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253B1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253B1
KR102460253B1 KR1020170048678A KR20170048678A KR102460253B1 KR 102460253 B1 KR102460253 B1 KR 102460253B1 KR 1020170048678 A KR1020170048678 A KR 1020170048678A KR 20170048678 A KR20170048678 A KR 20170048678A KR 102460253 B1 KR102460253 B1 KR 102460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od
heating unit
power
unit
washing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6019A (ko
Inventor
김종률
김두현
박형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8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253B1/ko
Priority to US15/952,906 priority patent/US10914033B2/en
Publication of KR20180116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4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8Control of the energy consum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케이싱과, 케이싱에 부착되어 개폐되는 도어와, 케이싱 내의 세탁조와, 히팅부와, 세탁조로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와, 세탁조의 배기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제1 건조 모드인 경우, 블로워를 동작시키고, 블로워 동작 이후 제1 기간 동안, 히팅부가 간헐적으로 제1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히팅부의 동작 시간이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건조 모드에서 건조 기간을 저감하면서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Laundry treatment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 모드에서 건조 기간을 저감하면서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물이 세탁조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세탁조와 세탁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을 행하여, 세탁물의 손상이 거의 없고 세탁물이 서로 엉키지 않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조 내의 포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탁물 처리기기는, 건조 모드 하에서, 히팅부를 동작시킨다.
한편, 히팅부는,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가장 큰 전력을 소비하며, 이에 따라, 소비 전력을 저감하면서 건조 모드를 동작시키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0672502호(이하 선행문헌 1 이라 함)는 세탁 장치의 운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조히터(611)가 개시된다.
그러나, 선행문헌 1에는, 컨트롤부(300)의 제어에 의해 건조히터(611)가 발열되는 것만 개시되며, 건조히터(611)에 의한 건조시에 전력 소비를 저감하는 방안 등은 개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 모드에서 건조 기간을 저감하면서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케이싱과, 케이싱에 부착되어 개폐되는 도어와, 케이싱 내의 세탁조와, 히팅부와, 세탁조로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와, 세탁조의 배기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제1 건조 모드인 경우, 블로워를 동작시키고, 블로워 동작 이후 제1 기간 동안, 히팅부가 간헐적으로 제1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히팅부의 동작 시간이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케이싱과, 케이싱에 부착되어 개폐되는 도어와, 케이싱 내의 세탁조와, 히팅부와, 세탁조로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와, 세탁조의 배기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제1 건조 모드인 경우, 제1 기간 동안, 히팅부의 온 및 오프가 반복되며, 히팅부의 온 구간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제2 기간 동안 히팅부가 지속적으로 온 되도록 제어하되, 제1 기간 모드 낮은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물 처리기기는, 케이싱과, 케이싱에 부착되어 개폐되는 도어와, 케이싱 내의 세탁조와, 히팅부와, 세탁조로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와, 세탁조의 배기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제1 건조 모드인 경우, 블로워를 동작시키고, 블로워 동작 이후 제1 기간 동안, 히팅부가 간헐적으로 제1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히팅부의 동작 시간이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건조 모드에서 건조 기간을 저감하면서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건조 모드인 상태에서, 제1 기간 중 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 동안, 히팅부의 온 및 오프가 반복되도록 제어하며, 제1 구간에서 제3 구간으로 갈수록, 히팅부의 온 기간이, 증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초기 건조 기간인 제1 기간에서, 전력 소비를 저감하면서, 건조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체 건조 기간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건조 모드인 상태에서, 제1 기간 중 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 동안, 히팅부의 온 기간이, 세탁조 내의 포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포량에 대응하여, 전체 건조 기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건조 모드의 경우, 세탁조 내의 포량에 비례하여, 제1 기간과 제2 기간이, 증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포량에 대응하여, 전체 건조 기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건조 모드의 경우, 히팅부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1 파워 출력 이후, 히팅부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2 파워 출력 이후, 다시 히팅부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건조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물 처리기기는, 케이싱과, 케이싱에 부착되어 개폐되는 도어와, 케이싱 내의 세탁조와, 히팅부와, 세탁조로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와, 세탁조의 배기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제1 건조 모드인 경우, 제1 기간 동안, 히팅부의 온 및 오프가 반복되며, 히팅부의 온 구간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제2 기간 동안 히팅부가 지속적으로 온 되도록 제어하되, 제1 기간 모드 낮은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건조 모드에서 건조 기간을 저감하면서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건조 모드의 경우, 히팅부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1 파워 출력 이후, 히팅부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2 파워 출력 이후, 다시 히팅부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건조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측면도의 일예이다.
도 2b는 도 2a의 히팅부의 내부 구조의 일예이다.
도 3은 도 2b의 히팅부의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 4는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모터 구동부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인버터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도 4의 히팅부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b는 도 8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포가 전면(front) 방향으로 세탁조 내로 삽입되는 프론트 로드(front load) 방식의 세탁물 처리기기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드럼식 세탁물 처리기기로서,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10)과, 케이싱(110) 내부에 배치되며 케이싱(110)에 의해 지지되는 세탁조(120)와, 세탁조(120) 내부에 배치되며 포가 세탁되는 세탁조인 드럼(122)과, 드럼(122)을 구동시키는 모터(130)와, 캐비닛 본체(111) 외측에 배치되며 케이싱(110)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장치(미도시)와, 세탁조(120) 하측에 형성되어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드럼(122)에는 세탁수가 통과되도록 복수개의 통공(122A)이 형성되며, 드럼(122)의 회전시 세탁물이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진 후, 중력에 의해 낙하되도록 드럼(12)의 내 측면에 리프터(124)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110)은, 캐비닛 본체(111)와, 캐비닛 본체(111)의 전면에 배치되어 결합하는 캐비닛 커버(112)와, 캐비닛 커버(112) 상측에 배치되며 캐비닛 본체(111)와 결합하는 컨트롤패널(115)과, 컨트롤패널(115) 상측에 배치되며 캐비닛 본체(111)와 결합하는 탑플레이트(116)를 포함한다.
캐비닛 커버(112)는 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포 출입홀(114)과, 포 출입홀(114)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113)를 포함한다.
컨트롤패널(115)은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상태를 조작하는 조작키들(117)과, 조작키들(117)의 일측에 배치되며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18)를 포함한다.
컨트롤패널(115) 내의 조작키들(117) 및 디스플레이(118)는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미도시)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각 구성요소등을 전기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5의 제어부(210)의 동작을 참조하여 생략한다.
한편, 드럼(122)에는 오토 밸런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오토 밸런스(미도시)는 드럼(122)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편심량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액체밸런스, 볼밸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드럼(122)의 진동량 또는 케이싱(110)의 진동량을 측정하는 진동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히팅부를 구비하며, 히팅부의 동작 등에 의해, 건조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건조기라 명명될 수도 있다.
도 2a는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측면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도어(113)의 반대 방향인, Path a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블로워(185)와 히팅부(175)를 구비할 수 있다.
블로워(185)는, 세탁조(120)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로워(185)는, 송풍 팬, 송풍 팬을 구동하는 송풍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히팅부(175)는, 세탁조(120)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히팅부(175)는, 블로워(185)와 세탁조(120)의 후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온도 감지부(189)는, 블로워(185)에 부착될 수 있다. 특히, 블로워(185)의 후단에 부착되어, 세탁조(120)의 배기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온도 감지부(189)는, 서미스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b는 도 2a의 히팅부의 내부 구조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히팅부(175)는, 복수의 히팅 파워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히팅부(175)는, 제1 히터(HT1)와 제2 히터(HT2)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 히터(HT1)와 제2 히터(HT2)는, 각각 복수의 히팅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복수의 히팅 유닛을 구비하는 제2 히터(HT2)의 상부에, 복수의 히팅 유닛을 구비하는 제1 히터(HT1)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제1 파워 출력을 위해, 히팅부(175) 내의 제1 히터(HT1)와 제2 히터(HT2)가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 출력을 위해, 히팅부(175) 내의 제1 히터(HT1)와 제2 히터(HT2)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할 수 있다.
도 3은 도 2b의 히팅부의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히팅부(175)는, 제1 히터(HT1), 제2 히터(HT2), 제1 히터(HT1)와 제2 히터(HT2)의 각각에 접속되어 스위칭을 수행하는 제1 스위칭 소자(SW1), 제2 스위칭 소자(SW2)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워 출력을 위해, 제1 스위칭 소자(SW1)와 제2 스위칭 소자(SW2)가 모두 턴 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히팅부(175) 내의 제1 히터(HT1)와 제2 히터(HT2)가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 출력을 위해, 제1 스위칭 소자(SW1)와 제2 스위칭 소자(SW2) 중 어느 하나가 턴 온되고, 다른 하나는 턴 오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히팅부(175) 내의 제1 히터(HT1)와 제2 히터(HT2)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제1 히터(HT1)와 제2 히터(HT2)의 히팅 파워는 각각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700W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히터(HT1)와 제2 히터(HT2)가 모두 동작하는 경우, 5400W의 제1 파워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1 히터(HT1)와 제2 히터(HT2) 중 어느 하나만 동작하는 경우, 제1 파워 보다 작은, 2700W의 제2 파워가 출력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세탁조(120)를 회전시키는 모터(230)와, 모터(230)를 구동하는 구동부(220)와, 통신부(270)와, 조작키(117)와, 디스플레이(118)와, 세탁물 처리기기(100) 내의 각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210), 온도 감지부(189), 블로워(185), 히팅부(175), 습도 감지부(191)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10)는, 모터 구동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제어부(210)의 제어 동작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10)는, 모터 구동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모터 구동부(220)는, 모터(230)를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탁조(120)에 모터(23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제어부(210)는, 조작키(117)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을 한다. 이에 따라, 세탁, 헹굼, 탈수 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118)를 제어하여, 세탁 코스, 세탁 시간, 탈수 시간, 헹굼 시간 등, 또는 현재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모터 구동부(220)를 제어하며, 모터 구동부(220)는, 모터(230)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때, 모터(230) 내부 또는 외부에는,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감지부가 구비되지 않는다. 즉, 모터 구동부(220)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에 의해 모터(230)를 제어할 수 있다.
모터 구동부(220)는, 모터(230)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버터(미도시), 및 인버터 제어부(미도시), 모터(230)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전류 검출부(도 5의 E)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모터 구동부(220)는, 인버터(미도시)에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컨버터 등을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 구동부(220) 내의 인버터 제어부(도 5의 430)는, 출력 전류(io)에 기초하여, 모터(230)의 회전자 위치를 추정한다. 그리고, 추정된 회전자 위치에 기초하여, 모터(230)가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인버터 제어부(도 5의 430)가, 출력 전류(io)에 기초하여, 펄스폭 변조(PWM) 방식의 스위칭 제어 신호(도 5의 Sic)를 생성하여, 인버터(미도시)로 출력하면, 인버터(미도시)는 고속 스위칭 동작을 하여,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원을 모터(230)에 공급한다. 그리고, 모터(230)는,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원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모터 구동부(220)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제어부(210)는, 전류 검출부(220)에서 검출된 전류(io) 등에 기초하여,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조(120)가 회전하는 동안에, 모터(230)의 전류값(io)에 기초하여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세탁조(120)의 편심량, 즉 세탁조(120)의 언밸런스(unbalance; UB)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편심량 감지는, 전류 검출부(220)에서 검출된 전류(io)의 리플 성분 또는 세탁조(120)의 회전 속도 변화량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온도 감지부(189)는, 세탁조(120) 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온도 감지부(189)는, 세탁조(120)의 배기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건조 모드에 따라, 블로워(185)가 동작하거나, 블로워(185)와 히팅부(175)가 함께 동작하는 경우, 온도 감지부(189)는, 세탁조(120)의 배기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되는 온도 정보는, 제어부(210)로 전송될 수 있다.
블로워(185)는, 세탁조(120)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로워(185)는, 송풍 팬, 송풍 팬을 구동하는 송풍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히팅부(175)는, 세탁조(120)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히팅부(175)는, 블로워(185)에 함께 구비되거나, 블로워(185)와 세탁조(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히팅부(175)는, 복수의 히팅 파워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히팅부(175)는, 제1 히터(HT1)와 제2 히터(HT2)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워 출력을 위해, 히팅부(175) 내의 제1 히터(HT1)와 제2 히터(HT2)가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 출력을 위해, 히팅부(175) 내의 1 히터(HT1)와 제2 히터(HT2)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할 수 있다.
습도 감지부(191)는, 세탁조(120) 내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도 감지부(191)는, 습도 감지를 위한 전극 부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전극 부재에서 감지되는 레벨에 기초하여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습도 감지부(191)에서 감지되는 습도 정보는, 제어부(21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건조 모드에 따라, 블로워(185), 히팅부(175) 등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건조 모드는, 에코(eco) 건조 모드와, 노말(normal) 건조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에코(eco) 건조 모드는, 전력 소비를 저감하면서 건조를 수행하는 모드를 나타내며, 노말(normal) 건조 모드는, 전력 소비와 관계 없이 건조를 수행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제어부(210)는, 에코 건조 모드인 제1 건조 모드의 경우, 블로워(185)를 동작시키고, 블로워(185) 동작 이후 제1 기간 동안, 히팅부(175)가 간헐적으로 제1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히팅부(175)의 동작 시간이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제1 건조 모드인 상태에서, 제1 기간 중 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 동안, 히팅부(175)의 온 및 오프가 반복되도록 제어하며, 제1 구간에서 제3 구간으로 갈수록, 히팅부(175)의 온 기간이,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제1 건조 모드인 상태에서, 제1 기간 이후, 온도 감지부(189)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제1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제2 기간 동안, 히팅부(175)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제1 기간 및 제2 기간 동안, 제1 히터(HT1)와 제2 히터(HT2)가 모두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제1 건조 모드인 상태에서, 제2 기간 이후, 제3 기간 동안, 히팅부(175)가 제1 파워와 제2 파워를 교번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제3 기간 이후 제4 기간 동안, 히팅부(175)가 제1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제1 건조 모드인 상태에서, 제1 기간 이후, 온도 감지부(189)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제1 기준치 초과인 경우, 제2 기간 동안, 히팅부(175)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제1 기간 동안, 제1 히터(HT1)와 제2 히터(HT2)가 모두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제2 기간 동안, 제1 히터(HT1)와 제2 히터(HT2) 중 어느 하나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제1 건조 모드인 상태에서, 제2 기간 이후, 제3 기간 동안, 히팅부(175)가 제1 파워와 제2 파워를 교번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제3 기간 이후 제4 기간 동안, 히팅부(175)가 제1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제1 건조 모드인 상태에서, 세탁조(120)의 습도가 제1 기준 습도 이하이며, 제1 건조 모드의 동작 시간이 제2 기준치 이내인 경우, 히팅부(175)가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제1 건조 모드인 상태에서, 히팅부(175) 오프 이후, 세탁조(120)의 습도가 제1 기준 습도 보다 낮은 제2 기준 습도 이하인 경우, 블로워(185)를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제1 건조 모드인 상태에서, 제1 기간 중 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 동안, 히팅부(175)의 온 기간이, 세탁조(120) 내의 포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제1 건조 모드의 경우, 세탁조(120) 내의 포량에 비례하여, 제1 기간과 제2 기간이,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제2 건조 모드인 경우, 제4 기간 동안 히팅부(175)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1 파워 출력 이후, 제5 기간 동안 히팅부(175)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2 파워 출력 이후, 제6 기간 동안 다시 히팅부(175)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제어부(210)는, 에코 건조 모드인 제1 건조 모드의 경우, 제1 기간 동안, 히팅부(175)의 온과 오프 중 온 기간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제2 기간 동안 히팅부(175)가 지속적으로 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모터 구동부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부(220)는, 센서리스 방식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버터(410), 인버터(420), 인버터 제어부(430), dc 단 전압 검출부(B), 평활 커패시터(C), 출력전류 검출부(E), 출력전압 검출부(F)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터 구동부(220)는, 입력 전류 검출부(A), 리액터(L)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리액터(L)는, 상용 교류 전원(405, vs)과 컨버터(410) 사이에 배치되어, 역률 보정 또는 승압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리액터(L)는 컨버터(410)의 고속 스위칭에 의한 고조파 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입력 전류 검출부(A)는, 상용 교류 전원(405)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류(is)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입력 전류 검출부(A)로,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검출되는 입력 전류(is)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입력될 수 있다.
컨버터(410)는, 리액터(L)를 거친 상용 교류 전원(405)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면에서는 상용 교류 전원(405)을 단상 교류 전원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삼상 교류 전원일 수도 있다. 상용 교류 전원(405)의 종류에 따라 컨버터(410)의 내부 구조도 달라진다.
한편, 컨버터(410)는, 스위칭 소자 없이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스위칭 동작 없이 정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상 교류 전원인 경우, 4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삼상 교류 전원인 경우, 6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컨버터(410)는, 예를 들어, 2개의 스위칭 소자 및 4개의 다이오드가 연결된 하프 브릿지형의 컨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삼상 교류 전원의 경우, 6개의 스위칭 소자 및 6개의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컨버터(410)가,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경우, 해당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승압 동작, 역률 개선 및 직류전원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평활 커패시터(C)는, 입력되는 전원을 평활하고 이를 저장한다. 도면에서는, 평활 커패시터(C)로 하나의 소자를 예시하나, 복수개가 구비되어, 소자 안정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컨버터(410)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것으로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류 전원이 바로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태양 전지로부터의 직류 전원이 평활 커패시터(C)에 바로 입력되거나 직류/직류 변환되어 입력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부분을 위주로 기술한다.
한편, 평활 커패시터(C) 양단은, 직류 전원이 저장되므로, 이를 dc 단 또는 dc 링크단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
dc 단 전압 검출부(B)는 평활 커패시터(C)의 양단인 dc 단 전압(Vdc)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dc 단 전압 검출부(B)는 저항 소자,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되는 dc 단 전압(Vdc)은,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입력될 수 있다.
인버터(420)는, 복수개의 인버터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평활된 직류 전원(Vdc)을 소정 주파수의 삼상 교류 전원(va,vb,vc)으로 변환하여, 삼상 동기 모터(230)에 출력할 수 있다.
인버터(420)는,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Sa,Sb,Sc) 및 하암 스위칭 소자(S'a,S'b,S'c)가 한 쌍이 되며, 총 세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Sa&S'a,Sb&S'b,Sc&S'c)로 연결된다. 각 스위칭 소자(Sa,S'a,Sb,S'b,Sc,S'c)에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연결된다.
인버터(420) 내의 스위칭 소자들은 인버터 제어부(430)로부터의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에 기초하여 각 스위칭 소자들의 온/오프 동작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소정 주파수를 갖는 삼상 교류 전원이 삼상 동기 모터(230)에 출력되게 된다.
인버터 제어부(430)는, 센서리스 방식을 기반으로, 인버터(4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버터 제어부(430)는, 출력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되는 출력전류(io)와, 출력전압 검출부(F)에서 검출되는 출력전압(vo)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인버터 제어부(430)는, 인버터(4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를 인버터(420)에 출력한다.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는 펄스폭 변조 방식(PWM)의 스위칭 제어신호로서, 출력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되는 출력전류(io)와, 출력전압 검출부(F)에서 검출되는 출력전압(vo)을 기초로 생성되어 출력된다. 인버터 제어부(430) 내의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의 출력에 대한 상세 동작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인버터(420)와 삼상 모터(230) 사이에 흐르는 출력전류(io)를 검출한다. 즉, 모터(23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각 상의 출력 전류(ia,ib,ic)를 모두 검출할 수 있으며, 또는 삼상 평형을 이용하여 두 상의 출력 전류를 검출할 수도 있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인버터(420)와 모터(2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류 검출을 위해,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션트 저항이 사용되는 경우, 3개의 션트 저항이, 인버터(420)와 동기 모터(230) 사이에 위치하거나, 인버터(420)의 3개의 하암 스위칭 소자(S'a,S'b,S'c)에 일단이 각각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삼상 평형을 이용하여, 2개의 션트 저항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1개의 션트 저항이 사용되는 경우, 상술한 커패시터(C)와 인버터(420) 사이에서 해당 션트 저항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검출된 출력전류(io)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인가될 수 있으며, 검출된 출력전류(io)에 기초하여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가 생성된다. 이하에서는 검출된 출력전류(io)가 삼상의 출력 전류(ia,ib,ic)인 것으로 병행하여 기술할 수도 있다.
한편, 삼상 모터(230)는, 고정자(stator)와 회전자(rotar)를 구비하며, 각상(a,b,c 상)의 고정자의 코일에 소정 주파수의 각상 교류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자가 회전을 하게 된다.
이러한 모터(230)는, 예를 들어, 표면 부착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Surface-Mounted Permanent-Magnet Synchronous Motor; SMPMSM),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IPMSM), 및 동기 릴럭턴스 전동기(Synchronous Reluctance Motor; Synr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SMPMSM과 IPMSM은 영구자석을 적용한 동기 전동기(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PMSM)이며, Synrm은 영구자석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컨버터(410)가 스위치 소자를 구비하는 경우, 컨버터(410) 내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버터 제어부(430)는, 입력 전류 검출부(A)에서 검출되는 입력 전류(is)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인버터 제어부(430)는, 컨버터(41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컨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cc)를 컨버터(41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컨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cc)는 펄스폭 변조(PWM) 방식의 스위칭 제어신호로서, 입력 전류 검출부(A)로부터 검출되는 입력 전류(is)를 기초로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인버터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인버터 제어부(430)는, 축변환부(510), 속도 연산부(520), 전류 지령 생성부(530), 전압 지령 생성부(540), 축변환부(550), 및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축변환부(510)는, 출력 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된 출력 전류(ia,ib,ic)를 입력받아,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 및 회전좌표계의 2상 전류(id,iq)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축변환부(510)는, 변환된,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와 정지좌표계의 2상 전압(vα,vβ)와, 회전좌표계의 2상 전류(id,iq)와 회전좌표계의 2상 전압(vd,vq)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속도 연산부(520)는, 축변환부(510)로부터, 축변환된,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와 정지좌표계의 2상 전압(vα,vβ)을 입력받아, 모터(230)의 회전자 위치(θ)와, 속도(ω)를 연산할 수 있다.
한편, 전류 지령 생성부(530)는, 연산 속도(
Figure 112017036855010-pat00001
)와 속도 지령치(ω* r)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i* q)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류 지령 생성부(530)는, 연산 속도(
Figure 112017036855010-pat00002
)와 속도 지령치(ω* r)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535)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전류 지령치(i* q)를 생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전류 지령치로, q축 전류 지령치(i* q)를 예시하나, 도면과 달리, d축 전류 지령치(i* d)를 함께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d축 전류 지령치(i* d)의 값은 0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전류 지령 생성부(530)는, 전류 지령치(i* q)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다음,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축변환부에서 2상 회전 좌표계로 축변환된 d축, q축 전류(id,iq)와, 전류 지령 생성부(530) 등에서의 전류 지령치(i* d,i* q)에 기초하여,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q축 전류(iq)와, q축 전류 지령치(i* q)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544)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q축 전압 지령치(v* q)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d축 전류(id)와, d축 전류 지령치(i* d)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548)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d축 전압 지령치(v* d)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d축 전압 지령치(v* d)의 값은, d축 전류 지령치(i* d)의 값은 0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0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d 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생성된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는, 축변환부(550)에 입력될 수 있다.
축변환부(550)는, 속도 연산부(520)에서 연산 위치(
Figure 112017036855010-pat00003
)와,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를 입력받아, 축변환을 수행한다.
먼저, 축변환부(550)는, 2상 회전 좌표계에서 2상 정지 좌표계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때, 속도 연산부(520)에서 연산 위치(
Figure 112017036855010-pat00004
)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축변환부(550)는, 2상 정지 좌표계에서 3상 정지 좌표계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변환을 통해, 축변환부(1050)는, 3상 출력 전압 지령치(v*a,v*b,v*c)를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부(560)는, 3상 출력 전압 지령치(v*a,v*b,v*c)에 기초하여 펄스폭 변조(PWM) 방식에 따른 인버터용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출력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는, 게이트 구동부(미도시)에서 게이트 구동 신호로 변환되어,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입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들(Sa,S'a,Sb,S'b,Sc,S'c)이 스위칭 동작을 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도 4의 히팅부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7a는, 제2 건조 모드인 노말 건조 모드에서의, 히팅부(175)의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210)는, 제2 건조 모드인 경우, Pa 기간 동안 히팅부(175)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Px)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1 파워 출력 이후, Pb 기간 동안 히팅부(175)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Px) 보다 낮은 제2 파워(Py)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2 파워 출력 이후, Pc 기간 동안 다시 히팅부(175)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Px)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Pc 기간 이후, Pd 기간 동안, 다시 히팅부(175)가 연속적으로 제2 파워(Py)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Pd 기간 이후, 히팅부(175)의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건조 모드는, 세탁조(120) 내의 포량 감지를 통해, 포량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탁조(120) 내의 포량이 작으므로, 전력 소비가 작게 소비되며, 건조 기간도 짧아지게 된다.
다음, 도 7b는, 제1 건조 모드인 에코 건조 모드에서의, 히팅부(175)의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건조 모드인 에코 건조 모드에서, 제어부(210)는, Pa1 기간 동안, 프리 히팅 기간으로서, 히팅부(175)가 간헐적으로 제2 파워(Py)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이후, 제어부(210)는, Pb1 기간 동안, 히팅부(175)가 연속적으로 제2 파워(Py)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Pc1 기간 동안, 히팅부(175)가 연속적으로 제2 파워(Py) 보다 높은 제1 파워(Px)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건조 모드인 에코 건조 모드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제1 건조 모드인 에코 건조 모드는, 포량이 소정치 초과인 경우, 전력 소비량을 줄이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해, 도 7b와 같이, 제1 건조 모드인 에코 건조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전력 소비는 저감되나, 건조 기간이 증가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특히, 도 7a의 건조 기간에 비해, 대략 30% 내지 50%가 증가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건조 기간을 단축하면서, 전력 소비는 저감되는, 에코 건조 모드를 제안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8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9 내지 도 11b는 도 8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제어부(210)는, 제1 건조 모드인 에코 건조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10).
제1 건조 모드인 에코 건조 모드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제1 건조 모드인 에코 건조 모드는, 포량 감지 이후, 포량이 소정치 초과인 경우, 소비 전력 저감을 위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제어부(210)는, 감지되는 포량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소비 전력을 저감할 필요가 없으므로, 신속한 건조를 위해, 제2 건조 모드인 노말 건조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건조 모드인 노말 건조 모드는, 도 7a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9는 제2 건조 모드인 노말 건조 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210)는, 제2 건조 모드인 경우, 제4 기간 동안 히팅부(175)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S810), 제1 파워 출력 이후, 제5 기간 동안 히팅부(175)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S820), 제2 파워 출력 이후, 제6 기간 동안 다시 히팅부(175)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830). 이에 따라,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제어부(210)는, 제1 건조 모드 수행을 위해, 블로워(185)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S713).
도 10a 내지 도 10f는, P0 기간 동안, 히팅부(175)는 동작시키지 않고, 블로워(195)만 동작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경우를, 에어 드라잉(air drying), 에어 건조라 명명할 수 있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제어부(210)는, P0 기간 동안, 세탁조(120) 내의 포풀림을 위해, 세탁조(120)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제어부(210)는, 블로워(185) 동작 이후 제1 기간(P1) 동안, 히팅부(175)가 간헐적으로 제1 파워(Px)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히팅부(175)의 동작 시간이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715).
도 10a 내지 도 10f는, P1 기간 동안, 블로워(195)와 히팅부(175)를 동작시키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도 10a 내지 도 10f는, P1 기간 동안, 제1 기간(P1) 동안, 히팅부(175)가 간헐적으로 제1 파워(Px)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히팅부(175)의 동작 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예시한다.
제1 기간(P1)은, 프리 히팅 기간으로서, 복수의 구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f는, 제1 기간(P1)이, 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P1a~P1c)을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제어부(210)는, 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P1a~P1c) 동안, 히팅부(175)의 온 및 오프가 반복되도록 제어하며, 특히, 제1 구간에서 제3 구간(P1a~P1c)으로 갈수록, 히팅부(175)의 온 기간이,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간(P1a) 동안, 히팅부(175)는, 4초 온, 66초 오프가, 수회 반복 될 수 있다.
한편, 제2 구간(P1b) 동안, 히팅부(175)는, 9초 온, 61초 오프가, 수회 반복될 수 있다.
한편, 제3 구간(P1c) 동안, 히팅부(175)는, 14초 온, 56초 오프가, 수회 반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기간(P1) 동안, 히팅부(175)의 온과 오프 중 온 기간이 순차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즉, 제어부(210)는, 제1 건조 모드인 경우, 제1 기간(P1) 동안, 히팅부(175)의 온과 오프 중 온 기간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210)는, 제1 건조 모드인 상태에서, 제1 기간(P1) 이후, 온도 감지부(189)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제1 기준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720), 해당하는 경우, 제2 기간(P2) 동안, 히팅부(175)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Px)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725).
도 10a는, 제1 기간(P1) 이후, 온도 감지부(189)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제1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제2 기간(P2) 동안, 히팅부(175)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Px)를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의, 제2 기간(P2)은, 메인 히팅 기간으로서, 세탁조(120)로부터의 배기 온도가 낮은 경우, 신속한 건조를 위해, 히팅부(175)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Px)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제1 기간(P1) 및 제2 기간(P2) 동안, 제1 히터(HT1)와 제2 히터(HT2)가 모두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720 단계(S720)에서, 온도 감지부(189)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제1 기준치 초과인 경우, 제어부(210)는, 프리 히팅 기간인, 제1 기간(P1) 동안, 세탁조(120) 내의 포의 건조가 상당 부분 수행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제어부(210)는, 제2 기간(P2) 동안, 히팅부(175)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Px) 보다 낮은 제2 파워(Py)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727).
도 10b는, 제1 기간(P1) 이후, 온도 감지부(189)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제1 기준치 초과인 경우, 제2 기간(P2b) 동안, 히팅부(175)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Px) 보다 낮은 제2 파워(Py)를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제어부(210)는, 제1 기간(P1) 동안, 제1 히터(HT1)와 제2 히터(HT2)가 모두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제2 기간(P2b) 동안, 제1 히터(HT1)와 제2 히터(HT2) 중 어느 하나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10)는, 제2 기간(P2 또는 P2b) 동안 히팅부(175)가 지속적으로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210)는, 제2 기간(P2 또는 P2b) 이후, 세탁조(120)의 습도가 제1 기준 습도 이하이며(S730), 제1 건조 모드의 동작 시간이 제2 기준치 이내인 경우(S735), 히팅부(175)가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740).
제어부(210)는, 습도 감지부(191)로부터 감지되는 습도가 제1 기준 습도 이하인 경우, 건조가 잘 수행된 것으로 판단하며, 제1 건조 모드의 동작 시간이 제2 기준치 이내인 경우, 시간 내에 건조가 잘 수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10)는, 히팅부(175)가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블로워((185)는 계속 동작할 수 있다.
결국, 메인 히팅 기간에 의한 잔열에 의해, 건조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210)는, 도 10c의 P4 기간 동안, 세탁조(120)의 습도가 제1 기준 습도 이하인지 여부와, 제1 건조 모드의 동작 시간이 제2 기준치 이내인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210)는, 도 10c와 같이, Pe 기간 동안, 히팅부(175)가 오프되고, 블로워(185)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제1 건조 모드인 상태에서, 히팅부(175) 오프 이후, 세탁조(120)의 습도가 제1 기준 습도 보다 낮은 제2 기준 습도 이하인 경우(S745), 블로워(185)를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750).
제어부(210)는, 세탁조(120)의 습도가 제1 기준 습도 보다 낮은 제2 기준 습도 이하인 경우, 건조가 모두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블로워(185)를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10)는, 도 10c의 Pe 기간 이후, 블로워(185)를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의하면, 빠른 기간 내에, 전력 소비를 저감하면서, 에코 건조 모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210)는, 도 10a와 같이, 제2 기간(P2) 동안, 히팅부(175)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Px)를 출력하고, 제2 기간(P2) 동안, 세탁조(120)의 습도가 제1 기준 습도 이하이며, 제1 건조 모드의 동작 시간이 제2 기준치 이내인 경우, Pe 기간 동안, 히팅부(175)가 오프되고, 블로워(185)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세탁조(120)의 습도가 제1 기준 습도 보다 낮은 제2 기준 습도 이하인 경우, Pe 기간 이후, 블로워(185)를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도 10b와 같이, 제2 기간(P2b) 동안, 히팅부(175)가 연속적으로 제2 파워(Py)를 출력하고, 제2 기간(P2b) 동안, 세탁조(120)의 습도가 제1 기준 습도 이하이며, 제1 건조 모드의 동작 시간이 제2 기준치 이내인 경우, Pe 기간 동안, 히팅부(175)가 오프되고, 블로워(185)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세탁조(120)의 습도가 제1 기준 습도 보다 낮은 제2 기준 습도 이하인 경우, Pe 기간 이후, 블로워(185)를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도 10c와 같이, 제2 기간(P2) 이후, 제3 기간(P3) 동안, 히팅부(175)가 제1 파워(Px)와 제2 파워(Py)를 교번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제3 기간(P3) 이후 제4 기간(P4) 동안, 히팅부(175)가 제1 파워(Px)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도 10c와 같이, 제4 기간(P4) 동안, 세탁조(120)의 습도가 제1 기준 습도 이하이며, 제1 건조 모드의 동작 시간이 제2 기준치 이내인 경우, Pe 기간 동안, 히팅부(175)가 오프되고, 블로워(185)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세탁조(120)의 습도가 제1 기준 습도 보다 낮은 제2 기준 습도 이하인 경우, Pe 기간 이후, 블로워(185)를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도 10d와 같이, 제2 파워(Py)를 연속 출력하는 제2 기간(P2b) 이후, 제3 기간(P3) 동안, 히팅부(175)가 제1 파워(Px)와 제2 파워(Py)를 교번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제3 기간(P3) 이후 제4 기간(P4) 동안, 히팅부(175)가 제1 파워(Px)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도 10d와 같이, 제4 기간(P4) 동안, 세탁조(120)의 습도가 제1 기준 습도 이하이며, 제1 건조 모드의 동작 시간이 제2 기준치 이내인 경우, Pe 기간 동안, 히팅부(175)가 오프되고, 블로워(185)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세탁조(120)의 습도가 제1 기준 습도 보다 낮은 제2 기준 습도 이하인 경우, Pe 기간 이후, 블로워(185)를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도 10e와 같이, 제2 파워(Px)를 연속 출력하는 제2 기간(P2ma) 동안, 세탁조(120)의 습도가 제1 기준 습도 이하이며, 제1 건조 모드의 동작 시간이 제2 기준치 이내인 경우, Pe 기간 동안, 히팅부(175)가 오프되고, 블로워(185)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세탁조(120)의 습도가 제1 기준 습도 보다 낮은 제2 기준 습도 이하인 경우, Pe 기간 이후, 블로워(185)를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도 10f와 같이, 제2 파워(Py)를 연속 출력하는 제2 기간(P2b) 이후, 제4 기간(P4b) 동안, 히팅부(175)가 제1 파워(Px)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도 10f와 같이, 제4 기간(P4b) 동안, 세탁조(120)의 습도가 제1 기준 습도 이하이며, 제1 건조 모드의 동작 시간이 제2 기준치 이내인 경우, Pe 기간 동안, 히팅부(175)가 오프되고, 블로워(185)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세탁조(120)의 습도가 제1 기준 습도 보다 낮은 제2 기준 습도 이하인 경우, Pe 기간 이후, 블로워(185)를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제1 건조 모드의 경우, 세탁조(120) 내의 포량에 비례하여, 제1 기간(P1)과 제2 기간(P2 또는 P2b)이,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제1 건조 모드인 상태에서, 제1 기간(P1) 중 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P1a~P1c) 동안, 히팅부(175)의 온 기간이, 세탁조(120) 내의 포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a 내지 도 11b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11a는 포량이 작은 경우 제1 건조 모드가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며, 도 11b는 도 11a 보다 포량이 많은 경우 제2 건조 모드가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1a의 (a)와 같이, P0 기간 동안, 세탁조(120) 내의 포(1020)를 분산하도록, 포풀림이 수행되며, 히팅부(175)의 동작 없이 블로워(185)만 동작할 수 있다.
다음, 도 11a의 (b)와 같이, P1 기간 중 히팅부(175)와 블로워(185)가 동작하여, 온풍(HWD)이 세탁조(120) 내에 공급될 수 있다.
다음, 도 11a의 (c)와 같이, P1 기간 중 히팅부(175)는 오프되고, 블로워(185)만 동작하여, 냉풍(CWD)이 세탁조(120) 내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11b의 (a)와 같이, P0 기간 동안, 세탁조(120) 내의 포(1030)를 분산하도록, 포풀림이 수행되며, 히팅부(175)의 동작 없이 블로워(185)만 동작할 수 있다.
다음, 도 11b의 (b)와 같이, P1 기간 중 히팅부(175)와 블로워(185)가 동작하여, 온풍(HWD)이 세탁조(120) 내에 공급될 수 있다.
다음, 도 11b의 (c)와 같이, P1 기간 중 히팅부(175)는 오프되고, 블로워(185)만 동작하여, 냉풍(CWD)이 세탁조(120) 내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11b의 포(1030)의 포량이 더 많으므로, P1 기간 중 히팅부(175)의 온 기간이, 도 11a에 비해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P1 기간 중 히팅부(175)가 오프되는 기간은 더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힌편, 도 11b의 포(1030)의 포량이 더 많으므로, P1 기간 자체가, 도 11a에 비해 더 긴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포량에 대응하여, 건조 기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1b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방법은, 포가 상부 방향으로 세탁조 내로 삽입되는 탑 로드(top load) 방식의 세탁물 처리기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방법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5)

  1.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부착되어 개폐되는 도어;
    상기 케이싱 내의 세탁조;
    히팅부;
    상기 세탁조로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
    상기 세탁조의 배기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
    제1 건조 모드인 경우, 상기 블로워를 동작시키고, 상기 블로워 동작 이후 제1 기간 동안, 상기 히팅부가 간헐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히팅부의 동작 시간이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간은, 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건조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 동안, 상기 히팅부의 온, 오프가 반복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구간에서 상기 제3 구간으로 갈수록, 상기 히팅부의 온 기간이 증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건조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제1 기간 이후,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제1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제2 기간 동안, 상기 히팅부가 연속적으로 온 되며, 상기 제1 기간 보다 낮은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건조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제2 기간 이후, 제3 기간 동안, 상기 히팅부가 제1 파워와, 상기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를 교번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3 기간 이후 제4 기간 동안, 상기 히팅부가 상기 제1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제1 히터와 제2 히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1 히터와 상기 제2 히터가 모두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1 히터와 상기 제2 히터 중 어느 하나만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건조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제2 기간 이후, 제3 기간 동안, 상기 히팅부가 제1 파워와 상기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를 교번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3 기간 이후 제4 기간 동안, 상기 히팅부가 상기 제1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건조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세탁조의 습도가 제1 기준 습도 이하이며, 상기 제1 건조 모드의 동작 시간이 제2 기준치 이내인 경우, 상기 히팅부가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건조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히팅부 오프 이후, 상기 세탁조의 습도가 제1 기준 습도 보다 낮은 제2 기준 습도 이하인 경우, 상기 블로워를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건조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제1 기간 중 상기 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 동안, 상기 히팅부의 온 기간이, 상기 세탁조 내의 포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건조 모드의 경우, 상기 세탁조 내의 포량에 비례하여, 상기 제1 기간과 제2 기간이,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 건조 모드인 경우, 상기 히팅부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파워 출력 이후, 상기 히팅부가 연속적으로 상기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파워 출력 이후, 다시 상기 히팅부가 연속적으로 상기 제1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4.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부착되어 개폐되는 도어;
    상기 케이싱 내의 세탁조;
    히팅부;
    상기 세탁조로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
    상기 세탁조의 배기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
    제1 건조 모드인 경우, 제1 기간 동안, 상기 히팅부의 온 및 오프가 반복되며, 상기 히팅부의 온 구간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제2 기간 동안 상기 히팅부가 지속적으로 온 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1 기간 보다 낮은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간은 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건조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 동안, 상기 히팅부의 온, 오프가 반복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구간에서 상기 제3 구간으로 갈수록, 상기 히팅부의 온 기간이 증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건조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제1 기간 이후,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제1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제2 기간 동안, 상기 히팅부가 연속적으로 온 되며, 상기 제1 기간 보다 낮은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 건조 모드인 경우, 상기 히팅부가 연속적으로 제1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파워 출력 이후, 상기 히팅부가 연속적으로 상기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파워 출력 이후, 다시 상기 히팅부가 연속적으로 상기 제1 파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170048678A 2017-04-14 2017-04-14 세탁물 처리기기 KR102460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678A KR102460253B1 (ko) 2017-04-14 2017-04-14 세탁물 처리기기
US15/952,906 US10914033B2 (en) 2017-04-14 2018-04-13 Laundry treatment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678A KR102460253B1 (ko) 2017-04-14 2017-04-14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019A KR20180116019A (ko) 2018-10-24
KR102460253B1 true KR102460253B1 (ko) 2022-10-27

Family

ID=6379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678A KR102460253B1 (ko) 2017-04-14 2017-04-14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914033B2 (ko)
KR (1) KR1024602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323A (ko) * 2016-10-25 2018-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4039126A1 (en) * 2018-09-19 2022-08-10 LG Electronics Inc. Dryer
CN109671225A (zh) * 2019-02-26 2019-04-23 李国文 一种干衣机的自动预热及共享系统
US10907299B1 (en) * 2019-10-09 2021-02-02 Whirlpool Corporation Heater and control scheme for multi-compartment dryer
KR20210049577A (ko) * 2019-10-25 2021-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062210A (ko) * 2019-11-21 202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0980A (ja) * 2003-05-29 2004-12-16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衣類乾燥機
US20130298337A1 (en) 2012-02-06 2013-11-14 Youngjin DOH Control Method of Laundry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293B1 (ko) * 1990-10-16 1993-08-27 주식회사 주한산업 알미늄 제품 융가용접용 용접제의 제조방법
KR100700780B1 (ko) * 2004-11-12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겸용 세탁기 및 건조 겸용 세탁기의 세탁 제어 방법
US10351989B2 (en) * 2013-07-09 2019-07-16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with enhanced operation flexibility
KR101709493B1 (ko) * 2013-11-08 201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0980A (ja) * 2003-05-29 2004-12-16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衣類乾燥機
US20130298337A1 (en) 2012-02-06 2013-11-14 Youngjin DOH Control Method of Laundry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98548A1 (en) 2018-10-18
KR20180116019A (ko) 2018-10-24
US10914033B2 (en) 202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0253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756408B1 (ko) 배수펌프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
KR10150468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0518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
US9708744B2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JP6914607B2 (ja) モーター駆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洗濯物処理機器
EP2884655B1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JP6437279B2 (ja) モータ駆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洗濯物処理機器
KR10232596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756409B1 (ko) 배수펌프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
US20210317834A1 (en) Drain pump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US10291170B2 (en) Motor driving devi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422903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539460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20210285143A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232596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543582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663388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96903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200005383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90063253A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US20210234494A1 (en) Drain pump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20200140586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24103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200091109A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