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068B1 -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 - Google Patents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068B1
KR102462068B1 KR1020220052671A KR20220052671A KR102462068B1 KR 102462068 B1 KR102462068 B1 KR 102462068B1 KR 1020220052671 A KR1020220052671 A KR 1020220052671A KR 20220052671 A KR20220052671 A KR 20220052671A KR 102462068 B1 KR102462068 B1 KR 102462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djustment
height
unit
plate
ou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욱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52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8/00Hand tool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fire-fighting, e.g. tool boxes
    • A62C8/08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6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put under pressure by means other than pressure gas, e.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판의 형태로 바닥과 맞닿도록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면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높이조절부, 판의 형태로 상기 높이조절부를 중심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낙하방지부, 접철식으로 상기 낙하방지부 상측에 형성되되, 상기 높이조절부를 중심으로 펼쳐지며 방염막이 형성된 방호부 및 판의 형태로 상기 높이조절부 상단에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Firefighter protection umbrella-shaped struct}
본 발명은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화재현장 진입 후 우산 형태로 전개되고 건물 천장 또는 슬래브 하부에 고정되어 화재진압 공간을 확보하고, 화재현장에서 구조물 붕괴, 이물질 낙하 등으로 인해 화재진압에 제한을 받는 소방관을 보호할 수 있는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화재발생 시 인명구조를 위해 소방관이 화재현장의 진입을 위해서는, 방화복 및 산소마스크 등 별도의 보호장구를 갖추고 화재현장으로 진입해야 한다.
실제 화재 발생 시 화재현장에 진입한 소방관의 안전은 전적으로 보호장구에 의존하여야 하며, 화재현장 내에서는 구조물 붕괴, 이물질 낙하, 가스 폭발 및 가스 누출 등 돌발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중 구조물 붕괴, 이물질 낙하로 인한 소방관 인명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인명사고뿐 아니라, 구조물 붕괴 후 붕괴 잔류물 및 이물질 낙하로 인해 화재진압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화재진압의 어려움으로 인해, 화재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지 못하게 되고, 이 경우, 큰 인명피해와 재산피해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화재현장에서 구조물 붕괴로 인한 붕괴 잔류물 및 이물질 낙하와 추가 붕괴로부터 소방관을 보호하고,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화재진압을 위한 화재진압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소방관 보호 구조체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1443호 "이동식 인명구조 확보대"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방염막이 형성되고 우산 형태로 전개되는 방호부를 구비하여 낙하하는 붕괴 잔류물 및 이물질을 막아내고, 고온의 열 및 불꽃이 소방관에게 전파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소방관을 보호하고, 화재진압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는 판의 형태로 바닥과 맞닿도록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면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높이조절부, 판의 형태로 상기 높이조절부를 중심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낙하방지부, 접철식으로 상기 낙하방지부 상측에 형성되되, 상기 높이조절부를 중심으로 펼쳐지며 방염막이 형성된 방호부 및 판의 형태로 상기 높이조절부 상단에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는 유리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및 PAN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난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는 전동식으로 높이를 조절하는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는 외주면을 따라 라이트가 구비되어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다면체의 형태로 상기 높이조절부 상단에 형성되는 제1 외부케이스, 상기 제1 외부케이스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매립되고, 내부에 유체가 충진되며, 건물 천장 또는 슬래브 하부와 맞닿아 천장의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각도가 조절되는 다수의 패드 어셈블리 및 상기 제1 외부케이스에 내장되되, 상기 패드 어셈블리 하면에 형성되고, 다수의 상기 패드 어셈블리를 연결하며, 상기 유체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드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외부케이스에 매립되고, 하면에 상기 배관 어셈블리가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유체가 인입 또는 배출되어 형태가 변화되는 유체 주머니, 높이방향으로 상기 유체 주머니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체 주머니의 형태변화에 따라 길이 및 형태가 변화되는 주름관 및 상기 유체 주머니 상면에 상기 제1 외부케이스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각도가 조절되고, 건물 천장 또는 슬래브 하부와 맞닿아 밀접되는 밀착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는 관의 형태로 상기 높이조절부 내부에 형성되되, 중단 일측면으로부터 상면을 관통하여 연결하고, 불을 끄기 위하여 사용되는 소화제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급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다면체의 형태로 상기 높이조절부 상측에 형성되되,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아치형 홈이 형성되는 제2 외부케이스 및 상기 아치형 홈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외부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하면에 다수의 미세 홀이 형성되며, 하면 중앙에 상기 급수부가 관통하여, 투입되는 소화제를 하방으로 고르게 공급하는 내부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는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고정부의 양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는 판의 형태로 다수의 결합 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 내부 양 측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 원기둥의 형태로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결합 홀에 결합되는 다수의 회전 축, 다수의 상기 회전 축 중 하나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외주면을 따라 기어 치가 형성된 제1 바퀴, 상기 제1 바퀴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회전 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다수의 제2 바퀴 및 상기 제1 바퀴 및 다수의 상기 제2 바퀴를 감싸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1 바퀴에 형성된 기어 치에 맞물림으로써 제1 바퀴의 회동에 의해 회전하는 트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는 높이가 조절되어 건물 천장 또는 슬래브 하부에 고정되고, 우산 형태로 전개되어 낙하물을 막아내고, 고온의 열 및 불꽃을 차단함으로써, 소방관을 보호하고 화재진압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방관은 보호받을 수 있는 공간에서 빠르게 화재진압을 수행하여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난연성 소재를 사용하여 유독가스 분출을 예방할 수 있으며, 경량으로 이동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라이트를 구비하여 화재에 따른 누전 시 시야를 확보를 할 수 있다.
또한, 높이가 조절되고 접철식으로 형성되어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건물 천장 또는 슬래브 하부 기울기에 따라 각도가 조절되어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방호부 상측에 잔류하는 고온의 열과 불꽃을 제거하여 방호부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건물 천장 또는 슬래브 하부와 바닥에 고정된 상태에서 원복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원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가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패드 어셈블리를 분해한 분해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도 5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가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분해도이다.
도 15는 도 10의 급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에 이동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고정부 및 이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평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이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 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 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 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원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1)는 화재현장에서 건물 천장(C) 또는 슬래브 하부에 고정되어 소방관을 보호하고 화재진압 공간을 확보하는 장치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100), 높이조절부(200), 낙하방지부(300), 방호부(400) 및 고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1)의 각 구성은 유리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및 PAN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난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유리섬유로 형성되어 유독가스 분출을 예방하고, 경량으로 이동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지지부(100)는 판의 형태로 바닥과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00)는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1)의 각 구성의 하중을 바닥으로 분산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200)는 지지부(100) 상면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높이조절부(200)는 전동 엑츄에이터(210), 연장 프레임(220) 및 스위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 엑츄에이터(210)는 다단형태를 가지며,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동 엑츄에이터(210)는 상측으로 승강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상측으로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동 엑츄에이터(210)는 기어방식, 나사 축 방식 및 유압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승강되도록 구동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기어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연장 프레임(220)은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전동 엑츄에이터(21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장 프레임(220)은 전동 엑츄에이터(210)의 동작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연장 프레임(220)에는 낙하방지부(300), 방호부(400) 및 고정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230)는 전동식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230)는 전동 엑츄에이터(210)와 연결되어 높이를 조절하며, 푸쉬버튼 스위치, 로커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토글 스위치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1)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건물 천장(C) 또는 슬래브 하부 높이에 맞게 조절할 수 있으며, 보관 시 높이를 낮춰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230)는 외주면을 따라 라이트(미도시)가 구비되어 발광할 수 있다.
이때, 라이트는 화재현장의 특성상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상황이 많지 않은 것을 고려하여 건전지, 배터리 등이 내장된 충전식 라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사용자는 어두운 화재현장에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낙하방지부(300)는 하중, 외부손상 등에 의한 방호부(400)의 낙하 시 방호부(400)가 일정 높이 아래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판의 형태로 높이조절부(200)를 중심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낙하방지부(300)는 연장 프레임(230)의 하측에 형성되되, 방호부(400)보다 아래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낙하방지부(300)는 원판의 형태로 방호부(400)를 전개했을 때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방호부(400)는 접철식으로 낙하방지부(300) 상측에 형성되되, 높이조절부(200)를 중심으로 펼쳐지며 방염막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부(400)는 중앙 파지체(410), 지지살(420) 및 방염막(43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파지체(410)는 연장 프레임(220)의 외주면을 감싸며 형성되어,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앙 파지체(410)는 이동하는 높이가 제한될 수 있으며, 제한된 높이를 기준으로 상단과 하단에 대응하는 연장 프레임(220)에 높이 고정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지지살(420)은 중앙 파지체(41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 결합되고, 접철식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살(420)은 중앙 파지체(410)의 상측 이동에 따라 전개되면 상방으로 볼록한 우산 형태를 형성하며, 이와 반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체(410)의 하측 이동에 따라 원복되면 콤팩트한 기둥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방염막(430)은 막의 형태로 지지살(420)의 외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 결합되며, 난연성능 및 방염성능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방염막(430)은 PTFE 막재, PVF 막재, EFTE 막재 등 열방출율과 총 방출열량이 작아 우수한 난연성능과 방염성능을 가진 특수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염막(4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살(420)의 전개에 따라 펼쳐지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복에 따라 접힐 수 있다.
이에, 방호부(400)는 전개되었을 경우, 우산 형태로 형성되어 낙하물을 막아내고, 고온의 열 및 불꽃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하고 화재진압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방호부(400)는 원복되었을 경우, 콤팩트한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고정부(500)는 판의 형태로 높이조절부(200)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500)는 높이조절부(200)의 높이조절에 따라 건물 천장(C) 또는 슬래브 하부에 맞닿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이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와 같이 난연성 및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밀접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1)는 고정부(500)에 의해 화재현장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맞닿는 면적으로 하중을 분산시켜 추가적인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가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분해도이고, 도 8은 도 6의 패드 어셈블리를 분해한 분해도이며, 도 9의 (a) 및 (b)는 도 5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1)의 고정부(500)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형태로 대체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500)는 제1 외부케이스(510), 패드 어셈블리(520) 및 배관 어셈블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케이스(510)는 다면체의 형태로 높이조절부(200)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외부케이스(510)는 높이조절부(200)의 높이조절에 따라 건물 천장(C) 또는 슬래브 하부에 맞닿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패드 어셈블리(520)는 제1 외부케이스(510)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매립되고, 내부에 유체가 충진되며, 건물 천장(C) 또는 슬래브 하부와 맞닿아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패드 어셈블리(520)는 유체 주머니(521), 주름관(522) 및 밀착패드(52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주머니(521)는 제1 외부케이스(510)에 매립되고, 하면에 배관 어셈블리(520)가 연결되며, 내부에 유체가 인입 또는 배출되어 형태가 변화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바람직하게는 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기름, 공기 등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체 주머니(521)는 주머니의 형태로 일정량의 유체가 충진되고, 배관 어셈블리(520)를 따라 이동하는 유체의 인입에 따라 팽창되거나, 유체의 배출에 따라 수축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유체 주머니(521)는 배관 어셈블리(520)에 연결되어 있어, 하나의 유체 주머니(521)에 충진된 유체가 배출되면, 다른 유체 주머니(521)로 인입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다른 유체 주머니(521)의 유체가 배출되면, 해당 유체 주머니(521)로 인입될 수 있다.
이에, 각각의 유체 주머니(521)는 팽창, 수축하는 동작이 연동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체 주머니(521)는 신축성, 탄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실리콘 고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주름관(522)은 높이방향으로 유체 주머니(5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유체 주머니(521)의 형태변화에 따라 길이 및 형태가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름관(522)은 유체 주머니(521)와 같이 제1 외부케이스(510)에 매립되어 유체 주머니(521)의 팽창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고, 수축에 따라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주름관(522)은 하기에서 자세하게 설명할 밀착패드(523)의 각도조절에 따라 전후좌우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주름관(522)은 유체 주머니(521)가 팽창될 때, 제1 외부케이스(510)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체 주머니(521)가 손상되어 유체가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착패드(523)는 유체 주머니(521) 상면에 제1 외부케이스(51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각도가 조절되고, 건물 천장(C) 또는 슬래브 하부와 맞닿아 밀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착패드(523)는 건물 천장(C) 또는 슬래브 하부와 맞닿아 하중이 가해지고, 가해지는 하중을 유체 주머니(521)로 전달하고, 유체 주머니(521)는 전달된 하중에 따라 팽창되거나 수축되며, 유체 주머니(521)의 형태변화에 따라 길이가 변화되고,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밀착패드(523)는제1 외부케이스(510)의 상면에서 건물 천장(C) 또는 슬래브 하부의 기울기에 따라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배관 어셈블리(530)는 제1 외부케이스(510)에 내장되되, 패드 어셈블리(520) 하면에 형성되고, 다수의 패드 어셈블리(520)를 연결하며, 유체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관 어셈블리(5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531) 및 분배기(532)를 포함할 수 있다.
배관(531)은 유체 주머니(521) 하면을 관통하여 연결되어 유체 주머니(521) 내부에 충진된 유체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배관(531)은 실리콘, 고무, PVC 등 연질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관(531)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1 외부케이스(510)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물리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분배기(532)는 다수의 배관(531)을 연결하여 유체가 각 배관(531)을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분배할 수 있다.
또한, 분배기(532)는 중앙 상측으로 유체 투입 홀(미도시)이 마련되어 유체 주머니(521)에 유체를 충진하거나, 충진된 유체를 빼낼 수 있다.
이러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500)는 건물 천장(C) 또는 슬래브 하부에 밀착되어 발생하는 하중에 따라, 밀착패드(523)의 각도가 조절되어 유체의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즉,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500)는 밀착패드(523)가 건물 천장(C) 또는 슬래브 하부에 밀착됨에 따라 하중이 가해지면 유체 주머니(521)에 유체가 인입 또는 배출되면서 유체의 압력에 따라 유체 주머니(521) 및 주름관(522)의 형태가 변화되어 밀착패드(523)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9의 (a) 및 (b)를 참조하여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500)의 동작을 정리하자면, 도 9의 (a)는 수평선상과 수평을 이루는 건물 천장(C)에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1)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500)가 맞닿은 상태이다.
이때, 도면을 기준으로 양측에 구비된 패드 어셈블리(520)는 동일한 높이 및 각도를 유지하면서 건물 천장(C)에 맞닿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의 (b)는 도면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건물 천장(C)에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1)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500)가 맞닿은 상태이다.
이때, 도면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구비된 패드 어셈블리(520)는 높이가 낮아지고 오른쪽으로 각도가 기울었으며, 왼쪽에 구비된 패드 어셈블리(520)는 높이가 높아지고 오른쪽으로 각도가 기울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른쪽에 구비된 패드 어셈블리(520)는 밀착패드(523)가 건물 천장(C)에 맞닿으면서 하중이 가해지는데, 이때, 건물 천장(C)이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있어, 오른쪽에 하중이 더욱 가해지면서, 유체 주머니(521)의 오른쪽이 수축되고, 주름관(522)의 오른쪽 길이가 줄어들며, 이에 따라 밀착패드(523)의 각도가 오른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때, 오른쪽에 구비된 패드 어셈블리(520)의 유체 주머니(521)로부터 유체가 배출되어 왼쪽에 구비된 패드 어셈블리(520)의 유체 주머니(521)로 인입되면서, 왼쪽에 구비된 패드 어셈블리(520)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왼쪽에 구비된 패드 어셈블리(520)는 유체의 인입으로 유체 주머니(521)가 팽창하여 높이가 높아지고, 주름관(522)의 길이도 늘어나게 되되, 건물 천장(C)이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있어, 오른쪽에 하중이 더욱 가해지면서, 유체 주머니(521)의 오른쪽이 수축되고, 주름관(522)의 오른쪽 길이가 줄어들며, 이에 따라 밀착패드(523)의 각도가 오른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500)는 건물 천장(C) 또는 슬래브 하부 기울기에 따라 각도가 조절되어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가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분해도이고, 도 15는 도 10의 급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1)의 고정부(500)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형태로 대체될 수 있다.
이때,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1)는 급수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600)는 관의 형태로 높이조절부(200) 내부에 형성되되, 중단 일측면으로부터 상면을 관통하여 연결하고, 불을 끄기 위하여 사용되는 소화제(消火劑)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소화제는 물, 이산화탄소,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수산화나트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반화재, 유류화재, 전기화재, 금속화재 등의 화재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수부(600)는 전동 엑츄에이터(210)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 프레임(220)이 상면을 관통하고, 이때, 전동 엑츄에이터(210)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홀에는 호스(미도시)가 연결되며, 연장 프레임(220)의 상면에 위치하는 홀에는 노즐(61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급수부(600)의 전동 엑츄에이터(210)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홀은 호스가 연결되지 않을 경우 마개(미도시)로 막힐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급수부(600)는 호스가 연결될 경우, 호스를 통해 투입되는 소화제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하고, 노즐(610)을 통해 분사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500)는 제2 외부케이스(540) 및 내부케이스(5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부케이스(540)는 다면체의 형태로 높이조절부(200) 상측에 형성되되,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아치형 홈(54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외부케이스(540)의 상면은 높이조절부(200)의 높이조절에 따라 건물 천장(C) 또는 슬래브 하부에 맞닿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되어 내면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아치형 홈(541)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케이스(550)는 아치형 홈(541)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제2 외부케이스(540) 내부에 구비되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하면에 다수의 미세 홀(551)이 형성되며, 하면 중앙에 급수부(600)가 관통하여, 투입되는 소화제를 하방으로 고르게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케이스(550)의 하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다수의 미세 홀(551)이 형성되고, 중앙에 급수부(600)가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내부케이스(550)의 상면은 아치형 홈(541)에 대응되도록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제2 외부케이스(54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내부케이스(550)는 급수부(600)를 통해 내측으로 공급된 소화제를 아치형으로 형성된 내부 상면을 따라 가이드하여 하면에 형성되는 미세 홀(551)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부(600)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제는 공급되는 압력에 의해 내부케이스(550)의 아치형 상면을 따라 분사 방향이 내부케이스(550) 하면으로 가이드되고, 미세 홀(551)을 통해 하방으로 분사되어 방호부(500)의 상면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에,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500) 및 급수부(600)를 통해 방호부(400) 상측에 잔류하는 고온의 열과 불꽃을 제거하여 방호부(400)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가장 먼저 설명된 고정부(500)의 기본형태와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500)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500)를 구성하는 각 구성들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서로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 구성들이 대체되거나 혼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에 이동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고정부 및 이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은 도 17의 평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7의 이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0은 도 19의 분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1)는 이동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700)는 지지부(100) 및 고정부(500)의 양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이동부(700)는 고정 플레이트(710), 회전 축(720), 제1 바퀴(730), 제2 바퀴(740) 및 트랙부재(7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고정부(500)에 구비된 이동부(700)를 예시로 하여 설명하지만, 지지부(100)에 구비된 이동부(700)는 고정부(500)에 구비된 이동부(7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710)는 판의 형태로 다수의 결합 홀(71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고정부(500) 내부 양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플레이트(710)는 고정부(500) 내부 양 측면 중앙에 구비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 홀(711)이 형성된 부분과 대응되는 고정부(500)의 측면에 결합 홀(711)과 연통되도록 관통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홀(711)은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축(720)은 다수 개로 형성되어 원기둥의 형태로 고정부(500)를 관통하되,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 홀(7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회전 축(720)은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퀴(730)는 다수의 회전 축(720) 중 하나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외주면을 따라 기어 치(73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0을 참조하면, 제1 바퀴(730)는 바퀴의 형태로, 외주면의 중앙을 따라 제1 걸림 홈(732)이 형성되고, 제1 걸림 홈(732)을 기준으로 양 측면의 외주면을 따라 기어 치(731)가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퀴(730)는 이후 서술할 트랙부재(750)에 더 안정적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고정 플레이트(7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최외측에 결합된 회전 축(72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퀴(730)는 앵글바퀴로 형성되어 회전 축(720)에 고정되면서도,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퀴(740)는 제1 바퀴(730)가 구비되지 않은 회전 축(72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바퀴(740)는 외주면의 중앙을 따라 제2 걸림 홈(74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바퀴(740)는 앵글바퀴로 형성되어 회전 축(720)에 고정되면서도,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바퀴(740)는 이동부(700)의 전체 형태를 지지해주면서도, 회동 시 원활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보조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트랙부재(750)는 제1 바퀴(730) 및 다수의 제2 바퀴(740)를 감싸도록 마련되되, 제1 바퀴(730)에 형성된 기어 치(731)에 맞물림으로써 제1 바퀴(73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랙부재(750)는 외주면을 따라 기어 치(731)와 대응되는 걸림 홀(751)이 형성되어, 기어 치(731)와 맞물릴 수 있다.
이에, 트랙부재(750)는 건물 천장(C) 또는 슬래브 하부와 바닥에 맞닿아 밀림으로써, 맞물린 제1 바퀴(730)가 회전 축(720)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다수의 제2 바퀴(740)가 함께 회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1)을 원복시키지 않고 건물 천장(C) 또는 슬래브 하부와 바닥에 고정된 상태에서 밀거나 당김으로써,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트랙부재(750)는 외주면을 따라 외부로 돌출된 돌출돌기(752)가 형성되어 요철이 심한 건물 천장(C) 또는 슬래브 하부와 바닥에서도 접지력을 유지하고 추진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트랙부재(750)는 내면 중앙을 따라 걸림돌기(753)가 형성되고, 제1 바퀴(730)의 제1 걸림 홈(732) 및 제2 바퀴(740)의 제2 걸림 홈(741)에 삽입되어 제1 바퀴(730) 및 제2 바퀴(7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치를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 그 장치에 포함된 구성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
100 : 지지부
200 : 높이조절부
210 : 전동 엑츄에이터
220 : 연장 프레임
230 : 스위치
300 : 낙하방지부
400 : 방호부
410 : 중앙 파지체
420 : 지지살
430 : 방염막
500 : 고정부
510 : 제1 외부케이스
520 : 패드 어셈블리
521 : 유체주머니
522 : 주름관
523 : 밀착패드
530 : 배관 어셈블리
531 : 배관
532 : 분배기
540 : 제2 외부케이스
541 : 아치형 홈
550 : 내부케이스
551 : 미세 홀
600 : 급수부
610 : 노즐
700 : 이동부
710 : 고정 플레이트
711 : 결합 홀
720 : 회전 축
730 : 제1 바퀴
731 : 기어 치
732 : 제1 걸림 홈
740 : 제2 바퀴
741 : 제2 걸림 홈
750 : 트랙부재
751 : 걸림 홀
752 : 돌출돌기
753 : 걸림돌기
C : 건물 천장

Claims (7)

  1. 판의 형태로 바닥과 맞닿도록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면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높이조절부;
    판의 형태로 상기 높이조절부를 중심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낙하방지부;
    접철식으로 상기 낙하방지부 상측에 형성되되, 상기 높이조절부를 중심으로 펼쳐지며 방염막이 형성된 방호부 및
    판의 형태로 상기 높이조절부 상단에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다면체의 형태로 상기 높이조절부 상단에 형성되는 제1 외부케이스;
    상기 제1 외부케이스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매립되고, 내부에 유체가 충진되며, 건물 천장 또는 슬래브 하부와 맞닿아 천장의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각도가 조절되는 다수의 패드 어셈블리 및
    상기 제1 외부케이스에 내장되되, 상기 패드 어셈블리 하면에 형성되고, 다수의 상기 패드 어셈블리를 연결하며, 상기 유체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외부케이스에 매립되고, 하면에 상기 배관 어셈블리가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유체가 인입 또는 배출되어 형태가 변화되는 유체 주머니;
    높이방향으로 상기 유체 주머니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체 주머니의 형태변화에 따라 길이 및 형태가 변화되는 주름관 및
    상기 유체 주머니 상면에 상기 제1 외부케이스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각도가 조절되고, 건물 천장 또는 슬래브 하부와 맞닿아 밀접되는 밀착패드를 포함하는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는,
    유리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및 PAN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난연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전동식으로 높이를 조절하는 스위치가 마련되고,
    상기 스위치는,
    외주면을 따라 라이트가 구비되어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
  4. 삭제
  5. 삭제
  6. 판의 형태로 바닥과 맞닿도록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면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높이조절부;
    판의 형태로 상기 높이조절부를 중심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낙하방지부;
    접철식으로 상기 낙하방지부 상측에 형성되되, 상기 높이조절부를 중심으로 펼쳐지며 방염막이 형성된 방호부;
    판의 형태로 상기 높이조절부 상단에 형성된 고정부; 및
    관의 형태로 상기 높이조절부 내부에 형성되되, 중단 일측면으로부터 상면을 관통하여 연결하고, 불을 끄기 위하여 사용되는 소화제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급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다면체의 형태로 상기 높이조절부 상측에 형성되되,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아치형 홈이 형성되는 제2 외부케이스 및
    상기 아치형 홈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외부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하면에 다수의 미세 홀이 형성되며, 하면 중앙에 상기 급수부가 관통하여, 투입되는 소화제를 하방으로 고르게 공급하는 내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
  7. 판의 형태로 바닥과 맞닿도록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면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높이조절부;
    판의 형태로 상기 높이조절부를 중심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낙하방지부;
    접철식으로 상기 낙하방지부 상측에 형성되되, 상기 높이조절부를 중심으로 펼쳐지며 방염막이 형성된 방호부;
    판의 형태로 상기 높이조절부 상단에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고정부의 양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판의 형태로 다수의 결합 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 내부 양 측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
    원기둥의 형태로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결합 홀에 결합되는 다수의 회전 축;
    다수의 상기 회전 축 중 하나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외주면을 따라 기어 치가 형성된 제1 바퀴;
    상기 제1 바퀴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회전 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다수의 제2 바퀴 및
    상기 제1 바퀴 및 다수의 상기 제2 바퀴를 감싸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1 바퀴에 형성된 기어 치에 맞물림으로써 제1 바퀴의 회동에 의해 회전하는 트랙부재를 포함하는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
KR1020220052671A 2022-04-28 2022-04-28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 KR102462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671A KR102462068B1 (ko) 2022-04-28 2022-04-28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671A KR102462068B1 (ko) 2022-04-28 2022-04-28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068B1 true KR102462068B1 (ko) 2022-11-01

Family

ID=8404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671A KR102462068B1 (ko) 2022-04-28 2022-04-28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0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6447A (ja) * 2010-07-07 2012-01-26 Toyota Motor Corp 足底機構
KR101562665B1 (ko) * 2014-07-29 2015-10-23 서보산업 주식회사 슬래브 거푸집의 시공과 탈형이 용이한 자가 승강식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CN211835994U (zh) * 2020-01-20 2020-11-03 国泰瑞安股份有限公司 一种喷淋头的泄水装置
KR102364150B1 (ko) * 2021-10-08 2022-02-18 주식회사 에이블라이크 실내 안전 손잡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6447A (ja) * 2010-07-07 2012-01-26 Toyota Motor Corp 足底機構
KR101562665B1 (ko) * 2014-07-29 2015-10-23 서보산업 주식회사 슬래브 거푸집의 시공과 탈형이 용이한 자가 승강식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CN211835994U (zh) * 2020-01-20 2020-11-03 国泰瑞安股份有限公司 一种喷淋头的泄水装置
KR102364150B1 (ko) * 2021-10-08 2022-02-18 주식회사 에이블라이크 실내 안전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27804T3 (es) Mezcla de gases propulsores para sistema de extinción de incendios
KR101289037B1 (ko) 응급 구조용 로봇
KR20160130100A (ko) 화재 진압용 장비 및 화재진압 방법
KR102462068B1 (ko) 소방관 보호 우산형 구조체
KR101670360B1 (ko) 화재 확산 방지 장치를 구비한 건물 배수관 설치 구조
KR200388729Y1 (ko) 긴급 대피용 산소호흡기 및 랜턴을 겸비한 소화장치
KR20160034872A (ko) 화재 대피장치
KR100748612B1 (ko)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US10933264B1 (en) Portable fire safety enclosure system
KR101015188B1 (ko) 휴대용 소화기의 압력공급용 밸브
JP2021016799A (ja) 患者移送用自動膨張式エアマットレス
KR101410136B1 (ko) 정찰 로봇
US72998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inguishing fires in a multi-floored building
KR102115414B1 (ko) 안전핀이 필요없는 소화기
KR102134913B1 (ko) 소방용 방수총 안전 차단장치
CN110681079A (zh) 一种高空逃生救援设备
JP3929214B2 (ja) ガス系消火設備
JP3058841B2 (ja) 減圧装置
KR102623288B1 (ko)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용 화재 진압포
KR20200117001A (ko) 통기 가능한 가스 및 물 호스 장치
KR101967839B1 (ko) 원터치 2-채널 방향 조작 소방용 방수총 거치대
KR20220014249A (ko) 투척식 소화기
JPH11239625A (ja) 救助用タラップ
KR101209864B1 (ko) 방화공
KR102205276B1 (ko) 2차 발포가 가능한 소화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