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614B1 - 단일 우레탄시트에 대한 복수 불소수지시트의 정렬 합지가 가능한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단일 우레탄시트에 대한 복수 불소수지시트의 정렬 합지가 가능한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614B1
KR102461614B1 KR1020210057625A KR20210057625A KR102461614B1 KR 102461614 B1 KR102461614 B1 KR 102461614B1 KR 1020210057625 A KR1020210057625 A KR 1020210057625A KR 20210057625 A KR20210057625 A KR 20210057625A KR 102461614 B1 KR102461614 B1 KR 102461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unit
sheet
roller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원절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원절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원절연
Priority to KR1020210057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1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5Joining of substantially the whole surface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2Pressure application arrangements, e.g. transmission or actuating mechanisms for joining tools or clamps
    • B29C66/822Transmission mechanisms
    • B29C66/8227Transmission mechanisms usin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4Specific machine types or machines suitable for specific applications
    • B29C66/841Machines or tools adaptable for making articles of different dimensions or shapes or for making joints of different dimensions
    • B29C66/8412Machines or tools adaptable for making articles of different dimensions or shapes or for making joints of different dimensions of different length, width or height
    • B29C66/84121Machines or tools adaptable for making articles of different dimensions or shapes or for making joints of different dimensions of different length, width or height of different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4Specific machine types or machines suitable for specific applications
    • B29C66/841Machines or tools adaptable for making articles of different dimensions or shapes or for making joints of different dimensions
    • B29C66/8414Machines or tools adaptable for making articles of different dimensions or shapes or for making joints of different dimensions of different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포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권취된 복수개의 밴드를 공급하는 제3 권출부, 밴드와 면 접촉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고정부는 길이방향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방향으로 회전하되, 밴드와 지속적으로 접촉함으로써 밴드에 가해지는 외력을 밴드의 일 면 상에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롤러, 일단이 롤러와 연결되어 롤러를 지지하는 매개부 및 매개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매개부를 탄력 가압 함으로써, 롤러가 밴드와 면 접촉을 유지하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의 롤러가 제3 권출부의 지관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위치하여 지관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밴드가 고정부의 스프링을 가압하게 되므로, 밴드가 권출되는 동안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롤러가 밴드와의 면 접촉을 유지할 수 있어 최소 12열의 불소수지 밴드를 비틀어짐 없이 동시에 공급할 수 있으며, 제3 권출부가 복수개의 베어링을 갖도록 구비되므로, 각 베어링의 회전속도를 다르게 조절하여 각 지관에 권취된 불소수지밴드의 권출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정렬부가 제3 권출부로부터 권출되는 밴드의 폭 및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일정하게 유지하므로, 최소 12열의 불소수지밴드를 비틀어짐 없이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일 우레탄시트에 대한 복수 불소수지시트의 정렬 합지가 가능한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조장치{A FLAT POD MANUFACTURING DEVICE FOR MOVING CABLES CAPABLE OF ALIGNING AND LAMINATING MULTIPLE FLUORORESIN SHEETS TO A SINGLE URETHANE SHEET}
본 발명은 단일 우레탄시트에 대한 복수 불소수지시트의 정렬 합지가 가능한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와 같은 단일의 우레탄시트 상에 다수의 평행하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과 같은 불소수지시트를 합지할 때, 우레탄시트의 너비가 증가됨에 따라 합지 시 발생되는 너비 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무빙케이블용 롤투롤 플랫포드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랫포드(Flat pod)는 케이블이 연결된 이동체의 움직임에 따른 케이블의 과도한 인장, 마찰에 의한 손상 및 비틀어짐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다수의 케이블을 종류별로 수용하여 평행하게 유지 및 보호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플랫포드는 일정한 폭을 갖는 띠의 형상을 가지며, 신축성 있는 소재, 특히 불소수지(PTFE : Polytetrafluoroethylene) 시트와 열가소성폴리우레탄(TPU) 시트를 열융착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종래의 플랫포드 제조장치는 폭 조절이 곤란하여 열융착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고, 다수의 롤러를 통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융착물의 검사를 제대로 수행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제조된 플랫포드의 열융착부의 결합력이 약해지고, 플랫포드 내부에 케이블이 꽉 차도록 수용되는 경우 작동 시 열융착부가 쉽게 터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4604호에서는 다수열의 불소수지밴드를 공급하여 우레탄시트 위에 열융착하는 플랫포드 제조장치에 대해 개시한 바 있으나, 복수의 불소수지밴드를 동일한 조건에서 가압하여 인장시키기 위해서는 최대 6열의 불소수지밴드를 공급하는 것이 한계였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최소 12열의 불소수지밴드를 동시에 공급하여 우레탄시트 위에 열융착할 수 있는 플랫포드 제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4604호 (2019.06.24. 등록) 선행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7637호 (2017.08.07.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불소수지밴드를 단일의 우레탄시트에 비틀어짐 없이 열융착하는 플랫포드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세하게, 우레탄시트의 너비가 증가됨에 따라 복수의 불소수지밴드의 합지 시 발생되는 너비 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플랫포드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최소 12개의 불소수지밴드를 단일의 우레탄시트에 비틀어짐 없이 열융착하는 플랫포드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권취된 복수개의 밴드를 공급하는 제3 권출부 및 밴드와 면 접촉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밴드와 지속적으로 접촉함으로써 밴드에 가해지는 외력을 밴드의 일 면 상에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롤러, 일단이 롤러와 연결되어 롤러를 지지하는 매개부 및 매개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매개부를 탄력 가압 함으로써, 롤러가 밴드와 면 접촉을 유지하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축의 외주면에 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베어링 및 베어링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밴드가 외주면에 권취되는 복수개의 지관을 포함하는 제3 권출부가 구비되는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베어링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 설치되는 고정블록, 고정블록을 베어링에 고정하는 스프링핀을 포함하고, 지관의 내주면이 스프링핀과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지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지관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제3 권출부로부터 공급되는 밴드의 폭 및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크기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렬부를 포함하는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권취된 제1 시트를 공급하는 제1 권출부, 권취된 제2 시트를 공급하는 제2 권출부, 제1 시트 및 제2 시트를 열 융착하여 제 1 합지를 생성하는 제1 합지가공부 및 제1 합지 및 밴드를 열 융착하여 제2 합지를 생성하는 제2 합지가공부를 포함하는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1 시트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시트이고, 제2 시트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시트이며, 밴드는 PTFE 밴드인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2 합지를 권취함으로써, 제1 합지, 제2 합지 및 밴드가 권출되는 힘을 제공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의 롤러가 제3 권출부로부터 권출되는 밴드와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좌우 평형을 이루도록 하므로, 최소 12열의 불소수지밴드를 비틀어짐 없이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상세하게, 고정부의 롤러가 제3 권출부의 지관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위치하여 지관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밴드가 고정부의 스프링을 가압하게 되므로, 밴드가 권출되는 동안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롤러가 밴드와의 면 접촉을 유지할 수 있어 최소 12열의 불소수지 밴드를 비틀어짐 없이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3 권출부가 복수개의 베어링을 갖도록 구비되므로, 각 베어링의 회전속도를 다르게 조절하여 각 지관에 권취된 불소수지밴드의 권출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어링의 외주면에 고정블록 및 스프링핀이 구비되고, 지관의 내주면이 스프링핀과 접촉되도록 베어링의 외주면에 설치되므로, 지관이 베어링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렬부가 제3 권출부로부터 권출되는 밴드의 폭 및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일정하게 유지하므로, 최소 12열의 불소수지밴드를 비틀어짐 없이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포드 제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포드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B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포드 제조장치에서 제3 권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포드 제조장치에서 지관이 베어링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포드 제조장치에서 베어링의 위치에 따라 밴드의 이격거리가 설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포드 제조장치의 플랫포드 제조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포드 제조장치에 의해 생성된 제1 합지 및 제2 합지에 대한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나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포드 제조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포드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포드 제조장치는 제1 시트(10)를 공급하는 제1 권출부(110), 제2 시트(20)를 공급하는 제2 권출부(120), 제1 시트(10)와 제2 시트(20)를 열 융착하여 제1 합지(30)를 생성하는 제1 합지가공부(210), 밴드(11)를 공급하는 제3 권출부(130), 제3 권출부(130)에서 공급되는 밴드(11)가 제로텐션(Zero Tension) 혹은 로우텐션(Low Tension) 상태를 유지하도록 밴드(11)에 가해지는 외력을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고정부(300), 제3 권출부(130)에서 공급되는 밴드(11)의 폭 및 간격을 유지하는 정렬부(400), 제1 합지(30) 및 밴드(11)를 열 융착하여 제2 합지(40)를 생성하는 제2 합지가공부(220) 및 생성된 제2 합지(40)를 권취하는 권취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권출부(110)는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방향(W2)으로 회전하여 권취된 제1 시트(10)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1 권출부(110)는 중심축의 외주면에 일정폭을 갖는 제1 시트(10)가 권취되어 있으며, 제1 권출부(110)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2 방향(W2)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시트(10)가 소정의 경로를 따라 공급된다. 이 때, 제1 시트(10)가 이동하는 소정의 경로는 이송롤러(R)에 의해 가이드 되고, 최종적으로 제1 시트(10)는 제1 합지가공부(210)로 이동하게 된다.
제2 권출부(120)는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 방향(W1)으로 회전하여 권취된 제2 시트(20)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2 권출부(120)는 중심축의 외주면에 일정폭을 갖는 제2 시트(20)가 권취되어 있으며, 제2 권출부(120)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 방향(W1)으로 회전함에 다라 제2 시트(20)가 소정의 경로를 따라 공급된다. 이 때, 제2 시트(20)의 폭은 제1 시트(10)의 폭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시트(20)가 이동하는 소정의 경로는 이송롤러(R)에 의해 가이드 되고, 최종적으로 제2 시트(20)는 제1 합지가공부(210)로 이동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1 시트(10)의 상면에 제2 시트(2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제2 권출부(120)는 제1 권출부(110)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시트(10)를 이송하는 이송롤러(R) 및 제2 시트(20)를 이송하는 이송롤러(R)가 각각 구비되고, 제1 시트(10)를 이송하는 이송롤러(R)가 제2 시트(20)를 이송하는 이송롤러(R)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합지가공부(210)는 제1 시트(10) 및 제2 시트(20)를 열 융착하여 제1 합지(30)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1 합지가공부(210)는 각 권출부에 의해 공급되고 이송롤러(R)에 의해 이송된 제1 시트(10)와 제2 시트(20)를 고온에서 가압함으로써 제1 시트(10)와 제2 시트(20)가 융착되어 제1 합지(30)가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 합지가공부(210)는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가열롤러(H)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측에 가열롤러(H)가 구비되고 하측에 가압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가압롤러의 상측에 제1 시트(10)가 이송되어 배치되고, 제1 시트(10)의 상면과 가열롤러(H)의 하측에 제2 시트(20)가 이송되어 배치된다. 이 경우, 상측 가열롤러(H)와 하측 가압롤러의 사이에 배치된 제1 시트(10)의 상면에 제2 시트(20)가 융착될 수 있도록, 상측 가열롤러(H)가 열을 공급하고 하측 가압롤러가 상측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압력을 제공한다. 제1 합지가공부(21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측 및 하측 모두에 가열과 가압이 모두 가능한 복합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시트(10) 및 제2 시트(20) 모두에 고온 고압을 공급하여 융착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공정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합지가공부(210)에는 하나 이상의 가열롤러(H)가 구비되면 족하며 이 때 가열롤러(H)는 제2 시트(2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1 합지가공부(210)에 대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측 및 하측 롤러가 모두 가열롤러(H)로 구비되고, 하측 가열롤러(H)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측 가열롤러(H)만이 상하방향으로 왕복직선 운동함으로써 압착 가공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합지(30)는 제1 합지가공부(210)에 의해 생산된 것으로, 제1 시트(10)와 제2 시트(20)의 열 융착으로 구성된다. 이 때, 제1 합지(30)의 하층을 구성하는 제1 시트(10)는 PTFE시트일 수 있다. PTFE(Polytetrafluoroethylene)는 폴리에틸렌의 분자구조에서 수소원자를 불소원자로 치환시킨 고분자물질로서, 내마모성, 내수성, 내유성, 내화학성, 내약품성, 비점착성, 전기절연성, 불연성, 내후성이 뛰어나고 저마찰계수를 보유한 무독성 물질이다. 또한, 제2 권출부(120)에 의해 공급되고 이송롤러(R)에 의해 제1 시트(10)의 상면으로 가이드 되어 제1 합지(30)의 상층을 구성하는 제2 시트(20)는 TPU시트일 수 있다.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는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탄성체로서, 열가소성 탄성체 중 가장 뛰어난 인장강도, 인열강도,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지니고 있으며, 높은 투명도와 광택도 등의 우수한 광학특성과 내가수분해성, 내유성, 내연료성 등의 뛰어난 내화학성을 갖고 있어 높은 내구도를 필요로 하는 용도에 널리 사용되는 물질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포드 제조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플랫포드 제조공정에서 TPU 재질로 구비되는 제2 시트(20)는 PTFE 재질로 구비되는 제1 시트(10)의 상면에서 가열롤러(H)에 의해 가열되어, 접착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1 합지(30)는 500㎛의 두께로 구비된 PTFE 재질의 제1 시트(10)의 상면에 80㎛의 두께로 구비된 TPU 재질의 제2 시트(20)가 융착되어 형성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1 합지(30)는 0.1mm의 두께로 구비된 PTFE 재질의 제1 시트(10)의 상면에 0.5mm의 두께로 구비된 TPU 재질의 제2 시트(20)가 융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권출부(130)는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 방향(W1)으로 회전하여 권취된 복수개의 밴드(11)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3 권출부(130)는 후술할 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W1)으로 회전함에 따라 밴드(11)가 소정의 경로를 따라 공급된다. 이 때, 밴드(11)가 이동하는 소정의 경로는 후술할 고정부(300), 정렬부(400) 및 이송롤러(R)에 의해 가이드 되고, 최종적으로 밴드(11)는 제2 합지가공부(220)로 이동하게 된다. 제1 합지가공부(210)에 의해 생성되는 제1 합지(30)의 상면에 밴드(11)가 배치될 수 있도록 제3 권출부(130)는 제1 합지가공부(210)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합지(30)를 이송하는 이송롤러(R) 및 밴드(11)를 이송하는 이송롤러(R)가 각각 구비되고, 제1 합지(30)를 이송하는 이송롤러(R)가 밴드(11)를 이송하는 이송롤러(R)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권출부(130)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 밴드(11)가 정렬부(400)의 하면에 거치되는 경우 제3 권출부(130)는 제2 방향(W2)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 권출부(130)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제3 권출부(130)에 권취되는 밴드(11)는 일정 폭을 갖고 띠 형태를 취하는 부재이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 밴드(11)는 PTFE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밴드(11)는 복수개의 열이 상호 평행을 유지하여 동일한 속도로 공급되어, 제2 시트(20)의 상면에 적층된다. 종래의 플랫포드 제조장치에 의한 제조공정에서는 한 번에 공급할 수 있는 최대의 밴드(11) 열 수가 6개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플랫포드 제조장치에 의한 제조공정에서는 밴드(11)를 12개까지 공급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고정부(300) 및 정렬부(400)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제3 권출부(130)로부터 권출되는 복수개의 밴드(11)의 각 열이 일정한 간격 및 좌우 평형을 이룬 상태에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고정부(300)는 제3 권출부(130)로부터 공급되는 밴드(11)와 면 접촉을 유지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고정부(300)는 롤러(310), 매개부(320) 및 스프링(3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밴드(11)와 접촉하는 롤러(310)에 스프링(330)을 통해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전달함으로써 롤러(310)가 밴드(11)의 면 접촉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고정부(300)는 공급되는 밴드(11)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300)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정렬부(400)는 제3 권출부(130)로부터 공급되는 복수개의 밴드(11)의 폭 및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크기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정렬부(400)는 지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복수 개 구비된다. 상세하게, 정렬부(400)는 관(管)의 양 단에 관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판이 결합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3 권출부(130)로부터 공급되는 밴드(11)가 양단의 원판 사이에 배치되어 정렬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정렬부(400)의 양단 원판 사이의 길이는 밴드(11)의 폭과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합지가공부(220)는 제1 합지(30) 및 밴드(11)를 열 융착하여 제2 합지(40)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2 합지가공부(220)는 제1 합지가공부(210)에 의해 생산되고 이송롤러(R)에 의해 이송된 제1 합지(30)와 제3 권출부(130)로부터 공급되고 이송롤러(R)에 의해 이송된 밴드(11)를 고온에서 가압함으로써 제1 합지(30)의 상면에 복수개의 밴드(11)가 융착되어 제2 합지(40)가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2 합지가공부(220)는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가열롤러(H)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측에 가열롤러(H)가 구비되고 하측에 가압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가압롤러의 상측에 제1 합지(30)가 이송되어 배치되고, 제1 합지(30)의 상면과 가열롤러(H)의 하측에 복수개의 밴드(11)가 이송되어 배치된다. 이 경우, 상측 가열롤러(H)와 하측 가압롤러의 사이에 배치된 제1 합지(30)의 상면에 복수개의 밴드(11)가 융착될 수 있도록, 상측 가열롤러(H)가 열을 공급하고 하측 가압롤러가 상측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압력을 제공한다. 제2 합지가공부(220)에 대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측 및 하측 모두에 가열과 가압이 모두 가능한 복합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합지(30) 및 밴드(11) 모두에 고온 고압을 공급하여 융착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공정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합지가공부(220)에는 하나 이상의 가열롤러(H)가 구비되면 족하며 이 때 가열롤러(H)는 밴드(11)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2 합지가공부(220)에 대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측 및 하측 롤러가 모두 가열롤러(H)로 구비되고, 하측 가열롤러(H)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측 가열롤러(H)만이 상하방향으로 왕복직선 운동함으로써 압착 가공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합지(40)는 제2 합지가공부(220)에 의해 생산된 것으로, 제1 합지(30)와 밴드(11)의 열 융착으로 구성된다. 상세하게, 제1 합지(30)는 PTFE 재질의 제1 시트(10)의 상면에 TPU 재질의 제2 시트(20)가 융착됨으로써 형성되고, 밴드(11)는 PTFE 재질로 복수 열로 공급되어 제1 합지(30)의 상면, 즉 TPU 재질의 제2 시트(20)의 상면에 적층되어 제2 합지가공부(220)에 의해 열 융착됨으로써 형성된다. 제2 시트(20)의 상면에 복수 열의 밴드(11)가 배치되는 상세한 실시예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권취부(500)는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방향(W2)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합지(40)를 권취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2 방향(W2)으로 회전함으로써 밴드(11)가 제3 권출부(130)로부터 권출되는 힘을 제공한다. 또한, 제1 시트(10) 및 제2 시트(20)가 제1 권출부(110) 및 제2 권출부(120)로부터 권출되는 힘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8을 참조하면 제2 합지(40)가 권취부(500)의 상면에 배치되어 권취부(500)가 제2 방향(W2)으로 회전함에 따라 권취부(500)의 외주면에 권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포드 제조장치에 대한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플랫포드 제조장치는 검사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검사부는 제2 합지가공부(220)에 의해 생성된 제2 합지(40)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구성으로, 제2 합지가공부(220)와 권취부(500) 사이에 배치되어 제2 합지(40)가 권취부(500)에 권취되기 전 불량여부를 파악하게 된다. 상세하게, 검사부는 제2 시트(20)에 적층된 밴드(11)의 간격과 얼라인먼트를 검사하는 역할을 한다. 검사부는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밴드(11)의 위치불량 사실을 감지하는 경우 이를 외부로 전송하여 불량으로 판단된 제2 합지(40)가 권취부(500)에 권취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 검사부는 비전카메라 등을 활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A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B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의 A 및 도 2의 B는 모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포드 제조장치의 제3 권출부(130), 고정부(300) 및 정렬부(400)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권출부(130)는 권취된 복수개의 밴드(11)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밴드(11)는 복수개의 열로 구비되므로, 이를 공급하기 위해 제3 권출부(130)는 제1 권출부(110) 및 제2 권출부(120)와는 다른 특징을 갖도록 구비된다. 상세하게, 제3 권출부(130)는 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베어링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베어링의 외주면에 지관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제3 권출부(1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고정부(3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밴드(11)와 접촉하는 롤러(310)에 스프링(330)을 통해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전달함으로써 롤러(310)가 밴드(11)의 면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고정부(300)는 롤러(310), 매개부(320) 및 스프링(33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롤러(310)는 길이방향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방향(W2)으로 회전하며, 밴드(11)와 지속적으로 접촉함으로써 밴드(11)에 가해지는 외력을 상기 밴드(11)의 일 면 상에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롤러(310)는 복수개의 밴드(11)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3 권출부(130)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밴드(11)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속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롤러(310)는 하드 아노다이징 코팅 된 AL6061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6061은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으로, 강도와 내식성이 뛰어난 재질이며, 하드 아노다이징 코팅 시 알루미늄의 부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롤러(310)는 밴드(11)와 지속적으로 접촉 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되면 족하다.
매개부(320)는 일단이 롤러(310)와 연결되어 롤러(310)를 지지하는 구성이고, 스프링(330)은 매개부(320)의 타단에 연결되어 매개부(320)를 탄력 가압 함으로써, 롤러(310)가 상기 밴드(11)와 면 접촉을 유지하는 힘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고정부(300)는 제3 권출부(130)의 지관의 외주면에 롤러(310)가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 지관에 밴드(11)를 권취한 상태에서는 밴드(11)의 외주면에 롤러(310)가 접촉하도록 밴드(11)가 스프링(330)을 가압하는 상태이므로, 밴드(11)가 권출되는 동안에도 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롤러(310)가 밴드(11)와의 면 접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정렬부(4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권출부(130)로부터 공급되는 복수개의 밴드(11)의 폭 및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크기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정렬부(400)는 지관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 구비되고, 복수개의 정렬부(400)는 상면에 거치되는 밴드(11)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포드 제조장치에서 제3 권출부(13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포드 제조장치에서 지관(133)이 베어링(132)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포드 제조장치에서 베어링(132)의 위치에 따라 밴드(11)의 이격거리가 설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3 권출부(130)는 길이방향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축(131), 축(13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복수개의 베어링(132), 베어링(132)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밴드(11)가 권취되는 복수개의 지관(133)으로 구성된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권출부(130)에서, 축(131)의 외주면에 베어링(132)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베어링(132)의 외주면에 지관(133)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축(131)은 길이방향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베어링(132)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고, 베어링(132)의 회전중심이 되는 구성이다. 베어링(132)은 축(131)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 방향(W1)으로 회전함으로써 밴드(11)가 권출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밴드(11)를 권출하기 위해, 베어링(132)의 외주면에 지관(133)이 배치된다. 지관(133)은 관(1331, 管)의 양 단에 관(1331)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판(1332)이 결합된 형상으로 구비된 구성으로, 베어링(132)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권출부(130)는 베어링(132)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 설치되는 고정블록(B) 및 고정블록(B)을 축(131)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여 베어링(132)에 고정하는 스프링핀(S)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6에 도시된 단면도를 참조하여 베어링(132)의 외주면에 지관(133)이 설치되는 모습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권출부(130)에서, 축(131)의 외주면에 베어링(132)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의 <b>는 베어링(132)의 외주면에 지관(133)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관(1331)의 내주면이 스프링핀(S)과 접촉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베어링(B)과 지관(133)이 독립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베어링(132)의 회전력이 스프링핀(S)에 의해 지관(133)에 전달됨으로써 지관(133)이 베어링(132)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세하게, 베어링(132)의 외주면에 설치된 스프링핀(S)에 지관(133)의 내주면이 접촉하도록 설치되므로, 지관(133)의 내주면이 스프링핀(S)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스프링핀(S)의 길이가 압축길이만큼 줄어들게 되며, 스프링핀(S)의 복원력에 의해 지관(133)의 내주면과 스프링핀(S)이 접촉을 유지하게 되므로, 베어링(B)의 회전력이 지관(133)에 지속적으로 전달된다. 지관(133)은 외주면에 밴드(11)가 권취되며, 밴드(11)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제3 권출부(130)에 복수개의 베어링(132)이 구비됨으로써, 각 베어링(132)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조절하여 각 지관(133)에 권취된 밴드(11)의 권출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각 지관(133)의 외주면에 권취된 밴드(11)의 감긴 수에 따라, 밴드(11)의 권출을 위해 요구되는 베어링(132)의 회전수가 각각 달라지게 되는데, 복수개의 지관(133)이 단일 베어링(132)에 배치되는 경우 동일한 회전수를 갖게 되므로 각 지관(133)에 권취된 밴드(11)의 권출속도에 차이가 발생하나, 복수개의 지관(133)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베어링(132)에 각각 배치되므로 회전수를 각각 조절할 수 있어 밴드(11)의 감긴 수와 무관하게 제3 권출부(130)로부터 권출되는 밴드(11)의 권출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축(131)의 외주면에 복수개 배치된 각 베어링(132)이 이격된 소정의 간격(d)은 각 밴드(11)의 이격 거리를 설정하는 것으로, 각 베어링(132)의 위치를 축(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각 밴드(11)의 이격 거리를 설정하도록 구비된다. 상세하게,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베어링(132)이 이격된 소정의 간격을 제2 간격(d2)이 되도록 조절하여, 각 밴드(11)의 이격 거리를 설정할 수 있고,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베어링(132)이 이격된 소정의 간격을 제1 간격(d1)이 되도록 조절하여 각 밴드(11)의 이격 거리를 좁히거나,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베어링(132)이 이격된 소정의 간격을 제3 간격(d3)이 되도록 조절하여 각 밴드(11)의 이격 거리를 넓힐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포드 제조장치의 플랫포드 제조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포드 제조장치에 의해 생성된 제1 합지(30) 및 제2 합지(40)에 대한 일 실시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포드 제조장치는 제2 방향(W2)으로 회전하는 제1 권출부(110)에 의해 공급되는 제1 시트(10) 및 제1 방향(W1)으로 회전하는 제2 권출부(120)에 의해 공급되는 제2 시트(20)가 각각의 이송롤러(R)에 의해 제1 합지가공부(210)로 이동하고, 제1 합지가공부(210)에서 제1 시트(10)의 상면에 제2 시트(20)를 열 융착하여 제1 합지(30)를 생산한다. 생산된 제1 합지(30) 및 고정부(300)에 의해 좌우 평형을 이루는 상태에서 제3 권출부(130)에 의해 공급되고 정렬부(400)를 거쳐 정렬된 밴드(11)가 각각의 이송롤러(R)에 의해 제2 합지가공부(220)로 이동하고, 제2 합지가공부(220)에서 제1 합지(30)의 상면에 밴드(11)를 열 융착하여 제2 합지(40)를 생산한다. 생산된 제2 합지(40)는 이송롤러(R)에 의해 권취부(500)로 이동하여 권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2 합지가공부(220)와 권취부(500)의 사이에는 생산된 제2 합지(40)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가 더 포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9의 상단에 도시된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포드 제조장치에 의해 생성된 제1 합지(30)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합지(30)는 제1 시트(10)의 상면에 제2 시트(20)가 열 융착됨으로써 생산된다. 상세하게, 제1 합지가공부(210)의 상측롤러가 제1 방향(W1)으로 회전하면서 제2 시트(20)의 상면을 가열 또는 가압하고, 제1 합지가공부(210)의 하측롤러가 제2 방향(W2)으로 회전하면서 제1 시트(10)의 하면을 가열 또는 가압함으로써 제1 시트(10)의 상면에 제2 시트(20)를 열 융착하여 제1 합지(30)를 생산한다.
도 9의 하단에 도시된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포드 제조장치에 의해 생성된 제2 합지(40)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 합지(40)는 제1 합지(30)의 상면에 복수개의 밴드(11)가 열 융착됨으로써 생산된다. 상세하게,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합지(30)의 상면, 즉 제2 시트(20)의 상면에 복수개의 밴드(11)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적층되어, 제2 합지가공부(220)에 의해 열 융착됨으로써 제2 합지(40)가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포드 제조장치에 대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 생성된 제2 합지(40)의 상면, 즉 PTFE 재질 밴드(11)의 상면에 다시 PTFE 재질의 제3 시트가 열 융착되어 제3 합지를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래 PTFE 재질끼리는 서로 융착되지 않으나, 제2 합지(40)의 상면에 위치한 PTFE 재질 밴드(11)의 사이로 TPU 재질의 제2 시트(20)가 고온에 의해 밀려 올라오면서 PTFE 재질의 제3 시트를 접착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제1 시트 20 : 제2 시트
11 : 밴드 30 : 제1 합지
40 : 제2 합지 110 : 제1 권출부
120 : 제2 권출부 130 : 제3 권출부
131 : 축 132 : 베어링
B : 고정블록 S : 스프링핀
133 : 지관 1331 : 관
1332 : 원판 L : 압축길이
d1 : 제1 간격 d2 : 제2 간격
d3 : 제3 간격
210 : 제1 합지가공부 220 : 제2 합지가공부
300 : 고정부 310 : 롤러
320 : 매개부 330 : 스프링
400 : 정렬부 500 : 권취부
H : 가열롤러 R : 이송롤러
W1 : 제1 방향 W2 : 제2 방향

Claims (6)

  1. 권취된 복수개의 밴드(11)를 공급하는 제3 권출부(130); 및 상기 밴드(11)와 면 접촉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고정부(300);를 포함하는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0)는,
    길이방향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방향(W2)으로 회전하되, 상기 밴드(11)와 지속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상기 밴드(11)에 가해지는 외력을 상기 밴드(11)의 일 면 상에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롤러(310);
    일단이 상기 롤러(310)와 연결되어 상기 롤러(310)를 지지하는 매개부(320); 및
    상기 매개부(320)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매개부(320)를 탄력 가압 함으로써, 상기 롤러(310)가 상기 밴드(11)와 면 접촉을 유지하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330);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권출부(130)는,
    길이방향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축(131);
    상기 축(131)의 외주면에 상기 축(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축(131)을 중심으로 제1 방향(W1)으로 회전하는 베어링(132);
    상기 베어링(132)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 설치되는 고정블록(B);
    상기 고정블록(B)을 상기 축(131)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베어링(132)에 고정하는 스프링핀(S); 및
    관(1331, 管)의 양 단에 상기 관(1331)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판(1332)이 결합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주면이 상기 스프링핀(S)과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밴드(11)가 권취되는 복수개의 지관(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13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3 권출부(130)로부터 공급되는 복수개의 상기 밴드(11)의 폭 및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크기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렬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방향(W2)으로 회전하여 권취된 제1 시트(10)를 공급하는 제1 권출부(110);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 방향(W1)으로 회전하여 권취된 제2 시트(20)를 공급하는 제2 권출부(120);
    상기 제1 시트(10) 및 제2 시트(20)를 열 융착하여 제1 합지(30)를 생성하는 제1 합지가공부(210); 및
    상기 제1 합지(30) 및 상기 밴드(11)를 열 융착하여 제2 합지(40)를 생성하는 제2 합지가공부(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10)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시트이고, 상기 제2 시트(20)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시트이며, 상기 밴드(11)는 PTFE밴드(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조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방향(W2)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합지(40)를 권취함으로써, 상기 밴드(11)가 상기 제3 권출부(130)로부터 권출되는 힘을 제공하는 권취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조장치.
KR1020210057625A 2021-05-04 2021-05-04 단일 우레탄시트에 대한 복수 불소수지시트의 정렬 합지가 가능한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조장치 KR102461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625A KR102461614B1 (ko) 2021-05-04 2021-05-04 단일 우레탄시트에 대한 복수 불소수지시트의 정렬 합지가 가능한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625A KR102461614B1 (ko) 2021-05-04 2021-05-04 단일 우레탄시트에 대한 복수 불소수지시트의 정렬 합지가 가능한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614B1 true KR102461614B1 (ko) 2022-11-02

Family

ID=8408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625A KR102461614B1 (ko) 2021-05-04 2021-05-04 단일 우레탄시트에 대한 복수 불소수지시트의 정렬 합지가 가능한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6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140U (ko) * 1999-01-26 2000-08-25 윤종용 프린터용 용지 이송 장치
KR101767637B1 (ko) 2016-03-29 2017-08-14 (주)메아리 전선 보호용 다중관 제조방법
KR101994604B1 (ko) 2019-03-18 2019-06-28 박종락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작장치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플랫포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140U (ko) * 1999-01-26 2000-08-25 윤종용 프린터용 용지 이송 장치
KR101767637B1 (ko) 2016-03-29 2017-08-14 (주)메아리 전선 보호용 다중관 제조방법
KR101994604B1 (ko) 2019-03-18 2019-06-28 박종락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작장치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플랫포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7976B2 (en) Fix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and method of heating fixing member
US7142803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206105A (ja) 電子写真装置用摺動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定着装置
CN102854770B (zh) 带进给装置和设置有该带进给装置的图像形成设备
JP2014109750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2461614B1 (ko) 단일 우레탄시트에 대한 복수 불소수지시트의 정렬 합지가 가능한 무빙케이블용 플랫포드 제조장치
JP2009038276A (ja) 薄膜積層体の製造装置
EP2816651A1 (en) Conveyance device and conveyance method
JP2016139047A (ja) 冷却装置、画像形成装置
JP2018105962A (ja) 像加熱装置
KR20190011907A (ko) 무분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케이블베어용 폴리우레탄―ptfe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물
US9261836B2 (en) Member for use in fixing device,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O2019203199A1 (ja) 弾性ローラ
JP2009038277A (ja) 薄膜積層体の製造装置
JP2004191744A (ja) 定着用管状体、及びそれを用いた定着装置
KR101995117B1 (ko) 장력 분포 제어 장치 및 띠형상체 반송 장치
JP2004109878A (ja) 定着装置
US20100221042A1 (en) Endless belt with meandering preventive guide
JP2016206596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096940A (ja) 定着ベルト、および定着装置
TWI503231B (zh) 積層片之製造裝置及積層片之製造方法
JP2018036405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684269B1 (en) Transparent belt, light irradia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292713A (ja) ベルト定着装置
JP2006267392A (ja) 画像定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