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495B1 - 지하 공간 정보를 이용한 종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 공간 정보를 이용한 종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495B1
KR101763495B1 KR1020150191583A KR20150191583A KR101763495B1 KR 101763495 B1 KR101763495 B1 KR 101763495B1 KR 1020150191583 A KR1020150191583 A KR 1020150191583A KR 20150191583 A KR20150191583 A KR 20150191583A KR 101763495 B1 KR101763495 B1 KR 101763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aster
underground space
management system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256A (ko
Inventor
박우진
배상근
김진
임형택
정동훈
최해옥
정영진
Original Assignee
한국국토정보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국토정보공사 filed Critical 한국국토정보공사
Priority to KR1020150191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495B1/ko
Publication of KR20170080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지하 공간 정보를 이용한 종합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 공간 정보를 이용한 종합 관리 시스템은 지하 공간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구분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지하 공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상기 지하 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와 상기 지하 공간에 대한 3차원 기반의 지적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하 공간 정보를 이용한 종합 관리 시스템{TOTAL MANAGEMENT SYSTEM USING UNDERGROUND SPACE INFORMATION}
본 발명은 지하 공간 정보를 이용한 종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지하 공간을 구분하고, 구분된 지하 공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신한 지하 공간에 대한 정보와 지하 공간에 대한 3차원 통합 지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학 및 건축기술의 발전으로 건축물 및 실내 공간의 대형화가 이루어지면서 실내 공간을 활용하는 이용자의 수가 시간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부족한 지상 공간의 대안으로 지하 공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하 공간의 재난 위험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며, 지하 공간에 대한 재난 발생의 위험 요인을 분석하는 기술은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지하 공간은 복잡성으로 인하여 재난 발생 시 위험 요인이 증가하고, 밀폐된 공간으로 인한 열악한 실내 환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지하 공간의 감리 시공 및 설계 단계에서부터 위험 요인들을 분석하고 관리하여 사전에 위험 요인들을 차단하고, 재난재해 발생 시 신속한 접근을 통한 사고의 대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지하 공간을 구분하고, 구분된 지하 공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신한 지하 공간에 대한 정보와 지하 공간에 대한 3차원 통합 지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하 공간에 대한 위험 요인을 사전에 차단하고, 재난재해 발생 시 신속한 접근을 통해 사고를 대처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 공간 정보를 이용한 종합 관리 시스템은 지하 공간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구분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지하 공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상기 지하 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와 상기 지하 공간에 대한 3차원 통합 지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정보와 상기 지하 공간에 대한 3차원 통합 지도를 이용하여 위험 요소의 발생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위험 요소가 발생한 원인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지하 공간에 대한 대피 경로 또는 응급 상황 발생 시 사용자에게 필요한 구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피 경로는 상기 지하 공간에 대한 위험 요소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업데이트 되며, 상기 구조 정보는 출구의 위치 정보, 응급 구조 물품의 위치 정보 및 응급 상황 발생 시 행동 요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정보는 상기 지하 공간에 고정된 고정형 센서 또는 이동형 센서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상기 구분된 지하 공간에 대한 부동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부동산 정보와 상기 지하 공간에 대한 3차원 통합 지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구분된 지하 공간에 포함된 각각의 지적 객체에 대한 분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구분된 지하 공간에 포함된 지적 객체에 대한 각각의 상권 및 부동산에 대한 분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지하 공간을 구분하고, 구분된 지하 공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신한 지하 공간에 대한 정보와 지하 공간에 대한 3차원 통합 지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하 공간에 대한 위험 요인을 사전에 차단하고, 재난재해 발생 시 신속한 접근을 통해 사고를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 공간 정보를 이용한 종합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합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B2G 관점의 비즈니스 모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합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B2B 관점의 비즈니스 모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합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B2C 관점의 비즈니스 모델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 공간 정보를 이용한 종합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지하 공간 정보를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은 종합 관리 시스템에 의해 생성되어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지하공간 정보는 지상 공간 정보와 구분되며, 이는 도 5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여기서, 지하공간정보는 지표로부터 지역에 따라 미리 지정된 깊이까지(예를 들면, 고층 시가지는 40m, 저층 시가지는 30m 내)에 인위적으로 지하에 설치된 시설물과 이에 관련된 모든 설비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비즈니스 모델은, 재해재난 관점에서 평시와 재해재난시로 나눌 수 있다. 이 때, 평시는 아래 표 1에서와 같이 재해 또는 재난이 발생하기 전인 예방 및 대비 단계에 해당할 수 있으며, 재해재난시는 재해 또는 재난이 발생된 이후에 대응 및 보상/복구 단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방 단계에서, 종합 관리 시스템은 지하공간의 감리시공 및 설계 단계에서부터 재해재난과 관련된 위험 요소들을 분석 및 관리할 수 있다.
대비 단계에서, 종합 관리 시스템은 재해재난 시 지하공간의 대피경로 분석, 조기경보시스템, 실내환경 개선, 재난상황 모의실험을 통해 재해재난 시에 발생될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재해재난 시와 관련된 대응단계에서, 종합 관리 시스템은 공간 영상정보, 인명 위치 추적정보, 진입 및 탈출로 정보, 시설물 정보, BIM(Building Information Management) 정보를 활용하여 M2M 기반의 피난 안전 구역을 확보하고, 실시간 대피 경로 안내, 재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재난 구조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재해재난 시와 관련된 보상 및 복구 단계에서, 종합 관리 시스템은 피해보상 규정 정보, 피해공간 측량 정보를 활용하여 사후 피해 측량 및 보험사나 지하공간을 관리하는 민간, 기관과의 정보 공유를 통한 보상체계 지원을 위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사용자는 B(Business: 기업), C(Customer: 일반 소비자), G(Government: 정부 기관)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종합 관리 시스템은 지하구조물을 대상으로 ICT 기술을 융합하여 지하 공간 관리, 긴급 상황 안내, 공간정보 검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재난관리 측면에서는 재난 예측, 대응 모의실험, 위험 요인을 분석하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지하공간정보를 통합할 수 있다(1단계). 그리고, 종합 관리 시스템은 실내 공간정보를 통합할 수 있다(2단계). 또한, 종합 관리 시스템은 실내외 공간정보를 통합할 수 있다(3단계).
1단계에서, 종합 관리 시스템은 지하 공간정보를 구축한다. 지하 공간은 땅 밑의 공간에 배치된 지하상가, 지하 주차장, 지하보도, 지하철 역사 등 지하구조물을 의미하며, 종합 관리 시스템은 ICT 기술을 융합하여 지하 공간 관리, 긴급 상황 안내, 공간정보 검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종합 관리 시스템은 재난관리 측면에서는 재난 예측, 대응 모의실험, 위험 요인을 분석하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2단계에서, 종합 관리 시스템은 실내 공간의 재난 원인 분석 및 피해보상 산출 서비스, 최적의 대피경로 및 이동경로 정보 제공, M2M 활용의 안전공간 확보 모의실험, 시설 안전관리 및 에너지 관리 솔루션 및 서비스를 제공 실내 공간정보까지 생성할 수 있다.
3단계에서, 종합 관리 시스템은 실내뿐만 아닌 실외의 공간정보까지 통합 재난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평시 비즈니스 모델은 에너지 효율분석, 이용고객의 경로 분석을 통한 점포의 공실률 최소화를 위한 경영의사결정의 지원, 마케팅 정보와 상권 분석을 통한 B2C 비즈니스, 재해재난에 대비한 안전진단 및 모의 대피교육 등이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15129492906-pat00001
[표 1]
종합 관리 시스템은 지하 공간 정보를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에 따라 기존의 2D에서 3D 형태의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합 관리 시스템은 지하 공간에 설치된 지하 구조물 또는 지하 공간에 설치된 환경과 관련된 통계 정보, 조사 정보, 센서 정보와 더불어 행정정보 및 비즈니스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Figure 112015129492906-pat00002
[표 2] 지하 공간 정보를 이용한 비즈니스 전개도
명칭 개념 특징
재난재해, 시설경영 종합 컨설팅 지하공간 및 안전정보 종합관리 시스템구축, 안전감시 로봇시스템, 시설안전진단 솔루션, 상황정보 솔루션 등의 개별-종합 컨설팅 서비스 수행 -시스템구축서비스
-로봇시스템설치,
-데이터 기반의 매장관리, 안전관리 서비스
-시설 안전진단 및 개선대책 솔루션
지하공간 및 안전정보 종합관리 시스템 복합다중시설에 설치된 BIM 및 국가와 민간 기업이 제공하는 데이터와 결합하여 일반관리(고객관리, 입점관리 등)와 재해재난 등 안전관리(센싱, 예측, 진단, 개선, 대비, 복구 등 솔루션) 솔루션을 제공하는 종합 서비스 시스템 -일반관리; 시설 찾기, 편의시설안내, 프로모션 안내, 행사안내, 주차정보 및 정산, 쿠폰거래, 금융거래(FinTech), 대피게임, 시설주변 교통정보
-매장관리; 매출분석, 프로모션분석, 고객동향분석, 관리비 절감 솔루션, 고객 경로분석, 수요예측 분석, 재고관리 분석
-안전관리: 실내 질병예측 관리, 유틸리티 분석, 유틸리티 수명예측, 구조 안전진단, 대피분석, 실시간 위치별 이용객 밀집도 분석
-위급상황전달및대피경보:이용객,입점주대피안내,자체진압시스템가동, 소방,경찰등관계기관긴급통신및내부정보제공
이동형 만물쾌적
안전감시 로봇시스템
HD카메라 및 IoT(Bio, CO2, N, Temp, Fluid. 미세먼지.) 등을 장착한 움직이는 만물감지 로봇으로서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 지하공간 및 안전정보 종합관리 시스템에 정보제공 및 지령수령, 입점업주, 시설관리자 공동 소유 개념의 지능형로봇 -지하공간 및 안정정보 종합관리 시스템의 등급별 선택 가능
-360도 회전, 24시간 감시
-이용자, 관리자 정보 제공 서비스
-HD카메라: 이용자, 매장 이용 고객 카운트, 스캐너(프로모션 가독), Eye Tracking(고객 관심도 분석)
-IoT 센서네트워크; 공기질센서, 유동센서(Fluid Sensor), Thermal Detector(이용자동선, 유틸리티 점검, 시설점검, 주차정보, 도난/파손/손괴감시)
-기초분석 및 기계학습 기능 탑재 : 독자 판단 및 초동 조치 가능기능
시설안전
진단솔루션
구조물이나 시설물의 동적 거동상황을 측정 분석, 진단하여 구조물의 안정성과 구조물의 건전도 진단, 나아가 수명을 예측하는 솔루션 -비접촉시변위측정센서:비전및레이저거리측정센서
-시스템: 연구결과에 준한 핵심P가치별 데이터 입력에 의한 구조물의 안전성 및 건전도 평가, 보고서
-개선솔루션: 근본원인의 분석 결과 및 경제적이고 수정 가능한 솔루션
안전관리 솔루션 이용자및입점기업,관리기업을위한재해재난등위험요소를발굴하고예측하여진단과대안을제공하는서비스솔루션 -실내질병예측관리,
-유틸리티분석, 유틸리티 수명예측, 구조 안전진단
-대피분석, 실시간 위치별 이용객 밀집도 분석
종합 상황정보 송출 시스템 죄나 사고, 위급상황 발생 시 초동 대처와 동시에 관기기관에 통보할 때 지도상에 내부 상황정보를 송출하여 대응 및 복구에 활용 -위급상황 전달 및 대피경보 :이용객, 입점주 대피 안내
-자체 진압시스템 가동 및 소방, 경찰 등 관계기관 긴급통신 및 내부 상황정보 제공
-범죄 및 사고 경보 , 안전대책 상황 발령 시스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지하 공간 정보는 빅데이터의 하나의 예시가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합 관리 시스템은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위한 맞춤형 비즈니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빅데이터는 측량성과도, 지적도 이외에, 도로명주소 기본도, 지하공간정보, 3D 지적 데이터 등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빅데이터는 지역 정보/공간 정보와 관련된 환경 센서 데이터, 카드매출 또는 이동통신사 위치정보, 소셜 미디어 데이터 등까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합 관리 시스템(100)는 지하 공간에 대한 3차원 지적도와 지하 공간에 설치된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수집된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3차원 지적도는 해당 지하 공간에 대한 지번, 지목, 면적, 경계, 좌표 등과 같은 지적 정보는 물론 등기부 등본, 시세와 같은 부동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3차원 지적도는 국토교통부, 행정자치부 등과 같은 정부 기관과 서울시 등과 같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수집된 데이터(110)와 자체적으로 구축한 데이터(120)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생성된 3차원 지적도는 통합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될 수 있다.
통합 데이터베이스(130)에는 3차원 지적도 이외에도 정부 기관과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수집된 데이터(110)와 자체적으로 구축한 데이터(120), 지하 구조물 정보, 지하 시설물 정보, 지하 상권 정보 및 환경/재해 정보 등은 물론 필요 시 지하 구조물이나 시설물의 진동 및 변위 등 안전진단을 위한 각종 데이터가 추가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Figure 112015129492906-pat00003
[표 4] 기초자료 수집목록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지하 공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해당하는 지하 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합 관리 시스템(100)는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지하 공간에 대한 이용자 밀집 정보, 지하 공간이 위치한 지역의 기상 정보 및 자원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지하 공간에 설치된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센서 정보, 3차원 지적도 및 통합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정보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종합 관리 시스템(100)의 동작은 도 6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대상 데이터의 범위를 측량성과 및 지적도, 도로명주소 기본도 등의 기본적인 공간정보에서 3차원 공간정보, 공공 행정정보 및 통계정보, 환경 센서 데이터, 소셜 미디어 데이터, 일반 소비자에 의해 생성되는 신용카드 매출정보 및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이용자 위치정보, 유동인구 데이터 등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둘째,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측량 정확도 향상 및 측지계 변환, 지적도 및 기반 공간정보 구축ㆍ관리 기술에서 빅데이터 기반의 공간 분석 기술, 시계열 예측 기술, 텍스트 마이닝 기술, 네트워크 분석 기술을 통해 수집한 빅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셋째,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빅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지하공간정보에 대한 빅데이터를 통합하고(1단계), 실내공간정보에 대한 빅데이터를 통합하며(2단계), 실내외 공간정보에 대한 빅데이터를 통합하는(3단계)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단계에서, 종합 관리 시스템은 지하 다중복합시설물에 설치된 실내측위정보 관련 디바이스로부터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고, 지하공간정보의 실내지도의 3D화 및 실내영상 POI(Point of Interest)를 수행하며, 필요한 경우 로봇을 이용하여 지하공간 내의 실내공간의 상태데이터 수집, 실내공간의 각 시설의 운영 상황을 파악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2단계에서,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지하다중복합시설물에서 지상을 포함하는 다중복합시설물로 대상으로 확대할 수 있다. 즉, 이는 건축물 및 복합건물 등의 실내 공간정보까지 범위를 확대하는 것으로,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실내 공간의 재난 원인 분석 및 피해보상 산출 서비스, 최적의 대피경로 및 이동경로 정보 제공, M2M 활용의 안전공간 확보 모의실험, 시설 안전관리 및 에너지 관리 솔루션 및 서비스를 제공 등의 서비스는 물론 평시의 비즈니스 관점에서 입주 점포들은 물론 이용객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도 포함한다.
3단계에서,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실내외를 포함하는 공간 빅데이터 통합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종합 관리 시스템(100)이 커버하는 모든 국토정보를 3차원 기반으로 통합 구축하여 공간정보 생산, 응용, 종합 재난 예측 및 대응 솔루션, 피해보상을 위한 통합 관리/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별로 니즈를 획득하고, 사용자별 니즈에 따라 시장을 세분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일반 소비자에 대해 다중복합시설을 이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하철 및 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한 접근방법이나 서비스별 위치정보에서부터 안전정보, 이용 목적에 관한 정보, 혼잡상황 및 실내 공기질, 지하주차장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니즈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비즈니스 기업에 해당하는 지하공간의 입점주에 대해 시설을 이용하는 고객의 분석과 매출상황, 경쟁점포의 프로모션 정보 등 매출 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분석 서비스를 필요로 하며, 입점을 희망하는 고객의 경우 점포 임대현황, 관리비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니즈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지하공간에 인위적으로 설치된 시설을 관리하는 기관에 대해 재해 및 안전 관리, 실시간으로 이용자의 현황 관리, 실내 공기질, 도난이나 시설의 손괴 등 시설의 집중적인 관리 측면은 물론 변전실, 냉난방 등 유틸리티 관리, 점포별 매출액 관리 및 임대료, 관리비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니즈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니즈는 도 8을 통해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종합 관리 시스템(100)이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서비스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시장을 구분하면 도 9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 그룹별 니즈에 기초하여 구매행동의 관점에서 각 항목을 편리성과 안전성, 공공성과 사업성 측면에서 점수화 하는 방법으로 위치시킴으로서 사용자를 세분화 하였다.
일례에 의하면, 사용자를 세분화한 결과 사용자는 두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그룹은 일반 소비자인 이용자와 입점주 그리고 관리기업그룹으로서 결합력을 가진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재난재해의 관점보다는 평시 고도의 '생활서비스 추구그룹'으로서 민간과의 B2B와 일반 고객과의 B2C 비즈니스 대상 그룹일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그룹은 느슨한 결합력을 가졌으나 관리기업과 관계기관의 그룹으로서 평시의 고도화된 서비스보다는 '안전 추구그룹'으로서 재난재해 서비스를 통해 예방과 대응, 복구에 관심이 많은 그룹으로서 정부 및 지자체, 공공기관과의 B2G 또는 기업과의 B2B 비즈니스 대상 그룹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생활서비스 추구 그룹"과 "안전 추구 그룹"은 다음과 같이 차별적으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첫째, 생활서비스추구그룹을 위한 차별화 방안으로서 위치정보서비스이다. 위치정보서비스는 휴대폰에 있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NFC 등 여러 가지 통신 모듈이나 센서를 이용하여 전시장이나 미술관, 병원 등 복잡한 대형 건물의 내부를 안내하거나 사용자와 대화하면서 길을 안내해주는 내비게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위치정보서비스를 위한 기술로서 첫 번째는 이용자의 위치를 감별할 수 있는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이용자의 위치를 감별할 수 있는 측위 기술로는 비콘(Beacon)을 이용한 기술, 와이파이를 이용한 기술, 라이파이(Li-Fi) 기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두 번째, 이용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기술이다.
둘째, 안전추구그룹을 위한 차별화는 종합 관리 시스템(100)이 획득한 지적측량 결과의 산출물을 활용할 수 있다. 측량기술 분야는 최근에 기존의 지반은 물론 기초공사, 건축의 구조 요소측량, 지하의 금속 광물 탐지, 광산의 채광량 분석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지상파와 모바일을 이용한 고화질의 레이저 스캐닝 기술의 적용을 통한 교량이나 문화유산, 건물 등의 사실 기반의 묘사, 항공라이다 및 사진을 이용한 라이다 측량으로 고도 기반의 3D 지형, 건물, 해저, 댐, 호수 등의 수심지도까지 획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합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B2G 관점의 비즈니스 모델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합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한 B2G 관점의 비즈니스 모델은 지하 공간에 대한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210)에서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지하 공간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이때, 구분된 지하 공간은 지능 셀(Intelligence Cell)에 해당할 수 있으며,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이와 같은 지능 셀을 기반으로 지하 공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때, 지능 셀은 지하 공간을 포함한 사람, 사물, 공간이 연결된 지능공간을 관리하기 위한 구획 단위일 수 있다. 결국,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지하공간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전국 지하공간을 일정한 그리드로 나누어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실시간으로 확인이 어려운 지하 공간 인프라를 실시간 센서 데이터를 통한 모니터링으로 싱크홀 및 지반침하 등의 재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재해재난의 최소화를 위해 IoT를 활용한 센서 데이터 및 위성정보의 연동을 통한 재해재난 위험요소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계(220)에서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각각의 지능 셀에 대응하는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해당 지능 셀에 대한 센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센서가 배치된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에 따라 해당 지능 셀에 대한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230)에서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수집된 센서 정보와 3차원 지적도에 기초하여 지하 공간에 대한 위험 요소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수집된 센서 정보와 3차원 지적도를 분석한 결과 해당 지하 공간에서 위험 요소가 발생한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발생 위치에서 지반이 침하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때,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지반 침하 현상이 자연적 현상인지 아니면 사고에 의한 현상인지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단계(240)에서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예측된 위험 요소의 발생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230)에서 지반 침하 현상이 사고에 의한 현상으로 판단되면, 종합 관리 시스템(100)는 수집된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험 요소의 발생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만약, 지반 침하 현상이 원인이 상수도관의 파열에 의한 것이라면,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상수도관을 담당하는 관련 기관에 상수도관이 파열된 위치 정보 및 위험 요소가 발생된 지점의 현재 상태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상수도관이나 하수도관과 같은 사회 인프라 시설에 센서를 부착하고, 부착된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지하 공간에 대한 재해재난을 예방하고 재해 시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다.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수집된 센서 정보 및 3차원 지적도와 함께 위성 정보 및 부동산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원자력연구소가 새로운 원자로를 설치할 장소로 3군데의 후보지역을 선정하였다고 가정하자.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기존의 위성 정보와 지하 공간에 배치된 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지리적인 안정성 및 원자로 설치 환경을 고려하고, 추가적으로 부동산 정보를 이용하여 선정된 후보 지역의 지가를 고려함으로써 최적의 지역을 선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합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B2B 관점의 비즈니스 모델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합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한 B2B 관점의 비즈니스 모델은 로봇의 자율이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황별 센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평시 및 재난재해시의 대응체계를 제공할 수 있다.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실내 공간에 배치된 고정현 센서를 통해 국부적인 실내 공간에 대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한편, 이동형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공간에 대해 상황별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과학 및 건축기술의 발전으로 건축물 및 지하 공간의 대형화가 이루어지면서 지하 공간을 활용하는 이용자의 수와 시간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재난재해 발생시 신속한 접근을 통한 사고의 대처가 필요하다.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로봇을 이용하여 지하 공간을 상황별로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이용되는 로봇은 3차원 실내 공간 정보를 탑재하고 자율이동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공간이동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응급 사건 발생 시 로봇의 정확한 이동을 통하여 사고 현장에 파견함으로써 신속한 수색 및 구조 활동의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로봇은 사용자의 필요성에 따라 구조로봇, 전투로봇, 의료로봇, 가사도우미로봇 및 순찰로봇 등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단계(310)에서,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로봇에 장착된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지하 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황별로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로봇에 장착되는 복수의 센서는 영상 센서, 음성 센서, 온습도 센서, 풍향 센서, 풍속 센서, 미세먼지 센서 등 지하 공간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평시인 경우, 로봇은 지하 공간에 대한 안내 도우미 및 건물의 안전을 위한 순찰, 지하 공간의 공기질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로봇이 위치한 건물이 쇼핑센터와 같은 복합 건물일 경우, 로봇은 해당 복합 건물의 점포별 입객수, 고객 이동경로, 이용고객의 주용도 탐색 등의 고객 행태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종합 관리 시스템(100)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로봇은 시설물 작동에 대한 이상 유무를 점검하거나 시설물에 대한 이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로봇으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입점 점포에 적합한 마케팅 자료를 제공하거나 해당 건물의 건물관리업체나 시설물 관리 업체에 해당 건물의 전반적인 지하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로봇으로부터 전송 받은 센서 정보를 분석하여 건물 내의 미세먼지가 급증한 것을 확인하면, 즉시 건물관리업체에 해당 상황을 전송하고,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환풍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는, 종합 관리 시스템(100)이 스스로 건물의 환풍기를 조작하여 미세먼지가 제거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만약 단계(320)과 같이 건물 내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단계(330)에서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사고가 발생한 지점 및 사고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119에 신고함과 동시에 사고가 발생한 지점으로 로봇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로봇은 종합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사고가 발생한 지점까지의 최단거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자체적으로 보유한 이동 시스템에서 확인된 최단거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고가 발생한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파악된 사고 발생 지점에서 로봇이 구조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파악된 사고 발생 지점의 단면도 및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쉽게 해체가 가능한 부분을 확인하고, 이를 로봇에게 전달할 수 있다.
로봇은 전달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해체가 가능한 부분을 무너뜨리고 사고 발생 지점에 존재하는 부상자를 안전한 지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단계(340)에서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파악된 사고 발생 지점 및 사고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최적의 대피 경로를 로봇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구조팀에게 사고 발생 지점 및 사고자의 위치를 제공하고, 최적의 구조 경로를 확인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합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B2B 관점의 비즈니스 모델에서는 국부적인 검출만이 가능한 고정형 센서 대신에 로봇이라는 이동형 센서를 활용하여 대상 지하 공간 전체에 대해 상황별 센서 정보를 수집하여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합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B2C 관점의 비즈니스 모델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합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한 B2C 관점의 비즈니스 모델은 상점주에게는 상권 분석, 안전대피경로, 방재시설물정보, 안전 및 상권 컨설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가 가능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하실내 경로 안내 및 재난 안전 정보를 제공하고, 이용객으로부터 앱 구매 비용 및 정보 이용료를 받을 수 있다.
B2C 관점의 비즈니스 모델의 주요 소비자는 지하 공간정보관리 기관, 재난재해 관련기관, 지하상가 상인 및 이용객들이 포함될 수 있다.
지하 공간은 사용자들의 주요 생활 공간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그 고유의 특성인 폐쇄성 및 이동 복잡성 등으로 인해 재난재해 발생 시 그 피해가 지상 공간에 비해 커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합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한 B2C 관점의 비즈니스 모델은 지하 공간에 재난재해 발생 시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응체계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지하 공간 내에 위치한 인원의 대피 경로, 재난재해 진압을 위한 구조자들의 진입 정보 및 구조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상적인 보행이 어려운 이동 약자에 대한 대피 경로를 별도로 확인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단계(410)에서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지하 공간 내에 미리 설치된 센서로부터 해당 지하 공간에 대한 센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평시의 경우,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수집된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상권 정보 및 부동산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통합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부동산 정보와 3차원 지적도를 더 활용하여 지하 공간에 포함된 각각의 지적 객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단계(420)과 같이 지하 공간 내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단계(430)에서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사고가 발생한 지점 및 사고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119에 신고함과 해당 지하 공간에 존재하는 모든 사용자들에게 사고 발생 경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합 관리 시스템(100)는 사용자들의 단말에 설치된 지하 공간에 대한 재난재해 정보 제공 앱(이하, 지하재난앱)으로 통해 경보음을 울리고 사용자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사고가 발생한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재난재해 관련기관에 사고 발생 여부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단계(440)에서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지하재난앱을 통해 사고가 발생한 지점 및 사용자들의 위치를 고려하여 최적의 대피 경로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지하재난앱을 통해 현재 발생한 사고에 적합한 대응 방법을 음성, 텍스트 또는 영상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만약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방법을 설정한 경우,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해당 이동 방법에 적합한 최적의 대피 경로 및 대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휠체어를 이용하는 경우,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사고가 발생한 지점 및 해당 휠체어 사용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휠체어 이동이 가능한 대피 경로 및 휠체어 이동에 적합한 대응 방법을 확인하여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들에게 출구의 위치 정보, 응급 구조 물품의 위치 정보 및 응급 상황 발생 시 행동 요령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들이 사고가 발생한 지점에서 무사히 대피를 완료한 경우,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대피한 사용자들의 인적 사항을 재난재해 관련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들 이외에도 사고에 대처하는 재난재해 관련기관의 구조팀에도 지하재난앱을 통해 사고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사고 발생 시 출동하는 구조팀의 위치와 사고 발생 위치를 고려하여 최단 경로를 확인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사고가 발생한 지역의 정확한 위치와 출입구 현황, 다수의 피해자 고립 지역, 화재진압을 위한 최적의 진입 경로,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 경로 등을 구조팀에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사고 대처가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구조팀의 지하재난앱과 구조팀이 착용한 헬멧을 동기화 시킬 수 있다.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동기화된 헬멧의 고글에 구조 경로를 디스플레이 하고, 헬멧에 부착된 음성 장치를 통해 구조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구조팀은 보다 신속하게 사고에 대처할 수 있다.
이때, 종합 관리 시스템(100)은 동기화된 헬멧들 사이에 음성지원 기능을 제공하고, 지원요청 기능이 작동되었을 때, 지원요청 기능이 작동된 헬멧이 위치한 장소까지의 이동 경로를 동료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종합 관리 시스템
130 : 통합 데이터베이스

Claims (6)

  1.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종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지하 공간 및 실내외 공간에 대한 공간정보를 통합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된 공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비즈니스 모델인 재난관리 서비스 및 매장관리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하는 단계는,
    상기 지하공간 및 실내외 공간에 대한 3차원 공간 지적도, 상기 지하 공간 및 실내외 공간에 대한 통계/조사/센서 정보, 상기 지하 공간 및 실내외 공간에 대한 공공 행정 정보, 소셜 미디어 정보, 신용카드 매출 정보, 유동인구 정보 및 비즈니스 정보를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빅데이터 기반의 공간 분석 기술, 시계열 예측 기술, 데이터 마이닝 기술 및 네트워크 분석 기술을 통해 상기 수집된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빅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통계/조사/센서 정보는 기상 통계, 날씨 통계, 해양 정보, 이용자 밀집 정보 및 자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공공 행정 정보는 행정구역 통계, 인구 통계 및 인허가 통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비즈니스 정보는 음식점/숙박 정보, 상가 정보, 문화재 정보 및 교통/관광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재난관리 서비스에 대해 (1) 평상시 및 (2) 재해재난시 별로 제공 가능한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1) 평상시의 경우,
    (a) 예방 단계에서는 상기 통합된 공간정보 중 기후/날씨/지진 데이터, 지하 재해재난 사례/원인분석 및 상기 지하공간 및 실내외 공간에 대한 관리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지하공간 및 실내외 공간에 대한 감리시공과 설계오류, 재난 위험요인 평가 및 시뮬레이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재난 위험요인 평가 및 시뮬레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지하공간 및 실내외 공간을 사람, 사물, 공간이 연결된 지능공간을 관리하기 위한 구획 단위인 지능 셀(Intelligence Cell)로 구분하여 위험 요소를 분석하고, 분석된 위험 요소에 대한 발생 원인을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지하공간 및 실내외 공간에 대한 재해재난을 사전에 예방하고,
    (b) 대비 단계에서는 상기 통합된 공간정보 중 위치정보, 최적 대피경로, 실내환경 정보, 재난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대피경로분석, 조기경보 시스템, 재난상황 시뮬레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2) 재해재난시의 경우,
    (a) 대응 단계에서는 상기 통합된 공간정보 중 공간 영상정보, 인명 위치 추적 정보, 진입/탈출로 정보, 시설물 정보 및 빌딩 정보 모델(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를 이용하여 M2M 기반의 피난 안전구역 안내, 실시간 대피경로 안내, 실시간 재난 모니터링 및 재난 구조 지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 대피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이동 방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방법이 도보 또는 휠체어인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사고가 발생한 지점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대피 경로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재난 구조 지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헬멧에 지원 요청 기능이 활성화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헬멧을 다른 사용자들의 헬멧과 동기화시켜 상기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상기 다른 사용자들의 위치까지에 대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며,
    (b) 보상/복구 단계에서는 상기 통합된 공간정보 중 피해보상 규정 정보 및 피해 공간 측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사후 피해 측량 및 보상체계 지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매장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매장 관리 서비스에 대해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이동형 로봇으로부터 상기 통합된 공간정보에 대한 점포별 입객수 정보, 상기 점포를 이용하는 고객의 이동 경로 정보 및 상기 고객의 관심도 분석을 위한 시선 추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생성된 마케팅 자료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마케팅 자료는,
    매출분석 자료, 프로모션분석 자료, 고객동향분석 자료, 관리비절감솔루션 자료, 수요예측분석 자료 및 재고관리분석 자료를 포함하는 종합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191583A 2015-12-31 2015-12-31 지하 공간 정보를 이용한 종합 관리 시스템 KR101763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583A KR101763495B1 (ko) 2015-12-31 2015-12-31 지하 공간 정보를 이용한 종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583A KR101763495B1 (ko) 2015-12-31 2015-12-31 지하 공간 정보를 이용한 종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256A KR20170080256A (ko) 2017-07-10
KR101763495B1 true KR101763495B1 (ko) 2017-08-03

Family

ID=5935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583A KR101763495B1 (ko) 2015-12-31 2015-12-31 지하 공간 정보를 이용한 종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49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233A (ko) 2017-10-31 2019-05-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비상대피 유도방향표시등 통합설계 방법
KR102203678B1 (ko) * 2019-12-13 2021-01-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석을 이용하여 지하 공간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19096B1 (ko) * 2021-04-03 2022-07-07 장현실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KR102454028B1 (ko) * 2021-04-17 2022-10-14 주식회사 누비다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KR20220149123A (ko)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 케이티 오염물질경로 예측 장치
KR20230083388A (ko) 2021-12-02 2023-06-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도시철도 지하공간의 빔-그리드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613B1 (ko) * 2018-12-26 2020-11-09 유씨아이테크 주식회사 Ar을 이용한 공동 매립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351516B1 (ko) * 2020-04-29 2022-01-17 한국국토정보공사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공간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2508399B (zh) * 2020-12-04 2023-11-14 中铁二院重庆勘察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地下空间开发适宜性评价方法及系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서울특별시 블로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233A (ko) 2017-10-31 2019-05-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비상대피 유도방향표시등 통합설계 방법
KR102203678B1 (ko) * 2019-12-13 2021-01-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석을 이용하여 지하 공간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19096B1 (ko) * 2021-04-03 2022-07-07 장현실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KR102454028B1 (ko) * 2021-04-17 2022-10-14 주식회사 누비다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KR20220149123A (ko)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 케이티 오염물질경로 예측 장치
KR20230083388A (ko) 2021-12-02 2023-06-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도시철도 지하공간의 빔-그리드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256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495B1 (ko) 지하 공간 정보를 이용한 종합 관리 시스템
Tashakkori et al. A new 3D indoor/outdoor spatial model for indoor emergency response facilitation
Kim et al. Integrating travel demand modeling and flood hazard risk analysis for evacuation and sheltering
CN104616093B (zh) 一种地震灾害救援指挥调度系统及方法
Mishra et al. Current trends in disaster management simulation modelling research
JP6242651B2 (ja) 早期状況把握方法、および装置
KR102209384B1 (ko) 3차원 bim 객체 모델을 이용한 재난관리 시스템 및 재난관리 방법
US2007002446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safe havens for hazardous transports
Yuan et al. Smart flood resilience: harnessing community-scale big data for predictive flood risk monitoring, rapid impact assessment, and situational awareness
US20150309895A1 (en)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and decision-making support method
Cao et al. BIM–GIS integrated utilization in urban disaster management: the contributions,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Liu et al. Dynamic estimation system for fire station service areas based on travel time data
Abdalla Evaluation of spatial analysis application for urban emergency management
Zhang et al. Assessment and determination of earthquake casualty gathering area based on building damage stat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nalysis
Chang et al. Traffic speed estimation through data fusion from heterogeneous sources for first response deployment
KR102350252B1 (ko) 맵 라이브러리 데이터셋 구축 및 활용방법
WO2008060308A2 (en) Data model for risk assessments
Macias Alternative methods for the calculation of pedestrian catchment areas for public transit
Xia et al. An integrated spatial clustering analysis method for identifying urban fire risk locations in a network-constrained environment: A case study in nanjing, china
Osaragi et al. Predicting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transient occupants in urban areas
Zhu et al. The impact of dynamic traffic conditions on the sustainability of urban fire service
Chen et al. Ambulance service area considering disaster-induced disturbance on th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Wei et al. Integrated urban evacuation planning framework for responding to human-caused disasters over a surface transportation network
Franzese et al. Fast deployable system for consequence management: The emergency evacuation component
Rambha et al. Transportation network issues in evacu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