용이토록 한 것이다.
상기한 것들의 조립과정은 와류방지관(1)의 상단에 정류관(2)을 얹어 상호 관내의 격판(11)(21)을 일직선상으로하여 플랜지(15)(23)를 서로 맞닿게 한 뒤 볼트(5), 너트(6) 체결하고, 그 다음 압력관(3)을 정류관(2)의 상단부에 얹어 플랜지(23a)(33)를 서로 맞닿게한 뒤 볼트(5), 너트(6) 체결하면 본발명의 분수노즐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본발명의 분수노즐은 연결관(14)에 수중펌프(4)를 연결시킨 뒤 목적지에 설치하면 된다.
수중펌프(4)에 전원을 공급하면 물은 수중펌프(4)에서 본발명인 분사노즐을 경유하여 토출하는 바, 즉 물이 와류방지관(1)을 경유할때 격판(11)에 의해 와류현상이 방지되면서 정류관(2)으로 이송되어 압력관(3)으로 토출하는 과정에 정류관(2)과 압력관(3)이 상부로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었기에 토출압력을 높여주고 정류관(2)내의 원추구(24)에서부터 물이 응집하여 압력관(3)의 좁은 토출구(34)로 토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물의 와류를 방지하는 수단과 물을 응집하여 토출압력을 높여주는 수단과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 물을 토출하는 수단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물을 분사하므로써 물의 비산없이 고공으로 분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물의 와류를 방지하는 수단과 물을 응집하여 토출하는 수단을 순차적으로 구성한 분수노즐을 제공함으로써 물을 고공으로 분출시 물의 비산을 방지하면서 수면으로부터 약 150m이상의 높이로 분출할 수 있어서 호수나 강과 같은 넓은 곳에서도 분수시설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호수나 강을 찾는 나들이에게 미려감과 시원한감을 주는 특징이 있다.

Claims (3)

  1. 분사노즐을 구성함에 있어서 와류방지관(1) 내에 구획지게 격판(11)을 형성하여 물의 와류를 방지하는 수단과, 상부로 경사지게 정류관(2)을 형성하고 상기 정류관(2)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구획지게 격판(21)을 형성하되, 상단부로 약간 돌출시키면서 소정의 크기로 원추구(24)를 형성하여서 물을 응집하여 토출압력을 높여주는 수단과, 상부로 좁게 경사지게 압력관(3)을 형성하고 상기 압력관(3) 내주에 내마모성이 강한 아스탈(31)을 고착하되, 상단부의 토출구(34)를 관경보다 좁게 형성하여 토출압력을 높여주면서 물을 토출하는 수단을 구비하여서 이를 순차적으로 체결하여서 고공분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정류관(2)의 원추구(24)를 20∼30°로 형성하여서 압력관(3)의 영역에 까지 돌출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노즐.
  3. 제1항에 있어서 와류방지관(1) 및 정류관(2) 내에 1개이상의 격판(11)(21)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노즐.
KR1019980015883A 1998-04-27 1998-04-27 분수 노즐 KR100281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883A KR100281517B1 (ko) 1998-04-27 1998-04-27 분수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883A KR100281517B1 (ko) 1998-04-27 1998-04-27 분수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633A KR19980033633A (ko) 1998-07-25
KR100281517B1 true KR100281517B1 (ko) 2001-04-02

Family

ID=6589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5883A KR100281517B1 (ko) 1998-04-27 1998-04-27 분수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15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932B1 (ko) * 2002-02-26 2005-03-17 가우디조경건설(주) 고사분수용 노즐
KR20220149061A (ko) * 2021-04-30 2022-11-08 디자인그룹 빅 주식회사 층류 형성 구조를 갖는 분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892B1 (ko) * 2001-12-24 2005-05-06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고사 분수용 노즐
KR100775026B1 (ko) * 2006-05-24 2007-11-09 주식회사 오병 수평 이동 로보트용 더스트커버 밀착장치
KR102463052B1 (ko) * 2020-11-30 2022-11-03 주식회사 스미스클럽 차량 및 실내공간용 원터치 살균 방역 소취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932B1 (ko) * 2002-02-26 2005-03-17 가우디조경건설(주) 고사분수용 노즐
KR20220149061A (ko) * 2021-04-30 2022-11-08 디자인그룹 빅 주식회사 층류 형성 구조를 갖는 분수대
KR102538413B1 (ko) * 2021-04-30 2023-05-31 디자인그룹 빅 주식회사 층류 형성 구조를 갖는 분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633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73472C (en) Spray nozzle fluid distribution system
US5678766A (en) Foam nozzle
US4828182A (en) Spray nozzle assembly with recessed deflector
US4343434A (en) Air efficient atomizing spray nozzle
US5382389A (en) Foam producing venturi and method of using same
EP0640401A1 (en) Air atomizing spray nozzle assembly with angled discharge orifices
KR100366159B1 (ko) 습식 배연 탈황 장치
OA12593A (en) Liquid sprayers.
CA2148981A1 (en) Three fluid atomizer
KR950030947A (ko) 후혼합방식의 다중향미 음료 분배기
UA49098C2 (uk) Розпилювальне сопло для зрошування охолоджуючою рідиною виробу, що отриманий способом безперервного розливу
KR100281517B1 (ko) 분수 노즐
US5931382A (en) Aerating fountain with selectable nozzle
EP0409886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pray nozzles
US7478767B2 (en) Apparatus for regulating fluid flow through a spray nozzle
US3785560A (en) Nozzle for discharging liquids containing solid matter
EP0350250B1 (en) Free passage nozzle
KR950031246A (ko) 흐름 분산기 고리형 리브를 가진 포말식 노즐
KR910000603Y1 (ko) 액체에 기체를 혼합시키는 장치
US1740807A (en) Air or gas lift for fluids
KR860007026A (ko) 거품발생 방법 및 분사기
AU619713B2 (en) Spray nozzle assembly with recessed deflector
SU1205937A1 (ru) Инжекционный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ей конструкции в.н.бродского
KR980000560A (ko) 선회류를 이용한 분사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혼합장치 및 흡수세정장치
RU1768259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мешени жидкост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