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025B1 -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025B1
KR102460025B1 KR1020200118219A KR20200118219A KR102460025B1 KR 102460025 B1 KR102460025 B1 KR 102460025B1 KR 1020200118219 A KR1020200118219 A KR 1020200118219A KR 20200118219 A KR20200118219 A KR 20200118219A KR 102460025 B1 KR102460025 B1 KR 102460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stagnant
guide
reverse rotation
return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6074A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8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025B1/ko
Publication of KR20220036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28Piling or unpiling loose materials in bulk, e.g. coal, manure, timb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48Driving means for the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송벨트와 리턴벨트를 구비하는 벨트부재를 회전시키는 풀리부에 접촉되거나 이격되게 구비되고, 리턴벨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임부재와, 리턴벨트 상에 구비되고 고임부재에 연결되며, 벨트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고임부재가 풀리부에 접촉되거나 이격되게 하는 역회전방지부를 포함하고, 역회전방지부는 리턴벨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고임부재에 연결되며, 풀리부의 역회전 시 고임부재가 풀리부에 밀착되도록 고임부재를 가압하게 구비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PULLEY REVERSE ROTATION PREVENTION APPARATUS OF CONTINUOS UNLOADER}
본 발명은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풀리부의 역회전을 방지하여 원료의 손실과 인력낭비를 최소화하는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서 하역된 연료와 원료 등의 이송물은 지상의 벨트컨베이어를 통해 트리퍼카로 이송된다. 트리퍼카는 하측에 주행휠이 구비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트리퍼카에 설치된 벨트부재를 따라 이송물의 이송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13396호(1999.04.15 공개, 발명의 명칭: 트리퍼카의 댐퍼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풀리부의 역회전 시에 고임부재가 풀리부에 밀착되게 접촉됨으로써 풀리부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풀리부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원료의 낙광으로 인한 손실 및, 청소를 위한 인력낭비를 최소화하는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는 이송벨트와 리턴벨트를 구비하는 벨트부재를 회전시키는 풀리부에 접촉되거나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리턴벨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임부재와, 상기 리턴벨트 상에 구비되고 상기 고임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벨트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고임부재가 상기 풀리부에 접촉되거나 이격되게 하는 역회전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역회전방지부는 상기 리턴벨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고임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풀리부의 역회전 시 상기 고임부재가 상기 풀리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고임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와 상기 고임부재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부의 가압력을 상기 고임부재에 전달하고, 상기 고임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턴벨트의 길이방향으로서 상기 고임부재가 이동하는 방향을 이동방향이라 하고, 상기 리턴벨트의 폭 방향으로서 상기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수직방향이라 할 때, 상기 가이드부는, 일단부가 상기 고임부재의 양 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상기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된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기 가압부를 향하는 방향의 단부에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가압부가 상기 이동방향을 따라 직선 연동되도록 상기 가압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및 연속하역기가 설치되는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를 향하는 면에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고임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고임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리턴벨트의 상기 수직방향의 양 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리턴벨트의 상부에 상기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양 단부가 한 쌍의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부재와, 상기 샤프트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리턴벨트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리턴벨트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는 마찰롤러부와, 상기 샤프트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마찰롤러부의 회전 시에 상기 샤프트부재를 통해 연동되어 함께 회전하는 스프로킷부와, 상기 리턴벨트의 상면에 배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며, 상면에 상기 스프로킷부와 치합되는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로킷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이동방향으로 이동하게 마련되는 가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임부재는 고임본체와, 상기 고임본체의 상기 풀리부를 향하는 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풀리부에 접촉되게 마련되고, 상기 풀리부의 외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곡면으로 형성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에 따르면, 풀리부의 역회전 시에 고임부재가 풀리부에 밀착되게 접촉됨으로써 풀리부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에 따르면, 풀리부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원료의 낙광으로 인한 손실 및, 청소를 위한 인력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가 연속하역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연속하역기의 풀리부가 정방향으로 회전 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연속하역기의 풀리부가 역방향으로 회전 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가 연속하역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연속하역기의 풀리부가 정방향으로 회전 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연속하역기의 풀리부가 역방향으로 회전 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100)는 고임부재(200)와 역회전방지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연속하역기는 일례로 트리퍼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연속식 하역장비가 적용될 수 있다.
고임부재(200)는 이송벨트(11)와 리턴벨트(12)를 포함하는 벨트부재(10)를 회전시키는 풀리부(20)에 접촉되거나 이격되게 구비되고, 리턴벨트(12)의 상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고임부재(200)는 고임본체(210)와 접촉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임본체(210)는 리턴벨트(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게 구비될 수 있고, 역회전방지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접촉부(220)는 고임본체(210)의 풀리부(20)를 향하는 방향에 구비되어 풀리부(20)에 접촉되게 마련되고, 풀리부(20)의 외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촉부(220)는 고입본체의 풀리부(20)를 향하는 방향의 면으로서, 풀리부(20) 외면의 곡면 형상에 대응되게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임부재(200)와 풀리부(20)가 더욱 밀착될 수 있다.
다만 고임부재(200)의 형상은 상기한 바나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역회전방지부(300)는 리턴벨트(12) 상에 구비되고 고임부재(200)에 연결되며, 벨트부재(10)의 회전에 연동되어 고임부재(200)가 풀리부(20)에 접촉되거나 이격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회전방지부(300)는 가압부(350)와 가이드부(31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압부(350)는 리턴벨트(12)의 상부에 설치되고 고임부재(200)에 연결되며, 풀리부(20)의 역회전 시 고임부재(200)가 풀리부(20)에 밀착되도록 고임부재(200)를 가압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가압부(350)는 가이드부(310)를 매개로 고임부재(200)와 연결되어 고임부재(200)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350)는 고임부재(200)와 함께 리턴벨트(12)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턴벨트(12)는 풀리부(20)의 회전에 의해 무한궤도 운동을 하도록 마련되고, 가압부(350)는 리턴벨트(12)에 접하여 리턴벨트(12)의 이동에 연동되어 동작함으로써 고임부재(200)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310)는 가압부(350)와 고임부재(200)의 사이에 연결되어 가압부(350)의 가압력을 고임부재(200)에 전달하고, 고임부재(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310)는 일단부가 고임부재(20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가압부(35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350)의 가압에 의해 이동하면서 고임부재(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310)는 고임부재(200)가 리턴벨트(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리턴벨트(12)의 길이방향으로서 고임부재(200)가 이동하는 방향을 이동방향이라 하고, 리턴벨트(12)의 폭 방향으로서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수직방향이라 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310)는 가이드부재(311)와, 연결부재(313) 및 지지프레임(315)을 포함한다.
가이드부재(311)는 일단부에 고임부재(200)의 양 측부에 결합되고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된 가이드홀(312)을 포함하고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재(311)는 길게 형성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리턴벨트(12)의 면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홀(312)은 가이드부재(311)의 몸체에 길게 관통될 수 있다. 가이드홀(312)은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됨으로써 고임부재(200)의 이동방향으로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연결부재(313)는 가이드부재(311)의 가압부(350)를 향하는 방향의 단부에 결합되고, 한 쌍의 가이드부재(311)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313)는 양 단부가 한 쌍의 가이드부재(311)에 결합됨으로써 가이드부재(311)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313)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고, 가이드부재(311)들의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315)은 연속하역기가 설치되는 베이스부(1)에 고정되고 가이드부재(311)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가이드부재(311)를 향하는 면에 돌출되어 가이드홀(312)에 삽입되고 가이드홀(31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가이드돌기(316)를 포함할 수 있다.
고임부재(200)에 결합된 가이드부재(311)가 가압부(350)에 의해 이동 시에, 가이드돌기(316)가 가이드홀(312)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임부재(200)의 이동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지지프레임(315)은 가이드부(310)를 설치하기 위한 부재로서, 베이스부(1)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1)는 연속하역기에 구비된 프레임으로, 지지프레임(315)은 하단부가 베이스부(1)에 설치됨으로써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310)는 탄성부재(3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317)는 가이드부재(311)에 설치되고, 일단부가 고임부재(200)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부가 지지프레임(315)에 의해 지지되어 고임부재(20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317)는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고, 가이드부재(311)에 끼워질 수 있다. 탄성부재(317)는 고임부재(200)와 지지프레임(315)의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지지프레임(315)에 의해 지지되어 고임부재(20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다만 탄성부재(317)의 종류와 결합방식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고임부재(20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317)는 풀리부(20)의 역방향 회전 시에 고임부재(200)를 풀리부(20)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가압부(350)와 함께 고임부재(200)를 탄성 가압하여 풀리부(20)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317)는 풀리부(20)의 역방향 회전 시에 가압부(350)에 의해 당기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이드부재(311)를 풀리부(20)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가압부(350)가 작동되게 할 수 있다. 탄성부재(317)는 풀리부(20)의 정방향 회전 시에 가이드부재(311)가 이동하면 고임부재(200)와 지지프레임(315)의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한편 가압부(350)는 고정프레임(351)과, 샤프트부재(352)와, 마찰롤러부(353)와, 스프로킷부(354)와, 가압블록(355)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351)은 베이스부(1)에 설치되고 리턴벨트(12)의 수직방향의 양 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351)은 직사각형상의 판 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단부가 베이스부(1)에 설치됨으로써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샤프트부재(352)는 리턴벨트(12)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양 단부가 한 쌍의 고정프레임(3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샤프트부재(352)는 리턴벨트(12)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고, 양단부가 고정프레임(351)에 결합되되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마찰롤러부(353)는 샤프트부재(352)에 결합되고 리턴벨트(12)의 상면에 접하여 리턴벨트(12)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찰롤러부(353)는 샤프트부재(352)에 끼워질 수 있고 리턴벨트(12)에 접촉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마찰롤러부(353)는 샤프트부재(35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일례로 2 개가 서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찰롤러부(353)는 마찰력이 높은 재질(일례로 고무 재질)로 마련되어 리턴벨트(12)와의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벨트부재(10)가 무한궤도운무한 할 때, 마찰롤러부(353)는 리턴벨트(12)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운동할 수 있다. 마찰롤러부(353)는 샤프트부재(352)에 고정결합되고, 이에 의해 마찰롤러부(353)의 회전 시에 샤프트부재(352)가 연동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스프로킷부(354)는 샤프트부재(352)에 결합되고 마찰롤러부(353)의 회전 시에 샤프트부재(352)를 통해 연동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프로킷부(354)는 샤프트부재(352)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고, 외면에 기어치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찰롤러부(353)가 리턴벨트(12)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면 마찰롤러부(353)에 결합된 샤프트부재(352)가 회전하고, 이에 연동되어 샤프트부재(352)에 결합된 스프로킷부(354)가 회전할 수 있다.
가압블록(355)은 리턴벨트(12)의 상면에 배치되고 일단부가 연결부재(313)에 연결되며, 상면에 스프로킷부(354)와 치합되는 기어부(356)가 형성되고, 스프로킷부(354)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방향으로 이동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블록(355)은 리턴벨트(12)의 상면에 놓일 수 있고, 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블록(355)의 상면에는 톱니 형상의 기어부(356)가 형성될 수 있고, 기어부(356)는 스프로킷부(354)와 치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마찰롤러부(353)와 샤프트부재(352)에 의해 스프로킷부(354)가 회전하면, 스프로킷부(354)의 외면에 형성된 기어치와 가압블록(355)의 기어부(356)가 치합되면서 가압블록(355)이 이동할 수 있다. 가압블록(355)은 연결부재(313)에 결합되므로, 가압블록(355)은 이동 시에 연결부재(313) 및 가이드부재(311)를 당기거나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임부재(200)가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연속하역기의 풀리부(2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연속하역기의 풀리부(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풀리부(20)가 정방향으로 회전 시(도 3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시)에 이송벨트(11) 상의 원료는 배출호퍼(30)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리턴벨트(12)가 풀리부(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마찰롤러부(353)는 리턴벨트(12)부와의 마찰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마찰롤러부(353)의 회전에 연동되어 샤프트부재(352)와 스프로킷부(35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가압블록(355)을 풀리부(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압블록(355)의 이동 시에 가압블록(355)에 연결된 연결부재(313) 및 가이드부재(311)가 풀리부(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고임부재(200)가 풀리부(20)에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317)는 압축될 수 있다. 고임부재(200)가 풀리부(20)에서 이격됨으로써 풀리부(2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풀리부(20)가 역방향으로 회전 시(도 4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에 이송벨트(11) 상의 원료는 배출호퍼(30)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원료가 배출호퍼(30)가 아닌 지상으로 낙하되어 원료가 손실될 수 있고, 이를 청소하는데 많은 인력이 투입되는 문제가 있다.
풀리부(20)의 역방향 회전 시에 리턴벨트(12)는 풀리부(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마찰롤러부(353)는 리턴벨트(12)와의 마찰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마찰롤러부(353)의 회전에 연동되어 샤프트부재(352)와 스프로킷부(35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가압블록(355)을 풀리부(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압블록(355)의 이동 시에 가압블록(355)에 연결된 연결부재(313) 및 가이드부재(311)가 풀리부(2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고임부재(200)가 풀리부(20)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317)는 가압부(350)에 의해 당겨지는 외력이 해제되면서 탄성복원력에 의해 신장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고임부재(200)가 풀리부(20)에 밀착되도록 탄성 가압할 수 있다.
고임부재(200)가 풀리부(20)에 밀착되게 접촉되면서 풀리부(2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풀리부(20)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료의 낙광 및 이로 인한 설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에 따르면, 풀리부의 역회전 시에 고임부재가 풀리부에 밀착되게 접촉됨으로써 풀리부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에 따르면, 풀리부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원료의 낙광으로 인한 손실 및, 청소를 위한 인력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베이스부 10: 벨트부재
11: 이송벨트 12: 리턴벨트
20: 풀리부 30: 배출호퍼
100: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
200: 고임부재 210: 고임본체
220: 접촉부 300: 역회전방지부
310: 가이드부 311: 가이드부재
312: 가이드홀 313: 연결부재
315: 지지프레임 316: 가이드돌기
317: 탄성부재 350: 가압부
351: 고정프레임 352: 샤프트부재
353: 마찰롤러부 354: 스프로킷부
355: 가압블록 356: 기어부

Claims (6)

  1. 이송벨트와 리턴벨트를 구비하는 벨트부재를 회전시키는 풀리부에 접촉되거나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리턴벨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임부재; 및
    상기 리턴벨트 상에 구비되고 상기 고임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벨트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고임부재가 상기 풀리부에 접촉되거나 이격되게 하는 역회전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역회전방지부는 상기 리턴벨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고임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풀리부의 역회전 시 상기 고임부재가 상기 풀리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고임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와 상기 고임부재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부의 가압력을 상기 고임부재에 전달하고, 상기 고임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턴벨트의 길이방향으로서 상기 고임부재가 이동하는 방향을 이동방향이라 하고, 상기 리턴벨트의 폭 방향으로서 상기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수직방향이라 할 때,
    상기 가이드부는, 일단부가 상기 고임부재의 양 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상기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된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기 가압부를 향하는 방향의 단부에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가압부가 상기 이동방향을 따라 직선 연동되도록 상기 가압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및 연속하역기가 설치되는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를 향하는 면에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고임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고임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리턴벨트의 상기 수직방향의 양 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리턴벨트의 상부에 상기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양 단부가 한 쌍의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부재;
    상기 샤프트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리턴벨트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리턴벨트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는 마찰롤러부;
    상기 샤프트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마찰롤러부의 회전 시에 상기 샤프트부재를 통해 연동되어 함께 회전하는 스프로킷부; 및
    상기 리턴벨트의 상면에 배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며, 상면에 상기 스프로킷부와 치합되는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로킷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이동방향으로 이동하게 마련되는 가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임부재는
    고임본체; 및
    상기 고임본체의 상기 풀리부를 향하는 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풀리부에 접촉되게 마련되고, 상기 풀리부의 외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곡면으로 형성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


KR1020200118219A 2020-09-15 2020-09-15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 KR102460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219A KR102460025B1 (ko) 2020-09-15 2020-09-15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219A KR102460025B1 (ko) 2020-09-15 2020-09-15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074A KR20220036074A (ko) 2022-03-22
KR102460025B1 true KR102460025B1 (ko) 2022-10-27

Family

ID=80988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219A KR102460025B1 (ko) 2020-09-15 2020-09-15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02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624B1 (ko) * 2010-11-30 2012-06-18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콘베이어의 벨트 밀림 방지장치
KR101572359B1 (ko) * 2014-02-26 2015-11-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이동 방지장치
KR101950590B1 (ko) * 2017-06-19 2019-02-20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 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방지장치
KR101957578B1 (ko) * 2017-07-19 2019-03-12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074A (ko)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12643B1 (en) Conveyors
CN109264293B (zh) 有机肥料的波动混合输送系统
CN109353747B (zh) 正弦波动方式推动有机肥料混合混送方法
KR10142445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
KR20180089167A (ko) Pcb 자동 투입기의 수집이송장치
KR102460025B1 (ko) 연속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 방지장치
JP5129951B2 (ja) パレット搬送装置
KR20130046564A (ko) 트리퍼
KR10126759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슬립방지장치
US3759364A (en) Loading conveyor for elevator
KR101060605B1 (ko) 벨트이송장치
KR101065043B1 (ko) 산적화물 이송용 벨트 컨베이어 잔류화물 회수장치
KR20110085479A (ko) 컨베이어 시스템
JP3065523B2 (ja) ベルト挟み式垂直・急傾斜ベルトコンベヤ
CN214494537U (zh) 一种输送机
CN219605063U (zh) 一种密码锁全自动装配机
CN221069850U (zh) 一种煤层刮板输送机
CN213264232U (zh) 一种斗式提升装置
CN211544817U (zh) 一种带有pvc输送带的托辊输送装置
JP2701006B2 (ja) 連続垂直搬送装置の落下物回収装置
RU1794818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ленты конвейера
US3537705A (en) Sheet feeder
KR20200043651A (ko) 슈트 막힘 방지장치
KR101344313B1 (ko) 벨트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JPS582889B2 (ja) アキユ−ムレイテイングコンベ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