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770B1 -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 및 이의 적층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 및 이의 적층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770B1
KR102397770B1 KR1020190151451A KR20190151451A KR102397770B1 KR 102397770 B1 KR102397770 B1 KR 102397770B1 KR 1020190151451 A KR1020190151451 A KR 1020190151451A KR 20190151451 A KR20190151451 A KR 20190151451A KR 102397770 B1 KR102397770 B1 KR 102397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eposition layer
microcracks
radio wave
de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3033A (ko
Inventor
김병삼
천재경
Original Assignee
(주)쓰리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쓰리나인 filed Critical (주)쓰리나인
Priority to KR1020190151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77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3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23C14/024Deposition of sublayers, e.g. to promote adhesion of th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4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 C23C14/20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on organic subst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58After-treatment
    • C23C14/5873Removal of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 및 이의 적층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웃도어 핸들의 전파 투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 및 이의 적층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에 있어서, 외형을 형성하며 전방에 마련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측면 및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파가 투과되도록 형성된 적층부; 및 상기 적층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안테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층부는 복수개의 미세홀이 형성된 증착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 및 이의 적층부 제조방법{OUTDOOR HANDLE WITH EXCELLENT RADIO WAVE PERME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D PORTION THEREOF}
본 발명은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 및 이의 적층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웃도어 핸들의 전파 투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 및 이의 적층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다양한 위치에 센서를 적용하여 사용 중에 있다. 일 예로, 자동차에 장착되는 센서는 차량의 전방이나 후방에 있는 물체와의 거리 정보를 수집하거나, 차량에 인접한 스마트키를 인식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특히, 최근 스마트폰과 자동차 간의 근거리무선통신(NFC)과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활용해 스마트폰을 자동차 스마트키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센서는 전파를 송신한 후, 송신된 전파가 대상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전파를 통해 대상 물체를 인식하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차체의 내부에 센서가 마련됨에 따라, 센서가 송신한 전파가 센서를 둘러싼 차체의 금속에 의해 차단되어 인식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크롬을 도금하여 표면처리를 하였는데, 크롬으로 도금할 경우, 크롬 도금에 전기가 통하여 전파가 투과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1차로 도금 처리를 하고 2차로 도장품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조방법은 공정을 길고 복잡하게 하여 제조 비용을 상승시켰고, 디자인의 일체감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유발했다.
일본 등록특허 제3366299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웃도어 핸들의 전파 투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 및 이의 적층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에 있어서, 외형을 형성하며 전방에 마련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측면 및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파가 투과되도록 형성된 적층부; 및 상기 적층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안테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층부는 복수개의 미세홀이 형성된 증착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소재층; 상기 소재층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의 일측면에 크롬(Cr)을 증착하여 형성된 상기 증착층; 및 상기 증착층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클리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재층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은, 경질 금속인 크롬으로 이루어져 상기 소재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과의 수축율 차이로 인해 미세크랙이 형성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은, 상기 프라이머층의 일측면에 상기 크롬을 진공 증착한 후 건조하여 형성되며, 상기 건조 과정에 의해 상대적으로 연질 소재인 상기 소재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수축 활동이 증가되어, 상기 증착층에 형성된 미세크랙이 증가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에는, 상기 레이저 타공 방식에 의해 복수개의 미세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의 적층부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소재층의 일측면에 상기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b) 형성된 상기 프라이머층의 일측면에 상기 크롬(Cr)을 진공 증착하여 상기 증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증착층에 미세크랙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소재층, 프라이머층 및 상기 증착층을 건조시켜 상기 증착층에 형성된 미세크랙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d) 미세크랙이 형성된 상기 증착층에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의 적층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증착층은 경질 금속인 크롬으로 이루어져 상기 소재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과의 수축율 차이로 인해 미세크랙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증착층은 75도 내지 85도의 온도로 건조되며, 상기 건조 과정에 의해 상대적으로 연질 소재인 상기 소재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수축 활동이 증가됨으로써, 상기 증착층에 형성된 미세크랙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미세홀은 레이저 타공 방식으로 형성되며, 균일한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경질의 금속소재인 크롬으로 형성된 증착층과, 상대적으로 연질 소재인 프라이머층 및 소재층과의 수축율 차이를 통해 증착층 표면에 1차 미세크랙을 유발함으로써, 전파 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착층을 형성한 후, 건조 공정을 수행하여 프라이머층 및 소재층의 수축활동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미세크랙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미세크랙이 증가함에 따라 전파 투과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 타공방식으로 미세홀을 형성함으로써, 소재의 형상이나 두께에 의해 미세크랙의 편차가 생겨도 안정적으로 전파 투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부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의 적층부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종래예에 따른 알루미늄의 증착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착층의 미세크랙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착층의 미세크랙 및 미세홀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부의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100)은 바디부(110), 적층부(120), 안테나부(130) 및 센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는 상기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100)의 외형을 형성하며,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층부(120)는 상기 바디부(110)의 측면 및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파가 투과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바디부(110) 및 상기 적층부(120)에 의해 상기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100)의 전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상기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100)의 전체 외형은 차량에 마련된 손잡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적층부(120)는 소재층(121), 프라이머층(미도시), 증착층(122), 미세홀(123) 및 클리어층(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재층(121)은 상기 적층부(120)의 외형을 형성하며, 플라스틱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소재층(121)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소재층(121)의 일측면을 프라이머 도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라이머층은 폴리머 수지를 포함하여, 상기 소재층(121)과 상기 증착층(122) 간 접착력을 향상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폴리머 수지, 용제, 및 기타 첨가제를 혼합한 다음, 그 혼합물로 도장(painting), 디핑(dipping), 또는 스프레이(spray)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착층(122)은 상기 프라이머층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금속을 진공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착층(122)은 상기 소재층(121) 및 상기 프라이머층에 비해 높은 경질을 갖는 금속인 크롬(Cr)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증착층(122)은 상기 소재층(121) 및 상기 프라이머층과의 수축율 차이로 인해 미세크랙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착층(122)은 상기 프라이머층의 일측면에 진공 증착한 후, 건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 과정에 의해 상기 증착층(122)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질 소재인 상기 소재층(121)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수축 활동이 증가되며, 상기 증착층(122)에 형성된 미세크랙이 증가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증착층(122)에 미세크랙이 형성되면, 상기 증착층(122)을 이루는 주상결정 간 결합이 끊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증착층(122)의 결정은 섬 형태로 구현된다. 이처럼, 미세크랙이 형성되어 섬 구조와 같은 결정을 갖게되는 증착층(122)은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전류가 전파의 흐름을 차단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착층(122)은 형성된 미세크랙을 통해 전파가 투과되도록 함으로써, 전파 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착층(122)에는 레이저 타공 방식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미세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세홀(123)은 액체의 투과를 방지함과 동시에 전파의 투과가 가능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홀을 지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착층(122)에 형성된 미세크랙들은 상기 증착층(122)과 상기 프라이머층 및 상기 소재층과의 수축율 차이로 인해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위치에 따른 편차가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증착층(122)에 미세크랙만 형성할 경우, 전파 투과율이 항상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을 초과하지 않을 수 있으며, 위치에 따른 편차로 인해, 각도에 따른 인식률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증착층(122)에 정해진 패턴의 미세홀(123)을 형성할 경우, 미세크랙의 편중에 상관없이 항상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전파 투과율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클리어층(124)은 상기 증착층(12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증착층(122)을 보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리어층(124)은 산화크로뮴(CrOx)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증착층(122)이 수분과 접촉하여 산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클리어층(124)은 상기 증착층(122)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클리어층(124)은 물리 기상 증착법 또는 화학 기상 증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리어층(124)의 두께는 5 내지 40nm이다. 상기 클리어층(124)의 두께가 5nm 미만이면, 상기 클리어층(124)은 상기 증착층(122)을 수분이나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어렵다. 상기 클리어층(124)의 두께가 40nm를 초과하면, 상기 증착층(122)의 전파 투과성이 나빠질 수 있다.
상기 안테나부(130)는 상기 적층부(120)의 내측에 형성되며, 전파를 송수신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부(130)에 의해 송수신되는 전파는 상기 미세크랙과 상기 미세홀(123)을 통해 송수신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40)는 상기 안테나부(130)와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안테나부(130)에 의해 송수신된 전파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위치, 종류 등의 정보를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이처럼 마련된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100)은 최적화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적화모듈은 대상체의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여 차량의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최적화모듈은 대상체의 정보를 통해 탑승자를 인식하고, 탑승자에 따라 기설정된 룸미러, 사이드미러, 운전석 및 운전대의 위치 등을 조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마련된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100) 중 상기 적층부(120)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의 적층부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적층부(120)의 제조방법은 먼저, 소재층의 일측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S10)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재층(121)은 상기 적층부(120)의 외형을 형성하며, 플라스틱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소재층(121)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소재층(121)의 일측면을 프라이머 도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라이머층은 폴리머 수지를 포함하여, 상기 소재층(121)과 상기 증착층(122) 간 접착력을 향상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폴리머 수지, 용제, 및 기타 첨가제를 혼합한 다음, 그 혼합물로 도장(painting), 디핑(dipping), 또는 스프레이(spray)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소재층의 일측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S10) 이후에는, 형성된 프라이머층의 일측면에 크롬(Cr)을 진공 증착하여 증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증착층에 미세크랙을 형성하는 단계(S20)를 수행할 수 있다.
형성된 프라이머층의 일측면에 크롬(Cr)을 진공 증착하여 증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증착층에 미세크랙을 형성하는 단계(S20)에서, 상기 증착층(122)은 경질 금속인 크롬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증착층(122)에는 상기 소재층(121) 및 상기 프라이머층과의 수축율 차이로 인해 미세크랙이 유발될 수 있다.
형성된 프라이머층의 일측면에 크롬(Cr)을 진공 증착하여 증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증착층에 미세크랙을 형성하는 단계(S20) 이후에는, 소재층, 프라이머층 및 증착층을 건조시켜 증착층에 형성된 미세크랙을 증가시키는 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다.
소재층, 프라이머층 및 증착층을 건조시켜 증착층에 형성된 미세크랙을 증가시키는 단계(S30)에서, 상기 증착층(122)은 75도 내지 85도의 온도로 건조되며, 상기 건조 과정에 의해 상기 증착층(122)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질 소재인 상기 소재층(121)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수축 활동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재층(121)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수축 활동이 증가됨에 따라, 수축율 차이가 증가하게 되어 상기 증착층에 형성된 미세크랙이 증가될 수 있다.
도 5는 종래예에 따른 알루미늄의 증착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알루미늄 증착층(1)은 미세크랙이 발생하지 않아, 도전성이 존재하여 전파 투과를 방해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착층의 미세크랙을 나타낸 사진이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증착층(122)은 상기 소재층(121) 및 상기 프라이머층에 비해 경질의 금속인 크롬을 진공 증착하여 형성하고, 건조 공정을 통해 수축율 차이를 증대시킴으로써, 미세크랙이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증착층(122)에 미세크랙이 형성되면, 상기 증착층(122)을 이루는 주상결정 간 결합이 끊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증착층(122)의 결정은 섬 형태로 구현된다. 이처럼, 미세크랙이 형성되어 섬 구조와 같은 결정을 갖게 되는 증착층(122)은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전류가 전파의 흐름을 차단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착층(122)은 형성된 미세크랙을 통해 전파가 투과되도록 함으로써, 전파 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소재층, 프라이머층 및 증착층을 건조시켜 증착층에 형성된 미세크랙을 증가시키는 단계(S30) 이후에는, 미세크랙이 형성된 증착층에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S40)를 수행할 수 있다.
미세크랙이 형성된 증착층에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S40)에서, 상기 미세홀(123)은 레이저 타공 방식으로 형성되며, 균일한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세홀(123)은 액체의 투과를 방지함과 동시에 전파의 투과가 가능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홀을 지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착층(122)에 형성된 미세크랙들은 상기 증착층(122)과 상기 프라이머층 및 상기 소재층과의 수축율 차이로 무작위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위치에 따른 편차가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증착층(122)에 미세크랙만 형성할 경우, 전파 투과율이 항상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을 초과하지 않을 수 있으며, 위치에 따른 편차로 인해, 각도에 따른 인식률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증착층(122)에 정해진 패턴의 미세홀(123)을 형성할 경우, 미세크랙의 편중에 상관없이 항상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전파 투과율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재층, 프라이머층 및 증착층을 건조시켜 증착층에 형성된 미세크랙을 증가시키는 단계(S30)와, 미세크랙이 형성된 증착층에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S40) 사이에는, 미세크랙의 분포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세크랙의 분포를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증착층(122)에 형성된 미세크랙을 스캔하고, 상기 미세크랙의 분포율을 분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세크랙의 분포를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증착층(122)의 위치에 따른 미세크랙의 양이 기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은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미세크랙의 분포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증착층(122)을 기설정된 크기의 격자구조로 구획화하고, 각 격자구조 내의 미세크랙 양을 분석함으로써, 미세크랙의 양이 부족한 격자구조를 도출할 수 있다.
이처럼 미세크랙 형성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 격자에는, 이후 미세크랙이 형성된 증착층에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S40)에서 미세홀(123)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미세크랙의 분포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면, 미세홀(123) 형성을 최소화하여 상기 증착층(122)의 내구성을 높임과 동시에, 원하는 전파 투과율을 갖는 증착층(122)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착층의 미세크랙 및 미세홀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이처럼 형성된 미세홀(123)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패턴을 갖도록 마련됨으로 전파 투과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크롬 금속이 증착되어 형성된 상기 증착층(122)은, 증착 초기에는 핵이 형성되고, 핵은 섬 구조로 성장한다. 그러나 크롬이 증착되는 과정에서, 섬들이 결합하며 하나의 육지 형태가 된다. 즉, 섬 구조가 사라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증착되는 크롬은 상기 소재층(121)의 수직방향으로 주상결정으로 성장한다. 인접한 주상결정들은 서로 결합하여 주상구조가 된다.
그리고, 상기 증착층(122)에 레이저 타공으로 미세홀(123)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증착층(122)을 이루는 주상결정 간 결합이 끊어진다. 이에 따라, 섬 구조가 구현된다. 상기 미세홀(123)이 형성된 증착층(122)은 섬 구조이므로 도전성이 없고, 전파를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미세홀(123)은, 규칙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증착층(122)의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접한 4개의 상기 미세홀(123)이 정사각형 단면을 이룰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미세홀(123)은 무작위로 타공된 것이 아니라, 사전 결정된 직경 및 미세홀(123)간 간격을 가진다.
미세크랙이 형성된 증착층에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S40) 이후에는, 상기 증착층의 일측면에 클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리어층(124)은 상기 증착층(12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증착층(122)을 보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리어층(124)은 산화크로뮴(CrOx)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증착층(122)이 수분과 접촉하여 산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클리어층(124)은 상기 증착층(122)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클리어층(124)은 물리 기상 증착법 또는 화학 기상 증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르면, 아웃도어 핸들의 형상이나 두께에 상관 없이 상기 증착층(122)의 미세크랙을 유발하여, 전파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미세크랙의 편차가 생겨도 상기 미세홀(123)을 더 형성함으로써, 항상 안정적으로 기설정된 전파 투과율을 만족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100)은 기설정된 거리 내에서 스마트키의 존재 여부를 식별하거나, 차량 측면에 인접한 물체와의 거리를 인식하는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종래의 알루미늄 증착층
100: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
110: 바디부
120: 적층부
121: 소재층
122: 증착층
123: 미세홀
124: 클리어층
130: 안테나부
140: 센서부

Claims (10)

  1.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에 있어서,
    외형을 형성하며 전방에 마련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측면 및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파가 투과되도록 형성된 적층부;
    상기 적층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와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부에 의해 송수신된 전파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위치, 종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대상체의 정보를 확인하는 최적화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적층부는, 미세크랙 및 복수개의 미세홀이 형성되고 격자구조로 구획화되는 증착층을 갖고,
    각 격자구조 내의 상기 미세크랙의 양이 분석됨으로써 상기 미세크랙 양이 기설정된 기준치에 비해 부족한 격자구조 내에만 레이저 가공에 의하여 상기 미세홀이 형성되며,
    상기 최적화모듈은, 상기 대상체의 정보를 통해 탑승자를 인식하고, 상기 탑승자의 정보에 따라 차량에 설치된 룸미러, 사이드미러, 운전석 및 운전대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소재층;
    상기 소재층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의 일측면에 크롬(Cr)을 증착하여 형성된 상기 증착층; 및
    상기 증착층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클리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층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은,
    경질 금속인 크롬으로 이루어져 상기 소재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과의 수축율 차이로 인해 상기 미세크랙이 형성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은,
    상기 프라이머층의 일측면에 상기 크롬을 진공 증착한 후 건조하여 형성되며,
    상기 건조 과정에 의해 상대적으로 연질 소재인 상기 소재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수축 활동이 증가되어, 상기 증착층에 형성된 미세크랙이 증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에는,
    레이저 타공 방식에 의해 복수개의 미세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
  7. 제 2 항에 따른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의 적층부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소재층의 일측면에 상기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b) 형성된 상기 프라이머층의 일측면에 상기 크롬(Cr)을 진공 증착하여 상기 증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증착층에 미세크랙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소재층, 프라이머층 및 상기 증착층을 건조시켜 상기 증착층에 형성된 미세크랙을 증가시키는 단계;
    d) 상기 미세크랙의 분포를 분석하는 단계; 및
    e) 미세크랙이 형성된 상기 증착층에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증착층을 기설정된 크기의 격자구조로 구획화하고 각각의 상기 격자구조 내의 미세크랙의 양을 분석함으로써 미세크랙의 양이 기설정된 기준치에 비해 부족한 격자구조를 도출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e) 단계는, 도출된 상기 미세크랙의 양이 기설정된 기준치에 비해 부족한 격자구조 내에 상기 미세홀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의 적층부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증착층은 경질 금속인 크롬으로 이루어져 상기 소재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과의 수축율 차이로 인해 미세크랙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의 적층부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증착층은 75도 내지 85도의 온도로 건조되며,
    상기 건조 과정에 의해 상대적으로 연질 소재인 상기 소재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수축 활동이 증가됨으로써, 상기 증착층에 형성된 미세크랙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의 적층부 제조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미세홀은 레이저 타공 방식으로 형성되며, 균일한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의 적층부 제조방법.
KR1020190151451A 2019-11-22 2019-11-22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 및 이의 적층부 제조방법 KR102397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451A KR102397770B1 (ko) 2019-11-22 2019-11-22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 및 이의 적층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451A KR102397770B1 (ko) 2019-11-22 2019-11-22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 및 이의 적층부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033A KR20210063033A (ko) 2021-06-01
KR102397770B1 true KR102397770B1 (ko) 2022-05-16

Family

ID=76375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451A KR102397770B1 (ko) 2019-11-22 2019-11-22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 및 이의 적층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7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5999A (ja) 2008-06-30 2010-01-14 Nissha Printing Co Ltd クラックを有する金属膜加飾シートの製造方法
JP6090467B2 (ja) * 2013-10-02 2017-03-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金属調皮膜の製造方法及び車両用アウトサイドドアハンドル
KR101810815B1 (ko) * 2017-04-07 2017-12-20 김병삼 마이크로 크랙 및 레이저 타공홀을 포함하는 전파투과성 센서 커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파투과성 센서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309A (ja) * 1993-06-30 1995-01-20 Nippon Dry Chem Co Ltd 自動車運転席自動調整装置
DE19844021C2 (de) 1998-09-25 2001-05-10 Daimler Chrysler Ag Innerhalb des Strahlenganges eines Radargerätes liegendes Verkleidungsteil
KR101307639B1 (ko) * 2009-08-26 2013-09-12 도카이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51550A (ko) * 2010-11-12 2012-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키 연동 ims 및 이를 이용한 ims 구동 방법
KR101745053B1 (ko) * 2014-02-13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이더 투과 경로 내의 송수신성 메탈릭 표면처리 부재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5999A (ja) 2008-06-30 2010-01-14 Nissha Printing Co Ltd クラックを有する金属膜加飾シートの製造方法
JP6090467B2 (ja) * 2013-10-02 2017-03-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金属調皮膜の製造方法及び車両用アウトサイドドアハンドル
KR101810815B1 (ko) * 2017-04-07 2017-12-20 김병삼 마이크로 크랙 및 레이저 타공홀을 포함하는 전파투과성 센서 커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파투과성 센서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033A (ko)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9430B2 (en) Vehicle remote func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vehicle FOB locations using adaptive filtering
US10083556B1 (en) Intelligent access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JP5438048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US20180334124A1 (en) Vehicle body components comprising retroreflectors and their methods of manufacture
CN112672879B (zh) 具有集成窗玻璃的智能车辆控制系统
JP2009264095A (ja) スマートキー感知システム及び感知方法
WO2007015861A3 (en) Heatable windshield
CN109196138B (zh) 包括微裂纹及激光冲孔的电磁波透射性传感器盖的制造方法及利用其制造的电磁波透射性传感器盖
WO2005104724A3 (en) Managing an occupant of a structure during an emergency event
KR102397770B1 (ko)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아웃도어 핸들 및 이의 적층부 제조방법
WO2004113953A3 (de) Optisches sicherheitselement und system zur visualisierung von versteckten informationen
CN109216913A (zh) 用于车辆的天线罩
EP1871123A4 (en) WIRELESS NETWORK SYSTEM
CN101423049A (zh) 一种带有遥控识别的汽车控制方法
US6750819B2 (en) Sensor cover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JP5051077B2 (ja) 熱線反射ガラス
US20180337460A1 (en) Vehicle body components comprising retroreflectors and their methods of manufacture
KR102460110B1 (ko) 전파 투과성이 우수한 차량용 스마트키 및 이의 바디부의 제조방법
US20220358832A1 (en) Visible components with functional coating
KR102065025B1 (ko) 자동차용 레이더의 전자기파 투과 부재
US20110223352A1 (en) Method of making a keycap structure
WO2006033872A3 (en) Method of forming an in-situ recessed structure
CN201818207U (zh) 车门总成与用于车门的地图搁架后部和盆骨垫组件
JP4931877B2 (ja) スマートキーシステム
KR20210064912A (ko) 전파투과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