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793B1 -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793B1
KR102191793B1 KR1020200001868A KR20200001868A KR102191793B1 KR 102191793 B1 KR102191793 B1 KR 102191793B1 KR 1020200001868 A KR1020200001868 A KR 1020200001868A KR 20200001868 A KR20200001868 A KR 20200001868A KR 102191793 B1 KR102191793 B1 KR 102191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information
provides
situation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열
김장현
이기수
Original Assignee
(주)아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레스 filed Critical (주)아레스
Priority to KR1020200001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진 또는 쓰나미와 같은 재난에 의하여 방사능 누출 사고 시, 주민들에 대한 방사능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실제 상황과 유사한 재난 대응 모의 훈련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Radiation Disaster Response Training system}
본 발명은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진 또는 쓰나미와 같은 재난에 의하여 방사능 누출 사고 시, 주민들에 대한 방사능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실제 상황과 유사한 재난 대응 모의 훈련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재난 사고 중 원자력발전소 중대사고 현상을 모의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중대사고 대상 원자력발전소에의 구성 시스템 정보 입력 파일과 사고 시나리오를 미리 생성하여, 중대사고 해석 프로그램인 MAAP(Modular Accident Analysis Program) 코드를 오프라인상으로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 파일에서 결과들을 유출하여, 원자력 중대사고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관련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1585066호에는 대화형 원자력 중대사고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사용자로부터 시뮬레이션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중대사고 해석코드를 DLL(Dynamic Linking Library)화 한 중대사고 해석 엔진; 및 상기 시뮬레이션 명령을 이용해 상기 중대사고 해석 엔진을 제어하여 원자력 중대사고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고, 생성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전달하여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중대사고 해석 엔진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루트를 실행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스텝을 포함하는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시뮬레이션의 실행 중간에 입력되는 시뮬레이션 명령을, 현재 실행 중인 스텝의 다음 스텝에 대해 적용해 실행하여, 사용자가 시뮬레이션 실행 중간에 개입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다른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698335호에는 원전연료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이에 적용된 원전연료의 시뮬레이션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원전연료의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원전연료의 이동순서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a)단계; 데이터에서 원전연료의 정보와 원전연료의 인출 지역에 대한 좌표와 원전연료의 장전 지역에 대한 좌표를 추출하는 (b)단계; 및 (b)단계에서 추출된 정보를 데이터의 순서도에 따라 시뮬레이션하는 (c)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따르면, 방대한 양의 원전연료 이동순서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순서도에 따른 시뮬레이션 중 발생될 수 있는 오류를 시스템적으로 검증하여, 원전연료의 인출 및 장전이 요구되는 모든 연료 이동업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검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는 호기별 주기마다 약 3Man-day의 업무량을 3Man-hour로 가능하게 하여 이동검증의 작업시간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또 다른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752328호에는 한반도 인접국 원전사고 비상대응 교육훈련용 시뮬레이션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한반도 인접국 원전사고 비상대응 교육훈련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원자로의 위치와 가동연수, 출력, 원자로 타입, 원자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주변국 원자로의 정보를 포함하는 원자로DB와 중대사고의 시나리오를 포함하는 시나리오DB와 원자로DB의 원자로 정보와 시나리오DB의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중대 사고 발생시 발생되는 방사성 물질의 종류와 양을 출력하는 방출선원항 평가모듈과 방출되는 방사성 물질의 대기확산과 침적과정을 고려하여 평가하고자 하는 지점의 공기중 및 지표의 방사성물질의 농도를 출력하는 대기확산 평가모듈과 방사성물질의 농도로부터 피폭선량을 평가하여 인체가 받는 방사학적영향을 출력하는 피폭선량평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된 기술들은, 재난대응 훈련시스템 분야 활용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표시 기술을 제공하지 않아 실시간 대응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기존의 방사능 방재기술지원시스템(AtomCARE, Atomic Computerized Technical System for a Radio logical Emergency)과 사후처리를 위한 훈련지원 프로그램(REEP)은 텍스트 기반의 원자력 시설의 내부 근무자 및 관계 기관에 대한 대응조치를 위한 메시지 연습 시스템으로 통합방제센터에서 직관적으로 모니터링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으며, 공간 지형정보 상에 현재 대응 상태를 표시하고 있지 않아 다양한 현장 요원들의 대처 사항을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지진 또는 쓰나미와 같은 재난에 의하여 원자력발전소에서 방사능 누출 시, 인근의 사람들에 대한 방사능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재난 대응 모의 훈련을 통해 실제 상황과 유사한 훈련 환경을 제공하도록 하여 상황실에서는 심볼을 이용한 재난대응 모의훈련 상황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85066호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98335호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75232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방사능 누출 사고 발생 시, 주민들에 대한 방사능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실제 상황과 유사한 재난 대응 모의 훈련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각 객체들의 심볼 정보를 2D Map(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함으로써, 객체들의 이동 상황이나 임무 내용 등을 일목요연하게 통합 모니터링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은,
지도 기반으로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진행 상황이 표시되는 훈련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100)와;
각 훈련반 단말기(300)로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을 하달하고,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대해 각 훈련반 단말기(300)들이 처리한 상황 처리 정보를 각 훈련반 단말기(300)들로부터 수집하고, 수집된 상황 처리 정보들이 훈련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도록 하여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진행 상황이 훈련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도록 하고, 수집된 상황 처리 정보들이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처리인지를 평가하는 훈련관리서버부(200)와;
훈련관리서버부(200)로부터 방사능 재난 모의 모의 훈련 상황을 하달받고,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대해 처리한 상황 처리 정보를 생성하여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는 복수의 훈련반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은,
방사능 누출 사고 발생 시, 주민들에 대한 방사능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실제 상황과 유사한 재난 대응 모의 훈련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실제 재난 발생시, 관리자들의 재난 대처 능력을 향상 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각 객체들의 심볼 정보를 2D Map(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함으로써, 객체들의 이동 상황이나 임무 내용 등을 일목요연하게 통합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어 현재 재난 대응 상태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의 훈련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100)에 의해 표출되는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화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의 훈련관리서버부(200)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의 훈련관리서버부(200)에 의해 표출되는 명령창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의 기상변경 UI 창에 입력된 기상변경 정보를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6은 방사능 누출 UI 창에 입력된 방사능 누출 정보를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7은 방사능 누출 초기화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8은 방사능 비상 발령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9는 방재조직 통합/삭제의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10은 조직이동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11은 조직수정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12는 방재조직 통합/삭제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13은 시설 생성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14는 시설수정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15는 시설삭제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16은 화재발생/취소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17은 환자발생/취소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18은 도로피해 발생/취소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19는 오염지역 생성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20은 오염지역 수정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21은 오염지역 삭제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22는 옥내 대피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23은 옥내 대피 해제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24는 주민집결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25는 갑상선 방호약품 배포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26은 갑상선 방호약품 복용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27은 보호시설 수용인원 대피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28은 낙오주민 처리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29는 주민복귀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30은 화재진압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31은 응급복구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32는 환자이송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33은 시설운영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34는 교통/출입통제소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35는 제염소 운영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36은 가두방송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37은 순찰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38은 오염탐사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39는 지역제염 실시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40은 도로이동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41은 이동정지/실시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42는 차량수송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43은 열차수송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44는 선박수송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45는 헬기수송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46은 주민소개지원팀 수송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47은 소개지원 차량이동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48은 소개지원 차량이동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49는 이재민 등록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50은 구호물품 지급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51은 구호물품 신청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52는 구호물품 신청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53은 모의반 변경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54는 명령 취소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55는 방재조직 편성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56은 방재조직 통합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57은 주민조직 편성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58은 차량 편성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59는 열차 편성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60은 선박 편성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61은 헬기 편성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62는 차량편성 해제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63은 보고서 목록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64은 교통/출입 통제소 현황 목록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65는 방사선 감시장비 운용현황 목록 UI 창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된 예시도이며, 도 66은 심볼 예시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은 크게, 훈련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100), 훈련관리서버부(200), 복수의 훈련반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심볼을 이용한 방사능 재난 대응 훈련을 실시하게 된다.
즉, 상황실이라는 공간 상에서 방사능 재난대응 모의훈련을 실시함으로써, 실전에서의 대응 방안을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재난으로는 방사능 사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화재 사고, 낙석사고, 낙오자, 도로유실 사고, 교량붕괴 사고, 교통사고, 홍수 사고 등의 재난에 대하여 모의 훈련을 실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훈련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100)는 지도 기반으로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진행 상황을 표시하여 상황실에서 종합적으로 현재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훈련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전시되는 사용자 인테페이스 화면 구성은 훈련지역의 상황을 전시하는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와 명령수행을 위한 모의기능 명령바, 찾기, 조직이나 시설에 대한 객체정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도식 여부를 지정하는 심볼 도식정보, 임무수행 및 처리에 따른 보고서 정보, 그리고 지도의 축척과 위치좌표에 대한 지도정보 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훈련통제, 주민보호활동, 방재활동, 이동 및 수송, 구호소 운용, 조직관리, 현황조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명령창을 설정 레이어 상에 표출하고, 명령창을 통해 처리된 명령에 따라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도 2의 ① 참조)
그리고, 도 2의 ② 항목의 경우, 시스템의 최신화 버튼, 종료 버튼을 표출하고 있어 항상 최신 데이터로 정보 갱신을 수행할 수 있고, 종료시 종료 버튼을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조직, 시설, 수송대 혹은 차량, 열차, 헬기, 가청범위, 선박, 주민, 사고 혹은 장애물, EPZ 구역 명칭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검색할 수 있도록 찾기 명령창을 설정 레이어 상에 표출하며, 사용자에 의해 검색된 객체를 상기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도 2의 ③ 참조)
따라서, 찾고자 하는 객체를 입력하게 되면 해당 객체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심볼을 선택하여 표출하기 위한 심볼도식 선택버튼,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의 조직에 대한 임무수행 상태와 대기조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조직상태 선택버튼,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의 객체에 대한 위치와 임무와 상태 및 이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객체정보선택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 레이어 상에 표출하게 된다.(도 2의 ④ 참조)
이때, 상기 명령창을 통해 처리된 명령에 따라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심볼도식 정보, 조직 상태 정보, 객체 정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설정 레이어 상에 표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도 2의 ⑤ 참조)
이때, 심볼도식의 종류는 대분류로 조직, 시설, 이동수단, 사고/장애물, 주민, 모바일, 가청범위, EPZ 구역명칭 등으로 구분되며, 이중 조직, 시설, 이동수단, 사고/장애물, 주민 등은 하위 세부내용을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에서 선택하여 전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마우스가 위치한 객체나 시설의 위치에 대한 UTM 좌표 및 경위도 좌표를 화면상에 제공하고, 실제 시간에 대한 모의시간의 배속 정보와 모의시간 정보, 전시되고 있는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의 축척 레벨 정보를 설정 레이어 상에 표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도 2의 ⑥ 참조)
예를 들어, N좌표 : 1177461.720 / E좌표 : 1694391.619, 위도 : 35.229229 / 경도 : 129.450078, 배속 : 60 , 모의시간 : 2030.08.14. 01:27:12 축척 : 6 등의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훈련관리서버부(200)는 각각의 훈련반 단말기(300)로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을 하달하고,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대해 각각의 훈련반 단말기(300)들이 처리한 상황 처리 정보를 각각의 훈련반 단말기(300)들로부터 수집하고, 수집된 상황 처리 정보들이 훈련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도록 하여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진행 상황이 훈련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도록 하고, 수집된 상황 처리 정보들이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처리인지를 평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훈련반 단말기(300)는 훈련관리서버부(200)로부터 방사능 재난 모의 모의 훈련 상황을 하달받고,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대해 처리한 상황 처리 정보를 생성하여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훈련관리서버부(200)와 복수의 훈련반 단말기(300)의 구성요소와 이들의 동작 관계를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의 훈련관리서버부(200)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훈련관리서버부(200)는,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을 설정하고, 설정된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을 훈련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100)와 각 훈련반원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훈련상황 설정모듈(210)과,
주민보호활동반 단말기(310)가 제공한 상황 처리 정보들이 훈련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도록 하고, 주민보호활동반 단말기(310)가 제공한 상황 처리 정보들이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처리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인 평가정보를 평가 처리모듈(260)로 제공하는 주민보호활동 처리모듈(220)과,
방재활동반 단말기(320)가 제공한 상황 처리 정보들이 훈련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도록 하고, 방재활동반 단말기(320)가 제공한 상황 처리 정보들이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처리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인 평가정보를 평가 처리모듈(260)로 제공하는 방재활동 처리모듈(230)과,
이동및수송반 단말기(330)가 제공한 상황 처리 정보들이 훈련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도록 하고, 이동및수송반 단말기(330)가 제공한 상황 처리 정보들이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처리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인 평가정보를 평가 처리모듈(260)로 제공하는 이동및수송 처리모듈(240)과,
구호소운용반 단말기(340)가 제공한 상황 처리 정보들이 훈련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도록 하고, 구호소운용반 단말기(340)가 제공한 상황 처리 정보들이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처리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인 평가정보를 평가 처리모듈(260)로 제공하는 구호소운용 처리모듈(250)과,
주민보호활동 처리모듈(220)과 방재활동 처리모듈(230)과 이동및수송 처리모듈(240)과 구호소운용 처리모듈(250)이 제공한 평가정보를 바탕으로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대한 평가 보고서 정보를 생성하는 평가 처리모듈(260)을 포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주민보호활동 처리모듈(220)과 방재활동 처리모듈(230)과 이동및수송 처리모듈(240)과 구호소운용 처리모듈(250)은 각 훈련반 단말기(300)가 제공한 상황 처리 정보들이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처리 정보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별 처리지침 메뉴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주민보호활동반 단말기(310)에서는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대한 대피 방송, 주민소개 방송, 갑상선 방호약품 배포, 대피자 보호시설 수용관리, 낙오주민 처리, 주민 복귀 등의 주민보호활동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게 되고, 주민보호활동반 단말기(310)의 수행 결과인 처리정보는 주민보호활동 처리모듈(220)로 제공되어 주민보호활동반 단말기(310)에서 처리된 내용이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처리인지를 평가받게 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훈련상황 설정모듈(210)은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을 설정하고, 설정된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을 훈련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100)와 각 훈련반원 단말기(300)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훈련상황 설정모듈(210)은,
기상 변경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기상변경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기상변경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기상설정모듈(211);
방사능 누출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방사능 누출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노심 노출시간에 의한 원항산출 정보, 노심 손상에 의한 원항산출 정보, 방사능 오염물질 확산도 정보, 유효선량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방사능누출설정모듈(212);
방사능 누출 초기화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에서 방사능 오염물질 확산도를 제거하는 방사능누출초기화설정모듈(213);
방재조직 관리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방재조직 생성, 방재조직 이동, 방재조직 수정, 방재조직 통합/삭제의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방재조직설정모듈(214);
시설관리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시설 생성, 시설 수정, 시설 삭제의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시설관리설정모듈(215);
우발상황 관리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화재발생/취소, 환자 발생/취소, 도로피해 발생/취소의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우발상황설정모듈(216);
오염지역 관리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오염지역 생성, 오염지역 수정, 오염지역 삭제의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오염지역설정모듈(2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기상설정모듈(211)는 도 4와 같이 기상 변경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도 5와 같이, 기상변경 UI 창을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기상변경 UI 창을 통해 월, 기온, 풍향, 풍속, 강수, 적설, 시계, 구름, 습도 등을 입력하고, 전송 버튼을 누르게 되면, 해당 UI 창에 입력된 기상변경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기상변경 정보를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화면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현황조회의 보고서를 선택하여 보고서 화면이 전시되면, 기상변경입력보고서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방사능누출설정모듈(212)은 도 4와 같이 방사능 누출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도 6과 같이, 방사능 누출 UI 창을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① 사고원전 : 방사능 누출사고가 발생한 원자력발전소 시설을 선택하고, ② 원전호기 : 선택한 원전시설에서 사고발생 원자력호기를 선택하고, ③ 원항 : 노심노출시간을 선택하고, ④ 정지일시 : 사고 원전호기의 정지(Shut down) 년월일/시간을 지정하고, ⑤ 노출시간 : 사고원전의 노심노출시간을 지정하고, ⑥ 누출경로 : 격납용기 누설 설정(자동설정됨)하고, ⑦ 감소인자 : 여과기 작동여부와 Spray(살수계통) 작동 여부를 선택한 후, ⑧ 전송 버튼을 누르게 되는 것이다.
또한, 노심손상에 의한 원항산출을 위하여 도 6과 같이, 방사능 누출 UI 창을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① 사고원전 : 방사능 누출사고가 발생한 원자력발전소 시설을 선택하고, ② 원전호기 : 선택한 원전시설에서 사고발생 원자력호기를 선택하고, ③ 원항 : 노심손상상태를 선택하고, ④ 정지일시 : 사고 원전호기의 정지(Shut down) 년월일/시간을 지정하고, ⑤ 피복관 파손율 : 노심연료 피복관의 파손비율(%)을 선택한 후, ⑥ 누출경로 : 방사능 물질 누설경로를 Bypassd 와 SG 튜브파단 중 선택한 후, ⑦ 감소인자 : 입력 불필요로 지정한 후, ⑧ 전송 버튼을 누르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UI 창에 입력된 노심 노출시간에 의한 원항산출 정보 혹은 노심 손상에 의한 원항산출 정보 혹은 방사능 오염물질 확산도를 표출하기 위하여 유효선량 표출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화면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① 원전 선택 : 방사능 누출사고가 발생한 원자력발전소 시설을 선택하고, ② 호기 선택 : 선택한 원전시설에서 사고발생 원자력호기를 선택하고, ③ 표출 내용: 총유효선량과 갑상선유효선량 중 선택하고, ④ 확산 거리 : 5km, 10km, 30km 중에서 선택하게 되면, 도 6과 같이, 방사능 오염물질의 확산도가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에 표출되게 되는 것이다.
방사선원항에 따른 방사능 오염 확산도가 풍향과 풍속, 대기안정도의 영향을 받아 15분 단위로 도 6과 같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에 표출되게 된다.
이때, 방사능 누출보고서가 제공되게 되는데, 원전에서 방사능이 누출되면 도 6과 같이, 방사능 상황부여 보고서가 화면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방사능누출초기화설정모듈(213)은 도 4와 같이 방사능 누출 초기화 아이콘을 제공하며, 현재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출되고 있는 방사능 누출상황을 중지하기 위하여 방사능 누출 초기화 UI 창을 제공하고, 이를 선택할 경우에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에서 방사능 오염물질 확산도를 제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능 누출 초기화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하게 되면 방사능 누출 초기화 UI 창을 제공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① 사고원전 : 방사능 누출사고가 발생한 원자력발전소 시설을 선택하고, ② 원전호기 : 선택한 원전시설에서 사고발생 원자력호기를 선택한 후, ③ 취소일시 : 누출상황을 중지할 시간을 설정한 후, ④ 전송 버튼을 누르면 도 7과 같이, 방사능 누출 초기화 보고서가 제공되고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화면에서 표출되던 방사능 확산도가 제거되게 된다.
그리고, 방사능비상발령모듈(213A)는 도 4와 같이 방사능 비상 발령 아이콘을 제공하며, 방사능 비상 발령을 수행하기 위하여 방사능 비상 발령 UI 창을 제공하고, 이를 선택할 경우에 비상발령 명령메시지가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에 전시게 된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능 비상 발령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하게 되면, 방사능 비상 발령을 수행하기 위하여 방사능 비상 발령 UI 창을 제공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① 발생일시 : 방사능 누출에 따른 비상단계가 발생된 시간을 지정하고, ② 발생장소 : 원전시설에서 방사능 누출사고가 식별된 원자력호기를 선택하고, ③ 발생원인 : 발생원인(피복재 손상/ 냉각제 상실/ 노심응용)을 선택하고, ④ 비상단계 : 비상단계(백색/청색/적색)를 선택하고, ⑤ 발령자 : 원전 한수원 근무 책임자의 직책을 입력한 후, ⑥ 누출경로 : 방사능 물질의 누설경로를 선택하게 되면, 비상발령 명령메시지가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에 전시되게 된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우측상단에 비상발령 상황전파 내용이 전시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방재조직설정모듈(214)는 도 4와 같이 방재조직 관리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방재조직 생성, 방재조직 이동, 방재조직 수정, 방재조직 통합/삭제의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게 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직을 생성하기 위하여 조직관리를 선택한 후, 조직 생성을 선택하게 되면, 방재조직 통합/삭제의 UI 창을 제공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조직생성 UI 창에 ① 명령유형 : '새조직 생성' 선택 : 기존에 편성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조직을 생성하고, '조직편성' 선택 : 기존의 시설/조직을 이용하여 조직을 편성하게 된다.
그리고, ② 명칭 : 생성할 조직의 고유명칭을 부여하고, ③ 모의반 : 생성된 조직을 운영할 모의반을 지정한 후, ④ 소속 : ' 시설' : 기존 시설에 편성된 자원을 가지고 조직을 편성한다. 그리고, '조직' : 기존 조직에 편성된 자원을 가지고 조직을 생성한다.
이후, ⑤ 생성(편성) 시간 : 조직이 생성되는 시간을 설정하게 되고, ⑥ 위치 : 자동으로 설정하고, ⑦ 수행임무 : 조직의 성격이나 주요 수행임무 선택하게 되고, ⑧ 편성: 생성조직의 편성 인원과 장비, 물자의 현황을 지정/입력하게 된다.
이때, 인원 : 조직이 보유할 개별 인원을 지정하며, 장비 : 생성 조직이 보유할 차량 및 장비의 종류와 수량을 지정하며, 물자 : 생성 조직이 보유할 물자의 종류와 수량을 지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조직편성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조직편성보고서가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직이동 UI 창을 선택하게 되면, 예를 들어, ① 이동일시 : 조직의 이동 년월일을 지정하고, ② 조직명칭 : 이동할 조직의 고유명칭을 부여한 후, ③ 이동위치 : 이동할 조직이 이동할 위치 좌표를 지정하고, ④ 전송 버튼을 누르게 되면, 해당 정보들이 저장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조직이동(통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조직이동 보고서가 제공되고, 이동할 조직의 심볼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새로운 위치에 표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직수정 UI 창을 선택하게 되면, 예를 들어, ① 수정일시 : 조직정보를 수정하는 시간을 지정하고, ② 조직명칭 : 수정할 조직의 고유명칭을 부여하고, ③ 편성인원 : 신분별 인원수를 수정/입력한 후, ④ 편성장비 : 편성차량 및 장비별 수량을 수정/입력하고, ⑤ 편성물자 : 편성장비의 수량을 수정/입력한 후, ⑥ 전송 버튼을 누르게 되면, 해당 정보들이 저장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특별보급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특별보급보고서'가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재조직 통합/삭제 UI 창을 선택하게 되면, 예를 들어, ① 명령유형 : 통합/삭제 중 하나를 선택하고,(통합 선택 : 소속된 상위객체에 통합, 해체 선택 : 조직을 해체하여 없앰) ② 명령일시 : 방재조직의 통합 및 삭제 시간을 지정하고, ③ 해체조직 : 수정할 조직의 고유명칭을 선택/지정하게 되고, ④ 상위객체 : 조직(상급기관이 조직인 경우 선택), 시설(상급기관이 시설인 경우 선택)을 선택한 후, ⑤ 전송버튼을 누르게 되면, 해당 정보들이 저장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조직 통합/삭제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조직 통합/삭제보고서'가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시설관리설정모듈(215)는 도 4와 같이 시설관리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시설 생성, 시설 수정, 시설 삭제의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게 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설 생성 UI 창을 제공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① 명칭 : 생성할 시설의 고유명칭을 부여하고, ② 상급시설 : 생성할 시설을 관리하는 상급조직이나 시설을 지정하고, ③ 생성시간 : 새로운 시설의 생성되는 시간을 지정하고, ④ 위치 : 생성 시설의 위치좌표를 지정하고, ⑤ 시설유형 : 생성되는 시설의 용도를 지정한 후, ⑥ 편성: 생성시설이 보유할 인원과 장비, 물자의 현황을 지정/입력하게 된다.(인원 : 시설이 보유할 개별 인원을 지정, 장비 : 생성 시설이 보유할 차량 및 장비의 종류와 수량을 지정, 물자 : 생성 시설이 보유할 물자의 종류와 수량을 지정)
이후, ⑦ 전송버튼을 누르게 되면 해당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시설생성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시설생성 보고서'가 제공되는 것이며, 생성된 시설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에 표출되게 된다.
한편,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설수정 UI 창을 선택하게 되면, 예를 들어, ① 수정일시 : 시설정보를 수정하는 연월일을 지정하고, ② 시설명칭을 지정하고, ③ 인원현황을 수정하고, ④ 장비현황 및 시설현황을 수정한 후, ⑤ 전송버튼을 누르게 되면 해당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특별보급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특별보급 보고서'가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설삭제 UI 창을 선택하게 되면, 예를 들어, ① 삭제일시 : 시설을 삭제하는 연월일을 지정하고, ② 시설명칭 : 삭제시설의 고유명을 선택한 후, ③ 전송버튼을 누르게 되면 해당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시설특별 삭제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시설특별 삭제 보고서'가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우발상황설정모듈(216)는 도 4와 같이 우발상황 관리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화재발생/취소, 환자 발생/취소, 도로피해 발생/취소의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게 된다.
즉, 우발상황 관리 아이콘을 제공하고, 여기서 화재발생/취소를 선택하게 되면 화재발생/취소 UI 창이 제공되는데,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생을 선택하게 되면, ① 발생일시 : 화재가 발생한 시간을 지정하고, ② 발생위치 : 화재가 발생한 위치 좌표를 입력, 또는 마우스로 지정하고, ③ 시설구분 : 화재가 발생환 시설의 용도를 선택하고, ④ 밀집도 : 화재발생구역의 건물 밀집도를 선택하고, ⑤ 진화공간 : 화재발생 시설의 진화활동을 위한 공간 상태를 선택한 후, ⑥ 전송버튼을 누르면 화재발생 메시지가 제공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화재발생 상황부여'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화재발생 상황부여'가 제공되고, 동시에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화재발생 표지가 전시되게 된다.
한편, 화재취소를 선택하게 되면, 예를 들어, ① 취소일시 : 화재발생을 취소하는 시간을 지정하고, ② 화재 : 화재 발생 명령으로 생성된 관리번호를 선택한 후, ③전송버튼을 누르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화재발생 취소'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화재발생 취소'가 제공되고, 동시에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화재심볼이 삭제되게 된다.
또한, 우발상황 관리 아이콘을 제공하고, 여기서 환자발생/취소를 선택하게 되면 환자발생/취소 UI 창이 제공되는데,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 발생을 선택하고, ① 발생일시 : 환자가 발생한 시간을 지정하고, ② 발생구역 : 환자발생 장소를 지정하고, ③ 발생위치 : 발생구역 선정시 자동으로 전시되게 된다.그리고, ④ 사고유형 : 화재사고와 교통사고, 피폭사고 중 사고원인을 선택하고, ⑤ 환자정보 : 해당 행정구역이나 조직의 구성원 중 환자를 지정한 후, ⑥ 전송버튼을 누르면 환자발생메시지가 제공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환자발생'을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환자발생'이 제공되게 된다.
한편, 취소일 경우에, ① 취소일시 : 환자 발생을 취소하는 시간을 지정하고, ② 사고객체를 행정구역과 조직 중 선택하고, ③ 사고객체 및 환자발생 조직을 선택하고, ④ 전송버튼을 누르게 되면, 해당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환자발생 취소'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환자발생 취소'가 제공되게 된다.
또한, 우발상황 관리 아이콘을 제공하고, 여기서 도로피해 발생/취소를 선택하게 되면 도로피해 발생/취소UI 창이 제공되는데,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해 발생을 선택하고, ① 발생일시 : 도로피해가 발생한 시간을 지정하고, ② 발생위치 : 도로피해가 발생한 위치 좌표를 입력, 또는 마우스로 지정하고, ③ 피해형태 : 도로피해의 형태(도로유실, 교량붕괴, 낙석, 터널붕괴)를 선택하고, ④ 피해규모 : 도로피해의 규모를 면적(㎡) 또는 중량(t)으로 지정한 후, ⑤ 전송 버튼을 누르면 도로 피해발생메시지가 제공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도로피해 상황부여'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도로피해 상황부여'가 제공되게 되며, 동시에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도로피해 발생 표지가 전시된다.
한편, 취소일 경우에, ① 취소일시 : 도로피해가 발생한 시간을 지정하고, ② 피해위치 : 도로피해가 발생한 위치를 지정한 후, ③ 전송버튼을 누르게 되면, 해당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도로피해 상황 취소'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도로피해 상황 취소'가 제공되게 되며, 동시에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도로피해 발생 표지가 삭제된다.
그리고, 오염지역설정모듈(217)는 도 4와 같이 오염지역 관리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오염지역 생성, 오염지역 수정, 오염지역 삭제의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게 된다.
즉,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염지역 생성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설치시간 : 오염지역 생성시간을 설정하고, ② 명칭 : 오염지역 관리를 위한 고유명을 지정 입력하고, ③ 생성위치 : 생성할 위치좌표를 입력하거나 마우스로 선택하여 지정하고, ④ 반경 : 오염지역 반경 크기(m)를 지정하고, ⑤ 유효선량 : 오염지역 내의 인체선량률(mSv/hr) 값을 입력하고, ⑥ 오염도 : 공기 중의 방사능 오염도(kBq/㎥) 값을 입력한 후, ⑦ 전송버튼을 누르게 되면 해당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오염지역 설정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오염지역 설정보고서'가 제공되게 되며, 동시에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오염지역이 전시되게 된다.
한편,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염지역을 수정하고자 오염지역 수정 UI 창이 표출되면, ① 변경일시 : 오염지역의 내용을 수정할 변경시간을 설정하고, ② 명칭 : 수정할 오염지역의 고유명을 선택하고, ③ 수정위치 : 변경할 위치좌표를 입력하거나 마우스로 선택하여 지정하고, ④ 반경 : 오염지역 반경 크기(m)를 지정하고, ⑤ 선량률 : 오염지역 내의 인체선량률(mSv/hr) 값을 변경하고, ⑥ 오염도 : 공기 중의 방사능 오염도(kBq/㎥) 값을 변경한 후, ⑦ 전송버튼을 누르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오염지역 수정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오염지역 수정보고서'가 제공되게 되며, 동시에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오염지역이 수정된 값으로 변경되게 된다.
한편,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염지역을 삭제하고자 오염지역 삭제 UI 창이 표출되면, ① 삭제일시 : 오염지역을 제거할 시간을 설정하고, ② 오염지역 : 삭제할 오염지역의 고유명을 선택한 후, ③ 전송버튼을 누르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오염지역 삭제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오염지역 삭제보고서'가 제공되게 되며, 동시에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오염지역이 제거되게 된다.
한편, 상기 평가 처리모듈(260)은 주민보호활동 처리모듈(220)과 방재활동 처리모듈(230)과 이동및수송 처리모듈(240)과 구호소운용 처리모듈(250)이 제공한 평가정보를 바탕으로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대한 평가 보고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대하여 주민보호활동반 단말기(310)는 대피 방송, 주민소개 방송, 갑상선 방호약품 배포, 대피자 보호시설 수용관리, 낙오주민 처리, 주민 복귀 등의 주민보호활동에 대한 처리를 해야 하는데 이중 대피 방송을 실시하지 않았다면, 주민보호활동 처리모듈(220)은 대피 방송을 실시하지 않았다는 평가 정보를 평가 처리모듈(260)로 제공하고, 평가 처리모듈(260)은 이를 반영한 평가 보고서 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훈련관리서버부(200)는 평가 처리모듈(260)이 생성한 평가 보고서 정보를 이용하여,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되지 않는 처리를 수행한 훈련반 단말기(300)를 판단하고,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되지 않는 처리를 수행한 훈련반 단말기(300)로 현재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된 처리를 요청하는 미션재수행 요청모듈(2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평가 처리모듈(260)이 생성한 평가 보고서 정보에 의해 주민보호활동반 단말기(310)가 대피 방송을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미션재수행 요청모듈(270)은 주민보호활동반 단말기(310)로 현재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된 대피 방송을 실시하라는 요청 메시지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훈련관리서버부(200)는 조직관리모듈(2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조직관리모듈(280)은,
도 4와 같이, 모의반 변경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모의반 변경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모의반 변경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모의반변경설정모듈(281);
도 4와 같이, 명령 취소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명령 취소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명령 취소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명령취소설정모듈(282);
도 4와 같이, 방재조직 편성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방재조직 편성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방재조직 편성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방재조직편성설정모듈(283);
도 4와 같이, 방재조직 통합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방재조직 통합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방재조직 통합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방재조직통합설정모듈(284);
도 4와 같이, 주민조직 편성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주민조직 편성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주민조직 편성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주민조직편성설정모듈(285);
도 4와 같이, 차량 편성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차량 편성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차량 편성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차량편성설정모듈(286);
도 4와 같이, 열차 편성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열차 편성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열차 편성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열차편성설정모듈(287);
도 4와 같이, 선박 편성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선박 편성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선박 편성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선박편성설정모듈(288);
도 4와 같이, 헬기 편성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헬기 편성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헬기 편성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헬기편성설정모듈(289);
도 4와 같이, 차량, 열차, 선박, 헬기 해제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해제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차량, 열차, 선박, 헬기 편성 해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수송수단해제설정모듈(289A);을 포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모의반변경설정모듈(281)은 모의반 변경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모의반 변경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게 된다.
즉,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의반 변경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변경일시 : 조직이나 시설의 모의반 소속이 변경되는 시간 지정하고, ② 변경대상 : 다른 모의반으로 소속을 변경할 조직 선택하고, ③ 모의반 : 변경할 모의반명 선택한 후, ④ 전송버튼을 누르면 해당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모의반 변경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모의반 변경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상기 명령취소설정모듈(282)은 명령 취소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명령 취소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게 된다.
즉,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명령 취소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취소일시 : 이동객체의 이동을 취소하는 시간 지정하고, ② 조직 : 이동 객체의 고유명 선택한 후, ③ 전송버튼을 누르면 해당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명령취소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명령취소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상기 방재조직편성설정모듈(283)은 방재조직 편성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방재조직 편성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게 된다.
즉, 도 5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재조직 편성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편성시간 : 방재조직을 편성하는 시간 지정하고, ② 명칭 : 새로 편성하는 방재조직의 고유명 입력하고, ③ 상급기관(방재조직 : 방재조직을 편성하는 기관이 방재조직을 경우 선택, 통제기관(시설) : 방재조직을 편성하는 기관이 시설일 경우 선택)을 선택하고, ④ 소속 : 생성하는 방재조직의 상급 소속기관 선택하고, ⑤ 위치 : 소속기관 선택 시 전시(자동)되며, ⑦ 수행임무 : 새로 편성되는 방재조직의 수행임무 선택하고, ⑧ 편성 : 인원/장비/물자를 소속기관에서 보유한 현황 내에서 지정한 후, ⑨ 전송버튼을 누르면 해당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조직편성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명령취소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상기 방재조직통합설정모듈(284)은 방재조직 통합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방재조직 통합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게 된다.
즉,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재조직 통합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명령일시 : 하위 방재조직 통합명령 하달시간 지정하고, ② 해체조직 : 소속기관에 통합할 하위조직 선택하고, ③ 상위객체 : 해체조직의 편성인원(자동)을 선택(조직 : 해체 방재조직의 상급기관이 조직인 경우 선택, 시설 : 해체 방재조직의 상급기관이 시설인 경우 선택)한 후, ④ 전송버튼을 누르면 해당 정보가 설정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조직 통합/삭제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조직 통합/삭제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상기 주민조직편성설정모듈(285)은 주민조직 편성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주민조직 편성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게 된다.
즉,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민조직 편성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편성시간 : 주민조직을 편성하는 시간 지정하고, ② 주민조직명 : 새로 편성하는 주민조직의 고유명 입력하고, ③ 주민편성 : 마우스로 인원 비율을 지정(기존 주민조직 : 기존 조직의 인원현황, 새 주민조직 : 새로 편성조직에 할당되는 인원)한 후, ④ 전송버튼을 누르면 해당 정보가 설정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주민조직편성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주민조직편성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상기 차량편성설정모듈(286)은 차량 편성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차량 편성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게 된다.
즉,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편성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편성시간 : 차량으로 수송대을 편성하는 시간 지정하고, ② 명칭 : 새로 편성하는 수송대 명칭 입력하고, ③ 소속 : 차량편성을 하는 소속기관 특성/ 소속기관 고유명 선택(방재조직/차량 : 소속기관이 조직 또는 수송회사일 경우 선택, 시설 : 소속기관이 시설로 지정된 경우 선택)하고, ④ 위치 : 소속기관 선택하면 자동 전시되며, ⑤ 차량편성 : 소속기관이 현재 보유한 차종 및 차량 현황 내에서 지정한 후, ⑥ 전송버튼을 누르면 해당 정보가 설정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차량편성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차량편성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상기 열차편성설정모듈(287)은 열차 편성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열차 편성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게 된다.
즉, 도 5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차 편성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편성시간 : 열차를 생성하는 시간 지정하고, ② 명칭 : 새로 생성할 열차수송대의 명칭 입력하고, ③ 편성역 : 열차를 생성하여 출발하는 역명 선택하고, ④ 위치 : 편성역 선택하면 자동 전시하며, ⑤ 객차편성 : 장비(가용열차)와 가용 객차량 중 편성할 객차량 입력한 후, ⑥ 전송버튼을 누르면 해당 정보가 설정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열차편성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열차편성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상기 선박편성설정모듈(288)은 선박 편성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선박 편성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게 된다.
즉, 도 6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 편성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편성시간 : 선박수송대를 생성하는 시간 지정하고, ② 명칭 : 새로 생성할 선박수송대의 명칭 입력하고, ③ 편성항구 : 선박수송대를 생성하여 주민을 승선시키는 항구명 선택하고, ④ 위치 : 편성항구 선택하면 자동 전시되며, ⑤ 선박편성 : 가용장비(선박)별 가용 대수 범위 내에서 편성 대수 입력한 후, ⑥ 전송버튼을 누르면 해당 정보가 설정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선박편성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선박편성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상기 헬기편성설정모듈(289)은 헬기 편성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헬기 편성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게 된다.
즉, 도 6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헬기 편성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편성시간 : 헬기수송대를 생성하는 시간 지정하고, ② 명칭 : 새로 생성할 헬기수송대의 명칭 입력하고, ③ 편성장소 : 헬기수송대를 생성하는 시설명 선택하고, ④ 위치 : 편성장소 선택하면 자동 전시되며, ⑤ 헬기편성 : 편성장소에 보유 헬기기종의 가용 범위 내에서 편성대수 지정한 후, ⑥ 전송버튼을 누르면 해당 정보가 설정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헬기편성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헬기편성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상기 수송수단해제설정모듈(289A)은 차량, 열차, 선박, 헬기 해제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해제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차량, 열차, 선박, 헬기 편성 해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게 된다.
즉, 도 6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열차, 선박, 헬기 해제 UI 창이 표출되고, 여기서 차량편성 해제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명령일시 : 수송대를 해체하여 소속대로 통합시키는 시간 지정하고, ② 해체객체 : 소속기관으로 통합 시킬 수송대 명칭 선택하고, ③ 상위객체 : 상위 소속기관 특성 선택(조직 : 소속기관이 조직 또는 수송회사일 경우 선택, 시설 : 소속기관이 시설로 지정된 경우 선택)하고, ④ 상위조직 : 소속기관명 선택한 후, ⑤ 전송버튼을 누르면 해당 정보가 설정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차량편성 해체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차량편성 해체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열차, 선박, 헬기도 차량과 동일한 과정으로 해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훈련관리서버부(200)는 현황조회모듈(2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현황조회모듈(290)은,
보고서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보고서 목록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보고서 목록 UI 창에서 선택된 보고서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시키기 위한 보고서전시모듈(291);
교통/출입 통제소 현황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교통/출입 통제소 현황 목록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교통/출입 통제소 현황 목록 UI 창에서 선택된 목록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시키기 위한 교통/출입통제소현황모듈(292);
방사선 감시현황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방사선 감시장비 운용현황 목록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방사선 감시장비 운용현황 목록 UI 창에서 선택된 목록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시키기 위한 방사선감시현황모듈(29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보고서전시모듈(291)은 보고서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보고서 목록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보고서 목록 UI 창에서 선택된 보고서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고서 목록 UI 창이 표출되면, 이를 선택하게 되고,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보고서 정보가 화면상에 표시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교통/출입통제소현황모듈(292)은 교통/출입 통제소 현황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교통/출입 통제소 현황 목록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교통/출입 통제소 현황 목록 UI 창에서 선택된 목록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통/출입 통제소 현황 목록 UI 창이 표출되면, 이를 선택하게 되고,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교통/출입 통제소 현황 목록이 화면상에 표시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방사선감시현황모듈(293)은 방사선 감시현황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방사선 감시장비 운용현황 목록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방사선 감시장비 운용현황 목록 UI 창에서 선택된 목록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선 감시장비 운용현황 목록 UI 창이 표출되면, 이를 선택하게 되고,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방사선 감시장비 운용현황 목록이 화면상에 전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수의 훈련반 단말기(300)는,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대피 방송, 주민소개 방송, 갑상선 방호약품 배포, 대피자 보호시설 수용관리, 낙오주민 처리, 주민 복귀 등의 주민보호활동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주민보호활동반 단말기(310);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화재 진압, 응급 복구, 환자 이송, 보호시설 운영, 교통 통재, 오염지 출입통제, 순찰, 오염지 탐사 및 제염 등의 방재활동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방재활동반 단말기(320);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주민들의 도로 이동, 주민들의 차량/열차/선박/헬기 수송, 차량지원 등의 이동 및 수송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이동및수송반 단말기(330);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이재민 등록, 구호물품 지급, 구호물품 신청 등의 구호소 운용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호소운용반 단말기(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민보호활동반 단말기(310)는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대피 방송, 주민소개 방송, 갑상선 방호약품 배포, 대피자 보호시설 수용관리, 낙오주민 처리, 주민 복귀 등의 주민보호활동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주민보호활동반 단말기(310)는,
옥내 대피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옥내 대피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옥내 대피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옥내대피처리모듈(311);
옥내 대피 해제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옥내 대피 해제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옥내 대피 해제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옥내대피해제처리모듈(312);
주민소개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주민소개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이 입력된 정보를 주민소개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주민소개처리모듈(313);
갑상선 방호약품 배포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갑상선 방호약품 배포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갑상선 방호약품 배포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갑갑상선방호약품배포처리모듈(314);
갑상선 방호약품 복용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갑상선 방호약품 복용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갑상선 방호약품 복용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갑상선방호약품복용처리모듈(315);
보호시설 수용인원 대피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보호시설 수용인원 대피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보호시설 수용인원 대피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보호시설수용인원대피처리모듈(316);
낙오주민 처리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낙오주민 처리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낙오주민 처리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낙오주민처리모듈(317);
주민복귀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주민복귀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주민 복귀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주민복귀처리모듈(3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옥내대피처리모듈(311)은 도 4와 같이 옥내 대피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옥내 대피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옥내 대피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옥내 대피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발령일시 : 옥내대피 명령이 발령된 년/월/일/시를 지정하고, ② 발령구역 : 주민관리 구역명을 지정 또는 입력하고, ③ 발령마을 : 발령구역 내에 있는 마을별 주민수가 자동으로 전시되게 되며, ④ 방송원고를 간단하게 입력한 후, ⑤ 전송버튼을 누르게 되면 해당 옥내 대피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가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전송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옥내대피 설정명령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옥내대피 설정명령 보고서'가 제공되게 되며, 동시에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옥내 대피 구역이 표시되게 된다.
한편, 발령형태에서 마을을 선택할 경우에 해당 UI 창이 표출되고, ① 발령일시 : 옥내대피 명령이 발령된 년/월/일/시를 지정하고, ② 발령마을 : 마을명을 지정 또는 입력하고, ③ 지역인원 : 발령 마을의 주민 수가 자동으로 전시되고, ④ 방송원고를 간단하게 입력하고, 전송버튼을 누르게 되면 해당 정보가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전송 되며, '옥내대피 보고서' 제공과 함께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옥내대피 구역이 전시되고(섹터 지정과 동일)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옥내대피 마을(노란색 문자)이 표시된다.
그리고, 옥내대피해제처리모듈(312)은 도 4와 같이 옥내 대피 해제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옥내 대피 해제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옥내 대피 해제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옥내 대피 해제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발령일시 : 옥내대피 해제 명령이 발령된 년원일시를 지정하고, ② 발령구역 : 옥내대피 발령 구역 중 해지 구역명을 선택 또는 입력하고, ③ 전송버튼을 누르면 상황 처리 정보가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전송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전시되었던 옥내대피 구역이 삭제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옥내대피 해제명령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옥내대피 해제명령 보고서'가 제공되게 되며, 동시에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옥내 대피 구역이 제거되게 된다.
한편, 마을을 선택할 경우에 해당 UI 창이 표출되고, ① 발령일시 : 옥내대피 명령이 발령된 년/월/일/시를 지정하고, ② 발령마을 : 마을명을 지정 또는 입력하고, ③ 전송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황 처리 정보가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전송되어 화면에 전시되었던 옥내대피 마을이 삭제되게 된다.
그리고, 주민소개처리모듈(313)은 도 4와 같이 주민소개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주민집결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이 입력된 정보를 주민소개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민집결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명령일시 : 주민집결 명령이 발령된 년/월/일/시를 지정하고, ② 소개마을 : 마을명을 지정 또는 입력하고, ③ 집결지/구호소는 자동 전시되며, ④ 소개경로 : 소개마을에서 구호소까지 경유할 경로 목록에서 지정한 후, ⑤ 전송버튼을 누르게 되면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주민집결 실시명령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주민집결 실시명령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이때, 주민집결이 완료되면,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주민집결 현황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주민집결 현황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그리고, 갑갑상선방호약품배포처리모듈(314)은 도 4와 같이 갑상선 방호약품 배포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갑상선 방호약품 배포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갑상선 방호약품 배포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이때, 선행조건은 해제 대상지역이 옥내대피 상태에 있어야 하며, 보관장소에 갑상선방호약품 보유현황이 DB로 입력되어 있어야 하며, 갑사선방호약품 배포를 위한 조직이 있어야 한다.
즉,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갑상선 방호약품 배포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배포팀명 : 갑상선방호약품을 배포할 팀(조직)의 고유명칭 입력하고, ② 출발시간 : 약품배포를 위해 배포팀이 출발하는 시간을 지정하고, ③ 적재여부(적재 : 보관장소에 가서 방호약품을 적재할 경우 선택, 적재안함 : 보관장소에 가서 적재할 필요 없는 경우 선택)를 선택하고, ④ 갑상선방호약품 적재(적재여부에서 '적재' 선택시)를 설정(적재시설/적재량 : 방호약품 보관장소 선택/ 적재량 입력)하고, ⑤ 배포대상 : 주민조직별 배포량 지정(추가 버튼 사용 다수 지정)하고, ⑥ 전송버튼을 누르면 '갑상선방호약품 배포명령보고서'가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갑상선방호약품 배포명령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갑상선방호약품 배포명령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그리고, 갑상선방호약품복용처리모듈(315)은 도 4와 같이 갑상선 방호약품 복용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갑상선 방호약품 복용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갑상선 방호약품 복용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갑상선 방호약품 복용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명령시간 : 갑상선방호약품을 복용명령을 할 시간을 지정하고, ② 복용대상 선택(주민조직(다수) 지정, 조직별 인원 및 약품보유현황 전시(자동))하고, ③ 전송버튼을 누르면 '갑상선 방호약품 복용보고서'가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갑상선 방호약품 복용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갑상선 방호약품 복용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그리고, 보호시설수용인원대피처리모듈(316)은 도 4와 같이 보호시설 수용인원 대피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보호시설 수용인원 대피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보호시설 수용인원 대피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시설 수용인원 대피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출발시간 : 보호시설에 수용인원이 보호시설을 출발할 시간을 지정하고, ② 수송대 : 보호시설 수용인원 수송을 위해 편성된 수송팀 지정하고, ③ 보호시설 : 대피할 보호시설 고유명 선택하고, ④ 대피시설 : 보호시설 수용인원을 대피할 수용 시설(자동)하고, ⑤ 인원 : 보호시설에 수용자 현황에서 개별 또는 전체선택 버튼 선택한 후, ⑥ 전송버튼을 누르면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보호시설 수용인원 대피명령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보호시설 수용인원 대피명령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그리고, 낙오주민처리모듈(317)은 도 4와 같이 낙오주민 처리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낙오주민 처리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낙오주민 처리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낙오주민 처리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출발시간 : 낙오주민을 발견하여 구호소로 출발할 시간 지정하고, ② 처리조직 : 낙오주민을 구호소로 이송할 조직명 지정하고, ③ 낙오주민 : 낙오주민에 대한 소속 조직 선택하고, ④ 집결위치 : 발견된 낙오주민의 임시집결 위치를 설정한 후, ⑤ 전송버튼을 누르게 되면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낙오주민 처리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낙오주민 처리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그리고, 주민복귀처리모듈(318)은 도 4와 같이 주민복귀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주민복귀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주민 복귀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민복귀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출발일시 : 구호소에 수용 중인 주민이 구호소를 출발할 시간 지정하고, ② 구호시설 : 주민이 수용 중인 구호시설의 고유명칭을 설정하고, ③ 대피인원 : 마을별 수용 중인 인원(자동)을 지정하고, ④ 전송버튼을 누르면 '주민복귀 보고서'가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재활동반 단말기(320)는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화재 진압, 응급 복구, 환자 이송, 보호시설 운영, 교통 통재, 오염지 출입통제, 순찰, 오염지 탐사 및 제염 등의 방재활동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방재활동반 단말기(320)는,
화재진압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화재진압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화재 진압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화재진압처리모듈(321);
응급복구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응급복구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응급 복구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응급복구처리모듈(322);
환자이송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환자이송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환자 이송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환자이송처리모듈(323);
시설운영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시설운영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시설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시설운영처리모듈(324);
교통 및 출입통제소 운영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교통/출입통제소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교통 및 출입통제소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교통/출입통제소처리모듈(325);
제염소 운영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제염소 운영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제염소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제염소운영처리모듈(326);
가두 방송 실시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가두방송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가두 방송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가두방송처리모듈(327);
순찰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순찰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순찰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순찰처리모듈(328);
오염탐사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오염탐사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오염탐사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오염탐사처리모듈(329);
지역제염 실시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지역제염 실시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지역 제염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지역제염실시처리모듈(329A);을 포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화재진압처리모듈(32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진압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화재진압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화재 진압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진압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발생일시 : 화재가 발생한 시간 또는 인지된 시간을 지정하고, ② 진화조직 : 소방서의 가용 소방팀 중에서 선택하고, ③ 발생위치 : 화재가 발생한 위치 또는 시설 식별번호를 설정하고, ④ 이동경로 : 화재진압팀이 이동할 경로 지정(미지정시 최단거리 이동)한 후, ⑤ 전송버튼을 누르게 되면,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화재현장 출동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화재현장 출동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이후, 진화팀이 출동하여 화재진압이 완료되면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화재진압 완료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화재진압 완료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상기 응급복구처리모듈(32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급복구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응급복구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응급 복구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급복구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명령시간 : 응급복구 명령하달시간 지정하고, ② 복구조직 : 응급복구 임무수행할 복구팀 선택(복구장비 보유조직)하고, ③ 복구위치 : 도로피해 지역 관리번호 선택한 후, ④ 전송버튼을 누르면 '응급복구 출동보고서'가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응급복구 출동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응급복구 출동보고서'가 제공되게 되며,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복구팀 도로피해 지역까지 이동상황 전시 및 복구시간 경과 후에는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도로피해 표지 제거되고 '응급복구 완료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상기 환자이송처리모듈(323)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이송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환자이송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환자 이송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이송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출발시간 : 환자이송팀이 소속기관을 출발하는 시간을 설정하고, ② 수송대 : 환자이송을 위해 이송팀명 선택하고, ③ 환자현황 : 환자현황에서 이송할 환자 선택하고, ④ 진료기관 : 환자를 이송하여 치료할 시설 선택한 후, ⑤ 전송버튼을 누르면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환자이송 출발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환자이송 출발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상기 시설운영처리모듈(324)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설운영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시설운영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시설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설운영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명령시간 : 시설이 활성화되어 임무수행을 시작하는 시간을 설정하고, ② 시설선택 : 활성화 시켜 운영할 시설 고유명 선택하고, ③ 시설유형 : 시설선택에 따라 자동 전시되고, ④ 운영조직 선택 : 시설을 운영할 조직이 전시되면 선택/지정한 후, ⑤ 전송버튼을 누르면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시설운영 시작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시설운영 시작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상기 교통/출입통제소처리모듈(325)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통 및 출입통제소 운영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교통/출입통제소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교통 및 출입통제소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통/출입통제소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명령시간 : 교통/출입통제소 설치명령 입력시간을 지정하고, ② 조직편성(조직명 : 교통/출입통제소 운용 팀명 선택(추가버튼 후 계속 지정), 통제소 : 통제소 운용조직이 설치할 통제소 위치, 구분 : 교통통제소와 출입통제소를 구분 (통제소 선정시 자동), 위치 : 통제소 지정시 위치주소 자동 전시, 출발(명령시간+분) : 명령하달 후 소속시설에서 출발하는 시간 지정)을 한 후, ③ 전송버튼을 누르면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통제소운용 명령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통제소운용 명령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이때, 통제소운용팀이 통제소에 도착하면 심볼이 검은색에서 황색으로 변한다.
상기 제염소운영처리모듈(326)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염소 운영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제염소 운영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제염소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염소 운영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출발시간 : 제염팀이 소속기관을 출발하는 시간을 설정하고, ② 조직선택 : 제염실시를 위해 출동하는 제염팀명 선택(제염장비 보유)하고, ③ 제염소 : 제염을 실시하는 제염시설 명칭을 설정하고, ④ 시설유형/위치 : 제염시설 선택시 자동 전시된 후, ⑤ 전송버튼을 누르면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제염소 운용명령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제염소 운용명령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이때, 제염팀이 도착하면 제염소 시설이 활성화되면서 제염 임무를 수행한다.
상기 가두방송처리모듈(327)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두 방송 실시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가두방송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가두 방송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두방송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임무시간 : 가두방송 명령하달시간 지정하고, ② 방송조직 : 가두방송 임무수행할 방송팀을 선택(방송차량 보유조직)하고, ③ 인원/방송차량 : DB에서 자동 업로드하고, ④ 방송차량 경유지 : 방송차량 방송실시 지점 지정(추가 : 경유지 추가 (마우스 우측버튼 선택시 종료), 삭제/ 모두삭제 : 기 선정 경유지점 일부 또는 전부 삭제)하고, ⑤ 방송원고 : 간단한 원고내용 입력한 후, ⑥ 전송버튼을 누르면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가두방송 출동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가두방송 출동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이때, 가두방송팀 이동상황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에 전시되게 된다.
상기 순찰처리모듈(328)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찰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순찰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순찰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찰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시작시간 : 순찰을 위해 소속대를 출발하는 시간지정하고, ② 조직명칭 : 순찰임무를 수행할 순찰팀명을 선택하고, ③ 경로 : 순찰을 위한 이동경로를 마우스로 선택하여 설정(추가 : 이동경로를 추가함, 삭제/모두삭제 : 이동경로를 마우스로 선택하여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함)하고, ④ 전송버튼을 누르면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순찰 출동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순찰 출동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이때, 순찰팀 이동상황이 전시되고, 낙오자가 발견 메시지가 전시된다.
상기 오염탐사처리모듈(329)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염탐사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오염탐사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오염탐사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염탐사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탐사팀명 : 방사능 오염탐지를 위한 탐사팀명 선택(방사능 측정장비 보유)하고, ② 출발시간 : 오염탐사팀이 소속기관을 출발하는 시간을 설정하고, ③ 탐사장소 : 오염탐사팀이 출동하는 목적지 위치 좌표 마우스 지정하고, ④ 이동경로 : 탐사팀이 탐사지역까지 이동경로 지정(추가 : 경유지 추가 (마우스 우측버튼 선택시 종료), 삭제/ 모두삭제 : 기 선정 경유지점 일부 또는 전부 삭제)한 후, ⑤ 전송버튼을 누르면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오염탐사 출동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오염탐사 출동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이때, 오염탐사가 시작되면 15분 단위로 '오염탐사 보고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지역제염실시처리모듈(329A)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역제염 실시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지역제염 실시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지역 제염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역제염 실시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출발시간 : 지역제염팀이 소속기관을 출발하는 시간을 설정하고, ② 조직명칭 : 제염실시를 위해 출동하는 제염팀명 선택(제염장비 보유)하고, ③ 오염지역 : 탐사팀 또는 무인 탐사장비 등에 의해 오염지역으로 식별된 장소를 설정하고, ④ 위치 : 오염지역 선택시 행정구역 주소정보 자동 전시한 후, ⑤ 전송버튼을 누르면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지역제염팀 출동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지역제염팀 출동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이때, 제염팀 이동상황 및 제염활동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전시하고, 제염이 종료되면 오염지역 표지 제거 및 '지역제염 복귀보고서'를 제공되게 된다.
상기 이동및수송반 단말기(330)는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주민들의 도로 이동, 주민들의 차량/열차/선박/헬기 수송, 차량지원 등의 이동 및 수송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동및수송반 단말기(330)는,
도로이동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도로이동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지역 제염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도로이동처리모듈(331);
이동 정지 및 실시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이동정지/실시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이동 정지 및 실시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이동정지/실시처리모듈(332);
차량수송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차량수송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차량수송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차량수송처리모듈(333);
열차수송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열차수송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열차수송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열차수송처리모듈(334);
선박수송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선박수송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선박수송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선박수송처리모듈(335);
헬기수송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헬기수송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헬기수송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헬기수송처리모듈(336);
주민소개지원팀 수송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주민소개지원팀 수송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주민소개지원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주민소개지원팀수송처리모듈(337);
소개지원 차량이동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소개지원 차량이동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소개지원 차량이동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소개지원차량이동처리모듈(338);
주민소개 차량지원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주민소개 차량지원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주민소개 차량지원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주민소개차량지원처리모듈(339); 을 포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도로이동처리모듈(33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이동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도로이동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도로이동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이동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출발일시 : 이동조직이 현위치를 출발하는 시간 지정하고, ② 이동조직 : 이동조직의 팀 고유명 입력 또는 선택하고, ③ 목적지 : 이동조직의 목적지(좌표 : 목적지의 위치좌표를 입력 또는 마우스로 지정, 시설 : 목적지 시설을 스크롤바 이용 선택)를 설정한 후, ④ 전송버튼을 누르면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도로이동 출동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도로이동 출동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이때,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이동조직의 도로 이동상황이 전시된다.
상기 이동정지/실시처리모듈(33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정지 및 실시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이동정지/실시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이동 정지 및 실시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정지/실시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명령일시 : 이동객체의 이동정지 또는 이동실시 명령을 수행하는 시간 지정하고, ② 수송대 : 이동 객체 및 수송대의 고유명 선택하고, ③ 상태 : 이동 객체의 상태(정지 : 이동 중인 객체의 이동을 정지 시키는 경우, 이동 : 정지 중인 이동 객체의 이동을 재개 시키는 경우)를 설정한 후, ④ 전송버튼을 누르면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이동통제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이동통제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상기 차량수송처리모듈(333)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수송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차량수송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차량수송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수송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조직수송/ 물자수송 : 수송할 대상을 선택하고, ② 출발시간 : 수송대가 수송임무를 위해 탑승장소로 출발하는 시간 지정하고, ③ 수송대 : 수송 임무를 수행할 수송팀의 고유명을 선택하고, ④ 현재위치 : 수송팀의 현재위치 좌표(자동)를 지정하고, ⑤ 탑승장소 : 수송할 조직 또는 물자를 탑승/적재할 장소 선택하고, ⑥ 탑승조직 선택(대기조직 : 수송대에 탑승하기 위해 대기 중인 탑승 조직명 리스트 전시, 탑승조직 : 대기조직 중에 수송대 탑승할 조직 선택)하고, ⑦ 적용버튼을 누르면 승차조직이 도착지 수송대 탑승조직 리스트에 전시되게 되며, ⑧ 도착지 : 이동조직이 도착할 장소 지정(수송대 탑승조직(자동 전시), 하차조직 : 현재 탑승조직 중에 일부 선택하거나 하단의 '전체하차' 선택)한 후, ⑨ 전송버튼을 누르면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차량 출발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차량 출발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이때, 이동이 완료되면 '도로이동 도착 보고서'가 제공된다.
상기 열차수송처리모듈(334)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차수송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열차수송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열차수송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차수송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출발시간 : 열차수송대가 수송임무를 위해 현재 정차역을 출발하는 시간 지정이동조직이 현위치를 출발하는 시간 지정하고, ② 열차명 : 열차수송대의 고유명 선택하고, ③ 출발역 : 열차수송대명 선택하면 출발역 자동 전시되며, ④ 탑승조직 선택(대기조직 : 열차에 탑승하기 위해 역에서 대기 중인 조직명 리스트 전시, 탑승조직 : 대기조직 중에서 수송대 탑승할 조직 선택)하고, ⑤ 탑승장소 : 수송할 조직 또는 물자를 탑승/적재할 장소 선택한 후, ⑥ 적용버튼을 누르면 승차조직이 도착지 수송대 탑승조직 리스트에 전시되게 되며, ⑦ 도착역 : 열차에 승차조직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하차시킬 다음 역명 지정하고, ⑧ 하차조직 선택(열차수송대 탑승조직(자동 전시), 하차조직 : 현재 탑승조직 중에 일부 또는 전체를 선택)한 후, ⑨ 전송버튼을 누르면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열차이동 출발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열차이동 출발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이때, 열차가 목적지(하차역)에 도착하면 '열차이동 도착보고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선박수송처리모듈(335)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수송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선박수송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선박수송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수송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출발시간 : 선박수송대가 수송임무를 위해 항구를 출발하는 시간 지정하고, ② 선박수송대명 : 임무를 수행할 선박수송대의 고유명 선택하고, ③ 승선지점 : 선박수송대명 선택하면 출발항구명 자동 전시되며, ④ 탑승정원 : 선박수송대 DB에서 자동 업로드되며, ⑤ 탑승조직 선택(대기조직 : 선박에 탑승하기 위해 역에서 대기 중인 조직명 리스트 전시, 탑승조직 : 대기조직 중에서 선박수송대 탑승할 조직 선택)하고, ⑥ 하선지점 : 선박수송대에 승선한 조직이 하선할 항구/선착명 선택하고, ⑦ 항로지정 : 선박수송대가 이동할 항로(미지정 : 해변을 따라 최단거리로 하선지점까지 이동, 지정 : 항로입력창이 전시되면 마우스를 이용하여 경유지점 지정)를 설정한 후, ⑧ 전송버튼을 누르면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선박 출발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선박 출발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상기 헬기수송처리모듈(336)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헬기수송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헬기수송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헬기수송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출발시간 : 헬기수송팀이 수송임무를 위해 현재 계류장을 출발하는 시간 지정하고, ② 헬기수송팀명 : 헬기수송대팀의 고유명 선택하고, ③ 운항목적 : 헬기수송팀의 운항 목적 선택(주민수송 : 주민조직을 지정하여 수송, 환자 : 환자를 의료기관으로 이송)하고, ④ 탑승정원 : 헬기수송대 편성에 따라 DB에서 자동 업로드되며, ⑤ 탑승지점 : 조직 및 환자를 탑승시킬 위치/ 시설 지정하고, ⑥ 탑승조직 선택(대기조직 : 헬기에 탑승하기 위해 탑승지점에서 대기 중인 조직 리스트 전시, 탑승조직 : 대기조직 중에서 선박수송대 탑승할 조직 선택)하고, ⑦ 하선지점 : 헬기에 승선한 조직이나 환자가 하선할 장소 선택하고, ⑧ 항로지정 : 헬기수송대가 이동할 항로(미지정 : 최단거리 항로로 목적지까지 이동, 지정 : 마우스를 이용하여 경유지점 선택하여 지정)를 지정한 후, ⑨ 전송버튼을 누르면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헬기 출발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헬기 출발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이때, 헬기수송팀이 목적지에 도착하면 보고서 제공창에서 '헬기 도착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헬기 도착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상기 주민소개지원팀수송처리모듈(337)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민소개지원팀 수송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주민소개지원팀 수송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주민소개지원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민소개지원팀 수송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출발시간 : 주민소개지원팀 수송차량이 탑승장소로 출발하는 시간 지정하고, ② 수송대명 : 주민소개지원팀 수송 임무를 수행할 수송팀의 고유명을 선택하고, ③ 현재위치 : 수송팀의 현재위치 좌표(자동)를 제공하고, ④ 탑승장소 : 수송할 조직 또는 물자를 탑승/적재할 장소 선택하고, ⑤ 탑승조직 선택(대기조직 : 수송대에 탑승하기 위해 대기 중인 탑승 조직명 리스트 전시, 탑승조직 : 대기조직 중에 수송대 탑승할 조직 선택)한 후, ⑥ 적용 버튼을 누르면 승차조직이 도착지 하차조직 리스트에 전시되고, ⑦ 도착지별 하차조직 선택 : 도착지 순서별로 하차지점과 하차조직 선택한 후, ⑧ 전송버튼을 누르면 주민소개지원팀 하차와 더불어 집결지가 활성화되면서 해당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주민소개지원팀 수송 출발명령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주민소개지원팀 수송 출발명령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그리고, 주민소개지원팀이 목적지에 도착하면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주민소개지원팀 도착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주민소개지원팀 도착보고서'가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소개지원차량이동처리모듈(338)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개지원 차량이동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소개지원 차량이동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소개지원 차량이동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개지원 차량이동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수송대명 : 주민소개지원을 위해 편성된 차량수송대의 고유명 선택하고, ② 모의반 : 주민소개지원차량에 대한 운용 책임을 가진 모의반 선택하고, ③ 출발시간 : 주민소개지원차량이 소속기관이나 시설을 출발 시간 지정하고, ④ 목적지 : 주민소개지원차량이 이동해야할 장소 선택한 후, ⑤ 전송버튼을 누르면 해당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소개지원차량 집결명령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소개지원차량 집결명령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이때, 주민소개지원 차량이 지정장소까지 이동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주민소개차량지원처리모듈(339)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민소개 차량지원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주민소개 차량지원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주민소개 차량지원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개지원 차량이동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출발시간 : 주민소개지원차량이 탑승장소로 출발하는 시간 지정하고, ② 수송대명 : 주민소개차량 지원팀의 고유명을 선택하고, ③ 현재위치 : 주민소개차량 지원팀의 현재위치 좌표(자동)가 설정되며, ④ 탑승장소 : 수송할 주민조직이 탑승할 장소 선택하고, ⑤ 탑승 주민조직 선택(대기조직 : 수송대에 탑승하기 위해 집결지에 대기 중인 조직 리스트 전시, 탑승조직 : 대기조직 중에 수송대 탑승할 주민조직 선택)하고, ⑦ 도착지 : 탑승 주민조직이 하차할 장소 선택한 후, ⑧ 전송버튼을 누르면 해당 정보가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주민소개차량 지원명령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주민소개차량 지원명령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상기 구호소운용반 단말기(340)는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이재민 등록, 구호물품 지급, 구호물품 신청 등의 구호소 운용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호소운용반 단말기(340)는,
이재민 등록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이재민 등록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이재민 등록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이재민등록처리모듈(341);
구호물품 지급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구호물품 지급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구호물품 지급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구호물품지급처리모듈(342);
구호물품 신청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구호물품 신청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구호물품 신청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구호물품신청처리모듈(343);
구호물품 보급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구호물품 보급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구호물품 보급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구호물품보급처리모듈(344);을 포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이재민등록처리모듈(34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재민 등록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이재민 등록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이재민 등록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재민 등록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등록일시 : 소개주민(이재민)이 구호소에 도착하여 등록을 실시하는 시간을 설정하고, ② 등록시설 : 주민조직이 임시 거주할 구호소 시설의 명칭 선택하고, ③ 대기명단 : 구호소에 도착하여 대기하고있는 주민조직의 개인별 목록을 설정하고, ④ 등록현황 : 구호소에 도착하여 이재민 등록을 마친 주민의 개인별 목록(자동)을 제공한 후, ⑤ 전송버튼을 누르면 해당 정보가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구호소 이재민 등록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구호소 이재민 등록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상기 구호물품지급처리모듈(34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호물품 지급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구호물품 지급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구호물품 지급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호물품 지급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지급시간 : 구호물품을 지급하는 시간 지정하고, ② 지급시설 : 이재민에게 구호물품을 지급해주는 구호시설 선택하고, ③ 대상조직 : 구호물품을 수령하는 조직 지정(물품명/ 시설보유량/ 미지급 인원수/ 지급량 : 입력, 기준인원 : 보급품 단위별 대상 인원수(자동))한 후, ④ 전송버튼을 누르면 해당 정보가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때, 선행조건은 구호소에 구호물품 신청이 있어야 하고, 보급소 DB에 구호물품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상기 구호물품신청처리모듈(343)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호물품 신청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구호물품 신청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구호물품 신청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호물품 신청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신청시간 : 구호소에서 대책본부로 구호물품을 신청하는 일시 지정하고, ② 시설명칭 : 구호물품을 신청하는 구호소의 고유명 선택하고, ③ 보급품(명칭 : 구호물품의 명칭, 현재량 : 구호소에 보유하고 있는 물품 수량, 청구량 : 구호소에서 요청하는 품목별 요구량)을 설정한 후, ④ 전송버튼을 누르면 해당 정보가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구호물품 신청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구호물품 신청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상기 구호물품보급처리모듈(344)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호물품 보급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구호물품 보급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구호물품 보급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되며, 생성된 상황 처리 정보를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시시키게 된다.
즉,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호물품 신청 UI 창이 표출되면, 예를 들어, ① 출발시간 : 구호물품 적재차량이 출발하는 시간 지정하고, ② 수송대명 : 구호물품을 적재하고 수송하는 수송대 고유명을 선택하고, ③ 적재시설 : 구호물품을 보관하는 시설/장소 지정하고, ④ 목적지(시설명: 구호물품을 보급할 구호소명 (순차적), 신청량 확인 버튼을 누르면 우측화면에 구호소별 신청량 현황을 제공함)를 설정하고, ⑤ 품목별 보급수량 : 품목별 보급량 입력한 후, ⑥ 전송버튼을 누르면 해당 정보가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현황조회' 메뉴의 '보고서'에서 '구호물품 보급명령 보고서'를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구호물품 보급명령 보고서'가 제공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인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은 상황실에 설치 구성됨으로써, 심볼을 이용한 방사능 재난대응 모의훈련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직 심볼은 방재활동을 위해 운용하는 방재대책본부를 포함한 방재조직과 주민조직으로 구분하여 정지상태에 있는 조직은 청색 원으로, 임무수행을 위해 이동하는 조직은 적색 원으로 도식하고 수행임무를 원 안에 기입하고 있다.
그리고, 고정시설 심볼에 시설의 특성을 그림이나 문자로 도면과 같이 시설이나 조직의 명칭은 심볼의 중앙상단에 4각형으로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임시시설 심볼은 집결지, 구호소, 교통통제소, 출입통제소, 차량제염소 등과 같이 방사능 방재훈련을 위해 임시로 설치되는 시설로서, 검정색 테두리에 시설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림이나 문자로 도식한다.
그리고, 이동수단 및 주민 객체 심볼은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운용되는 개별 단위의 조직, 인원, 운송수단을 의미하며, 기본조직은 검은색으로 이동수단 객체는 적색으로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에 도식한다.
그리고, 사고 및 장애물 표지 심볼은 아래 표와 같이 황색 바탕의 기본 심볼로 제공하며, 복구팀이 출동하여 처리 중인 경우는 청색 바탕에 사고내용의 심볼을 전시하고, 이때 복구가 완료되면 해당 심볼이 제거된다.
또한, 본 발명인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은 심볼DB와 훈련요원별임무매뉴얼DB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됨으로써, 각 훈련반 단말기(300)로 해당 훈련요원에게 부여된 임무 메뉴얼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심볼DB에 저장된 심볼 정보를 상황실 모니터링 화면으로 제공하게 되고, 이를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에 심볼로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훈련 요원별 임무 메뉴얼 정보와 심볼 정보는 실시간으로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훈련반 단말기(300)는 자신의 고유 아이디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자신이 맡은 임무가 설정되어 있게 되는데, 예를 들어, 화재진압반일 경우에 화재 진압이 임무가 되고, 의료구호반일 경우에 의료 구호가 그 임무가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방사능 사고가 발생할 경우, 의료구호반의 경우에 임무 메뉴얼이 방사능 사고에 대비하기 위한 의료 활동에 대한 내용이 될 것이며, 임무 메뉴얼에 따라 자신이 처리해야 할 임무 내용을 입력 페이지에 입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현재 비상 원전 사고가 발생하여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해당 지점 위치가 표시되고, 자신이 위치한 지점을 입력하며, 제염을 실시하기 위한 지점을 설정하게 된다.
이후, 제염에 필요한 각종 물품과 시설물들을 준비하는 시간, 품목, 처치 방법 등을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각 훈련반 단말기(300)는 상기 입력된 임무 내용 정보를 전송하게 됨으로써, 상황실에서는 해당 임무 내용 정보를 토대로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상에 심볼 정보를 매칭시켜 표시하게 되는 것이며, 이들의 이동 경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원자력발전소에서 방사능 누출 시, 인근의 사람들에 대한 방사능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재난 대응 모의 훈련을 통해 실제 상황과 유사한 훈련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실제 재난 발생시, 관리자들이 현재 대응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각 객체들의 심볼 정보를 2D Map(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함으로써, 객체들의 이동 상황이나 임무 내용 등을 일목요연하게 통합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어 현재 재난 대응 상태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훈련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200 : 훈련관리서버부
300 : 훈련반 단말기

Claims (10)

  1.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에 있어서,
    지도 기반으로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진행 상황이 표시되는 훈련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100)와;
    각 훈련반 단말기(300)로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을 하달하고,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대해 각 훈련반 단말기(300)들이 처리한 상황 처리 정보를 각 훈련반 단말기(300)들로부터 수집하고, 수집된 상황 처리 정보들이 훈련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도록 하여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진행 상황이 훈련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도록 하고, 수집된 상황 처리 정보들이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처리인지를 평가하는 훈련관리서버부(200)와;
    훈련관리서버부(200)로부터 방사능 재난 모의 모의 훈련 상황을 하달받고,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대해 처리한 상황 처리 정보를 생성하여 훈련관리서버부(200)로 제공하는 복수의 훈련반 단말기(300)를 포함하고,

    상기 훈련관리서버부(200)는,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을 설정하고, 설정된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을 훈련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100)와 각 훈련반원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훈련상황 설정모듈(210)과,
    주민보호활동반 단말기(310)가 제공한 상황 처리 정보들이 훈련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도록 하고, 주민보호활동반 단말기(310)가 제공한 상황 처리 정보들이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처리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인 평가정보를 평가 처리모듈(260)로 제공하는 주민보호활동 처리모듈(220)과,
    방재활동반 단말기(320)가 제공한 상황 처리 정보들이 훈련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도록 하고, 방재활동반 단말기(320)가 제공한 상황 처리 정보들이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처리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인 평가정보를 평가 처리모듈(260)로 제공하는 방재활동 처리모듈(230)과,
    이동및수송반 단말기(330)가 제공한 상황 처리 정보들이 훈련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도록 하고, 이동및수송반 단말기(330)가 제공한 상황 처리 정보들이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처리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인 평가정보를 평가 처리모듈(260)로 제공하는 이동및수송 처리모듈(240)과,
    구호소운용반 단말기(340)가 제공한 상황 처리 정보들이 훈련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도록 하고, 구호소운용반 단말기(340)가 제공한 상황 처리 정보들이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처리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인 평가정보를 평가 처리모듈(260)로 제공하는 구호소운용 처리모듈(250)과,
    주민보호활동 처리모듈(220)과 방재활동 처리모듈(230)과 이동및수송 처리모듈(240)과 구호소운용 처리모듈(250)이 제공한 평가정보를 바탕으로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대한 평가 보고서 정보를 생성하는 평가 처리모듈(260)을 포함하고,
    상기 주민보호활동 처리모듈(220)과 방재활동 처리모듈(230)과 이동및수송 처리모듈(240)과 구호소운용 처리모듈(250)은 각 훈련반 단말기(300)가 제공한 상황 처리 정보들이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처리 정보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별 처리지침 메뉴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관리서버부(200)는,
    평가 처리모듈(260)이 생성한 평가 보고서 정보를 이용하여,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되지 않는 처리를 수행한 훈련반 단말기(300)를 판단하고,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되지 않는 처리를 수행한 훈련반 단말기(300)로 현재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된 처리를 요청하는 미션재수행 요청모듈(2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관리서버부(200)는,
    조직관리모듈(28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직관리모듈(280)은,
    모의반 변경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모의반 변경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모의반 변경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모의반변경설정모듈(281);
    명령 취소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명령 취소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명령 취소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명령취소설정모듈(282);
    방재조직 편성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방재조직 편성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방재조직 편성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방재조직편성설정모듈(283);
    방재조직 통합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방재조직 통합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방재조직 통합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방재조직통합설정모듈(284);
    주민조직 편성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주민조직 편성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주민조직 편성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주민조직편성설정모듈(285);
    차량 편성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차량 편성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차량 편성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차량편성설정모듈(266);
    열차 편성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열차 편성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열차 편성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열차편성설정모듈(287);
    선박 편성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선박 편성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선박 편성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선박편성설정모듈(268);
    헬기 편성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헬기 편성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헬기 편성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헬기편성설정모듈(289);
    차량, 열차, 선박, 헬기 해제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해제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차량, 열차, 선박, 헬기 편성 해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수송수단해제설정모듈(289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상황 설정모듈(210)은,
    기상 변경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기상변경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기상변경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기상설정모듈(211);
    방사능 누출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방사능 누출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노심 노출시간에 의한 원항산출 정보, 노심 손상에 의한 원항산출 정보, 방사능 오염물질 확산도 정보, 유효선량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방사능누출설정모듈(212);
    방사능 누출 초기화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에서 방사능 오염물질 확산도를 제거하는 방사능누출초기화설정모듈(213);
    방재조직 관리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방재조직 생성, 방재조직 이동, 방재조직 수정, 방재조직 통합/삭제의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방재조직설정모듈(214);
    시설관리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시설 생성, 시설 수정, 시설 삭제의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시설관리설정모듈(215);
    우발상황 관리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화재발생/취소, 환자 발생/취소, 도로피해 발생/취소의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우발상황설정모듈(216);
    오염지역 관리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오염지역 생성, 오염지역 수정, 오염지역 삭제의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방사능 재난 모의 훈련 상황 정보로 설정하는 오염지역설정모듈(2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훈련반 단말기(300)는,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대피 방송, 주민소개 방송, 갑상선 방호약품 배포, 대피자 보호시설 수용관리, 낙오주민 처리, 주민 복귀 등의 주민보호활동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주민보호활동반 단말기(310);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화재 진압, 응급 복구, 환자 이송, 보호시설 운영, 교통 통재, 오염지 출입통제, 순찰, 오염지 탐사 및 제염 등의 방재활동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방재활동반 단말기(320);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주민들의 도로 이동, 주민들의 차량/열차/선박/헬기 수송, 차량지원 등의 이동 및 수송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이동및수송반 단말기(330);
    하달된 모의 훈련 상황에 부합한 이재민 등록, 구호물품 지급, 구호물품 신청 등의 구호소 운용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호소운용반 단말기(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주민보호활동반 단말기(310)는,
    옥내 대피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옥내 대피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옥내 대피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옥내대피처리모듈(311);
    옥내 대피 해제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옥내 대피 해제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옥내 대피 해제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옥내대피해제처리모듈(312);
    주민소개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주민소개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이 입력된 정보를 주민소개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주민소개처리모듈(313);
    갑상선 방호약품 배포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갑상선 방호약품 배포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갑상선 방호약품 배포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갑갑상선방호약품배포처리모듈(314);
    갑상선 방호약품 복용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갑상선 방호약품 복용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갑상선 방호약품 복용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갑상선방호약품복용처리모듈(315);
    보호시설 수용인원 대피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보호시설 수용인원 대피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보호시설 수용인원 대피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보호시설수용인원대피처리모듈(316);
    낙오주민 처리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낙오주민 처리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낙오주민 처리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낙오주민처리모듈(317);
    주민복귀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주민복귀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주민 복귀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주민복귀처리모듈(3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재활동반 단말기(320)는,
    화재진압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화재진압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화재 진압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화재진압처리모듈(321);
    응급복구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응급복구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응급 복구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응급복구처리모듈(322);
    환자이송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환자이송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환자 이송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환자이송처리모듈(323);
    시설운영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모니터링용 디스플레이부 화면 상에 시설운영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시설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시설운영처리모듈(324);
    교통 및 출입통제소 운영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교통/출입통제소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교통 및 출입통제소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교통/출입통제소처리모듈(325);
    제염소 운영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제염소 운영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제염소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제염소운영처리모듈(326);
    가두 방송 실시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가두방송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가두 방송 운영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가두방송처리모듈(327);
    순찰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순찰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순찰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순찰처리모듈(328);
    오염탐사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오염탐사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오염탐사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오염탐사처리모듈(329);
    지역제염 실시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지역제염 실시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지역 제염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지역제염실시처리모듈(329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및수송반 단말기(330)는,
    도로이동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도로이동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도로이동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도로이동처리모듈(331);
    이동 정지 및 실시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이동정지/실시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이동 정지 및 실시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이동정지/실시처리모듈(332);
    차량수송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차량수송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차량수송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차량수송처리모듈(333);
    열차수송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열차수송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열차수송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열차수송처리모듈(334);
    선박수송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선박수송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선박수송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선박수송처리모듈(335);
    헬기수송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헬기수송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헬기수송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헬기수송처리모듈(336);
    주민소개지원팀 수송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주민소개지원팀 수송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주민소개지원 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주민소개지원팀수송처리모듈(337);
    소개지원 차량이동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소개지원 차량이동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소개지원 차량이동 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소개지원차량이동처리모듈(338);
    주민소개 차량지원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주민소개 차량지원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주민소개 차량지원 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주민소개차량지원처리모듈(33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호소운용반 단말기(340)는,
    이재민 등록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이재민 등록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이재민 등록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이재민등록처리모듈(341);
    구호물품 지급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구호물품 지급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구호물품 지급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구호물품지급처리모듈(342);
    구호물품 신청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구호물품 신청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구호물품 신청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구호물품신청처리모듈(343);
    구호물품 보급 아이콘을 제공하며, 이를 선택할 경우에 화면 상에 구호물품 보급 UI 창을 제공하고, 해당 UI 창에 입력된 정보를 구호물품 보급에 대한 상황 처리 정보로 생성하는 구호물품보급처리모듈(3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
KR1020200001868A 2020-01-07 2020-01-07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 KR102191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868A KR102191793B1 (ko) 2020-01-07 2020-01-07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868A KR102191793B1 (ko) 2020-01-07 2020-01-07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793B1 true KR102191793B1 (ko) 2020-12-16

Family

ID=7404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868A KR102191793B1 (ko) 2020-01-07 2020-01-07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7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448B1 (ko) * 2021-03-30 2022-05-11 ㈜유엔이 훈련 중 상황에 따른 적응적 sop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109929A (ko) * 2021-01-29 2022-08-05 (주)로딕스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
KR102456648B1 (ko) * 2021-08-30 2022-10-21 국방과학연구소 핵화생방 탐지 서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0514A (ko) * 2005-12-29 2007-07-04 주식회사 티알씨코리아 사업 재난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KR101585066B1 (ko) 2014-07-07 2016-01-13 주식회사 셈웨어 대화형 원자력 중대사고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160035361A (ko) * 2014-09-23 2016-03-31 전자부품연구원 원전사고 통합 대응 시스템
KR101698335B1 (ko) 2015-10-28 2017-01-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전연료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이에 적용된 원전연료의 시뮬레이션 방법
KR101752328B1 (ko) 2016-11-30 2017-06-29 주식회사 미래와도전 한반도 인접국 원전사고 비상대응 교육훈련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0514A (ko) * 2005-12-29 2007-07-04 주식회사 티알씨코리아 사업 재난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KR101585066B1 (ko) 2014-07-07 2016-01-13 주식회사 셈웨어 대화형 원자력 중대사고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160035361A (ko) * 2014-09-23 2016-03-31 전자부품연구원 원전사고 통합 대응 시스템
KR101698335B1 (ko) 2015-10-28 2017-01-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전연료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이에 적용된 원전연료의 시뮬레이션 방법
KR101752328B1 (ko) 2016-11-30 2017-06-29 주식회사 미래와도전 한반도 인접국 원전사고 비상대응 교육훈련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929A (ko) * 2021-01-29 2022-08-05 (주)로딕스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
KR102458256B1 (ko) * 2021-01-29 2022-10-24 (주)로딕스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
KR102395448B1 (ko) * 2021-03-30 2022-05-11 ㈜유엔이 훈련 중 상황에 따른 적응적 sop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56648B1 (ko) * 2021-08-30 2022-10-21 국방과학연구소 핵화생방 탐지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1793B1 (ko) 방사능 재난 대응 모의 훈련 시스템
JP5172227B2 (ja) 非常時情報通信システム、非常時情報通信方法及び非常時情報通信プログラム
US20130197951A1 (en) Incident Management and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Murphy et al. Projected needs for robot-assisted chemical, biological, radiological, or nuclear (CBRN) incidents
Hussain et al. Drones application scenarios in a nuclear or radiological emergency
Sugiyama et al. National atmospheric release advisory center (NARAC) capabilities for homeland security
KR20200062681A (ko) 재난대응 훈련체계에 사용되는 모의객체 심벌 표준화시스템
JP2001331216A (ja) 現場業務支援システム
Bruzzone et al. Modeling, interoperable Simulation and Serious Games (MS2G) for healthcare and first responders in disasters within industrial plants
Knox et al. Utilization of the atmospheric release advisory capability (ARAC) services during and after the Three Mile Island accident
Andreeva-Mori et al. Design and Preliminary Evaluation of an Integrated Aircraft Operation System for Disaster Relief
Roy et al. Location Identification for Rapid Evacuation from a Disaster Site: A Case Study from KAPS
Greenwalt et al. Mass Casualty Chemical Incident Operational Framework, Assessment and Best Practices
De Dominicis et al. The INCLUDING platform for Radiological and Nuclear exercises and training: the Joint Action at the Piraeus port
Dumond From forest firefighting doctrine to digital battlefield: a case study
Sullivan Nuclear plant emergency preparedness in Russia
DEFENSE NUCLEAR AGENCY KIRTLAND AFB NM FIELD COMMAND Joint DOD/DOE Nuclear Weapons Accident Exercise (NUWAX-79). After Action Report. Volume 1. Executive Summary
DEFENSE NUCLEAR AGENCY KIRTLAND AFB NM FIELD COMMAND Joint DoD/DoE Nuclear Weapons Accident Exercise (NUWAX-79). After Action Report. Volume 2
Hopkins After-action summary for handshake one
Trent et al. Designing to support command and control in urban firefighting
Adler Planning for exercises of the Federal Radiological Monitoring and Assessment Plan
Eaton et al.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Bell Lawrence Berkeley Laboratory Master Emergency Plan
Morse et al. Spill exercise 1980: an LLNL emergency training exercise
Kerns FRMAC-93 lessons learned re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