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675B1 -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 - Google Patents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675B1
KR102460675B1 KR1020210180119A KR20210180119A KR102460675B1 KR 102460675 B1 KR102460675 B1 KR 102460675B1 KR 1020210180119 A KR1020210180119 A KR 1020210180119A KR 20210180119 A KR20210180119 A KR 20210180119A KR 102460675 B1 KR102460675 B1 KR 102460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lamp body
close contact
inner periphery
extrusio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상혁
Original Assignee
권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상혁 filed Critical 권상혁
Priority to KR1020210180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6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0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the interior surfaces of hollow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12Accessories; Protective equipment or safety devices; Installations for exhaustion of dust or for sound absorption specially adapted for machines covered by group B24B3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는, 연마홀이 형성된 금형의 상부와 하부에 장착되어, 유동성 가공물이 금형의 연마홀을 왕복하면서 표면 가공되도록 하는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유동압출실린더의 내주연에 밀착되어 유동성 가공물이 수용되는 밀폐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피스톤 헤드부 유압 또는 공압으로 구동되는 구동실린더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로드부 및 상기 피스톤 헤드부와 상기 피스톤 로드부를 매개하여, 상호 고정 또는 상호 이탈 가능하도록 하는 클램프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헤드부는, 상기 밀폐공간과의 대향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Structure of extrusion cylinder piston}
본 발명은 피스톤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연마홀이 형성된 금형의 상부와 하부에 장착되어, 유동성 가공물이 금형의 연마홀을 왕복하면서 표면 가공되도록 하는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의 연마작업 또는 광택작업은 금형 제작 공정 단계에서 마지막 단계에 해당하는 다듬질 과정으로서, 금형의 가공 결과를 좌지우지할 만큼 중요한 작업에 속한다.
특히 단조금형, 다이캐스팅 금형 등은 연삭작업의 선택에 따라 금형에서 생산된 제품의 치수 정밀도와 면의 광택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는 제품 생산성에까지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연마작업은 금형 제품의 수명과 가치에도 영향을 많이 주기 때문에 지금까지도 수작업에 의존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연마작업은 정밀도가 낮고, 공정 시 숙련자의 작업을 요하게 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며, 특히 생산성이 낮아 전체적인 경제적인 손실을 야기하는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입자유동가공기는, 금형의 내주연에 대하여 다이아몬드 또는 초경 소재의 콤파운드 입자 등의 유동성 가공물을 상, 하 유동시켜 광택 또는 연마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금형의 상하단을 업다운 실린더로 고정시키고, 유동성 가공물이 상, 하부 유동압출실린더로 하여금 금형의 내주연을 관통하며 금형을 연마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볼트로 체결되는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과 유동성 가공물이 접촉되는데, 금형의 연마과정에서 유동성 가공물이 피스톤의 볼트 주변으로 유입되어 주기적으로 유동압출실린더를 분해하여 세척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18650호
본 발명의 목적은, 금형 가공 중에 유동성 가공물이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는, 연마홀이 형성된 금형의 상부와 하부에 장착되어, 유동성 가공물이 금형의 연마홀을 왕복하면서 표면 가공되도록 하는 유동압출실린더의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유동압출실린더의 내주연에 밀착되어 유동성 가공물이 수용되는 밀폐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피스톤 헤드부 유압 또는 공압으로 구동되는 구동실린더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로드부 및 상기 피스톤 헤드부와 상기 피스톤 로드부를 매개하여, 상호 고정 또는 상호 이탈 가능하도록 하는 클램프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헤드부는, 상기 밀폐공간과의 대향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의 상기 피스톤 헤드부는, 상기 밀폐공간과 대향한 채, 상기 유동압출실린더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에 체결된 채, 상기 클램프부에 의해 상기 피스톤 로드부와 연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밀착부는, 상기 유동압출실린더의 내주연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의 외주연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장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부와 접촉되는 밀착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부는, 상기 구동실린더에 연결되는 스틸봉 및 상기 스틸봉과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는 로드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체결부 및 상기 로드연결부에 동시에 장착되어 상기 체결부와 상기 로드연결부가 접촉된 채, 상기 피스톤 헤드부와 상기 피스톤 로드부가 상호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의 상기 피스톤 헤드부는, 상기 밀착부와 상기 체결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밀착부와 상기 체결부의 외주연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 헤드함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 로드부는, 상기 스틸봉과 상기 로드연결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스틸봉과 상기 로드연결부의 외주연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 로드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함입부의 외주연의 크기와 상기 로드함입부의 외주연의 크기는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부는, 끝단이 이격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클램프본체부, 상기 클램프본체부의 내주연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클램프함입부 및 상기 클램프본체부의 이격된 끝단에 체결되어 상기 클램프본체부의 내주연이 형성하는 공간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간격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본체부의 내주연은, 중앙을 따라 형성된 상기 클램프함입부로 인해 돌출 형성되는 제1 내주연 및 제2 내주연으로 구성되며,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클램프본체부의 일측 제1 끝단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볼트부 및 상기 클램프본체부의 타측 제2 끝단을 관통하여 내장된 너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트부가 상기 너트부에 조여지는 조임위치에서 상기 제1 끝단과 상기 제2 끝단은 상호 이격 거리가 고정되며, 상기 볼트부가 상기 너트부로부터 조임 해제되는 해제위치에서 상기 제1 끝단과 상기 제2 끝단의 상호 이격 거리는 변화 가능하고, 상기 제1 내주연은, 상기 로드함입부에 삽입된 채, 상기 간격조절부의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임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로드함입부의 바닥면과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고, 상기 제2 내주연은, 상기 헤드함입부에 삽입된 채, 상기 간격조절부의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임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헤드함입부의 바닥면과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의 상기 밀착부는, 상기 유동압출실린더의 내주연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의 외주연으로 형성되는 밀착본체부 및 상기 밀착본체부의 일측단의 원형 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지름방향 외측으로 편향되어 형성되는 환형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환형성부는, 상기 유동압출실린더의 내주연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채, 상기 유동압출실린더의 내주연에 의해 지름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유동압출실린더의 내주연에 밀착되며, 상기 밀착본체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밀폐공간과 대향하는 평면으로 형성된 평면부 및 상기 피스톤 로드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장착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밀착부는, 상기 평면부를 바닥면으로 하고, 상기 환형성부를 측면으로 하는 일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환형성부는, 상기 밀폐공간으로 유입된 유동성 가공물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압박하는 경우, 상기 유동압출실린더의 내주연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의 상기 환형성부는, 상기 밀착본체부의 일측단의 원형 테두리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간부는, 상기 밀착본체부의 외측면으로부터 함입되되, 함입 깊이가 깊어질수록 횡단면적이 증가하는 확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장착공간부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되, 상기 장착공간부로의 삽입 시, 외력에 의한 상기 밀착부의 탄성 재질에 따른 변형에 의해 상기 장착공간부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공간부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안착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삽입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간부는,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삽입요홈에 삽입되는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요철부는, 상기 삽입요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삽입부의 상기 장착공간부에 대한 횡방향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의 상기 로드연결부는, 상기 로드함입부에 연결된 채, 점진적으로 외주연의 크기가 증가하여 제1 사면을 형성하는 로드사면부 및 상기 로드사면부와 연결되되, 상기 스틸봉의 외주연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로드평행부를 구비하고, 상기 밀착접촉부는, 상기 헤드함입부에 연결된 채, 점진적으로 외주연의 크기가 증가하여 제2 사면을 형성하는 밀착사면부 및 상기 밀착사면부와 연결되되, 상기 로드평행부의 외주연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밀착평행부를 구비하며, 상기 클램프본체부는, 상기 제1 내주연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내주연의 크기가 증가하여 제3 사면을 형성한 채, 상기 클램프함입부와 연결되는 제1 사면대응부 및 상기 제2 내주연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내주연의 크기가 증가하여 제4 사면을 형성한 채, 상기 클램프함입부와 연결되는 제2 사면대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사면대응부는, 상기 조임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임위치로의 위치 이동 시, 상기 제3 사면이 상기 제1 사면과 접촉된 채, 슬라이딩되며, 상기 제2 사면대응부는, 상기 조임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임위치로의 위치 이동 시, 상기 제4 사면이 상기 제2 사면과 접촉된 채, 슬라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의 상기 제1 내주연은,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임위치로의 위치 이동 시, 상기 로드함입부와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되, 상기 조임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로드함입부와 이격된 채 배치되며, 상기 제2 내주연은,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임위치로의 위치 이동 시, 상기 헤드함입부와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되, 상기 조임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헤드함입부와 이격된 채 배치되고, 상기 클램프함입부는,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임위치로의 위치 이동 시, 접촉된 상기 로드평행부 및 상기 밀착평행부와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되, 상기 조임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로드평행부 및 상기 밀착평행부와 이격된 채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의 상기 로드평행부는, 상기 밀착평행부와의 대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로드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밀착평행부는, 상기 로드평행부와의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밀착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돌출부는, 상기 밀착함입부에 삽입된 경우, 상기 로드평행부의 상기 밀착평행부에 대한 횡방향 위치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밀착함입부에 삽입된 경우, 상기 밀착함입부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의 상기 클램프본체부는, 일끝단에 상기 볼트부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제1 클램프본체편, 일측이 상기 제1 클램프본체편과 연결되는 제2 클램프본체편, 일측이 상기 제2 클램프본체편과 연결되며, 타끝단에 상기 너트부가 내장된 제3 클램프본체편, 일측은 상기 제1 클램프본체편의 타끝단에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제2 클램프본체편의 일끝단에 장착된 채, 상기 제1 클램프본체편과 상기 제2 클램프본체편을 연결하는 제1 본체연결부 및 일측은 상기 제2 클램프본체편의 타끝단에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제3 클램프본체편의 일끝단에 장착된 채, 상기 제2 클램프본체편과 상기 제3 클램프본체편을 연결하는 제2 본체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클램프본체편은, 상기 제1 본체연결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3 클램프본체편은, 상기 제2 본체연결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에 유동성 가공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가 유동성 가공물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형의 가공 중 유동성 가공물이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유동성 가공물에 의해 피스톤 구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의 측면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의 측면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1)는, 연마홀(H)이 형성된 금형(E)의 상부와 하부에 장착되어, 유동성 가공물(미도시)이 금형(E)의 연마홀(H)을 왕복하면서 표면 가공되도록 하는 유동압출실린더(C)의 피스톤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1)는, 피스톤 헤드부(10), 피스톤 로드부(20) 및 클램프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헤드부(10)는, 상기 유동압출실린더(C)의 내주연에 밀착되어 밀폐공간(S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밀폐공간(S1)에는 유동성 가공물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로드부(20)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구동되는 구동실린더에 의해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부(30)는, 상기 피스톤 헤드부(10)와 상기 피스톤 로드부(20)를 매개하여, 상호 고정 또는 상호 이탈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헤드부(10)는, 상기 밀폐공간(S1)과의 대향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 헤드부(10)의 상기 밀폐공간(S1)과의 대향면이 평면으로 형성된다는 것의 의미는, 상기 피스톤 헤드부(10)의 상기 밀폐공간(S1)과의 대향면에 홈이나 빈틈이 형성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종래의 경우 유동성 가공물과 접촉되는 부재의 대향면에 볼트 등이 체결되는데, 이로 인해 볼트 주변에 홈 또는 빈틈이 발생하였고, 상기 홈 또는 상기 빈틈에 유동성 가공물이 유입되어 이를 주기적으로 분해하여 세척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스톤 헤드부(10)의 상기 밀폐공간(S1)과의 대향면을 평면으로 형성하여 유동성 가공물이 상기 피스톤 헤드부(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헤드부(10)는, 밀착부(11) 및 체결부(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밀착부(11)는, 상기 밀폐공간(S1)과 대향한 채, 상기 유동압출실린더(C)의 내주연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3)는, 상기 밀착부(11)에 연결된 채, 상기 클램프부(30)에 의해 상기 피스톤 로드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11)는, 상기 유동압출실린더(C)의 내주연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의 외주연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부(20)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장착공간(S3)을 형성할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 체결부(13)는, 삽입부(131) 및 밀착접촉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31)는, 상기 장착공간(S3)에 삽입되고, 상기 밀착접촉부(132)는, 상기 삽입부(131)에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부(20)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로드부(20)는 스틸봉(21) 및 로드연결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틸봉(21)은, 상기 구동실린더에 연결되며, 상기 로드연결부(23)는, 상기 체결부(1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부(30)는, 상기 체결부(13) 및 상기 로드연결부(23)에 동시에 장착되어, 상기 체결부(13)와 상기 로드연결부(23)가 접촉된 채, 상기 피스톤 헤드부(10)와 상기 피스톤 로드부(20)가 상호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헤드부(10)는, 헤드함입부(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헤드함입부(15)는, 상기 밀착부(11)와 상기 체결부(13)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밀착부(11)와 상기 체결부(13)의 외주연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로드부(20)는, 로드함입부(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로드함입부(25)는, 상기 스틸봉(21)과 상기 로드연결부(23)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스틸봉(21)과 상기 로드연결부(23)의 외주연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함입부(15)의 외주연의 크기와 상기 로드함입부(25)의 외주연의 크기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부(30)는, 클램프본체부(31), 클램프함입부(33), 간격조절부(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본체부(31)는, 끝단이 이격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클램프함입부(33)는, 상기 클램프본체부(31)의 내주연으로부터 함입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35)는, 상기 클램프본체부(31)의 이격된 끝단에 체결되어 상기 클램프본체부(31)의 내주연이 형성하는 공간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클램프본체부의 내주연은, 제1 내주연(311) 및 제2 내주연(3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35)는, 볼트부(351) 및 너트부(35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볼트부(351)는, 상기 클램프본체부(31)의 일측 제1 끝단을 관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너트부(352)는, 상기 클램프본체부(31)의 타측 제2 끝단을 관통하여 내장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35)는, 조임위치 또는 해제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조임위치란, 상기 볼트부(351)가 상기 너트부(352)에 조여지는 위치를 의미하고, 해제위치란, 상기 볼트부(351)가 상기 너트부(352)로부터 조임 해제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35)는, 상기 조임위치에서 상기 제1 끝단과 상기 제2 끝단의 상호 이격 거리가 고정되고,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제1 끝단과 상기 제2 끝단의 상호 이격 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간격조절부(35)가 상기 조임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주연(311)은, 상기 로드함입부(25)에 삽입된 채, 상기 간격조절부(35)의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임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로드함입부(25)의 바닥면과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다.
상기 제2 내주연(312)은 상기 헤드함입부(15)에 삽입된 채, 상기 간격조절부(35)의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임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헤드함입부(15)의 바닥면과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클램프본체부(31)는, 제1 클램프본체편(315), 제2 클램프본체편(316), 제3 클램프본체편(317), 제1 본체연결부(318) 및 제2 본체연결부(31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클램프본체편(315)은, 일끝단에 상기 볼트부(351)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클램프본체편(316)은, 일측이 상기 제1 클램프본체편(31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클램프본체편(317)은 일측이 상기 제2 클랜프본체편(316)과 연결되며, 타끝단에 상기 너트부(352)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연결부(318)는, 일측이 상기 제1 클램프본체편(315)의 타끝단에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제2 클램프본체편(316)의 타끝단에 장착된 채, 상기 제1 클램프본체편(315)과 상기 제2 클램프본체편(316)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 본체연결부(319)는, 일측이 상기 제2 클램프본체편(316)의 타끝단에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제3 클램프본체편(317)의 일끝단에에 장착된 채, 상기 제2 클램프본체편(316)과 상기 제3 클램프본체편(317)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클램프본체편(315)은, 상기 제1 본체연결부(318)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3 클램프본체편(317)은 상기 제2 본체연결부(318)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볼트부(351)가 상기 너트부(352)에 조여짐에 따라, 상기 제1 클램프본체편(315) 및 상기 제3 클램프본체편(317)이 회동되며, 상기 제1 클램프본체편(315)의 일끝단과 상기 제3 클램프본체편(317)의 타끝단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클램프본체편(315)의 일끝단은 상기 제1 끝단을 의미하고, 상기 제3 클램프본체편(317)의 타끝단은 상기 제2 끝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밀착부(11)는, 밀착본체부(111), 환형성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밀착본체부(111)는, 상기 유동압출실린더(C)의 내주연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의 외주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형성부(112)는, 상기 밀착본체부(111)의 일측단의 원형 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지름방향 외측으로 편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형성부(112)는, 상기 유동압출실린더(C)의 내주연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채, 상기 유동압출실린더(C)의 내주연에 의해 지름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유도압출실린더(C)의 내주연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환형성부(112)는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유동압출실린더(C)의 내주연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유동압출실린더(C)와의 사이의 기밀을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말명에서는, 상기 환형성부(112)와 상기 유동압출실린더(C)의 기밀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밀폐공간(S1)에 수용된 유동성 가공물이 상기 클램프부(30) 및 상기 피스톤 로드부(20)를 향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밀착본체부(111)는, 평면부(1111) 및 장착공간부(11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평면부(11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밀폐공간(S1)과 대향하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부(1112)는, 상기 밀착본체부(111)의 상기 피스톤 로드부(20)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13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11)는, 상기 평면부(1111)를 바닥면으로 하고, 상기 환형성부(112)를 측면으로 하는 일측이 개구된 수용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밀폐공간(S1)으로 유입된 유동성 가공물이 상기 수용공간(S2)에 수용된 채 상기 환형성부(112)를 압박하는 경우, 상기 환형성부(112)의 상기 유동압출실린더(C)의 내주연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환형성부(112)와 상기 유동압출실린더(C)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유동성 가공물이 상기 클램프부(30) 또는 상기 피스톤 로드부(20)를 향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환형성부(112)는, 상기 밀착본체부(111)의 일측단의 원형 테두리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환형성부(112)는, 상기 유동압출실린더(C)에 삽입되면서 상기 수용공간(S2)을 향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술한 상기 환형성부(112)의 형상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S2)내에 수용된 유동성 가공물의 상기 밀폐공간(S1)을 향한 이동 경로를 일부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환형성부(112)에 의해 이동 경로를 일부 차단 당한 유동성 가공물은 상기 환형성부(112)가압하여, 상기 환형성부(112)의 상기 유동압출실린더(C)의 내주연을 가압하는 가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삽입부(131)는, 상기 장착공간부(1112)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되, 상기 장착공간부(1112)로의 삽입 시, 외력에 의한 상기 밀착부(11)의 탄성 재질에 따른 변형에 의해 상기 장착공간부(1112)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11)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131)의 상기 장착공간부(1112)로의 삽입 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장착공간부(1112)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삽입부(131)가 상기 장착공간부(1112)내로 안착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장착공간부(1112)의 내측면이 상기 삽입부(131)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부(1112)는, 확장부(1112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1112a)는, 상기 밀착본체부(111)의 외측면으로부터 함입되되, 함입 깊이가 깊어질수록 횡단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장착공간부(1112)의 상기 삽입부(131)를 향해 개구된 부분이 상기 삽입부(131)보다 좁게 형성되도록 하고 장착공간부(1112)의 내부로 갈수록 공간이 넓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삽입부(131)가 삽입되는 입구를 좁게 형성하여 상기 삽입부(131)가 상기 장착공간부(1112)에 삽입되면, 상기 밀착부(11)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삽입부(131)가 상기 장착공간부(1112)에 밀착되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11)의 탄성 재질을 이용하여 상기 밀착부(11)를 상기 장착공간부(1112)에 삽입하므로, 상기 밀착부(11)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31)는, 삽입요홈(13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요홈(1311)은, 상기 장착공간부(1112)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안착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부(1112)는, 상기 요철부(111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1112b)는, 상기 장착공간부(1112)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삽입요홈(131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요홈(1311)은, 상기 요철부(1112b)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며, 상기 요철부(1112b)는, 상기 삽입요홈(131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삽입부(131)의 상기 장착공간부(1112)에 대한 횡방향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로드연결부(23)는, 상기 로드사면부(231) 및 로드평행부(2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로드사면부(231)는, 상기 로드함입부(25)에 연결된 채, 점진적으로 외주연의 크기가 증가하여 제1 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로드평행부(232)는, 상기 로드사면부(231)와 연결되되, 상기 스틸봉(21)의 외주연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접촉부(132)는, 밀착사면부(1321) 및 밀착평행부(13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밀착사면부(1321)는, 상기 헤드함입부(15)에 연결된 채, 점진적으로 외주연의 크기가 증가하여 제2 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밀착평행부(1322)는, 상기 밀착사면부(1321)와 연결되되, 상기 로드평행부(232)의 외주연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본체부(31)는, 제1 사면대응부(313) 및 제2 사면대응부(3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면대응부(313)는, 상기 제1 내주연(311)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내주연의 크기가 증가하여 제3 사면을 형성한 채, 상기 클램프함입부(3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사면대응부(314)는, 상기 제2 내주연(312)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내주연의 크기가 증가하여 제4 사면을 형성한 채, 상기 클램프함입부(33)와 연결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사면대응부(313)는, 상기 조임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임위치로의 위치 이동 시, 상기 제3 사면이 상기 로드사면부(231)에 형성된 상기 제1 사면과 접촉된 채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제2 사면대응부(314)는, 상기 조임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임위치로의 위치 이동 시, 상기 제4 사면이 상기 밀착사면부(1321)에 형성된 상기 제2 사면과 접촉된 채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주연(311)은,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임위치로의 위치 이동 시 상기 로드함입부(25)와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되, 상기 조임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로드함입부(25)와 이격된 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내주연(312)은, 상기 해제뒤치에서 상기 조임위치로의 위치 이동 시 상기 헤드함입부(15)와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되, 상기 조임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헤드함입부(15)와 이격된 채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간격조절부(35)의 조이는 힘을 상기 로드사면부(231) 및 상기 밀착사면부(1321)에 온전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간격조절부(35)가 상기 조임위치에 위치된 경우, 상기 제1 내주연(311)은 상기 로드함입부(25)와 접촉되고, 상기 제2 내주연(312)은, 상기 헤드함입부(15)와 접촉된다면, 상기 간격조절부(35)의 조이는 힘이 상기 로드함입부(25) 및 상기 헤드함입부(15)를 통해 분산될 수 있다.
즉, 상기 간격조절부(35)의 조이는 힘이 상기 로드사면부(231) 및 상기 밀착사면부(1321)에 온전히 전달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상기 간격조절부(35)의 고정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간격조절부(35)의 상기 조임위치에서, 상기 제1 내주연(311)은 상기 로드함입부(25)와 이격된 채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내주연(312)은, 상기 헤드함입부(15)와 이격된 채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간격조절부(35)의 조이는 힘이 상기 로드사면부(231) 및 상기 밀착사면부(1321)에 온전히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함입부(33)는,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임위치로의 위치 이동 시, 접촉된 상기 로드평행부(232) 및 밀착평행부(1322)와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되, 상기 조임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로드평행부(232) 및 상기 밀착평행부(1322)와 이격된 채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상기 간격조절부(35)의 상기 조임위치에서, 상기 제1 내주연(311)은 상기 로드함입부(25)와 이격된 채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내주연(312)은, 상기 헤드함입부(15)와 이격된 채 배치되도록 하는 이유와 동일한 것으로서, 상기 간격조절부(35)의 조이는 힘이 상기 로드사면부(231) 및 상기 밀착사면부(1321)에 온전히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간격조절부(35)가 상기 조임위치에 위치된 경우, 상기 클램프함입부(33)가 상기 로드평행부(232) 및 상기 밀착평행부(1322)와 접촉된다면, 상기 간격조절부(35)의 조이는 힘이 상기 로드평행부(232) 및 상기 밀착평행부(1322)를 통해 분산될 수 있다.
즉, 상기 간격조절부(35)의 조이는 힘이 상기 로드사면부(231) 및 상기 밀착사면부(1321)에 온전히 전달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상기 간격조절부(35)의 고정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간격조절부(35)의 상기 조임위치에서, 상기 클램프함입부(33)가 상기 로드평행부(232) 및 상기 밀착평행부(1322)와 이격된 채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간격조절부(35)의 조이는 힘이 상기 로드사면부(231) 및 상기 밀착사면부(1321)에 온전히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로드평행부(232)는, 상기 밀착평행부(1322)와의 대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로드돌출부(23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밀착평행부(1322)는, 상기 로드평행부(232)와의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밀착함입부(1322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로드돌출부(2321)는, 상기 밀착힘입부(1322a)에 삽입된 경우, 상기 로드평행부(232)의 상기 밀착평행부(1322)에 대한 횡방향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로드돌출부(2321)의 높이는 상기 밀착함입부(1322a)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밀착함입부(1322a)에 삽입된 경우 상기 밀착함입부(1322a)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로드돌출부(2321)의 높이가 상기 밀착함입부(1322a)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된다면, 상기 로드돌출부(2321)가 상기 밀착함입부(1322a)에 삽입될 경우, 상기 로드돌출부(2321)와 상기 밀착함입부(1322a)의 바닥면이 접촉되되, 상기 로드돌출부(2321)에 해당하지 않는 상기 로드평행부(232)의 상기 밀착평행부(1322)와의 대향면이 상기 밀착평행부(1322)와 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로드평행부(232) 및 상기 밀착평행부(1322) 사이에 공간이 공간이 발생하여, 상기 피스톤 헤드부(10) 또는 상기 피스톤 로드부(20)가 좌우로 기울어지며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의 상기 로드돌출부(2321)의 높이는 상기 밀착힘입부(1322a)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로드돌출부(2321)가 상기 밀착함입부(1322a)에 삽입된 경우, 상기 밀착함입부(1322a)의 바닥면과 이격 되어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로드돌출부(2321)에 해당하지 않는 상기 로드평행부(232)의 상기 밀착평행부(1322)와의 대향면이 상기 밀착평행부(1322)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 10: 피스톤 헤드부
11: 밀착부 13: 체결부
15: 헤드함입부 20: 피스톤 로드부
21: 스틸봉 23: 로드연결부
25: 로드함입부 30: 클램프부
31: 클램프본체부 33: 클램프함입부
35: 간격조절부

Claims (9)

  1. 연마홀이 형성된 금형의 상부와 하부에 장착되어, 유동성 가공물이 금형의 연마홀을 왕복하면서 표면 가공되도록 하는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유동압출실린더의 내주연에 밀착되어 유동성 가공물이 수용되는 밀폐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피스톤 헤드부;
    유압 또는 공압으로 구동되는 구동실린더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로드부; 및
    상기 피스톤 헤드부와 상기 피스톤 로드부를 매개하여, 상호 고정 또는 상호 이탈 가능하도록 하는 클램프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헤드부는,
    상기 밀폐공간과의 대향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밀폐공간과 대향한 채, 상기 유동압출실린더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에 체결된 채, 상기 클램프부에 의해 상기 피스톤 로드부와 연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밀착부는,
    상기 유동압출실린더의 내주연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의 외주연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장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부와 접촉되는 밀착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부는,
    상기 구동실린더에 연결되는 스틸봉 및 상기 스틸봉과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는 로드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체결부 및 상기 로드연결부에 동시에 장착되어 상기 체결부와 상기 로드연결부가 접촉된 채, 상기 피스톤 헤드부와 상기 피스톤 로드부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헤드부는,
    상기 밀착부와 상기 체결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밀착부와 상기 체결부의 외주연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 헤드함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 로드부는,
    상기 스틸봉과 상기 로드연결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스틸봉과 상기 로드연결부의 외주연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 로드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함입부의 외주연의 크기와 상기 로드함입부의 외주연의 크기는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부는,
    끝단이 이격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클램프본체부,
    상기 클램프본체부의 내주연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클램프함입부 및
    상기 클램프본체부의 이격된 끝단에 체결되어 상기 클램프본체부의 내주연이 형성하는 공간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간격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본체부의 내주연은,
    중앙을 따라 형성된 상기 클램프함입부로 인해 돌출 형성되는 제1 내주연 및 제2 내주연으로 구성되며,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클램프본체부의 일측 제1 끝단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볼트부 및 상기 클램프본체부의 타측 제2 끝단을 관통하여 내장된 너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트부가 상기 너트부에 조여지는 조임위치에서 상기 제1 끝단과 상기 제2 끝단은 상호 이격 거리가 고정되며, 상기 볼트부가 상기 너트부로부터 조임 해제되는 해제위치에서 상기 제1 끝단과 상기 제2 끝단의 상호 이격 거리는 변화 가능하고,
    상기 제1 내주연은,
    상기 로드함입부에 삽입된 채, 상기 간격조절부의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임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로드함입부의 바닥면과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고,
    상기 제2 내주연은,
    상기 헤드함입부에 삽입된 채, 상기 간격조절부의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임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헤드함입부의 바닥면과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유동압출실린더의 내주연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의 외주연으로 형성되는 밀착본체부 및
    상기 밀착본체부의 일측단의 원형 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지름방향 외측으로 편향되어 형성되는 환형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환형성부는,
    상기 유동압출실린더의 내주연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채, 상기 유동압출실린더의 내주연에 의해 지름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유동압출실린더의 내주연에 밀착되며,
    상기 밀착본체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밀폐공간과 대향하는 평면으로 형성된 평면부 및 상기 피스톤 로드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장착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밀착부는,
    상기 평면부를 바닥면으로 하고, 상기 환형성부를 측면으로 하는 일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환형성부는,
    상기 밀폐공간으로 유입된 유동성 가공물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압박하는 경우, 상기 유동압출실린더의 내주연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성부는,
    상기 밀착본체부의 일측단의 원형 테두리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간부는,
    상기 밀착본체부의 외측면으로부터 함입되되, 함입 깊이가 깊어질수록 횡단면적이 증가하는 확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장착공간부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되, 상기 장착공간부로의 삽입 시, 외력에 의한 상기 밀착부의 탄성 재질에 따른 변형에 의해 상기 장착공간부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공간부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안착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삽입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간부는,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삽입요홈에 삽입되는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요철부는, 상기 삽입요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삽입부의 상기 장착공간부에 대한 횡방향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연결부는,
    상기 로드함입부에 연결된 채, 점진적으로 외주연의 크기가 증가하여 제1 사면을 형성하는 로드사면부 및 상기 로드사면부와 연결되되, 상기 스틸봉의 외주연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로드평행부를 구비하고,
    상기 밀착접촉부는,
    상기 헤드함입부에 연결된 채, 점진적으로 외주연의 크기가 증가하여 제2 사면을 형성하는 밀착사면부 및 상기 밀착사면부와 연결되되, 상기 로드평행부의 외주연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밀착평행부를 구비하며,
    상기 클램프본체부는,
    상기 제1 내주연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내주연의 크기가 증가하여 제3 사면을 형성한 채, 상기 클램프함입부와 연결되는 제1 사면대응부 및 상기 제2 내주연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내주연의 크기가 증가하여 제4 사면을 형성한 채, 상기 클램프함입부와 연결되는 제2 사면대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사면대응부는,
    상기 조임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임위치로의 위치 이동 시, 상기 제3 사면이 상기 제1 사면과 접촉된 채, 슬라이딩되며,
    상기 제2 사면대응부는,
    상기 조임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임위치로의 위치 이동 시, 상기 제4 사면이 상기 제2 사면과 접촉된 채,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주연은,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임위치로의 위치 이동 시, 상기 로드함입부와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되, 상기 조임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로드함입부와 이격된 채 배치되며,
    상기 제2 내주연은,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임위치로의 위치 이동 시, 상기 헤드함입부와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되, 상기 조임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헤드함입부와 이격된 채 배치되고,
    상기 클램프함입부는,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임위치로의 위치 이동 시, 접촉된 상기 로드평행부 및 상기 밀착평행부와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되, 상기 조임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로드평행부 및 상기 밀착평행부와 이격된 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평행부는,
    상기 밀착평행부와의 대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로드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밀착평행부는,
    상기 로드평행부와의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밀착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돌출부는,
    상기 밀착함입부에 삽입된 경우, 상기 로드평행부의 상기 밀착평행부에 대한 횡방향 위치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밀착함입부에 삽입된 경우, 상기 밀착함입부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본체부는,
    일끝단에 상기 볼트부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제1 클램프본체편,
    일측이 상기 제1 클램프본체편과 연결되는 제2 클램프본체편,
    일측이 상기 제2 클램프본체편과 연결되며, 타끝단에 상기 너트부가 내장된 제3 클램프본체편,
    일측은 상기 제1 클램프본체편의 타끝단에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제2 클램프본체편의 일끝단에 장착된 채, 상기 제1 클램프본체편과 상기 제2 클램프본체편을 연결하는 제1 본체연결부 및
    일측은 상기 제2 클램프본체편의 타끝단에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제3 클램프본체편의 일끝단에 장착된 채, 상기 제2 클램프본체편과 상기 제3 클램프본체편을 연결하는 제2 본체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클램프본체편은,
    상기 제1 본체연결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3 클램프본체편은,
    상기 제2 본체연결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
KR1020210180119A 2021-12-15 2021-12-15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 KR102460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119A KR102460675B1 (ko) 2021-12-15 2021-12-15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119A KR102460675B1 (ko) 2021-12-15 2021-12-15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0675B1 true KR102460675B1 (ko) 2022-10-27

Family

ID=83810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119A KR102460675B1 (ko) 2021-12-15 2021-12-15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67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950A (ko) * 1997-08-12 1999-03-05 박원훈 입자유동디버링 장치
JP2004344975A (ja) * 2003-05-19 2004-12-09 Takata Corp ダイキャスティング法による金属部品製造方法及び装置
KR20130043487A (ko) * 2011-10-20 2013-04-30 주식회사 동아지질 신축로드 클램프장치를 구비한 연약지반 개량용 굴착기
KR20130069961A (ko) * 2011-12-19 2013-06-27 (주)경남금속 금형 연마장치
KR101318650B1 (ko) 2013-02-26 2013-10-16 박재범 입자유동가공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950A (ko) * 1997-08-12 1999-03-05 박원훈 입자유동디버링 장치
JP2004344975A (ja) * 2003-05-19 2004-12-09 Takata Corp ダイキャスティング法による金属部品製造方法及び装置
KR20130043487A (ko) * 2011-10-20 2013-04-30 주식회사 동아지질 신축로드 클램프장치를 구비한 연약지반 개량용 굴착기
KR20130069961A (ko) * 2011-12-19 2013-06-27 (주)경남금속 금형 연마장치
KR101318650B1 (ko) 2013-02-26 2013-10-16 박재범 입자유동가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2252B1 (en) Positioning and fixing device
US6997448B2 (en) Device for the detachable mounting of workpieces on machining devices
KR102460675B1 (ko) 유동압출실린더의 피스톤 구조
CN105102145A (zh) 冲压设备
US20020125083A1 (en) Friction ring for a brake disk,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1269830A (ja) 締付装置
JP2005501756A (ja) 金型を係止するための交換自在の挿入体
KR101776615B1 (ko) 프레스 소성 가공을 이용한 베벨형 스냅링 제조 방법, 이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프레스 금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베벨형 스냅링
CN110023051B (zh) 轮胎模具及轮胎模具的制造方法
JP5554015B2 (ja) 成形用金型
US6280174B1 (en) Molding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fastening means of the peripheral dies to the core
CN109760241B (zh) 一种橡胶衬套硫化模具
CN107708959B (zh) 用于注塑机的模具堆叠
US20200386284A1 (en) Disc brake and piston boot
KR102154467B1 (ko) 조립구조를 갖는 세라믹 성형물 제조용 초경지그 금형
JP2706927B2 (ja) カム型による加工装置
ITMI20002670A1 (it) Cassetta di utensili con matrice a molla
KR101786992B1 (ko) Cfrp 성형 금형
JP5798965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中空ピストン及び成形ダイス
JP3462263B2 (ja) クランプ装置
CN106425545A (zh) 磁力泵隔离罩的加工工装
KR101898068B1 (ko) 프레스 성형장치 및 방법
US10851902B2 (en) Cross-flow dual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ousing of the cross-flow dual valve
KR20190002479U (ko) 체인지코어 장착유닛
KR100424439B1 (ko) 피스톤패킹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