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626A - 실시간통합위성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통합위성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626A
KR20130117626A KR1020120089176A KR20120089176A KR20130117626A KR 20130117626 A KR20130117626 A KR 20130117626A KR 1020120089176 A KR1020120089176 A KR 1020120089176A KR 20120089176 A KR20120089176 A KR 20120089176A KR 20130117626 A KR20130117626 A KR 20130117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tellite
smartphone
management server
function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이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filed Critical 이상윤
Priority to KR1020120089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7626A/ko
Publication of KR20130117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전 지구 우주 상공 각 지역에 위치한 위성을 관리 관찰할 수 있는 위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식별 코드가 부여된 각 위성; 상기 식별 코드를 통하여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각 위성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된 스마트폰; 및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에 대하여 접속 허여 여부를 판단하는 보안기능과,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에게 상기 각 위성의 위치, 종합현황, 및 재난발생 경보현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기능과,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에게 상기 각 위성의 종합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진단 기능을 포함한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시간통합위성관리시스템{Satellite Management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전 지구 우주 상공 곳곳에 위치한 다수의 위성을 실시간 통합관리할 수 있는 위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 지구적인 현상으로서 지구 온난화 현상, 환경오염 등으로 인한 기상이변으로 각종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각국에 재난방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지진, 해일, 화재, 태풍, 홍수, 호우 또는 산사태 등과 같은 각종 재난을 미리 감지하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상이변을 감시하는 현재의 기상예보 시스템은 기상위성을 통한 광범위한 지역에 대해 예보가 이루어지는 반면, 산간계곡, 하천변 유원지 등과 같은 국지적인 장소에 대해서는 상세 기상 정보가 전달되지 못하고 있어, 현실적으로 그 대비책이 무방비 상태로 남아 있다. 예를 들어, 산간 계곡 산사태 등의 재난이 발생되는 경우 해당 관리 사무소는 중앙 통제 기관으로부터 1차적인 기상 통보를 받고 이를 다시 전달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 내에 발생되는 홍수 등에는 전혀 대비를 할 수 없다.
이러한 방재 시스템의 일환으로 종래의 재난 경보 시스템은, 우선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방재담당 부처 등의 재난 경보 시스템의 운영주체가 강우, 강설, 지진, 풍속 또는 산사태 등을 관측하는 각종 재난 요인 관측소로부터 관측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재해, 재난의 발생가능성 및 발생범위 등을 판단한 후 신문, 방송 등의 언론매체를 통하여 이를 경보하였다.
그러나, 재난 발생의 예상 지점에 사람이 직접 찾아가 확인하거나, 해당 지점에 각종 재난요인을 검출하는 장비를 이용하여 이를 감지하였다. 이 경우, 예산 및 인력부족으로 인하여 재난이 예상되는 일부 장소에만 한정하여 재난 요인을 감시할 수밖에 없으며, 특히 재난을 예고하는 지형 등의 미소한 변화를 정확하게 검출하기는 불가능하여 재난을 미연에 방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재난의 공지가 정부차원과 공공기관, 언론매체 예보위주로 되어있어 재난 예상 지역 주민들은 주로 재난예보에 대해 일방적으로 이러한 기관에 먼저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자발적으로 먼저 알기 위해서는 많은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재난의 우선 감시기구인 위성에서 해당 지역 주민 각각에 대해 보다 직접적인 통지와 상호 간 신속하고 원활한 소통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다만 위성은 국가가 관리주체인 이유로 일반 주민들이 직접적으로 접속하기 어려웠고, 위성의 관리감독을 위한 관리자 역시 허용된 해당 지역 컴퓨터를 통해 위성을 관리 감독해 왔기 때문에 시간과 장소에 제약이 있었고, 전 지구 곳곳에서 재난의 발생시 가장 먼저 대피 혹은 대비해야 할 전 세계 재난지역 주민들은 늑장 경보발령에 대한 두려움에서 결코 자유롭지 못했다. 따라서, 미리 예보하는 것을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에서 언제 어디서나 관련 위성들을 총괄적으로 관리 감독 관찰할 수 있고 재난감지시 해당 주민들의 즉각적인 대피와 대비가 위성 관리 시스템에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전 지구 곳곳에서 보다 신속한 재난예보기능을 강화하고, 관련 위성들을 더욱 오류와 사고에서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위성 관리 시스템 및 최적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성 관리 시스템은 식별코드가 부여된 전 지구 우주 상공의 각 위성; 상기 식별 코드를 촬영하여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각 위성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된 스마트폰; 및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에 대하여 접속 허여 여부를 판단하는 보안기능과,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에게 상기 위성의 위치, 종합현황, 및 경보현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기능과,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에게 상기 위성의 종합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진단 기능을 포함한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단 기능은 위성의 안전도 및 오류상태를 진단하며, 그날의 상황에 따라 값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별 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상기 QR 코드를 통할 때만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안기능은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의 번호가 상기 관리 서버에 기 등록된 번호일 경우에만 상기 스마트폰의 접속을 허여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 기능은 상기 각 위성에 대한 검색 기능과, 선택된 위성에 대한 세부 계측 정보들과 재난경보를 위한 위성의 관측정보를 제공하는 계측관측 제공 기능과, 상기 선택된 위성의 과거와 현재의 계측과 관측 결과에 따른 항목별 보고서를 제공하는 보고서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단 기능은 상기 세부 계측 정보들을 분석하여 상기 선택된 위성의 오류, 사고 및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오류와 사고의 내용, 원인 및 대처방법을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오류사고 대처 기능과, 상기 선택된 위성의 현재 상태 및 운전 특성을 진단하여, 항목별 계측값을 예측하여 제공하는 미래 예측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성 관리 방법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된 스마트폰을 이용해 각 위성의 식별 코드를 사용하여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하고,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위성에 관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표시하는 단계; 관리 시스템이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에 대하여 접속 허여 여부를 판단하는 보안단계; 상기 관리 시스템이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에게 상기 위성의 위치, 종합현황, 및 경보현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관리 시스템이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에게 상기 위성의 종합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진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별 코드는 QR(Quick Response)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상기 QR 코드를 통할 때만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안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의 번호가 상기 관리 서버에 기 등록된 번호일 경우에만 상기 스마트폰의 접속을 허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각 위성에 대한 검색 단계와,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위성에 대한 세부 계측 정보들과 재난경보를 위한 위성의 관측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위성의 과거와 현재의 계측과 관측 결과에 따른 항목별 보고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단 단계는 상기 세부 계측 정보들을 분석하여 상기 선택된 위성의 오류와 사고 유무를 판단하고, 오류와 사고의 내용, 원인 및 대처방법을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오류사고 대처 단계와, 상기 선택된 위성의 현재 상태 및 운전 특성을 진단하여, 항목별 계측값을 예측하여 제공하는 미래 예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30)을 이용하여 위성(1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비용낭비나 오류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나 접속허가자는 스마트폰(30)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위성(10)을 관리 감독 관찰할 수 있게 되므로 편의성이 증대되고, 유지 보수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위성(10)에 접속이 허여된 전 세계 재난지역 주민들 중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된 스마트폰을 이용해 위성의 식별 코드를 사용하여 관리 서버에 접속을 허용받은 사람들은 매시간 곳곳에서 스스로 재난발생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재난발생시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며, 해당 주민들의 불안감이 감소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성 관리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40)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리 시스템(50)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전 지구 우주 상공에 위치한 각 위성(10)들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성접속자(168)의 접속허용지역(11)에서의 접속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성 관리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위성 관리 시스템은 식별 코드(20)가 부여된 위성(10); 식별 코드(20)를 촬영하여 관리 서버(40)에 접속을 요청하고, 관리 서버(40)로부터 제공된 위성(10)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된 스마트폰(30); 및 관리 서버(40)에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30)에 대하여 접속 허여 여부를 판단하는 보안기능과,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30)에게 위성(10)의 위치, 종합현황, 및 경보현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기능과,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30)에게 위성의 종합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진단 기능을 포함한 관리 시스템(50)을 포함한다.
식별 코드(20)는 각 위성(10)에 부여되며, 스마트폰(30)은 식별 코드(20)를 촬영함으로써 각 위성(10)을 판별하게 된다. 이러한, 식별 코드(20)는 2차원 코드, 예를 들어 QR(Quick Response) 코드일 수 있다.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성(10)을 관리 감독 관찰하기 위해 스마트폰(30)용으로 제작된 것으로, 관리자나 접속허가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 서버(40)에 접속하여 위성(10)을 관리감독 혹은 관찰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40)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관리 서버(40)는 각 위성(10)과 네트워킹되며, 각 위성(10)으로부터 각종 상태 정보를 제공받고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42)와, 각 위성(10)의 상태를 진단하고 분석하는 분석부(44)와, 위성(10)에 경보상황과 오류 및 사고가 발생할 경우 관리자나 접속허가자에게 경보와 사고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46)와, 관리 시스템(50)의 통제에 따라 각 위성(10)을 제어하는 제어부(48)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시스템(50)은 관리 서버(40)의 기능을 실질적으로 제어하며, 관리 서버(40)에 내장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스마트폰(30)은 컴퓨팅 및 네트워킹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의 하나의 예일 뿐, 국한되지 않으며 식별 코드(20)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면 PDA, 노트북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위성(10) 관리를 위해 스마트폰(30)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된 스마트폰(30)은 각 위성(10)과 네트워킹된 관리 서버(40)와 접속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리자와 접속허가자는 시간과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각 위성(10)을 관리 감독,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리 시스템(50)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관리 시스템(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안기능과, 모니터링 기능과, 진단 기능을 포함하며, 이러한 기능들은 스마트폰(30)과 연계된 기능들이므로, 스마트폰(3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된다.
관리자나 접속허가자는 자기에게 부여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인증 후 서버나 장비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QR코드 인증을 통하여, 스마트폰(30)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위성(10)에 부여된 식별코드(20)를 촬영하여, 서버에 접속하게 된다.
한편, 스마트폰(3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 서버(40)에 접속할 경우, 각 위성(10)의 전력 사용량, 동작 상태 등을 모두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기능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관리 시스템(50)은 관리 서버(40)에 대한 스마트폰(30)의 접속을 허여를 판단하는 보안기능을 갖는다.
보안기능의 첫 번째로 스마트폰(3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식별 코드(20)를 통할 때만 관리 서버(4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관리 시스템(5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된 식별 코드(20)를 통한 스마트폰(30)에 대해서만 관리 서버(40)의 접속을 허여한다.
보안기능의 두 번째로 관리 시스템(50)은 관리 서버(40)에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30)의 번호가 기 등록된 번호일 경우에만 스마트폰(30)의 접속을 허여한다.
이어서, 관리 시스템(50)은 관리 서버(40)에 접속한 스마트폰(30)에게 위성(10)에 관한 각종 현황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다. 즉, 스마트폰(30)에 제공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위성(10)을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갖는다.
모니터링 기능의 첫 번째로 관리 시스템(50)은 각 위성(10)에 대한 리스트 제공 및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나 접속허가자는 스마트폰(3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위성(10)의 리스트를 확인하거나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위성(10)의 리스트를 열람할 수 있는 범위는 관리자나 접속허가자의 권한에 따라, 허용되는 범위에 따라 차등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모니터링 기능의 두 번째로 관리 시스템(50)은 리스트에서 선택된 위성(10)에 대한 세부 계측정보와 관측 정보들을 제공하는 계측관측 기능을 제공한다.
즉, 관리자나 접속허가자는 스마트폰(30)에 표시된 위성(10) 리스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위성(10)이 위치된 장소, 사양, 제조번호, 품목코드, 설립일자, 국적, 용도 등과 같은 기본 정보와 함께, 위성(10)의 재난 감지자료, 재난가능성 정도, 재난지, 금월 재난발생횟수, 금일 재난발생횟수, 강도와 같은 세부 항목들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모니터링 기능의 세 번째로 관리 시스템(50)은 위성(10)의 과거와 현재의 계측과 관측결과에 따른 항목별 보고서를 제공하는 보고서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보고서는 일별, 주간별, 월별 보고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보고되는 항목은 재난발생 최다지역, 강도 및 재난지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관리 시스템(50)은 각 위성(10)의 현황을 진단 분석하여, 관련 정보를 관리 서버(40)에 접속한 스마트폰(30)에게 제공하는 진단 기능을 갖는다. 즉, 스마트폰(30)에 제공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위성(10)의 현황과 함께, 종합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관리자나 접속허가자는 스마트폰(3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위성(10)을 보다 쉽고 안정적으로 관리 감독 관찰할 수 있다.
진단 기능의 첫 번째로 관리 시스템(50)은 위성(10)의 세부 계측 정보들을 분석하여 위성(10)의 사고와 오류 유무를 판단하고, 오류나 사고의 원인 및 대처방법을 스마트폰(30)으로 제공하는 사고 대처 기능을 제공한다. 즉, 관리자나 접속허가자는 스마트폰(30)에 표시된 위성(10) 리스트를 통해 오류와 사고가 발생되거나 가능성이 높은 위성(10)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오류와 사고의 원인 및 대처방법 등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위성(10)의 정확성 효율을 진단하는 항목으로는 소모 및 누설전류, 위치주변의 우주환경, 온도, 날씨, 습도, 일사량 등 여러 관련 항목이 될 수 있다.
진단 기능의 두 번째로 관리 시스템(50)은 위성(10)의 현재 상태 및 운전 특성을 진단하여, 항목별 계측값을 예측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어, 관리 시스템(50)은 현재부터 24시간 경과 후까지의 각 측정 항목의 미래값을 예측하여 스마트폰(30)에 제공한다. 여기서, 예측되는 항목은 예상 오류 등 여러 관련 항목이 될 수 있다.
진단 기능의 세 번째로 관리 시스템(50)은 위성(10)의 사용 패턴과 예측된 항목별 계측값을 분석하여 최적의 예보 설비효율을 관리하도록 정보를 스마트폰(30)에 제공한다.
이와 같이, 관리자나 접속허가자는 스마트폰(30)을 이용하여 위성(1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비용낭비나 오류와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오류와 사고시 신속한 점검과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는 스마트폰(30)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각 위성(10)을 관리 감독할 수 있게 되므로 편의성이 증대되고, 유지 보수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접속허가자는 스마트폰(30)을 이용하여 전 지구 언제 어디서나 해당 지역의 각 위성(10)을 관찰할 수 있게 되므로 재난 발생시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위성
20: 식별코드
30: 스마트폰
40: 관리 서버
50: 관리 시스템
168: 스마트폰이용 위성 접속자
11: 스마트폰이용 위성 접속허용 지역

Claims (6)

  1. QR(Quick Response) 코드가 부여된 각 위성; 상기 QR 코드를 촬영하여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각 위성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된 스마트폰; 및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에 대하여 접속 허여 여부를 판단하는 보안기능과,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에게 상기 각 위성의 위치, 종합현황, 및 경보현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기능과,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에게 상기 각 위성의 종합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진단 기능을 포함한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보안기능은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의 번호가 상기 관리 서버에 기 등록된 번호일 경우에만 상기 스마트폰의 접속을 허여하는 기능과,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상기 QR 코드를 통할 때만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을 허여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기능은 상기 각 위성에 대한 리스트 제공 및 검색 기능과,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위성에 대한 세부 계측 정보와 관측정보들을 제공하는 계측관측 기능과, 상기 선택된 위성의 과거와 현재의 계측 관측 결과에 따른 항목별 보고서를 제공하는 보고서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기능은 상기 세부 계측 정보들을 분석하여 상기 선택된 위성의 오류와 사고 및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오류와 사고의 내용, 원인 및 대처방법을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오류와 사고 대처 기능과, 상기 선택된 위성의 현재 상태 및 운전 특성을 진단하여, 항목별 계측값을 예측하여 제공하는 미래예측 기능과, 상기 선택된 위성의 사용 패턴과 예측된 항목별 계측값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관리 시스템.
  4.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된 스마트폰을 이용해 각 위성의 QR(Quick Response) 코드를 통하여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위성에 관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표시하는 단계; 관리 시스템이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에 대하여 접속 허여 여부를 판단하는 보안단계; 상기 관리 시스템이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에게 상기 위성의 위치, 종합현황, 및 경보현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관리 시스템이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에게 상기 위성의 종합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진단 단계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보안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의 번호가 상기 관리 서버에 기 등록된 번호일 경우에만 상기 스마트폰의 접속을 허여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상기 QR 코드를 통할 때만 상기 관리 서버에 대한 접속을 허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관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각 위성에 대한 리스트 제공 및 검색 단계와,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위성에 대한 세부 계측과 관측 정보들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위성의 과거와 현재의 계측과 관측 결과에 따른 항목별 보고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관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단계는 상기 세부 계측 정보들을 분석하여 상기 선택된 위성의 오류 및 사고 유무와 안전성을 판단하고, 오류 및 사고의 내용, 원인 및 대처방법을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오류 및 사고 대처 단계와,상기 선택된 위성의 현재 상태 및 운전 특성을 진단하여, 항목별 계측값을 예측하여 제공하는 미래예측 단계와, 상기 선택된 위성의 사용 패턴과 예측된 항목별 계측값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관리 방법.
KR1020120089176A 2012-08-14 2012-08-14 실시간통합위성관리시스템 KR201301176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176A KR20130117626A (ko) 2012-08-14 2012-08-14 실시간통합위성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176A KR20130117626A (ko) 2012-08-14 2012-08-14 실시간통합위성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626A true KR20130117626A (ko) 2013-10-28

Family

ID=4963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176A KR20130117626A (ko) 2012-08-14 2012-08-14 실시간통합위성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76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33598A (zh) * 2017-12-31 2018-07-27 广州中海达定位技术有限公司 一种地质灾害监测系统及方法
KR20190022236A (ko) * 2017-08-25 2019-03-06 드림스페이스월드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시간 인공위성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2236A (ko) * 2017-08-25 2019-03-06 드림스페이스월드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시간 인공위성 제어 방법
CN108333598A (zh) * 2017-12-31 2018-07-27 广州中海达定位技术有限公司 一种地质灾害监测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264B1 (ko)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81069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curity tracking and generating alerts
CN106056690B (zh) 基于大数据、云平台和物联网的护线智能巡检方法及系统
US11392841B2 (en) System to monitor and process water-related data
WO2007046844A2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 representation of a catastrophic event and coordination of response
KR101386591B1 (ko) 감시카메라 통합관리시스템
WO2008086507A1 (en) Information collecting and decision making via tiered information network systems
KR102138340B1 (ko) 지능형 원격단말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관내 시설물 자율 점검 및 고장 알림 운영시스템
CN101582192A (zh) 一种水体环境预警系统的建立方法
CN111797918B (zh) 大气污染源识别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200027685A (ko)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
CN111611439A (zh) 消防安全监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BR112014007965A2 (pt) sistema e método de gestão global para gerir ativos de óleo e gás, e meio legível por computador não tangível ou não transitório armazenando um conjunto de instruções para gerenciar ativos de óleo e gás
KR102122590B1 (ko)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200027686A (ko)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0683580B1 (ko) 지능형 플랜트 정보시스템
CN115549292A (zh) 电网运行监测系统及其方法
KR102238764B1 (ko) 위해도 평가를 이용한 실시간 사고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146206B (zh) 一种基于软件定义网络的灾害预警系统及方法
WO2016158783A1 (ja) 状況判定システム、状況判定方法、意思決定支援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30117626A (ko) 실시간통합위성관리시스템
KR101217674B1 (ko) 수배전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enkova et al. On-line control of the state of technosphere and environment objects in Krasnoyarsk region based on monitoring data
KR20220109929A (ko)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
Shah et al. Vehicle Service Management and Live Monitoring with Predictive Maintena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