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9033A -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 Google Patents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033A
KR20060119033A KR1020050041553A KR20050041553A KR20060119033A KR 20060119033 A KR20060119033 A KR 20060119033A KR 1020050041553 A KR1020050041553 A KR 1020050041553A KR 20050041553 A KR20050041553 A KR 20050041553A KR 20060119033 A KR20060119033 A KR 20060119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larm
nozzle
sto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0790B1 (ko
Inventor
종 두 박
Original Assignee
종 두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종 두 박 filed Critical 종 두 박
Priority to KR1020050041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790B1/ko
Publication of KR20060119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G08B15/02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with smoke, gas, or coloured or odorous powder or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9/00Equipment for attack or defence by spreading flame, gas or smoke or leurres; Chemical warfare equipment
    • F41H9/04Gas-blowing apparatus, e.g. for tear g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볼록형태의 볼록거울(112)을 형성하고, 볼록거울(112)의 내부에 전면으로 빛이 조사되는 내부발광체(113)를 형성한 상부케이스(111)와 내부의 공간형태의 수납부(116)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7)가 형성된 하부케이스(114)를 힌지구(115)로 연결하여 힌지구(115)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하로 분리 및 결합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수납부(116)에 결합되어 상부에 외측으로 체결부(124)를 형성하여 최루액이 공급, 분사되도록 관형태로 최루액입출구(123)를 형성하고, 최루액입출구(123)의 하부에 내측으로 최루액을 수납하여 압력에 의해 분사하도록 튜브(121)를 형성한 최루액저장부(120)와, 상기 최루액저장부(120)의 최루액입출구(123) 외측에 형성된 체결부(124)에 내측에 형성된 노즐체결부(133)로 상부에 복수의 통공형태로 최루액을 분사하도록 분사공(132)을 형성하여 최루액을 분사하도록 체결된 노즐구(131)를 형성하고, 노즐구(131)의 전방에 외측으로 결합부(134)를 형성하며, 복수의 돌기형태의 미끄럼방지돌기(136)가 외측에 구비되어 내부에 마개결합부(137)로 노즐구(131)의 결합부(134)에 결합시켜 최루액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누출방지마개(135)를 형성한 분사노즐부(130)와, 상기 케이스(110)의 수납부(116) 타측으로 콘트롤러(141)를 형성하여 케이스(110)의 일측에 외부의 동작물을 감지하도록 형성된 동작센서(142)와 휴대품이 일정거리를 유지하는지 감지하는 근접센서(143)에서 송신된 신호를 연산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140)와, 상기 제어부(140)의 일 측으로 콘트롤러(141)의 신호에 따라 경보발생부(151)를 조작하여 스피커(152)를 통하여 경보를 발생하고, 제어부(140)의 신호에 따라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라이트(153)를 형성하여 제어부(140)에 의해 경보와 빛을 발생하는 표시부(150)와, 상기 제어부(140)의 측면부에 콘트롤러(141)와 연동하도록 형성하여 전원, 센서, 경보음을 조작하는 조작스위치부(16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볼록거울, 누출방지마개, 동작센서, 근접센서, 수동펌프

Description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Warning and Ejecting Apparatus for Self-Defens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의 분사노즐부에 노즐구와 누출방지마개의 나사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주요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의 분사노즐부에 노즐구와 누출방지마개의 나사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주요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의 분사노즐부에 실링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주요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의 분사노즐부의 노즐구와 누출방지마개의 삽입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주요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의 최루액저장부의 튜브의 모터를 구비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면에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경보 분사 장치 110 : 케이스
111 : 상부케이스 112 : 볼록거울
113 : 내부발광체 114 : 하부케이스
115 : 힌지구 116 : 수납부
117 : 전원부 120 : 최루액저장부
121 : 튜브 122 : 병목부
123 : 최루액입출구 124 : 체결부
125 : 수동펌프 126 : 전기펌프
130 : 분사노즐부 131 : 노즐구
132 : 분사공 133 : 노즐체결부
134 : 결합부 134a : 결합나사부
134b : 결합돌기 134c : 노즐실링
135 : 누출방지마개 136 : 미끄럼방지돌기
137 : 마개결합부 137a : 마개결합나사
137b : 마개결합홈 137c : 마개결합장홈
137d : 마개실링 140 : 제어부
141 : 콘트롤러 142 : 동작센서
143 : 근접센서 144 : 마이크
145 : 녹취부 150 : 표시부
151 : 경보발생부 152 : 스피커
153 : 라이트 160 : 조작스위치부
161 : 전원스위치 162 : 동작센서스위치
163 : 근접센서스위치 164 : 내부발광체스위치
165 : 라이트스위치 166 : 경보스위치
167 : 녹취스위치
본 발명은 호신용 경보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휴대품의 형태로 케이스를 형성하여 전면에 시계를 확보하면서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내부발광체를 구비한 볼록거울을 형성하고, 케이스의 내부에 하부를 노출시켜 외측에서 손의 압력으로 위해자에게 최루액이 분무되도록 입구가 좁은 형태의 병목부를 형성한 튜브의 내부에 최루액을 충진하여 형성하며, 주위에 위해가 될 수 있는 사람과 물체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센서와 핸드백이나 소지품이 일정거리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내부에 형성하여 감지된 신호를 콘트롤러에서 제어하여 상황에 따라 표시부의 경고발생부를 동작하여 스피커를 통해 경고를 발생하거나 라이트를 밝혀 위험을 알리도록 형성함에 따라 위해자와 위해물체의 근접을 미리 감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위해자의 근접에 의한 비상 시에는 신속하게 강한 압력으로 최루액을 분사, 제압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호신용 장치는 위해(危害)를 가할 목적으로 접근하는 위해자(危害者)로부터 신변을 보호하기 위하여 경보음을 발생시켜 주위 사람들의 도움을 요청하도록 하는 경보 발생기나, 고압의 전기를 이용하는 감전에 의한 일시적 충격을 주는 전기 충격기, 최루성이나 마취성 물질을 고압의 가스로 분사시켜 의식을 분산시키는 가스분사기, 또는 강한 빛을 이용해 일시적으로 시력을 무력화시키는 플래 셔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어온 호신용 장치들은 경보발생, 전기충격, 가스분사, 섬광발생 등의 단편적인 기능들만을 사용함에 따라 처해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호신용 장비들이 위협감을 줄 수 있는 권총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쉽게 휴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강, 절도범에게도 호신용 장비의 사용이 인지되어 사용 효력을 극대화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호신용 장비들은 고가이고 사용 방법이 위험하거나 어려우며 심지어 사용자체가 제한되는 경우도 있어 일반인들이 쉽고 효과적으로 자신을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핸드백이나 가방 등을 도난당하거나 소매치기 당하는 경우 원거리에서 도주하는 강, 절도범들에게는 적절하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이 한국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4-25831호에 출원한 종래기술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휴대용품으로 오인할 수 있도록 휴대용품과 동일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 일정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외부 일 측면에 구비된 스위치(13)의 조작에 따라 스피커(22)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회로 구성되는 회로기판(21)이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수용된 경보 발생부(20)와; 상기 경보 발생부(20) 일 측에 최루액을 담는 튜브(31)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튜브(31)가 수용된 케이스(10)를 부분 분리한 후 상기 튜브(31)를 가압하여 분사 노즐(33)을 통해 상기 최루액을 수동 분사시키는 최루액 분사부(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는 스위치의 조작으로 경보를 발생함에 따라 외부의 상황을 미리 예측할 수 없는 기술이 미비하여 사용자가 위해자에게 위해를 당하기 전에 예방조치가 아닌 위해가 실시되는 상황에서 최루액과 경보를 작동함에 따라 당황하거나 미쳐 대비를 못하면 위해를 당할 위험성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는 최루액 분사부의 취루액이 충진된 튜브를 케이스를 부분 분리한 후 분사노즐을 통하여 최루액을 분사하는 것으로 위해자가 위해를 가하는 급박한 상황에서 신속하게 케이스를 부분 분리하는 것이 어렵고 시간이 지체되면 위해자에게 공격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증대되어 안전하게 호신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케이스의 내부에 최루액저장부를 형성하고 케이스의 일측 내부에 콘트롤러를 형성하여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사람이 없는 공간에서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를 형성하여 외부의 동작에 따라 콘트롤러의 연산에 의해 근접단계별로 경보음이나 후레쉬로 신호를 보냄으로써, 근접되는 위해인의 위치와 근접거리를 판단하여 미리 대피하거나 최루액분사액을 미리 준비하여 대비하도록 형성하고, 핸드백과 같은 휴대품의 거리 를 측정하는 근접센서를 구비하여 일정거리 이탈되면 신호를 보내어 경보음이나 후레쉬가 작동함으로써, 사람이 없는 장소에서 발생되는 위해인의 접근을 미리 판단하여 대비함에 따라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고, 사람이 많은 장소에서 발생되는 휴대품의 분실 및 도난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인지함에 따라 사건을 미리 대비하고 정확한 상황을 판단하여 행동을 취함으로 사용자의 신변 안전을 보호하는 호신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로 분리되는 케이스를 일반 휴대물품과 유사하게 형성하고, 힌지 결합하여 상하 케이스가 서로 회전되면서 중앙이 열리도록 형성하며, 하부케이스에 최루액이 충진된 튜브의 일부가 노출되어 미끄럼방지홈이 형성되어 손쉽게 분리되도록 누출방지마개를 제거한 상태로 하부케이스 노출측에 형성된 튜브를 손으로 눌러서 바로 최루액이 노즐을 통하여 분사하여 신속하게 위해자를 제압함으로써, 위해자가 최루액의 분사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위협을 신속하게 제압하여 안전성을 증대하도록 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 휴대물품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분되어 힌지구로 결합된 케이스의 상부케이스 전면으로 볼록형태로 외부의 넓은 지역의 감시가 가능한 볼록거울을 형성하고, 볼록거울의 내부에 야간에도 감시가 가능하도록 내부발광체를 형성하여 주간 및 야간에 휴대물품을 파지한 것처럼 다른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도록 주위를 감시하여 위해의 가능성이 있는 사람을 식별하거나 인지하여 위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대비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된 최루액저장부에 최 루액을 충진한 튜브의 상부에 분사노즐부의 노즐구에 형성된 분사구에 고압의 최루액이 분사되도록 공급하는 튜브의 내부에 상부측으로 점차 직경이 줄어들면서 분출되는 속도를 압력으로 변환시키는 병목부를 형성하여 손에 의해 눌려지는 압력을 노즐로 갈수록 더욱 증대시켜 고압으로 최루액을 분무하여 위협을 가하는 위해자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압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사노즐부의 상부에 최루액이 분사되는 노즐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누출방지마개의 외측으로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돌출 성형된 미끄럼방지돌기를 복수로 형성하고, 노즐의 결합부 하측과 누출방지마개의 하부에 실링부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하여 밀봉능력을 향상시키며, 노즐과 누출방지마개에 나사부와 걸림돌기 및 걸림홈을 형성하여 최루액의 누출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견고하게 조립됨과 동시에 사용 시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거하므로써, 휴대 시에 최루액의 누출로 인해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면서 위해자의 접근으로 인해 최루액 분사 시에는 신속하고 간편하게 사용하여 휴대의 안정성과 사용편의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힌지구로 연결되어 상하부로 나누어진 케이스의 하부케이스에 최루액이 충진되어 분사되는 노즐을 상부에 형성한 튜브를 일부가 노출되어 상부케이스를 힌지구를 중심으로 회전한 상태로 하부케이스에 노출된 튜브를 사용자의 손에 압력, 수동으로 펌핑하는 수동펌프 및 전기의 힘으로 압력을 형성하는 전기펌프를 통하여 압력을 가하여 노즐에서 최루액이 분무되는 것으로, 다양한 압력 수단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처의 특성이나 사용자의 기호에 맞도 록 제작이 가능하여 범용성을 확대시키고, 압력수단의 다양화에 따른 튜브의 용량 확대가 가능하여 대용량의 최루액저장부를 휴대하여 위해자에 대한 확실한 제압이 가능하고 일반인의 개인호신용 뿐만 아니라 휴대물품을 가장하여 대용량의 최루액을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범용성을 확대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부의 일측으로 조작스위치부를 형성하여 경보 분사 장치가 가지는 전원, 동작센서, 근접센서, 내부발광체, 라이트 및 경보 등의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원할 때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사람들이 많을 때 동작센서의 작동으로 오신호가 발송되거나, 휴대품이 없는데도 근접센서가 작동하여 오신호를 발송하는 것을 방지하고 라이트나 경보를 제어부의 신호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조작스위치에 녹취스위치를 조작하여 마이크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녹취부에서 녹취하도록 형성하여, 위해자의 위협을 사전에 녹취하여 위해자 제압 후에 발생되는 법적인 문제에 대한 증거자료를 확보함으로써, 위해자에 의해 상황이 오도되는 것을 방지하고 책임의 소재를 확실히 구분하여 제압 후에 발생될 수 있는 과잉제압에 따른 책임의 전가를 사전에 방지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는 전면에 볼록형태의 볼록거울을 형성하고, 볼록거울의 내부에 전면으로 빛이 조사되 는 내부발광체를 형성한 상부케이스와 내부의 공간형태의 수납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형성된 하부케이스를 힌지구로 연결하여 힌지구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하로 분리 및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수납부에 결합되어 상부에 외측으로 체결부를 형성하여 최루액이 공급, 분사되도록 관형태로 최루액입출구를 형성하고, 최루액입출구의 하부에 내측으로 최루액을 수납하여 압력에 의해 분사하도록 튜브를 형성한 최루액저장부와, 상기 최루액저장부의 최루액입출구 외측에 형성된 체결부에 내측에 형성된 노즐체결부로 상부에 복수의 통공형태로 최루액을 분사하도록 분사공을 형성하여 최루액을 분사하도록 체결된 노즐구를 형성하고, 노즐구의 전방에 외측으로 결합부를 형성하며, 복수의 돌기형태의 미끄럼방지돌기가 외측에 구비되어 내부에 마개결합부로 노즐구의 결합부에 결합시켜 최루액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누출방지마개를 형성한 분사노즐부와, 상기 케이스의 수납부 타측으로 콘트롤러를 형성하여 케이스의 일측에 외부의 동작물을 감지하도록 형성된 동작센서와 휴대품이 일정거리를 유지하는지 감지하는 근접센서에서 송신된 신호를 연산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일측으로 콘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경보발생부를 조작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경보를 발생하고,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라이트를 형성하여 제어부에 의해 경보와 빛을 발생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의 측면부에 콘트롤러와 연동하도록 형성하여 전원, 센서, 경보음을 조작하는 조작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최루액저장부의 튜브는 하부케이스의 수납부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하여 힌지구를 중심으로 상부케이스를 분리한 상태로 분사노즐부의 누출방 지마개를 제거하고 노출된 튜브에 압력을 가하여 내부의 최루액을 분사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최루액저장부의 튜브는 내부에 분사되는 분사노즐부로 공급되는 최루액입출구 측으로 직경을 줄이면서 압력을 상승시키도록 형성된 병목부를 형성하여 작은 압력으로 튜브에 압력을 가해도 병목부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높아져 강한 압력으로 최루액을 분사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최루액저장부의 튜브는 하부케이스에 노출된 부분에서 동작되도록 내부에 펌핑 작용을 하는 수동펌프를 형성하여 수동으로 동작시켜 최루액을 분사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최루액저장부의 튜브는 내부와 연동되도록 케이스의 전원부 전원으로 구동하는 전기펌프를 형성하여 인가된 전원으로 튜브 내에 펌프 압력을 공급시켜 최루액을 분사노즐부의 노즐구를 통하여 분사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부는 최루액이 분사되는 노즐구의 결합부에 결합나사부를 형성하고, 누출을 방지하는 누출방지마개의 마개결합부에 마개결합나사를 형성하여 누출방지마개를 노즐구에 나사 결합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부는 최루액이 분사되는 노즐구의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나사부의 끝단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누출을 방지하는 누출방지마개의 마개결합부에 형성된 마개결합나사의 끝단에 마개결합홈을 형성하여 나사 결합되면서 끝 단부에 마개결합홈에 결합돌기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밀봉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부는 최루액이 분사되는 노즐구의 결합부에 일측 하단으로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누출을 방지하는 누출방지마개의 마개결합부에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으로 고정되도록 장홈형태의 마개결합장홈을 형성하여 누출방지마개를 인입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부의 노즐구는 외측의 누출방지마개 결합부분 하부에 밀봉되도록 결합부의 하측에 노즐실링를 형성하고 누출방지마개의 하부에도 마개결합부의 하측으로 마개실링를 형성하여 결합 시에 밀봉되어 누출을 방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동작되어 움직이는 사물이 없는 곳에서 동작센서를 작동하여 감지된 동작물체가 접근하는 거리에 따라 콘트롤러에서 경보와 라이트를 조작시켜 동작물체의 접근도를 감지하도록 형성하고, 사람이 많아서 움직임이 많은 곳에서는 근접센서를 작동하여 휴대품이 일정거리를 벗어나면 콘트롤러에서 표시부의 경보발생부와 라이트를 조작시켜 휴대품의 근접도를 감지하고, 일측으로 마이크를 케이스의 외측으로 형성하고, 콘트롤러에 마이크에서 입력된 음성신호를 녹취하는 녹취부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조작스위치부는 콘트롤러의 일측으로 케이스의 전원부를 조작하는 전원스위치, 제어부의 동작센서를 조작하는 동작센서스위치, 제어부의 근접센서를 조작하는 근접센서스위치, 케이스의 내부발광체를 조작하는 내부발광체스위 치, 표시부의 라이트를 조작하는 라이트스위치, 표시부의 경보발생부를 조작하는 경보스위치 및 제어부의 녹취부를 조작하여 음성신호를 녹취하는 녹취스위치의 온, 오프를 조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의 분사노즐부에 노즐구와 누출방지마개의 나사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주요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의 분사노즐부에 노즐구와 누출방지마개의 나사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주요부분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의 분사노즐부에 실링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주요부분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의 분사노즐부의 노즐구와 누출방지마개의 삽입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주요부분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의 최루액저장부에 튜브의 모터를 구비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100)는 상부케이스(111)와 하부케이스(114)가 힌지구(115)로 결합되어 힌지구(115)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분리, 결합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최루액이 충진되는 최루액저장부(120)와, 상기 최루액저장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최루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부(130)와,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으로 각종 신호를 감지하여 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140)와, 상기 제어부(140)의 신호에 따라 경보와 빛을 표시하는 표시부(150)와, 상기 제어부(140)의 일측으로 각종 기능을 조작하는 조작스위치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전면에 볼록형태의 볼록거울(112)을 형성하고, 볼록거울(112)의 내부에 전면으로 빛이 조사되는 내부발광체(113)를 형성한 상부케이스(111)와 내부의 공간형태의 수납부(116)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7)가 형성된 하부케이스(114)를 힌지구(115)로 연결하여 힌지구(115)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하로 분리 및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최루액저장부(120)는 케이스(110)의 수납부(116)에 결합되어 상부에 외측으로 체결부(124)를 형성하여 최루액이 공급, 분사되도록 관형태로 최루액입출구(123)를 형성하고, 최루액입출구(123)의 하부에 내측으로 최루액을 수납하여 압력에 의해 분사하도록 튜브(121)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최루액저장부(120)의 튜브(121)는 하부케이스(114)의 수납부(116)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하여 힌지구(115)를 중심으로 상부케이스(111)를 분리한 상태로 분사노즐부(130)의 누출방지마개(135)를 제거하고 노출된 튜브(121)에 압력을 가하여 내부의 최루액을 분사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최루액저장부(120)의 튜브(121)는 내부에 분사되는 분사노즐부(130)로 공급되는 최루액입출구(123) 측으로 직경을 줄이면서 압력을 상승시키도록 형성된 병목부(122)를 형성하여 작은 압력으로 튜브(121)에 압력을 가해도 병목부(122)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높아져 강한 압력으로 최루액을 분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최루액저장부(120)의 튜브(121)는 하부케이스(114)에 노출된 부분에서 동작되도록 내부에 펌핑 작용을 하는 수동펌프(125)를 형성하여 수동으로 동작시켜 최루액을 분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최루액저장부(120)의 튜브(121)는 내부와 연동되도록 케이스(110)의 전원부(117) 전원으로 구동하는 전기펌프(126)를 형성하여 인가된 전원으로 튜브 내에 펌프 압력을 공급시켜 최루액을 노즐(123)을 통하여 분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분사노즐부(130)는 최루액저장부(120)의 최루액입출구(123) 외측에 형성된 체결부(124)에 내측에 형성된 노즐체결부(133)로 상부에 복수의 통공형태로 최루액을 분사하도록 분사공(132)을 형성하여 최루액을 분사하도록 체결된 노즐구(131)를 형성하고, 노즐구(131)의 전방에 외측으로 결합부(134)를 형성하며, 복수의 돌기형태의 미끄럼방지돌기(136)가 외측에 구비되어 내부에 마개결합부(137)로 노즐구(131)의 결합부(134)에 결합시켜 최루액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누출방지마개(135)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부(130)는 최루액이 분사되는 노즐구(131)의 결합부(134)에 형성된 결합나사부(134a)의 끝단에 결합돌기(134b)를 형성하고, 누출을 방지하는 누출방지마개(135)의 마개결합부(137)에 형성된 마개결합나사(137a)의 끝단 에 마개결합홈(137b)을 형성하여 나사 결합되면서 끝단부에 마개결합홈(137b)에 결합돌기(134b)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밀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부(130)는 최루액이 분사되는 노즐구(131)의 결합부(134)에 일측 하단으로 결합돌기(134b)를 형성하고, 누출을 방지하는 누출방지마개(135)의 마개결합부(137)에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으로 고정되도록 장홈형태의 마개결합장홈(137c)을 형성하여 누출방지마개(135)를 인입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분사노즐부(130)의 노즐구(131)는 외측의 누출방지마개(135) 결합부분 하부에 밀봉되도록 결합부(134)의 하측에 노즐실링(134c)를 형성하고 누출방지마개(135)의 하부에도 마개결합부(137)의 하측으로 마개실링(137d)를 형성하여 결합 시에 밀봉되어 누출을 방지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케이스(110)의 수납부(116) 타측으로 콘트롤러(141)를 형성하여 케이스(110)의 일측에 외부의 동작물을 감지하도록 형성된 동작센서(142)와 휴대품이 일정거리를 유지하는지 감지하는 근접센서(143)에서 송신된 신호를 연산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40)는 동작되어 움직이는 사물이 없는 곳에서 동작센서(142)를 작동하여 감지된 동작물체가 접근하는 거리에 따라 콘트롤러(141)에서 경보와 라이트를 조작시켜 동작물체의 접근도를 감지하도록 형성하고, 사람이 많아서 움직임이 많은 곳에서는 근접센서(143)를 작동하여 휴대품이 일정거리를 벗어나면 콘트롤러(141)에서 표시부(150)의 경보발생부(151)와 라이트(153)를 조작시켜 휴대품의 근접도를 감지하고, 일측으로 마이크(144)를 케이스의 외측으로 형성하고, 콘트롤러(141)에 마이크(144)에서 입력된 음성신호를 녹취하는 녹취부(145)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부(150)는 제어부(140)의 일측으로 콘트롤러(141)의 신호에 따라 경보발생부(151)를 조작하여 스피커(152)를 통하여 경보를 발생하고, 제어부(140)의 신호에 따라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라이트(153)를 형성하여 제어부(140)에 의해 경보와 빛을 발생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조작스위치부(160)는 제어부(140)의 측면부에 콘트롤러(141)와 연동하도록 형성하여 전원, 센서, 경보음을 조작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조작스위치부(160)는 콘트롤러(141)의 일측으로 케이스(110)의 전원부(117)를 조작하는 전원스위치(161), 제어부(140)의 동작센서(142)를 조작하는 동작센서스위치(162), 제어부(140)의 근접센서(143)를 조작하는 근접센서스위치(163), 케이스(110)의 내부발광체(113)를 조작하는 내부발광체스위치(164), 표시부(150)의 라이트(153)를 조작하는 라이트스위치(165), 표시부(150)의 경보발생부(151)를 조작하는 경보스위치(166) 및 제어부(144)의 녹취부(145)를 조작하여 음성신호를 녹취하는 녹취스위치(167) 의 온, 오프를 조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상적으로 휴대할 수 있는 물품의 형상으로 상부케이스(111)와 하부 케이스(114)를 힌지구(115)로 연결하여 힌지구(115)를 중심으로 상하로 분리결합되도록 형성하고, 상부케이스(111)의 전면으로 외부를 관찰하도록 볼록형상의 볼록거울(112)을 형성하되, 볼록거울(112)의 내부에는 내부발광체(113)를 형성하여 야간에도 조작스위치부(160)의 내부발광체스위치(164)의 조작으로 내부발광체(113)를 점등하여 후면과 측부를 관찰하도록 한다.
여기서, 휴대할 수 있는 물품의 형태는 핸드폰, 오디어플레이어, 카메라, 화장품 및 대용량의 경우에는 가방 등으로 상부와 하부가 나누어지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어느 물품도 가능하다.
이렇게, 상부케이스(111)와 하부케이스(114)를 힌지구(115)로 연결한 상태로 하부케이스(114)의 내부 일측으로 수납되는 공간형태의 수납부(116)를 형성하되, 수납부(116)의 일측을 외부에 개방되도록 형성하고, 수납부(116)의 일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7)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하부케이스(114)의 수납부(116)의 개방 측으로 상부에 최루액을 분사되도록 분사노즐부(130)가 결합되어 최루액이 충진된 최루액저장부(120)의 튜브(121)를 설치하여 개방측으로 노출된 튜브(121)에 압력을 가하면 상부에 형성된 최루액입출구(123)를 거쳐서 노즐체결부(133)로 체결된 노즐구(131)의 분사공(132)을 통하여 최루액이 분사되도록 설치한다.
여기서, 튜브(121)의 내부에 최루액이 분사되는 상부 측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병목부(122)를 형성하여 튜브(121)에 작은 압력을 가하여도 병목부(122)를 통과하면서 강한 압력으로 분사노즐부(130)의 노즐구(131)을 통하여 분사되도록 형성한 다.
또한, 상기 튜브(121)는 하부케이스(114)에 노출된 부분에서 동작되도록 내부에 펌핑 작용을 하는 수동펌프(125)를 형성하여 수동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튜브(121)는 내부와 연동되도록 케이스(110)의 전원부(117) 전원으로 구동하는 전기펌프(126)를 형성하여 인가된 전원으로 튜브 내에 펌프 압력을 공급시켜 최루액을 분사노즐부(130)의 노즐구(131)를 통하여 분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최루액이 분사되는 분사노즐부(130)의 노즐구(131)는 최루액저장부(120)의 체결부(124)와 노즐체결부(133)로 체결 결합하고, 상부에 형성된 관통형상의 복수의 분사공(132)에서 최루액이 분사되도록 형성하고, 최루액을 분사하지 않을 때는 복수의 돌기형태의 미끄럼방지돌기(136)를 외측에 형성한 누출방지마개(135)를 누출을 방지하도록 설치하고, 사용시에 누출방지마개(135)를 제거한 상태로 튜브(121)에 압력을 가하여 분사공에서 최루액을 분사하도록 한다.
이때, 분사노즐부(130)는 최루액이 분사되는 노즐구(131)의 결합부(134)에 결합나사부(134a)를 형성하고, 누출을 방지하는 누출방지마개(135)의 마개결합부(137)에 마개결합나사(137a)를 형성하여 누출방지마개(135)를 노즐구(131)에 나사 결합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분사노즐부(130)는 최루액이 분사되는 노즐구(131)의 결합부(134)에 형성된 결합나사부(134a)의 끝단에 결합돌기(134b)를 형성하고, 누출을 방지하는 누출방지마개(135)의 마개결합부(137)에 형성된 마개결합나사(137a)의 끝단에 마개 결합홈(137b)을 형성하여 나사 결합되면서 끝단부에 마개결합홈(137b)에 결합돌기(134b)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밀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분사노즐부(130)는 최루액이 분사되는 노즐구(131)의 결합부(134)에 일측 하단으로 결합돌기(134b)를 형성하고, 누출을 방지하는 누출방지마개(135)의 마개결합부(137)에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으로 고정되도록 장홈형태의 마개결합장홈(137c)을 형성하여 누출방지마개(135)를 인입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고정할 수도 있다.
아울러, 분사노즐부(130)의 노즐구(131)는 외측의 누출방지마개(135) 결합부분 하부에 밀봉되도록 결합부(134)의 하측에 노즐실링(134c)를 형성하고 누출방지마개(135)의 하부에도 마개결합부(137)의 하측으로 마개실링(137d)를 형성하여 결합 시에 밀봉되어 누출을 방지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하부케이스(114)에 최루액저장부(120)를 설치한 상태로 수납부(116)의 타측으로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센서(142)와 근접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근접센서(143)의 신호를 수신하여 연산에 의해 표시부(15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140)의 콘트롤러(141)를 설치한다.
이렇게, 수납부(116)에 콘트롤러(141)를 설치한 상태에서 측면으로 하부케이스(114)의 측부에 돌출되어 조작되는 조작스위치부(160)는 전원부(117)를 조작하는 전원스위치(161), 제어부(140)의 동작센서(142)를 조작하는 동작센서스위치(162), 제어부(140)의 근접센서(143)를 조작하는 근접센서스위치(163), 케이스(110)의 내부발광체(113)를 조작하는 내부발광체스위치(164), 표시부(150)의 라이트(153)를 조작하는 라이트스위치(165), 표시부(150)의 경보발생부(151)를 조작하는 경보스위치(166) 및 제어부(140)의 녹취부(145)를 조작하여 음성신호를 녹취하는 녹취스위치(167)의 온, 오프를 조작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경보 분사 장치(100)는 사람이 많은 장소에서 사용할 때에는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센서(142)를 조작스위치부(160)의 동작센서스위치(162)로 오프하여 오동작을 방지한 상태로 휴대품에 이탈을 방지하도록 근접센서(143)를 근접센서스위치(163)를 온한 상태로 일정한 거리 이상 휴대품이 이탈하면 콘트롤러(141)에서 반응하여 표시부(150)의 라이트(153)와 경보발생부(151)에서 이동거리에 따라 다른 신호를 발생시켜 휴대품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사람이 밀집한 곳이나 스스로 주위를 살피고 싶을 때에는 상부케이스(111) 전면에 형성된 볼록거울(112)로 휴대물품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를 휴대물품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처럼 주위를 환기시킨 상태로 주위를 살피도록 하고, 야간에는 내부에 형성된 내부발광체(113)를 내부발광체스위치(164)의 조작에 의해 점등하여 내부발광체(113)의 빛으로 외부를 관찰하도록 한다.
이렇게, 주위를 관찰하고 휴대품 도난 등과 같은 위해자의 위해가 발생하면근접센서에서 표시부(150)의 라이트(153)와 경보발생부(151)에서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라이트스위치(165)와 경보스위치(166)를 사용자가 작동하여 경보와 라이트(153)를 발생시키면서, 힌지구(115)를 중심으로 상부케이스(111)를 회전한 상태로 하부케이스(114)를 분리시키고, 분사노즐부(130)의 누출방지마개(135)를 제거하여 위해자가 있는 위치로 노즐구(121)의 방향을 위치한 상태에서 하부케이스(114)의 전면에 형성된 수납부(116) 개방 측의 노출된 최루액저장부(120)의 튜브(121)에 압력을 가하면 병목부(122)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증대된 최루액이 위해자를 향해서 발사하여 표시부(150)로 외부에 인지하도록 하면서 위해자를 제압하여 안전을 확보하도록 한다.
이때, 조작스위치부(160)의 녹취스위치(167)를 조작하여 위해자의 위해 상황을 마이크(144)를 통하여 제어부(140)의 녹취부(145)에서 녹취하여 증거로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람이 적어 동작되는 물체가 없는 지역에서는 주위에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센서(142)를 동작센서스위치(162)로 온 시킨 상태로 일정 지역의 동작물이 발생하면 감지하여 표시부(150)로 접근되는 거리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여 접근여부를 미리 인지하도록 한 상태로 위해자나 위해 물체가 접근하면 경보발생, 라이트 점등 및 최루액 분사와 같은 제압행위를 하거나, 외부에 연락하여 도움을 요청하도록 하여 위험에 빠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는 케이스의 내부에 최루액저장부를 형성하고 케이스의 일측 내부에 콘트롤러를 형성하여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사람이 없는 공간에서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를 형성하여 외부의 동작에 따라 콘트롤러의 연산에 의해 근접단계별로 경보음이나 후레쉬로 신호를 보냄으로써, 근접되는 위해인의 위치와 근접거리를 판단하여 미리 대피하거나 최루 액분사액을 미리 준비하여 대비하도록 형성하고, 핸드백과 같은 휴대품의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센서를 구비하여 일정거리 이탈되면 신호를 보내어 경보음이나 후레쉬가 작동함으로써, 사람이 없는 장소에서 발생되는 위해인의 접근을 미리 판단하여 대비함에 따라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고, 사람이 많은 장소에서 발생되는 휴대품의 분실 및 도난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인지함에 따라 사건을 미리 대비하고 정확한 상황을 판단하여 행동을 취함으로 사용자의 신변 안전을 보호하는 호신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는 상하로 분리되는 케이스를 일반 휴대물품과 유사하게 형성하고, 힌지 결합하여 상하 케이스가 서로 회전되면서 중앙이 열리도록 형성하며, 하부케이스에 최루액이 충진된 튜브의 일부가 노출되어 미끄럼방지홈이 형성되어 손쉽게 분리되도록 누출방지마개를 제거한 상태로 하부케이스 노출측에 형성된 튜브를 손으로 눌러서 바로 최루액이 노즐을 통하여 분사하여 신속하게 위해자를 제압함으로써, 위해자가 최루액의 분사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위협을 신속하게 제압하여 안전성을 증대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는 일반 휴대물품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분되어 힌지구로 결합된 케이스의 상부케이스 전면으로 볼록형태로 외부의 넓은 지역의 감시가 가능한 볼록거울을 형성하고, 볼록거울의 내부에 야간에도 감시가 가능하도록 내부발광체를 형성하여 주간 및 야간에 휴대물품을 파지한 것처럼 다른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도록 주위를 감시하여 위해의 가능성이 있는 사람을 식별하거나 인지하여 위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대비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는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된 최루액저장부에 최루액을 충진한 튜브의 상부에 분사노즐부의 노즐구에 형성된 분사구에 고압의 최루액이 분사되도록 공급하는 튜브의 내부에 상부측으로 점차 직경이 줄어들면서 분출되는 속도를 압력으로 변환시키는 병목부를 형성하여 손에 의해 눌려지는 압력을 노즐로 갈수록 더욱 증대시켜 고압으로 최루액을 분무하여 위협을 가하는 위해자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압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는 분사노즐부의 상부에 최루액이 분사되는 노즐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누출방지마개의 외측으로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돌출 성형된 미끄럼방지돌기를 복수로 형성하고, 노즐의 결합부 하측과 누출방지마개의 하부에 실링부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하여 밀봉능력을 향상시키며, 노즐과 누출방지마개에 나사부와 걸림돌기 및 걸림홈을 형성하여 최루액의 누출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견고하게 조립됨과 동시에 사용 시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거하므로써, 휴대 시에 최루액의 누출로 인해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면서 위해자의 접근으로 인해 최루액 분사 시에는 신속하고 간편하게 사용하여 휴대의 안정성과 사용편의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는 힌지구로 연결되어 상하부로 나누어진 케이스의 하부케이스에 최루액이 충진되어 분사되는 노즐을 상부에 형성한 튜브를 일부가 노출되어 상부케이스를 힌지구를 중심으로 회전한 상태로 하부케이스에 노출된 튜브를 사용자의 손에 압력, 수동으로 펌핑하는 수동펌프 및 전기의 힘 으로 압력을 형성하는 전기펌프를 통하여 압력을 가하여 노즐에서 최루액이 분무되는 것으로, 다양한 압력 수단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처의 특성이나 사용자의 기호에 맞도록 제작이 가능하여 범용성을 확대시키고, 압력수단의 다양화에 따른 튜브의 용량 확대가 가능하여 대용량의 최루액저장부를 휴대하여 위해자에 대한 확실한 제압이 가능하고 일반인의 개인호신용 뿐만 아니라 휴대물품을 가장하여 대용량의 최루액을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범용성을 확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는 제어부의 일측으로 조작스위치부를 형성하여 경보 분사 장치가 가지는 전원, 동작센서, 근접센서, 내부발광체, 라이트 및 경보 등의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원할 때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사람들이 많을 때 동작센서의 작동으로 오신호가 발송되거나, 휴대품이 없는데도 근접센서가 작동하여 오신호를 발송하는 것을 방지하고 라이트나 경보를 제어부의 신호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는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조작스위치에 녹취스위치를 조작하여 마이크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녹취부에서 녹취하도록 형성하여, 위해자의 위협을 사전에 녹취하여 위해자 제압 후에 발생되는 법적인 문제에 대한 증거자료를 확보함으로써, 위해자에 의해 상황이 오도되는 것을 방지하고 책임의 소재를 확실히 구분하여 제압 후에 발생될 수 있는 과잉제압에 따른 책임의 전가를 사전에 방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1)

  1. 전면에 볼록형태의 볼록거울(112)을 형성하고, 볼록거울(112)의 내부에 전면으로 빛이 조사되는 내부발광체(113)를 형성한 상부케이스(111)와 내부의 공간형태의 수납부(116)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7)가 형성된 하부케이스(114)를 힌지구(115)로 연결하여 힌지구(115)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하로 분리 및 결합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수납부(116)에 결합되어 상부에 외측으로 체결부(124)를 형성하여 최루액이 공급, 분사되도록 관형태로 최루액입출구(123)를 형성하고, 최루액입출구(123)의 하부에 내측으로 최루액을 수납하여 압력에 의해 분사하도록 튜브(121)를 형성한 최루액저장부(120)와,
    상기 최루액저장부(120)의 최루액입출구(123) 외측에 형성된 체결부(124)에 내측에 형성된 노즐체결부(133)로 상부에 복수의 통공형태로 최루액을 분사하도록 분사공(132)을 형성하여 최루액을 분사하도록 체결된 노즐구(131)를 형성하고, 노즐구(131)의 전방에 외측으로 결합부(134)를 형성하며, 복수의 돌기형태의 미끄럼방지돌기(136)가 외측에 구비되어 내부에 마개결합부(137)로 노즐구(131)의 결합부(134)에 결합시켜 최루액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누출방지마개(135)를 형성한 분사노즐부(130)와,
    상기 케이스(110)의 수납부(116) 타측으로 콘트롤러(141)를 형성하여 케이스(110)의 일측에 외부의 동작물을 감지하도록 형성된 동작센서(142)와 휴대품이 일 정거리를 유지하는지 감지하는 근접센서(143)에서 송신된 신호를 연산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140)와,
    상기 제어부(140)의 일측으로 콘트롤러(141)의 신호에 따라 경보발생부(151)를 조작하여 스피커(152)를 통하여 경보를 발생하고, 제어부(140)의 신호에 따라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라이트(153)를 형성하여 제어부(140)에 의해 경보와 빛을 발생하는 표시부(150)와,
    상기 제어부(140)의 측면부에 콘트롤러(141)와 연동하도록 형성하여 전원, 센서, 경보음을 조작하는 조작스위치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루액저장부(120)의 튜브(121)는 하부케이스(114)의 수납부(116)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하여 힌지구(115)를 중심으로 상부케이스(111)를 분리한 상태로 분사노즐부(130)의 누출방지마개(135)를 제거하고 노출된 튜브(121)에 압력을 가하여 내부의 최루액을 분사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루액저장부(120)의 튜브(121)는 내부에 분사되는 분사노즐부(130)로 공급되는 최루액입출구(123) 측으로 직경을 줄이면서 압력을 상승시키도록 형성된 병목부(122)를 형성하여 작은 압력으로 튜브(121)에 압력을 가해도 병목부(122)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높아져 강한 압력으로 최루액을 분사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루액저장부(120)의 튜브(121)는 하부케이스(114)에 노출된 부분에서 동작되도록 내부에 펌핑 작용을 하는 수동펌프(125)를 형성하여 수동으로 동작시켜 최루액을 분사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루액저장부(120)의 튜브(121)는 내부와 연동되도록 케이스(110)의 전원부(117) 전원으로 구동하는 전기펌프(126)를 형성하여 인가된 전원으로 튜브 내에 펌프 압력을 공급시켜 최루액을 분사노즐부(130)의 노즐구(131)를 통하여 분사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부(130)는 최루액이 분사되는 노즐구(131)의 결합부(134)에 결합나사부(134a)를 형성하고, 누출을 방지하는 누출방지마개(135)의 마개결합부(137)에 마개결합나사(137a)를 형성하여 누출방지마개(135)를 노즐구(131)에 나사 결합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경보 분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부(130)는 최루액이 분사되는 노즐구(131)의 결합부(134)에 형성된 결합나사부(134a)의 끝단에 결합돌기(134b)를 형성하고, 누출을 방지하는 누출방지마개(135)의 마개결합부(137)에 형성된 마개결합나사(137a)의 끝단에 마개결합홈(137b)을 형성하여 나사 결합되면서 끝단부에 마개결합홈(137b)에 결합돌기(134b)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밀봉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부(130)는 최루액이 분사되는 노즐구(131)의 결합부(134)에 일측 하단으로 결합돌기(134b)를 형성하고, 누출을 방지하는 누출방지마개(135)의 마개결합부(137)에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으로 고정되도록 장홈형태의 마개결합장홈 (137c)을 형성하여 누출방지마개(135)를 인입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부(130)의 노즐구(131)는 외측의 누출방지마개(135) 결합부분 하부에 밀봉되도록 결합부(134)의 하측에 노즐실링(134c)를 형성하고 누출방지마개(135)의 하부에도 마개결합부(137)의 하측으로 마개실링(137d)를 형성하여 결합 시에 밀봉되어 누출을 방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동작되어 움직이는 사물이 없는 곳에서 동작센서(142)를 작동하여 감지된 동작물체가 접근하는 거리에 따라 콘트롤러(141)에서 경보와 라이트를 조작시켜 동작물체의 접근도를 감지하도록 형성하고, 사람이 많아서 움직임이 많은 곳에서는 근접센서(143)를 작동하여 휴대품이 일정거리를 벗어나면 콘트롤러(141)에서 표시부(150)의 경보발생부(151)와 라이트(153)를 조작시켜 휴대품의 근접도를 감지하고, 일측으로 마이크(144)를 케이스의 외측으로 형성하고, 콘트롤러(141)에 마이크(144)에서 입력된 음성신호를 녹취하는 녹취부(145)를 형성하여 구 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스위치부(160)는 콘트롤러(141)의 일측으로 케이스(110)의 전원부(117)를 조작하는 전원스위치(161), 제어부(140)의 동작센서(142)를 조작하는 동작센서스위치(162), 제어부(140)의 근접센서(143)를 조작하는 근접센서스위치(163), 케이스(110)의 내부발광체(113)를 조작하는 내부발광체스위치(164), 표시부(150)의 라이트(153)를 조작하는 라이트스위치(165), 표시부(150)의 경보발생부(151)를 조작하는 경보스위치(166) 및 제어부(140)의 녹취부(145)를 조작하여 음성신호를 녹취하는 녹취스위치(167)의 온, 오프를 조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KR1020050041553A 2005-05-18 2005-05-18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KR100780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553A KR100780790B1 (ko) 2005-05-18 2005-05-18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553A KR100780790B1 (ko) 2005-05-18 2005-05-18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019U Division KR200391532Y1 (ko) 2005-05-18 2005-05-18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033A true KR20060119033A (ko) 2006-11-24
KR100780790B1 KR100780790B1 (ko) 2007-11-29

Family

ID=37705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553A KR100780790B1 (ko) 2005-05-18 2005-05-18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07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3824A2 (ko) * 2008-01-21 2009-07-30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
WO2011126298A2 (ko) * 2010-04-06 2011-10-13 Kim Jong-Ki 복합 안전 장치
KR200468986Y1 (ko) * 2013-02-18 2013-09-12 주식회사 아이펙스 호신용 최루액 분사기
US10634460B1 (en) * 2018-07-24 2020-04-28 Yawar Sheikh Self defense phone case and method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0086A (en) * 1993-05-27 1994-05-10 Helmut Julinot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isarming self defense spray device
US5796330A (en) * 1994-10-04 1998-08-18 Vinette; Richard H. Security system
US5629679A (en) * 1994-12-15 1997-05-13 Cranford; Richard Personal security device
KR100204826B1 (ko) * 1997-03-10 1999-06-15 윤종용 다기능 호신기
KR200156572Y1 (ko) * 1997-05-09 1999-09-01 신석균 여성용 다목적간이 호신용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3824A2 (ko) * 2008-01-21 2009-07-30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
WO2009093824A3 (ko) * 2008-01-21 2009-09-17 An Duk Sang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
WO2011126298A2 (ko) * 2010-04-06 2011-10-13 Kim Jong-Ki 복합 안전 장치
WO2011126298A3 (ko) * 2010-04-06 2012-03-29 Kim Jong-Ki 복합 안전 장치
CN103096982A (zh) * 2010-04-06 2013-05-08 金钟基 组合安全设备
KR200468986Y1 (ko) * 2013-02-18 2013-09-12 주식회사 아이펙스 호신용 최루액 분사기
US10634460B1 (en) * 2018-07-24 2020-04-28 Yawar Sheikh Self defense phone case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0790B1 (ko) 200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60535B (zh) 灭火气体喷射器
KR20060119033A (ko)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TW200808401A (en) Jetting apparatus of fire extinguishing gas
KR101029554B1 (ko)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시스템
KR101726617B1 (ko) 휴대용 자동 소화기
CN105380419B (zh) 存放珍贵档案的智能化档案柜
KR100748612B1 (ko)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KR101062598B1 (ko) 와이어 자물쇠
JP2006333892A (ja) 消火ガス噴射器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91532Y1 (ko)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KR20090012111U (ko)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KR20180027734A (ko) 화재 경보 전파 기능이 구비된 소화기
JP2016050703A (ja) 護身ユニット及び護身ユニットを備えた携帯電話端末
CN107158635A (zh) 一种智能消防灭火系统
KR101062186B1 (ko) 호신용 경보분사장치
KR101550134B1 (ko) 호신용 스프레이가 구비된 도난방지 가방용 리모컨
KR102001383B1 (ko) 이상압력 경보장치를 포함하는 소화기
KR200370506Y1 (ko)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KR20170095427A (ko)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CN110167293A (zh) 一种户外多功能保护柜
KR101537382B1 (ko) 호신용 호루라기
CN216668429U (zh) 一种二元手持式催泪器
CN220398371U (zh) 一种具有警报功能的喷雾器
KR20110042783A (ko) 가스총 기능을 갖는 호신용 경보기
CN108714283A (zh) 一种基于NB-IoT的智能消防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