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9032A -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9032A
KR20210139032A KR1020200057263A KR20200057263A KR20210139032A KR 20210139032 A KR20210139032 A KR 20210139032A KR 1020200057263 A KR1020200057263 A KR 1020200057263A KR 20200057263 A KR20200057263 A KR 20200057263A KR 20210139032 A KR20210139032 A KR 20210139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date
price
value
st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8822B1 (ko
Inventor
김동훈
Original Assignee
김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훈 filed Critical 김동훈
Priority to KR1020200057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822B1/ko
Publication of KR20210139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9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는 기설정된 시작일부터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를 일별로 수집하는 제1 수집부, 시작일 이후 각 증권사에서 발행되는 보고서에 따른 대상종목에 대한 목표주가를 수집하는 제2 수집부, 목표주가가 수집된 각 수집일에서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목표주가의 평균값을 목표주가가 최초로 수집된 최초 수집일부터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각 일자의 투자의견값으로 설정하는 투자의견값 설정부 및 최초 수집일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임계기간 이후의 어느 한 일자인 예측일자 이전의 각 일자에 대한 대상종목에 대한 투자의견값들과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에 기초하여 예측일자에서 대상종목에 대한 적정주가를 산출하는 적정주가 산출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AIR PRICE OF A STOCK USING TARGET PRICE OF SECURITIES REPORTS}
본 발명은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권사에서 발표하는 보고서에 포함된 주식종목의 목표주가에 기초하여 해당 주식종목의 적정주가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 증권사들은 국내외 금융시장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투자자에게 투자자문, 기업 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한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증권사에서 발표하는 보고서에는 상장기업의 주식에 대한 목표주가가 포함되는데, 동일한 주식종목에 대해 증권사별로 상이한 목표주가를 제시하여 투자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으며, 목표주가가 실제 주가에 미치지 못하는 등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증권전문가들이 입력한 주가예측자료를 이용하여 주가를 예측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전문가가 입력한 데이터의 평균에 따른 예상주가를 산출하는 것으로, 전문가가 예측한 데이터를 이용한다는 것 외에 주가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4-006488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4-001853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간에 따라 구분된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들로부터 산출한 비교값과 해당 주식종목의 과거 실제주가를 이용하여 주식종목의 적정주가를 산출하는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는 기설정된 시작일부터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를 일별로 수집하는 제1 수집부, 시작일 이후 각 증권사에서 발행되는 보고서에 따른 대상종목에 대한 목표주가를 수집하는 제2 수집부, 목표주가가 수집된 각 수집일에서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목표주가의 평균값을 목표주가가 최초로 수집된 최초 수집일부터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각 일자의 투자의견값으로 설정하는 투자의견값 설정부 및 최초 수집일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임계기간 이후의 어느 한 일자인 예측일자 이전의 각 일자에 대한 대상종목에 대한 투자의견값들과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에 기초하여 예측일자에서 대상종목에 대한 적정주가를 산출하는 적정주가 산출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방법은 기설정된 시작일부터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를 일별로 수집하는 단계, 시작일 이후 각 증권사에서 발행되는 보고서에 따른 대상종목에 대한 목표주가를 수집하는 단계, 목표주가가 수집된 각 수집일에서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목표주가의 평균값을 목표주가가 최초로 수집된 최초 수집일부터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각 일자의 투자의견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최초 수집일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임계기간 이후의 어느 한 일자인 예측일자 이전의 각 일자에 대한 대상종목에 대한 투자의견값들과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에 기초하여 예측일자에서 대상종목에 대한 적정주가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권사에서 공개한 증권사 보고서에 따른 목표주가를 이용하여 산출한 비교값과, 실제주가에 기초하여 주식종목의 적정주가를 예측하는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식종목에 목표주가들을 일자에 따라 기간별로 구분하여 서로 다른 각 기간에서의 목표주가들의 평균의 비와 주식종목의 과거 실제 주가로부터 적정주가를 산출하여, 목표주가와 실제주가의 괴리에 관계없이 해당 주식종목에 대한 평가의 변화에 따른 적정주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에 비해 정확도가 향상된 적정주가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의 표시모듈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증권사 보고서에 따른 목표주가를 이용하여 주식종목의 적정주가를 산출하여 제공하도록 한다.
증권사 보고서란 각 증권사에서 발표하는 보고서로, 증권사가 분석한 주식 종목에 대한 목표주가와, 해당 종목을 매수/매도/보유할 지를 나타내는 투자의견과, 해당 주식에 대응되는 회사의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등을 포함하는 재무데이터와, 해당 종목과 관련된 이슈를 정리한 글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10)는 제1 수집부(110), 제2 수집부(120), 투자의견값 설정부(130), 적정주가 산출모듈(200), 표시모듈(30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수집부(110)는 기설정된 시작일부터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를 일별로 수집하는 것일 수 있다.
대상종목이란,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주식종목들 중 적정주가를 산출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식종목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수집부(110)는 기설정된 시작일부터 주식시장이 열리는 일자에서 대상종목의 고가와 저가를 일별로 수집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시작일이 2020년 1월 1일인 경우, 제1 수집부(110)는 2020년 주식시장 개장일인 2020년 1월 2일부터 주식시장이 열리는 일자에서의 대상종목의 고가와 저가를 일별로 수집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수집부(120)는 시작일 이후 각 증권사에서 발행되는 보고서에 따른 대상종목에 대한 목표주가를 수집하는 것일 수 있다.
각 증권사에서 발행되는 보고서는 장기투자 보고서, 월간 보고서, 주간 보고서, 데일리 보고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수집부(120)는 각 증권사의 보고서 발행에 따라, 어느 날에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주가를 수집하고, 어느 날에는 목표주가를 전혀 수집하지 못할 수도 있다.
제2 수집부(120)는 각 증권사에서 발생되는 보고서에서 대상종목에 대해 기설정된 텍스트 이미지와 대응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페이지를 선택하고, 해당 페이지에서 목표주가에 대응되는 목표주가 영역을 선택하여, 목표주가 영역으로부터 대상종목에 대한 목표주가를 수집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2 수집부(120)는 증권사별 발표일자에 따른 대상종목에 대한 목표주가들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저장된 외부 서버로부터 대상종목의 목표주가를 수집하는 것일 수 있다.
투자의견값 설정부(130)는 목표주가가 수집된 각 수집일에서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목표주가의 평균값을 목표주가가 최초로 수집된 최초 수집일부터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각 일자의 투자의견값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투자의견값 설정부(130)는 최초 수집일 이후의 일자 중 목표주가가 수집된 수집일에 있어서, 목표주가가 수집된 수집일에 각각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목표주가에 대한 평균값을 수집일의 투자의견값으로 설정하고, 목표주가가 수집되지 않은 일자에 있어서, 목표주가가 수집되지 않은 일자 이전에 목표주가가 수집된 수집일에 대한 투자의견값을 목표주가가 수집되지 않은 일자의 투자의견값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투자의견값 설정부(130)는 최초 수집일 이후 주식 시장이 개최된 어느 하나의 일자에서 적어도 하나의 목표주가가 수집된 경우, 해당 일자에서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목표주가의 평균값을 해당 일자에 대한 투자의견값으로 설정하고, 최초 수집일 이후 주식 시장이 개최된 어느 하나의 일자에서 목표주가가 수집되지 않으면, 목표주가가 수집되지 않은 일자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목표주가가 수집된 일자 중 가장 가까운 일자의 투자의견값을 목표주가가 수집되지 않은 일자의 투자의견값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투자의견값 설정부(130)는 같은 수집일에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목표주가를 평균함에 따른 평균값을 해당 수집일의 투자의견값으로 설정하여, 증권사별로 제시한 목표주가들의 차이를 보완하도록 한다.
또한, 투자의견값 설정부(130)는 대상종목에 대한 목표주가가 전혀 수집되지 않은 일자에 대해, 해당 일자 이전의 가장 최근에 목표주가가 수집된 일자의 투자의견값을 대상종목에 대한 목표주가가 전혀 수집되지 않은 일자 투자의견값으로 설정함으로써, 대상종목에 대한 목표주가의 공백을 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수집일이 2020년 1월 2일로, 제2 수집부(120)에서 최초 수집일에 KTB투자, 하나금융투자, 현대차증권, 미래에셋대우, 신한금융투자의 보고서로부터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로 각각 70000, 63000, 71000, 70000, 64000을 최초로 수집한 경우, 투자의견값 설정부(130)는 70000, 63000, 71000, 70000, 64000의 평균값인 67600을 최초 수집일이며, 주식시장이 개장되어 삼성전자의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일자인 2020년 1월 2일의 투자의견값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 수집부(120)에서 1월 2일부터 1월 14일까지, 주식시장이 개장되어 삼성전자의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일자마다 삼성전자에 대한 목표주가를 수집한 경우, 투자의견값 설정부(130)는 1월 2일부터 1월 14일까지는 주식시장이 개장되어 삼성전자의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일자마다 삼성전자에 대한 목표주가를 수집한 각 일자에서 수집된 삼성전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주가의 평균을 각 일자의 투자의견값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1월 15일에 주식시장이 개장되어 삼성전자의 고가와 저가가 수집되었지만, 삼성전자에 대한 목표주가를 수집하지 못한 경우, 투자의견값 설정부(130)는 1월 14일의 투자의견값을 1월 15일의 투자의견값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020년 1월 14일 IBK투자, 키움, 한화투자의 보고서로부터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로 각각 68000, 73000, 70000을 수집하고, 2020년 1월 15일에는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수집하지 못한 경우, 투자의견값 설정부(130)는 68000, 73000, 70000의 평균값인 70333을 1월 14일의 투자의견값으로 설정하고, 1월 14일의 투자의견값인 70333을 1월 15일의 투자의견값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적정주가 산출모듈(200)은 최초 수집일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임계기간 이후의 어느 한 일자인 예측일자 이전의 각 일자에 대한 대상종목에 대한 투자의견값들과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에 기초하여 예측일자에서 대상종목에 대한 적정주가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적정주가란 증권사 보고서에 따른 대상종목의 목표주가들과 대상종목의 과거 실제 주가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으로, 예측일자 기준으로 대상종목의 적정한 주가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임계기간이란 적정주가를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기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1개월, 4개월, 1년, 2년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정주가 산출모듈(200)은 예측일자 직전의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자가 수집된 일자로부터 예측일자에서 임계기간 이전의 일자까지의 일자별 투자의견값과 일자별 고가와 저가를 이용하여 예측일자에서의 대상종목의 적정주가를 산출하도록 한다.
적정주가 산출모듈(200)은 대상기간 설정부(210), 누적평균가 산출부(220), 비교값 산출부(230), 선택부(240), 예상고가 산출부(251), 예상저가 산출부(253), 적정주가 산출부(255)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대상기간 설정부(210)는 최초 수집일부터 예측일자 이전까지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일자들 중 기설정된 판단주기에 따라 예측일자가 포함되는 제1 대상기간과 상기 제1 대상기간 이전의 제2 대상기간을 각각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판단주기란, 예측일자 이전의 일자별 고가와 저가, 예측일자 이전의 일자별 투자의견값들을 일자에 따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주기는 임계기간보다 작거나 같도록 한다.
판단주기는 1개월, 분기, 1년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상기간 설정부(210)는 시점 생성부(211), 기간 설정부(213)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시점 생성부(211)는 최초 수집일부터 예측일자 이전까지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일자들 중 기설정된 판단주기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일자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시작시점들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시점 생성부(211)는 기설정된 판단주기에 따라, 최초 수집일과 최초 수집일부터 예측일자 이전까지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일자의 월에 해당하는 숫자가 바뀌는 일자에 대응되는 시작시점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판단주기가 1개월이고, 최초 수집일이 2020년 1월 2일이고, 2020년 4월29일까지 지속적으로 대상종목의 고가와 저가, 목표주가를 수집하는 경우, 시점 생성부(211)는 1월 2일에 대응되는 시작시점과, 1월 31일에서 2월 3일로, 2월 28일에서 3월 2일로, 3월 31일에서 4월 1일 각 일자의 월에 해당하는 숫자가 바뀌는 2월 3일, 3월 2일, 4월 1일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시작시점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기설정된 판단주기가 분기인 경우, 시점 생성부(211)는 최초 수집일과 최초 수집일부터 예측일자 이전까지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일자들 중 월에 해당하는 숫자가 12에서 1로 바뀌는 일자, 3에서 4로 바뀌는 일자, 6에서 7로 바뀌는 일자, 9에서 10으로 바뀌는 일자에 대응되는 시작시점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기간 설정부(213)는 복수개의 시작시점들 중 예측일자와 가장 인접한 시작시점인 제1 시작시점부터 예측일자 직전에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를 수집한 일자까지를 제1 대상기간으로 설정하고, 제1 시작시점의 판단주기 이전의 시작시점인 제2 시작시점부터 제1 시작시점 직전에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일자까지를 제2 대상기간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복수개의 시작시점들 중 예측일자와 가장 인접한 시작시점은 복수개의 시작시점와 예측일자를 시간순으로 일직선 상에 나열하였을 때, 예측일자와 가장 가까운 시작시점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 시작시점은 복수개의 시작시점들을 시간순서에 따라 일직선으로 나열하였을 때 제1 시작시점의 직전에 위치하는 시작시점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수집일이 2020년 1월 2일이고 기설정된 판단주기가 1개월이며 예측일자가 5월 4일인 경우, 기간 설정부(213)는 최초 수집일과 예측일자 사이의 복수개의 시작시점들(2월 3일, 3월 2일, 4월 1일) 중 4월 1일을 제1 시작시점으로 하여, 4월 1일부터 5월 4일 직전에 대상종목의 고가와 저가를 수집한 일자인 4월 29일까지를 제1 대상기간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기간 설정부(213)는 3월 2일부터 4월 1일 직전에 대상종목의 고가와 저가를 수집한 일자인 3월 31일까지는 제2 대상기간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누적평균가 산출부(220)는 제1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투자의견값을 평균함에 따른 제1 누적평균가와,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투자의견값을 평균함에 따른 제2 누적평균가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누적평균가 산출부(220)는 기설정된 판단주기에 따른 각 대상기간에서의 투자의견값을 평균함에 따라, 증권사별로 발행한 보고서에 따른 목표주가를 단순 평균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기간에 따라 구분하여 누적평균가를 산출하도록 한다.
비교값 산출부(230)는 제1 누적평균가와 제2 누적평균가에 기초하여 비교값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비교값 산출부(230)는 제1 누적평균가를 제2 누적평균가로 나눔에 따른 비교값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적평균가 산출부(220)에서 제1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투자의견값들을 평균하여 62722의 값을 가지는 제1 누적평균가를 산출하고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투자의견값들을 평균하여 69443의 값을 가지는 제2 누적평균가를 산출한 경우, 비교값 산출부(230)는 제1 누적평균가인 62722를 제2 누적평균가인 694434로 나눔에 따라 0.9의 값을 가지는 비교값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비교값 산출부(230)는 제2 대상기간에 비해 예측일자와 가까워 비교적 최근인 제1 대상기간에서의 일자별 투자의견값을 평균함에 따른 제1 누적평균가를, 제1 대상기간에 비해 예측일자와 멀어 비교적 과거인 제2 대상기간에서의 일자별 투자의견값을 평균함에 따른 제2 누적평균가로 나눔에 따라 비교값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값 산출부(230)는 제1 대상기간에 비해 비교적 더 과거인 제2 대상기간에서의 목표주가들의 평균에 대한 제1 대상기간에서의 목표주가들의 평균의 비에 따라 비교값을 산출함으로써, 기간에 따라 구분된 예측일자 이전의 목표주가들의 변화를 반영하며, 일별 목표주가의 변화에 의한 변동성이 감소된 비교값을 산출하도록 한다.
또한, 비교값 산출부(230)는 구분된 기간에서의 목표주가들의 평균의 비에 따른 비교값을 산출함으로써, 실제주가와 목표주가 간의 괴리에 관계없이 시간에 따라 대상종목에 대한 평가 변화가 반영된 비교값을 산출하도록 한다.
선택부(240)는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고가 중 최댓값과,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저가 중 최솟값을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대상기간이 2020년 3월 2일부터 3월 31일인 경우, 선택부(240)는 3월 2일부터 3월 31일까지의 대상종목의 일별 고가 중 최댓값과 일별 저가 중 최솟값을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적정주가 산출모듈(200)은 과거기간에 대한 일별 고가, 과거기간에 대한 일별 저가 및 비교값에 기초하여 예측일자에서의 대상종목에 대한 적정주가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상고가 산출부(251)는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고가 중 최댓값과 비교값에 기초하여 예상고가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상고가란 증권사 보고서에 따른 대상종목의 목표주가들과 대상종목의 과거 실제 주가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으로, 대상종목이 향후 도달 가능한 최대 주가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상고가는 사용자가 대상종목 매도 시점을 판단하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한 일자에서 대상종목의 실제 주가가 예상고가에 가까워지거나 예상고가를 상회하는 경우, 사용자는 오버슈팅(Overshooting)이 일어나서 대상종목이 과평가되는 것으로 인식하여 대상종목을 매도할 수 있다.
예상고가 산출부(251)는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고가 중 최댓값과 비교값을 곱함에 따른 예상고가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상저가 산출부(253)는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저가 중 최솟값과 비교값에 기초하여 예측일자에서의 대상종목에 대한 예상저가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상저가란 증권사 보고서에 따른 대상종목의 목표주가들과 대상종목의 과거 실제 주가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으로, 대상종목이 향후 도달 가능한 최저 주가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상저가는 사용자가 대상종목 매수 시점을 판단하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한 일자에서 대상종목의 실제 주가가 예상저가에 가까워지거나 예상저가를 하회하는 경우, 사용자는 언더슈팅(Undershooting)이 일어나서 대상종목이 저평가되는 것으로 인식하여 대상종목을 매수할 수 있다.
예상저가 산출부(253)는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저가 중 최솟값과 비교값을 곱함에 따른 예측일자에서의 대상종목에 대한 예상저가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적정주가 산출부(255)는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고가와,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저가와, 비교값에 기초하여 예측일자에서의 대상종목에 대한 적정주가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적정주가 산출부(255)는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고가 중 최대값과,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저가 중 최솟값과, 비교값에 기초하여 예측일자에서의 대상종목에 대한 적정주가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적정주가 산출부(255)는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고가 중 최대값과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저가 중 최솟값을 평균함에 따른 평균주가와 비교값을 곱함에 따라 예측일자에서의 대상종목에 대한 적정주가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적정주가 산출부(255)는 예상고가와 예상저가를 평균함에 따라 예측일자에서의 대상종목에 대한 적정주가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10)에 있어서 적정주가 산출모듈(200)은 제1 대상기간과 제2 대상기간을 설정함으로써 예측일자 이전에 수집된 목표주가들을 기간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적정주가 산출모듈(200)은 각 대상기간에서의 일자별 투자의견값을 평균하여 제1 대상기간의 누적평균가와 제2 대상기간의 누적평균가를 산출함으로써, 기간에 따라 구분된 제1 대상기간과 제2 대상기간 각각에 속하는 목표주가들이 반영된 제1 누적평균가와 제2 누적평균가을 산출할 수 있다.
적정주가 산출모듈(200)은 제1 대상기간에서의 목표주가들에 따른 제1 누적평균가와 예측일자에 대해 제1 대상기간에 비해 비교적 더 과거인 제2 대상기간에서의 목표주가들에 따른 제2 누적평균가의 비에 기초한 비교값과, 제2 대상기간에서의 실제 고가와 저가를 이용하여 적정주가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정주가 산출모듈(200)은 비교적 과거인 제2 대상기간에서의 목표주가들의 평균에 대한 제1 대상기간에서의 목표주가들의 평균의 비에 제2 대상기간에서의 실제 주가를 이용하여 적정주가를 산출함으로써, 기존의 증권사 보고서로부터 제공되는 목표주가에 비해 정확도가 향상된 대상종목에 대한 적정주가를 산출하여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10)를 통해 제공되는 적정주가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2020년 1월 2일부터 4월 21일까지 삼성전자의 실제 고가와 저가, 각 증권사들이 발표한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수집하고, 수집 최소기간과 기설정된 주기를 3개월(분기 기준)으로 설정하여, 4월 1일부터 21일까지 삼성전자의 예상고가, 예상저가 및 적정주가를 산출하였으며, 4월 1일부터 21일까지 삼성전자에 대해 산출된 예상고가, 예상저가 및 적정주가와 실제 고가와 저가를 표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10)의 표시모듈(300)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도 3에 도시하였다.
표시모듈(300)은 예상고가, 예상저가 및 적정주가와 실제 고가와 저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그래프영역 생성부(310), 밴드차트 생성부(320), 적정주가 라인 생성부(330), 실제주가 라인 생성부(340), 매칭부(350), 표시부(36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래프영역 생성부(310)는 일자에 대응되는 시간 좌표축과 일자별 고가와 저가, 적정주가, 예상고가, 예상저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주가 좌표축을 가지는 그래프영역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그래프영역 생성부(310)는 그래프영역을 생성하는 시점에 해당하는 일자에 해당하는 출력마감일에서 기설정된 표시기간 이전의 일자인 출력시작일부터 출력마감일까지, 각 일자에 대응되는 시간 좌표축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출력마감일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그래프영역을 생성하는 시점 이전의 어느 한 시점에 해당하는 일자로 변경될 수 있다.
표시기간은 대상종목의 고가와 저가, 예상고가와 예상저가, 적정주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기 위한 기간으로, 표시기간에 속하는 일자의 고가와 저가, 예상고가와 예상저가, 적정주가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그래프영역 생성부(310)는 표시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고가와 저가, 예상고가와 예상저가, 적정주가 중 최댓값과 최솟값에 기초하여 축의 범위를 한정함에 따라 주가 좌표축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프영역 생성부(310)는 표시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고가와 저가, 예상고가와 예상저가, 적정주가 중 최댓값이 59000이고, 최솟값이 36000인 경우, 그래프영역 생성부(310)는 축의 범위를 30000부터 60000으로 한정함에 따라 주가 좌표축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밴드차트 생성부(320)는 예상고가 산출부(251)와 예상저가 산출부(253)로부터 예측일자에 해당하는 각 일자에서의 예상고가와 예상저가를 각각 입력받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예상고가에 따라 예상고가 라인을 생성하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예상저가를 따라 예상저가 라인을 생성하여, 예상고가 라인과 예상저가 라인을 포함하는 밴드차트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밴드차트 생성부(320)는 예측일자에 해당하는 각 일자에서의 예상고가를 그래프영역의 시간 좌표축 및 주가 좌표축과 대응되게 위치시키고 시간 순서대로 연결함에 따른 예상고가 라인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밴드차트 생성부(320)는 예측일자에 해당하는 각 일자에서의 예상저가를 그래프영역의 시간 좌표축 및 주가 좌표축과 대응되게 위치시키로 시간 순서대로 연결함에 따른 예상저가 라인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적정주가 라인 생성부(330)는 적정주가 산출모듈(200)로부터 예측일자에 해당하는 각 일자에서의 적정주가를 입력받아, 예측일자에 해당하는 각 일자에서의 적정주가를 그래프영역의 시간 좌표축 및 주가 좌표축과 대응되게 위치시키고 시간 순서대로 연결함에 따른 적정주가 라인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실제주가 라인 생성부(340)는 제1 수집부(110)로부터 대상종목에 대한 일자별 고가와 저가를 입력받아, 일자별 고가를 그래프영역의 시간 좌표축 및 주가 좌표축과 대응되게 위치시키고 시간 순서대로 연결함에 따른 제1 실제주가 라인을 생성하고, 일자별 저가를 그래프영역의 시간 좌표축 및 주가 좌표축과 대응되게 위치시키고 시간 순서대로 연결함에 따른 제2 실제주가 라인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매칭부(350)는 밴드차트 생성부(320)로부터 밴드차트, 적정주가 라인 생성부(330)로부터 적정주가 라인, 실제주가 라인 생성부(340)로부터 제1 실제주가 라인, 제2 실제주가 라인을 입력받아, 밴드차트, 적정주가 라인, 제1 실제주가 라인, 제2 실제주가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영역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매칭부(350)는 밴드차트, 적정주가 라인, 제1 실제주가 라인, 제2 실제주가 라인을 오버햅하여 표시영역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부(360)는 매칭부(350)에서 생성된 표시영역을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10)에 있어서 표시모듈(300)은 적정주가 산출모듈(200)에서 산출된 예측일자별 예상고가, 예상저가, 적정주가를 각각 표시하기 위한 예상고가 라인, 예상저가 라인, 적정주가 라인과, 제2 수집부(120)에서 각 예측일자에 대해 실제로 수집된 고가과 저가를 각각 표시하기 위한 제1 실제주가 라인, 제2 실제주가 라인을 포함하는 표시영역을 생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라 산출된 예상고가, 예상주가 및 적정주가와 실제 고가와 저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영역(1000)은 예상고가 라인(1001), 예상저가 라인(1003), 적정주가 라인(1005), 제1 실제주가 라인(1101), 제2 실제주가 라인(1103)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상고가 라인(1001)은 각 예측일자에서 대상종목의 예상고가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상저가 라인(1003)은 각 예측일자에서 대상종목의 예상저가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적정주가 라인(1005)은 각 예측일자에서 대상종목의 적정주가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실제주가 라인(1101)은 각 예측일자에서 실제로 수집된 대상종목의 고가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실제주가 라인(1103)은 각 예측일자에서 실제로 수집된 대상종목의 저가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적정주가 라인(1005)이 실제 삼성전자의 일별 고가를 나타내는 제1 실제주가 라인(1101)과 실제 삼성전자의 일별 저가를 나타내는 제2 실제주가 라인(1103)과 인접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정주가 제공 장치(10)의 적정주가 산출모듈(200)에서 산출된 삼성전자의 적정주가와 삼성전자의 실제 일자별 고가 및 저가가 근접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10)에 있어서 표시모듈(300)은 대상 종목의 실제 고가와 저가, 예상고가, 예상저가, 적정주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실제 고가와 저가, 예상고가, 예상저가, 적정주가의 비교를 통해 대상종목의 성장 가능성을 판단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10)는 증권 전문가들의 의견이 반영된 목표주가와 과거 실제 주가에 기초하여 대상종목의 도달 가능한 최대 가격인 예상고가, 도달 가능한 최저 가격인 예상저가, 적정주가를 산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대상종목의 가치를 판단하기 위한 지표를 제공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어느 한 일자에서 대상종목의 실제주가와 예상고가의 차이와 실제주가와 예상저가의 차이에 기초하여, 해당 일자에서 대상종목을 매매하였을 때 향후 생길 수 있는 손실 및 수익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어느 한 일자에서 대상종목의 실제주가가 적정주가의 비교를 통해 대상종목의 현재 가격이 적절한지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상기에서 설명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10)와 중복되는 내용 및 구성은 도면 부호를 일치시키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10)의 제1 수집부(110)는 기설정된 시작일부터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를 일별로 수집하고(S101), 제2 수집부(120)는 시작일 이후 각 증권사에서 발행되는 보고서에 따른 대상종목에 대한 목표주가를 수집하며(S103), 투자의견값 설정부(130)는 목표주가가 수집된 각 수집일에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목표주가의 평균값을 목표주가가 최초로 수집된 최초 수집일부터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각 일자의 투자의견값으로 설정(S105)하는 것일 수 있다.
S105 단계에서 투자의견값 설정부(130)는 최초 수집일부터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각 일자 중 수집일과 대응되는 일자에 있어서, 같은 일자에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목표주가를 평균함에 따른 평균값을 수집일과 대응되는 일자의 투자의견값으로 설정하고, 최초 수집일 이후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각 일자 중 수집일과 대응되지 않는 일자에 있어서, 각 일자 이전의 가장 가까운 수집일에 대응되는 일자의 투자의견값을 최초 수집일 이후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각 일자 중 수집일과 대응되지 않는 일자의 투자의견값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적정주가 산출모듈(200)은 S105 단계 이후 최초 수집일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임계기간 이후의 어느 한 일자인 예측일자 이전의 각 일자에 대한 대상종목에 대한 투자의견값들과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에 기초하여 예측일자에서 대상종목에 대한 적정주가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적정주가 산출모듈(200)는 대상기간 설정부(210), 누적평균가 산출부(220), 비교값 산출부(230), 선택부(240), 예상고가 산출부(251), 예상저가 산출부(253), 적정주가 산출부(255)를 포함하고, S105 단계 이후 적정주가 산출모듈(200)의 대상기간 설정부(210)는 최초 수집일과, 최초 수집일 이후에서 예측일자 이전까지 기설정된 판단주기에 따라 예측일자가 포함되는 제1 대상기간과 제1 대상기간 이전의 제2 대상기간을 각각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기간 설정부(210)는 최초 수집일과, 최초 수집일 이후에서 예측일자 이전까지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일자들 중 기설정된 판단주기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일자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시작시점들을 생성하고(S111), 복수개의 시작시점들 중 예측일자와 가장 인접한 제1 시작시점부터 예측일자까지를 제1 대상기간으로 설정하고, 제1 시작시점의 판단주기 이전인 제2 시작시점부터 제1 시작시점 직전에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일자까지를 제2 대상기간으로 설정(S113)하는 것일 수 있다.
S113 단계 이후 누적평균가 산출부(220)는 제1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투자의견값을 평균함에 따른 제1 누적평균가와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투자의견값을 평균함에 따른 제2 누적평균가를 산출하고(S115), 비교값 산출부(230)는 제1 누적평균가와 제2 누적평균가에 기초하여 비교값을 산출(S117)하는 것일 수 있다.
S117 단계에서 비교값 산출부(230)는 제1 누적평균가를 제2 누적평균가로 나눔에 따른 비교값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적정주가 산출부(255)는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고가와,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저가와, 비교값에 기초하여 예측일자에서의 대상종목에 대한 적정주가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S117 단계 이후, 선택부(240)는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고가 중 최댓값과,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저가 중 최솟값을 선택하고(S119), 적정주가 산출부(255)는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고가 중 최댓값과,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저가 중 최솟값과, 비교값에 기초하여 예측일자에서의 대상종목에 대한 적정주가를 산출(S121)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S119 단계와 S121 단계 사이에, 예상고가 산출부(251)는 일자별 고가 중 최댓값과 비교값에 기초하여 예측일자에서의 대상종목의 예상고가를 산출하고, 예상저가 산출부(253)는 일자별 저가 중 최솟값과 비교값에 기초하여 예측일자에서의 대상종목의 예상저가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S121 단계에서 적정주가 산출부(255)는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고가 중 최댓값과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저가 중 최솟값을 평균함에 따른 평균주가와 비교값을 곱하여 적정주가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방법은 대상종목의 예상고가, 예상저가, 적정주가를 산출하여, 증권 전문가의 의견과 과거 대상종목의 실제 주가에 기초한 대상종목의 가치 판단을 위한 지표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 및 방법으로부터 제공되는 예상고가, 예상저가, 적정주가에 기초하여 뉴스나 일시적인 상황에 의해 시장 심리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주식종목의 가치를 이성적으로 판단하고 거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기술적 사상이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
110 : 제1 수집부
120 : 제2 수집부
130 : 투자의견값 설정부
200 : 적정주가 산출모듈
210 : 대상기간 설정부
220 : 누적평균가 산출부
230 : 비교값 산출부
240 : 선택부
251 : 예상고가 산출부
253 : 예상저가 산출부
255 : 적정주가 산출부

Claims (10)

  1. 기설정된 시작일부터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를 일별로 수집하는 제1 수집부;
    상기 시작일 이후 각 증권사에서 발행되는 보고서에 따른 상기 대상종목에 대한 목표주가를 수집하는 제2 수집부;
    상기 목표주가가 수집된 각 수집일에서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목표주가의 평균값을 상기 목표주가가 최초로 수집된 최초 수집일부터 상기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각 일자의 투자의견값으로 설정하는 투자의견값 설정부; 및
    상기 최초 수집일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임계기간 이후의 어느 한 일자인 예측일자 이전의 각 일자에 대한 상기 대상종목에 대한 투자의견값들과 상기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에 기초하여 상기 예측일자에서 상기 대상종목에 대한 적정주가를 산출하는 적정주가 산출모듈;
    을 포함하는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정주가 산출모듈은
    상기 최초 수집일부터 상기 예측일자 이전까지 기설정된 판단주기에 따라 상기 예측일자가 포함되는 제1 대상기간과 상기 제1 대상기간 이전의 제2 대상기간을 각각 설정하는 대상기간 설정부;
    상기 제1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투자의견값을 평균함에 따른 제1 누적평균가와, 상기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투자의견값을 평균함에 따른 제2 누적평균가를 산출하는 누적평균가 산출부;
    상기 제1 누적평균가와 상기 제2 누적평균가에 기초하여 비교값을 산출하는 비교값 산출부; 및
    상기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고가와, 상기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저가와, 상기 비교값에 기초하여 상기 예측일자에서의 상기 대상종목에 대한 적정주가를 산출하는 적정주가 산출부; 를 포함하는 것
    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기간 설정부는
    상기 최초 수집일부터 상기 예측일자 이전까지 상기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일자들 중 기설정된 판단주기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일자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시작시점들을 생성하는 시점 생성부; 및
    상기 복수개의 시작시점들 중 상기 예측일자와 가장 인접한 제1 시작시점부터 상기 예측일자까지를 상기 제1 대상기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시작시점에서 상기 판단주기 이전인 제2 시작시점부터 상기 제1 시작시점 직전에 상기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일자까지를 상기 제2 대상기간으로 설정하는 기간 설정부; 를 포함하는 것
    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정주가 산출모듈은
    상기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고가 중 최댓값과, 상기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저가 중 최솟값을 선택하는 선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적정주가 산출부는
    상기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고가 중 최댓값과, 상기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저가 중 최솟값과, 상기 비교값에 기초하여 상기 예측일자에서의 상기 대상종목에 대한 적정주가를 산출하는 것
    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의견값 설정부는
    상기 최초 수집일 이후의 일자 중 상기 목표주가가 수집된 수집일에 있어서, 상기 목표주가가 수집된 수집일에 각각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목표주가에 대한 평균값을 상기 수집일의 투자의견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목표주가가 수집되지 않은 일자에 있어서, 상기 목표주가가 수집되지 않은 일자 이전에 상기 목표주가가 수집된 수집일에 대한 투자의견값을 상기 목표주가가 수집되지 않은 일자의 투자의견값으로 설정하는 것
    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
  6. 기설정된 시작일부터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를 일별로 수집하는 단계;
    상기 시작일 이후 각 증권사에서 발행되는 보고서에 따른 상기 대상종목에 대한 목표주가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목표주가가 수집된 각 수집일에서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목표주가의 평균값을 상기 목표주가가 최초로 수집된 최초 수집일부터 상기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각 일자의 투자의견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최초 수집일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임계기간 이후의 어느 한 일자인 예측일자 이전의 각 일자에 대한 상기 대상종목에 대한 투자의견값들과 상기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에 기초하여 상기 예측일자에서 상기 대상종목에 대한 적정주가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정주가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최초 수집일부터 상기 예측일자 이전까지 기설정된 판단주기에 따라 상기 예측일자가 포함되는 제1 대상기간과 상기 제1 대상기간 이전의 제2 대상기간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투자의견값을 평균함에 따른 제1 누적평균가와, 상기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투자의견값을 평균함에 따른 제2 누적평균가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누적평균가와 상기 제2 누적평균가에 기초하여 비교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고가와, 상기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저가와, 상기 비교값에 기초하여 상기 예측일자에서의 상기 대상종목에 대한 적정주가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기간과 상기 제1 대상기간 이전의 제2 대상기간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최초 수집일부터 상기 예측일자 이전까지 상기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일자들 중 기설정된 판단주기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일자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시작시점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시작시점들 중 상기 예측일자와 가장 인접한 제1 시작시점부터 상기 예측일자까지를 상기 제1 대상기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시작시점에서 상기 판단주기 이전인 제2 시작시점부터 상기 제1 시작시점 직전에 상기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일자까지를 상기 제2 대상기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적정주가를 산출하는 단계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고가 중 최댓값과, 상기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저가 중 최솟값을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정주가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고가 중 최댓값과, 상기 제2 대상기간에 속하는 일자별 저가 중 최솟값과, 상기 비교값에 기초하여 상기 예측일자에서의 상기 대상종목에 대한 적정주가를 산출하는 것
    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 수집일부터 상기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각 일자의 투자의견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최초 수집일부터 상기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각 일자 중 상기 수집일과 대응되는 일자에 있어서, 같은 일자에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목표주가를 평균함에 따른 평균값을 상기 수집일과 대응되는 일자의 투자의견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최초 수집일이후 상기 대상종목에 대한 고가와 저가가 수집된 각 일자 중 상기 수집일과 대응되지 않는 일자에 있어서, 각 일자 이전의 가장 가까운 수집일에 대응되는 일자의 투자의견값을 상기 수집일과 대응되지 않는 일자의 투자의견값으로 설정하는 것
    인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방법.








KR1020200057263A 2020-05-13 2020-05-13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 KR102458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263A KR102458822B1 (ko) 2020-05-13 2020-05-13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263A KR102458822B1 (ko) 2020-05-13 2020-05-13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9032A true KR20210139032A (ko) 2021-11-22
KR102458822B1 KR102458822B1 (ko) 2022-10-24

Family

ID=78717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263A KR102458822B1 (ko) 2020-05-13 2020-05-13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8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653B1 (ko) 2022-08-03 2023-01-12 박용우 재무제표 분석을 통한 가치 산출 및 차트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884A (ko) 2003-01-10 2004-07-21 김대용 다수의 사이버애널리스트들을 통한 주가예측방법
KR20140018531A (ko) 2012-08-02 2014-02-13 케이티비투자증권 주식회사 주가 예측 시스템
KR20150078211A (ko) * 2013-12-30 2015-07-08 정오영 적정 주가 예측 장치 및 방법
KR20190102836A (ko) * 2018-02-27 2019-09-04 김성조 수치형 데이터를 이용한 주가 변동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102091417B1 (ko) * 2019-07-04 2020-03-20 (주)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 인공 지능에 기초하여 자산의 가격을 예측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884A (ko) 2003-01-10 2004-07-21 김대용 다수의 사이버애널리스트들을 통한 주가예측방법
KR20140018531A (ko) 2012-08-02 2014-02-13 케이티비투자증권 주식회사 주가 예측 시스템
KR20150078211A (ko) * 2013-12-30 2015-07-08 정오영 적정 주가 예측 장치 및 방법
KR20190102836A (ko) * 2018-02-27 2019-09-04 김성조 수치형 데이터를 이용한 주가 변동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102091417B1 (ko) * 2019-07-04 2020-03-20 (주)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 인공 지능에 기초하여 자산의 가격을 예측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653B1 (ko) 2022-08-03 2023-01-12 박용우 재무제표 분석을 통한 가치 산출 및 차트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8822B1 (ko) 202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4083B1 (en) Methods and systems to quantify and index liquidity risk in financial markets and risk management contracts thereon
Kuzey et al. The impact of multinationality on firm value: A comparative analysis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s
US8069101B1 (en) Financial methodology to valuate and predict the news impact of major events on financial instruments
Rose et al. Where have all the IPOs gone: The hard life of the small IPO
JP2005530232A5 (ko)
JP2010118084A (ja) 取引コストの評価および最適化のためのシステム並びに方法
WO2001013308A1 (en) Automated analysis for financial assets
KR101004375B1 (ko) Psr 분석을 이용한 펀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458822B1 (ko) 증권사 보고서의 목표주가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공 장치
US2014022264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AU2010200243B2 (en) Personal point of sale commission rate benchmarking tool
KR100445247B1 (ko) 금융자산 운용방법
KR20150078211A (ko) 적정 주가 예측 장치 및 방법
Schyns et al. Optimal selection of a portfolio of options under Value-at-Risk constraints: a scenario approach
US20050149423A1 (en) Option value indicator
KR20090102884A (ko) 주가지수와 연동종목 분석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202200443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apid evaluation of raw material price risk mitigation contracts
KR102461056B1 (ko) 실적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TWI841282B (zh) 投資組合分析方法及系統
KR102461054B1 (ko) 수급패턴을 이용한 투자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Mehrotra ECONOMETRIC MODEL FOR PREDICTING INDEXES-USING ARMA, VAR AND VECM APPROACH
Kopita et al. Algorithmic trading and corporate investments
Marchesi Redefining Financial Forecasting: A CAPE-Based Approach to S&P 500 Analysis and Portfolio Construction
Fuertes et al. Newswire Tone-Overlay Commodity Portfolios
JP2005100148A (ja) 金融市場における金融商品の売買取引の執行を評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