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054B1 -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054B1
KR102461054B1 KR1020180012012A KR20180012012A KR102461054B1 KR 102461054 B1 KR102461054 B1 KR 102461054B1 KR 1020180012012 A KR1020180012012 A KR 1020180012012A KR 20180012012 A KR20180012012 A KR 20180012012A KR 102461054 B1 KR102461054 B1 KR 102461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supply
demand
trading
patte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2816A (ko
Inventor
이헌상
Original Assignee
이헌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상 filed Critical 이헌상
Priority to KR1020180012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0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2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Abstract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은 특정 금융상품에 대한 복수의 거래주체들의 매매패턴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모듈, 상기 복수의 거래주체들 전부 또는 일부의 매매패턴에 따라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미리 정해진 복수의 패턴들인 수급패턴들 중 어떤 수급패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 투자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생성된 투자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investment using supply patter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래주체들의 매매패턴 중 유의미한 패턴을 복수의 패턴들로 유형화한 수급패턴들을 정의하고 이를 투자정보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융상품에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투자정보들이 이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거래주체들(예컨대, 개인, 연기금, 외국인, 기관, 투신 등) 각각이 특정 금융상품을 매수하고 있는지 매도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중요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거래 계에서는 통상 수급이라고 하며, 수급에 대한 정보는 투자에 있어 유용한 정보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급에 대한 정보를 종래에 일반 사용자들이 활용할 수 있기가 쉽지는 않았다. 종래의 HTS에서는 특정 거래주체들의 특정 금융상품에 대한 수급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투자자들은 수급을 다른 정보(예컨대, 체결정보 및/또는 거래원 등)로부터 간접적으로 추측하여 사용하는 수준에 그쳤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특허출원(10-2015-0143562, "실시간 주식 매매 수급 분석 및 시각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주식 매매 수급 분석 및 시각화 방법", 이하 '종래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수급정보를 제공하지 않던 종래의 HTS를 개선하여 단편적으로 거래주체들 각각이 특정 금융상품에 거래에 참여하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을 통해 제공받는 정보만으로는 투자자가 어떤 거래주체들이 어떤 매매패턴을 보일 때 주가가 어떻게 움직일지 파악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어떤 매매패턴이 유의미한지도 파악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출원(10-2015-0143562, "실시간 주식 매매 수급 분석 및 시각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주식 매매 수급 분석 및 시각화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거래주체들 각각의 매매패턴들을 종합하여 유의미한 패턴인 수급패턴들을 정의하고, 이를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수급패턴이라는 주요한 정보를 투자자들이 용이하게 투자전략에 바녕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은 특정 금융상품에 대한 복수의 거래주체들의 매매패턴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모듈, 상기 복수의 거래주체들 전부 또는 일부의 매매패턴에 따라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미리 정해진 복수의 패턴들인 수급패턴들 중 어떤 수급패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 투자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생성된 투자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은 상기 수급패턴들 각각을 정의하기 위한 수급패턴 조건을 저장하며, 상기 수급패턴들은 복수의 매수 수급패턴들 및 복수의 매도 수급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급패턴들은 주요세력들에 상응하는 주요세력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상기 복수의 거래주체들 중 미리 지정된 복수의 상기 주요 세력들이 모두 순매수 또는 순매도로 전환하는 변곡패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상기 주요세력 패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상기 변곡패턴 이후 연속적으로 상기 주요 세력들이 순매수 또는 순매도를 이어가고 있는 연속패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상기 주요세력 패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수급패턴들은 기관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상기 복수의 거래주체들 중 기관이 순매수 또는 순매도 이후, 최근 소정 기간 동안 누적 매수량 또는 누적 매도량을 돌파하는 패턴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상기 기관패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복수의 거래주체들 각각의 상기 특정 금융상품에 대한 매매패턴을 지수화 하여 지수화된 복수의 거래주체들 각각의 매매패턴의 지수의 합계에 기초하여 주가의 상승 하락을 예측하기 위한 예측지수를 상기 투자정보로써 더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거래당일의 주가가 양봉 또는 음봉인지 여부, 거래당일의 주가가 5일 이평선 기준 어디에 위치하는지 여부, 또는 거래당일의 거래량이 전일 거래량 대비 많은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 더 지수화하고, 지수화된 수치를 상기 합계에 더 반영하여 상기 예측지수를 상기 투자정보로써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예측지수에 대응되는 양음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양음블록은 제1블록이 하나 이상 일렬로 배치된 양블록 패턴 및 제2블록이 하나 이상 일렬로 배치된 음블록 패턴을 포함하고, 양블록 패턴에 표시된 상기 제1블록의 개수가 많을수록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을 나타내는 상기 예측지수가 높은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를 표현하며, 음블록 패턴에 표시된 상기 제2블록의 개수가 많을수록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을 나타내는 상기 예측지수가 높은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급패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수급패턴에 해당하는 금융상품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은 특정 금융상품에 대한 복수의 거래주체들의 매매패턴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모듈, 상기 복수의 거래주체들 각각의 상기 특정 금융상품에 대한 매매패턴을 지수화 하여 지수화된 복수의 거래주체들 각각의 매매패턴의 지수의 합계에 기초하여 주가의 상승 하락을 예측하기 위한 예측지수를 생성하고, 상기 예측지수에 대응되는 양음블록을 생성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양음블록은 제1블록이 하나 이상 일렬로 배치된 양블록 패턴 및 제2블록이 하나 이상 일렬로 배치된 음블록 패턴을 포함하고, 양블록 패턴에 표시된 상기 제1블록의 개수가 많을수록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을 나타내는 상기 예측지수가 높은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를 표현하며, 음블록 패턴에 표시된 상기 제2블록의 개수가 많을수록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을 나타내는 상기 예측지수가 높은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방법은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이 특정 금융상품에 대한 복수의 거래주체들의 매매패턴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거래주체들 전부 또는 일부의 매매패턴에 따라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미리 정해진 복수의 패턴들인 수급패턴들 중 어떤 수급패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 투자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이 상기 투자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급패턴들은 주요세력들에 상응하는 주요세력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패턴들인 수급패턴들 중 어떤 수급패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 투자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이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상기 복수의 거래주체들 중 미리 지정된 복수의 상기 주요 세력들이 모두 순매수 또는 순매도로 전환하는 변곡패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상기 주요세력 패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턴들인 수급패턴들 중 어떤 수급패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 투자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이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상기 변곡패턴 이후 연속적으로 상기 주요 세력들이 순매수 또는 순매도를 이어가고 있는 연속패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상기 주요세력 패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방법은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이 특정 금융상품에 대한 복수의 거래주체들의 매매패턴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거래주체들 각각의 상기 특정 금융상품에 대한 매매패턴을 지수화 하여 지수화된 복수의 거래주체들 각각의 매매패턴의 지수의 합계에 기초하여 주가의 상승 하락을 예측하기 위한 예측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이 생성하느 상기 예측지수에 대응되는 양음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양음블록은 제1블록이 하나 이상 일렬로 배치된 양블록 패턴 및 제2블록이 하나 이상 일렬로 배치된 음블록 패턴을 포함하고, 양블록 패턴에 표시된 상기 제1블록의 개수가 많을수록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을 나타내는 상기 예측지수가 높은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를 표현하며, 음블록 패턴에 표시된 상기 제2블록의 개수가 많을수록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을 나타내는 상기 예측지수가 높은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방법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단순히 거래주체가 현재 특정 금융상품(예컨대, 주식종목)을 매수하고 있는지 매도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미리 유의미한 수급패턴들을 정의하고 이를 일반수요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급패턴이라는 주요한 정보를 용이하게 투자전략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급패턴을 일반 투자자들이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수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수급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용이하게 일반 투자자가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급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을 직관적이고 시각적으로 표현한 양음블록을 제공함으로써 일반 투자자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급패턴을 미리 유형화함으로써 일반 수요자가 미리 정의된 유형화한 수급패턴에 해당하는 금융상품을 용이하게 검색하고 그 결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방법이 적용된 소프트웨어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100)은 사용자의 단말기(10)에 설치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상기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하드웨어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투자에 사용하는 사용자의 단말기(10)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0)를 구동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0)는 소정의 외부 시스템(2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시스템(20)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외부 시스템(20)은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100)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시스템(20)이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정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수급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일 수 있다. 예컨대, 특정 금융상품 별 주문체결에 대한 정보(거래일자별 주문출력기관, 거래량, 거래시점, 주문종류, 주가, 소정 기간동안의 누적 거래량 등)가 상기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상기 외부 시스템(20)은 증권거래소 시스템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100)으로 상기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면 어떠한 시스템(예컨대, 증권사 시스템, 포털 서비스 시스템 등)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 시스템(20)은 도 1에는 어느 하나의 시스템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시스템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외부 시스템(20)을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주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 복수의 수급패턴들을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금융상품이 상기 복수의 수급패턴들 중 어떤 수급패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급패턴들 중 어떤 수급패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고 함은, 특정 금융상품이 어떠한 수급패턴들에도 해당하지 않음을 판단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수급패턴이라 함은 특정 거래주체(예컨대, 외국인, 기관계, 투신, 연기금, 개인 등)가 특정 금융상품을 매수하고 있는지 또는 매도하고 있는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거래주체들 전부 또는 일부가 어떤 매매패턴을 가지는지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매매패턴이라 함은 하루 또는 연속된 거래일 동안 미리 정해진 매매행태를 가지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거래일 동안 매수, 매도, 거래량이 얼마인지, 누적 거래량은 얼마인지, 연속된 매매종류가 무엇인지 등이 매매패턴일 수 있다.
결국 특정 금융상품에 대해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의 거래 데이터로부터 주가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고 미리 정의된 유의미한 매매패턴이 발견된 경우, 이러한 패턴이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수급패턴일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100)은 특정 금융상품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수급패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투자정보로써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100)은 거래주체별 수급즉, 거래주체별 매매행태에 기초하여 소정의 지수를 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지수는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를 나타내는 지수일 수 있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들이 수급을 분석할 필요가 없이 이러한 지수를 확인함으로써 간편하게 수급에 따른 주가의 방향을 예측할 수 있고 이를 적극적으로 투자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100)은 이러한 지수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양음블록이라는 그래픽 객체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들은 이러한 그래픽 객체를 통해 직관적으로 수급에 따른 주가의 예측된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그래픽 객체가 연속된 거래일 동안 표시되는 경우는 그래픽 객체 자체가 일정한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그래픽 객체 즉, 양음블록의 연속된 배열이 패턴을 형성하여 또 다른 유의미한 투자정보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100)은 독립된 애플리케이션 일 수도 있고,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소프트웨어일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100)을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는 종래의 HTS(Home Trading System) 또는 MTS(Mobile Trading System)에 추가적으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HTS 또는 상기 MTS와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HTS 또는 상기 MTS 의 애드온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거나, 미리 약속된 API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상기 외부 시스템(20)은 상기 HTS 또는 상기 MTS 측 서버일 수도 있고, 상기 HTS 또는 상기 MTS 자체일 수도 있다.
기타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100)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외부 시스템(20) 역시 수급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필요정보를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100)으로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시스템(예컨대, 거래소 시스템, 포털싸이트, 증권사 시스템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110), 확인모듈(120), 및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100)은 소정의 DB(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듈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하며 특정 물리적 구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한 논리적인 구성을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10), 상기 확인모듈(120),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 및/또는 상기 DB(140) 각각은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모듈(110), 상기 확인모듈(120),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 및/또는 상기 DB(140) 각각을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결합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구성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상기 모듈들을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100)에 포함되는 다른 구성(예컨대, 상기 확인모듈(120),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 및/또는 상기 DB(140) 등) 각각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resource)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확인모듈(120)은 특정 금융상품에 대한 복수의 거래주체들(예컨대, 개인, 외국인, 기관, 투신, 연기금 등)의 매매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외부 시스템(20)으로부터 상기 매매패턴을 확인하기 위한 필요정보(예컨대, 거래당일 또는 소정의 과거 거래일 동안의 주문 중개기관, 거래주체(추정정보), 거래량, 주문종류, 거래시간, 누적거래량 등)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사익 제어모듈(110)은 상기 복수의 거래주체들 전부 또는 일부의 매매패턴에 따라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미리 정해진 복수의 패턴들인 수급패턴들 중 어떤 수급패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결과 자체가 투자정보로써 유의미한 가치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은 상기 제어모듈(110)에 의해 생성된 투자정보(예컨대, 수급패턴 판단결과)를 사용자의 단말기(1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DB(140)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금융상품의 수급에 대하 정보, 전술한 바와 같은 필요정보, 주가, 차트, 또는 수급패턴을 정의하기 위한 수급패턴 조건에 대한 정보, 기타 다양한 정보들이 상기 DB(14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반드시 유형화된 솔루션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현된 정보저장 매체 및 이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수급패턴들은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된 유의미한 거래주체별 또는 서로 다른 거래주체들의 매매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매매패턴을 정의하는 정보 즉, 수급패턴 조건에 대한 정보가 상기 DB(14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100)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상기 DB(140)에 자신이 유의미하다고 판단한 수급패턴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정의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매매패턴을 새롭게 수급패턴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수급패턴들은 복수의 매수 수급패턴들 및 복수의 매도 수급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매수 수급패턴과 매도 수급패턴은 서로 반대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급패턴의 일 예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제1패턴 : 제1패턴은 주요세력에 관련된 패턴일 수 있다. 주요세력은 복수의 거래주체들 중 주요한 거래주체라고 미리 정해진 복수의 거래주체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주요세력은 외국인, 기관, 투신, 연기금 전부일 수도 있고, 이들 중 2이상일 수도 있다.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주요세력은 달리 정의될 수도 있다.
제1패턴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패턴 중 가장 주가에 영향력이 크다고 판단되는 수급패턴으로 상기 주요세력이 모두 동시에 순매수(순매도)로 전환 되는 변곡점이다. 또한 반대로 개인들은 대량의 물량을 빼앗기는(확보하는) 패턴으로 단기 및 중장기 자금 모두 유입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제1패턴 이후 주요세력은 추가적인 주식 매수 및 본격적인 매집에 가담할 가능성이 높고 주가는 이에 동행해서 상승 및 상승전환(하락 및 하락전환) 할 가능성이 높은 패턴일 수 있다.
-제2패턴 : 상기 제1패턴 이후 주요세력이 계속해서 동시 순매수(순매도)에 가담하는 패턴으로 주요세력의 매집이 연속 되고 있다는 평가와 함께 주가 역시 추가적인 상승 가능성이 높은 패턴일 수 있다. 주식을 추가매수 및 보유하기에 좋은 패턴일 수 있다.
-제3패턴 : 제3패턴은 기관 순매수(순매도) 이후 일시적으로 기관 매도(매수) 또는 관망이 있었지만 최근 가장 많이 매수(매도)했던 누적 매수량(매도량)의 고점을 돌파하는 패턴이다. 즉 기관들은 주가와 상관 없이 이 주식을 더 사들이겠다(팔겠다)는 신호로 볼 수 있다. 주가 역시 제3패턴 이후 추가적인 상승(하락) 가능성이 높다. 주가의 기술적 패턴으로는 '전고점 돌파' 또는 '저항선 돌파' 정도로 해석 가능하다.
-제4패턴 : 제4패턴은 거래주체들 중 외국인의 매매패턴과 관련된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주가에서 외국인의 매매패턴은 상당히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4패턴은 보통 중대형주에 나타날 때 좋은(나쁜) 수급패턴일 수 있다. 그동안 외국인이 순매도(순매수) 연속 또는 매도(매수) 집중 후 본격적인 대량 순매수(순매도)를 시작하는 변곡점으로 판단하면 된다. 대량 순매수(순매도)의 변곡점 이후 추가적인 외국인의 순매수(순매도) 가능성은 높을 수 있다. 외국인 순매수(순매도)에도 주가가 하락(상승)할 경우 기관이 이 물량 이상의 대량물량을 순매도(순매수) 하는 경우가 있을 수는 있다.
-제5패턴 : 제5패턴 역시 외국인의 매매패턴과 관련된 패턴일 수 있다. 제5패턴은 제4패턴 이후 발생하는데 외국인이 미리 정해진 거래일(예컨대, 3일) 이상 순매수(순매도) 또는 미리 정해진 최근 기간(예컨대, 최근 1주일 내) 동안 미리 정해진 거래일(예컨대, 3일) 이상 순매수(순매도) 하는 패턴이다. 보통 외국인이 연속 매수(매도)를 하는 경우 주가가 동행해서 상승(하락)할 때는 외국인이 주력 세력으로 보면 되는데 기관의 순매수(순매도)가 합쳐질 경우에 더욱 좋은 패턴일 수 있다.
-제6패턴 : 제6패턴은 기관이 매도세(매수세)를 마감하고 본격적인 매수(매도)로 전환 가능성이 높은 수급패턴으로 기관 순매수(순매도) 전환의 변곡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6패턴 이전에 기관이 매도세(매수세)를 지속했다면 이제 매도(매수) 보다는 매수(매도)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고 제6패턴 발생 이후로는 기관들의 순매수가 연속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패턴일 수 있다.
-제7패턴 : 제7패턴은 주요 거래주체 중 하나인 연기금의 매매패턴과 관련된 수급패턴일 수 있다. 제7패턴은 연기금이 매도세(매수세)를 마감하고 본격적인 매수(매도)로 전환 될 가능성이 높은 패턴이다. 보통 낙폭(상승폭) 과대주의 경우 조만간 주가의 저점(고점)이 나올 가능성이 높고 상승추세(하락추세)의 종목이라면 중기적인 상승(하락)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는 패턴일 수 있다.
-제8패턴 : 제8패턴 역시 연기금의 매매패턴과 관련된 수급패턴일 수 있다. 제7패턴 이후 발생하는데 연기금이 미리 정해진 거래일(예컨대, 3일) 이상 순매수(순매도) 또는 미리 정해진 최근 기간(예컨대, 최근 1주일 내) 동안 미리 정해진 거래일(예컨대, 3일) 이상 순매수(순매도) 하는 패턴이다. 보통 연기금이 연속 매수를 하는 경우는 매집으로 볼 수 있는데 특히 낙폭 과대 바닥의 경우 연기금이 매집을 지속 한다면 향후 주가의 턴어라운드를 중기적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 또한 보통 연기금이 연속 매도를 하는 경우는 중장기 자금의 이탈로 볼 수 있는데 경계신호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연기금의 매도 물량 이상 외국인과 기관계의 대량 순매수가 이어질 경우 주가는 조금 더 추가상승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제9패턴 : 제9패턴은 주요한 거래주체인 투신의 매매패턴과 관련한 수급패턴일 수 있다. 매수의 제9패턴은 단기 및 중기패턴에서 단기성 자금의 유입으로 볼 수 있는 패턴인데 보통 투신의 매집 지속과 함게 주가 역시 상승하는 패턴으로 볼 수 있다. 투신의 성향은 중단기적인 수익률게임에 집착하기 때문에 만약 투신의 매수세가 일단락 되면 중소형주의 경우 상승 탄력 정체와 주가상승이 마무리 될 수 있는 패턴이다. 또한, 매도의 제9패턴은 단기 및 중기패턴에서 단기성 자금의 이탈로 보는 패턴인데 보통 투신의 매도 지속과 함게 주가 역시 상승 탄력을 잃는 경우가 많다. 투신의 성향은 중단기적인 수익률게임에 집착하기 때문에 투신의 매도세가 이어진다면 중소형주의 경우 추가 하락 가능성 및 주가 상승 탄력이 떨어질 수 있는 패턴이다.
-제10패턴 : 제10패턴은 주요한 거래주체인 개인의 매매패턴과 관련한 수급패턴일 수 있다. 보통 주가는 개인투자자와 반대로 가는 성향이 존재할 수 있다. 예외적인 초소형주를 제외하면 개인이 사는 주식은 떨어지고 개인이 팔면 주식은 오르게 되어 있다. 따라서 매수의 제10패턴은 개인이 외국인 또는 기관계에 대량의 물량을 빼앗기는 변곡점일 수 있다. 이후 주가는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패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매도의 제10패턴은 개인이 외국인 또는 기관계의 대량의 차익물량을 받아가는 변곡점으로 이후 주가는 추가적인 하락 및 상승 탄력 둔화 가능성이 높은 패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외에도 필요에 따라 주가에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되는 유의미한 거래주체들의 매매패턴이 수급패턴으로 정될 수 있다.
또한, 특정 금융상품은 경우에 따라 매수의 수급패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함과 동시에 매도의 수급패턴 중 어느 하나에도 해당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현재 상기 특정 금융상품의 봉차트(예컨대, 일봉, 주봉 등)의 형태(예컨대, 양봉인지 음봉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특정 금융상품의 수급패턴을 매수의 수급패턴 또는 매도의 수급패턴 중 어느 하나의 수급패턴으로만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특정 금융상품의 일봉이 현재 양봉인 경우에는 매수의 수급패턴 중에서 우선적으로 상기 특정 금융상품의 수급패턴을 결정할 수 있고, 상기 특정 금융상품의 일봉이 현재 음봉인 경우에는 매도의 수급패턴 중에서 우선적으로 상기 특정 금융상품의 수급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두 가지 패턴이 동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주가의 상승 또는 하락의 확률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경우일 수 있고, 이때에는 최근(예컨대, 당일 또는 주간, 월단 등)의 매수세 또는 매도세를 나타내는 봉처트(예컨대, 일봉, 주봉, 월봉 등)을 기준으로 어떤 수급패턴으로 판단할지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신뢰성 있는 투자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예측지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예측지수는 거래주체별 수급 즉, 매매패턴에 기초하여 정의되며, 주가의 상승 또는 하락의 확률을 나타내는 지수일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거래주체별 매매패턴만으로 상기 예측지수를 정의할 수도 있고, 소정의 추가정보들(예컨대, 거래당일 양봉인지 여부, 현재가(종가)가 5일 이동평균선의 상단(하단)에 위치하는지 여부, 당일 거래량과 전일 거래량이 누가 많은지 여부 등)에 더 기초하여 상기 예측지수를 정의할 수도 있다.
상기 예측지수는 복수의 거래주체들 각각의 상기 특정 금융상품에 대한 매매패턴을 지수화 하여 지수화된 복수의 거래주체들 각각의 매매패턴의 지수의 합계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예측지수는 거래당일의 매매패턴에 기초한 주가예측을 나타내는 지표일 수도 있고, 전 거래일의 매매패턴에 기초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일 예에 의하면, 매수 예측지수는 외국인 순매수일 경우 소정의 a 점, 기관계가 순매수일 경우 b점, 연기금 순매수일 경우 c점, 투신 순매수일 경우 d 점으로 지수화될 수 있다. 물론 순매수가 아닐 경우는 0점일 수 있다. 그러면 매수의 예측지수는 a+b+c+d 점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거래당일 양봉(즉, 시가보다 현재가(종가)가 높은) 경우 e점, 현재가(종가)가 5일 이동평균선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 f점, 양봉일 경우 당일 거래량이 전일 거래량보다 많은 경우 g점으로 지수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a+b+c+d+e+f+g가 매수의 예측지수가 될 수 있다.
물론 매도의 예측지수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예측지수는 100점을 초과되지 못하도록 각각의 지수별 점수가 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거래주체별 매매패턴에 따라 주가를 구체적으로 예측하지 못하는 일반 투자자들도 이러한 지수화된 예측지수를 보고 용이하게 주가방향을 예측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투자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예측지수를 이용하여 시각적인 지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각적인 지표(그래픽 객체)를 정의하는 것은 어느 하나의 독립적인 지표가 표시되는 경우에도 시각적으로 직관적이면서도 유의미한 정보(예컨대, 봉차트의 봉과 같이)를 가질 수 있지만, 연속된 지표들 즉, 일련의 연속된 그래픽 객체는 또 다른 유의미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패턴이 유의미하게 주가의 예측에 활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시각적인 지표(그래픽 객체)를 양음블록이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양음블록의 일 예는 도 3에 도시된 시각적 지표(40)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예측지수에 대응되는 양음블록을 생성할 수 있고 양음블록 자체가 유의미한 투자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양음블록(도 3의 40)은 제1블록(양의 블록)이 하나 이상 일렬로 배치된 양블록 패턴(양음블록의 우측) 및 제2블록(음블록)이 하나 이상 일렬로 배치된 음블록 패턴(양음블록의 좌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양블록 패턴은 붉은색으로 표시될 수 있고, 음블록 패턴은 파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양블록 패턴에 표시된 상기 제1블록의 개수가 많을수록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양블록 하나는 매수의 예측지수가 0~25점 사이인 경우를 나타내고, 양블록 두 개가 일렬로 배치된 경우는 매수의 예측지수가 25~50점 사이인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양블록 세 개는 매수의 예측지수가 50~75점 사이인 경우, 네 개는 매수의 예측지수가 75~100점 사이인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음블록 패턴에 표시된 상기 제2블록의 개수가 많을수록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음블록 하나는 매도의 예측지수가 0~25점 사이인 경우를 나타내고, 음블록 두 개가 일렬로 배치된 경우는 매도의 예측지수가 25~50점 사이인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음블록 세 개는 매도의 예측지수가 50~75점 사이인 경우, 네 개는 매도의 예측지수가 75~100점 사이인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에서는 양음블록에 포함된 양블록 패턴 및 음블록 패턴이 각각 4개의 블록으로 표시되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그 개수(예컨대, 3개 또는 5개 등)는 다양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예측지수를 이용한 그래픽 객체인 양음블록을 정의하고 이를 표시하는 경우, 단순히 지수(예컨대, 숫자)로 나타내는 것에 비해 직관성이 커질 수 있다. 또한 연속된 일련의 그래픽 객체는 또다른 유의미한 패턴을 생성하여 투자에 활용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10)은 사용자의 단말기(10)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급패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수급패턴에 해당하는 금융상품을 검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검색결과가 투자정보로써 의미를 가질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10)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모듈(110)은 전술한 바와 같은 예측지수를 조건(예컨대, 매수 예측지수가 몇 점 이상(몇점에서 몇점사이) 또는 매도 예측지수가 몇 점 이상(몇 점에서 몇 점사이) 등)이으로 하여 원하는 종목을 검색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음블록을 조건(예컨대, 양블록이 3개 이상 또는 4개 이상 등)으로 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사상이 구현된 일 예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방법이 적용된 소프트웨어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소정의 소프트웨어(예컨대, MTS)는 특정 금융상품(예컨대, 포스코대우)의 주가나 차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수급패턴에 대한 정보(30), 양음블록에 대한 정보(40), 및/또는 예측지수에 대한 정보(41)를 더 사용자의 단말기(1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금상첨화 연속'이라는 수급패턴은 전술한 수급패턴 중 제2패턴을 일컷는 용어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프트웨어는 수급패턴의 종류 및 해당 수급패턴이 가지는 의미를 수급패턴에 대한 정보(30)로 사용자의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금융상품의 양음블록에 대한 정보(40)는 양블록이 4개인 패턴으로써 상기 특정 금융상품의 주가는 매우 상승할 가능성이 큼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금융상품의 매수의 예측지수(예컨대, 88점)에 대한 정보(41)가 사용자의 단말기(10)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가 상승(또는 하락) 확률은 예측지수에 소정의 확률변수(예컨대, 0.94)를 곱한 수일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프트웨어는 양음블록 차트(50)를 사용자의 단말기(10)로 제공할 수 있다. 양음블록 차트(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연속된 양음블록을 표시한 차트일 수 있으며, 이때에는 양블록 패턴 또는 음블록 패턴 중 어느 하나만 해당 거래일의 양음블록으로 표시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4는 도 3과는 다른 특정 금융상품(예컨대, 한진칼)에 대해서도 주가나 차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수급패턴에 대한 정보(31), 양음블록에 대한 정보(42), 및/또는 예측지수에 대한 정보(43)를 더 사용자의 단말기(10)로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일 예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수급패턴인 '연기금매집 변곡'는 상술한 수급패턴 중 매수의 제7패턴을 일컫는 말일 수 있다. 또한 양음블록(42)에서 양블록 패턴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며, 예측지수(43)는 14점 정도로 추정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프트웨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은 투자정보(예컨대, 수급패턴, 예측지수, 또는 양음블록)을 이용하여 해당조건에 맞는 금융상품을 검색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오늘의 황금배팅 변곡점'은 수급패턴 중 매수의 제1패턴을 갖는 금융상품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양음블록 만점 종목'은 양블록의 개수가 최대인 금융상품을, '양음블록 급상승'은 양블록의 개수가 전일대비 큰 차이로 많아진 금융상품을, '점프업 매수 강화' 는 매수의 제3패턴을, '연기금 매집 변곡점'은 매수의 제7패턴을, '개인대량매도 변곡점'은 매수의 제10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투자정보(예컨대, 수급패턴, 예측지수, 또는 양음블록)을 이용하여 해당조건에 맞는 금융상품을 검색할 수 있어서,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종래에는 투자정보로써 활용하기 어려운 수급에 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그리고 매우 용이하게 투자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프트웨어는 특정 거래주체(예컨대, 연기금)이 연속으로 특정 매매패턴(예컨대, 순매수)을 수행하고 있는 금융상품을 검색하여서 사용자의 단말기(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금융상품의 현재가 뿐만 아니라, 양음블록, 및/또는 예측지수를 같이 사용자의 단말기(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 매매패턴에 해당하는 금융상품의 검색결과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관심종목 등을 제공하는 UI 등과 같이 다양한 금융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UI에서도 각각의 금융상품의 현재가 뿐만 아니라, 양음블록, 및/또는 예측지수를 사용자의 단말기(10)로 더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특정 금융상품에 대한 복수의 거래주체들의 매매패턴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모듈;
    상기 복수의 거래주체들 전부 또는 일부의 매매패턴에 따라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미리 정해진 복수의 패턴들인 수급패턴들 중 어떤 수급패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 투자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생성된 투자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적어도 제1패턴, 제2패턴, 및 제3패턴을 포함하는 복수의 수급패턴들 중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어떤 수급패턴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제1패턴은,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상기 복수의 거래주체들 중 미리 지정된 복수의 상기 주요 세력들이 모두 순매수 또는 순매도로 전환하는 변곡패턴이고,
    상기 제2패턴은,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상기 변곡패턴 이후 연속적으로 상기 주요 세력들이 순매수 또는 순매도를 이어가고 있는 연속패턴이며,
    상기 제3패턴은,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상기 복수의 거래주체들 중 기관이 순매수 또는 순매도 이후, 최근 소정 기간 동안 누적 매수량 또는 누적 매도량을 돌파하는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은,
    상기 수급패턴들 각각을 정의하기 위한 수급패턴 조건을 저장하며,
    상기 수급패턴들은,
    복수의 매수 수급패턴들 및 복수의 매도 수급패턴들을 포함하는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상기 매수 수급패턴들 중 제1수급패턴에 해당하면서 상기 매도 수급패턴들 중 제2수급패턴에도 동시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경우, 현재 봉차트의 형태에 따라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상기 제1수급패턴 또는 제2수급패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는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은.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복수의 거래주체들 각각의 상기 특정 금융상품에 대한 매매패턴을 지수화 하여 지수화된 복수의 거래주체들 각각의 매매패턴의 지수의 합계에 기초하여 주가의 상승 하락을 예측하기 위한 예측지수를 상기 투자정보로써 더 생성하는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거래당일의 주가가 양봉 또는 음봉인지 여부, 거래당일의 주가가 5일 이평선 기준 어디에 위치하는지 여부, 또는 거래당일의 거래량이 전일 거래량 대비 많은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 더 지수화하고, 지수화된 수치를 상기 합계에 더 반영하여 상기 예측지수를 상기 투자정보로써 생성하는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예측지수에 대응되는 양음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양음블록은 제1블록이 하나 이상 일렬로 배치된 양블록 패턴 및 제2블록이 하나 이상 일렬로 배치된 음블록 패턴을 포함하고,
    양블록 패턴에 표시된 상기 제1블록의 개수가 많을수록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을 나타내는 상기 예측지수가 높은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를 표현하며,
    음블록 패턴에 표시된 상기 제2블록의 개수가 많을수록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을 나타내는 상기 예측지수가 높은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급패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수급패턴에 해당하는 금융상품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

  11. 삭제
  12.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이 특정 금융상품에 대한 복수의 거래주체들의 매매패턴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거래주체들 전부 또는 일부의 매매패턴에 따라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미리 정해진 복수의 패턴들인 수급패턴들 중 어떤 수급패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 투자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이 상기 투자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거래주체들 전부 또는 일부의 매매패턴에 따라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미리 정해진 복수의 패턴들인 수급패턴들 중 어떤 수급패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 투자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이 적어도 제1패턴, 제2패턴, 및 제3패턴을 포함하는 복수의 수급패턴들 중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어떤 수급패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패턴은,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상기 복수의 거래주체들 중 미리 지정된 복수의 상기 주요 세력들이 모두 순매수 또는 순매도로 전환하는 변곡패턴이고,
    상기 제2패턴은,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상기 변곡패턴 이후 연속적으로 상기 주요 세력들이 순매수 또는 순매도를 이어가고 있는 연속패턴이며,
    상기 제3패턴은,
    상기 특정 금융상품이 상기 복수의 거래주체들 중 기관이 순매수 또는 순매도 이후, 최근 소정 기간 동안 누적 매수량 또는 누적 매도량을 돌파하는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제12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12012A 2018-01-31 2018-01-31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61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012A KR102461054B1 (ko) 2018-01-31 2018-01-31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012A KR102461054B1 (ko) 2018-01-31 2018-01-31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816A KR20190092816A (ko) 2019-08-08
KR102461054B1 true KR102461054B1 (ko) 2022-10-28

Family

ID=67613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012A KR102461054B1 (ko) 2018-01-31 2018-01-31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0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034B1 (ko) * 2012-07-16 2013-03-25 김종철 헥사그램형 도형을 이용한 주식 매도 가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9640A (ko) * 2012-07-12 2014-01-23 (주) 소프트브리지 투자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99576B1 (ko) * 2013-03-12 2016-03-03 유안타증권 주식회사 주식 종목 추천 시스템
CH706250B1 (de) 2013-04-02 2013-09-30 Hanspeter Abegg Vorrichtung zum Heben und Verschieben von Objekt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034B1 (ko) * 2012-07-16 2013-03-25 김종철 헥사그램형 도형을 이용한 주식 매도 가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816A (ko)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0158B1 (ko) 암호화폐 평가 방법 및 암호화폐 지수
KR101543643B1 (ko) 주식종목 순위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식종목 선택방법
US20060004653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a designing and trading macroeconomic investment views
US20150066725A1 (en) Trend trading method
Kaufman Smarter trading
JP2005530232A (ja) 取引コストの評価および最適化のためのシステム並びに方法
CN109685651A (zh) 仓单质押的信贷风险监控方法及装置
WO2002059815A1 (en) Trading data visualisation system and method
KR100742164B1 (ko) 주식자산 운용 시스템에서의 포트폴리오 및 계량적 방법에의한 주식 종목 선택 방법
JP5084968B1 (ja) 市場リスク予測装置、市場リスク予測方法及び市場リスク予測プログラム
KR102461056B1 (ko) 실적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TW201303781A (zh) 智慧交易策略建立系統
Naved Technical analysis of Indian financial market with the help of technical indicators
KR20130015261A (ko) 복수의 els를 포함하는 일임형 투자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461054B1 (ko)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00191666A1 (en) Personal point of sale commission rate benchmarking tool
TWI248007B (en) Method for evaluating market trade based on trend prediction
KR20020085499A (ko) 금융자산 운용시스템 및 금융자산 운용방법
KR102129491B1 (ko) 증권 분석 장치
KR102321515B1 (ko) 가상화폐 거래정보 산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상화폐 거래정보 산출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의 기록매체
KR20210139032A (ko)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43647B1 (ko) 증권 거래 자산정보 제공시스템 및 증권 거래 자산정보 제공방법
Hälli Herding behavior in the US stock markets: Does market capitalization matter?
Tang THE RELATIONSHIP BETWEEN GOLD PRICES, EURO, US DOLLAR, OIL PRICES AND STOCK MARKET: Case the European Union
Tang Alternative form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