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256B1 -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256B1
KR102458256B1 KR1020210013533A KR20210013533A KR102458256B1 KR 102458256 B1 KR102458256 B1 KR 102458256B1 KR 1020210013533 A KR1020210013533 A KR 1020210013533A KR 20210013533 A KR20210013533 A KR 20210013533A KR 102458256 B1 KR102458256 B1 KR 102458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terface
radiation
management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9929A (ko
Inventor
이승우
이진수
류희영
이가은
김원조
공해열
Original Assignee
(주)로딕스
울산광역시 울주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딕스, 울산광역시 울주군 filed Critical (주)로딕스
Priority to KR1020210013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256B1/ko
Publication of KR20220109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G21D3/06Safety arrangements responsive to faults within the pla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능 누출사고 시, 현장, 민간업체, 유관기관, 행정기관 및 중앙정부와 긴밀하게 연동하여 경보, 대피유도, 피폭현황, 교통정보 및 영상 제공을 통해 통합적인 지휘 및 통제서비스를 제공으로써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여 인명/재산피해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비상대응절차 및 조치사항 수행을 효과적으로 지원하여 지휘 및 통제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통합관제서버가 각 관련시스템을 관리 및 제어하는 컨트롤 타워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종래에 방사능 누출 사고에 대한 각 관련시스템의 서로 다른 정보 및 대처방안 제공으로 인한 이재민의 혼란, 시간소모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 및 절감시킬 수 있는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Smart radioactive prevention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방사능 누출사고 시, 현장, 민간업체, 유관기관, 행정기관 및 중앙정부와 긴밀하게 연동하여 경보, 대피유도, 피폭현황, 교통정보 및 영상 제공을 통해 통합적인 지휘 및 통제서비스를 제공으로써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여 인명/재산피해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비상대응절차 및 조치사항 수행을 효과적으로 지원하여 지휘 및 통제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은 우라늄을 인위적으로 연속적인 붕괴를 일으켜 열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생성된 고온 및 고압의 증기로 발전기와 연결된 터빈을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설비이다. 이때 우라늄이 붕괴되는 과정에서 다량의 방사성 물질이 생성된다.
이러한 방사능 누출사고는 일반적인 사고와는 달리, 누출된 방사성물질이 공기 중에서 원거리까지 이동 및 확산되어 인체에 직접적으로 방사선 피폭을 주거나 또는 지표면에 침적되어 반감기에 따라 장기간에 걸쳐 방사선 피폭을 유발하여 직간접적으로 매우 큰 피해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방사능물질은 작게는 핵연료 또는 핵연료 봉의 누출방지수단과, 크게는 원자로 용기 및 격납건물 등의 누출방지수단에 의해 보호되어 외부로의 방사능 누출에 대한 철저한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운영되고 있으나, 지진, 쓰나미, 안전사고 등의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인해 이러한 누출방지수단의 보호가 실패하는 경우,심각한 피해를 초래하기 때문에 방사능 누출 사고 시, 피폭영역에 위치한 사람들을 안전한 지대로 신속하게 대피시킴과 동시에 피폭현황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2037204호(발명의 명칭 : 실 지형, 실시간 교통 및 기상 정보 및 예보에 따른 대피 통제 기능을 가진 통합원자력방재시스템)에 개시된 통합원자력방재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의 통합원자력방재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900)은 대기확산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대별 지정공간의 방사능 농도를 검출하는 대기정보처리부(910)와, 교통통제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Agent)의 시간대별 위치를 검출하는 도로네트웍정보처리부(920)와, 시간대별 지정공간의 방사능 농도 및 대상의 시간대별 위치를 통합하여 각 대상별 방사능 피폭량을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모든 대상에 대한 전체 집단의 방사능 피폭량을 산출하는 통합부(930)와, 통합부(930)에서 산출된 결과에 근거하여 대상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처리부(94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900)은 원자력시설의 방사능 재난 사고 시 방사선학적 정보, 기상정보 및 실제 지형을 고려한 도로네트웍정보를 이용하여 주민의 대피 및 소개를 통제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최근 들어, 통신 인프라가 확장되고 각종 센싱기술 및 전자디바이스 산업이 기하급수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중앙정부, 지역 행정기관, 지역 유관기관 및 민간업체 등에서는 자체적인 네트워크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다양한 감지수단(CCTV, 센서 등)들 및 표출수단(문자전송, SNS, 도로전광판, 경고사이렌, 대피방송 등)을 자체적으로 관리 및 제어하고 있고, 이에 따라 방사능 누출 사고와 같은 대형 재난 사고 시, 이러한 시스템들을 통합적으로 운영하여 신속한 지휘 및 통제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나, 종래기술(900)에는 중앙정부, 지역 행정기관, 지역 유관기관 및 민간업체 등의 관련 시스템들과 연동하여 통합적으로 방재를 지휘 및 통제하기 위한 기술 및 방법이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아 방재 및 대피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며, 이재민의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불필요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900)은 대기정보처리부(910)가 방사능 농도를 검출할 때, 대기확산 정보를 이용하여 방사능 농도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어 방사능 농도를 단순히 예측하는 것이기 때문에 측정된 방사능 농도와 실제 방사능 농도의 오차가 큰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에 따라 서비스의 정확성 및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다시 말하면, 방사능 방재시스템에 있어서, 로우데이터인 각 지역별 방사능 농도는 각종 다양한 응용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각 지역별 방사능 농도를 얼마나 정확하게 검출하는지가 해당 방재시스템의 신뢰도를 결정하게 되는데, 종래기술(900)에는 이러한 방사능 농도 검출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 및 방법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900)은 단순히 각 도로의 정체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제공되는 정보의 구체성 및 방향성이 떨어지고, 이러한 모호한 안내는 대피효과가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사고 피해를 키울 수 있으며, 방재 지휘 및 통제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방사능 누출사고 시, 현장, 민간업체, 유관기관, 행정기관 및 중앙정부와 긴밀하게 연동하여 경보, 대피유도, 피폭현황, 교통정보 및 영상 제공을 통해 통합적인 지휘 및 통제서비스를 제공으로써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여 인명/재산피해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비상대응절차 및 조치사항 수행을 효과적으로 지원하여 지휘 및 통제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통합관제서버가 각 관련시스템을 관리 및 제어하는 컨트롤 타워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종래에 방사능 누출 사고에 대한 각 관련시스템의 서로 다른 정보 및 대처방안 제공으로 인한 이재민의 혼란, 시간소모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 및 절감시킬 수 있는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방사능 누출 사고 시, 민간업체, 유관기관, 행정기관 및 중앙정부 등의 관련시스템들과 긴밀하게 연동, 상세하게로는 각 관련시스템에서 검출된 수집데이터 및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분석하여 유효정보를 생성함과 동시에 생성된 유효정보를 관련시스템들로 전송하여 각 관련시스템에서 자체적인 정보제공수단 및 방식을 통해 유효정보를 이재민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데이터 수집 및 제공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정보 제공을 통해 이재민의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통합관제서버가 통합 방재 지휘 및 통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이하 방재 관리프로그램이라고 함)을 활용하여, 관련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시각화 및 이미지화하여 전시함과 동시에 관리요원(user)의 요청에 따른 연산처리 및 이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들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통합 방재를 위한 관리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관리 프로그램이 지역 및 위치별로 각 감지수단의 상태정보, 각 표출수단의 상태정보, 대피상황, 대피유도, 피폭상황, 교통상황 등의 유효정보를 가상맵에 맵핑(Mapping)하여 GUI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관리요원(user)의 정보 인지의 정확성 및 신속성을 극대화시켜 후속대처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방사능 누출 사고 시, 현장에 설치된 방사능센서들을 이용하여 방사능 농도 값을 측정함과 동시에 도로를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방사능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방사능 농도 값 및 도로영상을 분석하여 각 영역(S)의 피폭현황과 대피현황을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어 정보제공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 인력이 투입되지 않아도 운영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인력소모 및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방사능 누출 사고 시, 방사능 현황 및 이재민의 대피를 통합 지휘하는 통합관제서버를 포함하는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각 지역별 각 구호소의 위치정보와, 방사능 누출 위치에 따른 각 영역별 최적 구호소 및 집결지가 매칭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기 제작된 관리프로그램을 관리 및 운영하는 프로그램 관리 및 운영부; 방사능 누출 사고 시, 해당 지역 행정망 서버와 해당 지역 유관기관 서버들과 연동하는 관련기관 연동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방사능 누출 위치에 따른 각 영역별 최적 구호소 및 집결지가 매칭된 매칭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영역별 구호소 및 집결지를 결정하는 대피장소 결정부; 상기 대피장소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집결지로 전세버스가 출동되도록 하는 제어부; 기 제작된 관리프로그램을 관리 및 제어하는 프로그램 관리 및 운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역 행정망 서버로부터 해당 지역의 CCTV들에 의해 촬영된 CCTV 영상을 전송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상기 관리프로그램은 최초 실행 시, 단말기의 모니터에 전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인 대시보드 인터페이스와, 상기 대시보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바에 따른 응답데이터가 전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상세정보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고, 상기 대시보드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종류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한 제1 전시란과, 해당 지역의 행정구역들이 표시된 가상맵이 중앙에 전시되는 제2 전시란과, 방사능 영향평가가 전시되는 제3 전시란과, 비상연락망이 전시되는 제4 전시란과, 상기 제2 전시란의 가상맵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행정구역에 대한 정보가 전시되는 제5 전시란과, 방사선 감시망 정보가 전시되는 제6 전시란을 포함하고, 상기 상세정보 인터페이스들은 상기 대시보드 인터페이스에서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방사능 누출상태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며, 방사능 누출위치 및 방사능 누출위치로부터 반경정보가 맵핑된 가상맵이 전시되는 제1 인터페이스; 상기 대시보드 인터페이스에서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행정구역 지도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며, 해당 지역의 행정구역의 위치가 분류되어 맵핑된 가상맵이 전시되는 제2 인터페이스; 상기 대시보드 인터페이스에서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집결지 또는 구호소 정보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며, 상기 대피장소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집결지들 또는 구호소들 각각의 실제 위치가 맵핑된 가상맵과, 각 구호소 또는 각 집결지의 상세정보가 전시되는 정보란이 노출되는 제3 인터페이스; 상기 대시보드 인터페이스에서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구호소정보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며, 각 구호소의 위치가 맵핑된 가상맵과, 각 구호소의 상세정보가 전시되는 정보란이 노출되는 제4 인터페이스; 상기 대시보드 인터페이스에서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전세버스 현황 정보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출동된 전세버스들의 위치를 추적하여 각 전세버스의 현재 위치가 맵핑된 가상맵과, 각 전세버스의 상세정보가 전시되는 정보란이 노출되는 제5 인터페이스;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CCTV영상을 요청받을 때 제공되며, 각 CCTV의 실제 위치가 맵핑되는 가상맵과, 각 CCTV의 상세정보가 전시되는 정보란이 노출되고, 정보란의 CCTV 리스트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때, 해당 CCTV의 영상을 팝업 방식으로 노출시키는 제6 인터페이스;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전광판정보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며, 각 전광판의 실제 위치가 맵핑되는 가상맵과, 각 전광판의 상세정보가 전시되는 정보란이 노출되는 제7 인터페이스;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비상경보장치 정보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며, 각 비상경보장치의 실제 위치가 맵핑되는 가상맵과, 각 비상경보장치의 상세정보가 전시되는 정보란이 노출되는 제8 인터페이스;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대피경로 정보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며, 대피경로가 맵핑된 가상맵이 전시되는 제9 인터페이스;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오염도 체크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며, 원전(P)을 기준으로 반경 30km의 거리를 기준으로 16방위를 5km 단위의 섹터(S)로 나누어서 오염도가 표시되는 제10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0 인터페이스는 섹터(S)들 중 어느 하나가 관리요원에 의해 클릭되면, 오염된 지역의 색상으로 변경되고, 오염된 지역의 색상으로 표시되는 섹터(S)가 관리요원에 의해 클릭되면, 오염된 색상이 해제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은 기 설정된 영역별로 설치되는 방사능센서들과, CCTV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방사능 누출 사고 시, 상기 방사능센서들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별로 방사능 농도 값을 전송받으며, 상기 CCTV들로부터 현장영상을 전송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현장장비 관리부; 상기 방사능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각 영역별 방사능 농도 값과, 각 영역(S)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방사능이 누출된 위치를 중심으로 인접한 영역의 방사능 농도 값이 매칭된 피폭현황정보를 생성하는 피폭현황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방사능 누출사고 시, 현장, 민간업체, 유관기관, 행정기관 및 중앙정부와 긴밀하게 연동하여 경보, 대피유도, 피폭현황, 교통정보 및 영상 제공을 통해 통합적인 지휘 및 통제서비스를 제공으로써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여 인명/재산피해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비상대응절차 및 조치사항 수행을 효과적으로 지원하여 지휘 및 통제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합관제서버가 각 관련시스템을 관리 및 제어하는 컨트롤 타워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종래에 방사능 누출 사고에 대한 각 관련시스템의 서로 다른 정보 및 대처방안 제공으로 인한 이재민의 혼란, 시간소모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 및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사능 누출 사고 시, 민간업체, 유관기관, 행정기관 및 중앙정부 등의 관련시스템들과 긴밀하게 연동, 상세하게로는 각 관련시스템에서 검출된 수집데이터 및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분석하여 유효정보를 생성함과 동시에 생성된 유효정보를 관련시스템들로 전송하여 각 관련시스템에서 자체적인 정보제공수단 및 방식을 통해 유효정보를 이재민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데이터 수집 및 제공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정보 제공을 통해 이재민의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합관제서버가 통합 방재 지휘 및 통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이하 방재 관리프로그램이라고 함)을 활용하여, 관련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시각화 및 이미지화하여 전시함과 동시에 관리요원(user)의 요청에 따른 연산처리 및 이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들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통합 방재를 위한 관리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 프로그램이 지역 및 위치별로 각 감지수단의 상태정보, 각 표출수단의 상태정보, 대피상황, 대피유도, 피폭상황, 교통상황 등의 유효정보를 가상맵에 맵핑(Mapping)하여 GUI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관리요원(user)의 정보 인지의 정확성 및 신속성을 극대화시켜 후속대처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2037204호(발명의 명칭 : 실 지형, 실시간 교통 및 기상 정보 및 예보에 따른 대피 통제 기능을 가진 통합원자력방재시스템)에 개시된 통합원자력방재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를 설명하기 위한 관계도이다.
도 4는 도 2의 통합관제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프로그램 관리 및 운영부에서 운영하는 관리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대시보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제1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제2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제3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제4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5의 제5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5의 제6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도 5의 제7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는 도 5의 제8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는 도 5의 제9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6은 도 5의 제10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를 설명하기 위한 관계도이다.
도 2와 3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1)은 방사능 누출사고 시, 현장, 민간업체, 유관기관, 행정기관 및 중앙정부와 긴밀하게 연동하여 경보, 대피유도, 피폭현황, 교통정보 및 영상 제공을 통해 통합적인 지휘 및 통제서비스를 제공으로써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여 인명/재산피해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비상대응절차 및 조치사항 수행을 효과적으로 지원하여 지휘 및 통제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며, 통합관제서버(3)가 각 관련시스템을 관리 및 제어하는 컨트롤 타워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종래에 방사능 누출 사고에 대한 각 관련시스템의 서로 다른 정보 및 대처방안 제공으로 인한 이재민의 혼란, 시간소모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 및 절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1)은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관제서버(3)와, 기상DB서버(7), 교통DB서버(8), 클라이언트(9), 지역행정망 서버(11), 지역 유관기관 서버(12), 중앙 유관기관 서버(13), 중앙 재난안전 대책본부 서버(14), 현장장비(15), 통신망(1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기상DB서버(7), 교통DB서버(8), 지역행정망 서버(11), 지역 유관기관 서버(12), 중앙 유관기관 서버(13), 중앙 재난안전 대책본부 서버(14), 현장장비(15), 기상DB서버(7), 교통DB서버(8)를 관련시스템이라고 명칭하기로 한다.
통신망(10)은 통합관제서버(3), 클라이언트(9) 및 관련시스템(기상DB서버(7), 교통DB서버(8), 지역행정망 서버(11), 지역 유관기관 서버(12), 중앙 유관기관 서버(13), 중앙 재난안전 대책본부 서버(14) 및 현장장비(15)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며, 상세하게로는 광역 통신망(WAN)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망, 3G, 4G, 5G, LT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합관제서버(3)는 방사능 방재 지휘 및 통제를 관리 및 제어하는 서버이며, 상세하게로는 방사능 누출 사고 시, 현장 및 관련시스템(7), (8), (11), (12), (13), (14), (15)들과 긴밀하게 연계하여 각 관련시스템에서 검출된 수집데이터 및 상태정보를 모니터링 함과 동시에 이를 가공 및 분석하여 이에 대한 후속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여 인명/재산피해를 최소화하며, 비상대응절차 및 조치사항 수행을 효과적으로 지원하여 지휘 및 통제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기상DB서버(7)는 각 지역별 기상정보인 기상DB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서버이며, 상세하게로는 기상청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기상DB라고 함은 각 지역별, 강수량, 강우량, 온도, 풍향, 풍속, 대기흐름 등을 포함한다.
또한 기상DB서버(7)는 주기적으로 통합관제서버(3)로 기상DB를 제공한다.
교통DB서버(8)는 각 도로구간별 교통정보인 교통DB를 생성 및 갱신하여 저장하는 서버이며, 상세하게로는 경찰청 교통정보센터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교통DB라고 함은 각 도로구간별 정체율, 통행량, 속도, 사고여부 등을 포함한다.
또한 교통DB서버(8)는 주기적으로 통합관제서버(3)로 교통DB를 제공한다.
지역행정망 서버(11)는 기 구축되어 있는 각 지역의 행정기관의 서버이며, 상세하게로는 휴대폰 재난문자 전송시스템(111), 음성통보 발령시스템(112), CCTV 관제시스템(113), 전광판 재난문자 전송시스템(114)을 관리 및 제어한다.
이때 지역행정망 서버(11)는 동사무소 등의 하위 행정구역 서버(미도시)들과, 해당 지역에 설치된 전광판 및 CCTV 등의 장비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지역행정망 서버(11)는 통합관제서버(3)로부터 특정 장비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요청받은 제어내용에 따라 해당 특정 장비를 동작시킨 후, 이에 대한 응답데이터인 상태정보를 통합관제서버(3)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지역행정망 서버(11)는 통합관제서버(3)로부터 문자에 대피경로안내 문자를 전송하라는 제어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휴대폰 재난문자 전송시스템(111)을 구동시켜 해당 지역의 이재민들에게 대피경로 문자가 전송되도록 한 후, 문자전송이 완료되었다는 상태정보를 통합관제서버(3)로 전송한다.
지역 유관기관 서버(12)는 해당 지역의 이재민의 피난에 관련된 장비, 정보수집, 정보제공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유관기관의 서버이며, 상세하게로는 이재민 구호소 전용장비 시스템(121), 방사능 영향평가시스템(KINS)(122), 비상경보 방송시스템(123)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역 유관기관 서버(12)는 방사능 누출 사고 시, 통합관제서버(3)와 통신망(10)으로 연결되어 통합관제서버(3)의 관리 및 제어에 따라 운영된다
중앙 유관기관 서버(13)는 전국적으로 이재민의 피난에 관련된 장비, 정보수집, 정보제공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유관기관의 서버이고, 중앙 재난안전 대책본부 서버(14)는 중앙정부에서 운영하는 재난안전의 대책본부의 서버이다.
현장장비(15)는 통합관제서버(3)와 연결되어 현장의 상황을 통합관제서버(3)로 전달하는 장비들을 의미하며, 상세하게로는 현장에 설치된 방사능센서(151)들, 현장요원의 스마트폰(152) 및 현장요원의 무전기(153) 등으로 이루어진다.
클라이언트(9)는 통합관제서버(3)에 접속하여 통합관제서버(3)로부터 방사능 누출에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며, 통합관제서버(3)로부터 요청데이터에 따른 응답데이터를 제공받는 단말기이며, 상세하게로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데스크톱-PC, 노트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통합관제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통합관제서버(3)는 방사능 누출 사고 시,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 서비스 및 컨트롤 타워(Control tower)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이다.
또한 통합관제서버(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와, 데이터베이스부(31), 통신 인터페이스부(32), 프로그램 관리 및 운영부(33), 관련기관 연동부(34), 상황정보 공유부(35), 현장장비 관리부(36), 대피장소 결정부(38), 기상DB 수집부(39), 교통DB 수집부(40), 피폭현황정보 수신부(41), 대피현황정보 생성부(42), 모니터링부(43)로 이루어진다.
제어부(30)는 통합관제서버(3)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31), (32), (33), (34), (35), (36), (38), (39), (40), (41), (42), (43)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는 방사능 누출 사고 시, 제어대상(33), (34), (35), (36), (38), (39), (40), (41), (42), (43)들을 실행시킨다.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기 제작된 해당 지역의 주제도와, 주제도의 실제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게 제작된 가상맵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기 제작된 관리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지역행정망 서버(11)로부터 전송받은 CCTV 영상과, 후술되는 현장장비 관리부(36)에 의해 현장의 CCTV들로부터 전송받은 현장영상들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기상DB 서버(7) 및 교통DB 서버(8)로부터 전송받은 기상DB 및 교통DB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방사능 누출 위치정보와, 현장장비의 방사능센서(151)들에 의해 측정된 영역별 방사능 농도값들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방사능 누출 위치에 따른 각 영역별 최적 구호소 및 집결지가 매칭되어 저장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2)는 기상DB서버(7), 교통DB서버(8), 클라이언트(9), 지역행정망 서버(11), 지역 유관기관 서버(12), 중앙 유관기관 서버(13), 중앙 재난안전 대책본부 서버(14), 현장장비(15)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프로그램 관리 및 운영부(33)는 관리 프로그램(20)을 관리 및 운영한다.
이때 관리 프로그램(20)은 관리요원(User) 및 통합관제서버(3)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방사능 방재 지휘 및 통제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도 5는 도 4의 프로그램 관리 및 운영부에서 운영하는 관리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관리 프로그램(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실행 시, 단말기의 모니터에 전시되어 통상의 대시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인 대시보드 인터페이스(21)와, 대시보드 인터페이스(21)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연산처리 및 응답데이터가 전시되는 GUI인 제1, ..., N 인터페이스(22-1), ..., (22-N)들을 제공한다.
이때 제1, ..., N 인터페이스(22-1), ..., (22-N)들을 상세정보 인터페이스라고 명칭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5의 대시보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대시보드 인터페이스(21)는 관리 프로그램(20) 최초 실행 시 제공되는 GUI이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주군 주제도’, ‘임무정보’, ‘방사능 영향평가’, ‘방재물품’, ‘이재민관리’, ‘주민보호조치’, ‘기타시스템’ 등과 같이 방사능 지휘 및 통제에 관련된 업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한 제1 전시란(211)과, 해당 지역의 행정구역들이 표시된 가상맵(2121)이 중앙에 전시되는 제2 전시란(212)과, 제2 전시란(212)의 좌상부에 배치되어 방사능 영향평가가 전시되는 제3 전시란(213)과, 제3 전시란(213)의 하부에 배치되어 비상연락망이 전시되는 제4 전시란(214)과, 제2 전시란(212)의 우상부에 배치되어 제2 전시란(212)의 가상맵(2121)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행정구역에 대한 정보가 전시되는 제5 전시란(215)과, 제5 전시란(215)의 하부에 배치되어 방사선 감시망 정보가 전시되는 제6 전시란(21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대시보드 인터페이스(21)의 화면구성은 사용자에 의해 편집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 인터페이스(21)는 사용자로부터 제1 전시란(211)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가 선택(클릭) 되면, 제1, ..., N 인터페이스(22-1), ..., (22-N)들 중 선택된 해당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전시한다.
도 7은 도 5의 제1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5의 제2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9는 도 5의 제3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0은 도 5의 제4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1은 도 5의 제5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2는 도 5의 제6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3은 도 5의 제7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4는 도 5의 제8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5는 도 5의 제9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6은 도 5의 제10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의 제1 인터페이스(22-1)는 대시보드 인터페이스(21)에서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방사능 누출상태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이고, 방사능 누출위치 및 방사능 누출위치로부터 반경정보(2212)가 맵핑된 가상맵(2211)이 전시된다.
도 8의 제2 인터페이스(22-2)는 대시보드 인터페이스(21)에서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행정구역 지도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이고, 행정구역(2222)이 맵핑된 가상맵(2221)이 전시된다.
도 9의 제3 인터페이스(22-3)는 대시보드 인터페이스(21)에서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집결지정보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이고, 집결지(2232)들의 실제 위치가 맵핑된 가상맵(2231)과, 가상맵(2231)의 좌측에 배치되어 각 집결지의 상세정보가 전시되는 정보란(2233)으로 이루어진다.
도 10의 제4 인터페이스(22-4)는 대시보드 인터페이스(21)에서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구호소정보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이고, 각 구호소(2242)의 실제 위치가 맵핑된 가상맵(2241)과, 가상맵(2241)의 좌측에 배치되어 각 구호소의 상세정보가 전시되는 정보란(2243)으로 이루어진다.
도 11의 제5 인터페이스(22-5)는 대시보드 인터페이스(21)에서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전세버스현황을 요청받을 때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이고, 전세버스의 현재 위치(2252)가 맵핑된 가상맵(2251)과, 가상맵(2251)의 좌측에 배치되어 각 전세버스의 운전자 및 차고지 등의 상세정보가 전시되는 정보란(2253)으로 이루어진다.
도 12의 제6 인터페이스(22-6)는 대시보드 인터페이스(21)에서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CCTV영상을 요청받을 때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이고, 각 CCTV(2262)의 실제 위치가 맵핑되는 가상맵(2261)과, 가상맵(2261)의 좌측에 배치되어 각 CCTV의 상세정보가 전시되는 정보란(224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6 인터페이스(22-6)는 정보란(2243)의 리스트에서 관리요원(user)에 의해 특정 CCTV(2262)가 선택(클릭)되면, 해당 CCTV의 영상(2263)이 팝업 방식으로 노출된다.
도 13의 제7 인터페이스(22-7)는 대시보드 인터페이스(21)에서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전광판정보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이고, 각 전광판의 설치 위치(2272)가 맵핑된 가상맵(2271)과, 가상맵(2271)의 좌측에 배치되어 각 전광판의 상세정보가 전시되는 정보란(2273)으로 이루어진다.
도 14의 제8 인터페이스(22-8)는 대시보드 인터페이스(21)에서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비상경보장치 정보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이고, 각 비상경보장치의 설치 위치(2282)가 맵핑된 가상맵(2281)과, 가상맵(2281)의 좌측에 배치되어 각 비상경보장치의 상세정보가 전시되는 정보란(2283)으로 이루어진다.
도 15의 제9 인터페이스(22-9)는 대시보드 인터페이스(21)에서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대피경로 정보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이고, 대피경로(2292)가 맵핑된 가상맵(2281)이 전시된다.
도 16의 제10 인터페이스(22-10)는 대시보드 인터페이스(21)에서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오염도 체크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이고, 원전(P)을 기준으로 반경 30km의 거리를 기준으로 16방위를 5km 단위의 섹터(S)로 나누어서 오염도를 설정한다.
이때 제10 인터페이스(22-10)는 오염된 지역의 섹터(S)가 사용자(User)에 의해 클릭되면, 오염된 지역의 색상으로 변경되고, 오염된 지역을 한번 더 클릭하면 오염도가 해제되도록 한다.
이리한 제10 인터페이스(22-10)는 권한이 부여된 관리자에 한해서만 접근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통합관제서버(3)의 관리요원들은 관리프로그램(20)에서 제공하는 대시보드 인터페이스(21) 및 제1, ..., N 인터페이스(22-1), ..., (22-N)들을 활용하여 방사능 피폭, 대피, 도로상황 등의 다양한 정보와, 각종 장비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 및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방사능 통합 지휘 및 통제 서비스의 신뢰도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한 후속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4로 돌아가서 관련기관 연동부(34)를 살펴보면, 관련기관 연동부(34)는 방사능 누출 사고 시, 기상DB서버(7), 교통DB서버(8), 지역행정망 서버(11), 지역 유관기관 서버(12), 중앙 유관기관 서버(13), 중앙 재난안전 대책본부 서버(14), 현장장비(15)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상황정보 공유부(35)는 관련기관 연동부(34)에 의해 연동된 관련시스템(7), (8), (11), (12), (13), (14), (15)들과 방사능 누출 사고에 대한 통합 지휘 및 방재 상황을 공유한다.
현장장비 관리부(36)는 현장장비(15)와 연결하여 현장장비의 동작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현장장비 관리부(36)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현장의 방사능센서(151)들로부터 방사능 농도 값을 전송받는다.
즉 본 발명은 방사능 누출 등의 비상 사고 발생 시, 기 설정된 영역(S) 별로 설치된 방사능센서(151)들에 의해 측정된 방사능농도를 전송받음과 동시에 CCTV들로부터 현장영상(도로영상)을 전송받도록 구성됨으로써 통합관제서버(3)가 전송받은 방사능 농도 값 및 도로영상을 분석 및 활용하여 실제 현장의 방사능 피폭현황과 대피현황의 정확하고 신속한 검출이 가능하여 서비스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출현장으로 인력을 투입하지 않아도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성을 높이면서 인력소모 및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대피장소 결정부(38)는 현재 방사능 누출 위치정보 및 각 구호소의 위치정보를 활용 및 분석하여, 각 영역별 대피장소(구호소)와 집결지를 결정한다.
이때 제어부(30)는 대피장소 및 집결지가 결정되면 해당 집결지로 전세버스가 출동되도록 한다.
기상DB 수집부(39)는 방사능 누출 사고 시, 기상DB 서버(7)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기상DB를 수집하며, 수집된 기상DB를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한다.
교통DB 수집부(40)는 방사능 누출 사고 시, 교통DB 서버(8)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교통DB를 수집하며, 수집된 교통DB를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한다.
피폭현황정보 수신부(41)는 외부 서버로부터 방사능이 누출된 위치를 중심으로 인접한 영역의 방사능 농도 값이 매칭된 피폭현황정보를 수신 받는다. 이때 외부 서버는 방사능 농도센서(151)들로부터 전송받은 각 영역별 방사능 농도 값과, 각 영역(S)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방사능이 누출된 위치를 중심으로 인접한 영역의 방사능 농도 값이 매칭된 피폭현황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피폭현황정보는 원전을 기준으로 반경 30km의 거리를 기준으로 16방위를 5km 단위의 섹터로 나누어서 측정된 오염도(방사능 농도값) 정보를 포함한다.
대피현황정보 생성부(42)는 각 집결지로 출발한 전세버스의 위치를 추적하며, 추적된 전세버스의 탑승인원, 현재 위치 및 대피장소를 포함하는 대피현황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대피현황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한다.
모니터링부(43)는 통합관제센터의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수단들을 통해 CCTV영상, 현장영상, 피폭현황정보, 대피현황정보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관리요원의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1)은 방사능 누출사고 시, 현장, 민간업체, 유관기관, 행정기관 및 중앙정부와 긴밀하게 연동하여 경보, 대피유도, 피폭현황, 교통정보 및 영상 제공을 통해 통합적인 지휘 및 통제서비스를 제공으로써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여 인명/재산피해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비상대응절차 및 조치사항 수행을 효과적으로 지원하여 지휘 및 통제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1)은 통합관제서버가 각 관련시스템을 관리 및 제어하는 컨트롤 타워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종래에 방사능 누출 사고에 대한 각 관련시스템의 서로 다른 정보 및 대처방안 제공으로 인한 이재민의 혼란, 시간소모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 및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1)은 방사능 누출 사고 시, 민간업체, 유관기관, 행정기관 및 중앙정부 등의 관련시스템들과 긴밀하게 연동, 상세하게로는 각 관련시스템에서 검출된 수집데이터 및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분석하여 유효정보를 생성함과 동시에 생성된 유효정보를 관련시스템들로 전송하여 각 관련시스템에서 자체적인 정보제공수단 및 방식을 통해 유효정보를 이재민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데이터 수집 및 제공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정보 제공을 통해 이재민의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1)은 통합관제서버가 통합 방재 지휘 및 통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이하 방재 관리프로그램이라고 함)을 활용하여, 관련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시각화 및 이미지화하여 전시함과 동시에 관리요원(user)의 요청에 따른 연산처리 및 이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들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통합 방재를 위한 관리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1)은 관리프로그램이 지역 및 위치별로 각 감지수단의 상태정보, 각 표출수단의 상태정보, 대피상황, 대피유도, 피폭상황, 교통상황 등의 유효정보를 가상맵에 맵핑(Mapping)하여 GUI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관리요원(user)의 정보 인지의 정확성 및 신속성을 극대화시켜 후속대처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1:방사능 통합 관제시스템
3:통합관제서버 7:기상DB서버 8:교통DB서버
9:클라이언트 10:통신망 11:지역행정망 서버
12:지역 유관기관 서버 13:중앙 유관기관 서버
14:중앙 재난안전 대책본부 서버 15:현장장비들
20:관리프로그램 21:대시보드 인터페이스
22-1, ..., 22-N:인터페이스들 30:제어부 31:데이터베이스부
32:통신 인터페이스부 33:프로그램 관리 및 운영부
34:관련기관 연동부 35:상황정보 공유부
36:현장장비 관리부 37:비상경보 방송부
38:대피장소 결정부 39:기상DB 수집부
40:교통DB 수집부 41:피폭현황정보 생성부
42:대피현황정보 생성부 43:모니터링부
44:피폭 및 대피 예측부

Claims (5)

  1. 방사능 누출 사고 시, 방사능 현황 및 이재민의 대피를 통합 지휘하는 통합관제서버를 포함하는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각 지역별 각 구호소의 위치정보와, 방사능 누출 위치에 따른 각 영역별 최적 구호소 및 집결지가 매칭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기 제작된 관리프로그램을 관리 및 운영하는 프로그램 관리 및 운영부;
    방사능 누출 사고 시, 해당 지역 행정망 서버와 해당 지역 유관기관 서버들과 연동하는 관련기관 연동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방사능 누출 위치에 따른 각 영역별 최적 구호소 및 집결지가 매칭된 매칭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영역별 구호소 및 집결지를 결정하는 대피장소 결정부;
    상기 대피장소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집결지로 전세버스가 출동되도록 하는 제어부;
    기 제작된 관리프로그램을 관리 및 제어하는 프로그램 관리 및 운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역 행정망 서버로부터 해당 지역의 CCTV들에 의해 촬영된 CCTV 영상을 전송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상기 관리프로그램은
    최초 실행 시, 단말기의 모니터에 전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인 대시보드 인터페이스와, 상기 대시보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바에 따른 응답데이터가 전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상세정보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고,
    상기 대시보드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종류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한 제1 전시란과, 해당 지역의 행정구역들이 표시된 가상맵이 중앙에 전시되는 제2 전시란과, 방사능 영향평가가 전시되는 제3 전시란과, 비상연락망이 전시되는 제4 전시란과, 상기 제2 전시란의 가상맵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행정구역에 대한 정보가 전시되는 제5 전시란과, 방사선 감시망 정보가 전시되는 제6 전시란을 포함하고,
    상기 상세정보 인터페이스들은
    상기 대시보드 인터페이스에서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방사능 누출상태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며, 방사능 누출위치 및 방사능 누출위치로부터 반경정보가 맵핑된 가상맵이 전시되는 제1 인터페이스;
    상기 대시보드 인터페이스에서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행정구역 지도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며, 해당 지역의 행정구역의 위치가 분류되어 맵핑된 가상맵이 전시되는 제2 인터페이스;
    상기 대시보드 인터페이스에서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집결지 또는 구호소 정보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며, 상기 대피장소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집결지들 또는 구호소들 각각의 실제 위치가 맵핑된 가상맵과, 각 구호소 또는 각 집결지의 상세정보가 전시되는 정보란이 노출되는 제3 인터페이스;
    상기 대시보드 인터페이스에서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구호소정보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며, 각 구호소의 위치가 맵핑된 가상맵과, 각 구호소의 상세정보가 전시되는 정보란이 노출되는 제4 인터페이스;
    상기 대시보드 인터페이스에서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전세버스 현황 정보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출동된 전세버스들의 위치를 추적하여 각 전세버스의 현재 위치가 맵핑된 가상맵과, 각 전세버스의 상세정보가 전시되는 정보란이 노출되는 제5 인터페이스;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CCTV영상을 요청받을 때 제공되며, 각 CCTV의 실제 위치가 맵핑되는 가상맵과, 각 CCTV의 상세정보가 전시되는 정보란이 노출되고, 정보란의 CCTV 리스트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때, 해당 CCTV의 영상을 팝업 방식으로 노출시키는 제6 인터페이스;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전광판정보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며, 각 전광판의 실제 위치가 맵핑되는 가상맵과, 각 전광판의 상세정보가 전시되는 정보란이 노출되는 제7 인터페이스;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비상경보장치 정보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며, 각 비상경보장치의 실제 위치가 맵핑되는 가상맵과, 각 비상경보장치의 상세정보가 전시되는 정보란이 노출되는 제8 인터페이스;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대피경로 정보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며, 대피경로가 맵핑된 가상맵이 전시되는 제9 인터페이스;
    관리요원(user)으로부터 오염도 체크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며, 원전(P)을 기준으로 반경 30km의 거리를 기준으로 16방위를 5km 단위의 섹터(S)로 나누어서 오염도가 표시되는 제10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0 인터페이스는
    섹터(S)들 중 어느 하나가 관리요원에 의해 클릭되면, 오염된 지역의 색상으로 변경되고, 오염된 지역의 색상으로 표시되는 섹터(S)가 관리요원에 의해 클릭되면, 오염된 색상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은
    기 설정된 영역별로 설치되는 방사능센서들과, CCTV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방사능 누출 사고 시, 상기 방사능센서들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별로 방사능 농도 값을 전송받으며, 상기 CCTV들로부터 현장영상을 전송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현장장비 관리부;
    상기 방사능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각 영역별 방사능 농도 값과, 각 영역(S)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방사능이 누출된 위치를 중심으로 인접한 영역의 방사능 농도 값이 매칭된 피폭현황정보를 생성하는 피폭현황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
KR1020210013533A 2021-01-29 2021-01-29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 KR102458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533A KR102458256B1 (ko) 2021-01-29 2021-01-29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533A KR102458256B1 (ko) 2021-01-29 2021-01-29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929A KR20220109929A (ko) 2022-08-05
KR102458256B1 true KR102458256B1 (ko) 2022-10-24

Family

ID=82826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533A KR102458256B1 (ko) 2021-01-29 2021-01-29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2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642B1 (ko) * 2022-11-30 2024-02-21 (주)오토로보틱스 원전 해체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원전 해체 작업 모니터링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332B1 (ko) 2010-06-04 2010-10-25 이에스이 주식회사 통합 방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 관리 방법
KR101672489B1 (ko) 2016-05-02 2016-11-04 (주)라드서치 방사선 재난 시 휴대폰 위치정보를 이용한 주민보호조치 실시간 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037204B1 (ko) 2019-02-22 2019-10-28 (주)뉴클리어엔지니어링 실 지형, 실시간 교통 및 기상 정보 및 예보에 따른 대피 통제 기능을 가진 통합원자력방재시스템
KR102191793B1 (ko) * 2020-01-07 2020-12-16 (주)아레스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947B1 (ko) * 2006-07-18 2008-06-27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방사능방재대책 기술지원 전산 시스템
KR101103854B1 (ko) * 2010-02-17 2012-01-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재난 대피 안내 시스템
KR20140093840A (ko) * 2013-01-18 2014-07-29 (주)서울엠에스 재난용 대피유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724260B1 (ko) * 2015-08-21 2017-04-07 대한민국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
KR102086564B1 (ko) * 2018-06-18 2020-03-09 주식회사 포비드림 IoT 기반의 지능형 피난 유도 시스템
KR20200063296A (ko) * 2018-11-19 2020-06-05 이홍연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
KR20200104153A (ko) *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알엠택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방재시스템
KR102356290B1 (ko) * 2019-11-04 2022-02-07 이도훈 모바일 긴급 재난 신고 및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332B1 (ko) 2010-06-04 2010-10-25 이에스이 주식회사 통합 방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 관리 방법
KR101672489B1 (ko) 2016-05-02 2016-11-04 (주)라드서치 방사선 재난 시 휴대폰 위치정보를 이용한 주민보호조치 실시간 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037204B1 (ko) 2019-02-22 2019-10-28 (주)뉴클리어엔지니어링 실 지형, 실시간 교통 및 기상 정보 및 예보에 따른 대피 통제 기능을 가진 통합원자력방재시스템
KR102191793B1 (ko) * 2020-01-07 2020-12-16 (주)아레스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광철, "원전 사고대응 스마트 구호소 구축 및 관리시스템 개발", 조선대학교 대학원, 원자력공학과, 2019.02.28.*
김태영 외 5명, "원전 방사능 누출 사고 대비 주민 방사선피폭 저감 및 주민 보호 훈련 시나리오 개발", 2019.04.30*
이가람 기자, "울주군, 스마트 방사능방재 지휘통제시스템 구축", 양산타임스, 2020.07.2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642B1 (ko) * 2022-11-30 2024-02-21 (주)오토로보틱스 원전 해체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원전 해체 작업 모니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929A (ko) 202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6694B2 (en) Crime risk forecasting
CN103477606B (zh) 用于检测、收集、传递和使用与环境条件和发生事件有关的信息的系统
US9110748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depicting plume arrival times
US20080278311A1 (en) Advanced Emergency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KR101675733B1 (ko) 원전사고 통합 대응 시스템
KR100841947B1 (ko) 방사능방재대책 기술지원 전산 시스템
JP5172227B2 (ja) 非常時情報通信システム、非常時情報通信方法及び非常時情報通信プログラム
CN101763605A (zh) 三维数字城市消防预控管理系统
CN104951493A (zh) 基于gis的气象信息与电力设备关联方法及系统
US20100280755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apid assessment
KR20160099931A (ko) 재난 위험 및 관심 지역에 대한 재난 예방 및 관리방법
KR102458256B1 (ko)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
CN113554540A (zh) 一种海上危化品突发事故应急处理方法和系统
KR101396160B1 (ko) 매시업 기능을 활용한 cctv 블라인드 스폿 분석 및 설치 위치 결정 방법
US20150294047A1 (en) System for Continuous Modeling and Dissemination of Threat Zones Associated with Hazardous Release Materials
JP2002092264A (ja) 自治体等の防災システム
KR102138711B1 (ko) 재난 대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lestini Communication and Decision Support Systems
Miller et al. Using GIS to integrate social factors with level 3 PRA for emergency response
KR102604783B1 (ko) 교통 정보 센터의 l2 스위치 그룹 연결 링크 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66778B1 (ko) 사용자 대상 개발된 매핑서비스 제공방법
JP7125694B1 (ja) 投稿情報分析装置及び投稿情報分析方法
KR102517917B1 (ko) 딥러닝 기반의 물관리 의사결정 지원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315762B1 (ko) 재난 피해이력자료를 공간 정보화하기 위한 방법
CN115765158A (zh) 一种基于gis的电网灾害监测及预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