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256B1 - 라돈 차단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라돈 차단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256B1
KR101478256B1 KR1020140046126A KR20140046126A KR101478256B1 KR 101478256 B1 KR101478256 B1 KR 101478256B1 KR 1020140046126 A KR1020140046126 A KR 1020140046126A KR 20140046126 A KR20140046126 A KR 20140046126A KR 101478256 B1 KR101478256 B1 KR 101478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rotruding
concave
pipe
guid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잔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연
Priority to KR1020140046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2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carrying away waste gases, e.g. flue gases; Building element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e.g. shaped bricks or se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육면체의 구조물에 있어서, 두 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형 안내부; 및 상기 돌출형 안내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나머지 두 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오목형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의 측면은 상기 구조물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이프 삽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의 저면은 구조물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체 유입구가 형성되는 라돈 차단용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라돈 차단용 구조물{Structure for Blocking Radon}
본 발명은 라돈 차단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양으로부터 배출되는 라돈을 외부와 차단할 수 있는 라돈 차단용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결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라돈(Rn)은 강한 방사선을 방출하는 비활성 기체 원소로, 우라늄과 토륨의 방사성 붕괴 사슬에서 라듐(Ra)을 거쳐 생성되는 물질을 말한다. 라돈은 화강암, 인광석, 석회석, 변성암 및 흙 등으로 구성된 토양에 포함된 전구물질인 라듐으로부터 방출되고, 미국환경보호국은 라돈 흡입은 흡연 다음으로 주요한 폐암의 원인이 된다고 경고하고 있다.
특히, 라돈이 많이 배출되는 토양에 건축물을 시공하였을 때 건축물 지하에 라돈이 축적되고, 상기 축적된 라돈이 건축물 내부로 유입될 경우 내부 공기 중에 라돈이 고농도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고농도 라돈은 건축물의 거주자가 흡입하는 경우 폐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건축물의 시공시 토양으로부터 라돈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40927호는 라돈 가스 배출용 마감재로서, 라돈 가스를 포함한 유해 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판 형상의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선단면이 건물의 바닥 슬래브, 벽면 및 천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과 밀착하여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과 밀착면 사이로 건물의 내부로 유입된 라돈 가스의 배출용 이동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라돈 가스 배출용 마감재와 이를 이용한 유해 물질 배출 시스템 및 시공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40927호의 종래기술은 라돈 가스 배출용 마감재가 접착부 또는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마감재와 마감재 사이로 라돈 가스가 배출되기 쉽고, 마감재의 상호 결합이 어려우며, 배기관과 마감재의 연결 및 밀폐가 어려워 효과적인 라돈 차단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호 결합이 용이하고, 상호 결합에 의한 라돈 차단 효과가 우수하며, 파이프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성이 우수하며, 내부에 다수의 파이프를 시공하여도 파이프의 충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라돈 차단용 구조물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 결합이 용이한 라돈 차단용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호 결합에 의한 라돈 차단 효과가 우수한 라돈 차단용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이프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성이 우수한 라돈 차단용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에 다수의 파이프를 시공하여도 파이프의 충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라돈 차단용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돈 차단용 구조물은, 직육면체의 구조물에 있어서, 두 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형 안내부; 및 상기 돌출형 안내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나머지 두 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오목형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의 측면은 상기 구조물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이프 삽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의 저면은 구조물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체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돌출형 안내부 및 한 쌍의 오목형 안내부는, 상기 구조물의 일측면에 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돌출형 수평 안내부(111); 상기 돌출형 수평 안내부의 마주보는 측면에 상기 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오목형 수평 안내부(112); 상기 돌출형 수평 안내부 및 오목형 수평 안내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어느 하나의 측면에 상기 구조물의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돌출형 수직 안내부(121); 및 상기 돌출형 수직 안내부의 마주보는 측면에 상기 구조물의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오목형 수직 안내부(1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 삽입구는 돌출형 수평 안내부(111) 및 오목형 수평 안내부(112)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파이프 삽입구(13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 삽입구는 돌출형 수직 안내부(121) 및 오목형 수직 안내부(122)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구조물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파이프 삽입구(1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돌출형 안내부는 구조물의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형 수직 안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오목형 안내부는 구조물의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오목형 수직 안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돌출형 수직 안내부는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오목형 수직 안내부는 상기 한 쌍의 돌출형 수직 안내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두 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돌출형 안내부 및 한 쌍의 오목형 안내부는 외광내협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돈 차단용 구조물은, 상기 파이프 삽입구에 삽입되는 파이프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고정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이프 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 고정부재는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돈 차단용 구조물은, 파이프의 외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이프 통공을 가지는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호 결합이 쉽고, 상호 결합에 의한 라돈 차단 효과가 우수하며, 파이프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성이 우수하며, 내부에 다수의 파이프를 시공하여도 파이프의 충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라돈 차단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돈 차단용 구조물의 상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돈 차단용 구조물의 저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돈 차단용 구조물의 평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돈 차단용 구조물을 수평 방향으로 상호 결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돈 차단용 구조물을 수직 방향으로 상호 결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라돈 차단용 구조물을 수직 방향으로 상호 결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돈 차단용 구조물에 파이프 고정부재 및 파이프를 삽입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파이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절단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라돈 차단용 구조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돈 차단용 구조물은,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두 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형 안내부; 및 상기 돌출형 안내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나머지 두 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오목형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의 측면은 상기 구조물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이프 삽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의 저면은 구조물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체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돈 차단용 구조물의 상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돈 차단용 구조물의 저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돈 차단용 구조물의 평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한 쌍의 돌출형 안내부 및 한 쌍의 오목형 안내부는, 구조물의 일측면에 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돌출형 수평 안내부(111); 상기 돌출형 수평 안내부(111)의 마주보는 측면에 상기 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오목형 수평 안내부(112); 상기 돌출형 수평 안내부(111) 및 오목형 수평 안내부(112)가 형성되지 아니한 하나의 측면에 상기 구조물의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돌출형 수직 안내부(121); 및 상기 돌출형 수직 안내부(121)의 마주보는 측면에 상기 구조물의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오목형 수직 안내부(122);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삽입구는 제1 파이프 삽입구(131) 및/또는 제2 파이프 삽입구(132)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 파이프 삽입구(131) 또는 제2 파이프 삽입구(132)로 구성되거나, 제1 파이프 삽입구(131)와 제2 파이프 삽입구(132)가 동시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파이프 삽입구(131)는 돌출형 수평 안내부(111) 및 오목형 수평 안내부(112)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으로, 시공 목적, 단위 구조물의 크기 및 파이프 직경 등으로 고려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삽입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파이프 삽입구(132)는 돌출형 수직 안내부(121) 및 오목형 수직 안내부(122)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구조물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으로, 돌출형 수직 안내부(121) 및 오목형 수직 안내부(122)를 기준으로 양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2 파이프 삽입구(132)의 개수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공 목적, 단위 구조물의 크기 및 파이프 직경 등으로 고려하여 시공자가 원하는 개수를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돈 차단용 구조물을 수평 방향으로 상호 결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돈 차단용 구조물을 수직 방향으로 상호 결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돈 차단용 구조물 두 개를 수평 배치할 경우, 제1 구조물(100)의 오목형 수평 안내부(112)와 제2 구조물(200)의 제2 돌출형 수평 안내부(211)는 상호 수평 결합하여 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돈 차단용 구조물 두 개를 수직 배치할 경우, 제1 구조물(100)의 돌출형 수직 안내부(121)는 제2 구조물(200)의 제2 오목형 수직 안내부(222)와 상호 수직 결합하여 체결된다. 이 과정에서 제1 구조물(100) 및 제2 구조물(200)은 상호 체결이 용이하고, 상호 결합에 의해 발생하는 틈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2 파이프 삽입구(132)와 제4 파이프 삽입구(232)가 서로 연결되고, 나머지 면은 상호 접합되어 제1 구조물(100) 및 제2 구조물(200)의 내부에 존재하는 라돈 가스가 상부 또는 측면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라돈 차단용 구조물을 수직 방향으로 상호 결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라돈 차단용 구조물은 구조물의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형 수직 안내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돌출형 안내부와, 구조물의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오목형 수직 안내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오목형 안내부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 쌍의 돌출형 수직 안내부와 한 쌍의 오목형 수직 안내부는 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한 쌍의 돌출형 수직 안내부를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각각 형성하고, 한 쌍의 오목형 수직 안내부를 상기 한 쌍의 돌출형 수직 안내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두 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라돈 차단용 구조물 두 개를 수직 배치할 경우, 하나의 구조물의 오목형 수직 안내부(122)와 다른 하나의 구조물의 제2 돌출형 수직 안내부(221)를 상호 수직 결합하여 체결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파이프 삽입구(132)와 제3 파이프 삽입구(231)는 서로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은 밀폐되기 때문에 구조물들의 내부에 존재하는 라돈 가스가 상부 또는 측면으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한 쌍의 돌출형 안내부 및 한 쌍의 오목형 안내부는 구조물들의 상호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부가 넓고, 내부가 좁은 외광내협의 구조를 가지도록 디자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돈 차단용 구조물에 파이프 고정부재 및 파이프를 삽입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파이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절단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돈 차단용 구조물의 파이프 삽입구 내부에는 하나의 파이프를 삽입할 수도 있으나 다수의 파이프를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 파이프 삽입구에 두 개의 파이프(400)를 삽입할 경우 두 개의 파이프(400)는 상호 충돌하여 파손되거나, 내부에서 이동하여 파이프의 손상 또는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라돈 차단용 구조물은 파이프 삽입구에 삽입되는 파이프 고정부재(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고정부재(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이프 삽입홀(310)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이프 고정부재(300)는 파이프(4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파이프(400)의 상호 충돌을 방지하며, 라돈 차단용 구조물의 밀폐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파이프 고정부재(300)의 소재는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라돈 차단용 구조물은, 파이프(400)의 외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이프 통공(410)을 가지는 파이프(4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라돈 차단용 구조물이 라돈이 많이 배출되는 토양 상에 시공될 경우 토양에서 배출된 라돈 가스는 파이프 통공(410)을 통하여 흡입되고, 흡입된 라돈 가스는 본 발명의 라돈 차단용 구조물의 내부에 삽입된 파이프(400)를 통하여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외기와 연결된 파이프를 통하여 대기로 방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구조물 111: 돌출형 수평 안내부
112: 오목형 수평 안내부 121: 돌출형 수직 안내부
122: 오목형 수직 안내부 131: 제1 파이프 삽입구
132: 제2 파이프 삽입구 140: 기체 유입구
200: 제2 구조물 211: 제2 돌출형 수평 안내부
212: 제2 오목형 수평 안내부 221: 제2 돌출형 수직 안내부
222: 제2 오목형 수직 안내부 231: 제3 파이프 삽입구
232: 제4 파이프 삽입구 300: 파이프 고정부재
310: 파이프 삽입홀 400: 파이프
410: 파이프 통공

Claims (10)

  1. 중공형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라돈 차단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두 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형 안내부와; 상기 돌출형 안내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나머지 두 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오목형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의 측면은 상기 구조물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이프 삽입구와; 상기 파이프 삽입구에 삽입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이프 삽입홀을 포함하는 파이프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 삽입구 내에는 외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이프 통공을 가지는 파이프가 삽입되고,
    상기 파이프 고정부재는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조물의 저면은 구조물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체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의 저면의 기체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라돈 가스는 상기 구조물에 의해 누출이 차단되고, 상기 파이프 통공을 통하여 파이프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 차단용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형 안내부 및 한 쌍의 오목형 안내부는,
    상기 구조물의 일측면에 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돌출형 수평 안내부(111);
    상기 돌출형 수평 안내부의 마주보는 측면에 상기 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오목형 수평 안내부(112);
    상기 돌출형 수평 안내부 및 오목형 수평 안내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어느 하나의 측면에 상기 구조물의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돌출형 수직 안내부(121); 및
    상기 돌출형 수직 안내부의 마주보는 측면에 상기 구조물의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오목형 수직 안내부(1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 차단용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삽입구는 돌출형 수평 안내부(111) 및 오목형 수평 안내부(112)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파이프 삽입구(13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 차단용 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삽입구는 돌출형 수직 안내부(121) 및 오목형 수직 안내부(122)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구조물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파이프 삽입구(1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 차단용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형 안내부는 구조물의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형 수직 안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오목형 안내부는 구조물의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오목형 수직 안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 차단용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형 수직 안내부는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오목형 수직 안내부는 상기 한 쌍의 돌출형 수직 안내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두 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 차단용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형 안내부 및 한 쌍의 오목형 안내부는 외광내협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 차단용 구조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46126A 2014-04-17 2014-04-17 라돈 차단용 구조물 KR101478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126A KR101478256B1 (ko) 2014-04-17 2014-04-17 라돈 차단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126A KR101478256B1 (ko) 2014-04-17 2014-04-17 라돈 차단용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256B1 true KR101478256B1 (ko) 2015-01-06

Family

ID=5258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126A KR101478256B1 (ko) 2014-04-17 2014-04-17 라돈 차단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2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5836A (zh) * 2018-03-29 2018-08-14 四川聚安惠科技有限公司 一种绿色环保高效阻氡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034682B1 (ko) 2019-05-10 2019-11-18 윤정익 라돈을 저감시키기 위한 천연대리석 코팅방법
CN110612698A (zh) * 2017-05-22 2019-12-24 株式会社Fns价值 通过组合多用户的认证因素生成安全密钥的安全认证系统及安全认证方法
KR20200083040A (ko) * 2018-12-31 2020-07-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라돈흡착형 방라돈 목재플라스틱 복합체 패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5888B2 (ja) * 1989-03-31 1998-09-10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被覆配管の固定方法
KR20060027756A (ko) * 2004-09-23 2006-03-28 박정권 지지패널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체 시공방법
KR20120040927A (ko) * 2010-10-20 2012-04-30 조승연 라돈 가스 배출용 마감재와 이를 이용한 유해 물질 배출 시스템 및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5888B2 (ja) * 1989-03-31 1998-09-10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被覆配管の固定方法
KR20060027756A (ko) * 2004-09-23 2006-03-28 박정권 지지패널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체 시공방법
KR20120040927A (ko) * 2010-10-20 2012-04-30 조승연 라돈 가스 배출용 마감재와 이를 이용한 유해 물질 배출 시스템 및 시공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2698A (zh) * 2017-05-22 2019-12-24 株式会社Fns价值 通过组合多用户的认证因素生成安全密钥的安全认证系统及安全认证方法
CN110612698B (zh) * 2017-05-22 2021-05-11 株式会社Fns价值 通过组合多用户的认证因素生成安全密钥的安全认证系统及安全认证方法
CN108395836A (zh) * 2018-03-29 2018-08-14 四川聚安惠科技有限公司 一种绿色环保高效阻氡材料及其制备方法
KR20200083040A (ko) * 2018-12-31 2020-07-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라돈흡착형 방라돈 목재플라스틱 복합체 패널
KR102171485B1 (ko) * 2018-12-31 2020-10-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라돈흡착형 방라돈 목재플라스틱 복합체 패널
KR102034682B1 (ko) 2019-05-10 2019-11-18 윤정익 라돈을 저감시키기 위한 천연대리석 코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256B1 (ko) 라돈 차단용 구조물
KR101245143B1 (ko) 라돈 가스 배출용 마감재와 이를 이용한 유해 물질 배출 시스템 및 시공 방법
PH12019501838A1 (en) Construction system for building a module of a dwelling
JP2009041229A (ja) 遮水材の漏水監視システム及び漏水検知方法、並びに遮水壁
JP2008150790A (ja) 建物における断熱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473856Y1 (ko) 대구경 공공관정 밀폐식 지하수 정호커버
KR101715241B1 (ko) 향음 기능을 갖는 흡음장치
GB2518747A (en) Radiation protection device
JP6233769B2 (ja) 落石防止柵
KR100913547B1 (ko) 배수재 매설시공장비
KR200489824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JP4822947B2 (ja) 遮水壁の構築方法及び液状化抑止方法
KR101950200B1 (ko) 소음 및 암석비산 방지 안전매트
FI128880B (en) Water drainage system
KR20150002800U (ko) 라돈 배출장치
PT2201407E (pt) Processo de determinação da dose de radiação e processo de determinação da curva de isodoses associada
KR200470204Y1 (ko) 그라우팅 주입용 체크밸브
KR102030550B1 (ko) 건물 지하의 토양속 라돈 제거용 포집 장치
KR20170042030A (ko) 건축물 내외장용 패널
KR20170121826A (ko) 가설용 에어펜스
KR101803277B1 (ko) 발파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굴착공법
CN207816866U (zh) 车辆检测系统及其探测器臂
KR20200104762A (ko) 라돈가스 배출용 모듈러
CN109680724A (zh) 大范围地下水隔水膜密封装置及其施工方法
KR100733791B1 (ko) 방사선 차폐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