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408B1 - 배수 벨트 - Google Patents

배수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408B1
KR102458408B1 KR1020220082724A KR20220082724A KR102458408B1 KR 102458408 B1 KR102458408 B1 KR 102458408B1 KR 1020220082724 A KR1020220082724 A KR 1020220082724A KR 20220082724 A KR20220082724 A KR 20220082724A KR 102458408 B1 KR102458408 B1 KR 102458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drainage
delete delete
belt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랑
윤영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미
Priority to KR1020220082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36Galactan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22Polybenzox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5/02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7/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L87/005Block or graft polym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 C08L85/04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수 벨트는 폴리염화비닐(PVC:Polyvinyl chlor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셀룰로이드(Cellulo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표면 및 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함입 대상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함입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함입 대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함입된 슬릿과, 상기 슬릿의 단부에서 상기 슬릿보다 직경이 크도록 확공된 배수공을 포함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수 벨트에 의하면, 높은 수준의 배수성을 담보함과 동시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나아가 유해 물질의 용출을 방지하여 환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수 벨트{drain belt}
본 발명은 배수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6대 유해 물질을 방출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임과 동시에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지하수의 배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배수 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은 땅밑에서 파이프나 필터와 같은 인공장치가 없어도 수억 년 동안 움직여 오고 있다. 지하수의 주공급원은 빗물이다. 땅에 내린 빗물은 흙과 바위틈을 따라 땅밑으로 스며들어 상호 간의 공급 및 수요기능이 완벽하게 균형을 이루고 있다.
최근 건설, 벌목 및 광산개발 및 골프장 건설 등 인공적 행위로 인한 자연 훼손은 자연스런 물의 순환을 방해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파이프는 물이나 다른 액체를 수송하는 목적으로 설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경사기울기만 적당하면 이 파이프는 정해진 장소로 물을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물을 운반하는 배수 장치는 다른 입자에 의해 막힘이 없도록 닫힌 배수장치로 설계한 것이 일반적이다.
일 예로 골프장 부지의 경우 식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량을 제외한 나머지 지하수를 지표면으로 신속하게 배수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를 목적으로 시공되는 배수시설은 파이프 형태의 배수관 외주면에 소정의 크기로 되는 크고 작은 구멍이나 슬롯형태의 홈을 다수 천공하여 토양으로 스며드는 지표수를 상기 홈을 통해 배수관 내측으로 유입 배수시키도록 시공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배수관의 외주면에 홈을 설치하게 되는 경우 토양입자(흙)들이 물과 함께 파이프내로 침투하게 되었다. 약간의 토양입자는 물과 함께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지만 배수관 파이프의 기울기가 완만하여 물의 흐름이 약하면 바닥에 가라앉아 결국에는 배수관 전체를 막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 등록특허 제 10-0973089호에 ‘드레인 벨트를 이용한 지하수 배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자하수의 배수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한 드레인 벨트를 이용한 지하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한 간격을 갖고 중공파이프로 형성되는 제 1 배수관 및 제 2 배수관과, 상기 제 1 배수관 및 제 2 배수관이 일정한 갭을 갖도록 상기 제 1 배수관 및 제 2 배수관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소켓과, 상기 연결소켓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대응되는 밴드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공이 형성된 제 1, 제 2 절곡판과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여 제 1, 제 2 절곡판을 결합하는 체결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제 2 배수관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연결소켓의 제 1, 제 2 절곡판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 1 배수관 및 제 2 배수관 사이의 갭 부분까지 연장되는 드레인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드레인 벨트는 제조 과정에서 다양한 유해물질이 발생할 여지가 있어, 환경 파괴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하수의 배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환경에 유해하지 않은, 배수 벨트를 제공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 10-0973089호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하수의 배수 능력을 향상시키는 배수 벨트에 있어 환경 파괴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수 벨트는 폴리염화비닐(PVC:Polyvinyl chlor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셀룰로이드(Cellulo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표면 및 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함입 대상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함입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함입 대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함입된 슬릿과, 상기 슬릿의 단부에서 상기 슬릿보다 직경이 크도록 확공된 배수공을 포함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배수 벨트에 의하면,
높은 수준의 배수성을 담보함과 동시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나아가 6대 유해 물질이 용출되지 않아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배수 벨트의 단면 배수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수 벨트의 양면 배수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수 벨트가 파이프 형상으로 적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수 벨트의 물성을 실험한 시험성적서.
도 5는 본 발명의 배수 벨트의 유해 물질 검출 결과를 나타낸 시험성적서.
도 6은 본 발명의 배수 벨트에 돌출부가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배수 벨트에 내향 밴딩부가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내향 밴딩부를 덮는 밴딩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슬릿 및 배수공의 라운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수 벨트의 단면 배수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배수 벨트의 양면 배수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배수 벨트(1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및 배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탄성을 갖는 수지 재질로 기본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베이스 90 내지 99 중량부와 첨가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첨가제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베이스라 함은 탄성을 갖는 수지 재질이라면 물질의 종류에 있어 어떠한 제한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탄성을 갖는 수지 중에서도 폴리염화비닐(PVC:Polyvinyl chlor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셀룰로이드(Cellulo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재질로 이용할 수 있다.
폴리염화비닐은 열가소성 수지로서 가공이 용이하며, 가격이 저렴함과 동시에 경량이면서 기밀성 및 내식성이 높고 취급 및 운반이 용이하여 종래에 배수 파이프 및 벨트 등 매우 광범위한 용도에 이용되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비스페놀 A가 카보네이트 결합으로 이어져서 만들어진 열가소성 플라스틱이다. 높은 강도와 내열성을 가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베이스의 재질로 이용될 시 기계적 강도 및 충격 강도를 높일 수 있어, 내충격성이 우수한 배수 벨트(10)를 제조할 수 있다.
셀룰로이드는 가소제로서 장뇌를 함유하는 나이트로셀룰로스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이며, 가소성 및 가공성이 양호한 특성이 있어 베이스에 첨가 시 배수 벨트(10) 제조를 위한 가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폴리염화비닐을 기본적으로 포함한 상태에서, 폴리카보네이트 및 셀룰로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높은 수준의 기밀성, 내식성, 내충격성 및 가공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탄성을 갖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부러지지 않으며, 소정 두께와 면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으나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두께 및 면적에 있어서는 어떠한 제한도 두지 않는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표면 및 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함입 대상면(110)에는 배수부가 함입 형성되는데, 이때 표면 및 이면 중 어느 하나가 함입 대상면(110)이 될 수도 있으나, 혹은 표면 및 이면 모두가 함입 대상면(110)이 되어 표면 및 이면에 배수부가 모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이와 같은 배수부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함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배수부는 슬릿(200) 및 배수공(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슬릿(200)은 함입 대상면(110)에서 수직 방향으로 함입되어 지하수나 바닷물과 같은 물을 유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슬릿(200)의 단부에는 배수공(300)이 확공되어 있어 배수공(300)을 통해 유입된 물을 배수시킬 수 있다. 나아가 배수공(300)은 바람직하게 슬릿(200)보다 직경이 큰 상태에서 원 형상으로 확공되어 있어 배수면적을 최대한 넓게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수 벨트(10)의 강성 및 내구성을 유지하고, 나아가 높은 수준의 배수성을 담보할 수 있다.
이러한 배수 벨트(10)는 좁은 폭을 가지고 함입된 슬릿(200)을 통해 흙과 같은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막고 물의 유입을 가능케 하며, 나아가 확공된 배수공(300)에 물이 최대한 유입되었다가 배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배수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이러한 배수부가 형성되는 함입 대상면(110)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표면 및 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라고 하였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함입 대상면(110)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표면 및 이면을 모두 포함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양면에 배수부가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함입 대상면(110)에 형성된 배수부에 있어, 양 면에 배수부가 동일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양 면에 배수부가 번갈아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배수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양면, 즉 표면과 이면에 번갈아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수공(300)이 충분한 크기로 확공되도록 함으로써 배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번갈아 배치된 배수부에 있어 각각의 배수공(300)의 중심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비된 배수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길이 방향을 통해 배치되도록 하되, 이때 각각의 배수부에 구비된 배수공(300)의 중심은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나아가 배수공(300)과 연결된 슬릿(200)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양 면에 번갈아 가면서 형성되어, 배수 벨트(10)의 양 면에서 모두 물이 유입됨과 동시에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배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배수 벨트가 파이프 형상으로 적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나아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배수 벨트(10)는 양 단이 접착된 파이프 형상으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배수 벨트(10)가 파이프 형상으로 적용되어 마치 관과 같은 형상을 지닌 상태에서 배수 벨트(10)를 관통하는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하고, 이물질의 경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이물질과 물을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배수 벨트(10) 자체가 파이프가 될 수도 있으며, 혹은 도 3에서와 같이 파이프의 외주면을 배수 벨트(10)로 감싸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배수 벨트(10)가 지하수 등을 포함하는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배수 벨트(10) 주위의 물 역시 함께 배수할 수 있어 배수 능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배수 벨트(10)에 대한 물성 및 유해 물질 검출 여부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세한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험예 1] 물성 실험
인장강도 : KS M 3824:2008 방법을 통해 실험하였다.
인열강도 : KS M 3824:2008 방법을 통해 실험하였다.
내약품성 : KS M ISO 715:2010 시험방법을 통해 산(염산) 및 염기(수산화나트륨)에 대한 내약품성을 실험하였다.
[실험예 2] 유해 물질 방출 여부 시험
IEC 62321-6 Ed. 1.0 시험을 통해 6대 유해 물질(납, 카드뮴, 수은, 6가 크롬, 폴리브롬화 비페닐(PBB), 폴리브롬화 비페닐 에테르(PBDE))에 대한 검출 여부를 시험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배수 벨트의 물성을 실험한 시험성적서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배수 벨트의 유해 물질 검출 결과를 나타낸 시험성적서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배수 벨트(10)는 뛰어난 물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6대 유해 물질이 검출되지 않아 환경에 유해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배수 벨트에 돌출부가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배수 벨트(10)는 슬릿(200)의 진입 측 둘레에서 슬릿(200)의 내부 방향, 즉 슬릿(200)의 중공에서 배수공(300)을 향하는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4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돌출부(400)는 좁은 슬릿(200) 내부에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또 한 번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바람직하게 돌출부(400) 역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슬릿(200) 내부에 물이 유입되면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돌출부(400)가 슬릿(200)의 내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함입 대상면(110)에서의 슬릿(200)의 단면 크기를 최소화하여 이물질의 슬릿(200) 내부 혼입을 방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배수 벨트에 내향 밴딩부가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배수 벨트(10)는 슬릿(200)의 둘레 주변인 함입 대상의 일 측에 함입된 커팅 홈(111)을 매개로 슬릿(200) 둘레에서 배수공(300)을 향한 방향으로 휨성을 가지는 내향 밴딩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내향 밴딩부(500)는 슬릿(200)의 둘레 주변, 함입 대상의 일 측에서 함입된 커팅 홈(111)이 형성됨에 따라 자연스레 형성되는 구조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내향 밴딩부(500)가 슬릿(200) 둘레에서 배수공(300)을 향한 방향으로 휘게 되면서 물을 제외한 기타 이물질, 특히 크기가 큰 이물질을 자연스럽게 차단하는 효과를 갖게 되어 좁은 슬릿(200) 내부에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도 7의 내향 밴딩부를 덮는 밴딩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도 7과 함께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내향 밴딩부(500)를 통한 이물질 차단 효과를 보다 강화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배수 벨트(10)는 내향 밴딩부(500)의 표면에서 상기 슬릿(200)의 둘레 내측 영역 일부를 덮는 밴딩 필름(6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밴딩 필름(600)은 내향 밴딩부(500)의 표면에 부착되어 슬릿(200)의 둘레 내측 영역 일부를 덮도록 돌출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물질 차단 효과를 높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나아가 밴딩 필름(600)은 바람직하게 베이스 플레이트(100)보다 탄성계수가 낮아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비해 유연하게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물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슬릿(200)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물의 출입은 방해하지 않고, 큰 이물질에 대한 차단 효과는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물이 유입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슬릿(200)의 폭을 더 감소시켜 슬릿(200)을 일부 폐쇄하도록 하고, 물이 슬릿(200) 내부로 유입될 시에는 물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탄성 좋게 휘어지면서 물의 유입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다.
도 9는 슬릿 및 배수공의 라운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에 따른 슬릿(200)의 구조는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함과 동시에 배수의 기능을 더하기 위한 것으로, 절개의 편의성을 동시에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먼저 함입 대상의 표면과 상기 슬릿(200)의 진입 부위 간의 경계를 둥글게 처리, 즉 필렛(fillet) 처리한 필렛부(210)를 시작으로 제 1 변곡점(221)에 이르기까지 1쌍의 제 1 곡률부(220)가 곡선 형태로 서로 모아지는 방향으로 함입 진행되다가 제 1 변곡점(221)에서 다시 1쌍의 제 2 곡률부(230)가 슬릿(200)과 배수공(300)의 경계 지점인 제 2 변곡점(231)에 이르기까지 곡선 형태로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함입 진행이 된다.
이러한 슬릿(200)의 내부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필렛부(210)는 함입 대상면(110)에서 함입 처리된 슬릿(200)의 모서리에서 날카로운 부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작용을 가져 이물질이 슬릿(200)의 모서리와 충돌했을 때 슬릿(200)의 둘레가 파괴되어 슬릿(200)이 확공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제 1 곡률부(220)는 슬릿(200)에 의해 틈이 너무 많이 벌어지지 않도록 슬릿(200)의 입구 부위를 좁혀 이물질이 외부에서 진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더불어, 제 2 곡률부(230)는 제 1 곡률부(220)로 인해 좁혀진 슬릿(200) 내부 공간을 확공시켜 내부에 일정하게 벌어진 유선형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배수를 원활하게 하고 좁은 틈에서 유입된 물로 인해 가해지는 수압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슬릿(200)의 종단 형상을 통하여 이물질과의 충돌에 인한 슬릿(200) 둘레의 파괴를 방지하고 이물질의 혼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나아가 좁은 슬릿(200)을 통해 유입되는 물로 인해 가해지는 수압의 점차적인 완충을 가능케 하여 배수부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 벨트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 배수 벨트 100 : 베이스 플레이트
110 : 함입 대상면 111 : 커팅 홈
200 : 슬릿 210 : 필렛부
220 : 제 1 곡률부 221 : 제 1 변곡점
230 : 제 2 곡률부 231 : 제 2 변곡점
300 : 배수공 400 : 돌출부
500 : 내향 밴딩부 600 : 밴딩 필름

Claims (9)

  1. 배수 벨트로서,
    폴리염화비닐(PVC:Polyvinyl chlor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셀룰로이드(Cellulo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표면 및 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함입 대상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함입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함입 대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함입된 슬릿과, 상기 슬릿의 단부에서 상기 슬릿보다 직경이 크도록 확공된 배수공을 포함하는 배수부;
    상기 슬릿의 둘레 주변인 상기 함입 대상면의 일 측에 함입된 커팅 홈을 매개로 상기 슬릿 둘레에서 상기 배수공을 향한 방향으로 휨성을 가지는 내향 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벨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 대상면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표면 및 이면이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배수공의 중심이 동일 선상에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표면 및 이면 순서로 번갈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벨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벨트는,
    상기 슬릿의 진입 측 둘레에서 상기 슬릿의 내부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벨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벨트는,
    상기 내향 밴딩부의 표면에서 상기 슬릿의 둘레 내측 영역 일부를 덮는 밴딩 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밴딩 필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보다 탄성계수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벨트.
  5. 배수 벨트로서,
    폴리염화비닐(PVC:Polyvinyl chlor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셀룰로이드(Cellulo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표면 및 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함입 대상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함입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함입 대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함입된 슬릿과, 상기 슬릿의 단부에서 상기 슬릿보다 직경이 크도록 확공된 배수공을 포함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슬릿의 종단 형상은,
    상기 함입 대상면의 표면과 상기 슬릿의 진입 부위 간의 경계를 필렛(fillet) 처리한 필렛부와, 상기 필렛부에서 제 1 변곡점에 이르기까지 곡선 형태로 서로 모아지는 방향으로 함입 진행되는 1쌍의 제 1 곡률부 및, 상기 제 1 변곡점에서 상기 슬릿과 배수공의 경계 지점인 제 2 변곡점까지 곡선 형태로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함입 진행이 되는 1쌍의 제 2 곡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벨트.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20082724A 2022-07-05 2022-07-05 배수 벨트 KR102458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724A KR102458408B1 (ko) 2022-07-05 2022-07-05 배수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724A KR102458408B1 (ko) 2022-07-05 2022-07-05 배수 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8408B1 true KR102458408B1 (ko) 2022-10-27

Family

ID=83810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724A KR102458408B1 (ko) 2022-07-05 2022-07-05 배수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4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7264A (ko) * 2005-06-24 2008-03-26 허큘레스 인코포레이티드 제지에서 개선된 보류도 및 배수성
JP2009097245A (ja) * 2007-10-17 2009-05-07 Tokyu Construction Co Ltd 排水材及び接続治具
KR100973089B1 (ko) 2010-01-26 2010-07-29 주일한 드레인 벨트를 이용한 지하수 배수장치
KR101646575B1 (ko) * 2015-08-31 2016-08-08 삼부토건주식회사 급배수형 워터 벨트를 이용한 지중 급배수 시설 및 이의 시공 공법
KR20180129855A (ko) * 2016-05-02 2018-12-05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섬유 강화 복합 재료, 적층체, 파이프, 라이저관 및 플로우 라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7264A (ko) * 2005-06-24 2008-03-26 허큘레스 인코포레이티드 제지에서 개선된 보류도 및 배수성
JP2009097245A (ja) * 2007-10-17 2009-05-07 Tokyu Construction Co Ltd 排水材及び接続治具
KR100973089B1 (ko) 2010-01-26 2010-07-29 주일한 드레인 벨트를 이용한 지하수 배수장치
KR101646575B1 (ko) * 2015-08-31 2016-08-08 삼부토건주식회사 급배수형 워터 벨트를 이용한 지중 급배수 시설 및 이의 시공 공법
KR20180129855A (ko) * 2016-05-02 2018-12-05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섬유 강화 복합 재료, 적층체, 파이프, 라이저관 및 플로우 라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0427B1 (ko) 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장치용 케이스
ES2395864T3 (es) Dispositivo de cobertura para un tubo y tubo con un tal dispositivo de cobertura
US10689879B2 (en) Fencing mesh and fence
EP2352894B1 (en) Vent
US3333422A (en) Subirrigation conduit
JP6669601B2 (ja) 水素ガス検知テープ
KR102458408B1 (ko) 배수 벨트
KR101743006B1 (ko) 덮개부가 마련된 부표 및 부표 제조 방법
JP5284827B2 (ja) 管継手保護カバー、及び管継手管理システム
KR101478256B1 (ko) 라돈 차단용 구조물
KR101602826B1 (ko) 환경오염 방지 및 지수를 위한 지열관용 팩커 및 이를 이용한 지중열 교환시스템의 시공방법
KR101748217B1 (ko) 지중 케이블 보호판
JP6578560B2 (ja) 止水装置
JP6491511B2 (ja) 半割継手
KR102228311B1 (ko) 누설감지센서의 코팅층 보호장치
KR100472047B1 (ko) 가두리 양식장 그물프레임용 파이프
JPH0311515Y2 (ko)
KR101811377B1 (ko) 콘크리트 블록 및 콘크리트 블록 네트 시공방법
KR20190003207A (ko) 송배전용 지중 케이블이 인입된 지중 관로용 보호판
KR101733450B1 (ko) 맨홀 보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맨홀
KR102226771B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 단열 케이스
JP6069260B2 (ja) 貯留複合体の構造並びにこれを用いた貯留槽及び貯留浸透槽
KR102366375B1 (ko) 광케이블용 통신관 커플러
KR102415411B1 (ko) 폴리우레탄 재질로 된 연결재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KR101364014B1 (ko) 세굴방지 및 호안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