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913B1 - 인지기능 장애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지기능 장애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913B1
KR102461913B1 KR1020220011960A KR20220011960A KR102461913B1 KR 102461913 B1 KR102461913 B1 KR 102461913B1 KR 1020220011960 A KR1020220011960 A KR 1020220011960A KR 20220011960 A KR20220011960 A KR 20220011960A KR 102461913 B1 KR102461913 B1 KR 102461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composition
leaf extract
brown
l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9730A (ko
Inventor
임순호
Original Assignee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11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913B1/ko
Publication of KR20220019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Neuro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Neur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지기능 장애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갈화잎 추출물과 비파잎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통해 신경세포 보호를 보호하여 치매의 예방 및 인지기능의 개선할 수 있는 인지기능 장애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지기능 장애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cognitive dysfunction and degenerative brain disease}
본 발명은 인지기능 장애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갈화잎 추출물과 비파잎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통해 신경세포 보호를 보호하여 치매의 예방 및 인지기능의 개선할 수 있는 인지기능 장애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노령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노화로 인한 치매 또는 인지기능 문제의 발생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 질환은 현재 뚜렷한 치료제나 예방제가 없이 막대한 사회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키고 있다.
치매 또는 인지기능 문제는 뇌세포의 파괴에 의한 것으로, 노화와 더불어 베타아밀로이드(Ab1-42)의 뇌내 축적과 그로인한 신경독성이 발병으로 신경세포의 활성 저하 및 사멸이 매우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신경세포는 보통 세포고사(Apoptosis), 흥분성 신경독성(Excitotoxicity), 및 활성산소(Free radical)에 의한 산화적 독성(Oxidative stress) 등에 의하여 사멸하게 된다. 노화 및 노화와 관련된 퇴행성 뇌질환 등에서는 이런 세포사멸의 원인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치매의 예방 및 인지기능의 개선을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신경세포의 사멸을 방지하는 기술에 대한 실험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러한 실험에서는 뇌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기전에서 주요한 인자 및 효소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비파잎은 베타 아밀로이드에 의한 뇌세포 독성으로부터 뛰어난 보호효과 및 항산화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갈화 추출물은 신경세포에서 항산화 효능이 우수하여 신경세포의 고사를 억제하는 것에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신경세포를 독성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비파잎과 갈화잎을 이용한 신경세포 보호 조성물에 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77522호: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52995호: 뇌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갈화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갈화잎 추출물과 비파잎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통해 신경세포를 보호하여 인지능력 문제, 치매, 자폐 및 퇴행성 뇌질환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 장애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갈화잎 추출물과 비파잎 추출물이 1:1 중량비율로 혼합되며, 상기 갈화잎 추출물은 갈화잎과 정제수를 포함한 물, C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진공저온 농축기에 넣어 기 설정된 추출온도와 작업시간동안 추출하되, 상기 추출온도는 90℃이고, 상기 작업시간 4시간동안 진공 저온추출하며, 상기 비파잎 추출물은 봄철에 채취된 비파나무의 어린 잎을 열수추출하되, 상기 열수추출은 추출온도 60 내지 80℃에서 추출시간 1 내지 3시간동안 추출한다.
상기 C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은 80% 농도의 에탄올이다.
본 발명은 갈화잎 추출물과 비파잎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통해 신경세포를 독성으로부터 보호하여 인지능력 문제, 치매, 자폐 및 퇴행성 뇌질환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마우스에 경구투여 전과 후 사료섭취량과 음수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마우스에 경구투여 전과 후의 배설량과 몸무게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기 기억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조성물을 경구투여한 마우스의 이동동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기 기억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조성물을 경구투여한 마우스의 플랫폼에 도착한 시간의 평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기 기억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조성물을 경구투여한 마우스의 타켓사분면에 위치한 정도를 백분율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장기 기억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조성물을 경구투여한 마우스의 이동동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장기 기억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조성물을 경구투여한 마우스의 플랫폼에 도착한 시간의 평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장기 기억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조성물을 경구투여한 마우스의 타켓사분면에 위치한 정도를 백분율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 장애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 장애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갈화잎 추출물과 비파잎 추출물을 혼합한 조성물이다.
여기서, 갈화는 칡의 꽃봉우리에 가르키는 것으로 각지의 산에서 널리 자라고, 늦여름이나 초가을 꽃이 피기 시작할 때 뜯어서 햇볕에 말린다. 갈화의 맛은 달고 성질은 서늘하며, 위경(胃經)에 작용한다. 갈화의 효능은 알콜 중독증을 없애고 갈증을 가시게 하며 비위(脾胃)를 튼튼하게 알려져 있으며, 최근 연구에서 신경세포의 항산화 효능이 우수하며, 신경세포의 고사를 억제하는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비파(Eriobotrya japonica Lindl)는 장미과(Rosaceae)의 잎으로 긴 원형의 도란형으로 황갈색의 섬모가 덮여있고 광택이 나는 것으로, 중국, 스페인, 일본 등 광범위하게 자란다. 이러한 비파는 우리나라의 제주도, 경남 및 전남과 같이 온화한 기후조건에 주로 자생한다.
민간요법에서 비파의 과실이나 잎은 진해, 거담, 구토, 토혈, 이뇨 등에 효과가 있으며 호흡 진정과 갈증 해소에도 효능이 있다. 비파에는 다양한 ursolic acid, oleanolic acid 등과 같은 terpenoid계열 화합물과 quercetin 등과 같은 플라보노이드 계열 화합물 등의 생리활성 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항염증, 항암 활성 등이 연구되었다. 특히 비파 잎에는 ellagic acid, chlorogenic acid 외에도 ursolic acid, neochlorogenic acid, kaempferol등의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물질들이 있다.
상기 갈화잎 추출물과 비파잎 추출물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갈화잎 추출물은 갈화잎에 알코올을 이용하여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알코올은 80% 농도의 에탄올을 이용한다.
또한, 상기 갈화잎 추출물은 갈화잎에 상기 정제수를 포함한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추출온도에서 기설정된 작업시간동안 진공저온 농축기(COSMOS660-50L, Kyungseo Machines Co, Incheon, Korea)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추출온도는 90℃이고, 상기 작업시간은 4시간이 적용된다. 즉, 갈화잎에 80% 농도의 에탄올이나 상기 정제수를 포함한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90℃에서 4시간동안 초고속 진공저온 농축기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상기 비파잎 추출물은 열수추출한다. 이때, 열수추출은 60 내지 80℃에서 1 시간 내지 3시간동안 열수추출한다. 상기 비파잎은 비파나무의 잎으로서, 봄철 즉 3월 또는 4월에 채취된 어린잎이나 6월 또는 7월에 수확된 잎이 사용된다.
퇴행성 뇌질환은 보통 뇌의 퇴행으로 뇌가 점점 늙어서 퇴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질환을 말하며, 나이가 많을수록 잘 발생한다. 특히, 치매,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및 루게릭병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퇴행성 뇌질환들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좁아져서 피가 잘 통하지 않게 되었을때 뇌가 파괴되어 죽는 현상인 뇌경색을 동반한다. 이 질환들은 사망한 환자들의 뇌를 관찰했을 때 공통적으로 대규모의 뇌신경 사멸, 즉, 죽어 없어진 뇌의 모습들이 관찰되었다.
인간의 뇌는 극히 일부를 제외한 거의 대다수의 신경세포가 한번 만들어진 상태 그대로 평생을 활동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이 신경세포들을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사멸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보통 이 신경세포들은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로 인한 사멸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는 체내 활성 산소종(ROS)이 많이 생성되거나 항산화 시스템의 기능이 저하되면서 체내 산화계와 항산화계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알려져 있다.
때문에,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인 인지기능 장애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갈화잎 추출물과 비파잎 추출물이 각각 항산화 효과 및 뇌세포에 대한 보호 활성이 뛰어나 세포사멸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서, 혼합된 조성물을 통해 신경세포 보호를 보호하여 치매의 예방 및 인지기능의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인지기능 장애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원료준비단계(S100)와 추출물 제조단계(S200)를 포함한다.
상기 원료준비단계(S100)는 갈화잎과 비파잎을 가공하여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잎세척단계(S110)와 분쇄단계(S120)를 포함한다.
상기 잎세척단계(S110)는 갈화잎과 비파잎을 세척하는 단계이다. 상기 비파잎은 비파나무의 잎으로서, 봄철 즉 3월 또는 4월에 채취된 어린잎이나 6월 또는 7월에 수확된 잎이 사용된다.
상기 잎세척단계(S110)에서는 신선한 갈화잎과 비파잎을 세척한 후, 드라이 오븐(dry oven)을 이용하여 80℃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하여 건조시킨다. 또한 상기 잎세척단계(S110)에서는 신선한 갈화잎과 비파잎을 세척한 후, 자연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분쇄단계(S120)는 상기 잎세척단계(S110) 이후에 상기 갈화잎과 비파잎을 소정크기로 분쇄하여 상기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분쇄단계(S120)에서는 상기 가열 건조된 갈화잎과 비파잎은 직경 1cm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여 원료를 제조한다.
상기 추출물 제조단계(S200)는 추출단계(S210), 혼합단계(S220) 및 건조단계(S230)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단계(S210)에서는 상기 가열 건조된 갈화잎에 상기 정제수를 포함한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추출온도에서 기설정된 제1 작업시간동안 진공저온 농축기(COSMOS660-50L, Kyungseo Machines Co, Incheon, Korea)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추출온도는 90℃이고, 상기 작업시간은 4시간이 적용된다. 즉, 갈화잎에 80% 농도의 에탄올에, 90℃에서 4시간동안 초고속 진공저온 농축기를 이용하여 갈화잎 추출물을 추출한다.
또한, 상기 추출단계(S210)에서는 갈화잎에 알코올을 이용하여 갈화잎 추출물을 추출하며, 상기 알코올은 80%농도의 에탄올을 이용한다. 상기 추출단계(S210)에서는 상기 비파잎을 열수추출하여 비파잎 추출물이 제조된다. 이때, 열수추출은 60 내지 80℃에서 1시간 내지 3시간동안 열수추출한다.
상기 건조단계(S230)는 상기 추출단계(S210)에서 추출된 갈화잎 추출물과 비파잎 추출물을 기설정된 냉동온도에서 기설정된 제2 작업시간동안 냉동시킨후 동결 건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냉동온도는 -70℃이고, 상기 제2 작업시간은 24시간이 적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 장애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갈화잎 추출물과 비파잎 추출물이 혼합된 조성물이 제조되어 신경세포 보호를 보호하여 치매의 예방 및 인지기능의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 장애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갈화잎 추출물과 비파잎 추출물을 혼합한 조성물을 경구투여한 마우스(EJ-L DW)이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비파잎을 열수추출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마우스(EJ-L)이다.
<비교예 2> 비교예 2는 갈화를 에탄올 추출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마우스(PF-M)이다.
<비교예 3> 비교예 3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동물실험용 식수(Negative control)를 경구투여한 마우스(CON)이다.
<비교예 4> 비교예 4는 스코폴라민(SCOP)을 복강주사한 마우스(SCOP)이다.
행동실험
- Morris Water Maze
Morris Water Maze는 마우스들에게 platform위치를 5일간 반복학습시킨 후, Test에서는 platform을 제거하고 마우스들이 platform의 위치를 기억하는지에 따라 공간기억력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증명된 실험방법이다.
Figure 112022010419733-pat00001
- 실험동물
실험동물은 체중이 평균 25g의 수컷 마우스 BL6 18마리를 사용하고, 1케이지 당 3 ~ 4마리씩 사육하였다. 실험기간동안 온도를 24± 2℃와 일정시간 이외에는 암실을 유지하였으며 사료와 물은 자율적으로 섭취할 수 있게 공급하였다.
- 무게 측정
무게측정은 투여하는 약물에 따른 신체적인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저울을 이용하여 오전 10시경에 규칙적으로 측정하였으며, 실험동물의 몸무게, 24시간 동안의 물과 사료의 섭취량 및 배설량을 조사했다. 또한 무게측정은 소음이 적은곳에서 실험동물이 스트레스에 최대한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며 진행하였다.
<실험예 1> 경구투여에 의한 실험동물의 신체적 변화
도 2를 참조하면, 경구투여에 의한 마우스들의 신체적 변화는 추출물을 경구투여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사료섭취량, 음수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사료 섭취량과 음수량의 그래프의 변화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중 실시예의 그래프가 큰 폭으로 변화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추출물을 경구투여함에 따라서 전체적으로 배설량, 몸무게의 변화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배설량, 몸무게의 변화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중 실시예의 그래프가 큰폭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 3과 비교예 4의 그래프는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비교하여 그래프의 변화량이 없다.
<실험예 2> 경구투여에 따른 단기기억력의 변화
도 4를 참조하면, 마우스의 이동동선을 확인하였을때 비교예 3과 비교예 4는 platform의 위치를 수많은 방향전환끝에 찾았다. 반면에,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짧은 동선내에 platform을 찾았다. 또한 동선의 길이와 시간이 현저하게 차이났다.
도 5를 참조하면, 비교예 3과 비교예 4는 최초로 platform에 도착한 시간의 평균(Latency 1st Entrance)이 각각 평균 7.5초, 22초가 걸린 반면,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평균 6.3초가 걸린 것으로 측정됐다.
도 6을 참조하면, 마우스의 전체이동동선중에 Target사분면에 위치한 정도를 백분율로 나타낸 그래프로서, Target분면에 존재했던 Platfrom의 위치를 정확히 기억하는 마우스들일수록 물에서 탈출하기 위해 Target분면에서 탐색하는 시간이 많아지는 특징을 갖는다.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비교예 3과 비교에 4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비교예 4는 25%이지만 실시예와 비교예 2는 각각 38%, 41% 동안 Target분면에서 탐색을 하였다.
<실험예 3> 경구투여에 따른 장기 기억력의 변화
도 7을 참조하면, 마우스의 이동동선을 확인하였을 때 장기기억력 또한 비교예 3 및 비교예 4는 platform의 위치를 수많은 방향전환끝에 찾았다. 반면에,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한두번의 방향전환 후 곧바로 platform을 찾았다. 동선의 길이와 시간 또한 현저하게 차이났다.
도 8을 참조하면, 비교예 3과 비교예 4는 최초로 platform에 도착한 시간의 평균(Latency 1st Entrance)이 각각 평균 11초, 16초가 걸린 반면, 실시예와 비교예 2는 각각 평균 2초, 8초가 걸린 것으로 측정됐다.
도 9를 참조하면, 마우스의 전체 이동동선 중에 Target사분면에 위치한 정도를 백분율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Target분면에 존재했던 Platfrom의 위치를 정확히 기억하는 마우스들은 물에서 탈출하기 위해 Target분면에서 탐색하는 시간이 많아지는 특징을 갖는다.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단기 기억력뿐만이 아니라 장기 기억력측정에서도 비교예 3 및 4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비교예 4는 20.9%이지만 실시예와 비교예 2는 각각 38.4%, 33.7% 동안 Target분면에서 탐색을 하였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0: 원료준비단계 S110: 잎세척단계
S120: 분쇄단계 S200: 추출물 제조단계
S210: 추출단계 S220: 혼합단계
S230: 건조단계

Claims (2)

  1. 갈화잎 추출물과 비파잎 추출물이 1:1 중량비율로 혼합되며,
    상기 갈화잎 추출물은 갈화잎과 정제수를 포함한 물, C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진공저온 농축기에 넣어 기 설정된 추출온도와 작업시간동안 추출하되,
    상기 추출온도는 90℃이고,
    상기 추출용매는 80% 농도의 에탄올이며,
    상기 작업시간 4시간동안 진공 저온추출하며,
    상기 비파잎 추출물은 봄철에 채취된 비파나무의 어린 잎 또는 6월에 수확된 잎을 열수추출하되,
    상기 열수추출은 추출온도 60 내지 80℃에서 추출시간 1 내지 3시간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장애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2. 삭제
KR1020220011960A 2020-03-03 2022-01-27 인지기능 장애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461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960A KR102461913B1 (ko) 2020-03-03 2022-01-27 인지기능 장애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629A KR20210111549A (ko) 2020-03-03 2020-03-03 인지기능 장애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220011960A KR102461913B1 (ko) 2020-03-03 2022-01-27 인지기능 장애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629A Division KR20210111549A (ko) 2020-03-03 2020-03-03 인지기능 장애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730A KR20220019730A (ko) 2022-02-17
KR102461913B1 true KR102461913B1 (ko) 2022-10-31

Family

ID=777968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629A KR20210111549A (ko) 2020-03-03 2020-03-03 인지기능 장애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220011960A KR102461913B1 (ko) 2020-03-03 2022-01-27 인지기능 장애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629A KR20210111549A (ko) 2020-03-03 2020-03-03 인지기능 장애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1115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6284A (ko) 2022-07-06 2024-01-15 한국식품연구원 비파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06283A (ko) 2022-07-06 2024-01-15 한국식품연구원 비파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50887A (ko) 2022-10-12 2024-04-19 한국식품연구원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 증상, 스트레스 또는 인지기능 장애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50888A (ko) 2022-10-12 2024-04-19 한국식품연구원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 증상, 스트레스 또는 인지기능 장애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995B1 (ko) * 2003-04-17 2006-02-16 롯데제과주식회사 뇌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갈화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77522B1 (ko) * 2009-07-10 2011-10-27 한국인스팜(주)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995B1 (ko) * 2003-04-17 2006-02-16 롯데제과주식회사 뇌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갈화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77522B1 (ko) * 2009-07-10 2011-10-27 한국인스팜(주)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549A (ko) 2021-09-13
KR20220019730A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1913B1 (ko) 인지기능 장애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Mazumder et al. Phyto-pharmacology of Berberis aristata DC: a review
ES2857566T3 (es) Extracto de Eurycoma longifolia y su uso para mejorar y/o estimular el sistema inmunitario
KR101073678B1 (ko) 한약재를 이용한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34794B1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99870B1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02178B1 (ko) 황벽나무의 잎 또는 열매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JP2013241367A (ja) 関節リウマチ抑制剤
KR20150033797A (ko) 아토피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6727012A (zh) 一种祛痘化妆品组合物
KR20180120906A (ko)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가려움용 조성물
CN106821844B (zh) 一种具有抗螨和延缓衰老作用的组合物及包含该组合物的护肤品
Nobre-Junior et al. Neuroprotective actions of Tannins from Myracrodruon urundeuva on 6-hydroxydopamine-induced neuronal cell death
CN110812432A (zh) 黄花菜黄酮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2020371B1 (ko) 댕댕이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030366B2 (ja) アレルギー性疾患治療用組成物
CN104382813A (zh) 一种含有青刺果油的唇膏及其制备方法
KR102223933B1 (ko) 인삼열매의 복합공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및 인지능력 개선용 조성물
KR102527194B1 (ko) 인지기능 개선용, 기억력 개선용, 스트레스 완화용 및 항불안용 조성물
KR20130013965A (ko) 어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진균 및 항균 겸용 조성물
US20210290712A1 (en) Erodium crassifolium l&#39;her plant extracts and uses thereof
KR102157141B1 (ko) 으아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2011068601A (ja) 経口育毛剤
KR101955961B1 (ko) 머루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