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851B1 - 기어 조립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어 조립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8851B1 KR102458851B1 KR1020220055207A KR20220055207A KR102458851B1 KR 102458851 B1 KR102458851 B1 KR 102458851B1 KR 1020220055207 A KR1020220055207 A KR 1020220055207A KR 20220055207 A KR20220055207 A KR 20220055207A KR 102458851 B1 KR102458851 B1 KR 1024588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assembly
- rail
- frame
- curv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8—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the parts being continuously transported through the machine dur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7/00—Step-by-step mechanisms without freewheel members, e.g. Geneva drives
- F16H27/02—Step-by-step mechanisms without freewheel members, e.g. Geneva drives with at least on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ransmission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비의 조립공정 수를 3 단계에서 1 단계로 줄임으로써, 설비 운전 속도를 빠르게 하여 제품의 원가를 효과적으로 절감하고, 치형 파손의 불량을 줄여 불량률 역시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기어 조립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1 기어와 제2 기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를 순차적으로 측면 결합하여 제1 기어 조립체를 제조하는 제1 기어 공급부; 제3 기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2 기어 공급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 구동되며, 상기 제1 기어 조립체와 상기 제3 기어가 동시에 안착되면서 가조립되어 제2 기어 조립체가 조립될 수 있도록 상측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의 조립체 안착 하우징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며, 회전 구동되어 상기 안착 하우징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제2 기어 조립체를 상기 제2 기어 조립체가 조립될 기어 박스로 차례로 전달하는 로타리형 회전부; 상기 제1 기어 조립체를 순차적으로 상기 조립체 안착 하우징으로 이송시켜 주는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1 기어 조립체가 상기 조립체 안착 하우징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제3 기어를 상기 조립체 안착 하우징으로 이송 후 안착시켜 주는 제2 이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어 조립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비의 조립공정 수를 3 단계에서 1 단계로 줄임으로써, 설비 운전 속도를 빠르게 하여 제품의 원가를 효과적으로 절감하고, 치형 파손의 불량을 줄여 불량률 역시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기어 조립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어 조립 방법의 경우, 실린더로 하강 후 제품을 그립하고, 상승하여 이송하고 하강하여 조립하였다.
이 경우, 기어부 조립 시 기어와 기어치형의 부딛치며 치형 파손됨으로 모터 구동시 파손부 소음발생으로 불량률 높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설비의 조립공정 수를 3 단계에서 1 단계로 줄임으로써, 설비 운전 속도를 빠르게 하여 제품의 원가를 효과적으로 절감하고, 치형 파손의 불량을 줄여 불량률 역시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기어 조립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 조립 자동화 시스템은, 제1 기어와 제2 기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를 순차적으로 측면 결합하여 제1 기어 조립체를 제조하는 제1 기어 공급부; 제3 기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2 기어 공급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 구동되며, 상기 제1 기어 조립체와 상기 제3 기어가 동시에 안착되면서 가조립되어 제2 기어 조립체가 조립될 수 있도록 상측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의 조립체 안착 하우징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며, 회전 구동되어 상기 안착 하우징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제2 기어 조립체를 상기 제2 기어 조립체가 조립될 기어 박스로 차례로 전달하는 로타리형 회전부; 상기 제1 기어 조립체를 순차적으로 상기 조립체 안착 하우징으로 이송시켜 주는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1 기어 조립체가 상기 조립체 안착 하우징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제3 기어를 상기 조립체 안착 하우징으로 이송 후 안착시켜 주는 제2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어 공급부는, 상기 제1 기어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제1 레일; 상기 제2 기어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제2 레일; 및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이 만나는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레일로부터 상기 제1 기어가 전달되고 상기 제2 레일로부터 상기 제2 기어가 전달되어 내부 공간에 각각 안착되면 진동 구동되어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를 각 측면 서로 결합시켜 상기 제1 기어 조립체를 제조하는 진동 조립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어 공급부는, 상기 제1 레일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 중인 상기 제1 기어를 전방으로 밀어서 이동시켜 주는 기어 강제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 강제 전달부는, 상기 제1 레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승강 케이스; 상기 승강 케이스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며, 각 하단이 상기 제1 레일의 상부 일측 또는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 케이스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상기 승강 케이스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다수 개의 승강 실린더; 및 상기 승강 케이스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 중인 상기 제1 기어를 전방으로 밀어서 이동시켜 주는 강제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강제 이송부는, 유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승강 케이스의 전단 하측을 향하도록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승강 케이스의 내부 공간의 전단에 설치되는 전단 곡선형 탱크; 유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승강 케이스의 후단 하측을 향하도록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전단 곡선형 탱크와 전후 대칭 구조를 형성하면서 상기 승강 케이스의 내부 공간의 후단에 설치되는 후단 곡선형 탱크; 하측으로 둥근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이 상기 전단 곡선형 탱크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이 상기 후단 곡선형 탱크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며, 원호를 그리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곡선형 이동 프레임; 상기 전단 곡선형 탱크와 상기 후단 곡선형 탱크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곡선형 이동 프레임의 상측에 밀착 설치되며, 상기 곡선형 이동 프레임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왕복 구동부; 및 상측이 상기 곡선형 이동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고, 하측이 상기 승강 케이스의 하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승강 실린더가 수축하여 상기 승강 케이스가 하강함에 따라 하부가 상기 제1 기어의 후방으로 하강된 후 후진하였던 상기 곡선형 이동 프레임이 전진 이동함에 따라 함께 전진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기어를 전진시켜 주고, 수축하였던 상기 승강 실린더가 신장하여 상기 승강 케이스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1 레일의 상방으로 함께 상승되는 동시에 전진하였던 상기 곡선형 이동 프레임이 후진 이동함에 따라 함께 후진 이동되는 푸쉬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곡선형 이동 프레임은, 하측으로 둥근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에 상기 푸쉬 프레임이 설치되는 프레임 바디; 상기 프레임 바디의 전단으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전단 곡선형 탱크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전단 곡선형 탱크의 내부 공간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전단 곡선형 탱크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절곡 플레이트; 상기 프레임 바디의 후단으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후단 곡선형 탱크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후단 곡선형 탱크의 내부 공간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후단 곡선형 탱크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절곡 플레이트; 상기 제1 절곡 플레이트가 상기 전단 곡선형 탱크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 시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절곡 플레이트를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2 절곡 플레이트가 상기 후단 곡선형 탱크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 시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절곡 플레이트를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푸쉬 프레임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의 하측에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제1 기어의 후단 일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안착 프레임; 및 상기 제1 기어의 후단 타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프레임의 타측으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안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곡선형 이동 프레임은, 상기 제1 관통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관통홀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관통홀의 직경을 가변시켜 주는 제1 가변부; 및 상기 제2 관통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관통홀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관통홀의 직경을 가변시켜 주는 제2 가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변부는, 유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프레임 바디의 전단 내측에 설치되는 보조 유체 탱크; 상기 보조 유체 탱크의 내부 공간의 후단에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상기 보조 유체 탱크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가압시켜 주는 실린더; 및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중단이 관통 형성되는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관통홀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가 신장되어 상기 보조 유체 탱크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팽창되어 유체가 이동하기 위한 공간의 직경을 감소시켜 주는 가변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설비의 조립공정 수를 3 단계에서 1 단계로 줄임으로써, 설비 운전 속도를 빠르게 하여 제품의 원가를 효과적으로 절감하고, 치형 파손의 불량을 줄여 불량률 역시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 조립 자동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기어 공급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기어 공급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기어 강제 전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강제 이송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5의 곡선형 이동 프레임과 푸쉬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가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기어 공급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기어 공급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기어 강제 전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강제 이송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5의 곡선형 이동 프레임과 푸쉬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가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 조립 자동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 조립 자동화 시스템(10)은, 제1 기어 공급부(100), 제2 기어 공급부(200), 로타리형 회전부(300), 제1 이송부(400) 및 제2 이송부(500)를 포함한다.
제1 기어 공급부(100)는, 제1 기어(G1)와 제2 기어(G2)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제1 기어(G1)와 제2 기어(G2)를 순차적으로 측면 결합하여 제1 기어 조립체를 제조한다.
제2 기어 공급부(200)는, 제3 기어(G3)를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로타리형 회전부(30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 구동되며, 제1 기어 조립체와 제3 기어(G3)가 동시에 안착되면서 가조립되어 제2 기어(G2) 조립체가 조립될 수 있도록 상측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의 조립체 안착 하우징(310)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며, 회전 구동되어 안착 하우징에 안착되어 있는 제2 기어(G2) 조립체를 제2 기어(G2) 조립체가 조립될 기어 박스로 차례로 전달한다.
제1 이송부(400)는, 제1 기어 조립체를 순차적으로 조립체 안착 하우징(310)으로 이송시켜 준다.
제2 이송부(500)는, 제1 이송부(400)에 의해 제1 기어 조립체가 조립체 안착 하우징(310)에 안착됨과 동시에 제3 기어(G3)를 조립체 안착 하우징(310)으로 이송 후 안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 조립 자동화 시스템(10)은, 설비의 조립공정 수를 3 단계에서 1 단계로 줄임으로써, 설비 운전 속도를 빠르게 하여 제품의 원가를 효과적으로 절감하고, 치형 파손의 불량을 줄여 불량률 역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제1 기어 공급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기어 공급부(100)는, 제1 레일(110), 제2 레일(120) 및 진동 조립 하우징(130)을 포함한다.
제1 레일(110)은, 제1 기어(G1)를 순차적으로 진동 조립 하우징(130)으로 공급한다.
제2 레일(120)은, 제2 기어(G2)를 순차적으로 진동 조립 하우징(130)으로 공급한다.
진동 조립 하우징(130)은,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이 만나는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의 전단에 설치되며, 제1 레일(110)로부터 제1 기어(G1)가 전달되고 제2 레일(120)로부터 제2 기어(G2)가 전달되어 내부 공간에 각각 안착되면 진동 구동되어 제1 기어(G1)와 제2 기어(G2)를 각 측면 서로 결합시켜 제1 기어 조립체를 제조한다.
도 3은 도 1의 제1 기어 공급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기어 공급부(100a)는, 제1 레일(110), 제2 레일(120), 진동 조립 하우징(130) 및 기어 강제 전달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레일(110), 제2 레일(120) 및 진동 조립 하우징(130)은,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기어 강제 전달부(600)는, 제1 레일(1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제1 레일(110)을 따라 이동 중인 제1 기어(G1)를 전방으로 밀어서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기어 공급부(100a)는, 제1 레일(110)을 따라 이동 중인 제1 기어(G1)가 스스로 이동할 수 없어 강제로 이동시켜줘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기어 강제 전달부(600)를 이용하여 적체를 해소시킴으로써, 제1 기어(G1)의 이송 공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기어 강제 전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어 강제 전달부(600)는, 승강 케이스(610), 다수 개의 승강 실린더(620) 및 강제 이송부(700)를 포함한다.
승강 케이스(610)는, 다수 개의 승강 실린더(620)에 의해 지지되어 제1 레일(11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하부에 강제 이송부(700)가 연결 설치된다.
승강 실린더(620)는, 승강 케이스(610)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며, 각 하단이 제1 레일(110)의 상부 일측 또는 타측에 설치되며, 승강 케이스(61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승강 케이스(610)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준다.
강제 이송부(700)는, 승강 케이스(61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레일(110)을 따라 이동 중인 제1 기어(G1)를 전방으로 밀어서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기어 강제 전달부(600)는, 제1 레일(110)을 따라 이동 중인 제1 기어(G1)가 스스로 이동할 수 없어 강제로 이동시켜줘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구동되어 제1 기어(G1)의 적체를 해소시킴으로써, 제1 기어(G1)의 이송 공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강제 이송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강제 이송부(700)는, 전단 곡선형 탱크(710), 후단 곡선형 탱크(720), 곡선형 이동 프레임(730), 왕복 구동부(740) 및 푸쉬 프레임(750)을 포함한다.
전단 곡선형 탱크(710)는, 유체(예를 들어, 물 또는 오일 등)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승강 케이스(610)의 전단 하측을 향하도록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승강 케이스(610)의 내부 공간의 전단에 설치되며, 곡선형 이동 프레임(730)의 전단이 안착된다.
후단 곡선형 탱크(720)는, 유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승강 케이스(610)의 후단 하측을 향하도록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전단 곡선형 탱크(710)와 전후 대칭 구조를 형성하면서 승강 케이스(610)의 내부 공간의 후단에 설치되며, 곡선형 이동 프레임(730)의 후단이 안착된다.
곡선형 이동 프레임(730)은, 하측으로 둥근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이 전단 곡선형 탱크(71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이 후단 곡선형 탱크(72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며, 왕복 구동부(740)에 의해 원호를 그리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왕복 구동부(740)는, 전단 곡선형 탱크(710)와 후단 곡선형 탱크(720)의 사이에 위치하는 곡선형 이동 프레임(730)의 상측에 밀착 설치되며, 곡선형 이동 프레임(73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푸쉬 프레임(750)은, 상측이 곡선형 이동 프레임(730)의 하측에 설치되고, 하측이 승강 케이스(610)의 하측으로 노출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실린더(620)가 수축하여 승강 케이스(610)가 하강함에 따라 하부가 제1 기어(G1)의 후방으로 하강된 후 후진하였던 곡선형 이동 프레임(730)이 전진 이동함에 따라 함께 전진 이동하면서 제1 기어(G1)를 전진시켜 주고, 수축하였던 승강 실린더(620)가 신장하여 승강 케이스(610)가 상승함에 따라 제1 레일(110)의 상방으로 함께 상승되는 동시에 전진하였던 곡선형 이동 프레임(730)이 후진 이동함에 따라 함께 후진 이동된다.
도 7은 도 5의 곡선형 이동 프레임과 푸쉬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곡선형 이동 프레임(730)은, 프레임 바디(731), 제1 절곡 플레이트(732), 제2 절곡 플레이트(733), 제1 관통홀(734) 및 제2 관통홀(735)을 포함한다.
프레임 바디(731)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에 푸쉬 프레임(750)이 설치되며, 전단 및 후단에 제1 절곡 플레이트(732) 및 제2 절곡 플레이트(733)가 형성된다.
제1 절곡 플레이트(732)는, 프레임 바디(731)의 전단으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전단 곡선형 탱크(71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며, 전단 곡선형 탱크(710)의 내부 공간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전단 곡선형 탱크(71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한다.
제2 절곡 플레이트(733)는, 프레임 바디(731)의 후단으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후단 곡선형 탱크(72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며, 후단 곡선형 탱크(720)의 내부 공간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후단 곡선형 탱크(72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한다.
제1 관통홀(734)은, 제1 절곡 플레이트(732)가 전단 곡선형 탱크(71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 시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제1 절곡 플레이트(732)를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2 관통홀(735)은, 제2 절곡 플레이트(733)가 후단 곡선형 탱크(72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 시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제2 절곡 플레이트(733)를 관통하고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푸쉬 프레임(750)은, 수직 프레임(751), 수평 프레임(752), 제1 안착 프레임(753) 및 제2 안착 프레임(754)을 포함한다.
수직 프레임(751)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프레임 바디(731)의 하측에 설치된다.
수평 프레임(752)은,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수직 프레임(751)의 하측에 설치된다.
제1 안착 프레임(753)은, 제1 기어(G1)의 후단 일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수평 프레임(752)의 일측으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2 안착 프레임(754)은, 제1 기어(G1)의 후단 타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수평 프레임(752)의 타측으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곡선형 이동 프레임(730)은, 제1 가변부(736) 및 제2 가변부(7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변부(736)는, 제1 관통홀(734)에 설치되어 제1 관통홀(734)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관통홀(734)의 직경을 가변시켜 준다.
제2 가변부(737)는, 제2 관통홀(735)에 설치되어 제2 관통홀(735)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2 관통홀(735)의 직경을 가변시켜 준다.
도 8은 도 7의 제1 가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가변부(736)는, 보조 유체 탱크(7361), 실린더(7362) 및 가변 튜브(7363)를 포함한다.
보조 유체 탱크(7361)는, 유체(예를 들어, 물 또는 오일 등)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프레임 바디(731)의 전단 내측에 설치된다.
실린더(7362)는, 보조 유체 탱크(7361)의 내부 공간의 후단에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보조 유체 탱크(7361)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가압시켜 가변 튜브(7363)로 공급되도록 한다.
가변 튜브(7363)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중단이 관통 형성되는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관통홀(734)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며, 실린더(7362)가 신장되어 보조 유체 탱크(7361)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팽창되어 유체가 이동하기 위한 공간의 직경(즉, 제1 관통홀(734)의 직경)을 감소시켜 준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기어 조립 자동화 시스템
100: 제1 기어 공급부
200: 제2 기어 공급부
300: 로타리형 회전부
400: 제1 이송부
500: 제2 이송부
600: 기어 강제 전달부
100: 제1 기어 공급부
200: 제2 기어 공급부
300: 로타리형 회전부
400: 제1 이송부
500: 제2 이송부
600: 기어 강제 전달부
Claims (3)
- 제1 기어와 제2 기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를 순차적으로 측면 결합하여 제1 기어 조립체를 제조하는 제1 기어 공급부;
제3 기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2 기어 공급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 구동되며, 상기 제1 기어 조립체와 상기 제3 기어가 동시에 안착되면서 가조립되어 제2 기어 조립체가 조립될 수 있도록 상측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의 조립체 안착 하우징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며, 회전 구동되어 상기 안착 하우징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제2 기어 조립체를 상기 제2 기어 조립체가 조립될 기어 박스로 차례로 전달하는 로타리형 회전부;
상기 제1 기어 조립체를 순차적으로 상기 조립체 안착 하우징으로 이송시켜 주는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1 기어 조립체가 상기 조립체 안착 하우징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제3 기어를 상기 조립체 안착 하우징으로 이송 후 안착시켜 주는 제2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어 공급부는,
상기 제1 기어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제1 레일;
상기 제2 기어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제2 레일; 및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이 만나는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레일로부터 상기 제1 기어가 전달되고 상기 제2 레일로부터 상기 제2 기어가 전달되어 내부 공간에 각각 안착되면 진동 구동되어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를 각 측면 서로 결합시켜 상기 제1 기어 조립체를 제조하는 진동 조립 하우징;을 포함하는, 기어 조립 자동화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 공급부는,
상기 제1 레일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 중인 상기 제1 기어를 전방으로 밀어서 이동시켜 주는 기어 강제 전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어 강제 전달부는,
상기 제1 레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승강 케이스;
상기 승강 케이스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며, 각 하단이 상기 제1 레일의 상부 일측 또는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 케이스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상기 승강 케이스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다수 개의 승강 실린더; 및
상기 승강 케이스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 중인 상기 제1 기어를 전방으로 밀어서 이동시켜 주는 강제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강제 이송부는,
유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승강 케이스의 전단 하측을 향하도록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승강 케이스의 내부 공간의 전단에 설치되는 전단 곡선형 탱크;
유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승강 케이스의 후단 하측을 향하도록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전단 곡선형 탱크와 전후 대칭 구조를 형성하면서 상기 승강 케이스의 내부 공간의 후단에 설치되는 후단 곡선형 탱크;
하측으로 둥근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이 상기 전단 곡선형 탱크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이 상기 후단 곡선형 탱크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며, 원호를 그리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곡선형 이동 프레임;
상기 전단 곡선형 탱크와 상기 후단 곡선형 탱크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곡선형 이동 프레임의 상측에 밀착 설치되며, 상기 곡선형 이동 프레임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왕복 구동부; 및
상측이 상기 곡선형 이동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고, 하측이 상기 승강 케이스의 하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승강 실린더가 수축하여 상기 승강 케이스가 하강함에 따라 하부가 상기 제1 기어의 후방으로 하강된 후 후진하였던 상기 곡선형 이동 프레임이 전진 이동함에 따라 함께 전진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기어를 전진시켜 주고, 수축하였던 상기 승강 실린더가 신장하여 상기 승강 케이스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1 레일의 상방으로 함께 상승되는 동시에 전진하였던 상기 곡선형 이동 프레임이 후진 이동함에 따라 함께 후진 이동되는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곡선형 이동 프레임은,
하측으로 둥근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에 상기 푸쉬 프레임이 설치되는 프레임 바디;
상기 프레임 바디의 전단으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전단 곡선형 탱크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전단 곡선형 탱크의 내부 공간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전단 곡선형 탱크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절곡 플레이트;
상기 프레임 바디의 후단으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후단 곡선형 탱크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후단 곡선형 탱크의 내부 공간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후단 곡선형 탱크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절곡 플레이트;
상기 제1 절곡 플레이트가 상기 전단 곡선형 탱크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 시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절곡 플레이트를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2 절곡 플레이트가 상기 후단 곡선형 탱크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 시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절곡 플레이트를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푸쉬 프레임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의 하측에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제1 기어의 후단 일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안착 프레임; 및
상기 제1 기어의 후단 타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프레임의 타측으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안착 프레임;을 포함하는, 기어 조립 자동화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5207A KR102458851B1 (ko) | 2022-05-04 | 2022-05-04 | 기어 조립 자동화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5207A KR102458851B1 (ko) | 2022-05-04 | 2022-05-04 | 기어 조립 자동화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8851B1 true KR102458851B1 (ko) | 2022-10-27 |
Family
ID=83810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55207A KR102458851B1 (ko) | 2022-05-04 | 2022-05-04 | 기어 조립 자동화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8851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40008303A (ko) | 1983-03-15 | 1984-12-14 | 람프 이. 하퍼 | 차동기구 조립방법 및 그 조립체 |
JPS6274929U (ko) * | 1985-10-30 | 1987-05-13 | ||
KR930004632A (ko) | 1991-08-14 | 1993-03-22 | 정해영 | 시동전동기 어셈블리의 조립방법 |
JPH08118168A (ja) * | 1994-10-25 | 1996-05-14 | Hitachi Ltd | ロボットによる歯車の自動組立装置 |
JP2017104945A (ja) * | 2015-12-10 | 2017-06-15 | ソニー株式会社 | 組立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JP2019060496A (ja) * | 2017-09-27 | 2019-04-1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駆動装置の組み立て方法 |
KR20200056531A (ko) * | 2018-11-14 | 2020-05-25 | 경명수 | 이차 전지의 탑 캡 어셈블리 조립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립방법 |
KR102134113B1 (ko) * | 2020-03-10 | 2020-07-23 | 이도영 | 자동차 시트 모터용 기어조립체 제조장치 |
-
2022
- 2022-05-04 KR KR1020220055207A patent/KR10245885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40008303A (ko) | 1983-03-15 | 1984-12-14 | 람프 이. 하퍼 | 차동기구 조립방법 및 그 조립체 |
JPS6274929U (ko) * | 1985-10-30 | 1987-05-13 | ||
KR930004632A (ko) | 1991-08-14 | 1993-03-22 | 정해영 | 시동전동기 어셈블리의 조립방법 |
JPH08118168A (ja) * | 1994-10-25 | 1996-05-14 | Hitachi Ltd | ロボットによる歯車の自動組立装置 |
JP2017104945A (ja) * | 2015-12-10 | 2017-06-15 | ソニー株式会社 | 組立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JP2019060496A (ja) * | 2017-09-27 | 2019-04-1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駆動装置の組み立て方法 |
KR20200056531A (ko) * | 2018-11-14 | 2020-05-25 | 경명수 | 이차 전지의 탑 캡 어셈블리 조립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립방법 |
KR102134113B1 (ko) * | 2020-03-10 | 2020-07-23 | 이도영 | 자동차 시트 모터용 기어조립체 제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74811B2 (ja) | 集積回路ユニットと係合する組立体及び方法 | |
CN1676413A (zh) | 自行车曲柄及其制造方法 | |
KR102458851B1 (ko) | 기어 조립 자동화 시스템 | |
CN101316752B (zh) | 用于安装回转轴承的框架 | |
CN1302892C (zh) | 用于形成连杆的断裂狭槽的加工装置 | |
CN1705834A (zh) | 具有横向元件的传动带和生产该横向元件的冲压装置 | |
JP3641594B2 (ja) | 多軸穿孔装置 | |
JP2529803B2 (ja) | 植物体移動装置 | |
KR20090048866A (ko) | 차량의 루프패널용 지그장치 | |
CN106005580A (zh) | 下盒机构的可调式装盒框架 | |
CN1575925A (zh) | 用于形成连杆的断裂狭槽的加工装置 | |
CN111531003A (zh) | 一种大规格小波高的金属波纹管的成型设备和方法 | |
CN218874155U (zh) | 一种激光切割机用定位装置 | |
US5195349A (en) | Forming machine and process for forming material therewith | |
CN216996466U (zh) | 缓存装置 | |
CN105246674B (zh) | 压弯机的模具更换方法与模具台车 | |
CN110902337A (zh) | 一种用于总拼工位的可升降底板定位系统 | |
CN210305232U (zh) | 一种滚筋成型机 | |
KR100419958B1 (ko) | 자동 부싱 스웨징기 | |
CN110419824B (zh) | 一种带有单独工作的工装板的制鞋流水线 | |
CN1158699C (zh) | 电子部件的制造方法,其制造装置和该制造装置的驱动方法 | |
CN217452847U (zh) | 一种行星减速箱电机卡簧组装装置 | |
KR101608921B1 (ko) | 기판 접합 장치 | |
CN111941835A (zh) | 一种基板安装机构及其应用 | |
KR20170123362A (ko) | 쇽업쇼버 디스크조립체의 조립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