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979B1 - 굴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굴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979B1
KR102460979B1 KR1020200157362A KR20200157362A KR102460979B1 KR 102460979 B1 KR102460979 B1 KR 102460979B1 KR 1020200157362 A KR1020200157362 A KR 1020200157362A KR 20200157362 A KR20200157362 A KR 20200157362A KR 102460979 B1 KR102460979 B1 KR 102460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hing water
oyster
algul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0627A (ko
Inventor
유금범
Original Assignee
유금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금범 filed Critical 유금범
Priority to KR1020200157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979B1/ko
Publication of KR20220070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4Processing bivalves, e.g. oysters
    • A22C29/043Cleaning operations on bivalves, e.g. evisceration, brushing, separation of meat and shel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8Overflow-type cleaning, e.g. tanks in which the liquid flows over the tank in which the articles are pla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4Mixing of ingredients for cleaning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굴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척조의 내부에 세척수분사관이 설치되어, 세척조의 내부에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알굴에 포함된 이물질의 분리과정에서 알굴의 손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굴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굴 세척장치{Oyster Cleansing Device}
본 발명은 굴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척조의 내부에 세척수분사관이 설치되어, 세척조의 내부에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알굴에 포함된 이물질의 분리과정에서 알굴의 손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굴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은 내부를 보호하는 패각을 가진 연체동물을 말하나, 통상적으로 패각을 제외한 식용으로 사용되는 부분을 말하기도 한다.
이러한 굴은 식감이 부드러우면서도 특유의 맛이 있으며, 칼슘이나 단백질 등의 영양소가 풍부함에 따라 식용으로 이용되고, 양식하거나 바위에 붙은 자연 상태의 것을 채집하여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여기서, 굴은 식용을 위해 굴껍질은 분리하는 과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굴껍질과 알굴을 분리한 이후에는 알굴에 포함된 굴껍질 조각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추가적인 세척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기존에는 알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작업자가 채반과 같은 바구니를 사용하여 수작업을 통해 이물질 제거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시간이 장시간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자동으로 알굴을 세척하는 장치가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1316337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알굴 세척장치는 자동으로 세척은 실시되나 세척이 되는 과정에서 생굴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세척이 완료된 이후 알굴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추가적인 선별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131633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척조의 내부에 세척수분사관이 설치되어, 세척조의 내부에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알굴에 포함된 이물질의 분리과정에서 알굴의 손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굴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굴 세척장치는, 복수개의 철재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측이 개방된 챔버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세척수가 공급되고, 내부에 알굴이 투입되어 알굴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의 상단부를 따라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세척조의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세척조의 외부로 안내되는 알굴을 상기 세척조의 전방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선별바로 이루어져, 알굴을 일방향으로 안내함과 더불어 서로 다른 선별바의 사이 공간을 통해 알굴)이 통과되는 선별부재와, 내부가 중공된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고, 외부의 세척수공급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세척조의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관과, 원호 형상으로 밴딩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공급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와류를 형성하는 세척수분사관을 포함한다.
상기 세척수분사관은, 상기 세척수공급관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세척조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다단으로 배치된다.
상기 선별부재의 끝단 하부에는, 상측이 개방된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선별부재의 끝단을 따라 좌우로 길게 설치되어 알굴이 저장되는 알굴수거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알굴수거부의 일측에는, 상기 세척수공급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알굴수거부의 내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노즐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굴 세척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세척조의 내부에 세척수가 담겨진 상태에서 세척수분사관에 의해 와류가 형성됨에 따라 알굴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알굴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척조의 외부로 이동되는 알굴이 선별부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크기가 큰 알굴과 크기가 작은 알굴이 선별될 수 있으므로 선별 작업효율성 및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굴 세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굴 세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굴 세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굴 세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굴 세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굴 세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세척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세척수분사관 및 세척수공급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세척조 내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굴 세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굴 세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굴 세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굴 세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굴 세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좌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굴 세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굴 세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세척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세척수분사관 및 세척수공급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세척조 내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굴 세척장치는, 복수개의 철재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0)과, 상측이 개방된 챔버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세척수가 공급되고, 내부에 알굴이 투입되어 알굴(A)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20)와, 상기 세척조(20)의 상단부를 따라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세척조(20)의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세척조(20)의 외부로 안내되는 알굴(A)을 상기 세척조(20)의 전방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플레이트(36)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일측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선별바(40)로 이루어져, 알굴(A)을 일방향으로 안내함과 더불어 서로 다른 선별바(40)의 사이 공간을 통해 알굴(A)이 통과되는 선별부재(38)와, 내부가 중공된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세척조(20)의 내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고, 외부의 세척수공급배관(34)과 연결되어 상기 세척조(20)의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관(30)과, 원호 형상으로 밴딩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공급관(3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조(20)의 내부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와류를 형성하는 세척수분사관(3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굴 세척장치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지는 알굴(A)은 껍질이 제거된 상태의 굴을 말하며, 알굴(A)에는 껍질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굴껍질 조각 및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굴 세척장치는 알굴(A)에 포함되어 있는 굴껍질 조각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여기서는 상기 굴 세척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복수개의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2) 및 수평프레임(14)의 조립된 형태로 이루어져, 후술할 복수개의 세척조(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측에는 세척조(20)가 설치된다. 상기 세척조(20)는 상측이 개방된 챔버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세척수가 저장된다.
상기 세척조(20)는 전방벽체(22), 후방벽체(24) 그리고 측벽부(26), 바닥벽체(2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벽체(22)와 후방벽체(24) 그리고 측벽부(26), 바닥벽체(28)는 소정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전방측과 후방측 그리고 좌우측, 바닥면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세척조(20)의 구조에 의해 세척조(20)의 내부에 세척수가 담겨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전방벽체(22)의 높이는 상기 후방벽체(24) 및 측벽부(26)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방벽체(22)의 상단부를 통해 세척수가 넘치는 과정에서 알굴(A)이 후술할 가이드플레이트(36)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세척조(20)의 내부에는 알굴(A)이 투입되어, 세척수에 의해 알굴(A)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세척조(20)의 바닥벽체(28)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는 후술할 세척수분사관(32)에 의해 상기 세척조(20)의 내부에 와류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세척조(20)의 바닥면을 따라 와류가 회전되도록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세척조(20)의 내부에는 세척수공급관(30)이 설치된다. 상기 세척수공급관(30)은 내부가 중공된 관체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세척수공급관(30)은 상기 세척조(20)의 내부 중앙에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세척수공급관(30)은 후술할 세척수공급배관(34)과 연결되어, 상기 세척조(20)의 내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척수공급관(3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세척수분사관(32)이 설치된다. 상기 세척수분사관(32)은 중공된 관체로 이루어져, 원호 형상으로 밴딩 형성된다. 상기 세척수분사관(32)의 일단은 상기 세척수공급관(30)에 결합되며, 상기 세척수공급관(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세척수분사관(32)은 상기 세척수공급관(3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180도 간격으로 2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세척수분사관(32)은 상기 세척수공급관(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세척수분사관(32)은 상기 세척수공급관(30)과 연통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세척수공급관(30)의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상기 세척수분사관(32)을 통해 상기 세척조(20)의 내부에 반시계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기 세척수분사관(32)의 구조에 의해 상기 세척조(20)의 내부에 와류가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조(20) 내부의 와류작용에 의해 상기 세척조(20)에 담겨진 알굴(A)에 부착된 굴껍질 및 이물질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분사관(32)에 의해 발생되는 와류에 의해 알굴(A)이 상기 세척조(20)의 상측으로 띄워짐에 따라 상기 세척조(20)의 세척수가 넘치는 과정에서 알굴(A)이 세척수와 함께 후술할 가이드플레이트(36)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공급관(30)의 끝단에는 세척수공급배관(34)이 설치된다. 상기 세척수공급배관(34)은 일반적인 배관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세척수공급배관(34)은 상기 세척수공급관(30)에 결합되어, 상기 세척수공급관(3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척조(20)의 전방 상측에는 가이드플레이트(36)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는 직사각판재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는 일단은 상기 세척조(20)의 전방벽체(22) 상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세척조(20)의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는 상기 세척조(20)의 전방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조(20)의 내부에서 외부로 넘치는 세척수와 알굴(A)을 후술할 선별부재(38)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세척조(20)의 전방벽체(22) 상단을 통해 오버플로워되는 세척수와 알굴(A)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상부면을 따라 후술할 선별부재(38) 측으로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끝단에는 선별부재(38)가 설치된다. 상기 선별부재(38)는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선별바(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별바(40)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끝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선별바(40)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끝단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는 알굴(A)을 상기 세척조(20)의 전방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선별바(40)는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됨에 따라 서로 다른 선별바(40) 사이에 알굴(A)이 통과할 수 있는 선별홀(4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선별바(40)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선별홀(42)을 통해 상기 선별홀(42) 보다 크기가 작은 알굴(A)은 상기 선별바(40)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하부로 낙하함으로써, 크기가 작은 알굴(A)의 선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별홀(42) 보다 크기가 큰 알굴(A)은 상기 선별바(40)를 따라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후술할 알굴수거부(46)에 담겨지고, 상기 선별홀(42) 보다 크기가 작은 알굴(A)은 상기 선별홀(42)을 통해 상기 선별부재(38)의 하부에 위치하는 세척조(20)에 낙하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양측에는 차단플레이트(44)가 설치된다. 상기 차단플레이트(44)는 벽체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 및 상기 선별부재(38)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차단플레이트(44)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 및 상기 선별부재(38)를 따라 이동되는 알굴(A)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 및 상기 선별부재(38)의 양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별부재(38)의 하부 끝단에는 알굴수거부(46)가 설치된다. 상기 알굴수거부(46)는 상측이 개방된 챔버 형태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알굴수거부(46)는 도 6과 같이 상기 선별부재(38)의 하부 끝단을 따라 좌우로 길게 설치되어 상기 선별부재(38)를 통과한 알굴(A)이 수거되는 부분이다.
상기 알굴수거부(46)의 우측벽면에는 세척수공급노즐(48)이 설치된다. 상기 세척수공급노즐(48)은 일반적인 노즐(nozzle)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세척수공급노즐(48)은 상기 세척수공급배관(34)과 연결되며, 상기 알굴수거부(46)의 우측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알굴수거부(46)의 내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세척수공급노즐(48)에 의해 상기 알굴수거부(46)의 내부에 세척수가 분사됨 따라, 상기 알굴수거부(46)에 수거된 알굴(A)이 세척수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알굴수거부(46)의 끝단 하부에 위치한 알굴수거함(50)에 담겨진다.
상기 선별부재(38)의 하부에는 세척조(20)가 설치된다. 상기 세척조(20)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측과 전방 하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전방 하측에 설치되는 세척조(20)의 구조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후방 상측에 설치되는 세척조(20) 및 세척수공급관(30) 그리고 세척수분사관(32)의 구조가 동일함에 따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선별부재(38)의 하부로 낙하하는 크기가 작은 알굴(A)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전방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세척조(20) 내부에 담겨지고, 상기 세척조(20) 내부에 형성되는 와류에 의해 굴껍질 조각 및 이물질을 분리하는 세척과정을 반복하여 실시한 후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알굴수거함(50)에 담겨져 알굴(A)의 세척 및 선별이 완료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굴 세척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작업자는 지지프레임(10)의 후방 상측에 위치한 세척조(20)의 내부에 굴껍질이 분리된 알굴(A)을 투입한다.
상기 세척조(20)의 내부에는 세척수가 담겨진 상태이며, 상기 세척조(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세척수분사관(32)을 통해 세척수가 반시계 방향으로 분사됨에 따라 상기 세척조(20)의 내부에 와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척조(20)의 내부로 투입된 알굴(A)은 와류에 의해 굴껄질 조각과 이물질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알굴(A)과 분리된 굴껍질 조각 및 이물질은 알굴(A)에 비해 비중이 큼에 따라 상기 세척조(20)의 바닥면으로 가라앉는다.
또한, 상기 세척조(20) 내부의 와류에 의해 상기 알굴(A)은 상기 세척조(20)의 상부방향으로 띄워지며, 세척수와 함께 상기 세척조(20)의 전방벽체 상단을 통해 상기 세척조(20)의 외부로 넘치게 된다.
상기 세척조(20)의 외부로 안내되는 알굴(A)은 상기 세척조(20)의 전방 상측에 설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36) 측으로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는 상기 세척조(20)의 전방 상단을 따라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세척조(20)의 외부로 이동되는 알굴(A)을 선별부재(38) 측으로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하부 끝단에는 선별부재(38)가 설치된다. 상기 선별부재(38)는 복수개의 선별바(40)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하부 끝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선별부재(38)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선별바(40) 사이 선별홀(42)을 통해 크기가 작은 알굴(A)은 상기 선별부재(38)의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선별홀(42) 보다 크기가 큰 알굴(A)은 상기 선별부재(38)의 하부 끝단으로 이동되며, 상기 선별부재(38)의 하부 끝단에 설치된 알굴수거부(46)에 담겨진다.
상기 알굴수거부(46)에 담겨진 알굴(A)은 세척수공급노즐(48)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알굴수거함(50) 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알굴수거부(46)의 좌측 하부에 위치하는 알굴수거함(50)에 담겨지게 된다.
또한, 상기 선별부재(38)의 선별홀(42)은 통해 하부로 낙하한 크기가 작은 알굴(A)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전방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세척조(20)에 다시 한번 투입되며, 상기 세척조(20)의 내부에서 와류에 의해 다시 한번 세척과정을 거친 이후에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알굴수거함(50)에 담겨지게 된다.
여기서는 2개의 세척조(20)가 각각 지지프레임(10)은 후방 상부와 전방 하부에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알굴(A)의 크기를 보다 세부적으로 선별해야 하는 경우에는 2개의 이상의 세척조(20) 및 선별부재(38)의 선별홀(42) 크기를 다양하게 배치하는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선별부재(38)의 선별홀(42) 크기는 상측에 위치하는 선별홀(42)의 크기를 가장 작은 크기로 설정하고, 점차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굴 세척장치의 구조에 의해 상기 세척조(20)의 내부에 세척수가 담겨진 상태에서 세척수분사관에 의해 와류가 형성됨에 따라 알굴(A)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알굴(A)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조(20)의 외부로 이동되는 알굴(A)이 선별부재(38)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크기가 큰 알굴(A)과 크기가 작은 알굴(A)이 선별될 수 있으므로 선별 작업효율성 및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지지프레임 20. 세척조
30. 세척수공급관 32. 세척수분사관
34. 세척수공급배관 36. 가이드플레이트
38. 선별부재 40. 선별바
42. 선별홀 46. 알굴수거부
48. 세척수공급노즐 50. 알굴수거함

Claims (5)

  1. 복수개의 철재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측이 개방된 챔버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세척수가 공급되고, 내부에 알굴이 투입되어 알굴(A)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의 상단부를 따라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세척조의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세척조의 외부로 안내되는 알굴(A)을 상기 세척조의 전방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선별바로 이루어져, 알굴을 일방향으로 안내함과 더불어 서로 다른 선별바의 사이 공간을 통해 알굴이 통과되는 선별부재와;
    내부가 중공된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세척조의 내부 중앙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고, 외부의 세척수공급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세척조의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관과;
    원호 형상으로 밴딩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공급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와류를 형성하는 세척수분사관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수분사관은,
    상기 세척수공급관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세척수공급관의 전후측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밴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 세척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다단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 세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재의 끝단 하부에는,
    상측이 개방된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선별부재의 끝단을 따라 좌우로 길게 설치되어 알굴(A)이 저장되는 알굴수거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 세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알굴수거부의 일측에는,
    상기 세척수공급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알굴수거부의 내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노즐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 세척장치.
KR1020200157362A 2020-11-23 2020-11-23 굴 세척장치 KR102460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362A KR102460979B1 (ko) 2020-11-23 2020-11-23 굴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362A KR102460979B1 (ko) 2020-11-23 2020-11-23 굴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627A KR20220070627A (ko) 2022-05-31
KR102460979B1 true KR102460979B1 (ko) 2022-10-31

Family

ID=8178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362A KR102460979B1 (ko) 2020-11-23 2020-11-23 굴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9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721Y1 (ko) 2002-12-02 2003-03-11 김정렬 패각류 세척기
KR101527750B1 (ko) 2014-12-08 2015-06-11 경해식품미더덕영어조합법인 홍합의 족사제거 및 분리수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032B1 (ko) * 2002-08-28 2004-12-08 주식회사 신화성물산 생조개의 장기유통을 위한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KR101316337B1 (ko) 2011-10-21 2013-10-08 박평조 굴 자동 세척기
KR101836442B1 (ko) * 2016-06-24 2018-03-09 (주)참코청하 패류 선별장치
KR20200035743A (ko) * 2018-09-27 2020-04-06 박창일 패류 선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721Y1 (ko) 2002-12-02 2003-03-11 김정렬 패각류 세척기
KR101527750B1 (ko) 2014-12-08 2015-06-11 경해식품미더덕영어조합법인 홍합의 족사제거 및 분리수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627A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7993A (en) Produce washer
CN103961045B (zh) 洗碗机
US4509545A (en) Portable washing and spray assembly
US6976496B2 (en) Method of washing utensils
JP5166974B2 (ja) 食品洗浄装置
KR20060110982A (ko) 야채 세척기
KR102460979B1 (ko) 굴 세척장치
KR101723856B1 (ko) 부유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야채류 세척장치
KR101831248B1 (ko) 딸기 세척기의 부유물 제거장치
US5820694A (en) Produce washer and washing method
KR101482742B1 (ko) 농산물 세척기
KR200200067Y1 (ko) 콩나물 세척기
CN110841966A (zh) 胶塞清洗预洗系统
JP4556222B2 (ja) 洗浄方法
KR100436106B1 (ko) 콩나물 세척기
CN209810764U (zh) 一种两级振动碳酸钙石料自动洗选机
JP4556223B2 (ja) 洗浄方法
JP4279726B2 (ja) 食品洗浄装置
KR200230280Y1 (ko) 콩나물 세척기
KR102345316B1 (ko) 농산물 세척기
JP3579833B2 (ja) 海藻類の加工方法とその装置
KR101807993B1 (ko) 야채 세척장치
JP2010069396A5 (ko)
CN212065629U (zh) 振动去杂机
US3847169A (en) Shrimp wash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