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491B1 - 증권 분석 장치 - Google Patents

증권 분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491B1
KR102129491B1 KR1020190106130A KR20190106130A KR102129491B1 KR 102129491 B1 KR102129491 B1 KR 102129491B1 KR 1020190106130 A KR1020190106130 A KR 1020190106130A KR 20190106130 A KR20190106130 A KR 20190106130A KR 102129491 B1 KR102129491 B1 KR 102129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ce
securities
timing
current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김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철 filed Critical 김종철
Priority to KR1020190106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증권 분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의 기준에 따라 형성되는 증권의 과거 시세를 수집하는 과거 시세 수집부와 상기 증권의 최근 거래가인 현재가와 수집된 과거 시세를 비교하여, 현시점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와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에 기초하여, 증권 거래 타이밍을 판단하는 거래 시점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증권의 현재가와 수집된 과거 시세를 비교하여, 현시점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에 기초하여 현시점에서 사용자가 증권을 거래하는 행위가 유리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증권 거래 타이밍을 제공함으로써, 증권 투자에 대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여 보다 안정적인 수익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권 분석 장치{APPARATUS FOR ANALYSING STOCKS}
본 발명은 증권 분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권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증권 거래에 도움을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로 증권 투자는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흐름으로 변화하였다. 온라인 증권 투자는 투자자에게 공간적 제약 없이 실시간으로 국내외 증권 정보를 수집하여 투자에 반영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정보의 신속성 측면에서 투자자들에게 큰 장점으로 작용하면서, 증권 투자에 참여하는 일반투자자의 숫자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부분의 일반투자자들은 증권에 대한 투자 의사를 결정할 때, 전문성에 기초하여 결정하기보다는 지인의 추천, 각종 매체를 통해 접한 정보, 증권사 애널리스트를 통해 얻은 정보 등을 통해 결정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정보는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매체를 통해 접한 정보는 가장 뒤늦은 정보인 경우가 많아, 투자의 결과로 대부분 손실을 경험하는 것으로 귀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증권 가치의 분석 방법은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으로 나눌 수 있다. 기본적 분석이란 거시적으로는 경제의 내재가치, 미시적으로는 특정 회사의 내재가치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대형 투자기관이나 전문 애널리스트들은 일반투자자들에 비해 정확성과 신뢰성이 높은 정보에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투자자들은 그렇지 못해 정보력에 있어서 심각한 비대칭 상황에 처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동일한 정보가 주어진다고 하더라도 일반투자자들이 그 정보를 올바르게 해석하는 것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능력을 갖추는 것도 부단한 노력이 동반되지 않는다면 쉽지 않은 일이다.
기술적 분석은 매매시점 파악 등 수익률제고에 중점을 두는 분석 방법으로 증권 가격 및 거래량과 변동패턴에 관한 역사적 정보를 이용하여 미래 증권 가격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분석 방법이다. 대부분의 증권사들은 투자 의사 결정을 위한 기술적 분석 수단으로 HTS(Home Trading System)을 비롯한 온라인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HTS는 실시간으로 시세, 거래량 등 정보를 제공하고, 그래프, 차트 등 다양한 분석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서, 투자자들에게 유용하다.
HTS는 다양한 분석 수단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투자자들은 각 분석 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수많은 지표의 의미와 장단점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사용을 하기 위해서 기본적 분석 못지않은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투자자들은 증권사가 제공하는 분석 수단을 통한 기술적 분석에 의존하고, 각종 매체를 통해 공개된 제한적인 정보를 통해 기본적 분석을 대신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결국 증권 투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는 원칙을 인식하고 일반투자자들도 기본적인 증권 분석 방법은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하며, 증권사들은 신뢰할 수 있는 정보 제공과 효율적인 증권 분석 수단과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종래에 제공되는 증권 분석 수단은 증권 종목에 대한 시세를 기간별로 표시한 그래프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여러 기간별로 표시된 그래프를 동시에 비교하거나, 복수의 증권 종목의 시세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그래프를 여러 화면에 각각 띄우고 화면을 직접 전환하여 그래프를 비교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법은 각 그래프의 움직임 간의 특성을 빠르게 분석하기 어렵고, 화면 전환 과정이 번거롭기 때문에 단기 매매 전략이 필요한 증권 투자에는 적합하지 않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선물, 옵션, 인덱스 펀드(Index Fund), 레버리지/인버스 ETF(Exchange Traded Fund)등의 경우가 그러하다. 구체적으로, 증권 매매 시점을 결정하기 위해 복수의 화면을 띄운 후 그 중 한 화면에서 봉(캔들)의 위치와 이동평균선을 확인한 후 또 다른 화면에서 봉의 위치와 이동평균선을 확인하는 식의 과정을 여러 차례 거쳐야만 했다.
이 경우, 복수의 화면을 각각 보다 보니 증권 종목의 시세 변동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여, 매매 시점을 놓치는 경우가 잦을 수 있고, 매매 신호 및 청산 신호를 확실하게 알기도 힘들어 손실을 입을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261628호 "소액투자자 보호를 위한 주식, 선물, 옵션의 전략적 자동매매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증권 정보를 분석하고 특정 시점에서 사용자가 증권을 거래하는 행위가 유리한 지 여부를 판단하고, 증권의 거래에 유리한 시점을 판단하는 증권 분석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의 실행화면에 다양한 형태의 복수의 그래프와 증권 거래 시점을 동시에 표시하여, 증권 종목의 시세 변동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증권 분석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증권 투자의 방향을 제시하고, 증권 거래 시점을 시각적으로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는 증권 분석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증권 분석 장치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형성되는 증권의 과거 시세를 수집하는 과거 시세 수집부, 상기 증권의 최근 거래가인 현재가와 수집된 과거 시세를 비교하여, 현시점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에 기초하여, 증권 거래 타이밍을 판단하는 거래 시점 판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거 시세 수집부는 90틱 단위로 형성되는 제 1시세의 과거 시세를 수집하고,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현재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세에 기초하는 60이동평균선 또는 59이동평균선의 기울기가 상승하고, 상기 현재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세에 기초하는 60평균가가 상기 현재가 보다 작으면, 상기 현시점의 상태를 증권 매수에 유리한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현재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세에 기초하는 60이동평균선 또는 59이동평균선의 기울기가 하락하고, 상기 현재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세에 기초하는 60평균가가 상기 현재가 보다 크면, 상기 현시점의 상태를 증권 매도에 유리한 상태로 판단한다.
상기 과거 시세 수집부는 상기 제 1시세를 30분 단위로 모아 제 2시세를 형성하고,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현재가를 포함하고 제 2시세에 기초하는 5이동평균선 또는 4이동평균선의 기울기가 상승하고, 상기 현재가를 포함하고 제 2시세에 기초하는 5평균가가 상기 현재가 보다 작으면 상기 현시점의 상태를 증권 매수에 유리한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현재가를 포함하고 제 2시세에 기초하는 5이동평균선 또는 4이동평균선의 기울기가 하락하고, 상기 현재가를 포함하고 제 2시세에 기초하는 5평균가가 상기 현재가 보다 크면 상기 현시점의 상태를 증권 매도에 유리한 상태로 판단한다.
상기 상태 판단부는 거래 횟수를 기준으로 형성되는 제1 시세 및 거래 기간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제2 시세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현시점의 상태를 각각 판단한다.
상기 제 1 시세는 90번의 거래가격 중 종가이며, 상기 제 2 시세는 30분간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시세 중 최종 제 1 시세이다.
상기 거래 시점 판단부는 상기 제 1 시세 및 상기 제 2 시세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기 현시점의 상태가 서로 동일한 지 여부에 기초하여, 증권 거래 타이밍을 판단한다.
상기 거래 시점 판단부는 상기 현시점의 상태가 각각 증권 매수에 유리한 상태로 동일한 경우, 상기 현시점을 매수 타이밍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현시점의 상태가 각각 증권 매도에 유리한 상태로 동일한 경우, 상기 현시점을 매도 타이밍이라고 판단한다.
상기 증권의 시세는 소정의 선물 거래에 대한 시세이며, 상기 과거 시세 수집부는 90틱 단위로 형성되는 제 1시세의 과거 시세를 수집하고, 상기 거래 시점 판단부는 상기 제 1 시세에 기초한 20 이동평균선이 상승 또는 하락 전환하는 시점 또는, 현재가가 상기 현재가의 직전가와 비교했을 때 상기 20 이동평균선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며 형성되거나,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며 형성되는 경우, 상기 현시점을 청산 타이밍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 1 시세 및 상기 제 2 시세에 기초하여 각각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를 시간에 흐름에 따라 일방향으로 누적시켜 각각 표시하고, 각각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를 누적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긴 바(bar)형태인 그래프로 생성하는 그래프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각각 표시된 현시점의 상태는, 서로 나란하다.
상기 그래프 생성부는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에 따라 다른 형태의 그래프를 생성하며, 나란하게 배치된 현시점의 상태에 대한 그래프가 동일한 지점에 거래 타이밍을 알려주는 표식을 생성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증권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시점에서 사용자가 증권을 거래하는 행위가 유리한 지 여부를 판단하고, 증권의 거래에 유리한 시점을 판단하여 제공하므로, 투자자들에게 증권 투자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하나의 실행화면에 다양한 형태의 복수의 그래프와 증권 거래 시점을 동시에 표시하므로, 사용자는 증권 거래 시점을 시각적으로 한 눈에 알아볼 수 있고, 증권 종목의 시세 변동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 분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증권 분석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 분석 장치가 증권 분석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시점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프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시세에 기초한 현시점의 상태가 표시된 단기분 그래프를 나타낸 실행화면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7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시세에 기초한 현시점의 상태가 표시된 장기분 그래프를 나타낸 실행화면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8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 분석 장치의 실행화면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 분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 분석 시스템(10)은 증권 분석 장치(100)을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한다.
증권 분석 장치(100)는 증권 정보를 분석하여, 증권 시세의 흐름을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200)로 그래프, 거래 시점 등 증권에 관한 분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증권 분석 장치(100)는 증권 정보를 분석함에 있어서,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외부의 서버나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증권 정보를 분석할 수도 있다. 한편 증권 분석 장치(100)는 증권사의 서버일 수도 있으며, 증권사와 별도의 구분된 곳에서 운영되는 서버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증권은 주식이나 채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증권은 선물(Futures) 등의 파생상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증권이 거래되는 시장을 증권시장이라고 하는데, 증권시장은 새로 발행되는 주식이나 채권의 매매가 이루어지는 발행시장이 있고, 이미 발행된 주식이나 채권이 거래되는 유통시장이 있다. 그러나, 좁은 의미에서 증권시장은 증권거래소와 같이 일정한 장소와 건물을 가지고 일정한 규칙하에서 증권이 매매되는 유통시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증권 정보는 유통시장에서 매매되는 증권의 거래 정보 및 시세 정보를 의미하며, 온라인 증권 거래에서는 실질적인 증권 매매를 수행하고, 증권 거래를 위한 업무를 수행하는 증권 거래소에서 처리된 정보를 의미한다. 즉, 증권거래소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일 수 있고, 증권의 거래 정보 및 시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증권 정보는 종목코드, 종목명, 현재가, 대비, 거래량, 매수호가, 매도호가, 시가, 고가, 저가, 종가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증권 분석 장치(1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증권거래소 서버로부터 증권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증권 분석 장치(100)는 수신된 증권 정보를 분석하여 주식이나 선물, 옵션 등의 증권 분석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증권 분석 장치(100)는 증권 거래에 관한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증권 분석 장치(100)는 인덱스 펀드, 레버리지/인버스 ETF 등 주가 연계 금융 파생상품에 대한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증권 분석 장치(100)는 일반적인 주식 거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기본 정보들, 즉, 종목코드, 종목명, 현재가, 대비, 거래량, 매수호가, 매도호가, 시가, 고가, 저가, 종가 등의 증권 거래 및 시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여, 해당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증권 분석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권 분석 장치(100)는 틱, 분, 일, 주, 월, 년 등의 단위마다 생성되는 봉(캔들), 그래프, 이동평균선, 매매 신호 등을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증권 분석 장치(100)는 증권 정보의 다양한 지표를 활용한 분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종목에 대한 진입 신호, 실시간 외국인 및 기관 동향 표시 기능, 초단기 매매 타이밍 포착 기능, 주가의 기조를 색상으로 표시하는 기능, 리스크 관리 기능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능은 개발자의 의도, 필요 등에 의해 기능이 추가/변형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권 분석 장치(100)는 투자자의 장기 및 단기 투자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 분석 장치(100)는 하루 내에 사고 파는 데이트레이딩(day trading)에 보다 적합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 분석 장치(100)는 선물매매에 보다 적합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 분석 장치(100)는 선물매매, 레버리지/인버스 ETF 등 주가 연계 금융 파생상품에 대한 기능으로 단기 매매 전략이 필요한 증권에 대한 분석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증권 분석 장치(100)가 제공하는 증권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증권 분석 장치(100)가 제공하는 증권 분석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200)는 증권 분석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자신의 출력장치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권 분석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에 프로그램 형태로 설치되어 구동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0)이 증권 분석 장치(100)로 구동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데스크탑 PC (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 분석 시스템(10)은 증권 분석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이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무선 네트워크 및 유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일 수 있다.
다음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권 분석 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 2는 도 1의 증권 분석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 분석 장치(100)는 과거 시세 수집부(110), 상태 판단부(120), 그래프 생성부(130), 거래 시점 판단부(14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증권 분석 장치(100)의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증권 분석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증권 분석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거 시세 수집부(110)는 증권 정보를 수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거 시세 수집부(110)는 수신된 증권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준에 따라 형성되는 증권 시세를 수집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소정의 기준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단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거래횟수 또는 특정 기간일 수 있으며, 증권 분석 장치(100)는 설정 단위를 기준으로 수집된 증권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증권 시세는 소정의 선물 거래에 대한 시세일 수 있다. 한편, 소정의 기준에 따라 형성되는 증권 시세란, 설정 단위에 따라 형성되는 증권 시세를 의미한다. 즉, 거래횟수 또는 특정 기간마다 형성되는 증권 시세일 수 있다. 한편, 과거 시세 수집부(110)는 과거 시세뿐만 아니라, 현재가를 수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 판단부(120)는 현시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판단부(120)는 현시점이 증권 매매에 유리한 시점인 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상태 판단부(120)는 과거 시세 수집부(110)를 통해 소정의 기준에 따라 형성되는 증권 시세의 현재가와 과거 시세를 비교하여, 현시점의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 판단부(120)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형성되는 증권 시세를 봉 형태로 가공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틱, 캔들 및 분봉 등의 증권 용어는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 한 통상적으로 알려진 개념을 따른다.
한편, 증권 분석 장치(100)의 설정 단위가 90틱 기준일 경우, 상태 판단부(120)는 90번의 거래가 체결되는 동안의 증권 시세가 반영된 하나의 봉 또는 캔들(이하, 봉이라고 지칭함)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생성된 봉을 “90틱봉”이라고 한다.
반면, 증권 분석 장치(100)의 설정 단위가, 30분 기준일 경우, 상태 판단부(120)는 30분 동안의 증권 시세가 반영된 하나의 봉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생성된 봉을 “30분봉”이라고 한다.
한편, 봉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생성되며, 가장 최근에 생성된 봉은 현재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봉은 종가가 시가보다 더 높을 경우, 빨간색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때의 봉을 “양봉”이라고 하며, 종가가 시가보다 더 낮을 경우 파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때의 봉을 “음봉”이라고 한다.
본 명세서에서 현재가는 증권의 매수 또는 매도에 따라 변동되는 현시점의 가격을 의미한다. 즉, 거래량, 체결가 등 변동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가격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현재가는 가장 최근에 체결된 거래 가격을 의미한다. 즉, 가장 최근에 체결된 거래의 매도가 또는 매수가를 의미하며, 최소 거래단위인 1틱에 대한 거래 가격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과거 시세는 과거 시점의 가격을 의미한다. 즉, 현재가 이전에 형성된 가격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현시점은 가장 최근에 거래가 수행된 시점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시점은90틱을 기준으로 할 수도 있다. 즉, 가장 최근에 생성된 90틱이 현시점일 수 있고, 90번의 거래가 체결되는 동안의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틱”은 거래횟수 단위로 생성되므로 생성된 90틱봉 각각의 시간 간격은 서로 다를 수 있고, 90틱은 짧은 주기를 갖기 때문에 가장 최근에 생성된 90틱봉 하나를 현시점이라고 볼 수도 있다.
상태 판단부(120)는 설정 단위에 따라 형성된 복수의 봉을 기초로 현재가를 포함하여 생성되는 이동평균선의 기울기를 파악하고, 평균가를 증권의 가장 최근에 체결된 거래 가격인 현재가와 비교하여 가장 현시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태 판단부(120)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설정 단위에 따른 현시점의 상태를 각각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 판단부(120)는 거래 횟수를 기준으로 및 거래 기간을 기준으로 현시점의 상태를 각각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90틱봉과 30분봉 상에서 현시점의 상태를 각각 판단할 수 있다. 상태 판단부(120)는 각각의 기준에 따른 현시점의 상태를 각각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평균가는 설정 단위에 따라 생성된 각각의 봉의 종가를 평균해서 생성된다. 예를 들어, 30분봉에서 5평균가는 가장 최근에 생성된 30분봉과 직전 30분봉 4개의 종가를 평균한 가격일 수 있다.
한편, 이동평균선은 평균가를 선으로 연결하여 생성된다. 예를 들어, 30분봉에서 5이동평균선은 5평균가를 선으로 이음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동평균선은 설정 단위에 따라 각각 다르게 생성되는데, 예를 들어, 틱봉에서 생성된 이동평균선과 분봉에서 생성된 이동평균선은 다를 수 있다. 그러나, 90틱봉에서 240이동평균선과 30분봉에서 5이동평균선은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으나, 유사한 그래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30분봉이 5개가 생성되는 시간동안 90틱봉이 240개 정도가 생성될 수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경기종합지수 구성지표”을 참조하면, 우리나라의 경기순환 흐름을 엿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기순환 흐름은 평균 31개월동안 오르고, 18개월동안 내려가는 주기를 갖고 있다. 이처럼 경기순환은 방향성을 갖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증권 거래 타이밍을 판단하는 데에 있어서 주로 다루게 되는 30분봉은 증권 거래 시점을 판단할 때 유용한 지표로써, 30분봉의 5이동평균선의 기울기가 상승 전환을 하면 쉽사리 다시 꺾여 내려가지 않고 올라가는 성질이 있다. 반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특징은 우리나라의 경기순환 흐름과 일맥상통하다고 볼 수 있다. 즉, 경기순환이 확장 국면이면 기업들의 실적이 좋아지고, 주가 역시 오르는 게 일반적이다. 반대의 경우 실적이 나쁘고, 주가 역시 떨어지는 게 일반적이다.
즉, 주가도 마찬가지로 방향성을 갖는다. 따라서, 30분봉에서의 지표를 통해 증권 매매 타이밍을 판단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30분 봉을 이용하여, 차후 증권의 흐름을 판단하고, 빠르게 봉이 형성되는 90틱 봉을 이용하여 세밀한 거래 타이밍을 판단할 수 있다.
과거 시세 수집부(110)는 90틱 단위로 형성되는 제 1시세의 과거 시세를 수집할 수 있다. 제 1시세는 90번의 거래 가격 중 종가일 수 있다.
상태 판단부(120)는 현재가를 포함하고 제 1시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60이동평균선 또는 59이동평균선의 기울기가 상승하고, 현재가를 포함하고 제 1시세에 기초하여 생성된 60평균가가 현재가보다 작으면, 현시점의 상태를 증권 매수에 유리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상태 판단부(120)는 현재가를 포함하고 제 1시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60이동평균선 또는 59이동평균선의 기울기가 하락하고, 현재가를 포함하고 제 1시세에 기초하고 생성된60평균가가 현재가보다 크면, 현시점의 상태를 증권 매도에 유리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과거 시세 수집부(110)는 제 1시세를 30분 단위로 모아 제 2시세를 형성할 수 있다. 제 2시세는 30분간 생성된 제 1시세 중 최종적으로 생성된 제 1시세일 수 있다. 즉, 가장 최근에 생성된 90틱봉에서의 거래 가격 중 종가일 수 있다.
상태 판단부(120)는 현재가를 포함하고 제 2시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5이동평균선 또는 4이동평균선의 기울기가 상승하고, 현재가를 포함하고 제 2시세에 기초하여 생성된 5평균가가 현재가보다 작으면, 현시점의 상태를 증권 매수에 유리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현재가를 포함하고 제 2시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5이동평균선 또는 4이동평균선의 기울기가 하락하고, 현재가를 포함하고 제 2시세에 기초하여 생성된 5평균가가 현재가보다 크면, 현시점의 상태를 증권 매도에 유리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 2시세는 90틱 단위로 형성되는 제 1시세를 변환하여 형성될 수 있다. 90틱의 경우에는 거래횟수를 기준으로 시세가 형성되고, 30분봉의 경우에는 시간을 기준으로 시세가 형성되기 때문에 후술할 그래프 생성부(130)를 통해 두 그래프를 동일한 좌표에 표시하기 위해 별도의 변환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 분석 장치(100)는 90틱 봉을 이용하기 때문에 매매 타이밍을 세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증권 분석 장치(100)는 하루 내에 사고 파는 데이트레이딩에 적합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일(day)”일 기준으로 증권을 분석하는 경우 오늘 오후 현재의 상태를 어제 장 마감시간에 생성된 일봉을 포함한 이전 일의 일봉을 통해 판단하게 되므로, 일봉 상에서는 가장 최근의 구간의 상태를 통해 하루 내에 사고 파는 데이트레이딩과 같이 단기적인 투자 정보를 제공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즉, 설정 단위가 클 경우, 단기적인 투자 전략에서는 적용하기에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 판단부(120)는 보다 적은 기간을 기준으로 증권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판단부(120)는 30분봉을 이용하여 증권을 분석할 수 있다. 30분봉을 이용하여 증권을 분석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태 판단부(120)은 30분봉 상에서 현시점의 상태를 판단할 때, 5이동평균선 또는 4이동평균선과 4평균가을 활용한다. 20이동평균선이나 60이동평균선처럼 중장기적으로 오래 보고 매매 전략을 판단해야 하는 이동평균선은 데이트레이딩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30분봉의 경우 하루에 12개가 생성되는 것을 감안할 때, “일”단위를 넘어가게 되면 데이트레이딩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태 판단부(120)는 제 1시세 및 제 2시세에 기초하여 현시점의 상태를 판단하고, 비교적 긴 주기의 제 2시세를 통해 증권 시세의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고, 세부적인 거래 타이밍을 파악하는데 제 1시세를 활용하여 증권 매매 타이밍에 관한 판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래프 생성부(130)는 설정 단위에 따라 형성되는 시세를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그래프를 제공하며, 증권의 가격, 거래량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래프 셍성부(130)는 생성된 그래프 또는 각종 표식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0)로 해당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과정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시각화 시킬 수도 있다. 또한, 그래프 생성부(130)는 복수의 설정 단위에 따라 각각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를 시간에 흐름에 따라서 일방향으로 누적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프 생성부(130)는 상태 판단부(120)를 통해 판단된 제 1시세 및 제 2시세의 현시점의 상태를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현시점의 상태는 누적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길게 표시되는 바(bar)형태의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시세 및 제 2시세의 바(bar)형태의 그래프는 서로 누적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표시될 수 있으며, 즉, 서로 매칭되는 현시점의 상태의 비교가 용이하도록 일치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장 최근의 구간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쉽게 구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해도 무방하다.
또한, 바(bar)형태의 그래프 영역 이외의 영역에 설정 단위별로 생성된 봉과 이동평균선이 추가로 표시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설정 단위별 그래프를 번갈아 표시하기 위해 그래프 변환 기능을 갖는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래 시점 판단부(140)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형성되는 증권 시세에 기초하여 설정 단위별로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를 비교하여 증권의 거래 타이밍을 판단할 수 있다.
거래 타이밍은 현시점에서 증권을 매수하는 것이 유리한 지 증권을 매도하는 것이 유리한 지 판단된 정보로서, 판단된 거래 타이밍은 그래프 생성부(13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거래 시점 판단부(140)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각각 판단된 가장 최근의 구간의 상태가 동일한 경우 매수 타이밍 또는 매도 타이밍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판단부(120)를 통해 제 1시세 및 제 2시세에 기초하여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가 각각 증권 매수에 유리한 상태로 동일한 경우, 거래 시점 판단부(140)를 통해 현시점을 매수 타이밍이라고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가 각각 증권 매도에 유리한 상태로 동일한 경우, 거래 시점 판단부(140)를 통해 현시점을 매도 타이밍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거래량이 많을수록 본 발명의 적용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증권 분석 장치(100)는 증권 거래 타이밍을 고려하고, 증권 거래 타이밍에 대한 신뢰도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표본집단, 즉, 거래량이 많으면 제공되는 증권 거래 타이밍에 대한 신뢰도가 상승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받아들여 지기 때문에, 소정의 기간 동안 측정된 거래량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에 도달하는 경우에만 증권 거래 타이밍을 제공할 수도 있다.
거래 시점 판단부(140)는 설정 단위에 따라 생성되는 봉과 이동평균선에 기초하여 청산 타이밍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 시점 판단부(140)는 90틱봉 상에서 20이동평균선에 대해 TP(Turning Point) 또는 BC(Body Cross)가 포착되는 경우, 청산 타이밍으로 판단할 수 있다.
TP는 이동평균선의 턴(Turn)을 의미한다. 즉, 이동평균선의 방향 전환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이동평균선이 하락하다가 상승 추세로 바뀌는 지점을 상승TP로 판단하고, 이동평균선이 상승하다가 하락 추세로 바뀌는 지점을 하락TP로 판단할 수 있으며, 그래프 상에 표시될 수 있다.
BC는 봉이 이동평균선을 뚫고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봉이 이동평균선을 뚫고 상승하는 경우를 상승BC로 판단하고, 봉이 이동평균선을 뚫고 하락하는 경우를 하락BC로 판단할 수 있으며, 그래프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청산 타이밍은 선물, 옵션 등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제로포지션(Zero position)을 의미한다. 즉, 매수 또는 매도 포지션을 동일 비율로 맞추거나, 전부 0%의 비율로 청산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90틱봉에 기초한 20평균선이 상승전환하거나, 양봉이 20평균선의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며 형성되는 경우, 매수청산 타이밍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20평균선이 하락전환하거나, 음봉이 20평균선의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며 형성되는 경우, 매도청산 타이밍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레버리지 ETF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 그래프 생성부(130)를 통해 매수청산 타이밍을 알리는 표식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매수청산을 통해 레버리지 ETF의 비중을 0%로 낮출 수 있다. 향후, 소정의 공식에 따라 표시되는 표식에 따라 비중을 유지하거나, 추가 매수하여 보유량을 다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거래 시점 판단부(140)를 통해 매수 타이밍 또는 매도 타이밍으로 판단되는 경우, 판단된 현시점 이후부터는 매수 타이밍 또는 매도 타이밍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 시점 판단부(140)를 통해 오전 9시에 매수 타이밍으로 판단되었고, 이후, 오전11시에 매도 타이밍으로 판단된 경우, 매수 타이밍으로 판단된 오전 9시부터 매도 타이밍으로 판단된 오전 11시까지는 매수 타이밍이 유지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오전 11시 이후부터 다음 매수 타이밍이 생성되기 전까지는 매도 타이밍이 유지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그래프 생성부(130)는 매수 타이밍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매도청산 타이밍만 표시할 수 있고, 매도 타이밍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매수청산 타이밍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수 타이밍이 유지되는 오전 9시부터 오전 11시까지에는 그래프 생성부(130)를 통해 매도청산 타이밍만 그래프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해당 기간 동안에는 매수청산 타이밍으로 판단된다고 하더라도 그래프 상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매도 타이밍이 유지되는 오전 11시 이후부터 다음 매수 타이밍이 생성되기 전까지는 그래프 생성부(130)를 통해 매수청산 타이밍만 그래프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해당 기간 동안에는 매도청산 타이밍으로 판단된다고 하더라도 그래프 상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매수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을 때, 그래프 생성부(130)를 통해 매수 타이밍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상승 신호로써 증권 매수에 유리한 상태이므로, 수익 실현 관점에서 매수 포지션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고, 매수 포지션을 청산하는 것은 불리한 조건일 수 있다. 따라서, 매수 타이밍이 유지되는 경우 매수청산 타이밍은 표시되지 않고, 매도청산 타이밍만 표시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매도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을 때, 그래프 생성부(130)를 통해 매도 타이밍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하락 신호로써, 증권 매도에 유리한 상태이므로, 수익 실현 관점에서 매도 포지션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고, 매도 포지션을 청산하는 것은 불리한 조건일 수 있다. 따라서, 매도 타이밍이 유지되는 경우 매도청산 타이밍은 표시되지 않고, 매수청산 타이밍만 표시될 수 있다.
다음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권 분석 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 분석 장치가 증권 분석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시점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증권 분석 장치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형성되는 증권 시세의 과거 시세를 수집(S310)한다.
과거 시세 수집부(110)는 설정 단위에 따라 증권 시장 개장 시간부터 마감 시간까지의 과거 시세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수집된 과거 시세는 상태 판단부(120)를 통해 시가, 고가, 저가, 종가를 포함하는 봉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단위가 “30분”일 때, 증권 시장 개장 시간을 시작으로 마감 시간까지 13~14개의 30분봉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30분봉은 구간 길이가 30분으로 같을 수 있다. 반면, 설정 단위가 “90틱”일 때, 각각의 90틱봉은 거래횟수를 기준으로 생성되므로, 90틱봉 각각의 구간 길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후, 증권 분석 장치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형성되는 증권 시세 중 현재 가와 과거 시세를 비교하여, 현재가를 포함한 현시점의 상태를 판단(S320)한다.
상태 판단부(120)는 설정 단위가 각각 “90틱”, “분”인 경우, 각각의 설정 단위별로 형성되는 증권 시세의 현재가와 과거 시세에 기초하여, 생성된 각각의 이동평균선의 기울기의 상승 및 하락 여부, 평균가와 현재가의 비교를 통해 현재가를 포함하는 현시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증권 분석 장치는 현재가를 포함하여 생성되는 이동평균선의 기울기가 상승(S321)하는 지 판단하고, 현재가를 포함하는 평균가가 현재가보다 작은 지 판단(S322)한다.
90틱 단위로 형성되는 제 1시세의 과거 시세와 현재가를 포함하고 제 1시세에 기초하여 생성된 60이동평균선 또는 59이동평균선의 기울기가 상승하고, 60평균가와 현재가를 비교하였을 때, 60평균가가 현재가보다 작으면, 현시점의 상태를 증권 매수에 유리한 상태로 판단(S323)할 수 있다.
또는, 제 1시세를 30분 단위로 모아 형성되는 제 2시세와 현재가를 포함하고 제 2시세를 기초하여 생성된 5이동평균선 또는 4이동평균선의 기울기가 상승하고, 5평균가와 현재가를 비교하였을 때, 5평균가가 현재가보다 작으면, 현시점의 상태를 증권 매수에 유리한 상태로 판단(S323)할 수 있다.
이후, 증권 분석 장치는 현재가를 포함하여 생성되는 이동평균선의 기울기가 하락(S324)하는 지 판단하고, 현재가를 포함하는 평균가가 현재가보다 큰 지 판단(S325)한다.
90틱 단위로 형성되는 제 1시세의 과거 시세와 현재가를 포함하고 제 1시세에 기초하여 생성된 60이동평균선 또는 59이동평균선의 기울기가 하락하고, 60평균가와 현재가를 비교하였을 때, 60평균가가 현재가보다 크면, 현시점의 상태를 증권 매도에 유리한 상태로 판단(S326)할 수 있다.
또는, 제 1시세를 30분 단위로 모아 형성되는 제 2시세와 현재가를 포함하고 제 2시세를 기초하여 생성된 5이동평균선 또는 4이동평균선의 기울기가 하락하고, 5평균가와 현재가를 비교하였을 때, 5평균가가 현재가보다 크면, 현시점의 상태를 증권 매도에 유리한 상태로 판단(S326)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증권 분석 장치는 복수의 소정의 기준에 따라 각각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를 비교(S330)하고, 현시점의 상태가 서로 동일한 지 여부에 기초하여, 증권의 거래 타이밍을 판단(S340)한다.
상태 판단부(120)는 90틱봉 및 30분봉에서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가 증권 매수에 유리한 상태로 동일하거나, 증권 매도에 유리한 상태로 동일한 경우, 현시점을 거래 타이밍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증권 거래 타이밍은 증권 거래에 대한 긍정 또는 부정에 관한 신호이다. 즉, 90틱봉 단위에서 형성되는 증권 시세의 현재가와 수집된 과거 시세를 비교하여, 현시점의 상태가 증권 매수에 유리한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판단 결과만으로도 증권 매수를 통한 이익 실현 가능성이 존재하는 거래 타이밍일 수 있다. 30분봉 단위에서도 마찬가지로 현시점의 상태가 매수에 유리한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판단 결과만으로도 증권 매수를 통한 이익 실현 가능성이 존재하는 거래 타이밍일 수 있다.
90틱봉과 30분봉은 단기 거래에 적합한 지표로, 단기 거래 타이밍을 판단하기 위한 기술적 분석 수단의 지표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90틱봉 미만의 틱봉을 통해 거래 타이밍을 판단하는 경우는 잔파동이 90틱봉보다 많고 속임수가 많아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주기가 90틱봉보다 더 크면 신속하게 대응하기에는 느릴 수 있다. 따라서, 90틱봉이 세세한 거래 타이밍을 결정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즉, 90틱봉과 30분봉 중 비교적 긴 주기의 30분봉을 통해 증권 시세의 방향성을 파악하고, 비교적 짧은 주기의 90틱봉을 활용하여 세세한 거래 타이밍을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90틱봉 및 30분봉에서 각각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가 서로 동일한 경우의 거래 타이밍은 하나의 설정 단위에서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보다 신뢰성이 강화된 거래 타이밍일 수 있다.
다음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권 분석 장치(100)의 그래프 표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프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증권 분석 장치는 복수의 소정의 기준에 따라, 각각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를 시간에 흐름에 따라 일방향으로 누적시켜 각각 표시(S510)한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를 포함한 모든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래프 생성부(130)는 각각의 설정 단위별로 각각의 영역에 그래프를 생성한다. 이때, 현시점의 상태는 그래프 생성부(130)를 통해 각각의 설정 단위에 따라 각각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방향으로 누적시켜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증권 분석 장치는 각각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를 각각 긴 바(bar)형태로 표시하고, 서로 나란히 배치(S520)한다.
현시점의 상태는 그래프 생성부(130)를 통해 누적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길게 표시되는 바(bar)형태의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바(bar)형태의 그래프에서 각각의 현시점의 상태는 서로 누적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영역에 봉과 이동평균선이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바(bar)그래프의 좌표축은 X축은 90틱봉을 시간 단위로 쪼갠 시간일 수 있다. Y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그래프에서 각각의 바(bar)는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표시된다. 제 3영역(133)에서 X축은 90틱봉을 시간 단위로 쪼갠 시간이며, Y축은 증권 지수의 시세일 수 있다.
이후, 증권 분석 장치는 현시점의 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하고, 현시점의 상태가 동일한 시점에 거래 타이밍을 표시(S530)한다.
그래프 생성부(130)는 복수의 소정의 기준에 따라, 각각 판단되는 현시점의 상태가 횡으로 나열되었을 때, 동일 시점의 상태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으며, 동일 시점의 상태가 동일한 경우, 증권 거래 타이밍을 표시할 수 있다.
그래프 생성부(130)가 제공하는 증권 거래 타이밍에 관한 표식은 매수 타이밍, 매도 타이밍, 청산 타이밍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수 타이밍은 증권의 강력한 매수 의견을 의미할 수 있다. 거래 시점 판단부(140)는 복수의 설정 단위 기준으로 판단된 각각의 현시점의 상태가 증권 매수에 유리한 상태로 동일한 경우 매수 타이밍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그래프 생성부(130)는 사용자에게 매수 타이밍을 그래프 상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를 통해 매수 타이밍을 손쉽게 확인하고, 증권의 매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매도 타이밍은 증권의 강력한 매도 의견을 의미할 수 있다. 거래 시점 판단부(140)는 복수의 설정 단위 기준으로 판단된 각각의 현시점의 상태가 증권 매도에 유리한 상태로 동일한 경우 매수 타이밍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그래프 생성부(130)는 사용자에게 매도 타이밍을 그래프 상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를 통해 매도 타이밍을 손쉽게 확인하고, 증권의 매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청산 타이밍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90틱봉 상에서 20이동평균선에 대해 TP, BC중 어느 하나가 포착되는 경우 표시되며, 사용자는 증권의 매수 및 매도 포지션의 조정을 청산 타이밍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권 분석 장치(100)는 증권 정보를 분석하여 현시점의 상태를 파악하고, 현시점에서 증권을 매수하는 것이 유리한 지 매도하는 것이 유리한 지 또는 청산하는 것이 유리한 지 판단하여 거래 타이밍을 제공함으로써, 증권 투자의 방향을 제시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수익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시세에 기초한 현시점의 상태가 표시된 단기분 그래프를 나타낸 실행화면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6은 증권 분석 장치(100)가 출력시킨 화면으로 90틱봉 상에서의 단기분 그래프를 나타낸 실행화면이다. 특히, 도 6은 주가 지수 연동 종목인 선물에 관한 그래프로써, 장 마감 시간 직전의 실행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단기분 그래프는90틱봉을 기준으로 생성되며, “틱봉”은 “분봉”과 달리 시간과 상관없이 거래체결횟수를 기준으로 생성되므로, 90틱봉의 경우 90차례의 거래가 체결되기 까지를 하나의 봉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X축의 시간 단위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제 1영역(131)에는 단기분의 현시점의 상태가 표시된 바(bar)그래프가 표시될 수 있으며, 하나의 바(bar)는 90틱봉을 의미한다. 제 3영역(133)에는 복수의 90틱봉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열되고, 증권 지수의 시세에 대한 봉 그래프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생성된 이동평균선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그래프 생성부(130)는 각각의 90틱봉에 대한 현시점의 상태를 색상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프 생성부(130)는 현시점의 상태가 표시된 각각의 바(bar)와 대칭되도록 제 3영역(133) 상에 현시점의 상태를 각각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색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하기 위한 방법이라면, 색상, 패턴, 도형 등을 통해 표시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색상이 의미하는 바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시세에 기초한 현시점의 상태가 표시된 장기분 그래프를 나타낸 실행화면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7은, 증권 분석 장치(100)가 출력시킨 화면으로 90틱봉 상에서의 장기분 그래프를 나타낸 실행화면이다. 특히, 도 7은 주가 지수 연동 종목인 선물에 관한 그래프로써, 장 마감 시간 직전의 실행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장기분 그래프는 90틱봉의 시간 데이터를 30분봉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30분봉에서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이때, 서로 다른 설정 단위의 그래프를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고, 90틱봉 그래프의 좌표축에 맞추어 변환된 30분봉 상의 현시점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서 90틱봉을 30분봉으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과거 시세 수집부(110)는 90틱봉 데이터의 시간 데이터를 모아 30분봉으로 변환하고, 상태 판단부(120)는 변환된 30분봉을 가공하여 현시점의 상태를 판단하고, 그래프 생성부(130)는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를 제 3영역(133)에 표시할 수 있다. 다만, 틱봉은 거래횟수를 기준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틱봉을 분봉으로 변환하는 경우 변환된 데이터와 실제 30분봉의 데이터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래프 생성부(130)을 통해 제 2영역(132)에는 장기분에 대한 현시점의 상태가 표시된 바(bar)그래프가 표시될 수 있으며, 도 6과 달리, 제 3영역(133)에는 30분봉 그래프로 변환되어 표시되지 않고, 90틱봉 그래프와 이동평균선을 그대로 유지한 채, 90틱봉을 기초로 변환된 30분봉 상의 현시점의 상태만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는 90틱봉과 30분봉 상에서의 현시점의 상태를 하나의 화면에서 손쉽게 비교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단 기능 메뉴들 중에서 신호등 모양의 메뉴를 1번 누를 경우(신호등 모양이 세워짐) 90틱봉(단기분)에 대한 현시점의 상태가 표시되며, 2번 누를 경우(신호등 모양이 눕혀짐) 90틱봉을 기초로 변환된 30분봉(장기분)에 대한 현시점의 상태로 변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제 3영역(133)에서 단기분과 장기분에 대한 현시점의 상태를 손쉽게 변환할 수 있다.
도 8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 분석 장치의 실행화면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8은, 증권 분석 장치(100)가 출력시킨 화면으로 특히, 도 8은 단기분과 장기분의 각각의 바(bar)그래프와 90틱봉을 기초로 변환된 30분봉(장기분)에 대한 현시점의 상태가 표시된 실행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시점의 상태는 상태별로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예와 같이 현시점의 상태에 대한 표시 색상은 세가지의 경우로 구분될 수도 있다. 한편, 상태 판단부(120)에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는 그래프 생성부(13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상태(134)는 증권 매수에 유리한 상태로 빨간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2상태(135)는 증권 매도에 유리한 상태로 파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 3상태(136)는 이 외의 경우에 해당되며, 색상 표시가 없거나, 노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현시점의 상태에 대한 색상은 시각적으로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표현한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패턴, 모양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증권 분석 장치(100)는 그래프 생성부(130)를 통해 하나의 실행화면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바(bar)그래프가 표시되고, 제 3영역(133)에는 90틱봉 그래프, 이동평균선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신호등 모양의 메뉴의 누름이 있는 경우, 단기분과 장기분의 현시점의 상태가 그래프 생성부(130)를 통해 제 3영역(133)에서 번갈아 표시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화면에는 기술적 분석을 위한 다양한 기능의 메뉴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 분석 장치(100)는 현시점의 상태를 색상으로 표시하여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신호등 메뉴와 복수의 설정 단위에 대한 현시점의 상태가 표시된 바(bar)그래프를 표시할 수 있는 듀얼차트 메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증권 분석 장치(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 또는 메뉴들은 개발자의 의도, 필요 등에 의해 추가/변형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한편, 그래프 생성부(130)는 거래 시점 판단부(140)에 의해 판단된 거래 타이밍을 제 1영역(131) 및 제 2영역(132)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그래프 생성부(130)는 거래 시점 판단부(140)를 통해 판단된 거래 타이밍을 알려주는 표식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래프 생성부(130)는 각각의 현시점의 상태가 일치하지 않다가, 서로 일치되는 시점에 대해 거래 타이밍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프 생성부(130)는 현시점의 상태가 서로 일치하지 않다가 증권 매수에 유리한 상태인 제 1상태(134)로 일치하는 경우, 매수 타이밍 표식(141)을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그래프 생성부(130)는 현시점의 상태가 증권 매도에 유리한 상태인 제 2상태(135)로 일치하는 경우, 매도 타이밍 표식(142)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제 3상태(136)으로 일치하는 경우는 어떠한 표식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그래프 생성부(130)는 청산 타이밍 표식(143)을 표시할 수 있다. 거래 시점 판단부(140)를 통해 판단된 매수청산 및 매도청산 타이밍은 매수 및 매도 타이밍과 구분할 수 있게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그래프 생성부(130)를 통해 매수는 빨간색, 매도는 파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고, 매수 및 매도 타이밍은 꽉찬 화살표로 표시될 수 있으며, 매수청산 및 매도청산 타이밍은 빈 화살표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표시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증권의 거래량이 많을 경우, 거래 타이밍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그래프 생성부(130)는 증권 시장 운용시간 중 거래량이 많은 특정 시간대 또는 거래량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에는 바(bar)그래프 상에서 증권 거래 타이밍을 강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bar) 또는 거래 타이밍 표식을 두껍게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증권 분석 장치(100)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생성되는 증권 시세를 분석하고, 현시점의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현시점에서 증권을 거래하는 행위가 유리한 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거래 타이밍을 판단하므로, 투자자들에게 증권 투자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증권 분석 장치(100)는 하나의 실행화면에 다양한 형태의 그래프와 거래 타이밍을 동시에 표시하므로, 증권 정보를 시각적으로 한 눈에 알아볼 수 있고, 선물 등 단기 투자에 적합한 분석을 적용하여, 증권 종목의 시세 변동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보다 안정적으로 수익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증권 분석 시스템 100: 증권 분석 장치
110: 과거 시세 수집부 120: 상태 판단부
130: 그래프 생성부 131: 제 1영역
132: 제 2영역 133: 제 3영역
134: 제 1상태 135: 제 2상태
136: 제 3상태 140: 거래 시점 판단부
141: 매수 타이밍 표식 142: 매도 타이밍 표식
143: 청산 타이밍 표식 200: 사용자 단말
300: 네트워크

Claims (10)

  1. 소정의 기준에 따라 형성되는 증권의 과거 시세를 수집하는 과거 시세 수집부;
    상기 증권의 최근 거래가인 현재가와 수집된 과거 시세를 비교하여, 현시점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및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에 기초하여, 증권 거래 타이밍을 판단하는 거래 시점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판단부는,
    거래 횟수를 기준으로 형성되는 제1 시세 및 거래 기간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제2 시세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현시점의 상태를 각각 판단하고,
    상기 제 1 시세는 90번의 거래가격 중 종가이며,
    상기 제 2 시세는 30분간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시세 중 최종 제 1 시세인, 증권 분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시점 판단부는,
    상기 제 1 시세 및 상기 제 2 시세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기 현시점의 상태가 서로 동일한 지 여부에 기초하여, 증권 거래 타이밍을 판단하는, 증권 분석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시점 판단부는,
    상기 현시점의 상태가 각각 증권 매수에 유리한 상태로 동일한 경우, 상기 현시점을 매수 타이밍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현시점의 상태가 각각 증권 매도에 유리한 상태로 동일한 경우, 상기 현시점을 매도 타이밍이라고 판단하는, 증권 분석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권의 시세는 소정의 선물 거래에 대한 시세이며,
    상기 과거 시세 수집부는,
    90틱 단위로 형성되는 제 1시세의 과거 시세를 수집하고,
    상기 거래 시점 판단부는,
    상기 제 1 시세에 기초한 20 이동평균선이 상승 또는 하락 전환하는 시점 또는, 현재가가 상기 현재가의 직전가와 비교했을 때 상기 20 이동평균선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며 형성되거나,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며 형성되는 경우, 상기 현시점을 청산 타이밍으로 판단하는, 증권 분석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세 및 상기 제 2 시세에 기초하여 각각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를 시간에 흐름에 따라 일방향으로 누적시켜 각각 표시하고, 각각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를 누적방향과 수직방향의 바(bar)형태인 그래프로 생성하는 그래프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각각 표시된 현시점의 상태는, 서로 나란한, 증권 분석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 생성부는,
    판단된 현시점의 상태에 따라 다른 형태의 그래프를 생성하며, 나란하게 배치된 현시점의 상태에 대한 그래프가 동일한 지점에 거래 타이밍을 알려주는 표식을 생성하는, 증권 분석 장치.
KR1020190106130A 2019-08-28 2019-08-28 증권 분석 장치 KR102129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130A KR102129491B1 (ko) 2019-08-28 2019-08-28 증권 분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130A KR102129491B1 (ko) 2019-08-28 2019-08-28 증권 분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491B1 true KR102129491B1 (ko) 2020-07-02

Family

ID=71599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130A KR102129491B1 (ko) 2019-08-28 2019-08-28 증권 분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4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782B1 (ko) * 2022-02-14 2023-01-09 강흥보 전략 설정에 따른 유가증권의 자동거래시스템 및 자동거래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628B1 (ko) 2012-02-06 2013-05-07 권성만 소액투자자 보호를 위한 주식, 선물, 옵션의 전략적 자동매매 방법 및 시스템
US20140297503A1 (en) * 2010-05-03 2014-10-02 Joseph Murphy Methods and system for visually designing trading strategies and execu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97503A1 (en) * 2010-05-03 2014-10-02 Joseph Murphy Methods and system for visually designing trading strategies and execution thereof
KR101261628B1 (ko) 2012-02-06 2013-05-07 권성만 소액투자자 보호를 위한 주식, 선물, 옵션의 전략적 자동매매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782B1 (ko) * 2022-02-14 2023-01-09 강흥보 전략 설정에 따른 유가증권의 자동거래시스템 및 자동거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1305B1 (en) Methods and systems to quantify and index liquidity risk in financial markets and risk management contracts thereon
KR101543643B1 (ko) 주식종목 순위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식종목 선택방법
WO2005101996A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a designing and trading macroeconomic investment views
US20100145873A1 (en) A Mass Customizable Interactive, Multi-Faceted System For Data Collection, Processing, Analysis, Transmission, And Trading In Securities
US20120150716A1 (en) Virtual trading market provision system and method using synthesis of instruments
TW201417025A (zh) 圖形化建立及執行下單策略的交易系統及其方法
KR20140106176A (ko) 주식 매매 시스템 및 주식 매매 방법
KR102129491B1 (ko) 증권 분석 장치
Huang et al. Network diffusion of international oil volatility risk in China's stock market: Quantile interconnectedness modelling and shock decomposition analysis
KR20220109956A (ko) 증권 정보 분석을 통한 상담 서비스 제공 장치
CN208061256U (zh) 一种电子交易策略生成设备
KR102461056B1 (ko) 실적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243158A (ja) ポートフォリオ自動運用システム
KR102243647B1 (ko) 증권 거래 자산정보 제공시스템 및 증권 거래 자산정보 제공방법
Lubnau et al. Technical trading with open interest: evidence from the German market
KR102461054B1 (ko)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97474A (ko) 가상화폐 거래정보 산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상화폐 거래정보 산출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의 기록매체
KR20210139032A (ko)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620000B1 (ko) 재무 지표 분석 기반 투자 가치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6076098A (ja) J−reitの買付及び売付のタイミングを判定するコンピュータ装置
Patil et al. A Study of Key Technical Indicators for Effective and Profitable Strategy in Option Trading of Nifty
KR20120137807A (ko) 실시간 증권 틱데이터를 이용한 그래프 생성 시스템
TW201915897A (zh) 金融商品交易數據處理裝置及其方法
WO2021153547A1 (ja) 為替取引情報表示プログラム
KR102036231B1 (ko) 주문체결량 기반 거래정보 전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홈 트레이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