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296A -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296A
KR20200063296A KR1020180142375A KR20180142375A KR20200063296A KR 20200063296 A KR20200063296 A KR 20200063296A KR 1020180142375 A KR1020180142375 A KR 1020180142375A KR 20180142375 A KR20180142375 A KR 20180142375A KR 20200063296 A KR20200063296 A KR 20200063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active
disaster
disaster prevention
serv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연
김상용
염정민
박경환
김용태
김보길
이건주
안은미
Original Assignee
이홍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연 filed Critical 이홍연
Priority to KR1020180142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3296A/ko
Publication of KR20200063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2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67Measuring radioactive content of objects, e.g. conta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원자력시설 등의 사고로 인해 방사능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다양한 양방향 단말기를 사용하여 방사능 오염위험지역에 대한 방사능 오염 탐지, 오염된 지역에 대한 방사선량률 측정 및 기상상황에 따른 방사능 오염원의 이동경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방사능재난에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사능재난 지역의 주민들을 신속하게 안전한 구호소로 소개하여 통제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방재요원들 상호간의 실시간 정보교환 및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과 각 방재요원과의 양방향 교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재난상황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방재에 투입되는 방재요원들의 신체 및 심리적 안전을 확보하여 방재대응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각종 방재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방재관련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여 방재대응 및 주민대피구호소를 통제관리하는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와; 방사능재난 발생 시, 방사능 오염위험지역으로 급파되고, 급파된 지역의 방사능 오염 여부를 탐지, 방사능 오염이 탐지된 구역의 선량률 측정 및 주변환경을 관찰하고, 그 위치, 선량률 주변환경정보를 통신망을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로 송신하는 동시에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로 부터 방재관련 지휘 및 정보를 수신함은 물론 급파된 방재요원간의 양방향 정보교환을 실시간으로 실시하는 는 다수개의 방재요원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와; 각 주민대피 구호소에 설치되고,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각 해당 구소호로 소개된 주민들을 입소등록하고, 입출입통제관리 및 입소자 축적관리를 실시하는 동시에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다수개의 구호소 관리통제서버와;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로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를 송신하는 기상청서버로를 포함하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는 상기 방재요원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 및 기상청서버로 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방사능 오염 위험지역, 방사능 오염 확산 가능지역, 방사능오염 가능한 위치의 구호소, 방사능 오염에 안전한 위치의 구호소 및 각 주민 소개지역에서 방사능 오염에 안전한 위치의 구호소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안전경로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가 표시된 지도을 생성하고, 구호소 관리통제서버로 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구호소의 입소주민정보, 출입정보 및 구호소상황정보를 표시하는 필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A multiplex disaster preven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lot) for radioactive disaster preparadness}
본 발명은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자력시설 등의 사고로 인해 방사능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방재요원, 일반대중차량, 원격조정비행체 및 각종 검출유닛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사고 확대범위, 방사능구름 이동 경로 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주민 대피 경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동시에 주민들이 대피한 구호소에 대한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상황에 따른 통제관리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시설 등의 사고로 인해 방사능재난이 발생에 따른 종래의 방재시스템은 방사능 오염이 의심되는 지역을 방사능 오염위험지역으로 설정한 후 방사능 오염위험지역 내의 주민들을 대피시키는 동시에 해당 지역의 출입을 통제하고, 방재요원팀을 방사능 오염위험지역으로 급파시켜 지역 내의 방사능 오염 여부를 탐지하고, 방사능 오염이 탐지 중 방사능 오염이 발견되면 그 오염위치정보를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로 송신하고, 이들 정보를 수신한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는 수신되는 오염위치정보를 축적정리하고, 방재계획을 세워 상황에 대응하도록 방재요원들을 지휘하고 있다. 즉, 방사능 오염위험지역으로 급파되는 종래의 방재팀의 방재요원들은 각기 휴대용 방사선(능) 검출기 및 통신기를 휴대하고 있으며, 각 탐지작업자는 자신이 휴대한 휴대용 방사선(능) 검출기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할당된 지역에 대한 방사능 오염을 탐지하고, 휴대용 방사선(능) 검출기를 통해 방사능 오염이 검출되는 경우 해당위치에 대한 정보를 통신기를 사용하여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로 보고하고,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는 각 팀원들로부터 수신되는 할당 지역에 대한 상황정보를 토대로 방사능 오염위험지역에 대한 대응을 지휘통제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종래의 방사능 재난에 대한 방재시스템은 사고 확대범위, 방사능구름 이동 경로, 주민 대피 경로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불가능하다.
또한, 최근에는 원전사고 발생 시 관할 지역에서 발생 가능한 모든 기상 조건에 따른 방사능의 확산 경로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원전 사고로 인한 방사능의 누출 시 사고 당시 기상 조건에 따른 방사능 확산 경로를 데이터 베이스로 부터 선택하여 신속 정확하게 대응하도록 하는 방사능 확산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비상대응을 위한 방사능 확산 경보 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의 내용은 국내 등록특허 제10-1809669호 공고(2017. 12. 11.)에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재 방식은 방재요원의 감에 의존하여 수작업으로 휴대용 방사선(능) 검출기을 사용해 탐지작업을 실시하므로 방사능 오염탐지가 실시되지 못하고 누락되는 부분이 발생 될 확률이 높아 방사능 오염탐지의 신뢰도가 매우 낮으며, 방사선(능) 오염이 탐지된 경우 방재요원의 통신기를 통해 탐지위치정보를 보고하고, 추후 투입되는 방사선(능) 정밀분석측정팀에 의해 탐지위치정보에 해당되는 토양에 대한 방사선(능) 정밀 분석 및 측정을 실시하므로 방사능 오염위험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적절한 대응조치가 지연될 뿐만 아니라 주민드릉ㄹ 대피시킨 구호소에 대해서는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의 통제관리도 전혀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원자력시설 등의 사고로 인해 방사능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다양한 양방향 단말기를 사용하여 방사능 오염위험지역에 대한 방사능 오염 탐지, 오염된 지역에 대한 방사선량률 측정 및 기상상황에 따른 방사능 오염원의 이동경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방사능재난에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사능재난 지역의 주민들을 신속하게 안전한 구호소로 소개하여 통제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방재요원들 상호간의 실시간 정보교환 및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과 각 방재요원과의 양방향 교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재난상황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방재에 투입되는 방재요원들의 신체 및 심리적 안전을 확보하여 방재대응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하는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방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각종 방재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방재관련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여 방재대응 및 주민대피구호소를 통제관리하는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와; 방사능재난 발생 시, 방사능 오염위험지역으로 급파되고, 급파된 지역의 방사능 오염 여부를 탐지, 방사능 오염이 탐지된 구역의 선량률 측정 및 주변환경을 관찰하고, 그 위치, 선량률 주변환경정보를 통신망을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로 송신하는 동시에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로 부터 방재관련 지휘 및 정보를 수신함은 물론 급파된 방재요원간의 양방향 정보교환을 실시간으로 실시하는 는 다수개의 방재요원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와; 각 주민대피 구호소에 설치되고,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각 해당 구소호로 소개된 주민들을 입소등록하고, 입출입통제관리 및 입소자 축적관리를 실시하는 동시에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다수개의 구호소 관리통제서버와;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로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를 송신하는 기상청서버로를 포함하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는 상기 방재요원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 및 기상청서버로 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방사능 오염 위험지역, 방사능 오염 확산 가능지역, 방사능오염 가능한 위치의 구호소, 방사능 오염에 안전한 위치의 구호소 및 각 주민 소개지역에서 방사능 오염에 안전한 위치의 구호소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안전경로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가 표시된 지도을 생성하고, 구호소 관리통제서버로 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구호소의 입소주민정보, 출입정보 및 구호소상황정보를 표시하는 필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은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과 실시간 양방향 정보교환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를 사용하여 방사능 오염위험지역에 대한 오염지역위치정보, 방사선량률정보, 주변환경정보 및 해당 지역 기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취득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한 후 방사능재난에 대한 대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신속하고 정확한 방재대응지휘 및 통제관리를 가능하고, 안전한 구호소 및 구호소가지의 안전한 이동경로를 지정하여 방사능 오염위험 지역의 주민들을 신속하게 소개시켜 통제관리할 수 있고, 현장에 투입되는 방재요원들의 신체적, 심리적 안전을 확보하여 각 방재요원들에게 부여된 방재대응업무를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의 구성 및 구성요소간의 상호 유기적인 상관관계를 예시하는 계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 중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의 구성 및 구성요소간의 상호 유기적인 상관관계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은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는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와, 다수개의 방재요원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20)와, 다수개의 드론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30)와, 다수개의 차량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40)와, 다수개의 살포형 방사능측정유닛(50)과, 다수개의 구호소 관리통제서버(60)와, 기상청서버(60)로 구성된다.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각종 방재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방재관련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여 방재대응 및 주민대피구호소를 통제관리하며, 그 구성은 제어부(11)와, 통신모듈(12)과, 데이터베이스(10a)와, 방재요원단말기정보처리모듈(13)과, 드론단말기정보처리모듈(14)과, 드론작동제어모듈(15)과, 차량단말기정보처리모듈(16)과, 살포유닛정보처리모듈(17)과, 구호소서버정보처리모듈(18)과, 기상청서버정보처리모듈(19)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모듈(12)은 통신망 및 상기 제어부(11)과 연결되고, 제어부(11)로 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 및 방재관련 정보를 발신하고, 외부에서 통신망을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1)로 전달한다.
상가 데이터베이스(10a)는 상기 제어부(11)와 연결되고, 제어부(11)로 수신되는 각종 정보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데이터화하여 저장한다.
상기 방재요원단말기정보처리모듈(13)은 상기 제어부(11)와 연결되어 방재요원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20)로 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한다.
상기 드론단말기정보처리모듈(14)은 상기 제어부(11)과 연결되어 드론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30)로 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한다.
상기 드론작동제어모듈(15)은 상기 제어부(11)와 연결되어 드론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차량단말기정보처리모듈(16)은 상기 제어부(11)와 연결되어 차량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40)로 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한다.
상기 살포유닛정보처리모듈(17)은 상기 제어부(11)와 연결되어 살포형 방사능측정유닛(50)로 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한다.
상기 구호소서버정보처리모듈(18)은 상기 제어부(11)와 연결되어 구호소 관리통제서버(60)로 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한다.
상기 기상청서버정보처리모듈(19)은 상기 제어부(11)와 연결되어 기상청서버(70)로 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다수개의 방재요원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20)는 방사능재난 발생 시, 방사능 오염위험지역으로 급파되고, 급파된 지역의 방사능 오염 여부를 탐지, 방사능 오염이 탐지된 구역의 선량률 측정 및 주변환경을 관찰하고, 그 위치, 선량률 주변환경정보를 통신망을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로 송신하는 동시에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로 부터 방재관련 지휘 및 정보를 수신함은 물론 급파된 방재요원 간의 양방향 정보교환을 실시간으로 실시한다.
상기 다수개의 드론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30)는 방사능방재지휘본부서버(10) 또는 방재요원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20)에 의해 원격 조정되는 드럼 상에 탑재되고,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 및 방재요원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2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비행구간에 대한 촬영영상 데이터, 방사능 탐지 위치 데이터 및 방사능 탐지 위치에 대한 선량률 데이터를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 및 방재요원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20)로 송신한다.
상기 다수개의 차량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40)는 차량 또는 노선버스 상에 탑재되고,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이동구간을 따라 방사능 오염을 탐지하고, 방사능 오염탐지 시 그 탐지 위치 데이터 및 탐지 위치에 대한 선량률 데이터를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로 송신한다. 또한, 차량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40)는 차량이 이동하는 구간 주변에 대한 방사능 오염 탐지 및 오염탐지 시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방사능을 측정하고, 측정된 선량률 정보를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로 송신한다.
상기 다수개의 살포형 방사능측정유닛(50)은 방사능재난 발생 시, 방사능 오염위험지역에 살포되고,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와 통신망을 통해 각각 연결되고, 살포된 위치 부변의 방사능 오염 여부 탐지 및 방사선선량률을 측정하고, 그 정보 데이터를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로 송신한다. 또한, 살포형 방사능측정유닛(50)은 위치정보 및 측정된 방사선(능)선량률 정보를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로 일방향 송신하며, 일정기간(전원방전)까지 작동되는 소모품이다.
상기 다수개의 구호소 관리통제서버(60)는 각 주민대피 구호소에 설치되고,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각 해당 구소호로 소개된 주민들을 입소등록하고, 입출입통제관리 및 입소자 축적관리를 실시하는 동시에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신한다. 또한, 구호소 관리통제서버(60)는 구호소에 설치된 각종 통제관리설비와 연결되어 연결된 각각의 통제관리설비로 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고,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로 송신하는 동시에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로 부터 수신되는 지휘정보에 따라 통제관리설비의 작동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기상청서버(60)는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로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는 상기 각 방재요원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20), 각 드론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30), 각 차량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40)와, 각 살포형 방사능측정유닛(50) 및 기상청서버(70)로 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방사능 오염 위험지역, 방사능 오염 확산 가능지역, 방사능오염 가능한 위치의 구호소, 방사능 오염에 안전한 위치의 구호소 및 각 주민 소개지역에서 방사능 오염에 안전한 위치의 구호소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안전경로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가 표시된 지도을 생성하고, 구호소 관리통제서버(60)로 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구호소의 입소주민정보, 출입정보 및 구호소상황정보를 표시하는 필드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양방향 정보교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와 연계되어 운영되므로, 방사능재난 발생 시, 방사능 오염 위험지역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오염탐지, 방사선량률 측정 및 주변환경 관찰이 가능하고, 측정된 방사선량률 및 주변환경 관찰정보와 함께 해당 지역의 실시간 기상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최적의 대응을 실행하는 동시에 안전한 구호소 및 그 구호소로 이동하기 위한 안전한 경로를 신속하게 지정하여 재난 지역의 주민들을 안전하게 구호소로 소개하여 통제관리하고, 현장에 투여되는 방재요원들의 신체 및 정신적 안정을 확보하여 각자의 대응직무를 확실하고 충실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 20: 방재요원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
30: 드론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 40: 대중교통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
50: 살포형 방사능측정유닛 60: 구호소 관리통제서버
70: 기상청서버

Claims (8)

  1.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각종 방재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방재관련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여 방재대응 및 주민대피구호소를 통제관리하는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와;
    방사능재난 발생 시, 방사능 오염위험지역으로 급파되고, 급파된 지역의 방사능 오염 여부를 탐지, 방사능 오염이 탐지된 구역의 선량률 측정 및 주변환경을 관찰하고, 그 위치, 선량률 주변환경정보를 통신망을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로 송신하는 동시에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로 부터 방재관련 지휘 및 정보를 수신함은 물론 급파된 방재요원간의 양방향 정보교환을 실시간으로 실시하는 는 다수개의 방재요원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20)와;
    각 주민대피 구호소에 설치되고,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각 해당 구소호로 소개된 주민들을 입소등록하고, 입출입통제관리 및 입소자 축적관리를 실시하는 동시에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다수개의 구호소관리통제서버(60)와;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로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를 송신하는 기상청서버(70)를 포함하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는,
    상기 방재요원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20) 및 기상청서버(70)로 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방사능 오염 위험지역, 방사능 오염 확산 가능지역, 방사능오염 가능한 위치의 구호소, 방사능 오염에 안전한 위치의 구호소 및 각 주민 소개지역에서 방사능 오염에 안전한 위치의 구호소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안전경로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가 표시된 지도을 생성하고,
    구호소관리통제서버(60)로 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구호소의 입소주민정보, 출입정보 및 구호소상황정보를 표시하는 필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방재시스템은,
    방사능방재지휘본부 또는 방재요원에 의해 원격 조정되는 드럼 상에 탑재되고,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 및 방재요원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2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비행구간에 대한 촬영영상 데이터, 방사능 탐지 위치 데이터 및 방사능 탐지 위치에 대한 선량률 데이터를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 및 방재요원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20)로 송신하는 다수개의 드론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30)를 포함하며;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는,
    상기 드론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30) 및 기상청서버(70)로 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방사능 오염 위험지역, 방사능 오염 확산 가능지역, 방사능오염 가능한 위치의 구호소, 방사능 오염에 안전한 위치의 구호소 및 각 주민 소개지역에서 방사능 오염에 안전한 위치의 구호소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안전경로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가 표시된 지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방재시스템은,
    차량 상에 탑재되고,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이동구간을 따라 방사능 오염을 탐지하고, 방사능 오염탐지 시 그 탐지 위치 데이터 및 탐지 위치에 대한 선량률 데이터를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로 송신하는 다수개의 차량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40)를 포함하며;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는,
    상기 차량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40) 및 기상청서버(70)로 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방사능 오염 위험지역, 방사능 오염 확산 가능지역, 방사능오염 가능한 위치의 구호소, 방사능 오염에 안전한 위치의 구호소 및 각 주민 소개지역에서 방사능 오염에 안전한 위치의 구호소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안전경로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가 표시된 지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방재시스템은,
    방사능재난 발생 시, 방사능 오염위험지역에 살포되고,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와 통신망을 통해 각각 연결되고, 살포된 지역의 방사능 오염 여부 탐지 및 방사선선량률을 측정하고, 그 정보 데이터를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로 송신하는 다수개의 살포형 방사능측정유닛(50)을 포함하며;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는,
    상기 살포형 방사능측정유닛(50) 및 기상청서버(70)로 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방사능 오염 위험지역, 방사능 오염 확산 가능지역, 방사능오염 가능한 위치의 구호소, 방사능 오염에 안전한 위치의 구호소 및 각 주민 소개지역에서 방사능 오염에 안전한 위치의 구호소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안전경로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가 표시된 지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는,
    제어부(11)와;
    통신망 및 상기 제어부(11)과 연결되고, 제어부(11)로 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 및 방재관련 정보를 발신하고, 외부에서 통신망을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1)로 전달하는 통신모듈(12)과;
    상기 제어부(11)와 연결되고, 제어부(11)로 수신되는 각종 정보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0a)와;
    상기 제어부(11)와 연결되어 방재요원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20)로 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하는 방재요원단말기정보처리모듈(13)과;
    상기 제어부(11)와 연결되어 구호소 관리통제서버(60)로 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하는 구호소서버정보처리모듈(18)과;
    상기 제어부(11)와 연결되어 기상청서버(70)로 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하는 기상청서버정보처리모듈(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는,
    상기 제어부(11)과 연결되어 드론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30)로 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하는 드론단말기정보처리모듈(14)과;
    상기 제어부(11)와 연결되어 드론의 작동을 제어하는 드론작동제어모듈(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는,
    상기 제어부(11)와 연결되어 대중교통 방사능측정스마트단말기(40)로 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하는 차량단말기정보처리모듈(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능방재지휘통제본부서버(10)는,
    상기 제어부(11)와 연결되어 살포형 방사능측정유닛(50)로 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하는 살포유닛정보처리모듈(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
KR1020180142375A 2018-11-19 2018-11-19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 KR20200063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375A KR20200063296A (ko) 2018-11-19 2018-11-19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375A KR20200063296A (ko) 2018-11-19 2018-11-19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296A true KR20200063296A (ko) 2020-06-05

Family

ID=71088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375A KR20200063296A (ko) 2018-11-19 2018-11-19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32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929A (ko) * 2021-01-29 2022-08-05 (주)로딕스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
KR20230082139A (ko) * 2021-12-01 2023-06-08 주식회사 알엠택 원자력이용시설 주변지역에서 운행되는 대중교통과 결합된 방사선(능) 측정시스템
KR102542364B1 (ko) * 2022-09-27 2023-06-15 (주)에스에프테크놀로지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피폭·출입관리용 ps-lte 기반 실시간 adr 형성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929A (ko) * 2021-01-29 2022-08-05 (주)로딕스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
KR20230082139A (ko) * 2021-12-01 2023-06-08 주식회사 알엠택 원자력이용시설 주변지역에서 운행되는 대중교통과 결합된 방사선(능) 측정시스템
KR102542364B1 (ko) * 2022-09-27 2023-06-15 (주)에스에프테크놀로지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피폭·출입관리용 ps-lte 기반 실시간 adr 형성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188B1 (ko) 실시간 위치 추적 및 gis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그리고 산업현장 안전관리 방법
RU2605258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 соблюдении установленных требований и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о воздействии токсичного газа
KR101675733B1 (ko) 원전사고 통합 대응 시스템
KR20200063296A (ko)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 방재시스템
US78347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conditions
US8289152B1 (e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US11253736B2 (en) Dispatching UAVs for wildfire surveillance
EP3405934B1 (en) Using bluetooth beacons to automatically update the location within a portable gas detector's logs
EP2437515B1 (en) Movab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WO2017188468A1 (ko) 방사성동위원소 및 방사선 작업종사자 통합안전관리 시스템
KR20160049286A (ko) 방사성동위원소 및 방사선 작업종사자 통합안전관리 시스템
US20130201025A1 (en) Method of Monitoring a Gas Leakage Incident
WO2020058425A1 (en) Unified facility communications system with device location
CN116527846A (zh) 一种基于数字云技术的火灾现场实时监测指挥系统
CN105070106A (zh) 机载防撞系统、acas收发主机自检系统及方法
CN105719428A (zh) 一种景区安全预警系统及方法
KR20200104153A (ko) 방사능재난을 대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방재시스템
US11720459B2 (en) Event input device testing
RU2487418C1 (ru)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го телемониторинга подвижных объектов
KR20220109929A (ko)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
CN112990660A (zh) 石油化工灭火救援辅助控制方法、系统、存储介质、终端
CN105070108A (zh) 机载防撞系统、acas收发主机接收环路自检系统及方法
RU2792329C1 (ru) Объектовая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информ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её проектирования
KR102603994B1 (ko) 원자력이용시설 주변지역에서 운행되는 대중교통과 결합된 방사선(능) 측정시스템
CN117041331B (zh) 一种消防报警系统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