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110B1 -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 및 이의 바디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 및 이의 바디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110B1
KR102460110B1 KR1020200083296A KR20200083296A KR102460110B1 KR 102460110 B1 KR102460110 B1 KR 102460110B1 KR 1020200083296 A KR1020200083296 A KR 1020200083296A KR 20200083296 A KR20200083296 A KR 20200083296A KR 102460110 B1 KR102460110 B1 KR 102460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eposition layer
smart key
radio wave
microcra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5747A (ko
Inventor
김병삼
안종준
천재경
Original Assignee
(주)쓰리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쓰리나인 filed Critical (주)쓰리나인
Priority to KR1020200083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1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23C14/024Deposition of sublayers, e.g. to promote adhesion of th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4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58After-treatment
    • C23C14/5806Thermal trea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20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keyless data carrier being hand oper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 및 이의 바디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키의 전파 투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 및 이의 바디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의 하부 외형을 형성하며 하부 몸체를 이루는 하부바디부; 상기 스마트키의 상부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바디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바디부; 및 상기 하부바디부 및 상기 상부바디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기판부; 상기 상부바디부에 형성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바디부 및 상기 하부바디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미세크랙이 형성된 증착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 및 이의 바디부의 제조방법{SMART KEY WITH EXCELLENT RADIO WAVE PERME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ODY PART THEREOF}
본 발명은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 및 이의 바디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키의 전파 투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 및 이의 바디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다양한 위치에 센서를 적용하여 사용 중에 있다. 일 예로, 자동차에 장착되는 센서는 차량의 전방이나 후방에 있는 물체와의 거리 정보를 수집하거나, 차량에 인접한 스마트키를 인식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특히, 최근 스마트폰과 자동차 간의 근거리무선통신(NFC)과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활용해 스마트폰을 자동차 스마트키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스마트키는 운전자가 도어에 접근하면 잠금이 자동적으로 해제되어 별도의 키를 삽입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도어를 열 수 있고, 차량에 탑승 후에도 시동키 홈에 시동키를 삽입하는 과정 없이도 시동 스위치를 작동하여 시동을 걸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스마트키에 내장되는 센서는 전파를 송신한 후, 송신된 전파가 대상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전파를 통해 대상 물체를 인식하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스마트키의 내부에 센서가 마련됨에 따라, 센서가 송신한 전파가 센서를 둘러싼 스마트키 바디의 금속에 의해 차단되어 인식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고급스러운 심미감을 느끼기 위해 스마트키의 외부에 크롬을 도금하여 표면처리를 하는데, 크롬으로 도금할 경우, 크롬 도금에 전기가 통하여 전파가 투과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1차로 도금 처리를 하고 2차로 도장품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조방법은 공정을 길고 복잡하게 하여 제조 비용을 상승시켰고, 디자인의 일체감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유발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3-019224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키의 전파 투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 및 이의 바디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의 하부 외형을 형성하며 하부 몸체를 이루는 하부바디부; 상기 스마트키의 상부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바디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바디부; 및 상기 하부바디부 및 상기 상부바디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기판부; 상기 상부바디부에 형성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바디부 및 상기 하부바디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미세크랙이 형성된 증착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부는, 소재층; 상기 소재층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의 일측면에 크롬(Cr)을 증착하여 형성된 상기 증착층; 및 상기 증착층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클리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은, 경질 금속인 크롬으로 이루어져 상기 소재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과의 수축율 차이로 인해 미세크랙이 형성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은, 상기 프라이머층의 일측면에 상기 크롬을 진공 증착한 후 건조하여 형성되며, 상기 건조 과정에 의해 상대적으로 연질 소재인 상기 소재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수축 활동이 증가되어, 상기 증착층에 형성된 미세크랙이 증가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에는, 상기 레이저 타공 방식에 의해 복수개의 미세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부는, 상기 상부바디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외형을 형성하는 하부바디몸체; 및 상기 하부바디몸체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홈 형태로 마련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부는, 소재층; 상기 소재층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의 일측면에 크롬(Cr)을 증착하여 형성된 상기 증착층; 및 상기 증착층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클리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부 및 상기 버튼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복수개의 미세홀이 형성된 증착층을 갖도록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의 바디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소재층의 일측면에 상기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b) 형성된 상기 프라이머층의 일측면에 상기 크롬(Cr)을 진공 증착하여 상기 증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증착층에 미세크랙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소재층, 프라이머층 및 상기 증착층을 건조시켜 상기 증착층에 형성된 미세크랙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d) 미세크랙이 형성된 상기 증착층에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의 바디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증착층은 경질 금속인 크롬으로 이루어져 상기 소재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과의 수축율 차이로 인해 미세크랙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증착층은 75도 내지 85도의 온도로 건조되며, 상기 건조 과정에 의해 상대적으로 연질 소재인 상기 소재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수축 활동이 증가됨으로써, 상기 증착층에 형성된 미세크랙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미세홀은 레이저 타공 방식으로 형성되며, 균일한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경질의 금속소재인 크롬으로 형성된 증착층과, 상대적으로 연질 소재인 프라이머층 및 소재층과의 수축율 차이를 통해 증착층 표면에 1차 미세크랙을 유발함으로써, 전파 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착층을 형성한 후, 건조 공정을 수행하여 프라이머층 및 소재층의 수축활동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미세크랙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미세크랙이 증가함에 따라 전파 투과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 타공방식으로 미세홀을 형성함으로써, 소재의 형상이나 두께에 의해 미세크랙의 편차가 생겨도 안정적으로 전파 투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바디부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의 바디부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종래예에 따른 알루미늄의 증착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착층의 미세크랙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착층의 미세크랙 및 미세홀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바디부의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100)는 하부바디부(110), 상부바디부(120), 기판부(130) 및 버튼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바디부(110)는 상기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100)의 외형을 형성하며, 하부 몸체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바디부(110)는 하부바디몸체(111) 및 안착홈(11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바디몸체(111)는 상기 상부바디부(1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바디부(120)와 함께 상기 스마트키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112)은 상기 하부바디몸체(11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부(1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단차가 있는 홈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부(120)는 상기 스마트키의 상부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바디부(1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하부바디부(110) 및 상기 상부바디부(120)에 의해 상기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100)의 전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100)의 전체 외형은 일반적인 스마트키의 외형으로 내부에 상기 기판부(130)가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형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부(120)는 소재층(121), 프라이머층(미도시), 증착층(122), 미세홀(123) 및 클리어층(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재층(121)은 상기 상부바디부(120)의 외형을 형성하며, 플라스틱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소재층(121)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소재층(121)의 일측면을 프라이머 도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라이머층은 폴리머 수지를 포함하여, 상기 소재층(121)과 상기 증착층(122) 간 접착력을 향상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폴리머 수지, 용제, 및 기타 첨가제를 혼합한 다음, 그 혼합물로 도장(painting), 디핑(dipping), 또는 스프레이(spray)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착층(122)은 상기 프라이머층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금속을 진공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착층(122)은 상기 소재층(121) 및 상기 프라이머층에 비해 높은 경질을 갖는 금속인 크롬(Cr)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증착층(122)은 상기 소재층(121) 및 상기 프라이머층과의 수축율 차이로 인해 미세크랙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착층(122)은 상기 프라이머층의 일측면에 진공 증착한 후, 건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 과정에 의해 상기 증착층(122)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질 소재인 상기 소재층(121)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수축 활동이 증가되며, 상기 증착층(122)에 형성된 미세크랙이 증가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증착층(122)에 미세크랙이 형성되면, 상기 증착층(122)을 이루는 주상결정 간 결합이 끊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증착층(122)의 결정은 섬 형태로 구현된다. 이처럼, 미세크랙이 형성되어 섬 구조와 같은 결정을 갖게되는 증착층(122)은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전류가 전파의 흐름을 차단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착층(122)은 형성된 미세크랙을 통해 전파가 투과되도록 함으로써, 전파 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착층(122)에는 레이저 타공 방식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미세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세홀(123)은 액체의 투과를 방지함과 동시에 전파의 투과가 가능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홀을 지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착층(122)에 형성된 미세크랙들은 상기 증착층(122)과 상기 프라이머층 및 상기 소재층과의 수축율 차이로 인해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위치에 따른 편차가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증착층(122)에 미세크랙만 형성할 경우, 전파 투과율이 항상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을 초과하지 않을 수 있으며, 위치에 따른 편차로 인해, 각도에 따른 인식률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증착층(122)에 정해진 패턴의 미세홀(123)을 형성할 경우, 미세크랙의 편중에 상관없이 항상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전파 투과율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클리어층(124)은 상기 증착층(12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증착층(122)을 보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리어층(124)은 산화크로뮴(CrOx)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증착층(122)이 수분과 접촉하여 산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클리어층(124)은 상기 증착층(122)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클리어층(124)은 물리 기상 증착법 또는 화학 기상 증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리어층(124)의 두께는 5 내지 40nm이다. 상기 클리어층(124)의 두께가 5nm 미만이면, 상기 클리어층(124)은 상기 증착층(122)을 수분이나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어렵다. 상기 클리어층(124)의 두께가 40nm를 초과하면, 상기 증착층(122)의 전파 투과성이 나빠질 수 있다.
상기 기판부(130)는 상기 하부바디부(110) 및 상기 상부바디부(120)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바디부(110)의 상기 안착홈(112)에 안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판부(130)는 상기 안테나모듈(131) 및 상기 센서모듈(132)을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모듈(131)은 상기 기판부(130)의 몸체에 형성되며, 전파를 송수신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모듈(131)에 의해 송수신되는 전파는 상기 미세크랙과 상기 미세홀(123)을 통해 송수신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132)은 상기 안테나모듈(131)와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안테나모듈(131)에 의해 송수신된 전파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위치, 종류 등의 정보를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일 예로, 차량의 위치 및 거리 등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판부(130)의 NFC통신 주파수는 10~30MHz이고, RF통신 주파수는 420 내지 440MHz이다.
그리고, 상기 기판부(130)의 통신시 상기 증착층(122)의 미세 크랙에 의해 투과계수 S21의 손실이 1dB 이하가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미세크랙 및 미세홀은 상기 NFC 통신 주파수 및 상기 RF 통신 주파수 대역의 투과가 투과계수 S21의 손실이 1dB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100)는 최적화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적화모듈은 대상체의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여 차량의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최적화모듈은 대상체의 정보를 통해 탑승자를 인식하고, 탑승자에 따라 기설정된 룸미러, 사이드미러, 운전석 및 운전대의 위치 등을 조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에 등록된 키가 A와 B가 있을 경우, A와 B는 각각 다른 주파수 신호를 발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적화모듈은 키 A가 차량 근처에 온 경우, 이의 주파수를 수신하여 키 A에 대응되는 탑승자에 따라 기설정된 룸미러, 사이드미러, 운전석 및 운전대의 위치 등을 조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키 B가 차량 근처에 온 경우, 이의 주파수를 수신하여 키 B에 대응되는 탑승자에 따라 기설정된 룸미러, 사이드미러, 운전석 및 운전대의 위치 등을 조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40)는 상기 상부바디부(120)에 차량의 도어락, 트렁크 개폐, 경보음 설정 등을 조작할 수 있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바디부(110) 및 상기 버튼부(140)는 상기 상부바디부(120)와 같이 복수개의 미세홀이 형성된 상기 증착층을 갖도록 더 형성되어 전파 투과성을 더 향상시키도록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하부바디부(110)도 전술한 소재층, 프라이머층(미도시), 증착층, 미세홀 및 클리어층을 포함하여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전파투과가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마련된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100)의 바디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상기 상부바디부(120)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상기 하부바디부(110) 및 상기 버튼부(140)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의 바디부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상부바디부(120)의 제조방법은 먼저, 소재층의 일측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S10)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재층(121)은 상기 상부바디부(120)의 외형을 형성하며, 플라스틱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소재층(121)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소재층(121)의 일측면을 프라이머 도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라이머층은 폴리머 수지를 포함하여, 상기 소재층(121)과 상기 증착층(122) 간 접착력을 향상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폴리머 수지, 용제, 및 기타 첨가제를 혼합한 다음, 그 혼합물로 도장(painting), 디핑(dipping), 또는 스프레이(spray)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소재층의 일측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S10) 이후에는, 형성된 프라이머층의 일측면에 크롬(Cr)을 진공 증착하여 증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증착층에 미세크랙을 형성하는 단계(S20)를 수행할 수 있다.
형성된 프라이머층의 일측면에 크롬(Cr)을 진공 증착하여 증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증착층에 미세크랙을 형성하는 단계(S20)에서, 상기 증착층(122)은 경질 금속인 크롬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증착층(122)에는 상기 소재층(121) 및 상기 프라이머층과의 수축율 차이로 인해 미세크랙이 유발될 수 있다.
형성된 프라이머층의 일측면에 크롬(Cr)을 진공 증착하여 증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증착층에 미세크랙을 형성하는 단계(S20) 이후에는, 소재층, 프라이머층 및 증착층을 건조시켜 증착층에 형성된 미세크랙을 증가시키는 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다.
소재층, 프라이머층 및 증착층을 건조시켜 증착층에 형성된 미세크랙을 증가시키는 단계(S30)에서, 상기 증착층(122)은 75도 내지 85도의 온도로 건조되며, 상기 건조 과정에 의해 상기 증착층(122)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질 소재인 상기 소재층(121)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수축 활동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재층(121)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수축 활동이 증가됨에 따라, 수축율 차이가 증가하게 되어 상기 증착층에 형성된 미세크랙이 증가될 수 있다.
도 5는 종래예에 따른 알루미늄의 증착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알루미늄 증착층(1)은 미세크랙이 발생하지 않아, 도전성이 존재하여 전파 투과를 방해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착층의 미세크랙을 나타낸 사진이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증착층(122)은 상기 소재층(121) 및 상기 프라이머층에 비해 경질의 금속인 크롬을 진공 증착하여 형성하고, 건조 공정을 통해 수축율 차이를 증대시킴으로써, 미세크랙이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증착층(122)에 미세크랙이 형성되면, 상기 증착층(122)을 이루는 주상결정 간 결합이 끊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증착층(122)의 결정은 섬 형태로 구현된다. 이처럼, 미세크랙이 형성되어 섬 구조와 같은 결정을 갖게 되는 증착층(122)은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전류가 전파의 흐름을 차단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착층(122)은 형성된 미세크랙을 통해 전파가 투과되도록 함으로써, 전파 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소재층, 프라이머층 및 증착층을 건조시켜 증착층에 형성된 미세크랙을 증가시키는 단계(S30) 이후에는, 미세크랙이 형성된 증착층에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S40)를 수행할 수 있다.
미세크랙이 형성된 증착층에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S40)에서, 상기 미세홀(123)은 레이저 타공 방식으로 형성되며, 균일한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세홀(123)은 액체의 투과를 방지함과 동시에 전파의 투과가 가능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홀을 지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착층(122)에 형성된 미세크랙들은 상기 증착층(122)과 상기 프라이머층 및 상기 소재층과의 수축율 차이로 무작위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위치에 따른 편차가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증착층(122)에 미세크랙만 형성할 경우, 전파 투과율이 항상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을 초과하지 않을 수 있으며, 위치에 따른 편차로 인해, 각도에 따른 인식률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증착층(122)에 정해진 패턴의 미세홀(123)을 형성할 경우, 미세크랙의 편중에 상관없이 항상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전파 투과율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재층, 프라이머층 및 증착층을 건조시켜 증착층에 형성된 미세크랙을 증가시키는 단계(S30)와, 미세크랙이 형성된 증착층에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S40) 사이에는, 미세크랙의 분포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세크랙의 분포를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증착층(122)에 형성된 미세크랙을 스캔하고, 상기 미세크랙의 분포율을 분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세크랙의 분포를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증착층(122)의 위치에 따른 미세크랙의 양이 기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은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미세크랙의 분포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증착층(122)을 기설정된 크기의 격자구조로 구획화하고, 각 격자구조 내의 미세크랙 양을 분석함으로써, 미세크랙의 양이 부족한 격자구조를 도출할 수 있다.
이처럼 미세크랙 형성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 격자에는, 이후 미세크랙이 형성된 증착층에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S40)에서 미세홀(123)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미세크랙의 분포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면, 미세홀(123) 형성을 최소화하여 상기 증착층(122)의 내구성을 높임과 동시에, 원하는 전파 투과율을 갖는 증착층(122)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착층의 미세크랙 및 미세홀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이처럼 형성된 미세홀(123)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패턴을 갖도록 마련됨으로 전파 투과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크롬 금속이 증착되어 형성된 상기 증착층(122)은, 증착 초기에는 핵이 형성되고, 핵은 섬 구조로 성장한다. 그러나 크롬이 증착되는 과정에서, 섬들이 결합하며 하나의 육지 형태가 된다. 즉, 섬 구조가 사라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증착되는 크롬은 상기 소재층(121)의 수직방향으로 주상결정으로 성장한다. 인접한 주상결정들은 서로 결합하여 주상구조가 된다.
그리고, 상기 증착층(122)에 레이저 타공으로 미세홀(123)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증착층(122)을 이루는 주상결정 간 결합이 끊어진다. 이에 따라, 섬 구조가 구현된다. 상기 미세홀(123)이 형성된 증착층(122)은 섬 구조이므로 도전성이 없고, 전파를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미세홀(123)은, 규칙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증착층(122)의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접한 4개의 상기 미세홀(123)이 정사각형 단면을 이룰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미세홀(123)은 무작위로 타공된 것이 아니라, 사전 결정된 직경 및 미세홀(123)간 간격을 가진다.
미세크랙이 형성된 증착층에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S40) 이후에는, 상기 증착층의 일측면에 클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리어층(124)은 상기 증착층(12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증착층(122)을 보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리어층(124)은 산화크로뮴(CrOx)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증착층(122)이 수분과 접촉하여 산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클리어층(124)은 상기 증착층(122)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클리어층(124)은 물리 기상 증착법 또는 화학 기상 증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키의 형상이나 두께에 상관없이 상기 증착층(122)의 미세크랙을 유발하여, 전파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미세크랙의 편차가 생겨도 상기 미세홀(123)을 더 형성함으로써, 항상 안정적으로 기설정된 전파 투과율을 만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스마트키의 표면에 크롬을 도금할 경우, 통신이 불가능하거나 감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크롬을 증착한 후에 미세크랙을 형성할 경우, 전파 투과율이 향상되어 통신 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100)는 기설정된 거리 내에서 차량의 존재 여부를 식별하는 기술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
110: 하부바디부
111: 하부바디몸체
112: 안착홈
120: 상부바디부
121: 소재층
122: 증착층
123: 미세홀
124: 클리어층
130: 기판부
131: 안테나모듈
132: 센서모듈
140: 버튼부

Claims (12)

  1.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의 하부 외형을 형성하며 하부 몸체를 이루는 하부바디부;
    상기 스마트키의 상부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바디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바디부;
    상기 하부바디부 및 상기 상부바디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기판부;
    상기 상부바디부에 형성되는 버튼부; 및
    상기 스마트키의 정보를 확인하는 최적화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바디부 및 상기 하부바디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미세크랙이 형성되고 격자구조로 구획화된 증착층을 갖고,
    상기 기판부는, 상기 기판부의 몸체에 형성되며 전파를 송수신하도록 마련된 안테나모듈 및, 상기 안테나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모듈에 의해 송수신된 전파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와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증착층에는, 레이저 타공 방식에 의해 복수개의 미세홀이 형성되고,
    각 격자구조 내의 상기 미세크랙의 양이 분석됨으로써 상기 미세크랙 양이 기설정된 기준치에 비해 부족한 격자구조 내에만 상기 미세홀이 형성되며,
    상기 최적화모듈은, 상기 스마트키의 정보를 통해 탑승자를 인식하고, 상기 탑승자의 정보에 따라 차량에 설치된 룸미러, 사이드미러, 운전석 및 운전대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부는,
    소재층;
    상기 소재층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의 일측면에 크롬(Cr)을 증착하여 형성된 상기 증착층; 및
    상기 증착층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클리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은,
    경질 금속인 크롬으로 이루어져 상기 소재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과의 수축율 차이로 인해 미세크랙이 형성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은,
    상기 프라이머층의 일측면에 상기 크롬을 진공 증착한 후 건조하여 형성되며,
    상기 건조 과정에 의해 상대적으로 연질 소재인 상기 소재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수축 활동이 증가되어, 상기 증착층에 형성된 미세크랙이 증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부는,
    상기 상부바디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외형을 형성하는 하부바디몸체; 및
    상기 하부바디몸체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홈 형태로 마련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부는,
    소재층;
    상기 소재층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의 일측면에 크롬(Cr)을 증착하여 형성된 상기 증착층; 및
    상기 증착층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클리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부 및 상기 버튼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복수개의 미세홀이 형성된 증착층을 갖도록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
  9. 제 2 항 또는 제7항에 따른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의 바디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소재층의 일측면에 상기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b) 형성된 상기 프라이머층의 일측면에 상기 크롬(Cr)을 진공 증착하여 상기 증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증착층에 미세크랙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소재층, 프라이머층 및 상기 증착층을 건조시켜 상기 증착층에 형성된 미세크랙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d) 미세크랙이 형성된 상기 증착층에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의 바디부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증착층은 경질 금속인 크롬으로 이루어져 상기 소재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과의 수축율 차이로 인해 미세크랙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의 바디부의 제조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증착층은 75도 내지 85도의 온도로 건조되며,
    상기 건조 과정에 의해 상대적으로 연질 소재인 상기 소재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수축 활동이 증가됨으로써, 상기 증착층에 형성된 미세크랙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의 바디부의 제조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미세홀은 레이저 타공 방식으로 형성되며, 균일한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의 바디부의 제조방법.
KR1020200083296A 2020-07-07 2020-07-07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 및 이의 바디부의 제조방법 KR102460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296A KR102460110B1 (ko) 2020-07-07 2020-07-07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 및 이의 바디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296A KR102460110B1 (ko) 2020-07-07 2020-07-07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 및 이의 바디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747A KR20220005747A (ko) 2022-01-14
KR102460110B1 true KR102460110B1 (ko) 2022-11-01

Family

ID=79343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296A KR102460110B1 (ko) 2020-07-07 2020-07-07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 및 이의 바디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1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799Y1 (ko) * 2013-05-20 2015-01-2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스마트키
KR101810815B1 (ko) * 2017-04-07 2017-12-20 김병삼 마이크로 크랙 및 레이저 타공홀을 포함하는 전파투과성 센서 커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파투과성 센서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9025B2 (ja) 2011-07-13 2016-06-01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機
KR20190106401A (ko) * 2018-03-09 2019-09-18 이해성 무선파투과성 금속판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기 커버 및 자동차 스마트키 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799Y1 (ko) * 2013-05-20 2015-01-2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스마트키
KR101810815B1 (ko) * 2017-04-07 2017-12-20 김병삼 마이크로 크랙 및 레이저 타공홀을 포함하는 전파투과성 센서 커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파투과성 센서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747A (ko)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98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passive entry system operation modes
JP4639141B2 (ja) アンテナ内蔵装置
CN102104435B (zh) 用于交通工具的被动进入系统和方法
EP1145374B1 (en) Remote entry integrally molded transmitter
JP4947348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CN106469480B (zh) 载具的控制系统、控制装置及移动装置
JP5438048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KR100957297B1 (ko) 스마트키 감지 시스템
JP5173927B2 (ja) 電子キーの通信可否設定システム及び通信可否設定方法
JP3976186B2 (ja) 無線式施解錠装置
US20010028296A1 (en) Keyless entry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controlling only member to be controlled closest to user
DE60121730D1 (de) Fahrzeug airbagöffnung mit drei schichten und jeweils eine mechanische bruchstelle
JP2007039922A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KR102460110B1 (ko)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 및 이의 바디부의 제조방법
JP2006045908A (ja) 車載機器遠隔操作システム
KR102397770B1 (ko)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 및 이의 적층부 제조방법
JP2008138463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JP2007009468A (ja) 車両用キーレス装置
JP2019070258A (ja) 車両用照合システム、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
US20230080735A1 (en) Communication device
JP5098545B2 (ja) スマート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CN112854922B (zh) 电磁波透射罩以及包括电磁波透射罩的车门外把手
JP2008106548A (ja) スマートキーシステム
CN115667975A (zh) 车辆用装饰件
KR200288712Y1 (ko) 방범창을 가진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