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868B1 -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 - Google Patents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868B1
KR102459868B1 KR1020210012083A KR20210012083A KR102459868B1 KR 102459868 B1 KR102459868 B1 KR 102459868B1 KR 1020210012083 A KR1020210012083 A KR 1020210012083A KR 20210012083 A KR20210012083 A KR 20210012083A KR 102459868 B1 KR102459868 B1 KR 102459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indow frame
frame
unit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8964A (ko
Inventor
신용복
Original Assignee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2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868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8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 B23Q3/082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hydraulically actu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12Metal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23Q2703/04Work clamping means using fluid means or a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용 조립식 패널에 대한 창문 형성용 창틀로써 해당 벽체형 조립식 패널에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는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을 모델별 일정한 규격의 제품으로 정확하고 정밀하게 제조 및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는 베이스 테이블과, 상기 베이스 테이블에 설치되어 조립식 패널에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단위 창틀프레임들을 상기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형태를 이루도록 고정하며,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단위 창틀프레임을 양측에서 파지하는 방식으로 고정하는 지그가 상기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각 변마다 복수로 설치되는 지그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한 상기 지그 유닛은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으로 이동 및 접하여 상기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을 고정하는 코너고정지그를 복수로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Welding jig device for manufacturing window frame integrated with wall of assembling panel}
본 발명은 벽체용 조립식 패널에 대한 창문 형성용 창틀로써 해당 벽체형 조립식 패널에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는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을 모델별 일정한 규격의 제품으로 정확하고 정밀하게 제조 및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립식 건축물은 일반 주거용은 물론 휴양지의 건축물, 군용 막사를 비롯하여 다양한 용도의 건축물로써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건축물의 벽체, 지붕, 바닥 등에는 조립식 패널이 주로 사용되며, 조립식 패널의 대표적인 예로 샌드위치 패널이 있다. 이하 샌드위치 패널을 예로 설명한다.
일반적인 샌드위치 패널의 구조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샌드위치 패널은 스티로폼(EPS), 폴리우레탄, 글라스울 등의 단열재 양면에 강판을 주로 사용하는 금속판이 부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샌드위치 패널은 금속판의 양측에 샌들위치 패널 간의 연결을 위한 요부 및 돌출부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샌드위치 패널들은 그 요부 및 돌출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면서 연속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기존의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에 창문을 형성하는 경우, 해당 샌드위치 패널에 창문 형성용 개방부를 마련한 다음, 이렇게 마련된 개방부에 견고하게 제작된 별도의 창틀을 매입 설치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창문을 설치하게 된다. 다시 말해 창문 설치를 위해 견고하게 제작된 완성형의 창틀이 별도로 필요하고, 이렇게 제공된 육중한 창틀을 해당 샌드위치 패널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작업이 수반됨에 따라, 해당 조립식 건축물에 대한 창문 설치 작업이 비교적 복잡해지는 것이었다.
또한, 창틀의 소재로 비교적 저가의 재료가 사용될 경우 해당 창문의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동시에 이는 조립식 건축물별 창문의 구조적 안정성 및 견고성 등이 각기 다르게 발휘되는 결과로 나타난다.
따라서 조립식 패널을 이용하는 벽체에 창문을 형성하는 방식 및 작업 과정이 보다 간소화되는 동시에 해당 창문을 형성하는 창틀프레임의 구조적 안정성 및 견고성이 보다 잘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886407호(2018.08.07.공고), “용접용 지그” 한국 등록특허 제10-1589117호(2016.01.27.공고),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벽체용 조립식 패널에 대한 창문 형성용 창틀로써 해당 벽체형 조립식 패널에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는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을 모델별 일정한 규격의 제품으로 정확하고 정밀하게 제조 및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는 베이스 테이블과, 상기 베이스 테이블에 설치되어 조립식 패널에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단위 창틀프레임들을 상기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형태를 이루도록 고정하며,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단위 창틀프레임을 양측에서 파지하는 방식으로 고정하는 지그가 상기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각 변마다 복수로 설치되는 지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그 유닛은,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으로 이동 및 접하여 상기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을 고정하는 코너고정지그를 복수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창틀프레임은 상기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이 조립식 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조립식 패널의 창문 형성용 개방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각각 절곡되는 한쌍의 결합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지그는 상기 단위 창틀프레임의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의 상측 또는 하측을 각각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코너고정지그는 상기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으로부터 바깥쪽에서 상기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을 이루는 두 단위 창틀프레임의 상기 돌출부 바깥쪽 일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그는 상기 베이스 테이블에 고정되는 제1 기저 브래킷과, 상기 제1 기저 브래킷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제1 구동부와, 상기 제1 기저 브래킷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구동부들 중 대응되는 제1 구동부의 동력을 각각 전달받아 상기 단위 창틀프레임을 파지하거나 파지 상태를 해제하도록 회전 동작하는 한 쌍의 클램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부재는, 상기 제1 기저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본체와, 상기 클램프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단위 창틀프레임에 대한 상기 클램프본체의 파지 동작 시 상기 단위 창틀프레임의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단위 창틀프레임의 상기 본체 상측이나 하측에 접하는 복수의 지지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는 작동로드의 선단이 상기 클램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너고정지그는, 상기 베이스 테이블에 고정되는 제2 기저 브래킷과, 상기 제2 기저 브래킷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구동부와, 상기 제2 기저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을 이루는 두 단위 측면 프레임의 상기 돌출부 바깥쪽 일면들을 지지하도록 회전 동작하는 코너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너지지부재는 상기 제2 기저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몸체부의 회전 동작 시 상기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을 이루는 두 단위 측면 프레임의 상기 돌출부 바깥쪽 일면들을 지지하는 직각형 꺾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부는 작동로드의 선단이 상기 코너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벽체용 조립식 패널에 대한 창문 형성용 창틀로써 해당 벽체형 조립식 패널에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는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을 모델별 일정한 규격의 제품으로 정확하고 정밀하게 제조 및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를 예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에서 지그 유닛의 지그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지그의 작동을 예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에서 지그 유닛의 코너고정지그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고정지그의 작동을 예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를 통해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이 제조되는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조립식 패널용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을 예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실시 예에 따른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이 조립식 패널의 창문 형성용 개방부에 장착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를 예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에서 지그 유닛의 지그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지그의 작동을 예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에서 지그 유닛의 코너고정지그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고정지그의 작동을 예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를 통해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이 제조되는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이하 “용접용 지그 장치”라 약칭함)는 베이스 테이블(100) 및 지그 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테이블(100)은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을 용접을 통해 제조하기 위한 작업 영역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베이스 테이블(100)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작업면을 형성하며, 이러한 베이스 테이블(100)의 작업면에 지그 유닛(200)이 설치된다.
그리고 지그 유닛(200)의 설명에 앞서 본 실시 예의 용접용 지그 장치를 통해 제조되기 위한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조립식 패널용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실시 예에 따른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이 조립식 패널의 창문 형성용 개방부에 장착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10)은 복수의 단위 창틀프레임(11)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단위 창틀프레임(11)은 본체(11a) 및 한 쌍의 결합날개(1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단위 창틀프레임(11)의 본체(11a)는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10)이 벽체용 조립식 패널(20)에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벽체용 조립식 패널(20)의 창문 형성용 개방부(21)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1a-1)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본체(11a)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각각 결합날개(11b)가 절곡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따른 용접용 지그 장치는 단위 창틀프레임(11)들이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10)의 형태로 고정되어 용접을 통해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10)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이다.
다시 도 1 내지 도 6으로 돌아가서, 지그 유닛(200)은 베이스 테이블(100)에 설치되어 벽체용 조립식 패널에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10)을 제공하기 위한 단위 창틀프레임(11)들을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10)의 형태를 이루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지그 유닛(200)은 복수의 지그(210)를 포함하며, 각각의 지그(210)는 회전 동작을 통해 단위 창틀프레임(11)을 양측에서 파지하는 방식으로 고정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지그(210)는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10)의 각 변마다 복수로 설치된다.
그리고 지그 유닛(200)은 코너고정지그(2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코너고정지그(220)는 회전 동작을 통해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10)의 모서리 부분으로 이동 및 접하여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10)의 모서리 부분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코너고정유닛(220)은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10)의 모서리에 하나씩 설치되는 형태로 복수로 설치된다.
그리고 지그(210)는 단위 창틀프레임(11)의 돌출부(11a-1) 및 이러한 돌출부(11a-1)를 중심으로 본체의(11a)의 상측 또는 하측을 각각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지그(210)가 본체(11a)의 하측을 지지하는 형태를 예로 하였다. 또한, 코너고정지그(220)는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10)으로부터 바깥쪽에서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10)의 모서리 부분을 이루는 두 단위 창틀프레임(11)의 돌출부(11a-1) 바깥쪽 일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지그(210)는 제1 기저 브래킷(211), 한 쌍의 제1 구동부(212) 및 한 쌍의 클램프 부재(2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저 브래킷(211)은 베이스 테이블(100)에 고정되며, 이러한 제1 기저 브래킷(211)은 지그(210)의 모체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제1 기저 브래킷(211)에 한 쌍의 제1 구동부(212) 및 한 쌍의 클램프 부재(213)가 설치된다.
제1 구동부(212)는 제1 기저 브래킷(21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제1 구동부(212)는 상하 방향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구동부(212)가 작동로드(212a)의 선단이 클램프부재(2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 구성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연 설명하면, 제1 구동부(212)는 유압실린더 내지 공압실린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 쌍의 클램프 부재(213)는 제1 기저 브래킷(211)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의 클램프 부재(213)는 제1 구동부(212)들 중 대응되는 제1 구동부(212)의 동력을 각각 전달받아 단위 창틀프레임(11)을 파지하거나 파지 상태를 해제하도록 회전 동작한다.
그리고 이러한 클램프 부재(213)는 클램프본체(213a) 및 복수의 지지블록(213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클램프본체(213a)는 제1 기저 브래킷(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의 지지블록(213b)은 클램프본체(213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단위 창틀프레임(11)에 대한 클램프본체(213a)의 파지 동작 시 단위 창틀프레임(11)의 돌출부(11a-1) 및 단위 창틀프레임(11)의 본체(11a) 상측이나 하측에 접하여 단위 창틀프레임(11)을 지지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지지블록(213b)이 두 개의 지지블록(213b)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지지블록(213b)은 단위 창틀프레임(11)의 돌출부(11a-1)를 지지하고 다른 하나의 지지블록(213b)은 단위 창틀프레임(11)의 본체(11a) 하측을 지지하는 것을 예로 하였다.
그리고 지지블록(213b)이 클램프본체(213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이므로, 서로 다른 크기의 지지블록(213b)을 클램프본체(213a)에 교체 결합시킴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단위 창틀프레임(11) 및 그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10)에 호환 적용될 수 있다.
코너고정지그(220)는 제2 기저 브래킷(221), 제2 구동부(222) 및 코너지지부재(2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기저 브래킷(221)은 베이스 테이블(100)에 고정되며, 이러한 제2 기저 브래킷(221)은 코너고정지그(220)의 모체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제2 기저 브래킷(221)에 제2 구동부(222) 및 코너지지부재(223)가 설치된다.
제2 구동부(222)는 제2 기저 브래킷(221)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구동부(222)가 작동로드(222a)의 선단이 코너지지부재(2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 구성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연 설명하면, 제2 구동부(222)는 유압실린더 내지 공압실린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코너지지부재(223)는 제2 기저 브래킷(2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러한 코너지지부재(223)는 제2 구동부(222)의 동력을 전달받아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10)의 모서리 부분을 이루는 두 단위 창틀프레임(10)의 돌출부(11a-1) 바깥쪽 일면들을 지지하도록 회전 동작한다.
그리고 코너지지부재(223)는 몸체부(223a) 및 직각형 꺾쇠부(22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223a)는 제2 기저 브래킷(2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직각형 꺾쇠부(223b)는 몸체부(223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10)의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몸체부(223a)의 회전 동작 시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10)의 모서리 부분을 이루는 두 단위 창틀프레임(11)의 돌출부(11a-1) 바깥쪽 일면들을 지지한다.
그리고 직각형 꺾쇠부(223b)가 몸체부(223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이므로, 서로 다른 크기의 직각형 꺾쇠부(223b)를 몸체부(223a)에 교체 결합시킴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단위 창틀프레임(11) 및 그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10)에 호환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용접용 지그 장치에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10) 형성용 단위 창틀프레임(11)들을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10) 형태로 고정 배치한 다음, 용접기를 통해 단위 창틀프레임(11)들을 결합시켜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10)을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용접기로써 CO2용접기가 사용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처럼, 본 실시 예의 용접용 지그 장치를 통해서 벽체용 조립식 패널용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을 다양한 크기를 갖는 다양한 규격의 제품으로써 정확하고 정밀하게 제조 및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부연 설명하면, 벽체용 조립식 패널에 대한 창문 형성용 창틀로써 해당 벽체형 조립식 패널에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는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을 정확한 규격의 제품으로 제조 및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베이스 테이블 200 : 지그 유닛
210 : 제1 지그 211 : 제1 기저 브래킷
212 : 제1 구동부 212a : 작동로드
213 : 클램프부재 213a : 클램프본체
213b : 지지블록 220 : 제2 지그
221 : 제2 기저 브래킷 222 : 제2 구동부
222a : 작동로드 223 : 코너지지부재
223a : 몸체부 223b : 직각형 꺾쇠부

Claims (9)

  1. 베이스 테이블; 및
    상기 베이스 테이블에 설치되어 조립식 패널에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단위 창틀프레임들을 상기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형태를 이루도록 고정하며,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단위 창틀프레임을 양측에서 파지하는 방식으로 고정하는 지그가 상기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각 변마다 복수로 설치되는 동시에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으로 이동 및 접하여 상기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을 고정하는 코너고정지그를 복수로 포함하는 지그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창틀프레임은 상기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이 조립식 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조립식 패널의 창문 형성용 개방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각각 절곡되는 한쌍의 결합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는 상기 단위 창틀프레임의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의 상측 또는 하측을 각각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코너고정지그는 상기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으로부터 바깥쪽에서 상기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을 이루는 두 단위 창틀프레임의 상기 돌출부 바깥쪽 일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그는, 상기 베이스 테이블에 고정되는 제1 기저 브래킷과, 상기 제1 기저 브래킷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제1 구동부와, 상기 제1 기저 브래킷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구동부들 중 대응되는 제1 구동부의 동력을 각각 전달받아 상기 단위 창틀프레임을 파지하거나 파지 상태를 해제하도록 회전 동작하는 한 쌍의 클램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고정지그는, 상기 베이스 테이블에 고정되는 제2 기저 브래킷과, 상기 제2 기저 브래킷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구동부와, 상기 제2 기저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을 이루는 두 단위 측면 프레임의 상기 돌출부 바깥쪽 일면들을 지지하도록 회전 동작하는 코너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재는, 상기 제1 기저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본체 및 상기 클램프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단위 창틀프레임에 대한 상기 클램프본체의 파지 동작 시 상기 단위 창틀프레임의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단위 창틀프레임의 상기 본체 상측이나 하측에 접하는 복수의 지지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작동로드의 선단이 상기 클램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지지부재는, 상기 제2 기저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몸체부의 회전 동작 시 상기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을 이루는 두 단위 측면 프레임의 상기 돌출부 바깥쪽 일면들을 지지하는 직각형 꺾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작동로드의 선단이 상기 코너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
KR1020210012083A 2021-01-28 2021-01-28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 KR102459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083A KR102459868B1 (ko) 2021-01-28 2021-01-28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083A KR102459868B1 (ko) 2021-01-28 2021-01-28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964A KR20220108964A (ko) 2022-08-04
KR102459868B1 true KR102459868B1 (ko) 2022-10-28

Family

ID=8283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083A KR102459868B1 (ko) 2021-01-28 2021-01-28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8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693B1 (ko) * 2007-06-14 2008-10-23 주식회사 인지디스플레이 분할형 샤시탑의 제조설비의 레이저 접합장치
KR102008110B1 (ko) * 2018-12-26 2019-08-06 서승구 차량의 패널 용접용 지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117B1 (ko) 2013-09-27 2016-0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
KR101886407B1 (ko) 2018-02-07 2018-08-07 김영근 용접용 지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693B1 (ko) * 2007-06-14 2008-10-23 주식회사 인지디스플레이 분할형 샤시탑의 제조설비의 레이저 접합장치
KR102008110B1 (ko) * 2018-12-26 2019-08-06 서승구 차량의 패널 용접용 지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964A (ko)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9868B1 (ko)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벽체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
KR102459867B1 (ko) 조립식 패널의 패널 일체형 창틀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
KR102459866B1 (ko) 조립식 패널용 창틀부 일체형 측면 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
JP6970539B2 (ja) 外壁パネルの作製方法および開口設備地組架台
JP2015055034A (ja) 梁補強構造および方法、ならびに、補助梁用支持具
KR102459870B1 (ko) 조립식 패널의 측면 프레임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
KR102459865B1 (ko) 조립식 패널의 측면 프레임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
WO2019065238A1 (ja) 取付具及び建物の壁構造
CN211172534U (zh) 隔墙门洞组件及隔墙系统
CN211396130U (zh) 侧封边件及隔墙系统
KR102459869B1 (ko)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측면 프레임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
CN211396118U (zh) 转接组件及隔墙系统
CN211396117U (zh) 隔墙顶板连接组件及隔墙系统
CN211172533U (zh) 墙面连接组件
CN215670331U (zh) 一种装配式墙面底部用限位结构
JP2002357015A (ja) 制振装置
JP2019138109A (ja) 耐力壁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1714941U (zh) 一种铝合金窗框
JP2023048692A (ja) 壁下地用矩形枠部材
JP2024036737A (ja) サッシユニット、サッシユニットの取付方法及びサッシユニットの取付構造
JP3875895B2 (ja) 縦方向骨組部材の取付構造
JPH0210221Y2 (ko)
CN112392250A (zh) 一种塑料建筑模板及拆装方法
JP3047847U (ja) 基礎取付用金具および基礎取付用柱
JP2004238912A (ja) 軸組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