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066B1 -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 - Google Patents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066B1
KR102457066B1 KR1020220055304A KR20220055304A KR102457066B1 KR 102457066 B1 KR102457066 B1 KR 102457066B1 KR 1020220055304 A KR1020220055304 A KR 1020220055304A KR 20220055304 A KR20220055304 A KR 20220055304A KR 102457066 B1 KR102457066 B1 KR 102457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user
seating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호
양세연
이수안
이현민
이영서
서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양지에이치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양지에이치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양지에이치앤
Priority to KR1020220133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8137A/ko
Priority to KR1020220133116A priority patent/KR20220148136A/ko
Priority to KR1020220133115A priority patent/KR20220148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6Use of three-dimensional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head-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4Chair or stool bases for chairs or stools with central column, e.g. offic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도록 마련된 착석부; 상기 착석부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상단과 연결되고, 사용자의 후두부(後頭部)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착석부 및 상기 등받이부를 지면에 지지하는 안착지지부; 상기 착석부의 양 측부에서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한 쌍의 팔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지지부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지지부; 및 상기 수직지지부의 길이 방향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직지지부의 길이 방향 중심 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수평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부 각각은,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단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종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 접지되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하면이 개방된 형태로 중공 형성되고, 상기 롤러부는 회동됨에 따라 상기 수평프레임 내에 수납될 수 있는 것인, 메쉬형 등받이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MESH TYPE BACK CHAIR WITH POSTURE CORRECTION FUNCTION}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메쉬형 등받이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면의 통풍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자세교정이 가능한 메쉬형 등받이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착석부와, 착석부에 수직하게 위치되어 착석부의 배면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 또는 별도의 지지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의 일부인 요추를 지지하는 요추받이를 포함한다.
종래의 의자들의 경우 기 제조된 구성품들이 완성품 상태로 운송되거나, 특정 구성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운송되어 사용자가 직접 조립하도록 구성되었다. 하지만, 의자가 기 제조된 완성품 상태로 운송되는 경우는 물론이고, 특정 구성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운송되는 경우에도 각 구성품이 갖는 형상 및 전체 체적 크기로 인해 작업자의 운송이 용이하지 않고 또한 운송 효율이 좋지 못한 문제가 존재하였다.
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에서 학생들은 입시경쟁으로 의자에 앉아 공부하는 시간이 늘어나고 직장과 가정에서는 지속적으로 증 가하는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사용으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하루 중 의자에 앉아있는 시간이 큰 비중을 차지하 고 있는 실정이다. 그로 인해 척추의 형태가 변하는 척추측만증, 허리디스크, 거북목환자 등의 증가가 사회적으로 이슈화 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문제들은 발병 후 치료시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므로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하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중에는 많은 종류의 자세 교정 의자가 나와있으나, 대부분 시판중인 의자들은 의자의 구조나 형태에 특이성이 있어 사용자의 체형을 잡아주는 것들이다. 하지만, 이는 정확한 사용법을 모를 경우 오히려 신체에 무리가 갈 수 있고, 또한 체형 및 신체 구조가 다른 개개인에 모두 맞출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76348호(2019.05.08)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의 등받이 의자의 문제점들을 개선한 메쉬형 등받이 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해 및 수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고 일부 구성품의 경우 그 길이 및 체적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도록 마련된 착석부; 상기 착석부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상단과 연결되고, 사용자의 후두부(後頭部)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착석부 및 상기 등받이부를 지면에 지지하는 안착지지부; 상기 착석부의 양 측부에서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한 쌍의 팔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지지부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지지부; 및 상기 수직지지부의 길이 방향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직지지부의 길이 방향 중심 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수평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부 각각은,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단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종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 접지되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하면이 개방된 형태로 중공 형성되고, 상기 롤러부는 회동됨에 따라 상기 수평프레임 내에 수납될 수 있는 것인, 메쉬형 등받이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는, 사용자의 등을 대면하여 지지하는 등받이면을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면은, 탄소섬유가 그물망 형상으로 직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헤드지지몸체; 및 상기 헤드지지몸체에서 하측으로 기 결정된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등받이부의 상단에 위치된 헤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헤드지지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등받이면을 구비하고 중공 형성된 등받이몸체; 상기 등받이몸체의 상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기 결정된 길이로 마련된 한쌍의 슬라이드홈;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축; 기 등받이몸체 내에서 상기 슬라이딩축에 상기 슬라이딩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가압돌기를 구비한 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지지샤프트의 종단부는, 상기 등받이몸체 내에서 상기 슬라이딩축에 상기 슬라이딩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사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에 후두부를 지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압부는 상기 등받이면 측에 위치되어 상기 복수의 가압돌기가 상기 등받이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에 후두부를 지지하는 경우, 상기 지압부는 상기 등받이면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지압부는, 기 결정된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기 슬라이딩축에 상기 슬라이딩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지압샤프트; 상기 지압샤프트의 하단에 마련된 지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압플레이트는 상기 등받이면의 후면에 면상 접촉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압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상기 복수의 가압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슬라이딩축 상에 마련되고 상기 헤드지지샤프트 및 상기 지압샤프트를 전방 측으로 가압 지지하는 제1 탄성복원부; 및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홈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슬라이딩축의 전방 이동 시 상기 지압샤프트의 상부와 접촉 간섭되도록 마련된 간섭블록을 더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에 후두부를 지지하지 않아 상기 헤드레스트가 전방으로 가압 지지된 경우, 상기 슬라이딩축은 상기 슬라이드홈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지압샤프트의 하단부 및 상기 지압플레이트는 전방으로 가압 지지된 상태로 위치되고, 상기 복수의 가압돌기는 상기 등받이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사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에 후두부를 지지하여 상기 헤드레스트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축은 상기 슬라이드홈의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지압샤프트의 하단부 및 상기 지압플레이트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는, 상기 헤드지지몸체의 후면에서 상기 헤드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호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된 만곡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등받이몸체의 후면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만곡지지부재의 종단부가 삽입되는 만곡안내홈을 구비한 만곡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만곡안내홈 내에는 상기 만곡지지부재를 전방 측으로 가압 지지하는 제2 탄성복원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제2 탄성복원부의 탄성 복원력 세기를 조절하는 탄성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조절부는, 일부가 상기 등받이몸체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사용자가 회전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된 조절부재; 및 상기 조절부재 및 상기 제2 탄성복원부에 연결되고, 상기 조절부재의 회전 중심 축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한 이동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등받이부 상의 기 결정된 위치에 사용자의 등 부분이 접촉 지지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착석부는, 상기 착석부 상의 기 결정된 위치에 사용자의 둔부가 접촉 지지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착석센서; 및 상기 한 쌍의 팔걸이부를 가로지르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도록 구성된 회동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패널은, 사용자의 하체가 안착되는 착석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회동패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석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될 수 있다.
상기 메쉬형 등받이 의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석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회동패널의 회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무선 통신 가능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석센서에서의 검출 결과 그리고 상기 회동패널의 회동 사실을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도록 마련된 착석부; 상기 착석부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사용자의 후두부(後頭部)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상기 착석부 및 상기 등받이부를 지면에 지지하는 안착지지부; 상기 착석부의 양 측부에서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한 쌍의 팔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지지부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지지부; 및 기 수직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지지부의 길이 방향 중심 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수평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부 각각은,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단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종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 접지되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하면이 개방된 형태로 중공 형성되고, 상기 롤러부는 회동됨에 따라 상기 수평프레임 내에 수납될 수 있고, 상기 등받이부는, 사용자의 등을 대면하여 지지하는 등받이면을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면은, 탄소섬유가 그물망 형상으로 직조되어 형성되는 것인, 메쉬형 등받이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도록 마련된 착석부; 상기 착석부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사용자의 후두부(後頭部)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상기 착석부 및 상기 등받이부를 지면에 지지하는 안착지지부; 상기 착석부의 양 측부에서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한 쌍의 팔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지지부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지지부; 및 상기 수직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지지부의 길이 방향 중심 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수평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부 각각은,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단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종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 접지되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하면이 개방된 형태로 중공 형성되고, 상기 롤러부는 회동됨에 따라 상기 수평프레임 내에 수납될 수 있고,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등받이부 상의 기 결정된 위치에 사용자의 등 부분이 접촉 지지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착석부는, 상기 한 쌍의 팔걸이부를 가로지르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도록 구성된 회동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패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는 것인, 메쉬형 등받이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구성품들 상호간의 분리가 가능하고 일부 구성품의 경우 전체 길이 및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바, 운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이송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로 착석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헤드레스트에 후두부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복원력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메쉬형 의자의 이용자의 자세 교정 사실을 외부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에 포함된 롤러부의 회전 전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롤러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롤러부를 회전 전개하기 위한 동작 구조를 나타낸 단면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에 포함된 수직지지부의 길이 조절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의 (a)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의 그물망 구조를 형성하는 탄소섬유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의 등받이부 및 헤드레스트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헤드레스트에 사용자의 후두부가 지지된 경우의 헤드레스트 및 지압부 동작 구조를 나타낸 단면
도 9는 도 7의 A-A단면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제1 탄성복원부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7의 B부분 확대도
도 12는 도 11의 B-B단면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등받이센서 및 착석센서를 포함하는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에 포함된 회동패널의 회동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에 포함된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와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1)는,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도록 마련된 착석부(10),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20), 사용자의 후두부(後頭部)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30), 착석부(10) 및 등받이부(20)를 지면에 지지하는 안착지지부(40), 및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한 쌍의 팔걸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부(20)는 착석부(10)와 연결될 수 있고, 착석부(10)에 대해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착석부(10)에 대해 틸팅된 등받이부(20)는 그 회전 각도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종래 의자의 틸팅 구조와 동일한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헤드레스트(30)는 등받이부(20)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안착지지부(40)는 착석부(1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팔걸이부(50)는 착석부(10)의 좌우 양 측부에서 사용자의 팔을 지지할 수 있다.
안착지지부(40)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지지부(40a), 및 수직지지부(40a)의 길이 방향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수평지지부(40b)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지지부(40b)는, 수직지지부(40a)의 길이 방향 중심 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프레임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등받이부(20)는 착석부(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팔걸이부(50)는 착석부(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1)는, 헤드레스트(30)와 등받이부(20), 팔걸이부(50), 착석부(10), 안착지지부(40)의 수평지지부(40b), 및 안착지지부(40)의 수직지지부(40a)로 분리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1)는 각 구성품들이 상호 분리되도록 구성되는바 운송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고, 또한 분해 시 전체 체적이 감소되어 운송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등받이부(20)는, 사용자의 등을 대면하여 지지하는 등받이면(210a)을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면(210a)은 등받이부(20)의 전방면을 형성할 수 있고, 사용자의 등 부분과 직접 대면하여 사용자의 등을 면상 접촉 지지할 수 있다.
등받이면(210a)은, 탄소섬유(211a)가 그물망 형상으로 직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등받이면(210a)은 격자 구조를 갖는 메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등받이면(210a)의 통풍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등받이면(210a) 접촉 시 등 부분에 대한 통풍 환기 성능이 향상되어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1)에 포함된 롤러부(424)의 회전 전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롤러부(424)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롤러부(424)를 회전 전개하기 위한 동작 구조를 나타낸 단면이다.
도 2의 (a)는 각 프레임부(420)에 포함되는 롤러부(424)가 지면에 안착되도록 수평프레임(421)으로부터 전개된 상태(이하, '전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의 (b)는 롤러부(424)가 수평프레임(421) 내에 수납된 상태(이하, '수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복수의 프레임부(420) 각각은, 수직지지부(40a)의 하단에서 수평지지부(40b)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프레임(421), 및 수평프레임(421)의 종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 접지되는 롤러부(424)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프레임(421)은 수평지지부(40b)의 반경 방향을 따라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수평프레임(421)은 하면이 개방된 형태로 중공 형성될 수 있다. 즉, 수평프레임(421)의 횡단면은 하면이 개방된 'n'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롤러부(424)는 회동됨에 따라 수평프레임(421) 내에 수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421) 내에 롤러부(424)가 수납될 수 있도록, 수평프레임(421)의 양측면 사이의 폭은 롤러부(424)의 폭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각 프레임부(420)는, 롤러부(424)의 회동을 지지하는 제1 회동지지부(422) 및 제2 회동지지부(4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프레임부(420)는, 롤러부(424)의 회동을 제한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롤러부(424)를 회동시키는 회전조작부(4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동지지부(422) 및 제2 회동지지부(423)는, 수평프레임(421)의 상측벽(4211)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동지지부(422) 및 제2 회동 지지부는 상호 동일한 외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롤러부(424)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동지지부(422) 및 제2 회동 지지부는 소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롤러부(424)는, 제1 회동지지부(422) 및 제2 회동지지부(423) 사이에 개재되고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회동몸체(4241), 및 회동몸체(4241)의 말단부에 결합되고 지면에 안착 지지되는 롤러부재(4242)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롤러부재(4242)는 회동몸체(4241)를 사이에 두고 회동몸체(4241)의 양측에서 결합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롤러는 지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형 의자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회전조작부(425)는,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회전조작편(4251), 및 회전조작편(4251)을 제1 회동지지부(422) 및 제2 회동지지부(4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 지지하는 탄성부재(425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조작편(4251)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회동지지부(422), 회동몸체(4241) 및 제2 회동지지부(423)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조작편(4251)은, 기 결정된 길이를 갖는 세장형의 회전축몸체(4251a), 회전축몸체(4251a)의 길이 방향 일단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걸림플레이트(4251e), 회전축몸체(4251a)의 길이 방향 타단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누름플레이트(4251d), 및 걸림플레이트(4251e)와 누름플레이트(4251d) 사이에서 회전축몸체(4251a)의 외주면 상에 돌출 형성된 제1 돌출걸림부(4251b)와 제2 돌출걸림부(4251c)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몸체(4251a)는 제1 회동지지부(422), 회동몸체(4241) 및 제2 회동지지부(423)를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1 회동지지부(422)에는 회전축몸체(4251a)가 관통 위치되는 제1-1 회전홀(4221)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회동지지부(423)에는 회전축몸체(4251a)가 관통 위치되는 제1-2 회전홀(42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동몸체(4241)는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회동몸체(4241)의 길이 방향 일측에는 회전축몸체(4251a)가 관통 위치되는 제2 회전홀(424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1 회전홀(4221), 제1-2 회전홀(4231) 및 제2 회전홀(4241a)은 동일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호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몸체(4251a)는 제1-1 회전홀(4221), 제1-2 회전홀(4231) 및 제2 회전홀(4241a) 내에서 그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걸림플레이트(4251e)는 회전축몸체(4251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외면을 갖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플레이트(4251e)는 회전축몸체(4251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1 회동지지부(422)측 일단에 위치될 수 있고, 걸림플레이트(4251e)의 일 측면(바람직하게는, 누름플레이트(4251d)와 대면하는 외면)은 제1 회동지지부(422)의 전면과 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누름플레이트(4251d)는 회전축몸체(4251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외면을 갖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누름플레이트(4251d)는 회전축몸체(4251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2 회동지지부(423)측 타단에 위치될 수 있고, 누름플레이트(4251d)의 일 측면(바람직하게는, 걸림플레이트(4251e)와 대면하는 외면)은 제2 회동지지부(423)의 배면과 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걸림플레이트(4251e) 및 누름플레이트(4251d)는, 회전축몸체(4251a)의 반경 방향으로 제1-1 회전홀(4221), 제1-2 회전홀(4231) 및 제2 회전홀(4241a)보다 큰 직경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플레이트(4251e) 및 누름플레이트(4251d)에 의해, 회전축몸체(4251a)가 제1 회동지지부(422) 또는 제2 회동지지부(423)의 일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4252)는 제2 회동지지부(423)의 배면과 누름플레이트(4251d)의 일 측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탄성부재(4252)는 누름플레이트(4251d)를 제2 회동지지부(4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4252)는 소정 탄성 복원력을 갖는 스프링일 수 있다. 즉, 평상 시 회전조작편(4251)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플레이트(4251d)가 제2 회동지지부(423)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가압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누름플레이트(4251d)를 제2 회동지지부(423) 측으로 눌러 가압하는 경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몸체(4251a)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되고 걸림플레이트(4251e)가 제1 회동지지부(42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회동지지부(422)는, 제1-1 회전홀(4221) 상에서 반경 방향 상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제1 걸림홈(4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홈(4222)은, 제1-1 회전홀(4221)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1 회동지지부(42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1 걸림홈(4222)의 횡단면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걸림부(4251b) 및 제2 돌출걸림부(4251c)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걸림홈(4222) 내에는 회전조작편(4251)의 제1 돌출걸림부(4251b) 또는 제2 돌출걸림부(4251c)가 삽입 위치될 수 있다. 제1 걸림홈(4222)의 폭은, 제1-1 회전홀(4221)의 직경보다는 작되 제1 돌출걸림부(4251b) 및 제2 돌출걸림부(4251c)의 폭보다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홈(4222)은 제1-1 회전홀(4221) 상에서 12시 방향으로 상방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회동몸체(4241)는, 제2 회전홀(4241a) 상의 어느 한 위치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제2-1 걸림홀, 및 제2 회전홀(4241a) 상의 다른 위치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제2-2 걸림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걸림홀 및 제2-2 걸림홀은 제2 회전홀(4241a)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몸체(424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2-1 걸림홀 및 제2-2 걸림홀의 횡단면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1 걸림홀 및 제2-2 걸림홀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 내에는 회전조작편(4251)의 제1 돌출걸림부(4251b)가 삽입 위치될 수 있다. 제2-1 걸림홈(4241b) 및 제2-2 걸림홈(4241c)의 폭은, 제2 회전홀(4241a)의 직경보다는 작되 제1 돌출걸림부(4251b)의 폭보다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1 걸림홀 및 제2-2 걸림홀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고, 롤러부(424)가 전개 상태(도 2의 (a))에 있을 때 제1 돌출걸림부(4251b)는 제2-1 걸림홈(4241b) 내에 삽입 위치될 수 있고, 롤러부(424)가 수납 상태(도 2의 (b))에 있을 때 제1 돌출걸림부(4251b)는 제2-2 걸림홈(4241c) 내에 삽입 위치될 수 있다. 롤러부(424)가 전개 상태 및 수납 상태에 있을 때 모두, 제2 돌출걸림부(4251c)는 제1 걸림홈(4222) 내에 삽입 위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롤러부(424)의 전개 상태 및 수납 상태에서, 제1 돌출걸림부(4251b)와 제2-1 걸림홈(4241b) 또는 제2-2 걸림홈(4241c) 상호간의 걸림 간섭 구조, 그리고 제2 돌출걸림부(4251c)와 제1 걸림홈(4222) 상호간의 걸림 간섭 구조가 형성되는바, 롤러부(424)가 임의로 회동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롤러부(424)의 전개 상태 및 수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전개 상태에 위치된 롤러부(424)를 수납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 등으로 누름플레이트(4251d)를 제2 회동지지부(423) 측으로 눌러 가압할 수 있다. 이 때, 회전조작편(4251)은 전방(도면상 좌측)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고, 제2 돌출걸림부(4251c)는 제1 걸림홈(4222)에서 외부로 이탈되며 제1 돌출걸림부(4251b)는 제1 걸림홈(4222) 내로 삽입 위치될 수 있다. 즉, 누름플레이트(4251d)의 가압에 따라 제1 돌출걸림부(4251b)와 제2-1 걸림홈(4241b) 사이의 걸림 간섭 구조가 해제되는바, 회동몸체(4241)는 회전축몸체(4251a)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고, 롤러부(424)는 수납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롤러부(424)가 수납 상태로 전환되고 사용자가 누름플레이트(4251d)의 누름 가압을 해제한 경우, 탄성부재(425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조작편(4251)은 후방(도면상 우측)으로 수평 이동되어 복귀될 수 있고, 제1 돌출걸림부(4251b)는 제2-2 걸림홈(4241c) 내로 삽입 위치될 수 있고, 제2 돌출걸림부(4251c)는 제1 걸림홈(4222) 내로 삽입 위치될 수 있다. 즉, 누름플레이트(4251d)의 가압 해제 시 제1 돌출걸림부(4251b)와 제2-2 걸림홈(4241c) 상호간의 걸림 간섭 구조 그리고 제2 돌출걸림부(4251c)와 제1 걸림홈(4222) 상호간의 걸림 간섭 구조가 형성되는바, 회동몸체(4241)의 자유 회동이 제한되고 롤러부(424)는 수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회동몸체(4241)의 길이 방향 타측에는 롤러부재(4242)의 롤러축(미도시 됨)이 관통 위치되는 제3 회전홀(4241d)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동몸체(4241)의 제2 회전홀(4241a) 및 제3 회전홀(4241d) 사이에는, 제2 회전홀(4241a)과 제3 회전홀(4241d) 상호간의 이격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 양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돌출부(4241e)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돌출부(4241e) 중 어느 하나는, 롤러부(424)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수평프레임(421)의 말단벽(4212)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돌출부(4241e) 중 나머지 하나는, 롤러부(424)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 수평프레임(421)의 상측벽(4211)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1)에 포함된 수직지지부(40a)의 길이 조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직지지부(40a)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지지부(40a)는, 길이 방향 상단에 마련된 제1 연결구(411), 길이 방향 하단에 마련된 제2 연결구(413), 및 제1 연결구(411)와 제2 연결구(413) 사이에 마련된 제1 내지 제4 수직실린더(412a, 412b, 412c, 41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직실린더(412a), 제2 수직실린더(412b), 제3 수직실린더(412c) 및 제4 수직실린더(412d)는 다단 구조로 연결될 수 있고, 제4 수직실린더(412d)는 제3 수직실린더(412c)에 수납되고, 제3 수직실린더(412c)는 제2 수직실린더(412b)에 수납되고, 제2 수직실린더(412b)는 제1 수직실린더(412a)에 수납될 수 있다. 제1 수직실린더(412a), 제2 수직실린더(412b), 제3 수직실린더(412c) 및 제4 수직실린더(412d)는 각각은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수직실린더(412b)의 외주면은 제1 수직실린더(412a)의 내주면에 내접할 수 있고, 제3 수직실린더(412c)의 외주면은 제2 수직실린더(412b)의 내주면에 내접할 수 있고, 제4 수직실린더(412d)의 외주면은 제3 수직실린더(412c)의 내주면에 내접할 수 있다.
제1 수직실린더(412a)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복수의 제1 수직가이드홈(4121a)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수직가이드홈(4121a) 각각의 상단에는 원주 방향 일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제1 상단가이드홈(4122a)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상단가이드홈(4122a)의 종단부에는 하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제1 신장지지홈(4123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신장지지홈(4123a)은, 제1 수직가이드홈(4121a)의 상단부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수직실린더(412a)의 상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직실린더(412b)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복수의 제2 수직가이드홈(4121b)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수직가이드홈(4121b) 각각의 상단에는 원주 방향 일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제2 상단가이드홈(4122b)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상단가이드홈(4122b)의 종단부에는 하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제2 신장지지홈(4123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신장지지홈(4123b)은, 제2 수직가이드홈(4121b)의 상단부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수직실린더(412b)의 상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수직실린더(412c)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복수의 제3 수직가이드홈(4121c)이 마련될 수 있다. 제3 수직가이드홈(4121c) 각각의 상단에는 원주 방향 일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제3 상단가이드홈(4122c)이 형성될 수 있고, 제3 상단가이드홈(4122c)의 종단부에는 하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제3 신장지지홈(4123c)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신장지지홈(4123c)은, 제3 수직가이드홈(4121c)의 상단부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3 수직실린더(412c)의 상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수직가이드홈(4121a), 제1 상단가이드홈(4122a) 및 제1 신장지지홈(4123a)은 제1 수직실린더(412a)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2 수직가이드홈(4121b), 제2 상단가이드홈(4122b) 및 제2 신장지지홈(4123b)은 제2 수직실린더(412b)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3 수직가이드홈(4121c), 제3 상단가이드홈(4122c) 및 제3 신장지지홈(4123c)은 제3 수직실린더(412c)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직실린더(412b)의 하단부에는, 제2 수직실린더(412b)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 가이드돌기(4124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3 수직실린더(412c)의 하단부에는, 제3 수직실린더(412c)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2 가이드돌기(4124c)가 마련될 수 있다. 제4 수직실린더(412d)의 하단부에는, 제4 수직실린더(412d)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3 가이드돌기(4124d)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가이드돌기(4124b)는 각각 복수의 제1 수직가이드홈(4121a) 내에 삽입 위치될 수 있고, 제1 수직가이드홈(4121a) 및 제1 상단가이드홈(4122a)을 따라 이동되어 제1 신장지지홈(4123a)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가이드돌기(4124b)가 복수의 제1 신장지지홈(4123a)에 위치됨으로써 제2 수직실린더(412b)는 제1 수직실린더(412a)로부터 상측으로 인출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고, 제1 가이드돌기(4124b)와 제1 신장지지홈(4123a)의 간섭 지지로 인해 제2 수직실린더(412b)의 제1 수직실린더(412a) 내로의 하방 이동이 제한되고 지지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돌기(4124c)는 제2 수직가이드홈(4121b) 및 제2 상단가이드홈(4122b)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제2 신장지지홈(4123b)에 위치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제3 가이드돌기(4124d)는 제3 수직가이드홈(4121c) 및 제3 상단가이드홈(4122c)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제3 신장지지홈(4123c)에 위치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 수직실린더(412c)는 제2 수직실린더(412b)로부터 상측으로 인출되어 지지될 수 있고 제4 수직실린더(412d)는 제3 수직실린더(412c)로부터 상측으로 인출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내지 제4 수직실린더(412a, 412b, 412c, 412d) 각각은 인접한 수직실린더에서 인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수직지지부(40a)의 길이는 최대로 형성될 수 있다(도 5의 (b) 참조).
반대로, 제1 내지 제3 가이드돌기(4124b, 4124c, 4124d)를 각각 제1 내지 제3 신장지지홈(4123a, 4123b, 4123c)에서 제1 내지 제3 상단가이드홈(4122a, 4122b, 4122c)을 통해 제1 내지 제3 수직가이드홈(4121a, 4121b, 4121c)의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1 내지 제4 수직실린더(412a, 412b, 412c, 412d) 중 하나는 인접한 다른 수직실린더에 삽입되어 서로 겹쳐질 수 있고, 수직지지부(40a)의 길이는 최소화될 수 있다(도 5의 (a) 참조).
사용자는 제1 내지 제4 수직실린더(412a, 412b, 412c, 412d) 중 적어도 하나의 수직실린더를 인접한 수직실린더로부터 인출하지 않거나 인출함으로써 수직실린더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직지지부(40a)가 제1 내지 제4 수직실린더(412a, 412b, 412c, 412d)를 구비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직지지부(40a)는 5개 또는 6개 이상의 수직실린더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수직가이드홈(4121a), 제2 수직가이드홈(4121b) 및 제3 수직가이드홈(4121c)은, 수직지지부(40a)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상이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4 수직실린더(4124b, 4124c, 4124d)가 모두 겹친 상태에 놓일 때, 제1 수직가이드홈(4121a), 제2 수직가이드홈(4121b) 및 제3 수직가이드홈(4121c)은 수직지지부(40a)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내지 제3 가이드돌기(4124b, 4124c, 4124d)와 제1 내지 제3 신장지지홈(4123a, 4123b, 4123c) 상호간의 간섭에 의한 하중 지지가 특정 원주 상의 위치에 집중되지 않을 수 있고, 수직지지부(40a)의 전체 원주 방향으로 분산될 수 있다.
제1 연결구(411)의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연결구(411)는 착석부(10)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구(413)의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연결구(413)는 수평지지부(40b)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6의 (a)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의 그물망 구조를 형성하는 탄소섬유(211a)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등받이부(20)의 등받이면(210a)은 탄소섬유(211a)가 그물망 형상으로 직조되어 형성되는 메쉬형 구조체일 수 있다. 메쉬형 구조체는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그물망 형상으로 직조된 탄소섬유(211a)의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층(212a)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층(212a)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소섬유(211a) 필라멘트는 그물망 형상으로 직조되어, 탄소섬유(211a) 필라멘트가 교차하는 위치인 복수의 교차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그물망 형상의 탄소섬유(211a)의 양면에는 열가소성 수지층(212a)이 도포될 수 있고, 열가소성 수지층(212a)이 도포된 탄소섬유(211a) 구조체에 가열 가압을 가함으로써 탄소섬유(211a)와 양측의 열가소성 수지층(212a)이 일체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소섬유(211a)의 그물망 형상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일부 탄소섬유(211a)의 배치구조가 어긋나게 되어 탄소섬유(211a)로 구성된 등받이면(210a)의 특정 위치에서 장력 불균일이 발생하거나 일부 탄소섬유(211a)가 이탈되어 주름지는 것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경화성 수지가 아닌 열가소성 수지층(212a)으로 탄소섬유(211a)의 그물망 구조를 유지하는바, 탄소섬유(211a)의 사용에 대한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탄소섬유(211a) 그물망 구조를 고정함과 동시에 탄소섬유(211a) 메쉬 구조체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등받이면(210a)이 그물망 형상을 갖는 탄소섬유(211a)로 구성되는바, 종래의 섬유재 등받이면(210a)에 비해 통풍 및 환기성이 향상될 수 있고, 기계적 강도 및 탄성 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1)의 등받이부(20) 및 헤드레스트(30)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헤드레스트(30)에 사용자의 후두부가 지지된 경우의 헤드레스트(30) 및 지압부(240) 동작 구조를 나타낸 단면이며, 도 9는 도 7의 A-A단면이다.
헤드레스트(30)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헤드지지몸체(310), 및 헤드지지몸체(310)에서 하측으로 기 결정된 길이로 연장된 헤드지지샤프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지지샤프트(320)는, 등받이부(20)의 상단에 위치된 헤드 회전축(33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등받이부(20)는, 상술한 등받이면(210a)을 구비하고 중공 형성된 등받이몸체(210), 등받이몸체(210)의 상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기 결정된 길이로 마련된 한쌍의 슬라이드홈(2211), 한 쌍의 슬라이드홈(2211)에 배치되어 한 쌍의 슬라이드홈(2211)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축(222), 및 등받이몸체(210) 내에서 슬라이딩축(222)에 슬라이딩축(22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지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등받이몸체(210) 내부의 상단부에는 지면에 수직하게 기립되어 상호 대면하는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221)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221)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221) 각각에는 등받이몸체(2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홈(2211)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슬라이드홈(2211)은 서로 대향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슬라이드홈(2211)은 하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등받이면(210a)의 측부에서 볼 때(즉, 도 7 및 도 8), 한 쌍의 슬라이드홈(2211)의 곡률중심은 상술한 헤드레스트(30)의 헤드 회전축(330)일 수 있다.
헤드지지샤프트(320)의 종단부(또는 하단부)는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221)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헤드지지샤프트(320)의 종단부는, 등받이몸체(210) 내에서 슬라이딩축(222)에 슬라이딩축(22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헤드지지샤프트(320)가 헤드 회전축(330)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될 때, 슬라이딩축(222)은 한 쌍의 슬라이드홈(2211)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헤드지지샤프트(320)의 종단부는 슬라이딩축(222)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지압부(240)는, 기 결정된 길이로 연장 형성된 지압샤프트(241), 및 지압샤프트(241)의 하단에 마련된 지압플레이트(24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압샤프트(241)의 상단부는 슬라이딩축(222)에 슬라이딩축(22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지압샤프트(241)의 상단부와 헤드지지샤프트(320)의 하단부의 회동축은 슬라이딩축(222)과 일치할 수 있다.
지압플레이트(242)는 등받이면(210a)의 후면에 면상 접촉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지압플레이트(242)의 등받이면(210a)측 외면 또는 전면에는 복수의 지압돌기(2421)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지압플레이트(242)는 등받이면(210a)과 대면하는 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지압돌기(2421)는 지압플레이트(242)의 등받이면(210a)측 외면 또는 전면에 서로 등간격을 이루며 등받이부(20)의 전방에서 볼 ?? 가로 및 세로 방향 3*3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지압돌기(2421)는 정사각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헤드레스트(30)에 후두부를 지지하지 않는 경우, 지압부(240)의 지압플레이트(242)는 등받이면(210a) 측으로 가압 위치되고 복수의 지압돌기(2421)는 등받이면(210a)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등받이면(210a)에는 복수의 지압홀(213a)이 관통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지압돌기(2421) 각각은 복수의 지압홀(213a)을 통해 등받이면(210a)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헤드레스트(30)에 후두부를 지지하는 경우, 지압부(240)의 지압플레이트(242)는 등받이면(210a)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등받이면(210a)에 돌출되도록 위치된 복수의 지압돌기(2421) 또한 복수의 지압홀(213a)에서 이탈하여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등받이부(20)는, 슬라이딩축(222) 상에 마련되고 헤드지지샤프트(320) 및 지압샤프트(241)를 전방 측으로 가압 지지하는 제1 탄성복원부(223), 및 한 쌍의 슬라이드홈(2211)의 하부에 위치된 간섭블록(2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복원부(223)는, 헤드지지샤프트(320)가 슬라이드축을 중심으로 전방 측으로 회전되도록 가압 지지할 수 있고, 지압샤프트(241)가 슬라이드축을 중심으로 전방 측으로 회전되도록 가압 지지할 수 있다.
간섭블록(224)은 한 쌍의 슬라이드홈(2211)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고, 간섭블록(224)은 슬라이딩축(222)의 전방 이동 시 지압샤프트(241)의 상부와 접촉 간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간섭블록(224)의 지압샤프트(241)측 외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헤드레스트(30)에 후두부를 지지하지 않아 헤드레스트(30)가 전방으로 가압 지지된 경우, 슬라이딩축(222)은 슬라이드홈(221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지압샤프트(241)의 하단부 및 지압플레이트(242)는 전방으로 가압 지지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고, 복수의 지압돌기(2421)는 등받이면(210a)의 지압홀(213a)을 통해 등받이면(210a)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헤드레스트(30)(바람직하게는 헤드지지몸체(310))에 후두부를 지지하여 헤드레스트(30)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슬라이딩축(222)은 슬라이드홈(2211)의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지압샤프트(241)의 상부가 간섭블록(224)와 접촉되어 간섭됨에 따라 지압샤프트(241)의 하단부 및 지압플레이트(242)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압돌기(2421)는 등받이면(210a)으로부터 이탈되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사용자가 헤드레스트(30)(바람직하게는 헤드지지몸체(310))에 후두부를 지지하지 않은 채 상체를 앞으로 기울이는 구부정한 자세를 취하는 경우, 복수의 지압돌기(2421)가 사용자의 등 부분을 가압하는바, 사용자는 본인이 구부정한 자세를 취했다는 점을 직관적으로 바로 인지할 수 있고, 아울러 지압돌기(2421)에 의한 착석 불편감으로 인해 착석 정자세 유지가 유도될 수 있다.
한편, 등받이몸체(210)의 후방벽(210b)의 내측면에는, 지압플레이트(242)의 전방 이동을 센싱하는 헤드지지센서(350)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지지센서(350)는 등받이몸체(210)의 후방벽(210b)으로부터 지압플레이트(242)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헤드지지센서(350)는 지압플레이트(242)까지의 거리가 최단 거리일 때(즉, 사용자가 헤드레스트(30)에 후두부를 지지하여 지압플레이트(242)가 최후방에 위치된 경우)에서 거리 임계값 이상으로 커지는 시점을 센싱할 수 있다. 즉, 헤드지지센서(350)는, 사용자가 헤드레스트(30)에 후두부를 지지하여 정자세로 위치된 상태에서 후두부를 앞으로 기울여 지압플레이트(242)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시점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거리 임계값은, 헤드지지센서(350)로부터 지압플레이트(242)까지의 직선 거리가 최단 거리일 때와 최장 거리일 때(지압플레이트(242)가 등받이면(210a)의 후방에 면상 접촉 위치된 경우)의 중간 값일 수 있다. 헤드지지센서(350)로부터 센싱된 시점 정보는 후술할 제어부(6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30)는, 헤드지지몸체(310)의 후면에서 헤드 회전축(330)을 중심으로 원호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된 만곡지지부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부(20)는, 등받이몸체(210)의 후면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만곡가이드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곡가이드부(230)는, 만곡지지부재(340)의 종단부가 삽입되는 만곡안내홈(231)을 구비할 수 있다. 만곡안내홈(231) 내에는 만곡지지부재(340)를 전방 측으로 가압 지지하는 제2 탄성복원부(232)가 마련될 수 있다. 등받이면(210a)의 측부에서 볼 때(즉, 도 7 및 도 8), 만곡지지부재(340)의 곡률중심은 헤드 회전축(330)일 수 있다.
한편, 만곡지지부재(340)는 만곡안내홈(231) 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만곡가이드부(230)의 종단부에 걸림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만곡지지부재(340)의 종단부는 만곡가이드부(230) 내에서 만곡안내홈(231)을 따라 원호를 그리며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헤드지지몸체(310)에 후두부를 지지하지 않을 때, 제2 탄성복원부(232)에 의해 헤드지지몸체(310)는 전방으로 가압 지지될 수 있고, 사용자가 헤드지지몸체(310)에 후두부를 지지하는 경우, 만곡지지부재(340)는 헤드 회전축(330)을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며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 때 제2 탄성복원부(232)는 압축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후두부를 제1 탄성복원부(223)와 제2 탄성복원부(232)의 가압 지지력을 극복 가능한 힘으로 지지해야 헤드지지몸체(3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제1 탄성복원부(223)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탄성복원부(223)는 슬라이딩축(222)을 감싸도록 권취되어 형성된 토션스프링(2232), 토션스프링(2232)의 일단에 마련된 플레이트 형상의 제1 가압판부(2231), 및 토션스프링(2232)의 타단에 마련된 플레이트 형상의 제2 가압판부(2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판부(2231)는 헤드지지샤프트(320)의 배면에 면상 접촉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제2 가압판부(2233)는 지압샤프트(241)의 배면에 면상 접촉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토션스프링(2232)은 제1 가압판부(2231) 및 제2 가압판부(2233)를 등받이부(20)의 전방 측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 가압판부(2231)가 헤드지지샤프트(320)의 배면에 면상 접촉되어 전방으로 가압하고, 제2 가압판부(2233)가 지압샤프트(241)의 배면에 면상 접촉되어 전방으로 가압하는바, 제1 탄성복원부(223)에 의한 가압 지지력이 헤드지지샤프트(320) 및 지압샤프트(241)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헤드지지샤프트(320)는, 헤드지지샤프트(320)의 하단부에서 슬라이딩축(222)의 길이 방향을 따른 폭의 중심부가 헤드지지샤프트(32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 회전결합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압샤프트(241)는, 지압샤프트(241)의 상단부에서 슬라이딩축(222)의 길이 방향을 따른 폭의 양측부가 지압샤프트(241)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2 회전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지지샤프트(320)는 제1 회전결합부(321)를 통해 슬라이딩축(222)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지압샤프트(241)는 한 쌍의 제2 회전결합부를 통해 슬라이딩축(222)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결합부(321)는 한 쌍의 제2 회전결합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탄성복원부(223)는, 한 쌍의 제2 회전결합부 중 어느 하나 및 제2 회전결합부 사이에 개재되어 위치될 수 있다.
도 11은 도 7의 B부분 확대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B-B단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등받이부(20)는, 제2 탄성복원부(232)의 탄성 복원력 세기를 조절하는 탄성조절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조절부(250)는, 사용자가 회전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된 조절부재(251), 및 조절부재(251)의 회전 중심 축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한 이동샤프트(252)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재(251)의 일부는 등받이몸체(21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위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등받이몸체(210) 후방의 조절부재(251) 일부를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재(251)가 회전 조작됨에 따라 이동샤프트(252)는 수평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부재(251)는, 등받이부(20)의 후방벽(210b)을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기 결정된 길이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조절몸체(2511), 등받이부(20)의 후방에서 회전조절몸체(2511)의 길이 방향 일단에 마련된 그리퍼(2512), 및 회전조절몸체(2511)의 외주면에서 돌출 위치되고 등받이부(20)의 후방벽(210b)에 삽입 지지되는 회전돌출부(25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퍼(2512)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노브(knob)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회전조절몸체(25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조절몸체(2511)의 길이 방향 타단은 등받이부(20)의 내부 중공 공간에 위치될 수 있고, 회전조절몸체(2511)의 길이 방향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등받이부(20)의 후방벽(210b)에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회전홈(211b)이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고, 회전조절몸체(2511)가 등받이부(20)의 후방벽(210b)을 관통하여 위치됨과 동시에 회전돌출부(2513)는 등받이부(20)의 회전홈(211b) 내에 삽입 위치될 수 있다. 회전돌출부(2513)가 등받이부(20)의 회전홈(211b) 내에 삽입 위치됨에 따라, 회전조절몸체(2511)의 전후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고, 회전조절몸체(2511)는 그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될 수 있다.
이동샤프트(252)는, 적어도 일부가 만곡가이드부(230) 내에서 만곡안내홈(231) 상에 위치되고 기 결정된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샤프트몸체(2521), 및 샤프트몸체(2521)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샤프트몸체(2521)의 직선 이동을 유도하는 슬라이드고리(2522)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몸체(2521)는 회전조절몸체(2511)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기립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몸체(2521)의 길이 방향 일단부(도면상 길이 방향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회전조절몸체(2511)의 나사선과 맞물리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조절몸체(2511)가 회전되는 경우, 회전조절몸체(2511)에 형성된 나사선과 샤프트몸체(2521)에 형성된 나사선이 맞물리면서, 샤프트몸체(2521)가 그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즉, 조절부재(251)의 회전 운동이 이동샤프트(252)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절부재(251)의 회전에 따라 샤프트몸체(2521)가 직선 이동되기 위해서는, 샤프트몸체(2521)의 회전이 제한되어야 한다. 상술한 슬라이드고리(2522)가 만곡가이드부(230)의 내주면과 연결됨으로써 샤프트몸체(2521)의 회전 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고리(2522)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슬라이드고리(2522)는 샤프트몸체(2521)의 외주면에서 인접한 만곡가이드부(230)의 내주면을 향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슬라이드고리(2522)는 서로 180°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고리(2522)는 샤프트몸체(25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샤프트몸체(2521)의 횡단면에서 볼 때, 한 쌍의 슬라이드고리(2522)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일부가 개방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만곡가이드부(230)의 내주면에서 한 쌍의 슬라이드고리(2522)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한 쌍의 안내로드(2311)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안내로드(2311)는 각각 세장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드고리(2522)의 내주면과 상보적인 외주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안내로드(2311)의 횡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슬라이드고리(2522) 각각은 한 쌍의 안내로드(2311) 각각을 감싸도록 위치도리 수 있고, 한 쌍의 슬라이드고리(2522)는 안내로드(2311) 상에서 샤프트몸체(25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즉, 조절부재(251)가 회전되는 경우에도, 슬라이드고리(2522)와 안내로드(2311) 상호간의 결속에 의해 회전조절몸체(2511)와 나사선으로 맞물린 샤프트몸체(2521)는 그 회전 운동이 제한될 수 있고, 샤프트몸체(2521)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 운동될 수 있다.
또한, 이동샤프트(252)는 조절부재(251) 및 제2 탄성복원부(232)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샤프트몸체(2521)의 길이 방향 일단부는 조절부재(251)와 나사선 맞물림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샤프트몸체(2521)의 길이 방향 타단부(도 11에서 샤프트몸체(2521)의 상단부)는 제2 탄성복원부(232)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절부재(251)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몸체(2521)가 상하 직선 이동되는 경우, 제2 탄성복원부(232)의 하단 또한 동반하여 상하 직선 이동될 수 있고, 제2 탄성복원부(232)의 전체 길이가 신장 또는 압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탄성복원부(232)의 탄성계수 및/또는 탄성복원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조절부재(251)의 회전 조작에 따라, 헤드레스트(30)를 전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탄성복원부(232)의 탄성복원력이 조절될 수 있고, 사용자는 평소의 자세 불균형 또는 착석 습관에 따라 조절부재(251)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제2 탄성복원부(232)의 탄성계수 및/또는 탄성복원력을 용이하게 직접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술한 지압부(240)를 이용한 사용자의 자세 교정 강도가 단게적인고 연속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등받이센서(260) 및 착석센서(140)를 포함하는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등받이부(20)는, 상기 등받이부(20) 상의 기 결정된 위치에 사용자의 등 부분이 접촉 지지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센서(260)를 포함할 수 있다. 착석부(10)는, 착석부(10) 상의 기 결정된 위치에 사용자의 둔부가 접촉 지지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착석센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센서(260)는, 등받이몸체(210)에서 사용자의 양측 견갑골 부분이 지지되는 위치에 마련된 한 쌍의 어깨부센서(261), 및 등받이몸체(210)에서 사용자의 허리 부분이 지지되는 위치에 마련된 허리부센서(26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어깨부센서(261) 및 허리부센서(262)는 등받이면(210a)의 후방에서 등받이몸체(210) 내에서 내장될 수 있다.
착석센서(140)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착석센서(140)는 착석부(10)에서 사용자의 양 둔부(臀部)가 지지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착석센서(140)는 사용자의 하체와 직접 접촉하는 착석면의 하부에서 착석부(10)에 내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어깨부센서(261), 허리부센서(262) 및 한 쌍의 착석센서(140)는 모두 로드셀(load cell)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 사용자의 어깨, 허리 및 둔부가 정위치에 지지되었는지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석센서(140)는 사용자의 둔부가 지지되어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하중이 감지된 상태에서 착석센서(140)에서 검출되는 하중의 크기가 임계값 이하로 떨어지는 시점을 센싱할 수 있다. 한 쌍의 어깨부센서(261), 허리부센서(262) 및 한 쌍의 착석센서(140)의 센싱 결과는 후술할 제어부(6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1)에 포함된 회동패널(121)의 회동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등받이부(20)와 결합되는 좌석베이스(110), 좌석베이스(110) 상에 위치되는 고정패널(122) 및 회동패널(121)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패널(122) 및 회동패널(121)은 착석부(10)의 상면(즉, 사용자의 하체가 안착되는 착석면)을 형성할 수 있고, 회동패널(121)은 사용자의 하체가 안착되는 착석면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고정패널(122)은 회동패널(121)보다 등받이부(20)에 가깝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상측에서 볼 때, 전후 방향으로 등받이부(20), 고정패널(122) 및 회동패널(121) 순으로 패치될 수 있다. 상술한 착석센서(140)는 고정패널(122)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패널(122) 및 회동패널(121)은, 착석부(10)의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팔걸이부(50)를 가로지르는 힌지축(123)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고정패널(122)의 전방측(즉, 사용자의 착석시 전방을 향하는 방향) 단부는 힌지축(123)에 결합될 수 있고, 회동패널(121)의 후방측(즉, 사용자의 착석시 후방을 향하는 방향) 단부는 힌지축(123)에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회동패널(121)은 힌지축(123)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좌석베이스(110)에는, 착석부(10)의 한 쌍의 팔걸이부(50)를 가로지르는 방향(즉, 착석부(10)의 좌우 방향)으로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수용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111)은 회동패널(121)을 마주하는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수용홈(111)은 회동패널(12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111) 내에는, 구동됨에 따라 회동패널(121)을 힌지축(123)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부(130)가 위치될 수 있다.
회동구동부(130)는 수용홈(111) 내에서 착석부(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구동부재(131), 및 복수의 구동부재(131)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의 캠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캠부재(132)는 각각 복수의 구동부재(131)에 결합될 수 있고, 각 구동부재(131)가 구동됨에 따라 힌지축(123)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회전될 수 있다. 구동부재(131)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일종의 모터일 수 있다.
각 캠부재(132)는 원주 방향을 따라 반경 크기가 변화하는 하트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회전 위치에 따라 수용홈(111) 내에 위치되거나 일부가 수용홈(111)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캠부재(132)가 회전되어 복수의 캠부재(132)의 일부가 수용홈(111)의 상부로 돌출되는 경우, 회동패널(121)은 복수의 캠부재(132)에 의해 밀어올려질 수 있고, 회동패널(121)은 힌지축(123)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1)에 포함된 제어부(6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회동패널(121)은, 복수의 착석센서(140) 및 복수의 등받이센서(260) 중 적어도 하나의 검출 결과에 따라 힌지축(123)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1)는, 한 쌍의 어깨부센서(261), 허리부센서(262), 한 쌍의 착석센서(140) 및 헤드지지센서(350)와 연결되어 이들의 센싱 결과를 수신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어깨부센서(261)에서의 센싱 결과란, 사용자의 양 어깨 중 어느 하나가 등받이면(210a)에 정자세로 지지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허리부센서(262)에서의 센싱 결과란, 사용자의 허리가 등받이면(210a)에 정자세로 지지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한 쌍의 착석센서(140)에서의 센싱 결과란, 사용자의 양 둔부가 고정패널(122) 상에 정자세로 지지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헤드지지센서(350)에서의 센싱 결과란, 사용자의 후두부가 헤드레스트(30)에 지지된 상태에서 앞으로 기울어져 지압플레이트(242)가 상술한 거리 임계값 이상만큼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한 쌍의 어깨부센서(261), 허리부센서(262), 착석센서(140) 및 헤드지지센서(350)로부터 수신한 센싱 결과에 따라 회동구동부(130)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자세가 비틀어져, 제어부(60)가 한 쌍의 어깨부센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센싱 결과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60)는 회동구동부(130)의 구동부재(131)를 구동하여 회동패널(121)을 소정 각도 회동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다시 한 쌍의 어깨부센서(261)에 양 어깨를 접촉 지지하는 경우, 제어부(60)는 구동부재(131)를 역구동하여 회동패널(121)을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오자세를 취할 시 회동패널(121)의 회동에 의해 사용자의 착석이 어려워질 수 있고, 사용자의 정자세 착석이 유도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60)는, 한 쌍의 어깨부센서(261), 허리부센서(262), 착석센서(140) 및 헤드지지센서(350)로부터 센싱 결과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회동구동부(130)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은 5초일 수 있고. 제어부(60)는 한 쌍의 어?틤關씔?로부터 사용자의 오자세에 대한 센싱 결과를 수신하고 5초가 경과한 후에 회동구동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오자세를 취하더라도 5초 이내에 정자세로 고쳐 앉는 경우 제어부(60)는 회동구동부(130)를 구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잠시 스트레칭을 취하는 등의 경우에도 회동패널(121)이 불필요하게 반복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60)는, 착석센서(140)에서 측정된 하중 크기가 기 결정된 크기 이상일 때만 회동구동부(13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착석하는 경우가 아닌 잠시 물건을 착석부(10)에 올려준다거나, 외투 등을 등받이부(20)에 잠시 걸쳐놓는 경우에도 회동구동부(130)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회동구동부(13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불필요하게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2)과 무선 통신 가능한 무선통신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한 쌍의 어깨부센서(261), 허리부센서(262), 착석센서(140) 및 헤드지지센서(350)에서의 센싱 결과 그리고 회동패널(121)의 회동 사실을 무선통신부(610)를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2)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의 사용자 단말(2)이란, 스마트폰, 태플릿 또는 PC 등 사용자가 제어 가능하고 이동통신(4G, 5G) 또는 와이파이(wifi) 등의 방식으로 무선통신부(610)와 상호 무선 통신 가능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한 쌍의 어깨부센서(261), 허리부센서(262), 착석센서(140) 및 헤드지지센서(350)로부터의 센싱 결과에 따라 회동패널(121)이 회동되는 경우, 해당 시점을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2)의 사용자는 메쉬형 의자에 착석한 이용자의 자세 교정 시점 및 횟수를 실시간으로 그리고 직관적으로 화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접이식 자세 교정 의자
10: 착석부
110: 좌석베이스
111: 수용홈
121: 회동패널
122: 고정패널
123: 힌지축
130: 회동구동부
131: 구동부재
132: 캠부재
140: 착석센서
20: 등받이부
210: 등받이몸체
210a: 등받이면
211a: 탄소섬유
212a: 수지층
213a: 지압홀
210b: 후방벽
211b: 회전홈
221: 가이드플레이트
2211: 슬라이드홈
222: 슬라이딩축
223: 제1 탄성복원부
2231: 제1 가압판부
2232: 토션스프링
2233: 제2 가압판부
224: 간섭블록
230: 만곡가이드부
231: 만곡안내홈
2311: 안내로드
232: 제2 탄성복원부
240: 지압부
241: 지압샤프트
2411: 제2 회전결합부
242: 지압플레이트
2421: 지압돌기
250: 탄성조절부
251: 조절부재
2511: 회전조절몸체
2512: 그리퍼
2513: 회전돌출부
252: 이동샤프트
2521: 샤프트몸체
2522: 슬라이드고리
260: 등받이센서
261: 어깨부센서
262: 허리부센서
30: 헤드레스트
310: 헤드지지몸체
320: 헤드지지샤프트
321: 제1 회전결합부
330: 헤드 회전축
340: 만곡지지부재
350: 헤드지지센서
40: 안착지지부
40a: 수직지지부
411: 제1 연결구
412a-412d: 제1 내지 제4 수직실린더
4121a-4121c: 제1 내지 제3 수직가이드홈
4122a-4122c: 제1 내지 제3 상단가이드홈
4123a-4123c: 제1 내지 제3 신장지지홈
4124b-4124d: 제1 내지 제3 가이드돌기
413: 제2 연결구
40b: 수평지지부
420: 프레임부
421: 수평프레임
422: 제1 회동지지부
4221: 제1-1 회전홀
4222: 제1 걸림홈
423: 제2 회동지지부
4231: 제1-2 회전홀
424: 롤러부
4241: 회동몸체
4241a: 제2 회전홀
4241b: 제2-1 걸림홈
4241c: 제2-2 걸림홈
4241d: 제3 회전홀
4241e: 지지돌출부
4242: 롤러부재
425: 회전조작부
4251: 회전조작편
4251a: 회전축몸체
4251b: 제1 돌출걸림부
4251c: 제2 돌출걸림부
4251d: 누름플레이트
4251e: 걸림플레이트
4252: 탄성부재
50: 팔걸이부
60: 제어부
610: 무선통신부
2: 사용자 단말

Claims (10)

  1.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도록 마련된 착석부;
    상기 착석부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상단과 연결되고, 사용자의 후두부(後頭部)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착석부 및 상기 등받이부를 지면에 지지하는 안착지지부;
    상기 착석부의 양 측부에서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한 쌍의 팔걸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지지부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지지부; 및
    상기 수직지지부의 길이 방향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직지지부의 길이 방향 중심 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수평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부 각각은,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단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종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 접지되는 롤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하면이 개방된 형태로 중공 형성되고,
    상기 롤러부는 회동됨에 따라 상기 수평프레임 내에 수납될 수 있고,
    상기 등받이부는, 사용자의 등을 대면하여 지지하는 등받이면을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면은, 탄소섬유가 그물망 형상으로 직조되어 형성되고,
    상기 헤드레스트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헤드지지몸체; 및
    상기 헤드지지몸체에서 하측으로 기 결정된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등받이부의 상단에 위치된 헤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헤드지지샤프트
    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등받이면을 구비하고 중공 형성된 등받이몸체;
    상기 등받이몸체의 상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기 결정된 길이로 마련된 한쌍의 슬라이드홈;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축;
    상기 등받이몸체 내에서 상기 슬라이딩축에 상기 슬라이딩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가압돌기를 구비한 지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지지샤프트의 종단부는, 상기 등받이몸체 내에서 상기 슬라이딩축에 상기 슬라이딩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사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에 후두부를 지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압부는 상기 등받이면 측에 위치되어 상기 복수의 가압돌기가 상기 등받이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사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에 후두부를 지지하는 경우, 상기 지압부는 상기 등받이면의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등받이부 상의 기 결정된 위치에 사용자의 등 부분이 접촉 지지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착석부는,
    상기 착석부 상의 기 결정된 위치에 사용자의 둔부가 접촉 지지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착석센서; 및
    상기 한 쌍의 팔걸이부를 가로지르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도록 구성된 회동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패널은, 사용자의 하체가 안착되는 착석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회동패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석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는 것인, 메쉬형 등받이 의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면은 메쉬형 구조체로 형성되고,
    상기 메쉬형 구조체는, 그물망 형상으로 직조된 탄소섬유의 양 측면에 열가소성 수지층이 적층되어 일체화된 다층 구조로 마련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소재인 것인, 메쉬형 등받이 의자.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압부는,
    기 결정된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기 슬라이딩축에 상기 슬라이딩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지압샤프트;
    상기 지압샤프트의 하단에 마련된 지압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지압플레이트는 상기 등받이면의 후면에 면상 접촉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압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상기 복수의 가압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슬라이딩축 상에 마련되고 상기 헤드지지샤프트 및 상기 지압샤프트를 전방 측으로 가압 지지하는 제1 탄성복원부; 및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홈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슬라이딩축의 전방 이동 시 상기 지압샤프트의 상부와 접촉 간섭되도록 마련된 간섭블록
    을 더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에 후두부를 지지하지 않아 상기 헤드레스트가 전방으로 가압 지지된 경우, 상기 슬라이딩축은 상기 슬라이드홈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지압샤프트의 하단부 및 상기 지압플레이트는 전방으로 가압 지지된 상태로 위치되고, 상기 복수의 가압돌기는 상기 등받이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사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에 후두부를 지지하여 상기 헤드레스트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축은 상기 슬라이드홈의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지압샤프트의 하단부 및 상기 지압플레이트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인, 메쉬형 등받이 의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는, 상기 헤드지지몸체의 후면에서 상기 헤드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호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된 만곡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등받이몸체의 후면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만곡지지부재의 종단부가 삽입되는 만곡안내홈을 구비한 만곡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만곡안내홈 내에는 상기 만곡지지부재를 전방 측으로 가압 지지하는 제2 탄성복원부가 마련되는 것인, 메쉬형 등받이 의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제2 탄성복원부의 탄성 복원력 세기를 조절하는 탄성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조절부는,
    일부가 상기 등받이몸체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사용자가 회전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된 조절부재; 및
    상기 조절부재 및 상기 제2 탄성복원부에 연결되고, 상기 조절부재의 회전 중심 축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한 이동샤프트
    를 포함하는 것인, 메쉬형 등받이 의자.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쉬형 등받이 의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석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회동패널의 회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무선 통신 가능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석센서에서의 검출 결과 그리고 상기 회동패널의 회동 사실을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메쉬형 등받이 의자.
  9.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도록 마련된 착석부;
    상기 착석부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사용자의 후두부(後頭部)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상기 착석부 및 상기 등받이부를 지면에 지지하는 안착지지부;
    상기 착석부의 양 측부에서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한 쌍의 팔걸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지지부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지지부; 및
    상기 수직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지지부의 길이 방향 중심 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수평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부 각각은,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단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종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 접지되는 롤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하면이 개방된 형태로 중공 형성되고,
    상기 롤러부는 회동됨에 따라 상기 수평프레임 내에 수납될 수 있고,
    상기 등받이부는, 사용자의 등을 대면하여 지지하는 등받이면을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면은, 탄소섬유가 그물망 형상으로 직조되어 형성되고,
    상기 헤드레스트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헤드지지몸체; 및
    상기 헤드지지몸체에서 하측으로 기 결정된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등받이부의 상단에 위치된 헤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헤드지지샤프트
    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등받이면을 구비하고 중공 형성된 등받이몸체;
    상기 등받이몸체의 상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기 결정된 길이로 마련된 한쌍의 슬라이드홈;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축;
    상기 등받이몸체 내에서 상기 슬라이딩축에 상기 슬라이딩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가압돌기를 구비한 지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지지샤프트의 종단부는, 상기 등받이몸체 내에서 상기 슬라이딩축에 상기 슬라이딩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사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에 후두부를 지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압부는 상기 등받이면 측에 위치되어 상기 복수의 가압돌기가 상기 등받이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사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에 후두부를 지지하는 경우, 상기 지압부는 상기 등받이면의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등받이부 상의 기 결정된 위치에 사용자의 등 부분이 접촉 지지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착석부는,
    상기 착석부 상의 기 결정된 위치에 사용자의 둔부가 접촉 지지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착석센서; 및
    상기 한 쌍의 팔걸이부를 가로지르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도록 구성된 회동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패널은, 사용자의 하체가 안착되는 착석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회동패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석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는 것인, 메쉬형 등받이 의자.
  10. 메쉬형 등받이 의자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도록 마련된 착석부;
    상기 착석부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사용자의 후두부(後頭部)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상기 착석부 및 상기 등받이부를 지면에 지지하는 안착지지부;
    상기 착석부의 양 측부에서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한 쌍의 팔걸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지지부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지지부; 및
    상기 수직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지지부의 길이 방향 중심 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수평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부 각각은,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단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종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 접지되는 롤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하면이 개방된 형태로 중공 형성되고,
    상기 롤러부는 회동됨에 따라 상기 수평프레임 내에 수납될 수 있고,
    상기 등받이부는, 사용자의 등을 대면하여 지지하는 등받이면을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면은, 탄소섬유가 그물망 형상으로 직조되어 형성되고,
    상기 헤드레스트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헤드지지몸체; 및
    상기 헤드지지몸체에서 하측으로 기 결정된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등받이부의 상단에 위치된 헤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헤드지지샤프트
    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등받이면을 구비하고 중공 형성된 등받이몸체;
    상기 등받이몸체의 상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기 결정된 길이로 마련된 한쌍의 슬라이드홈;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축;
    상기 등받이몸체 내에서 상기 슬라이딩축에 상기 슬라이딩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가압돌기를 구비한 지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지지샤프트의 종단부는, 상기 등받이몸체 내에서 상기 슬라이딩축에 상기 슬라이딩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사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에 후두부를 지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압부는 상기 등받이면 측에 위치되어 상기 복수의 가압돌기가 상기 등받이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사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에 후두부를 지지하는 경우, 상기 지압부는 상기 등받이면의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등받이부 상의 기 결정된 위치에 사용자의 등 부분이 접촉 지지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착석부는,
    상기 착석부 상의 기 결정된 위치에 사용자의 둔부가 접촉 지지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착석센서; 및
    상기 한 쌍의 팔걸이부를 가로지르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도록 구성된 회동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패널은, 사용자의 하체가 안착되는 착석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회동패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석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고,
    상기 메쉬형 등받이 의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석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회동패널의 회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메쉬형 등받이 의자.
KR1020220055304A 2022-05-03 2022-05-04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 KR102457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119A KR20220148137A (ko) 2022-05-03 2022-10-17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
KR1020220133116A KR20220148136A (ko) 2022-05-03 2022-10-17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
KR1020220133115A KR20220148135A (ko) 2022-05-03 2022-10-17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54884 2022-05-03
KR20220054886 2022-05-03
KR1020220054884 2022-05-03
KR1020220054886 2022-05-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116A Division KR20220148136A (ko) 2022-05-03 2022-10-17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
KR1020220133115A Division KR20220148135A (ko) 2022-05-03 2022-10-17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
KR1020220133119A Division KR20220148137A (ko) 2022-05-03 2022-10-17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066B1 true KR102457066B1 (ko) 2022-10-24

Family

ID=8380577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304A KR102457066B1 (ko) 2022-05-03 2022-05-04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
KR1020220133115A KR20220148135A (ko) 2022-05-03 2022-10-17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
KR1020220133119A KR20220148137A (ko) 2022-05-03 2022-10-17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
KR1020220133116A KR20220148136A (ko) 2022-05-03 2022-10-17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115A KR20220148135A (ko) 2022-05-03 2022-10-17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
KR1020220133119A KR20220148137A (ko) 2022-05-03 2022-10-17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
KR1020220133116A KR20220148136A (ko) 2022-05-03 2022-10-17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45706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342A (ko) * 2001-07-31 2003-02-12 황주환 의자용 캐스터장치
JP2008295515A (ja) * 2007-05-29 2008-12-11 Itoki Corp ロッキング椅子
KR100876632B1 (ko) * 2008-04-18 2008-12-31 정연재 자세 교정기능을 갖는 사무용 의자
KR20130072837A (ko) * 2011-12-22 2013-07-02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KR101458070B1 (ko) * 2013-05-02 2014-11-20 노지인 자세교정용 의자
KR101544852B1 (ko) * 2014-05-09 2015-08-18 (주)광일체어 의자 망사좌판 어셈블리 및 그 제작방법
KR101976348B1 (ko) 2018-08-30 2019-05-08 (주)광일체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요추받침수단을 갖는 메쉬형 의자
KR20190056676A (ko) * 2017-11-17 2019-05-27 박정희 스마트 체어
KR20210029510A (ko) * 2019-09-06 2021-03-16 이상필 등받이 장착형 거북목 교정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342A (ko) * 2001-07-31 2003-02-12 황주환 의자용 캐스터장치
JP2008295515A (ja) * 2007-05-29 2008-12-11 Itoki Corp ロッキング椅子
KR100876632B1 (ko) * 2008-04-18 2008-12-31 정연재 자세 교정기능을 갖는 사무용 의자
KR20130072837A (ko) * 2011-12-22 2013-07-02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KR101458070B1 (ko) * 2013-05-02 2014-11-20 노지인 자세교정용 의자
KR101544852B1 (ko) * 2014-05-09 2015-08-18 (주)광일체어 의자 망사좌판 어셈블리 및 그 제작방법
KR20190056676A (ko) * 2017-11-17 2019-05-27 박정희 스마트 체어
KR101976348B1 (ko) 2018-08-30 2019-05-08 (주)광일체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요추받침수단을 갖는 메쉬형 의자
KR20210029510A (ko) * 2019-09-06 2021-03-16 이상필 등받이 장착형 거북목 교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135A (ko) 2022-11-04
KR20220148136A (ko) 2022-11-04
KR20220148137A (ko)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9595B2 (en) Chair with articulating backrest
SG186373A1 (en) Chair
JP5002835B2 (ja) 部材の接続構造
US6910736B2 (en) Seats with twistable seat elements
US10857065B2 (en) Vehicle seat
KR101355473B1 (ko) 회동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US9192234B2 (en) Progressively curved lumbar support for the back of a chair
US8998337B2 (en) Backrest chair, and a sheet material for use thereon
KR102457066B1 (ko) 자세교정 기능을 갖는 메쉬형 등받이 의자
JP2002119364A (ja) 椅 子
KR101009491B1 (ko) 틸팅거리 조절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101591947B1 (ko)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KR102039097B1 (ko) 압력감지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의자
SG186738A1 (en) Chair
JP4021162B2 (ja) ランバーサポート機能付き椅子
JP6111146B2 (ja) 椅子
KR102147959B1 (ko) 스마트의자
KR101332821B1 (ko) 등받이에 가변 돌출부를 갖는 의자
JP6412300B2 (ja) ネスティング可能な椅子
KR101207776B1 (ko)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
KR20180085964A (ko) 접이식 바닥 의자
CA2911662C (en) Progressively curved lumbar support for the back of a chair
KR101314734B1 (ko) 변형 가능한 의자의 등받이 구조
JP6655961B2 (ja) フィットネス装置
KR20140014038A (ko) 회동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