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264B1 -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 - Google Patents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264B1
KR102458264B1 KR1020200125375A KR20200125375A KR102458264B1 KR 102458264 B1 KR102458264 B1 KR 102458264B1 KR 1020200125375 A KR1020200125375 A KR 1020200125375A KR 20200125375 A KR20200125375 A KR 20200125375A KR 102458264 B1 KR102458264 B1 KR 102458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upport
stretcher body
shaf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2506A (ko
Inventor
최장원
Original Assignee
경상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남도 filed Critical 경상남도
Priority to KR1020200125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264B1/ko
Publication of KR20220042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2Stretchers with wheels
    • A61G1/0275Stretchers with wheels having driven wheels, e.g. motor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2Stretchers with wheels
    • A61G1/0281Stretchers with wheels having a steer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은 예를 들어, 환자가 누울 수 있는 판상의 들것본체, 들것본체의 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들것본체를 하방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부, 복수의 다리부 각각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부 및 일측이 들것본체 와 복수의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축과, 적어도 하나의 지지축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탱크형바퀴를 포함하는 무한궤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Main Stretcher with Tank Wheel Type Transport}
본 발명은 항염증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에 대한 것이다.
화재가 발생하거나 응급한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 환자를 이송하게 되는 구급활동을 하게 되는데 주들것을 이용하게 된다. 주들것은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하는 들것본체, 들것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지지다리 및 본체지지다리의 하방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바퀴로 이루어진다. 환자를 실고 복도를 이동하는 경우에는 본체지지다리를 들것본체로부터 내리고 바퀴를 바닥에 누르게 하여 들것본체를 밀면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계단으로 환자를 이송해야하는 경우에는 본체지지다리를 들것본체로 올린 상태에서 구급소방대원이 들것본체의 전방과 후방에서 들고 이동한다.
그러나 이렇게 환자가 누워있는 들것본체를 손으로 든 상태에서 계단을 내려가는 알은 매우 위험하며 어려운 일이다. 특히, 앞에서 들것본체를 손으로 들고 있는 구급 소방대원은 뒤로 이동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넘어지거나 하는 경우에 따라서 부상이 많이 발생한다. 이는 계단을 내려가면서 환자가 누워있는 들것본체의 안정을 가장 우선으로 하고 있으므로 발생될 수 있는 사고들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계단과 같은 불안정한 바닥면에서도 안정되게 하방지지되도록 하는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환자가 누울 수 있는 판상의 들것본체; 상기 들것본체의 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들것본체를 하방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부; 상기 복수의 다리부 각각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부; 및 일측이 상기 들것본체 와 상기 복수의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축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탱크형바퀴를 포함하는 무한궤도를 포함하는,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축은, 상기 들것본체에 결합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연결되며, 수직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대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들것본체와 상기 고정축 사이에 개재되는 유압스프링을 포함하는 완충스프링; 및 상기 고정축을 길이방향으로 수용하는 실린더 형상의 유압완충축을 포함하는,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한궤도는, 상기 유압완충축의 유압완충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조절부를 포함하는,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축은 상기 무한궤도의 길이방향에 따른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되며,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축은 길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한궤도는 상기 들것본체와 상기 복수의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탈장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한궤도는 상기 무한궤도를 들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한궤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축이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축이 수용 장착 고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장착부를 포함하는 지지본체를 포함하는,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들것본체는 절첩 가능하게 마련되는,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형바퀴를 구동시키는 바퀴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평한 바닥면과 계단과 같은 평평하지 않은 바닥면에서 복수의 다리부와 바퀴 또는 무한궤도를 이용하여 안정되게 환자를 이송시킬 수 있으며 구급 소방대원의 부상을 감소시켜 줄 수 있으므로 환자 이송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구급 소방대원의 사고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들것본체 이동 시 하방에 대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안정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의 구성개략도이다.
도 3은 완충부의 동작도이다.
도 4는 변형 주들것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무한궤도의 지지본체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무한궤도의 지지본체 변형 예시도이다.
도 7은 변형 지지본체의 상세예시도이다.
도 8은 절첩 가능한 들것본체의 동작도이다.
도 9는 제어블록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 '고정',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결합, 고정,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측, 타 측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1)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1)의 구성개략도이고, 도 3은 완충부(312)의 동작도이며, 도 4는 변형 주들것(1)의 예시도이고, 도 5는 무한궤도(30)의 지지본체(34)의 상세도이며, 도 6은 무한궤도(30)의 지지본체(34) 변형 예시도이고, 도 7은 변형 지지본체(34)의 상세예시도이며, 도 8은 절첩 가능한 들것본체(10)의 동작도이고, 도 9는 제어블록이다.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1)은 들것본체(10), 다리부(20), 무한궤도(30), 바퀴부(40), 바퀴구동부(50), 연결부재(60), 회전구동부(70), 절첩구동부(72), 전원공급부(74), 유압공급부(76) 및 제어부(80)를 포함한다.
들것본체(10)는 환자가 누울 수 있는 판상의 형상을 이룬다. 판상의 외곽연부를 따라 배치된 프레임, 프레임의 중앙영역의 받침부 및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받침부에 접근된 위치에서 받침부에 대하여 기립한 형태로 회전 되어 환자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부롤 이루어질 수 있다. 들것본체(10)는 지지축연결부(101)과 절첩연결부(102)를 포함한다.
지지축연결부(101)는 후술할 무한궤도(30)의 지지축(31)이 들것본체(10)에 연결되기 위한 구성이다. 지지축연결부(101)는 지지축(3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절첩연결부(102)는 들것본체(10)가 절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들것본체(10)를 소정 간격으로 절첩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절첩연결부(102)는 힌지결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리부(20)는 복수로 마련되어 들것본체(10)의 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들것본체(10)를 하방 지지한다. 다리부(20)는 들것본체(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상황에 따라 들것본체(10)에 대하여 회전되어 접근 절첩되기도 하고, 반대로 회전되어 이격 절첩되어 들것본체(10)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다리부(20)는 복수의 다리부(20)의 말단영역에 바퀴부(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바퀴연결부(201)를 갖는다.
무한궤도(30)는 탱크형 바퀴, 캐터필러 형태로 마련된다. 무한궤도(30)는 지지축(31), 탱크형 바퀴(32), 유압조절부(33), 지지본체(34), 이동손잡이(35), 축연결부(36) 및 받침지지부(37)를 포함한다.
지지축(31)은 일측이 들것본체(10)와 복수의 다리부(2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지지축(31)은 고정축(311)과 완충부(3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축(311)은 들것본체(10)에 결합되는 막대형상으로 마련된다.
완충부(312)는 고정축(311)에 연결되며, 수직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대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완충부(312)는 완충스프링(312-1) 및 유압완충축(3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스프링(312-1)은 고정축(311)과 들것본체(10) 사이에 개재되어 하방으로의 완충력을 제공한다. 완충스프링(312-1)은 유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유압완충축(312-2)은 고정축(311)에 지지되어 고정축(311)을 길이방향으로 수용하는 실린더 형상을 갖고 상하방향의 완충력을 제공한다. 유압완충축(312-2)은 내부에 압축공기 내지 유압유가 수용되어 있어 고정축(311)에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저지하여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축(31)은 무한궤도(30)의 길이방향에 따른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되며,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축(31)은 길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탱크형 바퀴(32)는 캐터필러 형태의 바퀴로 마련된다. 탱크형 바퀴(32)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축(31)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탱크형 바퀴(32)는 복수로 마련되어 진행하는 방향에 대하여 양측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탱크형 바퀴(32)는 스프로켓에 의해 궤도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유압조절부(33)는 유압완충축(312-2)의 유압완충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유압조절부(33)는 유압조절레버(331)와 유압조절판(332)를 포함한다.
유압조절레버(331)는 고정축(311)의 외측을 감싸면서 유압완충축(312-2)에 수용되며 실린더 형상의 내측에 피스톤과 같은 형상을 갖는 유압조절판(332)이 연결되어 있다. 유압조절레버(331)를 유압완충축(312-2)의 축선으로 이동시켜 실린더 형상의 내측의 완충공간크기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본체(34)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축(31)과 탱크형 바퀴(32)를 연결한다. 지지본체(34)는 좌우측에 탱크형 바퀴(32)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방의 지지축(31)들이 연결될 수 있다. 지지본체(34)는 제1지지판(341), 제2지지판(342), 수용장착부(343), 봉장착부(344), 절첩힌지(345) 및 바퀴연결축(346)를 포함한다.
제1지지판(341)은 지지축(31)의 고정축(311)이 연결되며 고정축(311)을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판(342)은 바퀴연결축(346) 하단영역에 배치되어 제1지지판(341)을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수용장착부(343)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축(31)이 수용 장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도록 복수로 마련된다. 수용장착부(343)는 제1지지판(341)과 제2지지판(342)의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수용장착부(343)는 함몰방향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어 지지축(31)이 물림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봉장착부(344)는 여분의 봉 즉, 지지축 등을 장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절첩힌지(345)는 지지본체(34)가 절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 절첩부분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바퀴연결축(346)은 제1지지판(341)과 제2지지판(342) 사이에 배치되어 좌우의 탱크형 바퀴(32)에 회전 지지되도록 결합된다.
이동손잡이(35)는 무한궤도(30)를 휴대하여 들고 이동할 수 있도록 제1지지판(341)과 제2지지판(342)에 지지되어 형성될 수 있다.
축연결부(36)는 고정축(311)과 제1지지판(34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받침지지부(37)는 들것본체(10)가 절첩되는 경우 절첩연결부(102)를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들것본체(10)가 절첩되는 경우 들것본체(10)는 환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데 받침지지부(37)는 환자가 앉는 경우 하방을 지지하며 견고하게 받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무한궤도(30)는 들것본체(10)와 복수의 다리부(2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탈장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바퀴부(40)는 복수의 다리부(20) 각각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퀴구동부(50)는 탱크형 바퀴(32)를 구동시킬 수 있다. 바퀴구동부(50)는 지지본체(34)에 지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원격으로 조정될 수도 있고, 외부에 작동버튼이 있어서 작동이 될 수도 있다. 바퀴구동부(50)는 바퀴연결부(201)와 연결되는 구동축과 구동모터(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재(60)는 무한궤도(30)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무한궤도(30)를 연결하여 상호 지지되어 견고하게 하려는 구성이다. 연결부재(60)는 복수의 무한궤도(30)가 다른 높이에 놓이게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연결힌지(61)를 마련하여 복수의 무한궤도(30)가 상호 기울어지는 경우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구동부(70)는 다리부(20), 지지축(31)과 들것본체(1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다리부(20), 지지축(31)를 회전 구동할 수 있다. 회전구동부(70)는 다리부(20), 지지축(31)과 들것본체(10)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회전구동축과 회전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구동부(70)는 후술할 제어부(80)에 의해 제어되어 구동될 수 있다.
절첩구동부(72)는 절첩연결부(102)와 절첩힌지(345)에 설치되어 들것본체(10)와 지지본체(34)가 절첩되도록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절첩구동부(72)는 절첩연결부(102)와 절첩힌지(345)의 힌지축에 연결되는 회전구동축과 회전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구동부(70)는 후술할 제어부(80)에 의해 제어되어 구동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74)는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의 연결부로 마련될 수 있다.
유압공급부(76)는 압축공기 또는 유압을 공급하는 압축탱크로 마련될 수 있다. 주들것(1)이 이동하는 중에 외부로부터 압축공기나 유압유를 공급받을 수는 없으므로 유압공급부(76)는 압축공기나 유압유를 공급할 수 있는 압축탱크와 공급배관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80)는 상기의 회전구동부(70), 절첩구동부(72), 바퀴구동부(50)의 구동모터(52), 전원공급부(74) 및 유압공급부(76)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회전구동부(70), 절첩구동부(72), 바퀴구동부(50)의 구동모터(52), 전원공급부(74) 및 유압공급부(76) 각각의 작동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완충부(312)의 동작도이다.
도 3 (a) 유압조절레버(331)가 유압완충축(312-2)으로부터 하방으로 나와 있는 상태로 유압완충축(312-2) 내의 공간(A)에 압축공기 내지 유압유가 채워져 있으므로 완충력이 상승된 상태이며 지지축(31)으 전체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 (b) 유압조절레버(331)가 유압완충축(312-2)으로부터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유압완충축(312-2) 내의 공간(B)에 압축공기 내지 유압유가 채워져 있으므로 완충력이 도 3 (a)보다 감소된 상태이며 지지축(31)으 전체 길이가 도 3 (a)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무한궤도(30)의 지지본체(34)의 상세도이다.
지지본체(34)의 상면에 수용장착부(343)가 형성되어 있으며, 들것본체(10)와 분리된 지지축(31)이 축연결부(36)에 의해 지지본체(34)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회전되어 수용장착부(343)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6은 무한궤도(30)의 지지본체(34) 변형 예시도이다.
도 6 (a) 지지본체(34)가 절첩 가능하게 3개로 나뉘어 있으며, 절첩힌지(34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6 (b) 환자를 싣고 이동하는 둥에 계단을 만나게 되면 무한궤도(30)를 하방으로 위치하게 회전시킨 후 움직이게 되는데 기울기 및 바닥의 상태에 따라 지지본체(34)가 절첩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8은 절첩 가능한 들것본체(10)의 동작도이다.
도 8 (a) 무한궤도가 하방지지되도록 하는 위치에 있고, 들것본체(10)가 펴져 있는 상태이다.
도 8 (b) 사용자가 절첩연결부(102)를 중심으로 들것본체(10)의 좌측을 상방으로 절첩 회전시켜 등받이를 만들었고, 들것본체(10)의 우측을 하방으로 절첩 회전시켜 발받침을 만들었다. 이렇게 형상을 만든 후 환자를 앉히고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 (c) 이 후 등받이의 들것본체(10)를 우측하방으로 더 회전시켜 바닥면과 수평하게 위치시키고, 발받침의 들것본체(10)를 좌측상으로 회전시켜 바닥면과 수평하게 위치시켜 보관하기 쉬운 형상이 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들것본체(10)가 3등분으로 중첩 절첩되어 길이가 짧아지고, 지지축(31)도 들것본체(1)에 대하여 회전되어 절첩되므로 도 8 (c)와 같은 형태를 만들 수 있으며 이렇게 절첩되어 부피가 작아진 주들 것(1)은 소방차량에 벨트, 타이(벨크로)에 의해 기립한 상태 등 다양한 배치에서 고정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들것본체(10)와 무한궤도(30)가 분리되어 소방차량의 측벽, 의자 및 바닥면에 벨트, 타이(벨크로)에 의해 기립한 상태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들것본체(10)가 절첩된 부분이 소방차량의 바닥을 지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무한궤도(30)가 소방차량의 측벽에 기울어지게 지지되며 고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들것본체(10)와 다리부(20) 및 무한궤도(30)가 상호 절첩되어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마련되므로 최대한 부피를 줄인 상태에서 안정되게 소방차량 등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하는 방법은 다양하며 벨트, 타이(벨크로)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절첩이 되어 부피가 감소된 주들 것(1)은 다양한 형태로 소방차량에 배치되어 고정결합 즉, 장착될 수 있으며 바닥에 누워있는 배치, 기립배치 및 사선배치 등 다양한 배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예 이 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바퀴구동부(50)의 조작부는 들것본체(10)의 연부에 마련되어 소방대원이 들것본체(10)를 들고 잡는 부분에서 조작부를 누르기 쉽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압조절레버(331)의 조작을 멈추도록 할 수 있는 스토퍼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탱크형 바퀴(32)는 복수의 스프로켓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스프로켓 중 하나는 고정된 위치에서 바퀴구동부(50)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스프로켓이 있고, 유동적으로 위치가 변화될 수 있는 복수의 스프로켓이 있으며, 유동적으로 위치가 변화될 수 있는 복수의 스프로켓의 위치가 변화된 후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도록 하는 위치복귀탄성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 것 10 : 들것본체
101 : 지지축연결부 102 : 절첩연결부
20 : 다리부 201 : 바퀴연결부
30 : 무한궤도 31 : 지지축
311 : 고정축 312 : 완충부
32 : 탱크형바퀴 321 : 스프로켓
33 : 유압조절부 331 : 유압조절레버
332 : 유압조절판 34 : 지지본체
341 : 제1지지판 342 : 제2지지판
343 : 수용장착부 344 : 봉장착부
345 : 절첩힌지 346 : 바퀴연결부
35 : 이동손잡이 36 : 축연결부
37 : 받침지지부 40 : 바퀴부
50 : 바퀴구동부 60 : 연결부재
61 : 연결힌지 70 : 회전구동부
72 : 절첩구동부 74 : 전원공급부
76 : 유압공급부 80 : 제어부

Claims (10)

  1.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에 있어서,
    환자가 누울 수 있는 판상의 들것본체;
    상기 들것본체의 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들것본체를 하방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부;
    상기 복수의 다리부 각각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부; 및
    일측이 상기 들것본체 와 상기 복수의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축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탱크형바퀴를 포함하는 무한궤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은,
    상기 들것본체에 결합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연결되며, 수직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대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들것본체와 상기 고정축 사이에 개재되는 유압스프링을 포함하는 완충스프링; 및
    상기 고정축을 길이방향으로 수용하는 실린더 형상의 유압완충축을 포함하는,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는,
    상기 유압완충축의 유압완충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조절부를 포함하는,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축은 상기 무한궤도의 길이방향에 따른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되며,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축은 길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는 상기 들것본체와 상기 복수의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탈장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는 상기 무한궤도를 들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축이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축이 수용 장착 고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장착부를 포함하는 지지본체를 포함하는,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들것본체는 절첩 가능하게 마련되는,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형바퀴를 구동시키는 바퀴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
KR1020200125375A 2020-09-28 2020-09-28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 KR102458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375A KR102458264B1 (ko) 2020-09-28 2020-09-28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375A KR102458264B1 (ko) 2020-09-28 2020-09-28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506A KR20220042506A (ko) 2022-04-05
KR102458264B1 true KR102458264B1 (ko) 2022-10-24

Family

ID=81182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375A KR102458264B1 (ko) 2020-09-28 2020-09-28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2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357Y1 (ko) * 1998-05-08 2001-04-02 최동선 체인 구동식 의자
JP3181733B2 (ja) 1992-11-12 2001-07-03 雅義 久保 船載型流出油拡散防止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163U (ko) * 2007-10-09 2007-11-05 윤주선 무한궤도 바퀴 어셈블리가 장착된 개량형 휠체어 장치
JP3181733U (ja) * 2012-11-27 2013-02-21 輝昭 吉田 クローラ運搬車の車椅子装置
KR102080916B1 (ko) * 2018-02-22 2020-02-24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의자형 접철식 들것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1733B2 (ja) 1992-11-12 2001-07-03 雅義 久保 船載型流出油拡散防止幕装置
KR200217357Y1 (ko) * 1998-05-08 2001-04-02 최동선 체인 구동식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506A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7023B2 (ja) 輸送装置
US10842706B2 (en) Elevating walker chair
US5364120A (en) Mobility aid for physically disabled people
ES2303822T3 (es) Remolque para coche para niños.
US20110220427A1 (en) Powered single-wheeled self-balancing vehicle for standing user
KR102045427B1 (ko) 접이식 보행 보조기구
US8696017B2 (en) Chair with a height-adjustable seat
US20050212255A1 (en) Wheelchair provided with legrest and calfrest
US20210154065A1 (en) Elevating walker chair and convertible seat
EP2099674A1 (en) Personal vehicles
EP2897564B1 (en) A rear steer portable wheelchair
WO2021116871A1 (en) Vehicle with transforming seat
CN113101152A (zh) 一种防摔倒坐站两用的助行车
KR102233340B1 (ko) 트라이시클
KR102458264B1 (ko) 탱크 바퀴형 이동수단을 갖는 주들것
JP6523758B2 (ja) 車椅子
KR102405249B1 (ko) 가변시트를 구비한 장애물 극복형 전동 휠체어
KR101537907B1 (ko) 다기능 휠체어
CN101288616A (zh) 具有离地距离可变化的脚踏板的垂直式座椅
RU2217119C1 (ru)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KR102504147B1 (ko) 환자 이송용 스트레처
PL228166B1 (pl) Pojazd transportowy lub rehabilitacyjny dla osób z niepełnosprawnoscia ruchu
KR101336367B1 (ko) 자체구동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KR102601961B1 (ko) 휠체어용 자세 변환 장치
TWI566767B (zh) Safe wal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