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518B1 - 분쇄기 - Google Patents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518B1
KR102461518B1 KR1020210091117A KR20210091117A KR102461518B1 KR 102461518 B1 KR102461518 B1 KR 102461518B1 KR 1020210091117 A KR1020210091117 A KR 1020210091117A KR 20210091117 A KR20210091117 A KR 20210091117A KR 102461518 B1 KR102461518 B1 KR 102461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resent
grinding
assembl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성
Original Assignee
박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성 filed Critical 박대성
Priority to KR1020210091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83Feed means us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1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axial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분쇄기가 제공된다. 상기 분쇄기는 투입구로 투입되는 투입물을 하측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투입 어셈블리; 상기 투입 어셈블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되는 분쇄 어셈블리; 및 상기 분쇄 어셈블리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 어셈블리는, 상기 투입물을 하측으로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1 투입롤러 및 제2 투입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쇄기{A SHREDDER}
본 발명은 분쇄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칼날 및 고정칼날의 착탈모듈화 및 규격화를 통해 칼날의 교체 또는 정비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투입물의 병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투입롤러가 구비되어 효율적으로 투입물이 투입되도록 하며, 배출타공망이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배출타공망의 교체 또는 정비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유압실린더를 통해 분쇄 영역의 상측이 개방 가능하여 용이하게 분쇄 영역의 부품 교체 또는 정비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분쇄기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폐기물을 재료별로 선별하여 처리 또는 소각, 매립 등의 후처리를 하기 위해서 폐기물을 보다 작은 단위 크기의 폐기물로 만들기 위한 파쇄 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1차 내지 2차에 걸친 파쇄 작업이 이루어진 후 파쇄물을 보다 작은 크기의 분쇄물로 만들기 위해 분쇄 작업이 추가적으로 수행된다.
효율적인 분쇄 작업을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분쇄기의 회전하는 복수 개의 분쇄날이 구비된 영역에 파쇄물을 투입하여 분쇄 작업이 이루어지고, 배출타공망을 통해 작은 크기의 분쇄물만을 필터링함으로써 분쇄 작업이 완료된다. 이 경우 분쇄날과 투입물과의 마찰, 충격 등으로 분쇄날 또는 분쇄날과 맞물리는 고정칼날의 마모 등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따라서 손상된 분쇄날 또는 고정칼날의 교체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분쇄기의 분쇄날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분쇄기의 상당한 크기 및 중량으로 인해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많은 힘을 가해야 하고, 또한 복잡한 분해 과정을 거쳐야 하며, 그에 따라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입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분쇄기는 파쇄물이 투입되는 과정에서 파쇄물이 서로 뭉치거나 엉키는 등으로 원활하게 투입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또한, 한 번에 많은 양의 파쇄물이 투입되면 병목 현상이 발생하여 분쇄 작업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분쇄 작업을 거친 후 소정의 크기 이하의 분쇄물만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타공망은 그 재질 및 형상으로 인해 손상되기 쉽거나 통공이 막힐 위험 등이 크므로 정기적인 교체 또는 정비가 필수적이지만, 분쇄기의 상당한 크기 및 중량으로 인해 배출타공망의 용이한 교체 또는 정비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회전칼날 및 고정칼날의 교체 또는 정비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투입물의 병목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투입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하며, 배출타공망이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배출타공망의 교체 또는 정비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분쇄 영역의 상측이 개방 가능하여 용이하게 분쇄 영역의 부품 교체 또는 정비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분쇄기에 대한 필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회전칼날 및 고정칼날의 착탈모듈화, 규격화를 구현하여 칼날 교체 또는 정비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입물의 병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투입롤러가 구비되어 효율적으로 투입물이 투입되어 분쇄될 수 있도록 하는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타공망이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배출타공망의 교체 또는 정비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를 통해 분쇄 영역의 상측이 개방 가능하여 용이하게 분쇄 영역의 부품 교체 또는 정비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분쇄기에 구비되는 반원 형상의 배출타공망과 비교하여 측면 배출구의 넓이가 보다 커짐으로써 기존의 분쇄기에 비해 분쇄물의 배출 효율성이 증가할 수 있도록 하는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입롤러 또는 구동모터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컨트롤러가 구비되어 투입물성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분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는, 투입구로 투입되는 투입물을 하측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투입 어셈블리; 상기 투입 어셈블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되는 분쇄 어셈블리; 및 상기 분쇄 어셈블리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 어셈블리는, 상기 투입물을 하측으로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1 투입롤러 및 제2 투입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 어셈블리는, 상기 분쇄 어셈블리의 상측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개폐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쇄 어셈블리는, 회전 운동함으로써 상기 투입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되는 회전분쇄유닛; 및 상기 회전분쇄유닛을 하우징하고 상기 투입물이 분쇄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분쇄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분쇄유닛은, 상기 투입물을 회전 방향으로 절삭하도록 구성되는 분쇄날을 포함하고, 상기 분쇄 하우징은, 상기 분쇄 하우징의 상측 양단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고정칼날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분쇄유닛이 회전 시 상기 분쇄날과 상기 고정칼날이 맞물리며 상기 투입물이 분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쇄날은, 상기 분쇄날의 둘레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회전칼날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칼날과 상기 고정칼날의 형상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쇄 어셈블리는, 일단이 상기 개폐 하우징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개폐용 유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용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기 분쇄 어셈블리의 상측 개폐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 어셈블리는, 상기 투입물을 수용하고 하측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투입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는 상기 투입 하우징의 전측 또는 후측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쇄 어셈블리는, 분쇄된 상기 투입물을 소정의 크기 이하의 상기 투입물로 필터링하도록 구성되는 배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 동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생성된 회전 동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동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모터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에 의하면, 회전칼날 및 고정칼날의 착탈모듈화, 규격화를 구현하여 칼날 교체 또는 정비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에 의하면, 투입물의 병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투입롤러가 구비되어 효율적으로 투입물이 투입되어 분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에 의하면, 배출타공망이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배출타공망의 교체 또는 정비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에 의하면, 유압실린더를 통해 분쇄 영역의 상측이 개방 가능하여 용이하게 분쇄 영역의 부품 교체 또는 정비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에 의하면, 기존의 분쇄기에 구비되는 반원 형상의 배출타공망과 비교하여 측면 배출구의 넓이가 보다 넓어짐으로써 기존의 분쇄기에 비해 분쇄물의 배출 효율성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에 의하면, 투입롤러 또는 구동모터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컨트롤러가 구비되어 투입물성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분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10)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10)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 어셈블리(100)를 설명하기 위한 우측 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 어셈블리(100)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하우징(140)이 개폐용 유압실린더(230)의 작동에 의해 분쇄 어셈블리(200)의 상측을 개폐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 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200)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칼날(2111)과 고정칼날(221)이 맞물리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확대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날(211)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240)이 승강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 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240)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 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10)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10)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기(10)는 투입 어셈블리(100), 분쇄 어셈블리(200), 구동 어셈블리(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10)는 투입 어셈블리(100)를 통해 투입되는 투입물을 수용하고, 투입물을 분쇄 어셈블리(200)로 유도하여 분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10)는 투입 어셈블리(100)의 상단 전측에 구비되는 투입구(111, 도 2 참고)를 통해 투입되는 투입물을 수용하고 균일하게 하측으로 공급함으로써 분쇄 어셈블리(200)로 유도할 수 있고, 분쇄 어셈블리(200)로 유도된 투입물은 구동 어셈블리(300)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분쇄 어셈블리(200)에 의해 분쇄되어 하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기(10)의 하측에는 분쇄되어 분쇄기(10)의 하측으로 배출된 투입물을 이송하는 이송 수단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 등으로 구현되는 이송 수단은 분쇄 어셈블리(2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하측에 배치된 이송 수단은 배출된 투입물을 폐기물 저장소, 소각장 등의 장소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10)는 구동모터(310)를 제어하여 투입물성에 따라 효율적으로 파쇄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10)는 악성 투입물성에 대해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쇄가 어려운 단단한 금속 등의 악성 투입물성이 투입되는 경우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10)는 회전 동력의 강도 조절 또는 정회전/역회전 전환 등으로 피드백함으로써 분쇄기(10)의 고장을 방지하고 분쇄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10)는 1차 파쇄 작업이 완료된, 또는 2차 파쇄 작업까지 완료된 파쇄물을 다시 분쇄하도록 구성되는 장치로서, 1차 내지 2차 파쇄기와 비교하여 분쇄를 구현하는 칼날 간 간격이 보다 좁게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분쇄된 투입물 중 소정의 크기 이하의 투입물만을 필터링하도록 배출타공망(241, 도 5 참고)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10)는 배출타공망(241)을 통과하지 못하는 소정의 크기를 초과하는 투입물이 소정의 크기 이하의 투입물이 될 때까지 계속하여 분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10)로 투입되어 분쇄되는 투입물은 금속류, 플라스틱류, 섬유, 종이류, 비닐류 등 다양한 종류의 물질이 혼합된 폐기물로서 사업장 폐기물, 생활 폐기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기(10)는 투입구(111)로 투입되는 투입물을 하측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투입 어셈블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 어셈블리(100)는 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되는 투입물을 수용하고 하측으로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 어셈블리(100)는 분쇄 어셈블리(2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투입물을 수용하고 하측에 배치되는 분쇄 어셈블리(200)로 유도하여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 어셈블리(100)의 세부적인 구성은 후술할 도 2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기(10)는 투입 어셈블리(100)의 하측에 배치되고 투입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되는 분쇄 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200)는 투입 어셈블리(100)에 의해 하측으로 균일하게 공급되는 투입물을 소정의 크기 이하의 투입물로 분쇄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200)는 투입 어셈블리(100)를 통해 투입된 투입물을 구동 어셈블리(300)로부터 제공받은 회전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분쇄유닛(210, 도 2 참고)을 회전시킴으로써 분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200)는 투입 어셈블리(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구동 어셈블리(300)의 측단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200)는 구동 어셈블리(300)와 축 결합됨으로써 회전 동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200)의 세부적인 구성은 후술할 도 4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기(10)는 분쇄 어셈블리(20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어셈블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300)는 구동모터(310), 감속기(320), 제1 동력전달유닛(330), 제2 동력전달유닛(340), 구동모터 컨트롤러(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10)의 구동 어셈블리(300)는 450마력의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어셈블리(300)가 450마력의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450마력 이외에도 300마력, 400마력 등 다양한 수치의 마력의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310)는 회전 동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310)는 전기 에너지 또는 유압 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 동력을 생성할 수 있고, 구동모터(310)에서 생성된 회전 동력은 감속기(320)를 통해 분쇄 어셈블리(200)로 전달되어 회전분쇄유닛(210)을 회전시키는 회전 동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310)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모터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310)의 모터회전축은 원통 형상의 구동모터(310)의 중심 축 영역에 구비될 수 있고, 구동모터(310)가 생성하는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310)는 감속기(32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310)는 생성된 회전 동력으로 모터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모터회전축과 축 결합된 감속기(320)의 모터연결축을 회전시켜 회전 동력을 감속기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320)는 구동모터(310)에서 생성된 회전 동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320)는 일측면의 일단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구동모터(310)와 축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타측면의 타단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회전분쇄유닛(210)과 축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320)는 일측면의 일단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모터연결축이 구비될 수 있고, 모터연결축은 구동모터(310)의 모터회전축과 축 결합되어 구동모터(310)로부터 회전 동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320)는 타측면의 타단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회전분쇄유닛(210)과의 연결 축이 구비될 수 있고, 회전분쇄유닛(210)과의 연결 축은 회전분쇄유닛(210)의 분쇄회전축(212, 도 4a 참고)과 축 결합하여 회전분쇄유닛(210)으로 회전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모터(310), 감속기(320), 회전분쇄유닛(210)은 일직선 상에 배치되지 않고, 감속기(320)를 기준으로 구동모터(310)와 회전분쇄유닛(210)이 양측으로 배치되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감속기(320) 내부에 감속을 구현하기 위해 상호작용하는 복수 개의 다양한 기계 요소가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320)는 구동모터(310)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회전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모터(310)의 모터회전축의 회전 속도보다 느린 회전 속도 및 모터회전축의 토크보다 큰 토크를 갖는 회전 동력을 회전분쇄유닛(210)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320)는 회전분쇄유닛(210)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구동모터(310)의 모터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모터회전축보다 회전 속도는 느리지만 보다 큰 토크를 갖는 회전 동력으로 회전분쇄유닛(210)의 분쇄회전축(212)을 회전시킴으로써 파쇄에 적절한 힘으로 투입물을 용이하게 파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320)는 스퍼 기어를 이용하여 감속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퍼 기어를 이용한 감속기(320)는 내부의 평행한 샤프트에 복수 개의 스퍼 기어를 장착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320)가 스퍼 기어를 이용하여 감속을 구현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320)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헬리컬 기어를 이용하여 감속을 구현하는 구성, 베벨 기어를 이용하여 감속을 구현하는 구성, 웜 기어를 이용하여 감속을 구현하는 구성, 유성 기어를 이용하여 감속을 구현하는 구성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감속을 구현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어셈블리(300)는 구동모터(310)와 감속기(320) 사이의 효율적인 동력 전달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제1 동력전달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동력전달유닛(330)은 구동모터(310)의 모터회전축과 감속기(320)의 모터연결축 간 축 결합을 핀 타입 커플링 구조로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300)는 감속기(320)와 회전분쇄유닛(210) 사이의 효율적인 동력 전달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제2 동력전달유닛(3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동력전달유닛(340)은 감속기(320)의 회전분쇄유닛(210)과의 연결 축과 회전분쇄유닛(210)의 분쇄회전축(212) 간 축 결합을 핀 타입 커플링 구조로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동력전달유닛(330, 340)에 의해서 구동모터(310)의 모터회전축과 감속기(320)의 모터연결축 및 감속기(320)의 회전분쇄유닛(210)과의 연결 축과 회전분쇄유닛(210)의 분쇄회전축(212)의 축 결합이 핀 타입 커플링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회전 동력 전달 시 회전 동력의 손실이 최소화되어 동력 전달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고, 또한 부품 손상 위험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동력전달유닛(330)은 축 간 상호 결합을 위한 원형 형상의 체결구가 구비될 수 있고, 축 간 상호 결합을 위한 체결구는 회전 중심 영역에 회전 중심축인 구동모터(310)의 모터회전축 및 감속기(320)의 모터연결축이 관통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되고 회전 중심 영역 통공의 사방으로 소정의 일정 간격으로 원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동력전달유닛(330)의 체결구는 구동모터(310) 측의 체결구 및 감속기(320) 측의 체결구로 이분되어 상호 맞물려 밀착될 수 있고, 양 체결구에 형성되는 회전 중심 영역 통공도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양 체결구의 회전 중심 영역 통공을 통해 회전 중심축이 일직선으로 관통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동력전달유닛(330)의 이분된 양 체결구에 형성되는 사방에 원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통공도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고, 양 체결구의 원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통공을 통해 복수 개의 핀이 관통 체결됨으로써, 구동모터(310)의 모터회전축과 감속기(320)의 모터연결축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회전축의 회전 시에도 복수 개의 핀이 양 체결구를 함께 관통하여 체결하고 있으므로, 회전 동력의 손실 없이 모터회전축의 회전 동력이 감속기(320)의 모터연결축으로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동력전달유닛(330)에 의해 구동모터(310)의 모터회전축과 감속기(320)의 모터연결축 간 축 결합이 핀 타입 커플링 구조로 구현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동력전달유닛(340)에 의해 감속기(320)의 회전분쇄유닛(210)과의 연결 축과 회전분쇄유닛(210)의 분쇄회전축(212) 간 축 결합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동력전달유닛(340)에 의해 감속기(320)의 회전분쇄유닛(210)과의 연결 축과 회전분쇄유닛(210)의 분쇄회전축(212) 간 축 결합이 핀 타입 커플링 구조로 구현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어셈블리(300)는 구동모터(310) 및/또는 감속기(320)의 하측에 배치되고, 구동모터(310) 및/또는 감속기(320)를 지지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플레이트가 구동모터(310) 및/또는 감속기(320)를 하측에서 지지 고정시킴으로써 진동 안정성을 보다 증가시키고 안정적인 파쇄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300)는 구동모터(310)의 회전 동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모터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구동모터 컨트롤러를 통해 자동으로 회전분쇄유닛(210)의 동작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어셈블리(300)는 제어 가능한 동력을 분쇄 어셈블리(200)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300)가 감속기(320)를 통해 분쇄 어셈블리(200)에 제어 가능한 회전 동력을 제공함에 따라 회전분쇄유닛(210)의 회전 동력의 강도, 속도뿐만 아니라 정지까지 조절 또는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 컨트롤러는 구동모터(310)를 제어하여 회전분쇄유닛(21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분쇄유닛(210)의 회전 동력, 회전속도, 정회전/역회전 전환 등을 투입물성에 따라 각각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파쇄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300)는 분쇄 어셈블리(200)의 회전분쇄유닛(210)의 측단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300)의 구동모터(310)는 구동모터 컨트롤러를 통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10)는 투입물성에 따라 효율적인 파쇄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300)의 구동모터 컨트롤러를 통해 분쇄 어셈블리(20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10)를 제어하는 구성은 실시간으로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거나 또는 작업 시 미리 설정된 입력값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쇄 작업 시 회전분쇄유닛(210)에 작용하는 부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여 과부하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300)는 분쇄 어셈블리(200)의 과부하를 감지하여 회전분쇄유닛(210)의 정지 또는 역회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기(10)는 음성 인식 또는 리모컨을 통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고 발생 등의 긴급 상황 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10)는 투입물의 열 또는 수분함량 등을 센싱하여 무생물이 아닌 생명체가 투입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분쇄 동작이 자동으로 중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해 투입물에서 방출되는 열, 수분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투입 어셈블리(100)의 내측의 적어도 일 영역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 어셈블리(100)를 설명하기 위한 우측 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 어셈블리(100)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입 어셈블리(100)는 투입구(111)로 투입되는 투입물을 하측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 어셈블리(100)는 투입 하우징(110), 제1 투입롤러(120), 제2 투입롤러(130), 개폐 하우징(140), 투입롤러 구동모터(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 어셈블리(100)는 투입물을 수용하고 하측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투입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 하우징(110)은 전측(또는 후측)에 투입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11)가 형성될 수 있고, 투입물이 하측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 하우징(110)은 투입구(111) 및 개방된 하면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1차 내지 2차 파쇄된 폐기물 조각들로 이루어진 투입물이 투입구(111)로 투입되어도 투입 하우징(110) 외부로의 유출을 방지하며 투입물을 수용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가 구비되는 개폐 하우징(140)의 내부 수용 공간으로 투입물을 유도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구(111)는 투입 하우징(110)의 전측(또는 후측)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투입구(111)는 투입 하우징(110)의 전측(또는 후측)에 구비될 수 있고,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투입 하우징(110)의 내부 수용 공간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구(111)는 투입 하우징(110)의 전측(또는 후측)에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 등의 이송 수단을 따라 투입구(111)로 투입되며 낙하하는 투입물이 투입구(111) 외측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효율적인 투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 하우징(110)은 경사지게 형성된 투입구(111)의 하측 끝단을 기준으로 투입구(111)의 경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투입물 슬라이드 영역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투입구(111)로 투입되어 낙하하는 투입물이 투입물 슬라이드 영역을 따라 하측으로 자연스레 낙하하여 개폐 하우징(140) 내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입 어셈블리(100)는 투입물을 하측으로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1 투입롤러(120) 및 제2 투입롤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는 투입 하우징(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개폐 하우징(140)의 내부 수용 공간에 체결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는 개폐 하우징(140)의 내부 수용 공간에 체결될 수 있고, 개폐 하우징(140)의 내부 수용 공간에 대응하는 장방형의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는 개폐 하우징(140)의 내부 수용 공간에 소정의 높이 차이를 가지도록 각각 배치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투입롤러(120)는 개폐 하우징(140)의 내부 수용 공간의 후측 상단에 배치되는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투입롤러(130)는 개폐 하우징(140)의 내부 수용 공간의 전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는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 사이 간격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는 각각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투입롤러(120)는 전측 방향(예를 들어, 도 2a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투입롤러(130)는 후측 방향(예를 들어, 도 2a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 사이의 간격은 투입 하우징(110)을 통해 투입된 투입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내측으로 회전하는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에 의해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 사이의 간격으로 투입물이 유도되어 하측으로 낙하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 사이의 간격의 하측에 배치되는 회전분쇄유닛(210)의 상측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낙하된 투입물은 회전분쇄유닛(210)이 회전함에 따라 분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는 투입물을 회전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되는 투입날(121, 도 3 참고)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는 개폐 하우징(140)의 내부 수용 공간에 대응하는 장방형의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둘레면에 투입물을 회전 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해 돌출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투입날(121)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날(121)은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의 회전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둘레면과 수직하게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는 장방형의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날(121)은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의 둘레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예를 들어,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날(121)이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의 둘레면에 구비됨으로써 투입물이 투입날(121)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밀려날 수 있고, 둘레면에 형성된 인접한 2개의 투입날(121) 사이의 공간에 투입물이 수용되어 회전 방향으로 운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의 둘레면에 형성된 인접한 2개의 투입날(121) 사이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투입물의 용량은 한정적이므로, 투입물이 균등한 용량만큼 인접한 투입날(121) 사이의 공간에 분배 수용되어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의 회전에 따라 투입물이 하측으로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가 내측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뭉치거나 엉켜 있는 투입물에도 불구하고 병목 현상 없이 원활하게 투입물이 하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입 어셈블리(100)는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투입롤러 구동모터(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롤러 구동모터(150)는 투입 하우징(110)의 후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에 대응하여 양측으로 각각 1개씩 총 2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롤러 구동모터(150)는 회전 동력을 제1 투입롤러(120) 또는 제2 투입롤러(130)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롤러 구동모터(150)의 회전축은 제1 투입롤러(120) 또는 제2 투입롤러(130)의 끝단과 축 결합됨으로써 투입롤러 구동모터(150)의 회전축의 회전 동력이 제1 투입롤러(120) 또는 제2 투입롤러(130)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투입롤러 구동모터(150)는 각각 개별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의 회전 동력, 회전속도, 정회전/역회전 전환 등을 투입물성에 따라 각각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310)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롤러 구동모터(150)는 별도의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이러한 컨트롤러를 통해 투입롤러 구동모터(150)를 제어함으로써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의 회전 동력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투입되는 투입물의 투입 속도, 투입량, 분쇄 속도, 분쇄물의 배출 속도 등을 고려하여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의 회전 속도 등을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투입 및 분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입 어셈블리(100)는 분쇄 어셈블리(200)의 상측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개폐 하우징(1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하우징(140)은 투입 하우징(1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분쇄 어셈블리(2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하우징(140)은 투입 하우징(110)으로부터 낙하되는 투입물이 통과하여 분쇄 어셈블리(200)로 유도될 수 있는 내부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하우징(140)의 내부 수용 공간은 상측이 투입 하우징(110)의 개방된 하면과 대응하는 면적 및 형상을 가지는 개방된 상면이 형성될 수 있고, 또한 하측에도 개방된 상면과 동일한 면적 및 형상을 가지는 개방된 하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하우징(140)은 상면과 하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측에 배치되는 투입 하우징(110)의 개방된 하면과 연결되는 관통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개폐 하우징(140)의 내부 수용 공간 즉, 관통 영역은 장방형의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개폐 하우징(140)의 내부 수용 공간도 장방형의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개방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 하우징(110)의 하면 또한 개폐 하우징(140)의 내부 수용 공간의 개방된 상면과 동일한 면적 및 형상을 갖는 장방형의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하우징(140)은 내부 수용 공간에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가 수용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하우징(140)은 내부 수용 공간의 좌우 방향의 양측에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투입롤러(120)는 개폐 하우징(140)의 내부 수용 공간의 후측 상단에 배치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투입롤러(130)는 개폐 하우징(140)의 내부 수용 공간의 전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하우징(140)의 내부 수용 공간은 후측 상단 및 전측 하단의 좌우 방향의 양측에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하우징(140)이 개폐용 유압실린더(230)의 작동에 의해 분쇄 어셈블리(200)의 상측을 개폐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 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 어셈블리(100)는 분쇄 어셈블리(200)의 상측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개폐 하우징(1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200)는 상측이 개방됨으로써 회전분쇄유닛(210)의 상측 및 고정칼날(221, 도 4a 참고)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 어셈블리(200)는 회전분쇄유닛(210)을 하우징하고 투입물이 분쇄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분쇄 하우징(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하우징(220)은 전후 방향(예를 들어, 도 3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의 중심 영역 및 좌우 방향의 양단에 회전분쇄유닛(210)의 좌우 방향의 양단이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분쇄회전축 수용홈(22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하우징(220)은 회전분쇄유닛(210)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분쇄 하우징(220)의 좌우 방향의 양측에 분쇄회전축 수용홈(223) 상측 전후 방향의 양단과 연결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사면은 내측 방향, 즉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하우징(140)은 회전분쇄유닛(210)이 체결된 분쇄 하우징(220)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하우징(140)의 좌우 방향의 양측은 회전분쇄유닛(210)이 체결된 분쇄 하우징(220)의 상측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하우징(140)이 분쇄 어셈블리(200)의 상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회전분쇄유닛(210)의 분쇄날(211, 도 4 참고) 및 고정칼날(221)의 교체 또는 정비가 용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하우징(140)이 분쇄 어셈블리(200)의 상측을 개폐하는 구성을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 어셈블리(200)는 일단이 개폐 하우징(140)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개폐용 유압실린더(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용 유압실린더(230)는 분쇄 어셈블리(200)의 후측 즉, 분쇄 하우징(220)의 후측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고, 일단이 개폐 하우징(140)의 제1 유압실린더 연결 힌지(141)에 체결되고 타단이 분쇄 하우징(220)의 후측 하단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하우징(140)은 후측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개폐용 유압실린더(230)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제1 유압실린더 연결 힌지(14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하우징(140)은 후측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제1 유압실린더 연결 힌지(141)를 중심으로 전측 또는 후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용 유압실린더(230)는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단축되는 피스톤로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용 유압실린더(230)는 분쇄 하우징(220)의 후측 하단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체결되어 체결 영역을 중심으로 전측 또는 후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용 유압실린더(230)의 피스톤로드가 연장되면, 개폐용 유압실린더(230)는 분쇄 하우징(220)의 후측 하단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중심으로 전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 개폐용 유압실린더(230)의 일단이 체결되는 제1 유압실린더 연결 힌지(141)가 전측 및 상측 대각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함과 동시에 개폐 하우징(140)이 개폐용 유압실린더(230)의 일단이 체결되는 제1 유압실린더 연결 힌지(141)를 중심으로 전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함으로써 분쇄 하우징(220)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용 유압실린더(230)의 피스톤로드가 단축되면, 개폐용 유압실린더(230)는 분쇄 하우징(220)의 후측 하단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중심으로 후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후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 개폐용 유압실린더(230)의 일단이 체결되는 제1 유압실린더 연결 힌지(141)가 후측 및 하측 대각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함과 동시에 개폐 하우징(140)이 개폐용 유압실린더(230)의 일단이 체결되는 제1 유압실린더 연결 힌지(141)를 중심으로 후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함으로써 분쇄 하우징(220)의 상측이 개방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용 유압실린더(230)는 별도의 제어 장치에 의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개폐용 유압실린더(23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개폐 하우징(140)을 회전시켜 분쇄 하우징(220)의 상측을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분쇄유닛(210)을 수용하는 하우징이 개폐 하우징(140) 및 분쇄 하우징(220)으로 이원화되고 개폐용 유압실린더(230)의 작동에 따라 분쇄 어셈블리(200)의 상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쇄 하우징(220)의 상측의 개폐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분쇄 하우징(220)의 상측을 개방하여 회전분쇄유닛(210)의 분쇄날(211, 도 4 참고) 및 고정칼날(221) 등의 내부 부품의 교체 또는 정비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200)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칼날(2111)과 고정칼날(221)이 맞물리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확대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날(211)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기(10)는 투입 어셈블리(100)의 하측에 배치되고 투입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되는 분쇄 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200)는 회전분쇄유닛(210), 분쇄 하우징(220), 개폐용 유압실린더(230), 배출유닛(240), 베어링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분쇄유닛(210)은 회전 운동함으로써 투입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분쇄유닛(210)은 분쇄날(211) 및 분쇄회전축(2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회전축(212)은 회전분쇄유닛(210)의 회전 축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회전축(212)은 장방형의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적어도 일부 영역에 복수 개의 분쇄날(211)이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날(211)과 분쇄회전축(21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회전축(212)은 분쇄 하우징(220)의 좌우 방향의 양단에 형성되는 분쇄회전축 수용홈(223)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회전축 수용홈(223)은 원기둥 형상의 분쇄회전축(212)이 체결될 수 있도록 상측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된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회전축(212)은 분쇄회전축 수용홈(223)에 체결될 수 있고, 또한 분쇄회전축 수용홈(223)의 개방된 상측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과하여 분쇄회전축 수용홈(223)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 어셈블리(200)는 회전분쇄유닛(210) 양측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베어링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유닛은 분쇄회전축(212)이 회전 시에도 회전하는 분쇄회전축(212)과 분쇄회전축 수용홈(223) 간 접촉으로 인한 마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유닛은 회전하는 분쇄회전축(212)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회전하는 분쇄회전축(212)의 자중과 분쇄회전축(212)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분쇄회전축(212)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분쇄날(211)은 중심 영역에 분쇄회전축(212)에 관통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체결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날(211)의 체결구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측 둘레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분쇄회전축(212)이 고정될 수 있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분쇄회전축(212)의 분쇄날(211)이 체결되는 적어도 일부 영역은 분쇄날(211)의 중심 영역에 형성되는 체결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분쇄날(211)의 중심 영역에 형성되는 체결구에 내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분쇄회전축(21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분쇄날(211)이 고정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회전축(212)은 일단이 구동 어셈블리(300)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회전축(212)은 일단이 구동 어셈블리(300)의 감속기(320)와 축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구동모터(310)는 감속기(320)를 통해 축 연결된 분쇄회전축(212)에 회전 동력을 제공함으로써 분쇄회전축(212)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날(211)은 투입물을 회전 방향으로 절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날(211)은 회전칼날(2111) 및 회전칼날착탈부(21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날(211)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분쇄회전축(21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로 구비되는 분쇄날(211)은 장방형의 분쇄회전축(212)에 관통 체결되어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날(211)은 투입물을 일측으로 운반하여 절삭하도록 구성되는 회전칼날(21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날(211)은 둘레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회전칼날(2111)이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회전칼날착탈부(211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칼날착탈부(2112)는 분쇄날(211)의 둘레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예를 들어, 6개)로 구비될 수 있고, 분쇄날(211)의 둘레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삼각 기둥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칼날착탈부(2112)는 외측 끝단이 뾰족하게 모서리진 삼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칼날착탈부(2112)는 전면에 회전칼날(2111)이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삼각 기둥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칼날착탈부(2112)는 삼각 기둥 형상의 전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마름모 형상을 갖는 회전칼날(2111)의 상측의 삼각형 형상 영역이 삼각 기둥 형상의 회전칼날착탈부(2112)의 삼각형 형상을 갖는 전면에 형상 일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칼날착탈부(2112)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고, 통공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칼날(2111)은 회전칼날착탈부(2112)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칼날(2111)의 중앙 영역에도 나사산이 형성된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칼날착탈부(2112)에 형상 일치되어 결합된 회전칼날(2111)의 통공과 회전칼날착탈부(2112)의 통공을 일치시켜 볼트를 관통 체결시킴으로써, 회전칼날착탈부(2112)에 회전칼날(2111)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날(211)의 복수 개로 구비되는 회전칼날착탈부(2112) 사이의 둘레면은 회전 중심 방향 즉, 내측 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고, 회전칼날(2111)의 하측 영역은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마름모 형상을 갖는 회전칼날(2111)의 상측의 삼각형 형상 영역이 삼각형 형상의 회전칼날착탈부(2112)의 전면에 형상 일치되어 결합되더라도 마름모 형상을 갖는 회전칼날(2111)의 하측의 역삼각형 형상 영역이 분쇄날(211)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된 영역에 형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칼날(2111)은 분쇄날(211)의 둘레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예를 들어, 6개) 구비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칼날착탈부(2112)의 전면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칼날(2111)은 마름모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고, 중앙 영역에 나사산이 형성된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200)는 회전분쇄유닛(210)을 하우징하고 투입물이 분쇄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분쇄 하우징(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하우징(220)은 고정칼날(221), 고정칼날착탈유닛(222), 분쇄회전축 수용홈(223), 제2 유압실린더 연결 힌지(2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하우징(220)은 수용 공간 상측 전후 방향의 양단과 연결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경사면은 내측 방향, 즉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칼날착탈유닛(222)은 일측에 고정칼날(221)이 형합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칼날착탈유닛(222)은 일측에 마름모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고정칼날(221)이 형합할 수 있는 지그재그 형상의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칼날착탈유닛(222)은 일측에 4개의 마름모 형상을 갖는 고정칼날(221)이 형합할 수 있는 지그재그 형상의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칼날착탈유닛(222)은 분쇄 하우징(220)의 상측 양단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칼날착탈유닛(222)은 분쇄 하우징(220)의 수용 공간 상측 전후 방향의 양단과 연결되는 경사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칼날착탈유닛(222)은 내측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산이 형성된 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칼날착탈유닛(222)은 분쇄 하우징(220)의 수용 공간 상측 전후 방향의 양단과 연결되는 경사면에 부착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칼날(221)은 분쇄 하우징(220)의 상측 양단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고정칼날착탈유닛(222)의 일측에 형성된 지그재그 형상의 단면에 형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칼날(221)은 분쇄 하우징(220)의 수용 공간 상측 전후 방향의 양단과 연결되는 경사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복수 개(예를 들어, 4개)의 고정칼날(221)은 고정칼날착탈유닛(222)의 일측에 형성된 지그재그 형상의 단면에 형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칼날(221)은 마름모 형상을 갖는 회전칼날(2111)과 동일한 형상 즉, 마름모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고, 중앙 영역에 나사산이 형성된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칼날(221)은 고정칼날착탈유닛(222)의 일측에 형성된 지그재그 형상의 단면에 형합함과 동시에 분쇄 하우징(220)의 수용 공간 상측 전후 방향의 양단과 연결되는 경사면에 부착되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칼날(2111)과 고정칼날(221)의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회전칼날(2111) 및 고정칼날(221)의 통일된 규격이 구현되어 용이하게 회전칼날(2111) 및 고정칼날(221) 간 혼용이 가능할 수 있고 교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날(211)은 회전분쇄유닛(210)이 회전함에 따라 분쇄 하우징(220)의 고정칼날(221)과 맞물리며 투입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분쇄유닛(210)이 전측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복수 개의 분쇄날(211)의 회전칼날(2111)이 분쇄 하우징(220)의 수용 공간 상측 전후 방향의 양단과 연결되는 경사면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고정칼날(221)이 형성하는 지그재그 형상의 단면과 맞물리며 회전분쇄유닛(210)의 상측으로 낙하되는 투입물을 분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칼날(221) 및/또는 고정칼날착탈유닛(222)이 분쇄 하우징(220)의 상측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칼날(2111)이 회전칼날착탈부(2112)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마모 등으로 손상된 고정칼날(221), 고정칼날착탈유닛(222) 또는 회전칼날(2111)과 같은 소모품이 용이하게 교체 또는 정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날(211) 및 분쇄회전축(212)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240)이 승강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 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240)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 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 어셈블리(200)는 분쇄된 투입물을 소정의 크기 이하의 투입물로 필터링하도록 구성되는 배출유닛(2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240)은 배출타공망(241), 배출 하우징(242), 배출용 유압실린더(24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하우징(220)은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a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하우징(220)은 개폐 하우징(140)의 개방된 하면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개방된 상면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하우징(220)은 분쇄 하우징(220)의 상측으로 투입되는 투입물이 파쇄되어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하우징(220)은 회전하는 회전분쇄유닛(210)을 수용하고 투입물이 분쇄되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240)은 분쇄 하우징(220)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배치되어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승강함에 따라 배출타공망(241)과 회전분쇄유닛(21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240)은 회전분쇄유닛(210)을 하측에서 감싸는 형상을 갖고 소정의 크기 이하의 투입물이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배출타공망(24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타공망(241)은 회전분쇄유닛(210)의 하측을 감싸도록 회전분쇄유닛(210)의 하측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인 하측 반원에서 양 측면이 상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타공망(241)은 반원 형상을 갖는 일반적인 배출타공망과 비교하여 양 측면이 약 20% 이상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따라서 분쇄된 투입물의 배출 효율성 및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타공망(241)은 분쇄된 투입물 중 소정의 크기 이하의 투입물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이 전체 영역에 걸쳐 고루 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분쇄유닛(210)이 회전함에 따라 분쇄된 투입물이 분쇄 하우징(220) 하측에 배치되는 배출타공망(241)의 상면으로 낙하될 수 있고, 분쇄된 투입물 중 배출타공망(241)에 형성된 통공보다 작은 크기의 투입물만이 배출타공망(241)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배출됨으로써 분쇄된 투입물을 소정의 크기 이하의 투입물로 필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240)은 배출타공망(241)이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배출타공망(241)을 하우징하도록 구성되는 배출 하우징(24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하우징(242)은 내측에 배출타공망(241)을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프레임이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하우징(242)은 배출용 유압실린더(243)의 작동에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하우징(242)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출용 유압실린더(243)의 일단이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240)은 작동에 따라 배출 하우징(242)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배출용 유압실린더(243)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용 유압실린더(243)는 일단이 배출 하우징(24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체결되고 타단이 분쇄 하우징(2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용 유압실린더(243)는 분쇄 하우징(220) 및 배출 하우징(242)의 전후 방향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용 유압실린더(243)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단축되는 피스톤로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용 유압실린더(243)는 피스톤 로드의 일단이 배출 하우징(24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체결되고 타단이 분쇄 하우징(2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용 유압실린더(243)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가 연장되면, 배출용 유압실린더(243)의 타단은 분쇄 하우징(2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체결되어 위치 고정되므로, 배출용 유압실린더(243)의 피스톤로드의 일단이 체결된 배출 하우징(242)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배출타공망(241)과 회전분쇄유닛(210) 사이의 간격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용 유압실린더(243)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가 단축되면, 배출용 유압실린더(243)의 타단은 분쇄 하우징(2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체결되어 위치 고정되므로, 배출용 유압실린더(243)의 피스톤로드의 일단이 체결된 배출 하우징(242)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배출타공망(241)과 회전분쇄유닛(210) 사이의 간격 거리가 좁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용 유압실린더(243)는 별도의 제어 장치에 의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배출용 유압실린더(243)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배출타공망(241)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용이하게 배출타공망(241)을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용 유압실린더(243)의 작동에 따라 배출 하우징(242)을 승강되어 배출타공망(241)과 회전분쇄유닛(210) 사이의 간격 거리가 조절됨으로써 배출타공망(241)의 교체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에 의하면, 회전칼날 및 고정칼날의 착탈모듈화, 규격화를 구현하여 칼날 교체 또는 정비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에 의하면, 투입물의 병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투입롤러가 구비되어 효율적으로 투입물이 투입되어 분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에 의하면, 배출타공망이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배출타공망의 교체 또는 정비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에 의하면, 유압실린더를 통해 분쇄 영역의 상측이 개방 가능하여 용이하게 분쇄 영역의 부품 교체 또는 정비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에 의하면, 기존의 분쇄기에 구비되는 반원 형상의 배출타공망과 비교하여 측면 배출구의 넓이가 보다 넓어짐으로써 기존의 분쇄기에 비해 분쇄물의 배출 효율성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에 의하면, 투입롤러 또는 구동모터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컨트롤러가 구비되어 투입물성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분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분쇄기
100: 투입 어셈블리
110: 투입 하우징
111: 투입구
120: 제1 투입롤러
121: 투입날
130: 제2 투입롤러
140: 개폐 하우징
141: 제1 유압실린더 연결 힌지
150: 투입롤러 구동모터
200: 분쇄 어셈블리
210: 회전분쇄유닛
211: 분쇄날
2111: 회전칼날
2112: 회전칼날착탈부
212: 분쇄회전축
220: 분쇄 하우징
221: 고정칼날
222: 고정칼날착탈유닛
223: 분쇄회전축 수용홈
230: 개폐용 유압실린더
240: 배출유닛
241: 배출타공망
242: 배출 하우징
243: 배출용 유압실린더
300: 구동 어셈블리
310: 구동모터
311: 모터 회전축
320: 감속기
330: 제1 동력전달유닛
340: 제2 동력전달유닛

Claims (10)

  1. 분쇄기(10)로서,
    투입구(111)로 투입되는 투입물을 하측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투입 어셈블리(100);
    상기 투입 어셈블리(1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되는 분쇄 어셈블리(200); 및
    상기 분쇄 어셈블리(20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어셈블리(300)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 어셈블리(100)는, 상기 투입구(111)가 형성되는 투입 하우징(110)을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111)는 상기 투입 하우징(110)의 전측에 구비되어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투입 하우징(110)의 내부 수용 공간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투입 하우징(110)은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투입구(111)의 하측 끝단을 기준으로 상기 투입구(111)의 경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투입물 슬라이드 영역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투입 어셈블리(100)는, 상기 투입물을 하측으로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1 투입롤러(120) 및 제2 투입롤러(1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투입롤러(120, 130)가 상기 투입물에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분쇄 어셈블리(200)는,
    회전 운동함으로써 상기 투입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되는 회전분쇄유닛(210);
    상기 회전분쇄유닛(210)을 하우징하도록 구성되는 분쇄 하우징(220); 및
    상기 회전분쇄유닛(210)을 하측에서 감싸는 형상을 갖고 소정의 크기 이하의 상기 투입물이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배출타공망(241)이 구비되는 배출유닛(240)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분쇄유닛(210)은, 둘레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회전칼날(2111) 및 회전칼날착탈부(2112)가 구비되어 상기 투입물을 회전 방향으로 절삭하도록 구성되는 분쇄날(211)을 포함하되, 상기 분쇄날(211)은 상기 회전칼날(2111)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마름모 형상을 갖는 상기 회전칼날(2111)의 상측의 삼각형 형상 영역이 삼각형 형상의 상기 회전칼날착탈부(2112)의 전면에 형상 일치되어 결합되고 상기 회전칼날(2111)의 하측의 역삼각형 형상 영역이 상기 분쇄날(211)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된 영역에 형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분쇄 하우징(220)은, 상기 회전칼날(2111)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고정칼날(221); 및 상기 분쇄 하우징(220)의 수용 공간 상측 양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고정칼날착탈유닛(222)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칼날(221)은, 마름모 형상을 갖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칼날착탈유닛(222)의 일측에 형성된 지그재그 형상의 단면에 형합함과 동시에 상기 분쇄 하우징(220)의 수용 공간 상측 전후 방향의 양단과 연결되는 경사면에 부착되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출유닛(240)은, 분쇄 공간의 하측에 배치되어 승강하도록 구성되고, 승강함에 따라 상기 회전분쇄유닛(210)과 상기 배출타공망(241)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1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어셈블리(100)는, 상기 분쇄 어셈블리(200)의 상측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개폐 하우징(140)을 더 포함하는,
    분쇄기(10).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분쇄유닛(210)이 회전 시 상기 분쇄날(211)과 상기 고정칼날(221)이 맞물리며 상기 투입물이 분쇄되는,
    분쇄기(10).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칼날(2111)과 상기 고정칼날(221)의 형상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10).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어셈블리(200)는, 일단이 상기 개폐 하우징(140)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개폐용 유압실린더(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용 유압실린더(23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분쇄 어셈블리(200)의 상측 개폐가 조절되는,
    분쇄기(10).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300)는,
    상기 회전 동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모터(310); 및
    상기 생성된 회전 동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감속기(320)를 포함하는,
    분쇄기(10).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300)는,
    상기 구동모터(310)의 회전 동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모터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분쇄기(10).
KR1020210091117A 2021-07-12 2021-07-12 분쇄기 KR102461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117A KR102461518B1 (ko) 2021-07-12 2021-07-12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117A KR102461518B1 (ko) 2021-07-12 2021-07-12 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518B1 true KR102461518B1 (ko) 2022-11-01

Family

ID=84042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117A KR102461518B1 (ko) 2021-07-12 2021-07-12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5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418A (ko) * 2014-12-26 2016-07-06 박대성 분쇄기 장치의 투입롤러
KR20170057663A (ko) * 2015-11-17 2017-05-25 주식회사 정상케미칼 재활용 폐기물 분쇄장치
KR102153568B1 (ko) * 2019-04-15 2020-09-08 장수석 산업폐기물 분쇄기의 스크린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418A (ko) * 2014-12-26 2016-07-06 박대성 분쇄기 장치의 투입롤러
KR20170057663A (ko) * 2015-11-17 2017-05-25 주식회사 정상케미칼 재활용 폐기물 분쇄장치
KR102153568B1 (ko) * 2019-04-15 2020-09-08 장수석 산업폐기물 분쇄기의 스크린 승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2948A (en) Comminuting device with face
WO2008038420A1 (en) Crusher
US5509610A (en) Centrifugal chopping and grinding apparatus
JP7109475B2 (ja) 粉砕装置
JP5341898B2 (ja) ローラミル、及びそれを用いた原料の粉砕方法。
KR102461518B1 (ko) 분쇄기
KR100526953B1 (ko) 목재 분쇄 장치
KR101076712B1 (ko) 목재 분쇄 장치
KR200405320Y1 (ko) 폐비닐 분쇄기
KR200481451Y1 (ko) 고추분쇄장치
EP2065091B1 (de) Materialzerkleinerer
KR102470667B1 (ko) 기계식 파쇄기
KR101279294B1 (ko) 파쇄기를 구비한 차량
KR102406759B1 (ko) 제어 가능한 인입 메커니즘을 가진 분쇄 디바이스
KR20190000425U (ko) 분쇄기
KR102461515B1 (ko) 유압식 파쇄기
KR20160020941A (ko) 일체형 파분쇄기 장치
KR101819428B1 (ko) 일체형 파분쇄기 장치의 양축방식 분쇄기 장치
KR20160079418A (ko) 분쇄기 장치의 투입롤러
KR100705773B1 (ko) 산업폐기물 및 폐차량 처리용 슈레더
KR100200949B1 (ko) 곡물 및 고추 분쇄기와 그 분쇄방법
KR20160020943A (ko) 일체형 파분쇄기 장치의 파쇄기 장치
KR200456409Y1 (ko) 경량 잡고체 폐기물 분쇄기
KR102570034B1 (ko) 파쇄기
KR20010026592A (ko) 목재 파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