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973B1 - 유·무기 재생자원 및 음식물쓰레기 콤포스트를 활용한 다기능 토양개량제 - Google Patents

유·무기 재생자원 및 음식물쓰레기 콤포스트를 활용한 다기능 토양개량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973B1
KR102457973B1 KR1020210152837A KR20210152837A KR102457973B1 KR 102457973 B1 KR102457973 B1 KR 102457973B1 KR 1020210152837 A KR1020210152837 A KR 1020210152837A KR 20210152837 A KR20210152837 A KR 20210152837A KR 102457973 B1 KR102457973 B1 KR 102457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oil
organic
food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혁
박재로
안홍규
윤성심
이새로미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52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9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C05F5/002Solid waste from mechanical processing of material, e.g. seed coats, olive pits, almond shells, fruit residue, rice hu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1/00Agricultural 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3/00Civil engineering 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콤포스트; 유기 재료; 및 무기 재료를 포함하는 토양개량제로서, 상기 토양개량제 100중량부에 대해, 건조 전 수분 50 내지 70 중량부; 및 미생물 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음식물 콤포스트 : 유기 재료 : 무기 재료의 혼합비(중량비)는 7 내지 8 : 1 내지 2 : 1이고, 상기 수분 50 내지 70 중량부는 녹조원액 0.01 내지 0.02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생물 1 내지 10중량부는 고초균을 포함하는 유·무기 재생자원 및 음식물쓰레기 콤포스트를 활용한 다기능 토양개량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유·무기 재생자원 및 음식물쓰레기 콤포스트를 활용한 다기능 토양개량제{SOIL IMPROVER}
본 발명은 유·무기 재생자원 및 음식물쓰레기 콤포스트를 활용한 다기능 토양개량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영되는 음식물류 폐기물의 자원화 시설은 사료화, 퇴비화, 혐기소화, 지렁이 사육, 버섯 재배, 탄화 및 하수병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음식물류 폐기물의 고액분리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수와 생산된 사료의 품질 불균일성 때문에 사료화의 비율은 감소추세에 있고, 퇴비화의 비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1) 비닐, 쇠붙이, 유리, 은박지, 고무 및 플라스틱과 같은 이물질이 완전 제거되지 않은 채 퇴비에 혼입되어 퇴비의 질적 하락뿐만 아니라 농경지 토양오염 문제를 야기시키기도 하고,
2)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에서 발생되는 고농도의 폐수를 폐수처리업자에게 위탁 처리하여 해양투기를 하거나, 폐수종말처리시설, 하수종말처리시설 및 분뇨처리시설에 오염물질을 이송하여 처리하고 있으나 이 역시 2011년부터는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될 상황이기에 대책이 필요하며,
3) 우리나라 음식물류 폐기물은 비록 아직까지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지는 않았으나, 대장균, 살모넬라, 리스테리아, 보튤리늄균 등 병원성 미생물 등이 잠재적인 위해요소로 대두될 가능성이 있기에 거의 대부분의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에서는 증자공정을 도입하고 있다. 이는 에너지 비용의 과다계상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일부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 증자처리에 의해서 완전 멸균되지 않아 2차적인 감염의 우려가 상존하고 있으며,
4) 우리나라 음식물류 폐기물에는 약 1 내지 5%의 염분을 함유하고 있다. 이를 통기개량제와 혼합하여 투입할 경우에도 보통 2 내지 3%를 상회하여 우리나라 비료사업법에서 규제하고 있는 농경지 투입농도 1%를 초과하고 있어 적절한 염분제거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5) 음식물류 폐기물에는 주방용 합성세제에 포함되어 있는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혼입될 수 있는데, 이들은 토양 내에서 미생물상의 호흡교란과 함께 지속적으로 장기간 토양에 유입될 경우 식물의 생육에 대한 저해뿐만 아니라 생물 농축을 통해 인축에 악영향을 끼칠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07-0008798호에는 전기분해 및 진공압제공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류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염분, 악취 및 수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10-0311987호에는 음식물류 폐기물과 하수 슬러지의 병합처리에 대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10-0443899호에는 음식물류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10-0407828호에는 수분을 다량 함유한 슬러지나 음식물류 폐기물을 고주파와 적외선을 병용하여 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20-0279593에는 음식물폐기물, 종말처리장 슬러지, 축분, 도축폐기물 등을 생석회와 혼합, 교반하여 유기 칼슘비료를 생산하는 과정에 대해 개시되어 있고, 이와 유사하게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10-0604217호에는 유기 폐기물의 소화(消和, slacking)방법에 의한 토양개량제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김남천과 장병만(2006)의 연구에 의하면 삼중염(KHSO5 43%, KHSO4 23%, K2SO4 32%)을 0.5wt% 투입하여 음식물류 폐기물 퇴비에 함유된 염분제거 실험을 수행한 결과, 음식물류 폐기물 유래 NaCl의 약 41.24%가 KCl로 전환되어 발효온도 상승, 악취저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 밖에도 음식물류 폐기물의 자원화와 관련된 다수의 선행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선행기술들은 상기에서 제시한 음식물류 폐기물의 자원화 과정에서 파생되는 문제점들을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 채 기본적인 처리공정의 개선에만 치우쳐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과정에서 파생되는 문제점 중에서, 특히 고농도 폐수의 효율적인 처리방안, 일부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2차적인 토양 및 식품 오염, 그리고 합성세제에 함유되어 있는 계면활성제의 분해 및 저감처리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아울러, 음식물류 폐기물을 이용한 퇴비 자원화 공정의 대부분이 15일 이상의 1차 발효와 21일 이상의 후부숙 공정을 거친 퇴비를 생산하도록 법제화하고 있다.
하루에 약 10,000m3이상의 수준으로 발생하는 음식물류 폐기물을 퇴비 부숙화 반응을 거치기 위해서는 넓은 작업공간과 저장시설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자원의 고속 순환이 어려운 문제점이 대두될 수 있기에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조기에 마련되어야 할 실정이다.
또한, 최근 심각한 도시 유기폐기물 문제는 토양/수환경 오염뿐만 아니라 강제적인 기후변화의 주범으로써 지속가능한 탄소중립·자원순환 기술의 다양성이 요구된다. 특히 음식물쓰레기는 국제적인 이슈로 부각되는 유기폐기물 중 하나로써 국내의 경우 1인당 0.93 kg/일, 발생량 15,000 톤/일 이상, 1년간 수거 및 처리비용 1조 3,000 억원이 발생하는 등 지속적인 양적 증가 중이다.
2018년 제5차 전국폐기물 통계조사에 의하면 국내 음식물류 폐기물의 분리배출 비율은 전국 평균 93.6%로 나타났으며, 4차 조사('11.10~'12.12)와 비교하여 2.7%p 증가하였고, 분리배출이 높은 이유는 2013년부터 '음식물쓰레기 종량제'가 전국으로 확대하여 시행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최근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비율은 약 95%에 이르지만, 이중 약 60%는 사료, 30% 퇴비, 5%가 생물연료(bio-fuel)로 활용되고 있어 재활용처가 한정적이며 신규 유기 폐기물 문제와 늘어나는 발생량을 고려하면 재활용 산물의 용도와 최종 적용처의 다양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 중 퇴비화 산물은 대부분 중앙시설을 통해 생산되고 있으며 재활용 규모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로 2015년 기준으로 4,200 톤/일의 높은 자원화율을 보이지만 최종산물의 품질이 낮아 농가에 무료로 제공됨에도 불구하고 미활용되거나 개별적으로 적치/매립 또는 비공식적으로 소각/매립되어 가스오염물질이나 침출수가 발생하여 다양한 환경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시설을 통해 1차 선별된 원재료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으므로 2차적인 새로운 활용처 확장을 강구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음식물쓰레기 콤포스트는 국내 음식물쓰레기 중 사료에 이어 두 번째 수준의 양을 나타내며 매일 상당량이 퇴비로 자원화 되고 있으나 농업산업에서는 대체자원인 축분퇴비에 비해 적용이 미진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유래 미부숙 음식물쓰레기 콤포스트를 재생자원으로 인식하여 간단하고 경제적인 개질처리(composting 또는 호기 발효처리) 후 불안정한 유기물질, 악취 유발물질, 침출수 유발물질 등을 추가적으로 처리한 안정된 재료인 기능성 토양개량제로 제조하여 최종적으로 도시 그린 인프라에서 bio-retention cell로 활용될 수 있는 식생기반재로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 가능한 유·무기 재생자원 및 음식물쓰레기 콤포스트를 활용한 다기능 토양개량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개량제는 음식물 콤포스트; 유기 재료; 및 무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식물 콤포스트 : 유기 재료 : 무기 재료의 혼합비(중량비)는 7 내지 8 : 1 내지 2 : 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양개량제 100중량부에 대해, 수분 50 내지 7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 50 내지 70 중량부는 녹조원액 0.01 내지 0.02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 1 내지 1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 1 내지 10중량부는 고초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전도도가 2ds/m 내지 8ds/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 유역에서 빠르게 배수되는 강우유출수(특히 초기세척수)를 조기에 보유하여 첨두유출을 지연시키고, 도시유역의 대표적인 오염물질(중금속, 미세플라스틱, 유기오염물질, 영양물질, 유류 등)의 거동을 여과/흡착으로 제한하며 수계로의 순간적인 유출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자원 재생된 토양개량제를 활용함으로써 기존에 활용성이 낮았던 콤포스트 유래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탄소중립이 가능하고, 또한, 현장에 다양한 분산형 모듈로 적용하여 도시 그린 인프라에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생태공학적 기술이므로 그린뉴딜 정책 관련 신수종 사업으로 기술 이전되거나 녹색산업화로 응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개량제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 맵(A: 기존 음식물쓰레기 콤포스트 제조 시스템, B: 본 발명에 따라 자원 재생하여 그린 인프라로 활용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개량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개량제가 적용된 분산형 도시 그린 인프라 적용 방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개량제가 도로와 인도에 적용된 토양개량제 사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개량제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 맵(A: 기존 음식물쓰레기 콤포스트 제조 시스템, B: 본 발명에 따라 자원 재생하여 그린 인프라로 활용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개량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개량제가 적용된 분산형 도시 그린 인프라 적용 방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개량제가 도로와 인도에 적용된 토양개량제 사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개량제는 음식물 콤포스트; 유기 재료; 및 무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식물 콤포스트 : 유기 재료 : 무기 재료의 혼합비(중량비)는 7 내지 8 : 1 내지 2 : 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양개량제 100중량부에 대해, 수분 50 내지 7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 50 내지 70 중량부는 녹조원액 0.01 내지 0.02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 1 내지 1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 1 내지 10중량부는 고초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전도도가 2ds/m 내지 8ds/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개량제는 일정한 반응조에서 특정조건에 따라 진행하며 중온~고온조건의 온도 약 40~80℃ 교반 50 rpm, 공기 1~20.0 L/min 이내로 진행하며 향후 스케일 조정을 통해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약 25L 수준의 토양개량제 제조를 운영하는데 활용되는 전력량 약 60W 수준이었으며 이는 선풍기 사용 전력량과 유사한 수준인 바, 전력 효율면에서 매우 우수하다.
제조 시, 반응조의 운영시간은 hot composting 5일(40~80℃), cool composting 5일(정치)로 실질적인 가동은 5일 이내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반응조의 원리는 일정 수준의 온도 하에 지속적인 충돌과 마찰로 인해 단기간 내에 추가적인 부숙의 단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중앙시설에서 운영 중인 전통적인 static composting과 비교할 때보다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서로 다른 크기의 퇴비 입자들은 빠른 파편화와 분해를 일으키며 기존의 2 mm 이상의 입자들이 그 이하의 크기로 분쇄되어 대부분 negative charge를 띄는 반응성 있는 입자로 전환되어 오염물질의 흡착/여과가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응조에 투입되는 재료는 음식물쓰레기 콤포스트 이외에 물리화학적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재료의 활용이 가능하며 대부분 폐자원을 활용하여 자원재생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유기 재료는 커피박, 이다.산부산물(톱밥, 왕겨, 짚 등), 녹조슬러지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무기 재료로는 굴패각(powder type), 바이오차, 벤토나이트, 펄라이트, 제올라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식물 콤포스트 : 유기 재료 : 무기 재료의 혼합비(중량비)는 7 내지 8 : 1 내지 2 :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음식물 콤포스트 : 유기 재료 : 무기 재료의 혼합비(중량비)는 7.2:1.8:1.0 수준으로 고려되며 상황과 목적에 따라서 유기, 무기 보조재료의 교체 및 차등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반응조에서 젖음(wet) 상태의 유기 재료는 수분이 감소에 따라 중량이 약 60~75% 감량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반응로에서 건조전 초기에 수분을 약 50~70%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는 약 4.5 kg의 바이오매스에 2.7 L 수준의 수분의 비율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수분에 녹조원액 0.01 내지 0.02중량부를 투입하여, (구체적으로는 20 ppm 이상)을 활용하여 green chemical로써의 물리화학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생물학적 반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미생물 고초균(Bacillus subtilis) 1 내지 10 중량부를 초기단계에서 투입할 수 있다.
한편, 고초균은 Christian Gottfried Ehrenberg에 의해 처음 분리되었을 때는 Vibrio subtilis라 명명되었고, 이후 1872년 Ferdinand Cohn에 의해 Bacillus subtilis라 개명되었다. 고초균은 전형적으로 막대 모양이고, 길이는 4~10 μm, 직경은 0.25~1.0 μm 정도이다. 다른 바실러스 속에 속하는 균들과 마찬가지로 내생포자(endospore)를 형성하여 극한 환경을 잘 견딜 수 있다.
이러한 고초균은 통기성 혐기성(facultative anaerobic)이며, 일반적으로 절대 호기성 균주로 인식되어 왔다. 고초균은 많은 편모(flagella)를 가지고 있어 액상에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유전적 변이가 용이하여 그람양성균의 대표적인 모델 미생물로 사용된다.
Bacillus subtilis의 군집과 Fertility Index의 관계는 exponential growth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y=0.0155e1.4532x), 이는 유기물의 추가적인 생분해를 촉진하고 생물대사를 증진시켜 유익한 2차대사산물 생성뿐만 아니라 폴리페놀 및 항상환물질 형성을 증진시켜 향균력이 강화된 휴믹물질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부숙 후기에서 나타날 수 있는 중온성 미생물의 일종인 Lactobacillus는 facultative heterofermentative bacterium로써 국내 발효음식에 많이 포함된 유산간균이며 체내에서 항균물질을 형성하여 유해균을 억제하고 건강한 토양개량제 생성이 가능하다.
한편, 이렇게 생성된 토양개량제는 휴믹물질 또는 휴믹물질에 가까운 물질로써 본 토양개량제는 짧은 시간 내에 더욱 파편화(<2 mm)되어 안정성과 부숙도의 향상을 보인다.
토양개량제는 유기물의 분해로 이루어지며 페놀 및 카르복실 그룹으로 이루어지며, 토양개량제는 식물의 비생물학적 스트레스(abiotic stress)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물자극제(biostimulants)로 이용될 수 있다.
토양개량제는 식물 뿌리구조(root architecture)에 영향을 주며 뿌리성장과 뿌리털증식(root hair proliferation)과 관련된 세포신호과정(cell signalling processes)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특성은 개선된 확보된 내부 공간에 따라 수분보유력과 수리전도도를 가지며 오염수의 효율적인 보유와 저장을 통해 오염물질(중금속, 유기오염물질, 미세플라스틱 등)의 흡착과 저류를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시그린 인프라 구축을 위한 생물저류셀(bioretention cell)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활용 예정인 토양개량제의 전기전도도는 2-8 dS/m이며, 이를 통해 토양표면 5cm 범위에서 민감한 식물에는 4-8 L/m2, 내성 식물에는 16-32 L/m2 가 적합하며, 현장에서 보다 편리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bed soil (sandy soil~sandy loam)과 토양개량제를 1:4~1:8, 또는 1:10~1:30의 비율로 혼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는 적용대상지와 현장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bed soil은 큰 공극, 통기성, 투수성을 확보하고 토양개량제는 작은 공극, 수분, 양분 보전의 역할을 담당하다.
불투수 면적에서 발생하는 지표수 중 강우 시 초기에 발생하는 초기세척수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가장 높으며 도시유역의 대부분인 불투수층에서는 매우 소량의 강우로도 오염물질의 유출이 빠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강유유출수 중 초기세척수는 중요한 유입원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요소를 토양개량제를 적용한 모듈의 각각의 layer로 구체화할 수 있다. 적절한 식생은 도시에서 성장이 용이하고 계절변화에 강하한 여러해살이 지피식물로서 Plantago asiatica L., Zoysia japonica Steud. 등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식물체는 내성이 강한 다년생식물을 이용하며 유지관리는 1회/1년 수준이다.
한편, 도시 그린 인프라 적용 단면은 크게 건물 옥상부터 도시하천까지 수직적 구조를 가지며 도시유역은 storm sewer networks를 통해 최종적으로 수계로 배출되므로 노면 오염물질이 제대로 처리되지 못하고 공공수역으로 빠르게 방류되기 쉽다. 본 발명의 적용은 도시 그린 인프라에서 일종의 오염수의 저장층의 기능을 담당하며 단면에 따라 적용처를 구분하면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B, C구간이 서로 소통할 수 있게 연결되고, 토심이 깊으며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오염물질이 도로 노면에 축적되는데 보도는 상대적으로 레벨이 높아서 오염물질의 흡착/저류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타공이 되어 있는 연석(스크린 망이 있는)을 가운데 두고 B구간에 있는 보도 및 가로수 아래에 깊은 토심에 투입된 토양개량제에 C의 도로 유출수가 자연스럽게 소통될 수 있는 구조물을 배치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음식물 콤포스트; 유기 재료; 및 무기 재료를 포함하는 토양개량제로서,
    상기 토양개량제 100중량부에 대해,
    건조 전 수분 50 내지 70 중량부; 및 미생물 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음식물 콤포스트 : 유기 재료 : 무기 재료의 혼합비(중량비)는 7 내지 8 : 1 내지 2 : 1이고,
    상기 수분 50 내지 70 중량부는 녹조원액 0.01 내지 0.02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생물 1 내지 10중량부는 고초균을 포함하는 유·무기 재생자원 및 음식물쓰레기 콤포스트를 활용한 다기능 토양개량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전기전도도가 2ds/m 내지 8ds/m인 유·무기 재생자원 및 음식물쓰레기 콤포스트를 활용한 다기능 토양개량제.
KR1020210152837A 2021-11-09 2021-11-09 유·무기 재생자원 및 음식물쓰레기 콤포스트를 활용한 다기능 토양개량제 KR102457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837A KR102457973B1 (ko) 2021-11-09 2021-11-09 유·무기 재생자원 및 음식물쓰레기 콤포스트를 활용한 다기능 토양개량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837A KR102457973B1 (ko) 2021-11-09 2021-11-09 유·무기 재생자원 및 음식물쓰레기 콤포스트를 활용한 다기능 토양개량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973B1 true KR102457973B1 (ko) 2022-10-24

Family

ID=8380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837A KR102457973B1 (ko) 2021-11-09 2021-11-09 유·무기 재생자원 및 음식물쓰레기 콤포스트를 활용한 다기능 토양개량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97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6761A (ja) * 1991-05-23 1994-09-13 Maeda Seikan Kk 土壌改良活性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50014035A (ko) * 1993-11-12 1995-06-15 강형모 질소 고정 미생물 비료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3289721A (ja) * 2002-01-31 2003-10-14 Raito Kogyo Co Ltd 緑化基材及び緑化工法
JP2004051380A (ja) * 2002-07-16 2004-02-19 Daito Boshoku Kk 有機肥料の製造方法
JP2006169086A (ja) * 2004-12-16 2006-06-29 Nobuaki Ide マゼコン
KR20070038825A (ko) * 2005-10-07 2007-04-11 (주) 엠솔 미생물공정을 이용한 비료 가용화에 의한 발효비료 및 그의제조방법
KR20150027692A (ko) * 2013-08-28 2015-03-12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바이오아그로 커피박을 이용한 퇴비 제조용 항균 미생물 발효제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항균 발효 퇴비
JP2019201598A (ja) * 2018-05-24 2019-11-28 多木化学株式会社 新規なバチルス菌株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6761A (ja) * 1991-05-23 1994-09-13 Maeda Seikan Kk 土壌改良活性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50014035A (ko) * 1993-11-12 1995-06-15 강형모 질소 고정 미생물 비료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3289721A (ja) * 2002-01-31 2003-10-14 Raito Kogyo Co Ltd 緑化基材及び緑化工法
JP2004051380A (ja) * 2002-07-16 2004-02-19 Daito Boshoku Kk 有機肥料の製造方法
JP2006169086A (ja) * 2004-12-16 2006-06-29 Nobuaki Ide マゼコン
KR20070038825A (ko) * 2005-10-07 2007-04-11 (주) 엠솔 미생물공정을 이용한 비료 가용화에 의한 발효비료 및 그의제조방법
KR20150027692A (ko) * 2013-08-28 2015-03-12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바이오아그로 커피박을 이용한 퇴비 제조용 항균 미생물 발효제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항균 발효 퇴비
JP2019201598A (ja) * 2018-05-24 2019-11-28 多木化学株式会社 新規なバチルス菌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825844U (zh) 一种复合型污水处理系统
CN101318192B (zh) 城市生活垃圾综合治理利用方法
CN102408177A (zh) 一种用于污泥资源化的生物复合酶及其使用方法
Ghazy et al. Sewage sludge management in Egypt: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towards a sustainable agricultural use
JPWO2010103819A1 (ja) 活性化石炭粒状材を用いた窒素や燐による富栄養化汚染水の水質浄化用濾過材料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浄水施設、活性化石炭微粉末をイオン交換材料として利用した汚泥処理方法および該方法を経て製造される各種リサイクル材料
Lester et al. Sewage and sewage sludge treatment
CN109465275B (zh) 一种以污泥为基础的垃圾填埋覆盖材料
CN101591124A (zh) 一种垃圾渗滤液处理方法
CN105271618A (zh) 污水强化处理系统及方法
CN105594499A (zh) 一种低影响开发和景观用的生长介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457973B1 (ko) 유·무기 재생자원 및 음식물쓰레기 콤포스트를 활용한 다기능 토양개량제
CN110563298A (zh) 一种市政污泥脱水的处理方法
Amuda et al. Conversion of sewage sludge to biosolids
CN102515438B (zh) 一种垃圾渗滤液处理工艺
KR20060065851A (ko) 생활 환경오염물의 무배출 및 자원화 시스템
CN108569767B (zh) 一种水平流人工湿地系统及生活污水处理方法
CN106977057B (zh) 一种用于治理屠宰废水的资源化系统
CN113185330A (zh) 一种网格化管理的分散式厨余垃圾好氧发酵技术
KR100753852B1 (ko) 음식물 쓰레기와 토양 미생물 발효재를 이용한 친환경 블록및 이의 제조방법
Uzuh et al. Innovation for New Anaerobic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Recycling System in Developing Countries
Ghangrekar Sludge Management
CN103992014A (zh) 城市污泥处理新工艺
RoyChoudhury et al. Bio-treatment of organic leachate and domestic wastewater, using upflow anaerobic sludge blanket reactor
CN106630484A (zh) 仿生态环保无害化生物治理工艺
Stefanakis et al. Research and Case Studies of Sludge Treatment Wetlands in Hot and Arid Climates: Experiences and Opportunities for Sustainable Sludge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