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140B1 - 유리판 보조칠판 설치형 칠판 - Google Patents

유리판 보조칠판 설치형 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140B1
KR102461140B1 KR1020210027253A KR20210027253A KR102461140B1 KR 102461140 B1 KR102461140 B1 KR 102461140B1 KR 1020210027253 A KR1020210027253 A KR 1020210027253A KR 20210027253 A KR20210027253 A KR 20210027253A KR 102461140 B1 KR102461140 B1 KR 102461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board
glass plate
auxiliary
plat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3827A (ko
Inventor
남명석
Original Assignee
남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명석 filed Critical 남명석
Priority to KR1020210027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140B1/ko
Publication of KR20220123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3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01Wall mounting or suspension arrangement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A47B97/06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with means for balancing weight of blackboards or the like, e.g. connected to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B43L1/06Blackboard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12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having translucent writing surfaces producing visual impressions by co-operation with backing memb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22Sl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유리판 보조칠판 설치형 칠판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중앙칠판(10)의 좌우측에 좌우측 게시판(40, 50)이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 게시판(40, 50) 내부에는 좌우측 보조칠판(20, 30)이 설치되며, 상기 중앙칠판(10)은 승하강이 되되, 상기 좌우측 보조칠판(20, 30) 둘 다 또는 어느 하나는 유리판(1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리판(100)후방으로 보조판인 금속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리판(100)은 표면에 앤티 글래어(Anti-Glare)처리가 된 것으로,
유리판을 게시판 후면의 보조칠판으로 위치시킴으로써 깨짐 등으로부터 보호하며, 유리판을 빔프로젝터 스크린으로 사용하므로, 빔프로젝터 위치가 설령 잘못되었다고 하더라도 빔프로젝터를 이동시킬 필요 없이 유리판 이동만으로 화면을 맞출 수 있고,
식각유리 보조칠판을 중앙으로 이동시킨 경우 중앙칠판을 같이 상승시키면 뒤쪽의 학생들이 빔프로젝터 화면을 좀 더 잘 볼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리판 보조칠판 설치형 칠판{Glass plate type sub blackboard installation type blackboard}
본발명은 유리판 보조칠판 설치형 칠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판을 게시판 후면의 보조칠판으로 위치시킴으로써 깨짐 등으로부터 보호하며, 유리판을 빔프로젝터 스크린으로 사용하므로, 빔프로젝터 위치가 설령 잘못되었다고 하더라도 빔프로젝터를 이동시킬 필요 없이 유리판 이동만으로 화면을 맞출 수 있고, 유리판 보조칠판을 중앙으로 이동시킨 경우 중앙칠판을 같이 상승시키면 뒤쪽의 학생들이 빔프로젝터 화면을 좀 더 잘 볼 수 있는 유리판 보조칠판 설치형 칠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등에서 분필로 판서하여 학생들을 교사가 가르치는 용도로 사용되는 벽에 붙여 사용하는 붙박이칠판에 있어서, 상기 붙박이칠판은 무게가 무겁고 크기가 커서 보조칠판을 측면에 설치하고 중앙칠판만을 승하강하게 구성하여 사용되고 있고, 일례로서, 종래기술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498058호에는 상부부재(11)와 하부부재(12)를 갖는 주칠판(10)과, 상기 주칠판(10)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주칠판(10)의 양측에 결합되고 벽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보조게시판(20), 상기 주칠판(10)의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에 상하단이 고정되어 수직설치되는 한 쌍의 승강봉(50), 상기 각각의 승강봉(50) 둘레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외주면에 결합리브(61)가 일체로 형성되고 후방쪽에 고정리브(63)가 설치된 가이드채널(60), 상기 각각의 가이드채널(60)의 고정리브(63)에 결합됨과 아울러 후방벽면에 고정되는 고정앵글(64), 상기 결합리브(61)에 결합되는 연결브라켓(67), 상기 결합리브(61)에 대응하여 하부부재(12)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71) 및 상기 고정브라켓(7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74)에 해권가능하게 권취되고 자유단이 연결브라켓(67)에 고정연결되는 다수의 정하중 태엽스프링(75)을 가진 다수의 정하중 태엽스프링 유니트(70)를 구비하는 승강가능한 칠판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보조게시판(20)의 하면으로부터 주칠판(10)쪽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스톱퍼부재(90); 및 상기 주칠판(10)의 승강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주칠판(10)의 중앙부를 상하 수직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브레이크장치(100)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장치(100)는, 상기 주칠판(10)의 상부부재(11)로부터 상기 하부부재(12)까지 수직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결합부재(140); 상기 결합부재(140)의 측면에 이격되어서 설치되며, 후방 고정벽면에 상하로 고정된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131)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는 가이드봉(130); 상기 결합부재(140)의 상부 후면에 고정설치된 스프링하우징(120);
상기 스프링하우징(120)의 상단에 중심부가 고정설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봉(130)이 삽입될 수 있는 멈춤공(116)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조정핀(113)이 설치된 회동판(115); 상기 스프링하우징(120)의 내부에 내장된 스프링(117);
상기브레이크장치(100)를 조정하기 위한 조절레버(110); 및 상기 회동판(115)의 조정핀(113)과 상기 조절레버(110)를 연결하는 와이어(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가능한 칠판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4-0096439호에는 높이조절 가능한 칠판에 있어서, 상기 칠판은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를 가지는 주 칠판(1)과, 상기 주 칠판(1)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면이 벽면에 고정되고 주 칠판(1)쪽 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을 가진 양쪽 보조 게시판(2)과, 상기 양쪽 보조 게시판(2)의 개구단을 통하여 주 칠판(1)의 앞쪽에서 주 칠판(1)의 길이방향으로 인출가능하게 삽입되는 양쪽 보조 칠판(3)과, 상기 주 칠판(1) 뒤쪽 위치에 상기 주 칠판의 상부부재(6) 및 주칠판의 하부부재(5)에 상·하단이 고정되어 수직설치되는 2개의 승강봉(7)과, 상기 각 승강봉(7) 둘레로 승강봉(7)이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외주면 양쪽에 2개의 결합리브(10)가 각각 설치되고 외주면 후측에 고정리브(12)가 설치된 2개의 승강부시(8)와, 상기 각 승강부시(8)의 고정리브(12)에 결합됨과 아울러 벽면에 부착되는 2개의 고정앵글(9)과, 상기 2개의 결합리브(10)들에 결합되는 4개의 연결브래킷과, 상기 주 칠판의 하부부재(5)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62), 상기 고정브래킷(62)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64), 상기 회전축(64)에 일단이 고정되어 해권가능하게 회전축(64) 둘레로 권취되고, 자유단이 연결브래킷에 고정연결되는 다수의 정하중 태엽스프링(65)을 가진 다수의 정하중 태엽스프링 유니트(11)와, 상기 보조 게시판의 하부부재(14)에 설치되어 보조 칠판(3)의 높이에 맞추어 주 칠판(1)의 하강을 저지하고, 상기 주 칠판(1)을 보조 칠판(3)과 같은 높이에서 고정한 다음 상기 주 칠판(1)의 전면으로 보조 칠판(3)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13)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칠판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중앙칠판 및 보조칠판이 분필을 판서하는 용도로만 사용하므로, 빔프로젝터등의 용도나, 분필외 다양한 필기구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발명은 유리판을 게시판 후면의 보조칠판으로 위치시킴으로써 깨짐 등으로부터 보호하며, 유리판을 빔프로젝터 스크린으로 사용하므로, 빔프로젝터 위치가 설령 잘못되었다고 하더라도 빔프로젝터를 이동시킬 필요 없이 유리판 이동만으로 화면을 맞출 수 있고, 유리판 보조칠판을 중앙으로 이동시킨 경우 중앙칠판을 같이 상승시키면 뒤쪽의 학생들이 빔프로젝터 화면을 좀 더 잘 볼 수 있는 유리판 보조칠판 설치형 칠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유리판 보조칠판 설치형 칠판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중앙칠판(10)의 좌우측에 좌우측 게시판(40, 50)이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 게시판(40, 50) 내부에는 좌우측 보조칠판(20, 30)이 설치되며, 상기 중앙칠판(10)은 승하강이 되되, 상기 좌우측 보조칠판(20, 30) 둘 다 또는 어느 하나는 유리판(1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리판(100)후방으로 보조판인 금속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리판(100)은 표면에 앤티 글래어(Anti-Glare)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유리판을 게시판 후면의 보조칠판으로 위치시킴으로써 깨짐 등으로부터 보호하며, 유리판을 빔프로젝터 스크린으로 사용하므로, 빔프로젝터 위치가 설령 잘못되었다고 하더라도 빔프로젝터를 이동시킬 필요 없이 유리판 이동만으로 화면을 맞출 수 있고,
유리판 보조칠판을 중앙으로 이동시킨 경우 중앙칠판을 같이 상승시키면 뒤쪽의 학생들이 빔프로젝터 화면을 좀 더 잘 볼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승강가능한 칠판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승강가능한 칠판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승강가능한 칠판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 승강가능한 칠판의 승강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종래 승강가능한 칠판의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되지 않아 칠판이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종래 승강가능한 칠판의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되어 칠판이 상하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발명의 유리판 보조칠판 설치형 칠판 작동도
도 8은 본발명의 유리판 보조칠판 설치형 칠판 구성도
도 9는 본발명의 유리판 보조칠판 설치형 칠판 다른 실시례의 구성도
도 10은 본발명의 유리판 보조칠판 설치형 칠판 또다른 실시례의 구성도(결합전 상태도)
도 11은 도 10의 결합후 상태도
도 12는 본발명의 유리판 보조칠판 단면도
도 13은 본발명의 유리판 보조칠판 평면도
본발명은 유리판 보조칠판 설치형 칠판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중앙칠판(10)의 좌우측에 좌우측 게시판(40, 50)이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 게시판(40, 50) 내부에는 좌우측 보조칠판(20, 30)이 설치되며, 상기 중앙칠판(10)은 승하강이 되되, 상기 좌우측 보조칠판(20, 30) 둘 다 또는 어느 하나는 유리판(1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리판(100)후방으로 보조판인 금속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리판(100)은 표면에 앤티 글래어(Anti-Glare)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리판(100)의 후방으로 보조판인 금속판인 강판, 완충판, 강판 또는 알미늄강판이 순차적으로 더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판은 하니콤 또는 스티로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판은 GI강판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승강가능한 칠판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승강가능한 칠판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승강가능한 칠판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 승강가능한 칠판의 승강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종래 승강가능한 칠판의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되지 않아 칠판이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종래 승강가능한 칠판의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되어 칠판이 상하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발명의 유리판 설치형 칠판 작동도, 도 8은 본발명의 유리판 설치형 칠판 구성도, 도 9는 본발명의 유리판 설치형 칠판 다른 실시례의 구성도이다.
본발명은 하나의 중앙칠판(10)의 좌우측에 좌우측 게시판(40, 50)이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 게시판(40, 50) 내부에는 좌우측 보조칠판(20, 3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칠판(10)은 승하강이 되되, 상기 좌우측 보조칠판(20, 30) 중 어느 하나는 유리판(1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 보조칠판은 좌우측 게시판의 각각 우측 및 좌측에 형성되는 출입구멍 내지 홈을 통해 중앙칠판의 중심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상기 좌우측칠판 중 하나를 가로 및 세로의 비율을 1: 1로 하고 나머지 하나는 4:6 등과 같이 구성한다. 해당 구성비율에 따라 해당 좌우측 게시판을 1 : 1 내지 4:6비율로 구성한다.
상기 유리판은 식각유리로 만들어 사용한다. 식각은 관용의 에칭에 의한 유리표면에 문양이나 모양을 형성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유리판(100)은 0.2~2.0mm의 두께이며, 전면은 Gross 10~50 정도로 식각(Etching)을 하고 후면은 백색 또는 유색의 차폐 접착 필름(101)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리판(100)은 0.2~2.0mm의 두께이며, 전면은 Gross 10~50 정도로 식각(Etching)을 하고 후면은 백색 또는 유색의 차폐 접착 필름(101)을 부착한다.
유리판은 얇은 유리 판을 사용하는 것으로, 유리가 얇아 보드마카 등으로 판서를 하더라도 이중상이 없으며, 후면의 강판에는 자석을 부착할 수 있다. 특히, 식각 유리판은 Gross가 10~50 정도로 식각을 하여 빛 반사가 거의 없어 빔프로젝터 스크린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 동시에 빛 반사가 거의 없는 보드마카용 화이트보드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백색 또는 유색의 차폐 접착 필름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백페인팅(Back-Painting) 방식에 비해 빛의 손실이 거의 없어 빔프로젝터 투사시 화면이 더 밝고 선명할 뿐 아니라, 설령 유리가 깨진다고 하더라도 안전하다. 중앙칠판은 상하좌우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좌우측 보조칠판과 게시판은 각각 좌우측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례로서, 유리판(100) 후면은 0.2~0.8mm의 강판(102)을 부착하고, 상기 강판(102) 후면에는 스티로폼이나 하니콤(103)을 부착하고, 상기 스티로폼이나 하니콤(103) 후면에는 0.2~0.4mm의 알루미늄판(104)을 부착한다.
본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는 도면 곧, 도 10은 본발명의 유리판 보조칠판 설치형 칠판 또다른 실시례의 구성도(결합전 상태도), 도 11은 도 10의 결합후 상태도
도 12는 본발명의 유리판 보조칠판 단면도, 도 13은 본발명의 유리판 보조칠판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1~2mm의 얇은 백색 알미늄을 칠판 2개가 맞닿는 면에 배치하여 고정하되, 후면을 감싸서 (a) 이를 칠판의 후면과 해당 백색 알미늄을 고정시키고, (b) 알미늄이 유리보다 1~2mm 전면으로 나오도록 해서 칠판과 프레임을 단단하게 고정하며, 유리의 측면을 보호하면서, 유리 측면에 손가락 등이 베일 일이 없도록 하며, 빔프로젝터 등을 투사하였을 때 연결부가 보이는 것을 최소화시키며, 판서를 할 때 연결부가 2~4mm 정도로 최소화되어 2개의 칠판을 하나처럼 연결해서 판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발명은 유리 뒷면에 GI 강판을 부착해 자석 사용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연결하는 4면 코너 중 2곳을 손잡이 홈과 자석이 연결된 것으로 대체하여, 칠판 2개가 서로 손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하며, 손잡이 홈을 통해 손쉽게 칠판 2개를 탈부착할 수 있으며, 일반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 지움성이 영구적이며, AG 글라스를 사용하는 경우 빔프로젝터 사용 및 판서 또한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는 단면이 직사각형 고리모양이며, 전방으로 자석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자석은 롤러자석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롤러자석은 원통형케이스 내부에 원기둥형상의 자석이 케이스 내벽과 틈이 있게 케이스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제작되어 삽입되어 있어서 반대측 자석이 동일자극으로 척력이 작용할 때 케이스 내부에서 회전하여 다른 자극으로 되어, 항상 인력이 작용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보조치판을 전체적으로 사용할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상부손잡이의 상변과 하부손잡이의 하변은 힌지로 결합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상하방향으로 각각 젖히면, 하부의 유리판이 드러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손잡이가 형성되는쪽 알미늄, 곧 좌우측 세로방향 알미늄 상면에는 접착제로 보조유리판을 각각 형성하여, 좌우 보조칠판을 맞닿았을때도 상기 보조유리판위에 화면을 띄울수 있다.
그리고 본발명은 앤티 글래징 처리를 위한 식각유리판을 게시판 후면의 보조칠판으로 위치시킴으로써 깨짐 등으로부터 보호하며, 식각유리판을 빔프로젝터 스크린으로 사용하므로, 빔프로젝터 위치가 설령 잘못되었다고 하더라도 빔프로젝터를 이동시킬 필요 없이 식각유리판 이동만으로 화면을 맞출 수 있다.
그리고 유리판 보조칠판을 중앙으로 이동시킨 경우 중앙칠판을 같이 상승시키면 뒤쪽의 학생들이 빔프로젝터 화면을 좀 더 잘 볼 수 있다. 함께 상승시 중앙칠판에서 유리판보조칠판이 분리되지 않게 클램프를 중앙칠판의 하면 전방으로 돌출되는 단턱에 별도 설치할 수 있다. 클램프가 닫힌상태가 된 것을 센서, 곧 관용의 광센서나 접촉센서로 파악하고, 센서는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클램프가 닫힌 상태가 아닐경우에는 중앙칠판을 상승시키는 모터를 가동되지 않게 지시하고, 수동일 경우에는 중앙칠판 승하강 브레이크를 설치하고, 상기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승하강되지 않게 한다.
또한, 빔프로젝터를 칠판의 상단부에 고정시켜 빔프로젝터와 중앙칠판이 같이 움직이도록 하여 화면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중앙칠판에는 부착구를 설치하되, 상기 부착구는 전동액츄에이터로서 전원을 온하면 중앙칠판에 부착된 실린더에서 로드가 앞으로 돌출되게 한다. 그러므로 길이가 길어져 로드 선단에 부착된 빔프로젝터와 보조칠판인 식각유리판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빔을 투영하는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부착구 하부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턴테이블이 설치되어,빔프레젝터를 뒤로 회전시켜 중앙에 슬라이딩이동되어 위치하는 유리판에 빔을 투영한다.
본발명의 중앙칠판의 승하강운동, 좌우측보조칠판의 좌우측 운동에 대해 설명하면, 주로 칠판들은 서로 슬라이딩 운동으로 승하강 내지 좌우측이동되지만, 일례로서 종래기술인 등록번호 10-0498058에 기재된 바와 같다(도면부호는 설명편의상 종래기술 명세서에 표기된 그대로 표기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은 주칠판(10)과 상기 주칠판(10)의 양측에 보조게시판(20)으로 구성된 사각의 칠판으로서, 상기 주칠판(10)은 상기 보조게시판(20)에 대해 상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조게시판(20)의 내부에는 보조칠판(30)이 내장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주칠판(10)쪽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칠판(10)의 하강시에 주칠판(10)이 상기 보조게시판(20)의 높이와 동일한 곳에 멈추도록 하기 위한 스톱퍼부재(90)가 상기 보조게시판(20)으로부터 주칠판쪽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상기 사각 칠판(1)의 주칠판(2)의 좌우 양측에는 보조게시판(20)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게시판(20)는 후방 벽면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주칠판(10)의 앞면에 대한 좌우 연장면과 상기 보조게시판(20)의 배면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 주칠판(10)의 앞쪽으로 미닫이식으로 필요에 따라 인출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칠판(30)이 각각 설치된다.
보조칠판(30)은 주칠판(10)의 양쪽에 각각 1개 또는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칠판(30)은 강의 목적에 따라 방안지가 표시된 것, 오선지가 표시된 것 등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칠판(10), 보조게시판(20) 및 보조칠판(30)의 구성을 갖는 사각의 칠판(1)에 있어서, 상기 주칠판(10) 내부 양측에는 승강봉(50)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승강봉(50)은 그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상부부재(11) 및 하부부재(12)에 고정볼트(51)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지지될 수 있다. 승강봉(50)의 하단을 하부부재(12)에 고정할 때에는 내구성을 위하여 하부부재(12)의 저면에 보강판(52)을 설치하고 이 보강판(52)을 통하여 고정볼트(51)에 의하여 승강봉(50)을 하부부재(12)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승강봉(50)의 둘레에는 승강봉(50)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가이드채널(60)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채널(60)의 외주면 좌우 양쪽에는 결합리브(6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후방쪽에는 고정리브(6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기 고정리브(63)에는 고정앵글(64)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65)에 의하여 고정되고, 이 고정앵글(64)은 상단부 및 하단부가 셋팅볼트(66)에 의하여 벽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앵글(64)을 통하여 가이드채널(60)가 벽면에 고정됨에 따라 가이드채널(60)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된 승강봉(50)이 상하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주칠판(10)이 보조게시판(20)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채널(60)의 결합리브(61)에는 연결브라켓(67)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연결브라켓(67)의 일측 단부가 결합리브(61)에 각각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68)을 통하여 고정됨으로써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지지된 연결브라켓(67)들과 이와 대응하는 위치의 하부부재(12)는 다수의 정하중 태엽스프링 유니트(7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됨으로써 승강봉(50)의 승강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정하중 태엽스프링 유니트(70)는 정하중 태엽스프링들을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정하중 태엽스프링은 강철재 띠를 태엽과 같이 감아서 성형된 것이며, 이른 바 네게다 스프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정하중 태엽 스프링은 태엽처럼 권취되어 사용됨으로써 자유단에 하중을 가하면 권취 또는 해권되다가 소정의 하중 이상에서 하중을 제거하면 하중의 작용에 의하여 이미 권취 또는 해권된 길이가 그대로 유지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정하중 태엽스프링의 특성을 이용하여 칠판을 지지함은 물론칠판의 승강높이를 임의로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부재(12)의 상면에는 상기 연결브라켓(67)들과 대응하여 고정브라켓(71)들이 차례로 설치된다. 상기 고정브라켓(71)은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73)을 통하여 양단부가 하부부재(12) 상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구성을 위하여 승강봉(50)의 하단을 고정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보강판(52)을 통하여 체결수단(73)에 의하여 양단부가 하부부재(12) 상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브라켓(71)의 상면 양쪽에는 지지돌기(7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돌기(72)들에 회전축(7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74)에는 다수의 정하중 태엽스프링(75)이 권취되고, 이와 같이 권취된 정하중 태엽스프링(75)들의 자유단은 상기 연결브라켓(67)의 하단부에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수단(77)을 통해 고정된다. 따라서, 벽면에 고정앵글(64)이 고정부착되고, 이 고정앵글(64)은 고정리브(63)를 통하여 가이드채널(60)과 결합됨과 아울러 가이드채널이 연결브라켓(67) 및 정하중 태엽스프링 유니트(70)을 통하여 주칠판(10)의 하부부재(12)에 연결됨으로써, 주칠판(10)은 상기 정하중 태엽스프링 유니트(70)에 의하여 승강조절될 수 있다.
정하중 태엽스프링(75) 및 정하중 태엽스프링 유니트(70)의 설치 갯수는 주칠판의 크기, 중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칠판(10)이 상기 보조게시판(20)에 대해 하강할 때에, 상기 주칠판(10)이 상기 보조게시판(20)과 동일한 높이에서 멈출 수 있도록, 상기 보조게시판(2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주칠판(10)쪽으로 스톱퍼부재(90)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스톱퍼부재(90)에 대응하는 주칠판(10)의 하부면에 오목부(15)를 형성하여, 상기 스톱퍼부재(9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들을 통해 주칠판(10)이 상하로 승강운동을 하는데 있어서, 주칠판(10)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킨 후에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가 도 5 및 도 6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장치(100)는 상기 주칠판(10)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상기 주칠판(10)의 상부부재(11)로부터 상기 하부부재(12)까지 결합부재(140)가 연장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재(140)의 측면에 이격되어서 가이드봉(130)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봉(130)은 후방 고정벽면 또는 고정앵글에 상하로 고정된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131)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140)의 상부 후면에는 스프링하우징(120)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스프링하우징(120)의 상단에는 회동판(115)이 고정설치되고 스프링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스프링(117)이 내장된다. 상기 회동판(115)의 일측에는 멈춤공(116)이 형성되어 있고, 그 타측에는 조정핀(11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멈춤공(116)에는 상기 가이드봉(13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조정핀(113)은 와이어(111)을 통해 조절레버(110)와 연결되어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봉(130)의 외경보다 상기 멈춤공(116)의 내경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승강가능한 칠판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주칠판(10)을 상기 보조게시판(20)에 대해 상방으로 승강시키면, 상기 주칠판(10)의 양측에 고정설치된 한 쌍의 승강봉(50)이 함께 상방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각각의 승강봉(50)은 후방 벽면에 고정된 상기 가이드채널(60)에 대해 슬라이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채널(60)에 결합된 연결브라켓(67)의 하단부에 일측이 연결된 정하중 태엽스프링(75)이 권치되고, 상기 주칠판(10)이 적절한 높이에 도달하였을 때 승강을 멈추면 상기 정하중 태엽스프링의 특성 상 상기 정하중 태엽스프링(75)들의 권취가 중단되고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주칠판(10)의 높이가 소정의 높이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안정적인 위치 고정을 위해 상기 브레이크장치(100)의 조절레버(1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도 6참조), 상기 와이어(111)가 잡아당겨지면서 조정핀(113)이 하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조정핀(113)의 이동에 따라 상기 회동판(115)이 상기 스프링(117)을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여 상기 회동판(115)에 형성된 멈춤공(116)이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어 경사진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후방벽면에 고정된 가이드봉(130)의 외주면에 상기 멈춤공(116)의 내부면이 경사진 상태로 면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주칠판(10)이 더 이상 승강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상기 주칠판(10)을 상기 보조게시판(20)에 대해 상방으로 더 올리거나 하방으로 내릴 경우에는, 상기 조절레버(1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도 5 참조). 그러면, 상기 스프링(117)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동판(115)이 수평상태로 복귀한다. 그 후에, 상기 회동판(115)의 멈춤공(116)이 상기 가이드봉(130)과 면접촉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주칠판(10)이 상하로 승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에, 상기 주칠판(10)을 상기 보조게시판(20)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최하단까지 하강시킬 경우에, 상기 주칠판(10)은 상기 스톱퍼부재(90)에 의해 멈추게 되고, 상기 보조게시판(20)의 높이와 동일하게 되며, 그로 인해 상기 보조칠판(30)이 상기 보조게시판(20)의 내부로부터 주칠판(10)쪽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유리판을 게시판 후면의 보조칠판으로 위치시킴으로써 깨짐 등으로부터 보호하며, 유리판을 빔프로젝터 스크린으로 사용하므로, 빔프로젝터 위치가 설령 잘못되었다고 하더라도 빔프로젝터를 이동시킬 필요 없이 식각유리판 이동만으로 화면을 맞출 수 있고, 중앙칠판을 상승하고, 식각유리 보조칠판을 중앙으로 이동시킨 경우 칠판을 상승시키면 뒤쪽의 학생들이 화면을 좀 더 잘 볼 수 있으며, 빔프로젝터를 중앙칠판의 상단부에 고정시켜 빔프로젝터와 중앙칠판이 같이 움직이도록 하여 화면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 중앙칠판 20, 30 : 좌우측 보조칠판
40, 50 : 좌우측 게시판 100 : 유리판
101 : 접착필름 102 : 강판
103 : 스티로폼이나 하니콤 104 : 강판 내지 알루미늄판
105 : 알루미늄판
1 : 손잡이 2 : 자석
3 : 볼트

Claims (3)

  1. 하나의 중앙칠판(10)의 좌우측에 좌우측 게시판(40, 50)이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 게시판(40, 50) 내부에는 좌우측 보조칠판(20, 30)이 설치되며, 상기 중앙칠판(10)은 승하강이 되되, 상기 좌우측 보조칠판(20, 30)은 유리판(1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리판(100)후방으로 보조판인 금속판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리판(100)은 표면에 앤티 글래어(Anti-Glare)처리가 된 것이며, 상기 유리판(100)의 후방으로 보조판인 금속판인 강판/ 완충판/ 강판 또는 알미늄강판이 순차적으로 더설치되는 유리판 보조칠판 설치형 칠판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보조칠판(20, 30)이 맞닿는 면에 백색 알미늄을 배치하여 고정하되, 후면을 감싸서 칠판의 후면과 해당 백색 알미늄을 고정시키고, 백색 알미늄이 유리판(100)보다 일정길이 전면으로 나오도록 해서 칠판과 프레임을 단단하게 고정하며, 유리판(100)의 측면을 보호하면서, 유리판(100) 측면에 손가락이 베일 일이 없도록 하여, 빔프로젝터을 투사하였을 때 연결부가 보이는 현상을 줄이며,
    유리판(100) 뒷면에 강판을 부착해 자석(2) 사용이 가능하며, 4면 코너 중 2곳을 손잡이 홈과 자석(2)이 연결된 것으로 대체하여, 좌우측 보조칠판이 서로 손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손잡이(1)는 단면이 직사각형 고리모양이며, 자석(2)이 결합되어 있고 상부손잡이의 상변과 하부손잡이의 하변은 힌지로 결합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를 상하방향으로 각각 젖히면, 하부의 유리판이 드러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보조칠판 설치형 칠판
  2. 삭제
  3. 삭제
KR1020210027253A 2021-03-02 2021-03-02 유리판 보조칠판 설치형 칠판 KR102461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253A KR102461140B1 (ko) 2021-03-02 2021-03-02 유리판 보조칠판 설치형 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253A KR102461140B1 (ko) 2021-03-02 2021-03-02 유리판 보조칠판 설치형 칠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3827A KR20220123827A (ko) 2022-09-13
KR102461140B1 true KR102461140B1 (ko) 2022-10-28

Family

ID=83286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253A KR102461140B1 (ko) 2021-03-02 2021-03-02 유리판 보조칠판 설치형 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1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058B1 (ko) * 2004-09-06 2005-07-01 김민자 승강가능한 칠판
KR101539248B1 (ko) * 2014-10-22 2015-07-27 ㈜미래미디어텍 프로젝터 영상 투사가 가능한 판서겸용 스크린 글래스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058B1 (ko) * 2004-09-06 2005-07-01 김민자 승강가능한 칠판
KR101539248B1 (ko) * 2014-10-22 2015-07-27 ㈜미래미디어텍 프로젝터 영상 투사가 가능한 판서겸용 스크린 글래스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3827A (ko)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4650B2 (ja) 黒板装置及びスクリーンの設置方法
KR102461140B1 (ko) 유리판 보조칠판 설치형 칠판
WO2018176990A1 (zh) 带保护装置的 led 显示屏
KR102461207B1 (ko) 유리판 설치형 칠판
KR100576264B1 (ko) 승강칠판의 최하점 위치결정장치
KR100498058B1 (ko) 승강가능한 칠판
JP2655829B2 (ja) 教育用ボード
CN112918161B (zh) 一种磁性书写板及其控制方法
JP5877392B2 (ja) ボード昇降機構
JP2566540B2 (ja) 教育用ボード
JP2008100443A (ja) 黒板装置
CN211719191U (zh) Led显示屏防撞装置
KR0158094B1 (ko) 승하강 개폐칠판의 다단계 승강위치 결정장치
KR200298921Y1 (ko) 이동식 스크린
JP3585876B2 (ja) プロジェクタ遮光装置
CN220873189U (zh) 一种稳定型导向标识牌
KR0154372B1 (ko) 승하강 칠판의 승강장치
CN115349705B (zh) 一种用于教学的多媒体讲台
JP2007334160A (ja) スライドアップスクリーン装置
KR102572671B1 (ko) 전자칠판용 다용도 커버
KR970003008Y1 (ko) 승하강 개폐칠판
CN210087216U (zh) 一种智慧校园用升降式校门
CN219867008U (zh) 一种教学触摸屏安装结构
KR200275703Y1 (ko) 키높이 칠판
KR100236733B1 (ko) 롤권취식 칠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