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612B1 -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612B1
KR100748612B1 KR1020060021938A KR20060021938A KR100748612B1 KR 100748612 B1 KR100748612 B1 KR 100748612B1 KR 1020060021938 A KR1020060021938 A KR 1020060021938A KR 20060021938 A KR20060021938 A KR 20060021938A KR 100748612 B1 KR100748612 B1 KR 100748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outer body
handle
cas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이기중
강윤범
Original Assignee
강윤범
이기중
이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윤범, 이기중, 이상호 filed Critical 강윤범
Priority to KR1020060021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7/00Hand fire-extinguishers essentially in the form of pistols or ri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화액을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한 액분사부재와; 상기 액분사부재를 동작시키기 위한 액분사부재 동작수단으로 이루어진 소화기액분사장치; 및 액분사부재에 구비되어 외부로 조명을 비추게 되는 조명장치; 손잡이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소리를 토출시켜 위험을 알리기 위한 경보장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소화기, 조명등, 경보기 기능 및 야간에 비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으로 구성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초기 화재의 진압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 호신용으로 사용될 수 있어 개인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소화기, 조명등, 경보기

Description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Portable a Fire-extinguish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의 전체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의 소화액 분사장치에 대한 동작상태도.
도 4a,4b는 도 3a의 'A'부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3b의 'B'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의 잠금부재를 도시한 동작상태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의 조명장치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의 엘이디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의 경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가 거치대에 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에 소화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알람스위치 구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잡이 10 : 소화기액분사장치
11 : 뚜껑 12 : 외부몸체
20 : 소화액용기 30 : 액분사부재
31,32 : 상,하부가스유입도관 33 : 가스유입도관
36 : 노즐 38 : 가스켓
40 : 탄성부재 50,56 : 상,하부이동레버
52,54 : 힌지 55 : 안내장공
60 : 방아쇠 62 : 고정핀
64,83,134 : 스프링 70 : 잠금부재
72 : 회동핀 74 : 걸림돌부
76 : 걸림돌기 80 : 조명장치
82 : 외부케이스 84 : 외부뚜껑
86 : 배터리 88 : 램프
90 : 엘이디 92 : 피씨비기판
100 : 경보장치 110 : 축전지
111 : 암 콘센트 120 : 스피커
130 : 알람스위치 132 : 삽입홈
137,138 : 끼움홈 139,140 : 밀착볼
150 : 거치대 154 : 케이스
156 : 홀딩재 158 : 돌출끼움봉
160 : 접속콘센트
본 발명은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소화액을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한 소화기액분사장치와, 외부로 조명을 비추게 되는 조명장치와, 손잡이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소리를 토출시켜 위험을 알리게 되는 경보장치로 이루어져 휴대가 간편하고, 초기 화재의 진압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 호신용으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어 개인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기는 탈 물질, 산소, 불이 날 수 있는 온도(발화점)로 이루어지는 불이 나는 조건중 산소를 차단하고, 특수한 소화약제로 온도를 내리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소화기에는 분말 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활론 소화기 등이 있다. 이러한 소화기의 사용법은 사용자가 안전핀을 제거한 다음, 호스를 불이 난 곳으로 향하고, 손잡이를 강하게 움켜진 다음, 불이 난 곳으로 소화기 액을 뿜어 초기 화재를 제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소화기는 휴대가 가능할 정도의 크기가 제공되지 못하고, 집이나 차량 등의 눈에 잘 띄는 곳에 비치하게 되나, 비상시 특히 야간에는 그 위치에 대한 확인이 쉽지 않게 되고, 안전핀을 뽑는 등의 사용 절차가 복잡하여 제대로 사용을 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초기 화재 진압에 실패하여 소중한 인명 및 재산상 피해를 입게 되는 등의 문제점과, 또한 화재 진압용으로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기능이 구비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소화기, 조명등, 경보기 기능 및 야간에 비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초기 화재의 진압 및 개인 호신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뚜껑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고, 소화액이 충진된 소화액용기가 탄력적으로 보관되는 외부몸체와; 상기 외부몸체와 상기 소화액용기 일단 사이에 연결되어 소화액을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한 액분사부재와; 상기 액분사부재를 동작시키기 위한 액분사부재 동작수단으로 이루어진 소화기액분사장치; 및 상기 외부몸체 외주연에 고정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뚜껑과; 상기 케이스 타측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외부뚜껑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 일측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조명을 비추게 되는 램프로 이루어진 조명 장치; 및 상기 외부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에 연결되고, 손잡이 내측에 고정되어 소리를 발생시키기 위한 스피커와; 상기 축전지와 상기 스피커 사이에 연결되어 스피커의 음향을 선택적으로 공급 및 차단하게 되는 알람스위치로 이루어진 경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는 권총 타입으로 제작되고, 소화기액분사장치(10), 조명장치(80) 및 경보장치(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화기액분사장치(1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타측에 뚜껑(11)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며, 내부에는 적정 압력을 유지하여 소화액이 충진된 소화액용기(20)가 보관되는 외부몸체(12)와; 외부몸체(12)와 소화액용기(20) 일단 사이에 연결되어 소화액을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한 액분사부재(30)와; 액분사부재(30)를 동작시키기 위한 액분사부재 동작수단(A)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소화액은 주로 청정 소화제인 NaF3(나프타3)을 사용하게 되는 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화액을 소화액용기(20) 내부에 충진한 다음, 이를 분사하여 초기화재 진압용으로 사용하게 된다. 한편, 소화액 대신에 최루가스 등을 용기 내부 에 충진시켜 호신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소화액용기(20)는 외부몸체(12) 내부에 삽입되어 일측에 체결되는 뚜껑(12)에 고정된 탄성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액분사부재(30)는 외부몸체(12)와 소화액용기(20) 일단 사이에 연결 고정되고, 상호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된 상,하부가스유입도관(31)(32)으로 이루어진 가스유입도관(33)과; 가스유입도관(33)의 상부가스유입도관(31) 내경을 통하여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단이 외부로 돌출되게 삽입되며, 외주연에 환형결합홈(35)이 형성된 노즐(36)과; 노즐(36)의 환형결합홈(35)에 내경이 끼워지고, 상부가스유입도관(31) 상부와 외부몸체(12) 타단에 사이에 안착된 고무재질의 가스켓(38)과; 하부가스유입도관(32)과 노즐(36) 사이에 끼워져 노즐(36)의 수직 이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탄성부재(40)로 이루어진다.
이때, 노즐(36)은 하부 중앙 영역으로부터 수직을 유지하고, 수평으로 연통되게 액유출공(36a)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환형결합홈(35)과 수평으로 연통되고, 상부 중앙 영역으로 액분사공(36b)이 형성되어 외부로 적정 압력으로 소화액이 분사된다.
상기 액분사부재 동작수단(A)은 노즐(36)의 상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힌지(52)로써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상부회동레버(50)와; 상부회동레버(50)의 타측을 밀어 회동시키도록 일측이 외부몸체(12) 내부에 고정된 가이드(53)에 안내되고, 타단이 힌지(54)로써 방아쇠(60)의 안내장공(5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하부이동레버(56)로 이루어진다.
이때, 방아쇠(60)는 휴대용 소화기의 손잡이(1)에 고정핀(62)으로써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 고정핀(62)에는 스프링(64)이 끼워져 방아쇠(60)의 회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손잡이(1)의 적정 위치에는 방아쇠(6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저지하기 위한 잠금부재(70)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부재(70)는 손잡이(1)의 후방 영역에 회동핀(72)으로써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선단에는 방아쇠(60)에 형성된 걸림돌부(74)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는 걸림돌기(76)가 형성된다.
상기 조명장치(80)는 외부몸체(12) 외주연에 돌출되게 고정된 원통형의 케이스(82)와; 케이스(82)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프링(83)이 설치된 외부뚜껑(84)과; 케이스(82) 타측 내부에 결합되고, 외부뚜껑(84)에 의해 지지되는 배터리(86)와; 배터리(86)에 연결되고, 케이스(82) 일측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조명을 하게 되는 램프(88)로 이루어진다. 이때, 케이스(82)의 적정 위치에는 조명스위치(83)를 구비하여 램프(88)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이러한 램프(88)는 조명도가 적어도 6lux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부몸체(12)에는 야간에 휴대용 소화기의 위치를 식별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엘이디(90)가 구비된다. 이러한 엘이디(90)는 외부몸체(12) 내부에 고정된 피비씨기판(92)에 고정되고, 이 피비씨기판(92)은 조명장치(80)의 배터리(86)에 연결되어 엘이디(9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엘이디(90)는 다양한 도형 및 문자 등으로 표현되도록 배치 및 구성하거나 색깔을 다르게 구성하여 다양한 연출 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경보장치(100)는 손잡이(1)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축전지(110)와; 축전지(110)에 연결되고, 손잡이(1) 내측에 고정되어 알람(소리)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피커(120)와; 축전지(110)와 스피커(120) 사이에 구비되어 스피커(120)의 음향을 선택적으로 공급 및 차단하게 되는 알람스위치(130)로 이루어진다.
한편, 스피커(120)가 고정된 손잡이(1)에는 소리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음향토출공(1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스피커(120)에서 발생되는 알람을 인위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손잡이(1) 적정 위치에 음향차단스위치(140)가 구비된다.
상기 알람스위치(130)는 손잡이(1)의 적정 위치에 형성된 삽입홈(132)과; 삽입홈(132) 내측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스프링(134)이 각각 삽입되는 끼움홈(137)(138)과; 끼움홈(137)(138)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호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는 밀착볼(139)(140)로 이루어진다. 이때, 밀착볼(139)(140)이 상호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있어 스위치(130)가 동작된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축전지(110)는 소모성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고, 충전가능한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는 데, 충전가능한 축전지(110)에는 손잡이(1) 하부에 구비된 암 콘센트(111)가 연결되고, 이 암 콘센트(111)는 전원에 연결하여 축전지(110)를 충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축전지(110)에는 조명장치(80)의 램프(88)와 엘이디(90)를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용 소화기는 실내의 벽면 등에 고정되는 거치대(150)에 보관된다. 이러한 거치대(150)는 벽면 등에 고정되고, 전면에 휴대용 소화기가 결합되는 결합홈(152)이 형성된 케이스(154)와; 결합홈(152)의 적정 위치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소화기가 홀딩되는 홀딩재(156)로 이루어진다.
이때, 거치대(150)의 결합홈(152)에는 돌출끼움봉(158)이 구비되어 알람스위치(130)를 구성하는 삽입홈(132)에 끼워져 밀착볼(139)(140) 사이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알람스위치(130)의 동작이 차단됨에 따라 스피커(120)가 동작 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거치대(150)의 결합홈(152)에는 축전지(110)에 연결된 암 콘센트(111)가 접속되는 접속콘센트(160)가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 접속콘센트(160)는 전원에 연결되는 전선콘센트(170)에 연결되어 있어 축전지(110)를 충전시키게 된다.
이때, 접속콘센트(160)는 결합홈(152) 내부에 형성된 끼움홈(161)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고, 끼움홈(161)에는 스프링(162)이 개재되어 접속콘센트(160)의 출몰을 지지하게 됨에 따라 암 콘센트(111)가 접속된다.(도 11참조)
그리고, 상기 손잡이(1)의 적정 위치에는 열감지센서(180)가 구비되어 적정 온도의 열이 감지되면 상기 스피커(120)에서 경보음이 울리게 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때, 열감지센서(180)는 축전지(110)에 연결되도록 회로적으로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권총 타입으로 조립이 유지되는 휴대용 소화기를 사용하기 위 해서는 사용자가 손잡이(1)를 파지한 다음, 도 3a,3b에서와 같이 액분사부재 동작수단(A)을 구성하고 있는 방아쇠(60)를 당기게 된다.
그러면, 방아쇠(60)가 고정핀(62)을 중심으로 스프링(64)의 탄성력으로써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방아쇠(60)의 안내장공(55)에 타측이 힌지(54)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회동레버(50) 타측이 안내장공(55)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일측 영역이 가이드(53)에 의해 안내되면서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부이동레버(55)가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타측이 힌지(52)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이 노즐(36)에 연결된 상부이동레버(50)가 힌지(52)를 중심으로써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노즐(36)을 하방으로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가스유입도관(33)의 상부가스유입도관(31) 내경을 통하여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단이 외부로 돌출되게 삽입되며, 외주연에 환형결합홈(35)이 형성된 노즐(36)이, 상부가스유입도관(31) 내경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노즐(36)의 환형결합홈(35)에 내경이 끼워지고, 상부가스유입도관(31) 상부와 외부몸체(12) 타단에 사이에 안착된 고무재질의 가스켓(38)이 재질의 특성상 찌그러지면서 환형결합홈(35)에 수평으로 연통되게 형성되 액유출공(36a)이 개방된다.
이와 동시에 외부몸체(12)와 소화액용기(20) 일단 사이에 연결 고정된 가스유입도관(33)의 하부가스유입관(32)을 통하여 소화액용기(20) 내부에 적정 압력으 로 충진된 소화액이 분출되고, 액유출공(36a)과 액분사공(36b)을 통하여 외부로 분사되어 화재의 초기진압을 하게 된다.(도 4a,4b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액분사부재 동작수단(A)을 구성하고 있는 방아쇠(60)를 놓게 되면, 방아쇠(60)가 스프링(64)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상태(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부이동레버(56)가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부이동레버(5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됨에 따라 노즐(36)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노즐(36)은 하부가스유입도관(32)과 노즐(36) 사이에 끼워진 탄성부재(40)의 복원력에 의해 신속하게 상방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가스켓(38)이 원래 상태로 복원되어 환형결합홈(35)의 액유출공(36a)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소화기액분사장치(10)를 구성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외부몸체(12) 내부의 소화액용기(20)는 외부몸체(12) 내부에 삽입되어 일측에 체결되는 뚜껑(11)에 고정된 탄성스프링(13)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 된다.
한편, 소화액용기(20) 내부의 소화액은 주로 청정 소화제인 NaF3(나프타3)을 사용하게 되는 데, 필요에 따라 적절한 소화액을 소화액용기(20) 내부에 충진한 다음, 이를 분사하여 초기화재 진압용으로 사용하게 된다. 한편, 소화액 대신에 최루가스 등을 용기 내부에 충진시켜 이를 분사하여 호신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될뿐만 아니라, 사용이 완료된 소화액용기(20)는 분리한 후 다른 소화액 용기를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손잡이(1)의 적정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잠금부재(70)를 동작시켜 방아쇠(6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저지하게 되어 안전한 소화장치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즉, 잠금부재(70)를 손잡이(1) 후방 영역의 회동핀(72)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선단의 걸림돌기(76)가 방아쇠(60)의 걸림돌부(74)에 걸리게 하여 방아쇠(60)가 작동되지 않게 되고, 반대로 잠금부재(70)를 해제시키면 동작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외부몸체(12) 외주연에는 조명장치(80)가 구비되어 있어 어두운 곳에서 편리하게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는 외부몸체(12) 외주연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케이스(82) 내부에 배터리(86)가 결합되고,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외부뚜껑(84)에 고정된 스프링(83)에 의해 지지되고, 케이스(82) 일측에 구비된 램프(88)로써 외부로 조명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램프(88)는 조명도가 적어도 6lux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외부몸체(12)에는 야간에 휴대용 소화기의 위치를 식별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엘이디(90)가 구비된다. 이러한 엘이디(90)는 외부몸체(12) 내부에 고정된 피비씨기판(92)에 고정되고, 이 피비씨기판(92)은 조명장치(80)의 배터리(86)에 연결되어 엘이디(9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엘이디(90)는 다양한 도형 및 문자 등으로 표현되도록 배치 및 구성하거나 색깔을 다르게 구성하여 다양한 연출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손잡이(1) 내부에는 경보장치(100)가 구비되어 위험사항을 외부로 알리게 된다. 이에 대한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거치대(150) 에 거치된 휴대용 소화기를 분리시키게 되면, 경보장치(100)를 구성하고 있는 알람스위치(130)가 접속되어 손잡이(1)의 음향토출공(122)을 통하여 외부로 소리가 토출된다. 이때, 스피커(120)에서 발생되는 알람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손잡이(1) 적정 위치에 구비된 음향차단스위치(140)를 조작하게 된다.
그리고, 휴대용 소화기가 거치대(150)에 거치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벽면 등의 적정 위치에 고정되는 거치대(150)를 구성하는 케이스(154)의 결합홈(152)에 손잡이(1)와 외부몸체(12)로 이루어진 휴대용 소화기를 거치시키게 된다.
그러면, 케이스(154)의 결합홈(152)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홀딩재(156)에 외부몸체(12)와 손잡이(1)가 홀딩되고, 손잡이(1)의 적정 영역에 형성된 삽입홈(132)이 거치대(150)의 돌출끼움봉(158)에 끼워져 밀착볼(139)(140) 사이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알람스위치(130)의 동작이 차단됨에 따라 스피커(120)가 동작 되지 않게 된다.
이와 동시에 축전지(110)에 연결된 암 콘센트(111)가 거치대(150)의 접속콘센트(160)에 접속이 이루어져 축전지(110)를 충전시키게 된다. 즉, 암 콘센트(111)가 접속콘센트(160)에 끼워져 접속이 이루어지면, 접속콘센트(160)가 끼움홈(161)에 개재된 스프링(162)의 탄성력으로써 끼움홈(161) 내부로 이동하게 되어 접속콘센트(160) 하단이 전선콘센트(170)가 접속되어 축전지(110)를 충전시키게 된다. (도 11참조)
한편, 상기한 축전지(110)는 소모성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고, 충전가능한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는 데, 이 축전지(110)에 조명장치(80)의 램프(88)와 엘이디 (90)를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거치대(150)에 거치된 상태에서 화재 등으로 열이 발생되면, 소화기의 손잡이(1) 적정 위치에 구비된 열감지센서(180)가 이를 감지하여 스피커(120)를 통하여 경보음이 울리도록 구성 함으로써 취침중일 때에도 화재에 신속히 대체할 수 있도록 하여 생명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소화기, 조명등, 도난 경보기 , 화재경보기 기능 및 야간에 비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으로 구성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초기 화재의 진압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 호신용으로 사용될 수 있어 개인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는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9)

  1. 뚜껑(11)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고, 소화액이 충진된 소화액용기(20)가 탄력적으로 보관되는 외부몸체(12)와; 상기 외부몸체(12)와 상기 소화액용기(20) 일단 사이에 연결되어 소화액을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한 액분사부재(30)와; 상기 액분사부재(30)를 동작시키기 위한 액분사부재 동작수단(A)으로 이루어진 소화기액분사장치(10); 및
    상기 외부몸체(12) 외주연에 고정된 케이스(82)와; 상기 케이스(82)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뚜껑(84)과; 상기 케이스(82) 타측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외부뚜껑(84)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배터리(86)와; 상기 배터리(86)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82) 일측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조명을 비추게 되는 램프(88)로 이루어진 조명장치(80); 및
    상기 외부몸체(12)에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1)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축전지(110)와; 상기 축전지(110)에 연결되고, 손잡이(1) 내측에 고정되어 소리를 발생시키기 위한 스피커(120)와; 상기 축전지(110)와 상기 스피커(120) 사이에 연결되어 스피커(120)의 음향을 선택적으로 공급 및 차단하게 되는 알람스위치(130)로 이루어진 경보장치(1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분사부재(30)는
    상기 외부몸체(12)와 소화액용기(20) 일단 사이에 연결 고정되고, 상호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된 상,하부가스유입도관(31)(32)으로 이루어진 가스유입도관(33);
    상기 상부가스유입도관(31) 내경을 통하여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소화액용기(20)의 소화액을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한 노즐(36);
    상기 노즐(36)의 환형결합홈(35)에 내경이 끼워지고, 상기 상부가스유입도관(31) 상부와 상기 외부몸체(12) 타단에 사이에 안착된 가스켓(38); 및
    상기 하부가스유입도관(32)과 노즐(36) 사이에 끼워져 노즐(36)의 수직 이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탄성부재(4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분사부재 동작수단(A)은
    상기 노즐(36) 상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힌지(52)로써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상부회동레버(50);
    상기 상부회동레버(50)의 타측을 밀어 회동시키도록 일측이 상기 외부몸체(12) 내부에 고정된 가이드(53)에 안내되고, 타단이 힌지(54)로써 방아쇠(60)의 안내장공(5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하부이동레버(56)로 구성되고,
    상기 방아쇠(60)는 손잡이(1)에 고정핀(62)으로써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62)에는 스프링(64)이 끼워져 회동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손잡이(1)의 적정 위치에는 상기 방아쇠(6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록킹시키기 위한 잠금부재(7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70)는
    상기 손잡이(1)의 후방 영역에 회동핀(72)으로써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선단에는 상기 방아쇠(60)의 걸림돌부(74)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는 걸림돌기(7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80)는
    상기 외부몸체(12) 외주연에 돌출되게 고정된 케이스(82);
    상기 케이스(82)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프링(83)이 설치된 외부뚜껑(84);
    상기 케이스(82) 타측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외부뚜껑(84)에 의해 지지되는 배터리(86); 및
    상기 배터리(86)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82) 일측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조명을 하게 되는 램프(88);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몸체(12)에는 야간에 소화기의 위치 식별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엘이디(90)가 구비되고,
    상기 엘이디(90)는 외부몸체(12) 내부의 상기 배터리(86)에 연결된 피비씨기판(9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스위치(130)는
    상기 손잡이(1)의 적정 위치에 형성된 삽입홈(132);
    상기 삽입홈(132) 내측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스프링(134)이 각각 삽입되는 끼움홈(137)(138);
    상기 끼움홈(137)(138)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호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스피커(12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밀착볼(139)(140); 및
    상기 밀착볼(139)(14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스피커(1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되고, 상기 소화기가 거치되도록 이루어진 거치대(15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50)는
    벽면의 적정 위치에 고정되고, 결합홈(152)이 형성된 케이스(154);
    상기 결합홈(152) 적정 위치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소화기가 홀딩되는 홀딩재(156);
    상기 결합홈(152) 적정 위치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알람스위치(130)의 삽입홈(132)을 통하여 상기 밀착볼(139)(140) 사이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상기 스피커(120)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게 되는 돌출끼움봉(158); 및
    상기 거치대(150)의 결합홈(152)에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1) 하부의 암 콘센트(111)가 접속되어 상기 축전지(110)를 충전시키도록 구성된 접속콘센트(16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 적정 위치에 외부 적정 온도의 열을 감지할 수 있는 열감지센서(180)를 구비하여 상기 스피커(120)에서 경보음이 발생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KR1020060021938A 2006-03-08 2006-03-08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KR100748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938A KR100748612B1 (ko) 2006-03-08 2006-03-08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938A KR100748612B1 (ko) 2006-03-08 2006-03-08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8612B1 true KR100748612B1 (ko) 2007-08-10

Family

ID=3860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938A KR100748612B1 (ko) 2006-03-08 2006-03-08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61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2150A2 (ko) * 2009-07-02 2011-01-06 주식회사 코리아에네르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시스템
KR101173617B1 (ko) 2010-02-08 2012-08-13 유상업 호신용 가스 분무 장치
KR101322583B1 (ko) * 2010-10-08 2013-10-25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미스트 및 불화 가스를 이용하는 휴대용 소화 장치
CN106693243A (zh) * 2016-11-24 2017-05-24 中国矿业大学 可更换料瓶的枪式手持型灭火器
CN108354227A (zh) * 2017-06-28 2018-08-03 安远明达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灭火功能的烟灰缸
CN108434630A (zh) * 2018-05-03 2018-08-24 四川益泽丰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化学实验室用灭火器
KR102015942B1 (ko) 2018-07-13 2019-08-29 장상욱 다기능 소화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1680A (ja) * 1988-10-31 1990-05-09 Masaru Fujiki 自動、手動兼用消火液カートリッジ交換式消火器具
JPH02124180A (ja) * 1988-11-02 1990-05-11 Yunibaasu:Kk 簡易消火具
JPH08229154A (ja) * 1995-03-01 1996-09-10 Katsutoshi Matsumoto ガン方式の消火ガス噴射器具
KR20190000910A (ko) * 2009-08-03 2019-01-03 유니버시티 오브 마이애미 T 조절 세포의 생체 내 확장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1680A (ja) * 1988-10-31 1990-05-09 Masaru Fujiki 自動、手動兼用消火液カートリッジ交換式消火器具
JPH02124180A (ja) * 1988-11-02 1990-05-11 Yunibaasu:Kk 簡易消火具
JPH08229154A (ja) * 1995-03-01 1996-09-10 Katsutoshi Matsumoto ガン方式の消火ガス噴射器具
KR20190000910A (ko) * 2009-08-03 2019-01-03 유니버시티 오브 마이애미 T 조절 세포의 생체 내 확장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2150A2 (ko) * 2009-07-02 2011-01-06 주식회사 코리아에네르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시스템
WO2011002150A3 (ko) * 2009-07-02 2011-03-31 주식회사 코리아에네르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시스템
KR101029554B1 (ko) * 2009-07-02 2011-04-18 강윤범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시스템
CN102271765A (zh) * 2009-07-02 2011-12-07 富如尼准株式会社 多功能便携式灭火器系统
US8833477B2 (en) 2009-07-02 2014-09-16 Frunezone Co., Ltd. Multifunctional portable fire extinguisher system
KR101173617B1 (ko) 2010-02-08 2012-08-13 유상업 호신용 가스 분무 장치
KR101322583B1 (ko) * 2010-10-08 2013-10-25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미스트 및 불화 가스를 이용하는 휴대용 소화 장치
CN106693243A (zh) * 2016-11-24 2017-05-24 中国矿业大学 可更换料瓶的枪式手持型灭火器
CN108354227A (zh) * 2017-06-28 2018-08-03 安远明达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灭火功能的烟灰缸
CN108434630A (zh) * 2018-05-03 2018-08-24 四川益泽丰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化学实验室用灭火器
KR102015942B1 (ko) 2018-07-13 2019-08-29 장상욱 다기능 소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612B1 (ko)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KR101029554B1 (ko)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시스템
JP4969300B2 (ja) 消火ガス噴射器
CN101360535B (zh) 灭火气体喷射器
US20080087446A1 (en) Self-activated fire extinguisher
US20080257566A1 (en) Portable life protec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AU2009286243A1 (en)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fire management system
KR101003795B1 (ko) 화재 진압용 소화기
KR20080114460A (ko) 패널형 소화장치
JP4866316B2 (ja) 住宅用消火器
KR100937601B1 (ko) 호스형 소화기
US8651195B2 (en) Jetting apparatus for fire extinguishing gas and disaster warning system
JP2007330765A (ja) 消火ガス噴射器
KR20170140649A (ko) 경광등이 구비된 소화기
KR20090112212A (ko) 투척식 소형 소화기
KR20130034384A (ko)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소화기
KR20040015847A (ko) 질소가스에 의해 포말액이 방출되는 이동 가능한 긴급화재진압용 소화장치
JP2016050703A (ja) 護身ユニット及び護身ユニットを備えた携帯電話端末
CN210845072U (zh) 一种具有减震照明功能的便携式消防箱
KR20060119033A (ko)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CN212593620U (zh) 一种新型多功能家用灭火器
KR20060103710A (ko) 복합기능을 갖는 소화기
KR20110003142A (ko) 소방용 랜턴
KR200371862Y1 (ko) 전등 겸용 소화기
LU103120B1 (en) Portable fire extingui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