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551B1 - 전기 조리기의 조리판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전기 조리기의 조리판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551B1
KR102461551B1 KR1020210000684A KR20210000684A KR102461551B1 KR 102461551 B1 KR102461551 B1 KR 102461551B1 KR 1020210000684 A KR1020210000684 A KR 1020210000684A KR 20210000684 A KR20210000684 A KR 20210000684A KR 102461551 B1 KR102461551 B1 KR 102461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lower panel
heating element
planar heating
upp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8859A (ko
Inventor
홍진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가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가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가토
Priority to KR1020210000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551B1/ko
Publication of KR20220098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58For cook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판의 결합구조를 달리하여 전체 구성요소가 완벽하게 밀착력을 가지도록 함에 따라 사용과정에서 고온의 열이 전달되더라도 팽창되지 않고 결합상태를 완벽하게 유지하도록 함은 물론 사용후 세척과정에서는 내부로 세척가가 침투하는 일이 없도록 함에 따라 세척수로 인한 내부 구성요소의 소손이 방지되도록 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부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면상발열체와, 금속제로서 상기 면상발열체의 하부분을 보호하는 하부패널과, 금속제로서 상기 면상발열체의 상부분을 보호하는 상부패널을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널과 상부패널 사이 가장자리 부분에 빙둘러지게 위치되어 하부패널과 상부패널 사이에 밀폐력을 제공하는 실리콘 패킹과, 상기 하부패널과 면상발열체 사이에 구비되어 면상발열체의 발열에 따른 열이 상부패널 쪽으로 이동되도록 밀어올려주는 금속미러판과, 상기 실리콘패킹을 사이에 두고 하부패널과 상부패널을 서로 당김 가능하게 결합시켜 주는 패널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여 된 전기 조리기의 조리판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 조리기의 조리판 결합구조{Cooking piate coupling structure of electric cooker}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켜 음식을 조리하도록 된 전기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여 특히, 협소한 공간에서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세척 및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사용품질이 극대화된 전기 조리기에서 실제 음식물이 올려져 조리되는 조리판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고기를 굽는 장치로는 통상 가스렌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화재 위험성 및 유해가스의 방출에 따른 안정성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된 전기그릴 등과 같은 전기 조리가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전기 조리기들은 대부분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히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된 것으로, 통상적으로 본체의 내부에 전열히터를 장착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그 상부에 단순한 금속제 판으로 된 조리판을 장착하여 전열 히터의 열이 상기 조리판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조리판은 일반적으로 구이 요리가 용이하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본체에 고정 결합되며, 구이 요리시에 발생되는 기름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그릴판의 바닥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의 하부에 별도의 기름 받이 또는 물받이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형태로 구성됨이 보편적이다.
최근에는 주방에서 사용하는 주방용 가스레인지 또한 쿡탑(Cook-top) 형태의 전기 버너로 많이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전기 버너는 오피스텔이나 콘도 등에서 주방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 및 깔끔한 실내 미감을 위해 특히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 조리장치들은, 조리시 기름이나 각종 국물이 튀거나 새어 들어가 본체 내부가 오염되며, 이에 따라 전열 히터 또는 각종 전자 부품들이 쉽게 고장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중량 및 부피 또한 상당하여 운반이 불편함에 따라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조리후 세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체적인 세척이 힘들어 청결성 및 보건위생성을 확보하기에도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운반 및 보관이 간편하며, 특히 전원을 통해 열을 발생하도록 되어 화재 및 가스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전기 조리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먼저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80435호(명칭: 전기 조리기/2011.08.12.)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제1 발열부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과, 제2 발열부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상기 제2 하우징을 체결하고,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2 하우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전기 조리기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79973호(명칭: 전기 그릴/2010.08.1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 버너; 및 상기 전기 버너로부터 열전도되도록 상기 전기 버너의 상면에 접촉 결합되는 그릴판을 포함하고, 상기 그릴판은 상기 전기 버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기 그릴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7-0087065호(명칭: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조리 기구/2017.07.1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전원제어부와 온도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 제어부가 설치되는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조리 기구에 있어서, 세라믹 상판; 상기 세라믹 상판의 외주연에 설치되며 카본세라믹으로 이루어져 화상예방이 가능한 카본세라믹 화상예방 방지패드; 상기 화상예방 방지패드의 내주연에 설치되며 구리 또는 동으로 이루어져 열이 더 이상 외부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열전달 마감부; 상기 세라믹 상판 하측부에 위치하며, 탄소섬유재질인 나선 모양의 띠 형상의 탄소섬유가 복수개로 나열되고, 전기에너지에 의하여 발열되어 상기 세라믹 상판을 가열하는 면상 발열체; 및 상기 면상 발열체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면상 발열체를 가열하기 위해 마이컴 제어부가 출력한 신호를 궤환받아 디지털 변환한 값과의 제어편차에 따라 비례, 미분, 적분연산을 수행하고, 연산을 통해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면상 발열체를 제어하고, 마이컴 제어부는 상기 면상 발열체를 일정 시간만 간헐적 가동하는 저부하 모드로 제어하는 PLC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본원발명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등록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18-0081541호(명칭: 전기그릴/2018.07.13.)에서는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며, 상부보다 하부의 선팽창계수를 크게하여 발열시 중앙이 하부로 만곡지게 변형되도록 한 히팅패널; 상기 히팅패널의 중앙에 형성된 기름배출공; 상기 히팅패널의 양측단에 고정된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히팅패널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패널은 상부면과 하부면을 이루는 한 쌍의 금속패널층; 상기 금속체널층 사이에 위치하는 금속히터층; 상기 금속히터층과 금속채널층 사이에 위치하는 실리콘계열의 접착제층; 상기 접착제층과 금속패널층 사이에 위치하는 고온소재의 코팅층; 상기 코팅층과 금속패널층 사이에 위치하는 고온소재의 절연층이 열융착을 의해 일체로 성형된 전기 그릴이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11-0080435호(2011.08.12.) 한국특허출원 제10-2010-0079973호(2010.08.18.) 한국특허출원 제10-2017-0087065호(2017.07.10.) 한국특허출원 제10-2018-0081541호(2018.07.13.)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기 조리장치들의 대부분은, 그 부피가 크고 두께가 두꺼워 휴대 및 보관이 불편하고 특히, 세척시 세척용수에 의한 전기적요소들의 손상을 방지하지 못함에 따라 사용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발열점과 바닥과의 공간적인 간격을 형성하기가 힘들어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 제10-2018-0081541호(2018.07.13.)에 있어서는 면상발열체를 가지는 조리판 구조를 적용하고 있으므로 두께적인 측면에서는 종래 다른 기술들의 문제점을 조금이나마 극복할 수 있을 것이나, 여전히 조리판의 결합구조가 완벽하지 못하여 사용과정에서 고온의 열에 의해 재질이 팽창력을 가질 때 틈새가 발생되거나 세척시 내부로 세척수가 침투하는 등의 품질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판의 결합구조를 달리하여 전체 구성요소가 완벽하게 밀착력을 가지도록 하여 사용과정에서 고온의 열이 전달되더라도 팽창되지 않고 결합상태를 완벽하게 유지하도록 함은 물론 사용후 세척과정에서는 내부로 세척가가 침투하는 일이 없도록 함에 따라 세척수로 인한 내부 구성요소의 소손이 방지되도록 한 전기 조리기의 조리판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조리기의 조리판 결합구조는, 외부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면상발열체와, 금속제로서 상기 면상발열체의 하부분을 보호하는 하부패널과, 금속제로서 상기 면상발열체의 상부분을 보호하는 상부패널을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널과 상부패널 사이 가장자리 부분에 빙둘러지게 위치되어 하부패널과 상부패널 사이에 밀폐력을 제공하는 실리콘 패킹과, 상기 하부패널과 면상발열체 사이에 구비되어 면상발열체의 발열에 따른 열이 상부패널 쪽으로 이동되도록 밀어올려주는 금속미러판과, 상기 실리콘 패킹을 사이에 두고 하부패널과 상부패널을 서로 당김 가능하게 결합시켜 주는 패널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 결합수단은, 상부패널의 둘레에 실리콘 패킹을 통과하도록 하부패널을 향해 고정되어 중심부분에 스크류 조임공을 갖는 복수개의 고정돌기와, 상기 실리콘 패킹의 하부패널 대향면에 형성되어 각 고정돌기의 스크류 조임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싼상태로 커버하는 고정돌기 커버와, 상기 하부패널에 형성되어 상부패널에 고정된 각 고정돌기가 고정돌기 커버에 감싸여진 상태로 돌출되게 끼워지는 끼움공과, 상기 하부패널의 외부에서 각 끼움공 부분에 접촉되어 하부패널 접촉면에 각 고정돌기 커버의 돌출부분이 수용되도록 상부 수용홈을 갖는 결합편과, 상기 각 결합편의 중심에 각 고정돌기의 스크류 조임공과 수직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스크류 끼움공과, 상기 각 결합편의 상부 수용홈 반대쪽에 스크류 끼움공과 이어진 상태로 형성된 하부 수용홈과, 상기 하부 수용홈에 끼워진 패킹링과, 외부에서 상기 각 결합편의 스크류 끼움공을 통해 각 고정돌기에 형성된 스크류 조임공으로 나사조임되며 그 머리부분이 상기 각 결합편의 하부 수용홈에 수용되는 고정스크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조리기의 조리판 결합구조는, 면상발열체가 내장되어 있는 하부패널과 상부패널 사이가 기밀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상기 하부패널과 상부패널이 서로 강한 강김력을 가지고 결합되어 있으므로 사용과정에서 면상발열체의 발열에 따른 고온이 유지되더라도 상기 하부패널과 상부패널이 서로 이격력을 가지지 않아 사용품질이 향상됨은 물론 사용후 조리판을 전기 조리기에서 탈거하여 세척하고자 할 때 세척수가 하부패널과 상부패널 사이로 유입되는 일이 없어 내부 부품의 소손방지와 함께 안전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과정에서 하부패널과 상부패널 사이에 존재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이 고장나거나 소손되었을 때 상기 하부패널과 상부패널을 분리하여 수리 및 교체가 바로바로 가능하게 되어 사용상의 편리성도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조리판 결합구조를 갖는 전기 조리기의 전체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조리판 결합구조를 갖는 전기 조리기를 나타낸 평면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조리판 결합구조를 갖는 전기 조리기를 나타낸 저면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의한 조리판 결합구조를 갖는 전기 조리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조리판 결합구조를 갖는 전기 조리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조리판 결합구조에 의해 조리판을 결합하는 상태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조리판 결합구조에 의해 조리판을 결합한 상태의 요부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기 조리기의 조리판 결합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먼저 본 발명 전기 조리기의 조리판 결합구조를 상세히 살펴보기에 앞서 전기 조리기(1)에 대하여 살펴보고, 상기 전기 조리기에 조리판이 결합된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전기 조리기(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판(2)은 내부에 위치되도록 면상발열체(201)를 사이에 두고 하부패널(202)과 상부패널(203)이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조리판(2)의 하부패널(202)에는 사이 간격을 두고 지주체(3)가 결합되어 다리 역할을 하면서 사용시에는 조리판(2)이 바닥면과 이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지주체(3)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4)가 구비되어 있음은 물론 온도와 시간 조절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콘트롤부(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주체(3)는 조리판(2)에 결합된 상태가 고정상태일 수도 있고 분리가능한 상태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조리판(2)은 앞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면상발열체(201)를 사이에 두고 하부패널(202)과 상부패널(203)이 결합된 구조를 가지므로서 본 발명과 같은 조리판 결합구조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럼 이하에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전기 조리기의 조리판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 조리기의 조리판 결합구조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전기 조리기의 조리판 결합구조는, 외부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면상발열체(201)와, 금속제로서 상기 면상발열체(201)의 하부분을 보호하는 하부패널(202)과, 금속제로서 상기 면상발열체(201)의 상부분을 보호하면서 상부면에 가열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올려지는 상부패널(203)을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널(202)과 상부패널(203) 사이 가장자리 부분에는 하부패널(202)과 상부패널(203) 사이에 밀폐력을 제공하는 실리콘 패킹(204)이 빙둘러지게 위치되고, 상기 하부패널(202)과 면상발열체(201) 사이에는 상기 면상발열체(201)의 발열에 따른 열이 상부패널(203) 쪽으로 이동되도록 밀어올려주는 금속미러판(205)이 구비되며, 상기 실리콘 패킹(204)을 사이에 두고 하부패널(202)과 상부패널(203)은 패널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당김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에서 패널 결합수단은, 상부패널(203)의 가장자리부분 둘레에 실리콘 패킹(204)을 통과하도록 하부패널(202)을 향해 고정되어 중심부분에 스크류 조임공(206a)을 갖는 복수개의 고정돌기(206)와, 상기 실리콘 패킹(204)의 하부패널(202) 대향면에 형성되어 각 고정돌기(206)의 스크류 조임공(206a)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싼상태로 커버하는 고정돌기 커버(207)와, 상기 하부패널(202)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어 상부패널(203)에 고정된 각 고정돌기(206)가 고정돌기 커버(207)에 감싸여진 상태로 돌출되게 끼워지는 복수개의 끼움공(208)과, 상기 하부패널(202)의 외부에서 각 끼움공(208) 부분에 접촉되어 하부패널(202) 접촉면에 각 고정돌기 커버(207)의 돌출부분이 수용되도록 상부 수용홈(209a)을 갖는 결합편(209)과, 상기 각 결합편의 중심에 각 고정돌기(206)의 스크류 조임공(206a)과 수직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스크류 끼움공(209b)과, 상기 각 결합편(209)의 상부 수용홈(209a) 반대쪽에 스크류 끼움공(209b)과 이어진 상태로 형성된 하부 수용홈(209c)과, 상기 각 하부 수용홈에 끼워진 패킹링(210)과, 외부에서 상기 각 결합편(209)의 스크류 끼움공(209b)을 통해 각 고정돌기(206)에 형성된 스크류 조임공(206a)으로 나사조임되며 그 머리부분이 상기 각 결합편(209)의 하부 수용홈(209c)에 수용되는 고정스크류(211)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전기 조리기의 조리판 결합구조를 통해 조리판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조리판의 결합시키는 과정에서는 상부패널(203)을 뒤집어서 그 조리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평판작업대(도시는 생략됨)에 수평상태로 지지시키는데, 이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패널(203)에 형성되어 있는 각 고정돌기(206)가 위를 향하고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상부패널(203) 위로 면상발열체(201)를 올려 놓고 그 위로 금속미러판(205)을 올려 놓은 다음 상기 상부패널(203)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실리콘 패킹(204)을 올려 놓는데, 이때에는 상기 실리콘 패킹(204)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 커버(207)가 상부패널(203)에 형성되어 있는 각 고정돌기(206)를 감싼 상태가 된다.
다시 계속해서 하부패널(202)을 상기 상부패널(203) 위로 올려 놓는데, 이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패널(202)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각 끼움공(208)으로 상기 실리콘 패킹(204)에 형성되어 상부패널(203)의 각 고정돌기(206)를 감싸고 있는 고정돌기 커버(207)가 끼워진다.
한편 상기 실리콘 패킹(204)에 형성되어 있는 각 고정돌기 커버(207)가 하부패널(202)에 형성되어 있는 각 끼움공(208)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돌기 커버(207)는 하부패널(202)의 수평면 보다 조금 더 돌출상태에 있게 된다.
계속해서 결합편(209)을 하부패널(202)에 형성된 각 끼움공(208)을 커버하도록 상기 끼움공과 중심이 일치되게 올려 놓으면, 상기 실리콘 패킹(204)에 형성되어 있는 각 고정돌기 커버(207)가 상기 결합편(209)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수용홈(209a)으로 들어가 수용되는 상태가 되고, 이후 상기 각 결합편(209)의 상부 수용홈(209a) 반대쪽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 수용홈(209c)으로 패킹링(210)을 집어 넣어 수용시킨 다음 고정스크류(211)를 상기 결합편(209)의 스크류 끼움공(209b)을 통해 끼워 넣으면서 회전시킬 경우 어느 순간 상기 고정스크류(211)가 상부패널(203)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206)의 스크류 조임공(206a)으로 나사조임됨에 따라 결국 하부패널(202)과 상부패널(203)이 실리콘 패킹(204)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당김력을 가지면서 조리판의 결합이 완료되고, 이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패널(202)과 상부패널(203) 사이가 상기 실리콘 패킹(204)에 의해 기밀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스크류(211)가 상부패널(203)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206)의 스크류 조임공(206a)으로 나사조임됨에 따라 하부패널(202)과 상부패널(203)이 실리콘 패킹(204)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당김력을 가지면서 조리판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서는 상기 고정스크류(211)의 머리부분은 결합편(209)의 하부 수용홈(209c) 내에 대부분이 수용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모든 과정을 거쳐 조리판의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는 하부패널(202)과 상부패널(203) 사이는 실리콘 패킹(204)에 의해서 기밀상태가 유지됨은 물론 고정스크류(211)의 조임부분은 상기 실리콘 패킹(204)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 커버(207)와 패킹링(210)에 의해서 기밀상태가 유지되는데, 상기 패킹링(210) 또한 실리콘 패킹(204)과 같이 고온의 열에 의해 견뎌야 하므로 실리콘 재질이어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결합판을 뒤집으면 하부패널(202)과 상부패널(203)의 위치가 바뀌면서 상기 상부패널(203)의 바같쪽면이 조리면이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 실시예에서 조리판의 결합은 가장자리 부분에서 이루어 졌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중심부분에서 한곳 더 결합을 시켜 주면 더욱 결합력이 향상될 것임은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조리판의 결합이 완료되고 나면 하부패널(202)과 상부패널(203) 내부에 위치된 면상발열체(201)로의 전원인가를 위한 별도의 작업 및 지주체(3) 고정 등의 후작업을 실시해 전기 조리기를 완성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작업 과정에서 하부패널(202)과 상부패널(203) 내부에서 면상발열체(201)와 하부패널(202) 사이에 위치되게 금속미러판(205)을 올려 놓는 것은, 결합 완료된 조리판을 전기 조리기에 적용시켜 사용할 때 상기 면상발열체(201)가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함에 따라 상부패널(203)이 가열되는 과정에서 하부패널(202)에도 그 열이 전달될 수 밖에 없는데, 이때의 하부패널(202)로 전달될려는 열은 금속미러판(205)에 부딛히면서 다시 상부패널(203) 쪽으로 되돌아가도록 하기 위함에 있고, 이로 인해 하부패널(202) 쪽으로 전이되는 열이 최소화되어 전기 조리기를 안전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부패널(203)의 가열상태가 더욱 증대되는 것임은 이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 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전기 조리기 2 : 조리판
201 : 면상발열체 202 : 하부패널
203 : 상부패널 204 : 실리콘 패킹
205 : 금속미러판 206 : 고정돌기
206a : 스크류 조임공 207 : 고정돌기 커버
208 : 끼움공 209 : 결합편
209a : 상부 수용홈 209b: 스크류 끼움공
209c : 하부 수용홈 210 : 패킹링
211 : 고정스크류

Claims (2)

  1. 외부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면상발열체와, 금속제로서 상기 면상발열체의 하부분을 보호하는 하부패널과, 금속제로서 상기 면상발열체의 상부분을 보호하는 상부패널을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널과 상부패널 사이 가장자리 부분에 빙둘러지게 위치되어 하부패널과 상부패널 사이에 밀폐력을 제공하는 실리콘 패킹과,
    상기 하부패널과 면상발열체 사이에 구비되어 면상발열체의 발열에 따른 열이 상부패널 쪽으로 이동되도록 밀어올려주는 금속미러판과,
    상기 실리콘 패킹을 사이에 두고 하부패널과 상부패널을 서로 당김 가능하게 결합시켜 주는 패널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 결합수단은,
    상기 상부패널의 둘레에 상기 실리콘 패킹을 통과하도록 상기 하부패널을 향해 고정되어 중심부분에 스크류 조임공을 갖는 복수개의 고정돌기와,
    상기 실리콘 패킹의 하부패널 대향면에 형성되어 각 고정돌기의 스크류 조임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싼상태로 커버하는 고정돌기 커버와,
    상기 하부패널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어 상부패널에 고정된 각 고정돌기가 고정돌기 커버에 감싸여진 상태로 돌출되게 끼워지는 복수개의 끼움공과,
    상기 하부패널의 외부에서 각 끼움공 부분에 접촉되어 하부패널 접촉면에 각 고정돌기 커버의 돌출부분이 수용되도록 상부 수용홈을 갖는 결합편과,
    상기 각 결합편의 중심에 각 고정돌기의 스크류 조임공과 수직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스크류 끼움공과,
    상기 각 결합편의 상부 수용홈 반대쪽에 스크류 끼움공과 이어진 상태로 형성된 하부 수용홈과,
    상기 하부 수용홈에 끼워진 패킹링과,
    외부에서 상기 각 결합편의 스크류 끼움공을 통해 각 고정돌기에 형성된 스크류 조임공으로 나사조임되며 그 머리부분이 상기 각 결합편의 하부 수용홈에 수용되는 고정스크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조리판 결합구조.
  2. 삭제
KR1020210000684A 2021-01-05 2021-01-05 전기 조리기의 조리판 결합구조 KR102461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684A KR102461551B1 (ko) 2021-01-05 2021-01-05 전기 조리기의 조리판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684A KR102461551B1 (ko) 2021-01-05 2021-01-05 전기 조리기의 조리판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859A KR20220098859A (ko) 2022-07-12
KR102461551B1 true KR102461551B1 (ko) 2022-11-01

Family

ID=8241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684A KR102461551B1 (ko) 2021-01-05 2021-01-05 전기 조리기의 조리판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5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490B1 (ko) * 2019-05-17 2020-01-03 주식회사 테라온 복사히터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5372A (ja) * 1997-02-14 1998-08-25 Zojirushi Corp 誘導加熱調理器
KR20100079973A (ko) 2008-12-31 201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10080435A (ko) 2010-01-06 2011-07-13 우영범 케이스 열쇠꾸러미
CN108368768B (zh) 2015-11-18 2020-02-21 瓦锡兰芬兰有限公司 隔热结构
KR20180119043A (ko) * 2017-04-24 2018-11-01 주식회사 더오디 보온겸용 전기식 조리장치
KR101831663B1 (ko) 2017-07-14 2018-02-23 ㈜ 한국공학기술연구원 스마트 단말에서 생태관광 컨텐츠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490B1 (ko) * 2019-05-17 2020-01-03 주식회사 테라온 복사히터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859A (ko) 202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0166B1 (en) Double layered cooking apparatus
CN205458000U (zh) 一种多功能烹调锅
KR101826787B1 (ko) 다용도 복합 조리기
KR102461551B1 (ko) 전기 조리기의 조리판 결합구조
KR100896318B1 (ko) 다용도 조리기구
KR100928141B1 (ko) 가압식 고온 가열 조리기구
JPH10238780A (ja) 調理装置
KR102399849B1 (ko) 전기 조리장치
KR101602572B1 (ko) 과열방지용 온도센서를 구비한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KR101040024B1 (ko) 탄소섬유발열체를 이용한 다목적 가열기
KR101467530B1 (ko) 비금속조리용기를 이용한 화상, 화재방지용 자동 라면조리기
KR200441569Y1 (ko) 전기식 로스터
KR200197438Y1 (ko) 조리기구
KR101754358B1 (ko) 휴대용 전기 조리기기
KR200380139Y1 (ko) 휴대용 가스 렌지에 사용되는 조리기구
KR101815777B1 (ko) 쿡탑 고정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928465B1 (ko) 황토 가열 조리기구
KR20050013091A (ko) 휴대용 가스 렌지에 사용되는 조리기구
JP2001041460A (ja) ガス加熱調理器
KR100247613B1 (ko) 가열 조리기의 양면 그릴
JPH01200589A (ja) 電磁調理器のトッププレート
KR100330623B1 (ko) 가열식 남비뚜껑
JP2003294246A (ja) 高周波加熱装置
KR101553798B1 (ko) 업소용 대형 국솥
JPS633423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