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401B1 -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0401B1 KR102460401B1 KR1020180070227A KR20180070227A KR102460401B1 KR 102460401 B1 KR102460401 B1 KR 102460401B1 KR 1020180070227 A KR1020180070227 A KR 1020180070227A KR 20180070227 A KR20180070227 A KR 20180070227A KR 102460401 B1 KR102460401 B1 KR 1024604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d
- contact surface
- base plate
- right directions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81—Vibration isolation or damping elements or arrangements, e.g. elastic support of deck-hou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4—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large storage vessels not under 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52—Pipes
- F17C2205/0367—Arrangements in parall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카고탱크의 내부로 액화천연가스를 로딩 및 언로딩시키는 파이프 조립체와, 상기 파이프 조립체의 하단에 수평하게 결합되며, 결합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하단의 베이스 콘이 상기 카고탱크의 바닥면에 결합되며, 전후좌우 방향에 가이드면이 형성된 상단의 가이드부가 상기 결합홀에 상하로 관통 위치되는 가이드유닛과, 상기 가이드부의 전후좌우 방향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되며, 일측면이 상기 가이드부의 전후좌우 방향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는 다수의 하부 슬라이딩유닛 및, 상기 가이드부의 전후좌우 방향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며, 일측면이 상기 가이드부의 전후좌우 방향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는 다수의 상부 슬라이딩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슬라이딩유닛을 배치시킴과 아울러, 가이드유닛의 전후 및 좌우 방향에 슬라이딩유닛을 각각 배치시킴으로써, 다점 지지 구조를 통해 고유 진동수를 상승시킬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가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파이프 조립체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슬라이딩유닛이 상하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므로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LNG)를 저장하는 카고 탱크(cargo tank)에는 액화천연가스를 카고 탱크에 로딩(loading) 및 언로딩(unloading)시키는 펌프 타워가 설치된다.
종래의 펌프 타워는, 외부의 로딩(loading)장치에 연결되어 카고탱크 내부로 액화천연가스를 유입하는 공급 파이프(loading pipe)와, 외부의 언로딩(unloading)장치에 연결되어 카고 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외부로 유출하는 한 쌍의 배출 파이프(unloading pipe) 및, 각 배출 파이프에 연결되어 배출 파이프로 액화천연가스를 공급하는 한 쌍의 메인 펌프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종래의 펌프 타워는 메인 펌프의 고장 시에 내부에 응급펌프(emergency pump)가 설치되는 기둥 형태의 응급 파이프(emergency pipe) 등이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펌프 타워는 안정적인 구조를 갖기 위해 한 쌍의 배출 파이프(unloading pipe)와 응급 파이프(emergency pipe)가 각각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삼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며, 공급 파이프(loading pipe)는 삼각기둥 형태의 구조체에 추가로 부착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펌프 타워는, 극저온 물질인 액화천연가스(LNG)를 운반하는 카고탱크 내에 설치되므로 열 변형에 매우 취약하며, 열 수축/팽창에 대비하기 위해 구조물의 구속을 최소화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펌프 타워는 구조물의 고유진동수가 매우 낮고, 선박 운항 시 메인 엔진이나 프로펠러 등에서 발생하는 기진력과의 공진으로 인해 높은 진동이 유발되고, 이로 인해 펌프 타워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국내 공개특허 제10-2010-0103266호(2010년 09월 27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펌프 타워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슬라이딩유닛을 배치시킴과 아울러, 가이드유닛의 전후 및 좌우 방향에 슬라이딩유닛을 각각 배치시킴으로써, 다점 지지 구조를 통해 고유 진동수를 상승시킬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가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파이프 조립체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슬라이딩유닛이 상하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므로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부재가 접촉 패드에 의해 가이드유닛의 접촉면에 밀착되므로, 가이드유닛과 슬라이딩부재의 마찰계수를 줄일 수 있어 파이프 조립체를 용이하게 상하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는, 카고탱크의 내부로 액화천연가스를 로딩 및 언로딩시키는 파이프 조립체와, 상기 파이프 조립체의 하단에 수평하게 결합되며, 결합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하단의 베이스 콘이 상기 카고탱크의 바닥면에 결합되며, 전후좌우 방향에 가이드면이 형성된 상단의 가이드부가 상기 결합홀에 상하로 관통 위치되는 가이드유닛과, 상기 가이드부의 전후좌우 방향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되며, 일측면이 상기 가이드부의 전후좌우 방향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는 다수의 하부 슬라이딩유닛 및, 상기 가이드부의 전후좌우 방향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며, 일측면이 상기 가이드부의 전후좌우 방향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는 다수의 상부 슬라이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슬라이딩유닛들과 상기 상부 슬라이딩유닛들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하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 콘의 상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되며, 전후 방향에 제1하부 접촉면과 좌우 방향에 제2하부 접촉면이 수직하게 형성되는 하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되며, 전후 방향에 제1상부 접촉면과 좌우 방향에 제2상부 접촉면이 수직하게 형성되는 상부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슬라이딩유닛들은 상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몸체의 전후좌우 방향에서 수직한 일측면이 상기 제1하부 접촉면과 상기 제2하부 접촉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며, 상기 상부 슬라이딩유닛들은 하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몸체의 전후좌우 방향에서 수직한 일측면이 상기 제1상부 접촉면과 상기 제2상부 접촉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슬라이딩유닛들은 상기 하부 몸체의 전후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된 상태로 상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 몸체와 이격 위치되는 다수의 하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들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수직한 일측면이 상기 제1하부 접촉면과 제2하부 접촉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밀착되는 다수의 하부 슬라이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슬라이딩유닛들은 상기 상부 몸체의 전후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된 상태로 하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몸체와 이격 위치되는 다수의 상부 지지대와, 상기 상부 지지대들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수직한 일측면이 상기 제1상부 접촉면과 상기 제2상부 접촉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밀착되는 다수의 상부 슬라이딩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재들에는 상기 하부 몸체와 반대되는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양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한 쌍의 하부 결합단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 결합단들과 상기 하부 지지대에는 결합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체결부재가 관통 결합되며,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재들에는 상기 상부 몸체와 반대되는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대의 양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 결합단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결합단들과 상기 상부 지지대에는 결합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체결부재가 관통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결합단들은 상기 하부 몸체 방향 및 반대되는 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기 결합되며, 상기 상부 결합단들은 상기 상부 몸체 방향 및 반대되는 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결합단들과 상기 상부 결합단들에는 결합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홀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장홀을 통해 상기 하부 지지대 및 상기 상부 지지대에 관통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대들의 측면에는 상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보강대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지지대들의 측면에는 하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보강대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재의 밀착면에는 접촉 패드가 더 결합되며, 상기 접촉 패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슬라이딩유닛을 배치시킴과 아울러, 가이드유닛의 전후 및 좌우 방향에 슬라이딩유닛을 각각 배치시킴으로써, 다점 지지 구조를 통해 고유 진동수를 상승시킬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가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파이프 조립체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슬라이딩유닛이 상하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므로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부재가 접촉 패드에 의해 가이드유닛의 접촉면에 밀착되므로, 가이드유닛과 슬라이딩부재의 마찰계수를 줄일 수 있어 파이프 조립체를 용이하게 상하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 타워가 카고탱크에 설치된 상태를 계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설치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가이드유닛과 하부 슬라이딩유닛 및 상부 슬라이딩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에서 하부 슬라이드유닛과 상부 슬라이딩유닛의 접촉 패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에서 고유 진동수 상승 곡선을 보여주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가이드유닛과 하부 슬라이딩유닛 및 상부 슬라이딩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에서 하부 슬라이드유닛과 상부 슬라이딩유닛의 접촉 패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에서 고유 진동수 상승 곡선을 보여주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 타워가 카고탱크에 설치된 상태를 계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설치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가이드유닛과 하부 슬라이딩유닛 및 상부 슬라이딩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에서 하부 슬라이드유닛과 상부 슬라이딩유닛의 접촉 패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에서 고유 진동수 상승 곡선을 보여주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는 파이프 조립체(10)와, 베이스 플레이트(20)와, 가이드유닛(100)과, 다수의 하부 슬라이딩유닛(200) 및, 상부 슬라이딩유닛(3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파이프 조립체(10)는 그 하단이 카고탱크(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파이프 조립체(10)는 공급 파이프(loading pipe, 11)와, 응급 파이프(emergency pipe, 12) 및, 배출 파이프(unloading pipe, 13) 등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공급 파이프(11)는 수직하게 길이를 가지며, 상기 공급 파이프(11)의 상단이 외부의 로딩(loading)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카고탱크(1)의 저장공간(2)으로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를 유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공급 파이프(11)의 상단은 카고탱크(10)의 상부 탱크돔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액화천연가스 로딩장치(미도시)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 파이프(11)의 하단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고탱크(1)의 저장공간(2)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응급 파이프(12)와 배출 파이프(13)는, 카고탱크(1)의 저장공간(2)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응급 파이프(12)와 배출 파이프(13)는 안정적인 구조를 갖기 위해 삼각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배출 파이프(13)가 2개의 수직한 모서리 부위를 형성하고, 하나의 응급 파이프(12)가 1개의 수직한 모서리 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공급 파이프(1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급 파이프(12)의 일측에 추가로 부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응급 파이프(12)에는 공급 파이프(11)와 메인 펌프(미도시)의 고장이 발생시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응급 펌프(emergency pump)가 설치될 수 있다.
배출 파이프(13)는, 외부의 언로딩(unloading)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카고탱크(1)의 저장공간(2)에 수용된 액화천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배출 파이프(13)의 상단은 카고탱크(1)의 상부 탱크돔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액화천연가스 언로딩(unloading)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 파이프(13)의 하단이 카고탱크(1)의 저장공간(2)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0)는, 파이프 조립체(10)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는 공급 파이프(10)와 배출 파이프(13) 및 응급 파이프(12)의 하단을 함께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부에는 전술한 공급 파이프(10)와 배출 파이프(13) 및 응급 파이프(12)의 하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삼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에는 후술 될 가이드부(1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결합홀(2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결합홀(21)은 공급 파이프(10)와 배출 파이프(13) 및 응급 파이프(12)들의 사이 간격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유닛(100)은, 카고탱크(1)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가이드유닛(100)의 상단은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결합홀(21)에 관통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가이드유닛(100)의 상단에 결합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유닛(100)은 하단에 베이스 콘(110)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콘(110)의 상단에 가이드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콘(110)은, 카고탱크(1)의 바닥면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용접 등)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콘(110)은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하부에 고정적으로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콘(110)은 도 1과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콘(corn)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120)는, 베이스 콘(110)의 상부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브(12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결합홀(21)에 상하로 관통 위치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부(120)는 베이스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 몸체(121) 및, 베이스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몸체(122)로 구분될 수 있다.
하부 몸체(121)는, 후술 될 하부 슬라이딩부재(220)들의 일측면을 수평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 몸체(121)의 측면에는 제1하부 접촉면(121a)과 제2하부 접촉면(121b)이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하부 접촉면(121a)은, 하부 몸체(121)의 전후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하부 접촉면(121a)은 선체의 좌우 방향으로 수직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제2하부 접촉면(121b)은, 하부 몸체(121)의 좌우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하부 접촉면(121b)은 선체의 선수 및 선미 방향으로 수직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하부 접촉면(121a)과 제2하부 접촉면(121b)은 상호 직각을 이루며, 상기 제2하부 접촉면(121b)은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몸체(121)는, 후술 될 하부 슬라이딩부재(220)들의 일측면을 수평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1하부 접촉면(121a)과 제2하부 접촉면(121b)이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하부 접촉면(121a)은, 하부 몸체(121)의 전후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하부 접촉면(121a)은 선체의 좌우 방향으로 수직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제2하부 접촉면(121b)은, 하부 몸체(121)의 좌우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하부 접촉면(121b)은 선체의 선수 및 선미 방향으로 수직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하부 접촉면(121a)과 제2하부 접촉면(121b)은 상호 직각을 이루며, 상기 제2하부 접촉면(121b)은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될 수 있다.
상부 몸체(122)는, 베이스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하부 몸체(12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몸체(122)의 측면에는 후술 될 상부 슬라이딩부재(320)들의 일측면을 수평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1상부 접촉면(122a)과 제2상부 접촉면(122b)이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상부 접촉면(122a)은, 상부 몸체(122)의 전후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상부 접촉면(122a)은 선체의 좌우 방향으로 수직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제2상부 접촉면(122b)은, 상부 몸체(122)의 좌우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상부 접촉면(122b)은 선체의 선수 및 선미 방향으로 수직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상부 접촉면(122a)과 제2상부 접촉면(122b)은 상호 직각을 이루며, 상기 제2상부 접촉면(122b)은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상부 접촉면(122a)와 제2상부 접촉면(122b)은, 베이스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전술한 제1하부 접촉면(121a)과 제2하부 접촉면(121b)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하부 슬라이딩유닛(200)들은, 가이드부(120)의 전후좌우 방향에 위치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하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 슬라이딩유닛(200)의 일측면이 가이드부(120)의 전후좌우 방향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슬라이딩유닛(200)들은 상단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하면에 결합되고, 하부 몸체(121)의 전후좌우 방향에서 수직한 일측면이 제1하부 접촉면(121a)과 제2하부 접촉면(121b)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부 슬라이딩유닛(200)들은 도 3과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하부 지지대(210) 및, 다수의 하부 슬라이딩부재(22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대(210)들은, 하부 몸체(121)의 전후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된 상태로 상단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하면에 결합(용접 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지지대(210)들의 일측면은 하부 몸체(121)와 이격 위치되는데, 상기 하부 지지대(210)는 하부 몸체(121)의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 지지대(210)들 중 한 쌍은 하부 몸체(121)의 전후 방향에 위치된 제1하부 접촉면(121a)과 제2하부 접촉면(121b)과 대응되게 이격 위치된다.
반면, 상기 하부 지지대(210)들 중 다른 한 쌍은 하부 몸체(121)의 좌우 방향에 위치된 제1하부 접촉면(121a)과 제2하부 접촉면(121b)과 대응되게 이격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하부 지지대(210)들은, 하부 몸체(121)의 제1하부 접촉면(121a)과 제2하부 접촉면(121b)과 대응되는 위치와 개수로 적용된다.
하부 슬라이딩부재(220)들은, 하부 지지대(210)들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수직한 일측면이 제1하부 접촉면(121a)과 제2하부 접촉면(121b)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재(220)들의 일측면은 제1하부 접촉면(121a)과 제2하부 접촉면(121b)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동일한 각도로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재(220)들에는 하부 몸체(121)와 반대되는 일측면으로부터 한 쌍의 하부 결합단(221)이 수평하게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결합단(221)들은 하부 지지대(210)의 양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측방으로 이격 위치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 결합단(221)들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홀(221a)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된다.
이와 함께, 하부 지지대(210)들에도 체결부재(B)를 관통 결합시키기 위해 장홀(221a)과 동일 높이에 체결홀을 수평하게 관통 형성시킨다.
장홀(221a)은, 체결부제가 관통되는 것으로, 상기 장홀(221a)은 하부 결합단(221)의 상하 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결합단(221)들과 하부 지지대(210)에는 도 3과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체결부재(B)가 수평하게 관통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부재(B)는 나사결합 방식의 볼트(bolt)와 너트(nut)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볼트의 나사부를 장홀(221a)과 체결홀을 통해 관통시킨 후, 관통된 나사부에 너트를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의 머리부가 하부 결합단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상태로 걸림 위치되고, 너트가 머리부와 반대되는 하부 결합단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상태로 걸림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재(320)의 일측면이 제1하부 접촉면(121a)과 제2하부 접촉면(121b)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장홀(221a)의 길이 범위 내에서 하부 슬라이딩부재(32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대(210)들의 측면에는 상단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보강대(230)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하부 보강대(230)는, 상기 하부 지지대(210)들의 전후 또는 좌우측 방향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나, 상기 하부 보강대(230)의 형성 위치는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하부 슬라이딩부재(320)의 일측면에는 제1하부 접촉면(121a) 또는 제2하부 접촉면(121b)에 밀착되도록 접촉 패드(P)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촉 패드(P)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접촉 패드(P)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접촉 패드(P)는, 제1하부 접촉면(121a) 및 제2하부 접촉면(121b)과의 마찰력을 줄여주게 되므로, 하부 슬라이딩부재(320)가 용이하게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상부 슬라이딩유닛(300)들은, 가이드부(120)의 전후좌우 방향에 위치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슬라이딩유닛(300)의 일측면이 가이드부(120)의 전후좌우 방향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된다.
이와 같은 상기 상부 슬라이딩유닛(300)들은, 베이스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하부 슬라이딩유닛(200)과 대응되게 위치와 개수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슬라이딩유닛(300)들은 하단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부 몸체(122)의 전후좌우 방향에서 수직한 일측면이 제1상부 접촉면(122a)과 제2상부 접촉면(122b)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부 슬라이딩유닛(300)들은 도 3과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상부 지지대(310) 및, 다수의 상부 슬라이딩부재(32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대(310)들은, 상부 몸체(122)의 전후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된 상태로 상단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면에 결합(용접 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지지대(220)들의 일측면은 상부 몸체(122)와 이격 위치되는데, 상기 상부 지지대(220)는 상부 몸체(122)의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 지지대(310)들 중 한 쌍은 상부 몸체(122)의 전후 방향에 위치된 제1상부 접촉면(122a)과 제2상부 접촉면(122b)과 대응되게 이격 위치된다.
반면, 상기 상부 지지대(220)들 중 다른 한 쌍은 상부 몸체(122)의 좌우 방향에 위치된 제1상부 접촉면(122a)과 제2상부 접촉면(122b)과 대응되게 이격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상부 지지대(220)들은, 상부 몸체(122)의 제1상부 접촉면(122a)과 제2상부 접촉면(122b)과 대응되는 위치와 개수로 적용된다.
상부 슬라이딩부재(320)들은, 상부 지지대(310)들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수직한 일측면이 제1상부 접촉면(122a)과 제2상부 접촉면(122b)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재(320)들의 일측면은 제1상부 접촉면(122a)과 제2상부 접촉면(122b)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동일한 각도로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재(320)들은 전술한 하부 슬라이딩부재(220)들보다 더 작은 폭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재(320)들에는 상부 몸체(122)와 반대되는 일측면으로부터 한 쌍의 상부 결합단(321)이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부 결합단(321)들은 상부 지지대(310)의 양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측방으로 이격 위치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 결합단(321)들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홀(321a)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부 지지대(310)들에도 체결부재(B)를 관통 결합시키기 위해 장홀(321a)과 동일 높이에 체결홀을 수평하게 관통 형성시킨다.
장홀(321a)은, 체결부제가 관통되는 것으로, 상기 장홀(321a)은 상부 결합단(321)의 상하 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결합단(321)들과 상부 지지대(310)에는 결합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체결부재(B)가 수평하게 관통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부재(B)는 나사결합 방식의 볼트(bolt)와 너트(nut)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볼트의 나사부를 장홀(321a)과 체결홀을 통해 관통시킨 후, 관통된 나사부에 너트를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의 머리부가 상부 결합단(321)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상태로 걸림 위치되고, 너트가 머리부와 반대되는 상부 결합단(321)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상태로 걸림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재(320)의 일측면이 제1상부 접촉면(122a)과 제2상부 접촉면(122b)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장홀(321a)의 길이 범위 내에서 상부 슬라이딩부재(32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대(310)들의 측면에는 하단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보강대(330)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상부 보강대(330)는, 상기 상부 지지대(310)들의 전후 또는 좌우측 방향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나, 상기 상부 보강대(330)의 형성 위치는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부 슬라이딩부재(330)의 일측면에는 제1상부 접촉면(122a) 또는 제2상부 접촉면(122b)에 밀착되도록 접촉 패드(P)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촉 패드(P)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상기 접촉 패드(P)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접촉 패드(P)는, 제1상부 접촉면(122a) 및 제2상부 접촉면(122b)과의 마찰력을 줄여주게 되므로, 상부 슬라이딩부재(330)가 용이하게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하부 슬라이딩유닛(200)과 상부 슬라이딩유닛(300)을 배치시킴과 아울러, 가이드유닛(100)의 전후 및 좌우 방향에 하부 슬라이딩부재(220)과 상부 슬라이딩부재(320)을 각각 배치시킴으로써, 다점 지지 구조를 통해 펌프 타워의 고유 진동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20)가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파이프 조립체(100)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하부 슬라이딩유닛(200)과 상부 슬라이딩유닛(300)이 상하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므로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슬라이딩유닛(200)과 상부 슬라이딩유닛(300)이 접촉 패드(P)에 의해 가이드유닛(100)의 접촉면에 밀착되므로, 가이드유닛(100)과 하부 슬라이딩유닛(200) 및 상부 슬라이딩유닛(300)와의 마찰계수를 줄일 수 있어 파이프 조립체(100)를 용이하게 상하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화물창 2: 저장공간
10: 파이프 조립체 11: 공급 파이프
12: 응급 파이프 13: 배출 파이프
20: 베이스 플레이트 21: 결합홀
100: 가이드유닛 110: 베이스 콘
120: 가이드부 121: 하부 몸체
121a: 제1하부 접촉면 121b: 제2하부 접촉면
122: 상부 몸체 122a: 제1상부 접촉면
122b: 제2상부 접촉면 200: 하부 슬라이딩유닛
210: 하부 지지대 220: 하부 슬라이딩부재
221: 하부 결합단 221a: 장홀
230: 하부 보강대 300: 상부 슬라이딩유닛
310: 상부 지지대 320: 상부 슬라이딩부재
321: 상부 결합단 321a: 장홀
330: 상부 보강대 B: 체결부재
P: 접촉 패드
10: 파이프 조립체 11: 공급 파이프
12: 응급 파이프 13: 배출 파이프
20: 베이스 플레이트 21: 결합홀
100: 가이드유닛 110: 베이스 콘
120: 가이드부 121: 하부 몸체
121a: 제1하부 접촉면 121b: 제2하부 접촉면
122: 상부 몸체 122a: 제1상부 접촉면
122b: 제2상부 접촉면 200: 하부 슬라이딩유닛
210: 하부 지지대 220: 하부 슬라이딩부재
221: 하부 결합단 221a: 장홀
230: 하부 보강대 300: 상부 슬라이딩유닛
310: 상부 지지대 320: 상부 슬라이딩부재
321: 상부 결합단 321a: 장홀
330: 상부 보강대 B: 체결부재
P: 접촉 패드
Claims (9)
- 카고탱크의 내부로 액화천연가스를 로딩 및 언로딩시키는 파이프 조립체;
상기 파이프 조립체의 하단에 수평하게 결합되며, 결합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하단의 베이스 콘이 상기 카고탱크의 바닥면에 결합되며, 전후좌우 방향에 가이드면이 형성된 상단의 가이드부가 상기 결합홀에 상하로 관통 위치되는 가이드유닛;
상기 가이드부의 전후좌우 방향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되며, 일측면이 상기 가이드부의 전후좌우 방향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는 다수의 하부 슬라이딩유닛; 및
상기 가이드부의 전후좌우 방향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며, 일측면이 상기 가이드부의 전후좌우 방향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는 다수의 상부 슬라이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라이딩유닛들과 상기 상부 슬라이딩유닛들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하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 콘의 상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되며, 전후 방향에 제1하부 접촉면과 좌우 방향에 제2하부 접촉면이 수직하게 형성되는 하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되며, 전후 방향에 제1상부 접촉면과 좌우 방향에 제2상부 접촉면이 수직하게 형성되는 상부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슬라이딩유닛들은,
상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몸체의 전후좌우 방향에서 수직한 일측면이 상기 제1하부 접촉면과 상기 제2하부 접촉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며,
상기 상부 슬라이딩유닛들은,
하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몸체의 전후좌우 방향에서 수직한 일측면이 상기 제1상부 접촉면과 상기 제2상부 접촉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라이딩유닛들은,
상기 하부 몸체의 전후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된 상태로 상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 몸체와 이격 위치되는 다수의 하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들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수직한 일측면이 상기 제1하부 접촉면과 제2하부 접촉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밀착되는 다수의 하부 슬라이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슬라이딩유닛들은,
상기 상부 몸체의 전후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된 상태로 하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몸체와 이격 위치되는 다수의 상부 지지대와, 상기 상부 지지대들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수직한 일측면이 상기 제1상부 접촉면과 상기 제2상부 접촉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밀착되는 다수의 상부 슬라이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재들에는,
상기 하부 몸체와 반대되는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양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한 쌍의 하부 결합단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 결합단들과 상기 하부 지지대에는 결합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체결부재가 관통 결합되며,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재들에는,
상기 상부 몸체와 반대되는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대의 양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 결합단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결합단들과 상기 상부 지지대에는 결합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체결부재가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결합단들은,
상기 하부 몸체 방향 및 반대되는 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기 결합되며,
상기 상부 결합단들은,
상기 상부 몸체 방향 및 반대되는 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결합단들과 상기 상부 결합단들에는,
결합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홀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장홀을 통해 상기 하부 지지대 및 상기 상부 지지대에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대들의 측면에는,
상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보강대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지지대들의 측면에는,
하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보강대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재의 밀착면에는,
접촉 패드가 더 결합되며,
상기 접촉 패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0227A KR102460401B1 (ko) | 2018-06-19 | 2018-06-19 |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0227A KR102460401B1 (ko) | 2018-06-19 | 2018-06-19 |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42938A KR20190142938A (ko) | 2019-12-30 |
KR102460401B1 true KR102460401B1 (ko) | 2022-10-28 |
Family
ID=69103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0227A KR102460401B1 (ko) | 2018-06-19 | 2018-06-19 |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040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7629B1 (ko) * | 2020-07-03 | 2021-11-16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KR102327632B1 (ko) * | 2020-07-03 | 2021-11-16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KR102327627B1 (ko) * | 2020-07-03 | 2021-11-16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KR102327624B1 (ko) * | 2020-07-03 | 2021-11-16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KR102333821B1 (ko) * | 2020-07-17 | 2021-12-01 | 주식회사 케이피 | 2층 공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선박용 침대 |
KR102396654B1 (ko) | 2020-07-17 | 2022-05-10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KR102348833B1 (ko) | 2020-07-17 | 2022-01-06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KR102396651B1 (ko) | 2020-07-17 | 2022-05-10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KR102396652B1 (ko) | 2020-07-17 | 2022-05-10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KR102447031B1 (ko) * | 2021-01-18 | 2022-09-26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액화가스 처리 장치,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CN114310103B (zh) * | 2021-12-17 | 2023-12-26 |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 一种天然气泵塔狭小部位滑块的安装方法及安装辅助装置 |
FR3134073B1 (fr) * | 2022-03-31 | 2024-07-26 | Gaztransport Et Technigaz | Dispositif de maintien d’au moins un composant sur une tour de chargement et/ou de déchargement d’une cuve d’un navire destinée à contenir un gaz liquéfié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03266A (ko) * | 2009-03-13 | 2010-09-2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펌프 타워 |
KR20110026945A (ko) * | 2009-09-09 | 2011-03-16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Lng 펌프타워의 파이프 설치 구조 |
KR101505798B1 (ko) * | 2013-07-24 | 2015-03-26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베이스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창 |
KR102595972B1 (ko) * | 2016-11-04 | 2023-10-31 | 한화오션 주식회사 | Lng 저장 탱크의 펌프 타워 |
-
2018
- 2018-06-19 KR KR1020180070227A patent/KR102460401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42938A (ko) | 2019-12-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60401B1 (ko) |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 | |
KR102150458B1 (ko) |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 시스템 | |
KR102185177B1 (ko) | 모터 차량용 연료 탱크 부착 구조 | |
KR20170050586A (ko) |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 시스템 | |
KR20120044750A (ko) | 액화천연가스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선박 | |
KR20170050587A (ko) |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 시스템 | |
KR101805667B1 (ko) |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 |
KR20110039722A (ko) | 독립형 저장탱크의 고정구조 | |
KR101310959B1 (ko) | 화물창의 단열박스 고정구조물 | |
KR102505078B1 (ko) |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 | |
KR101699323B1 (ko) |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랙 구조물 변형 방지장치 | |
KR20190135459A (ko) |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 시스템 | |
KR20180000860U (ko) | 액화가스 화물창의 펌프 타워의 지지구조 | |
KR102648280B1 (ko) |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와 이를 포함하는 이중 배관 | |
JP2023554446A (ja) | 液化ガス貯蔵タンク及びこれを含む船舶 | |
KR20180000319U (ko) |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쇠 장치 | |
KR20190135458A (ko) |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 시스템 | |
KR20220000657A (ko) | 액상화물 저장탱크의 슬로싱 저감 장치 | |
KR101865163B1 (ko) |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 |
KR101874366B1 (ko) | 단열 보드 및 이를 구비한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 |
KR102003407B1 (ko) |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 | |
KR102160477B1 (ko) | 극저온 유체 저장탱크의 단열 구조 | |
KR20200118306A (ko) | 펌프 타워 | |
KR101775046B1 (ko) |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 시스템 | |
KR20200055516A (ko) | 진동저감장치를 구비하는 펌프타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