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998B1 -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998B1
KR102460998B1 KR1020180124975A KR20180124975A KR102460998B1 KR 102460998 B1 KR102460998 B1 KR 102460998B1 KR 1020180124975 A KR1020180124975 A KR 1020180124975A KR 20180124975 A KR20180124975 A KR 20180124975A KR 102460998 B1 KR102460998 B1 KR 102460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riction
offshore plant
contact surface
seis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4356A (ko
Inventor
류용희
김현수
최정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주)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주)
Priority to KR1020180124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998B1/ko
Publication of KR20200044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17Means for protecting offshor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2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 E02B17/021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supporting construction and plat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34Foundations for sinking or earthquake terri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착저식 해양플랜트를 지진하중으로부터 격리하기 위한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은 해저에 배치되고, 상면에 마찰면을 가지는 하부 블록; 그리고 상기 하부 블록 상에 배치되는 상부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블록의 하면은 상기 마찰면과 마찰 접촉하는 제1 마찰 접촉면으로 제공된다. 상기 상부 블록의 상면은 상기 착저식 해양플랜트의 저면과 마찰 접촉하기 위한 제2 마찰 접촉면으로 제공된다. 상기 상부 블록과 상기 하부 블록 간의 제1 마찰 계수는 상기 상부 블록과 상기 착저식 해양플랜트 간의 제2 마찰 계수와 상이하게 제공된다.

Description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EARTHQUAKE ISOLATION SYSTEM OF LANDING-TYPE OFFSHORE PLANT}
본 발명은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 발생시 착저식 해양플랜트로 전달되는 지진 하중을 감쇄하기 위한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착저식 해양 발전플랜트는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중량을 증가시켜 해저면에 착저시킨 상태에서 발전을 하는 플랜트이다. 착저식 해양플랜트는 지상에서의 제한된 작업 공간 상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으며, 해저 착저 상태에서 운용되므로 계류 작업의 부담이 적고 조류와 파도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아 안정적으로 발전 작업을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착저식 해양 발전플랜트는 해저에 착저되어 작업을 하는 관계로, 지진이 발생할 경우 해저면으로부터 전달된 지진력에 의해 발전플랜트의 구조가 손상될 수 있으며, 지진 발생으로 인해 발전을 중단함으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지진 발생시 착저식 해양플랜트로 전달되는 지진 하중을 효과적으로 감쇄하여 지진으로부터 격리할 수 있는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은 착저식 해양플랜트를 지진하중으로부터 격리하기 위한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으로서, 해저에 배치되고, 상면에 마찰면을 가지는 하부 블록; 그리고 상기 하부 블록 상에 배치되는 상부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블록의 하면은 상기 마찰면과 마찰 접촉하는 제1 마찰 접촉면으로 제공된다. 상기 상부 블록의 상면은 상기 착저식 해양플랜트의 저면과 마찰 접촉하기 위한 제2 마찰 접촉면으로 제공된다. 상기 상부 블록과 상기 하부 블록 간의 제1 마찰 계수는 상기 상부 블록과 상기 착저식 해양플랜트 간의 제2 마찰 계수와 상이하게 제공된다.
상기 제2 마찰 계수는 상기 제1 마찰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상부 블록 및 상기 하부 블록은 각각 콘크리트 블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블록은, 하면에 상기 제1 마찰 접촉면을 가지고, 상면에 상기 제2 마찰 접촉면을 가지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 상에 지지된 상기 착저식 해양플랜트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은 상기 벽체와 상기 착저식 해양플랜트 간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상기 벽체에 마련된 충격완화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은 상기 벽체를 상기 바닥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벽체를 회동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착저식 해양플랜트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벽체를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 블록은, 하면에 상기 제1 마찰 접촉면을 가지고, 상면의 제1 영역에 상기 제2 마찰 접촉면을 가지고, 상면의 제2 영역에 홈부를 가지는 제1 블록; 상기 홈부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착저식 해양플랜트의 저면과 마찰 접촉하기 위한 제3 마찰 접촉면을 가지는 제2 블록; 및 상기 홈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블록을 승강시켜 상기 제3 마찰 접촉면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마찰 접촉면은 상기 착저식 해양플랜트에 대해 상기 제2 마찰 접촉면과 상이한 마찰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3 마찰 접촉면이, 상기 제2 마찰 접촉면 보다 낮은 제1 높이와, 상기 제2 마찰 접촉면과 같은 제2 높이와, 상기 제2 마찰 접촉면 보다 높은 제3 높이 간에 이동되도록, 상기 제2 블록을 승강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3 마찰 접촉면이 상기 제1 높이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착저식 해양플랜트가 상기 제2 마찰 접촉면 상에 지지되어 상기 제2 마찰 접촉면과 상기 착저식 해양플랜트 간의 상기 제2 마찰 계수에 의해 지진 하중이 감쇄되고, 상기 제3 마찰 접촉면이 상기 제3 높이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착저식 해양플랜트가 상기 제3 마찰 접촉면 상에 지지되어 상기 제3 마찰 접촉면과 상기 착저식 해양플랜트 간의 제3 마찰 계수에 의해 지진 하중이 감쇄되고, 상기 제3 마찰 접촉면이 상기 제2 높이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착저식 해양플랜트가 상기 제2 마찰 접촉면 및 상기 제3 마찰 접촉면 상에 지지되어 상기 제2 마찰 계수와 상기 제3 마찰 계수 사이의 제4 마찰 계수에 의해 지진 하중이 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지진 발생시 착저식 해양플랜트로 전달되는 지진 하중을 효과적으로 감쇄하여 지진으로부터 격리할 수 있는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 및 착저식 해양플랜트의 지진 하중과 변위 간의 관계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서 일부 구성은 다소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은 착저식 해양플랜트를 지진하중으로부터 격리하기 위한 것으로, 해저에 배치되고 상면에 마찰면을 가지는 하부 블록과, 하부 블록 상에 배치되는 상부 블록을 포함한다. 상부 블록의 하면은 마찰면과 마찰 접촉하는 제1 마찰 접촉면으로 제공되고, 상부 블록의 상면은 착저식 해양플랜트의 저면과 마찰 접촉하기 위한 제2 마찰 접촉면으로 제공된다.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 간의 제1 마찰 계수는 상부 블록과 착저식 해양플랜트 간의 제2 마찰 계수와 상이하게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간, 그리고 상부 블록과 착저식 해양플랜트 간의 두 개의 마찰 접촉면에 의해 착저식 해양플랜트에 가해지는 지진 하중(지진력)이 감소되고, 착저식 해양플랜트를 지진으로부터 효과적으로 격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100)은 착저식 해양플랜트(130)를 지진 하중으로부터 격리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상부 블록(120)과 하부 블록(110)을 포함한다.
하부 블록(110)은 해저(10)에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부 블록(110)은 상면이 노출된 상태로 전체적으로 해저(10)에 매립되어 설치되어 있으나, 해저(10)에 매립되지 않은 채로 해저(10) 상에 배치되거나, 해저(10)에 부분적으로 매립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하부 블록(110)은 상면에 마찰면(110a)을 갖는다. 하부 블록(110)은 상부 블록(120)과 같거나 상부 블록(120)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부 블록(120)과 접촉되는 하부 블록(110)의 상면은 해저(10)와 나란한 평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부 블록(110)은 콘크리트 블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부 블록(120)은 하부 블록(110) 상에 배치된다. 상부 블록(120)과 하부 블록(110)은 별도의 고정 수단 없이, 미끌림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상부 블록(120)은 착저식 해양플랜트(130)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부 블록(120)의 하면은 하부 블록(110)의 마찰면(110a)과 마찰 접촉하는 제1 마찰 접촉면(120a)으로 제공된다. 상부 블록(120)의 상면은 착저식 해양플랜트(130)의 저면과 마찰 접촉하기 위한 제2 마찰 접촉면(120b)으로 제공된다. 하부 블록(110)과 접촉되는 상부 블록(120)의 하면 및 착저식 해양플랜트(130)와 접촉되는 상부 블록(120)의 상면은 해저(10)와 나란한 평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부 블록(120)은 콘크리트 블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착저식 해양플랜트(130)는 해저에 착저 가능하도록, 비교적 평평한 저면을 가지는 선체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착저식 해양플랜트(130)는 착저식 발전플랜트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착저식 해양플랜트(130)는 부유력 조절이 가능한 수단(예를 들어, 밸러스팅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 및 착저식 해양플랜트의 지진 하중과 변위 간의 관계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2에서 가로축은 지진 하중에 의한 착저식 해양플랜트의 변위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지진 하중을 나타낸다. 그래프의 기울기는 마찰 계수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블록(120)과 하부 블록(110) 간의 제1 마찰 계수(k1)는 상부 블록(120)과 착저식 해양플랜트(130) 간의 제2 마찰 계수(k2)와 상이하게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상부 블록(120)과 착저식 해양플랜트(130) 간의 제2 마찰 계수(k2)는 상부 블록(120)과 하부 블록(110) 간의 제1 마찰 계수(k1)보다 작을 수 있다. 상부 블록(120)과 하부 블록(110) 간의 제1 마찰 계수(k1)는 콘크리트 - 콘크리트 접촉면으로 인해 상부 블록(120)과 착저식 해양플랜트(130) 간의 콘크리트 - 철강 접촉면의 제2 마찰 계수(k2) 보다 크게 제공된다.
따라서, 지진 발생시 상부 블록(120)과 하부 블록(110) 간의 제1 마찰 계수(k1)에 의해 1차적으로 지진 하중이 감쇄되고, 상부 블록(120)과 착저식 해양플랜트(130) 간의 제2 마찰 계수(k2)에 의해 2차적으로 지진 하중이 감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지진 발생시 하부 블록(110)과 상부 블록(120) 및 착저식 해양플랜트(130)가 상대 운동을 하면서 지진력을 감소시켜 주고, 2개의 접촉면의 마찰력에 의해 순차적으로 지진력이 감쇄되므로, 착저식 해양플랜트의 지진 응답 특성이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블록(120)은 바닥부(122)와 벽체(124)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22)는 하면에 제1 마찰 접촉면(120a)을 가지고, 상면에 제2 마찰 접촉면(120b)을 갖는다.
벽체(124)들은 바닥부(122) 상에 지지된 착저식 해양플랜트(130)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부(122)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벽체(124)는 바닥부(122) 상의 네 모서리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고, 모서리들 중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벽체(124)는 바닥부(122)와 동일한 재질의 콘크리트 블록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다른 재질로 제공될 수도 있다.
벽체(124)와 착저식 해양플랜트(130) 간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벽체(124)에는 충격완화부재(126)가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충격완화부재(126)는 착저식 해양플랜트(130)의 접촉 충격력을 완화하기 위한 펜더(fender)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벽체(124)들 중 적어도 하나는 바닥부(12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블록(120)에는 지지부(140)와 구동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140)는 벽체(124)를 바닥부(12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등의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구동부(150)는 벽체(124)를 회동 구동시키는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구동부(150)는 착저식 해양플랜트(13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벽체(124)를 회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구동부(150)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벽체에 마련된 의 고정부(152), 일단이 고정부(152)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벽체와 인접한 제2 벽체 상의 윈치에 연결되는 와이어(W), 그리고 그리고 제2 벽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와이어(W)를 감거나 푸는 윈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50)는 와이어(W)를 감아 제1 벽체를 들어 올리거나, 와이어(W)를 풀어 제1 벽체를 해저 측으로 내릴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벽체를 해저 측으로 내리게 되면, 착저식 해양플랜트가 부유한 상태로 개방된 측면 공간을 통해 이동하여 상부 블록(120) 상으로 진입하거나 외부로 진출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서 윈치에 의해 와이어를 구동하는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구동부(150)는 벽체(124)를 회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동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블록(120)은 착저식 해양플랜트와의 접촉 마찰 계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제1 블록(121)과 제2 블록(123) 및 승강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록(121)은 하면에 제1 마찰 접촉면을 가지고, 상면의 제1 영역에 제2 마찰 접촉면(121a)을 갖는다. 제1 블록(121)의 상면의 제2 영역에는 홈부(121b)가 형성된다. 홈부(121b)는 제2 블록(123)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홈부(121b)는 제1 블록(120)의 상면 중앙 영역에 형성되고, 제1 블록(121)의 제2 마찰 접촉면(121a)은 홈부(121b)를 제외하고 제2 블록(123)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에 형성된다.
제2 블록(123)은 홈부(121b)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블록(123)은 상면에 착저식 해양플랜트의 저면과 마찰 접촉하기 위한 제3 마찰 접촉면(123a)을 갖는다. 상부 블록(120)과 착저식 해양플랜트 간의 마찰 계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3 마찰 접촉면(123a)은 착저식 해양플랜트에 대해 제2 마찰 접촉면(121a)과 상이한 마찰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승강부(125)는 제2 블록(123)을 승강시켜 제3 마찰 접촉면(123a)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승강부(125)는 유압로드들을 신장시켜 유압로드들에 의해 지지되는 제2 블록(123)을 승강시키는 유압 구동시스템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승강부(125)는 제2 블록(123)의 제3 마찰 접촉면(123a)이, 제2 마찰 접촉면(121a) 보다 낮은 제1 높이와, 제2 마찰 접촉면(121a)과 같은 제2 높이와, 제2 마찰 접촉면(121a) 보다 높은 제3 높이 간에 이동되도록, 제2 블록(123)을 승강 구동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125)에 의해 제3 마찰 접촉면(123a)이 상기 제1 높이로 이동되는 경우, 제3 마찰 접촉면(123a)이 홈부(121b) 내에 반입되므로, 착저식 해양플랜트는 제2 마찰 접촉면(121a) 상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제2 마찰 접촉면(121a)과 착저식 해양플랜트 간의 제2 마찰 계수에 의해 지진 하중이 감쇄된다.
승강부(125)에 의해 제3 마찰 접촉면(123a)이 상기 제3 높이로 이동되는 경우, 제3 마찰 접촉면(123a)이 홈부(121b)로부터 반출되므로, 착저식 해양플랜트는 제3 마찰 접촉면(123a) 상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제3 마찰 접촉면(123a)과 착저식 해양플랜트 간의 제3 마찰 계수에 의해 지진 하중이 감쇄된다.
승강부(125)에 의해 제3 마찰 접촉면(123a)이 제2 마찰 접촉면(121a)과 동일한 높이의 제2 높이로 이동되는 경우, 착저식 해양플랜트는 제2 마찰 접촉면(121a) 상에 지지되는 동시에, 제3 마찰 접촉면(123a)에 의해서도 지지된다. 따라서, 착저식 해양플랜트는 상기 제2 마찰 계수와 상기 제3 마찰 계수 사이의 제4 마찰 계수에 의해 지진 하중이 감쇄된다.
따라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 블록(120)과 착저식 해양플랜트의 마찰 계수를 제2 마찰 계수, 제3 마찰 계수 또는 제4 마찰 계수로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착저식 해양플랜트의 운용 상황에 따라 지진 응답 특성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에서 제1 블록(121)과 제2 블록(123)으로 구성되는 상부 블록(120)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부 블록(120)은 3개 이상의 상이한 마찰 계수를 가지는 블록들로 제공될 수 있다. 상부 블록(120)이 N개의 블록으로 제공되고, (N-1)개의 블록을 승강 가능하게 구성하는 경우, 상부 블록(120)과 착저식 해양플랜트 간의 마찰 계수를 (2N-1)개로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해저 100: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
110: 하부 블록 110a: 마찰면
120: 상부 블록 120a: 제1 마찰 접촉면
121: 제1 블록 120b, 121a: 제2 마찰 접촉면
121b: 홈부 122: 바닥부
123: 제2 블록 123a: 제3 마찰 접촉면
124: 벽체 125: 승강부
126: 충격완화부재 130: 착저식 해양플랜트
140: 지지부 150: 구동부

Claims (5)

  1. 착저식 해양플랜트를 지진하중으로부터 격리하기 위한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으로서,
    해저에 배치되고, 상면에 마찰면을 가지는 하부 블록; 그리고
    상기 하부 블록 상에 배치되는 상부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블록의 하면은 상기 마찰면과 마찰 접촉하는 제1 마찰 접촉면으로 제공되고,
    상기 상부 블록의 상면은 상기 착저식 해양플랜트의 저면과 마찰 접촉하기 위한 제2 마찰 접촉면으로 제공되고,
    상기 상부 블록과 상기 하부 블록 간의 제1 마찰 계수는 상기 상부 블록과 상기 착저식 해양플랜트 간의 제2 마찰 계수와 상이하되;
    상기 상부 블록은,
    하면에 상기 제1 마찰 접촉면을 가지고, 상면의 제1 영역에 상기 제2 마찰 접촉면을 가지고, 상면의 제2 영역에 홈부를 가지는 제1 블록;
    상기 홈부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착저식 해양플랜트의 저면과 마찰 접촉하기 위한 제3 마찰 접촉면을 가지는 제2 블록; 및
    상기 홈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블록을 승강시켜 상기 제3 마찰 접촉면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찰 계수는 상기 제1 마찰 계수보다 작은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24975A 2018-10-19 2018-10-19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 KR102460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975A KR102460998B1 (ko) 2018-10-19 2018-10-19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975A KR102460998B1 (ko) 2018-10-19 2018-10-19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356A KR20200044356A (ko) 2020-04-29
KR102460998B1 true KR102460998B1 (ko) 2022-11-01

Family

ID=70466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975A KR102460998B1 (ko) 2018-10-19 2018-10-19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9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4983A (ja) 1999-08-31 2001-03-13 Kume Sekkei:Kk 構造物の免震基礎構造
JP2010189998A (ja) 2009-02-20 2010-09-02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免震構造、及び免震構造を有する建物
JP2014009485A (ja) 2012-06-29 2014-01-20 Takeuchi Construction Inc 減震基礎構造体及びそれを用いた減震工法
KR101476166B1 (ko) * 2014-05-12 2014-12-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원자력 플랜트
JP2016044463A (ja) * 2014-08-22 2016-04-04 清水建設株式会社 免震基礎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4983A (ja) 1999-08-31 2001-03-13 Kume Sekkei:Kk 構造物の免震基礎構造
JP2010189998A (ja) 2009-02-20 2010-09-02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免震構造、及び免震構造を有する建物
JP2014009485A (ja) 2012-06-29 2014-01-20 Takeuchi Construction Inc 減震基礎構造体及びそれを用いた減震工法
KR101476166B1 (ko) * 2014-05-12 2014-12-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원자력 플랜트
JP2016044463A (ja) * 2014-08-22 2016-04-04 清水建設株式会社 免震基礎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356A (ko)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51567B1 (en) A wave-induced motion compensating crane for use on an offshore vessel, vessel and load transferring method
NL2005755C2 (en) Floating marine structure.
KR101659250B1 (ko) 상부신축이동이 가능한 안전지지볼트가 결합된 교량상판 인상장치
KR101219575B1 (ko) 상하동요 보상장치
KR102460998B1 (ko) 착저식 해양플랜트 지진 격리 시스템
EP3715580A1 (en) Compensating system and method
NL2022947B1 (en) A vessel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 pile adapted to support an offshore wind turbine
JP2022041964A (ja) 風力タービン及びオフショア電気エネルギー生産設備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オフショア半潜水型プラットフォーム
KR20140035658A (ko) 해양 작업 설치선의 레그 시스템
JP6438555B2 (ja)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KR101512283B1 (ko) 크레인 케이블 흔들림 방지장치
JP2002048052A (ja) 風力発電装置の支持構造
CN105804475B (zh) 一种用于高压输电线路的铁塔
AU2015237363B2 (en) Method for lowering a subsea structure having a substantially flat support base into the water through the splash zone
JP6509017B2 (ja) 免震構造および既存建物の免震改修方法
KR20190002787A (ko) 부유식 교량 구조
CN110498322B (zh) 双层轿厢电梯的修整作业方法
CN101875468B (zh) 电梯设备
CN204614467U (zh) 用于防止电梯电缆与钢丝绳缠绕的装置
WO2013051711A1 (ja) 走行クレーンの免震支持装置
JP5092407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00033631A (ko) 교량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측경간 가설장치
KR102624682B1 (ko) 세굴방지장치
JP2005170655A (ja) エレベータロープの振れ止め装置
KR101099523B1 (ko) 구조물의 연결 가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