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065B1 - 컨텐츠 제공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텐츠 제공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065B1
KR102457065B1 KR1020210021908A KR20210021908A KR102457065B1 KR 102457065 B1 KR102457065 B1 KR 102457065B1 KR 1020210021908 A KR1020210021908 A KR 1020210021908A KR 20210021908 A KR20210021908 A KR 20210021908A KR 102457065 B1 KR102457065 B1 KR 102457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rvice
subscribed
content
content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8144A (ko
Inventor
주동혁
이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021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065B1/ko
Publication of KR20220118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144A/ko
Priority to KR1020220129648A priority patent/KR102616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16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75Management of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Abstract

컨텐츠 제공 서버가 단말기에 단말기가 가입하지 않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2 단말기로부터 제2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2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를 인증 -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제1 단말기는 가입되어 있지 않음 - 하는 단계,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를 인증함에 대응하여, 제2 단말기로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 제1 단말기로부터 제2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인증 정보와 식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단말기로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츠 제공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CONTENTS PROVIDING SE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METHOD OF PROVIDING CONTENS, AND SYSTEM THEREOF}
본 개시는 컨텐츠 제공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정 단말기를 통해 가입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타 단말기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들의 다변화됨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비스 업체에서는 각 단말기별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을 통해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모바일 컨텐츠 제공 서비스와 셋탑 박스를 통해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IPTV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서로 구별하여 운영한다. 이 때, 모바일 컨텐츠 제공 서비스와 IPTV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사용 중인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IPTV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에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와 셋탑 박스가 서로 연계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해당 컨텐츠를 시청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서로 다른 단말기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상호 연계 처리를 위해 등록하는 방안이 제시되었으나, 수 차례 수동 조작 과정을 거치는 복잡한 방식이어서 여전히 사용자의 불편이 존재한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0-0072411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797361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805538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기 다른 단말기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만으로 컨텐츠 제공 서비스들의 통합 등록을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의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가 단말기에 상기 단말기가 가입하지 않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를 인증 -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제1 단말기는 가입되어 있지 않음 - 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를 인증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 - 상기 식별 정보는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되 상기 제1 단말기에서 해석 가능한 코드로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생성됨 - 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인증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인증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 고유의 식별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단말기는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2 단말기는 셋톱 박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되 상기 제1 단말기에서 해석 가능한 코드는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함께 상기 제2 단말기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는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를 등록하도록 구성된 서비스 등록부;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를 인증 -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제1 단말기는 가입되어 있지 않음 - 하도록 구성된 인증부; 및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를 인증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부는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 - 상기 식별 정보는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되 상기 제1 단말기에서 해석 가능한 코드로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생성됨 - 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인증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비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송신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인증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 고유의 식별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단말기는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2 단말기는 셋톱 박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되 상기 제1 단말기에서 해석 가능한 코드는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함께 상기 제2 단말기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단말기가 가입하지 않은 서비스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눈으로 식별할 수 없되 제1 단말기에 의해 인식 가능한 식별 코드가 삽입된 화면이 제2 단말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인증 코드를 인식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 상기 인증 코드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함 -;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인증 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인증 코드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상기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가 가입하지 않은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인증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 고유의 식별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단말기는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2 단말기는 셋톱 박스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단말기에 상기 단말기가 가입하지 않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를 인증 -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제1 단말기는 가입되어 있지 않음 - 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를 인증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되 상기 제1 단말기에서 해석 가능한 코드로 식별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기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 -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식별 코드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가 획득함 - 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인증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인증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 고유의 식별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단말기는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2 단말기는 셋톱 박스일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단말기(제1 단말기)와 관련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가 가입한 경우, 다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편한 인증 과정을 거쳐 제1 단말기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내의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환경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요청 메세지의 예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단말기에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환경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통신 환경은 통신 단말기, 즉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컨텐츠 제공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와 관련된 각각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등록하고, 이러한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가입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제1 단말기(100)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제1 컨텐츠 제공 서비스(일 예로 모바일 시청 서비스)에 가입하고, 제2 단말기(200)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제2 컨텐츠 제공 서비스(일 예로 IPTV 시청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는데, 이때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제1 단말기(100)를 통한 컨텐츠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제1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하고, 제2 단말기(200)를 통한 컨텐츠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제2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가 제1 단말기(100)를 통해 제2 단말기(200)가 제공하는 제2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의 간편 조작에 따라 제1 컨텐츠 제공 서비스와 제2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통합 운영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3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은 도 2에 도시된 바 와 같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단말기(200)는 서비스 프로바이더(도시되지 않음)가 사용자에게 대여한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신사를 통해 인터넷 및/또는 IPTV 서비스를 가입하는 경우, 서비스 프로바이더는 셋톱박스, 인터넷 공유기 등을 사용자에게 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프로바이더는 컨텐츠 제공 서버(300)와 제2 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의 제1 단말기(100) 또는 제2 단말기(2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서비스 등록부(310), 인증부(320), 서비스 통합 처리부(330), 컨텐츠 제공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등록부(310), 인증부(320), 서비스 통합 처리부(330), 컨텐츠 제공부(340)는 물리적으로 이격된 각각의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부(320)는 별도의 인증 서버(도시되지 않음)로 존재할 수 있다.
서비스 등록부(310)는 각 단말기와 관련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등록부(310)는 최초 서비스 가입시에 제1 단말기(100) 및/또는 제2 단말기(200)를 인증하고 등록(provisioning)하는 인증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의 가입 요청에 따라 제1 단말기(100)와 관련된 제1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등록하고, 마찬가지로 고객의 가입 요청에 따라 제2 단말기(200)와 관련한 제2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증부(320)는 제2 단말기(200)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제2 단말기(200)의 인증 정보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를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인증부(320)는 제1 단말기(100) 및/또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인증 정보의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제2 단말기(200)를 인증할 수 있는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인증부(320)는 제1 단말기(100) 및/또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인증 정보의 전송 요청이 없더라도, 제1 단말기(100) 및/또는 제2 단말기(200)를 인증할 수 있는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부(320)는 제1 단말기(100) 및/또는 제2 단말기(200)가 아닌 다른 단말기(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여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인증 정보는 제1 단말기(100) 및/또는 제2 단말기(200)로 송신될 수 있다. 또, 인증부(320)는 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가 동일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말기(100)를 통해 사용자는 제2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이고, 제2 단말기(200)는 셋탑박스인 것을 일 예로 하지만,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비스 통합 처리부(330)는 컨텐츠 통합 요청 신호가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에 대하여 제1 컨텐츠 제공 서비스와 제2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상호 연계한 후, 서비스 통합 연계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통합 연계 정보는 제1 단말기(100)를 통해 제2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포함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고, 제2 단말기(200)를 통해 제1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포함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컨텐츠 제공부(340)는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단말기(100)가 제1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포함된 컨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요청받은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마찬가지로 제2 단말기(200)가 제2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포함된 컨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요청받은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부(34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제2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포함된 컨텐츠의 요청이 있는 경우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 (200)에 대하여 서비스 통합 연계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요청받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부(34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제1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포함된 컨텐츠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도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에 대하여 서비스 통합 연계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요청받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통신 단말기(예를 들어, 제1 단말기(100)에 해당함)는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소정의 컨텐츠를 요청 및 수신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제2 단말기(200)와의 통신을 통해 제2 단말기(200)와 관련된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포함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제1 단말기(100)는 제1 통신 모듈(110), 네트워크 정보 수신부(120), 제2 통신 모듈(130), 인증 정보 수신 요청부(140), 제3 통신 모듈(150), 컨텐츠 처리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110), 네트워크 정보 수신부(120), 제2 통신 모듈(130), 인증 정보 수신 요청부(140), 제3 통신 모듈(150), 컨텐츠 처리부(160)는 서로 연결되어 정보/신호 등을 주고받을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110)은 제2 단말기(200)와 제1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제1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 통신 모듈(110)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에 해당할 수 있다.
인증 정보 수신 요청부(14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통신 모듈(130)은 네트워크 정보 수신부(120)에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단말기(200)와 제2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통신 모듈(130)은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300)에 전송하여 고객이 제2 단말기(200)와 관련하여 가입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포함된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로부터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네트워크 정보에는 제2 단말기(200)가 연결된 무선랜의 네트워크 식별자(일 예로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또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또는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단말기(200)에 접근 가능한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댁내에 복수 개의 무선랜이 설치 및 운영되고 있는 경우에는 와이파이 채널 스캔을 통해 확인되는 SSID가 복수 개 있을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는 어떠한 무선랜에 제2 단말기(200)가 연결되어 있는지 쉽게 알 수 없다. 따라서 제2 단말기(200)는 자신이 연결되어 있는 SSID 정보를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제3 통신 모듈(150)은 제3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 수신부(120)는 제2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제2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네트워크 정보를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통신 프로토콜 및/또는 제3 통신 프로토콜은 인터넷 망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LTE(Long Term Evolution), 5G 등과 같은 이동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등과 같은 무선통신망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정의한다. 네트워크(40)는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 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 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통신 모듈(110, 130, 150)을 구분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다른 개수의 통신 모듈이 제1 내지 제3 통신 모듈(110, 130, 15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통신 모듈(150)은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300)에 전송하여 고객이 제2 단말기(200)와 관련하여 가입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포함된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 정보 수신 요청부(14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인증 정보(혹은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증 정보 수신 요청부(140)는 사용자가 제1 단말기(100)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화면은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카메라(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제2 단말기(200)로부터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인증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컨텐츠 처리부(160)는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처리부(150)는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또는 저장할 수도 있다.
식별 정보는 육안으로 식별 불가능한 인증 코드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 코드는 종래의 비가시적 워터마크를 생성/삽입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선행문헌으로 기재된 문헌에 비가시적 워터마크를 생성/삽입/해석/인식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본 개시에 참조로 결합된다. 그러나 비가시적 워터마크를 생성/삽입/해석/인식하는 기술이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기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텐츠 처리부(160)는 육안으로 식별 불가능한 코드로부터 제2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육안으로 식별 불가능한 코드는 컨텐츠 처리부(160)로 송신되고 컨텐츠 처리부(160)는 육안으로 식별 불가능한 코드로부터 제2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식별 정보는 제3 통신 모듈(150)를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300)에 전달될 수 있음은 설명한 바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기(200)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단말기(200)는 네트워크 접속으로부터 컨텐츠를 수신 및 디스플레이 또는 유사한 출력 장치상에 컨텐츠를 디코딩 및 렌딩(rending)할 수 있는 컴퓨터화된 장치(또한 상기 컴포넌트를 포함)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스마트 TV(Smart TV) 및 커넥티드 TV(Connected TV), 셋톱 박스(set-top box, STB), 셋톱 박스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스마트폰 등과 같이 인터넷 회선을 이용하는 모든 종류의 TV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어댑터, 멀티미디어 동글 및 OTT(Over the Top)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장치일 수 있으며, 제2 단말기(200)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단말기(200)는 저장부(210), 인증 코드 생성 모듈(220) 및 컨텐츠 제공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10)는 제2 단말기(20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제2 단말기(200)에 관한 정보는 제2 단말기(200)의 이름, 식별 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 저장부(210)는 제1 단말기(100) 및/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10)는 제1 단말기(100)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및/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서비스 등록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인증 코드 생성 모듈(220)은 육안으로 식별 불가능한 인증 코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인증 코드 생성 모듈(220)은 육안으로 식별 불가능한 인증 코드를 제공하기 위한 계층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육안으로 식별 불가능하다는 것은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으나, 특정 기기나 특정 기기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는 경우, 해석하거나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육안으로 식별 불가능한 인증 코드의 생성은 종래의 비가시적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 코드는 제2 단말기(200)에 관한 정보, 사용자(가입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 및/또는 서비스 등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코드는 제2 단말기(200)의 이름, 식별 번호, 등록된 서비스 정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코드는 QR코드, 바코드, 기하학적 패턴, 문자, 번호와 같이, 제1 단말기(100)가 인식할 수 있는 형식의 코드는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모듈(230)은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모듈(230)은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계층을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모듈(230)은 육안으로 식별 불가능한 인증 코드를 제공하기 위한 계층과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계층을 통합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컨텐츠 제공 모듈(230)은 생성된 육안으로 식별 불가능한 인증 코드를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에 삽입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제공한다. 또, 육안으로 식별 불가능한 인증 코드를 제공하기 위한 계층은 제2 단말기(20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되는 모든 화면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기(200) 도는 컨텐츠 제공 모듈(230)이 제공하는 모든 화면(예를 들면, 메뉴 화면, 초기 화면 등)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 코드를 컨텐츠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우선 방송 컨텐츠의 오리지널 비디오 파일을 불러서, 그 비디오 파일을 구성하는 영상 프레임에 워터마크를 삽입하여 일괄 변환하는 방법도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단말기에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6를 참조하여, 제1 단말기(100)가 제2 단말기(200)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통합 등록이 수행됨을 설명하나, 제2 단말기(200)가 제1 단말기(100)의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통합 등록이 수행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단말기(100)에 대응되는 제1 컨텐츠 제공 서비스와 제2 단말기(200)에 대응되는 제2 컨텐츠 제공 서비스가 컨텐츠 제공 서버(300)에 미리 등록(provisioning)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제1 단말기(100) 및/또는 제2 단말기(200)의 개인 정보 및/또는 단말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00) 및/또는 제2 단말기(200) 또한, 고유의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기(100) 및/또는 제2 단말기(200)는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 인증 정보를 송신하고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제1 단말기(100) 및/또는 제2 단말기(200)가 특정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단말기(200)의 전원이 on되면, 제2 단말기(200)는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 제2 단말기(200)의 정보 및/또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S610).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제2 단말기(200)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단말기(200)가 제2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음을 인증할 수 있다(S615).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제2 단말기(200)가 제2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음을 인증함에 대응하여, 제2 단말기(200)로 요청받은 컨텐츠를 제공한다(S620).
제2 단말기(200)는 송신한 컨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S625). 제2 단말기(200)는 육안으로 식별 불가능한(비가시) 인증 코드를 생성한다(S630). 인증 코드는 제2 단말기(200)의 이름, 식별 번호, 등록된 서비스 정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코드는 QR코드, 바코드, 기하학적 패턴, 문자, 번호와 같이 제1 단말기(100)가 인식할 수 있는 형식의 코드는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는 육안으로 식별 불가능한(비가시) 인증 코드를 제공하기 위한 계층을 생성하고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에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한다(S635). 육안으로 식별 불가능한 인증 코드를 컨텐츠에 삽입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육안으로 제2 단말기(200)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인증 코드는 보이지 않으며 제2 컨텐츠 제공 서비스가 제공하는 컨텐츠만을 시청하게 된다.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0)를 통해 제2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기 원하는 경우, 특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말기(100)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제1 단말기(100)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640).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0)의 카메라를 통해 육안으로 식별 불가능한 인증 코드가 삽입된 제2 단말기(200)의 컨텐츠를 인식시킨다. 제1 단말기(100)는 육안으로 식별 불가능한 인증 코드가 삽입된 제2 단말기(200)의 컨텐츠로부터 인증 정보를 추출한다(S645). 인증 정보는 제2 단말기(200)의 이름, 식별 번호, 등록된 서비스 정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단말기(100)는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추출한 인증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 송신한다(S650). 이때, 제1 단말기(100)는 제2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함께 송신할 수 있다. 제2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요청하는 메시지는 서비스 통합 처리 요청 신호로 간주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100)에게 제2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지 여부를 인증한다(S655).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S610 단계에서 수신한 제2 단말기(200)의 정보 및 S650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가 컨텐츠 제공 서버(300)에 송신하는 인증 정보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 없이, 제2 단말기(200)에 관한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여부에 따라,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에 각각 대응되는 서비스들에 대해 통합 처리를 수행한다. 즉,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에 대해 서비스 통합 연계 정보가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100)가 인증 정보와 제2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함께 송신한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요청받은 컨텐츠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660). 제1 단말기(100)가 인증 정보와 제2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함께 송신하지 않고 별도로 송신한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300) 제2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요청하는 메시지에 대응하여 요청받은 컨텐츠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제1 단말기(100)는 수신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S665).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단말기(100)는 S645단계에서 추출한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나중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번 인증 정보를 저장한 이후에는 제1 단말기(100)는 제2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S640 ~ S655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바로 제2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에 대해 서비스 통합 연계 정보가 등록된 이후, 제1 단말기(100)가 제2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포함된 컨텐츠를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제2 단말기(200)가 제1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포함된 컨텐츠를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2 단말기(200)가 컨텐츠 제공 서버(300)에 제1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포함된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해당하는 제2 단말기(200)가 서비스 통합 연계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제1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포함된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서로 다른 단말기가 각각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사용자는 단순히 한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의 화면을 비추는 것만으로 복수의 단말기가 동일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통합 운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 (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서로 다른 단말기를 위해 각각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사용자는 단순히 한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의 화면을 비추는 것만으로 서로 다른 단말기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가 통합 운영되도록 할 수 있다.
100: 제1 단말기 200: 제2 단말기
300: 컨텐츠 제공 서버 110: 제1 통신 모듈
120: 네트워크 정보 수신부 130: 제2 통신 모듈
140: 인증 정보 수신 요청부 150: 제3 통신 모듈
160: 컨텐츠 처리부 210: 저장부
220: 인증 코드 생성 모듈 230: 컨텐츠 제공 모듈
310: 서비스 등록부 320: 인증부
330: 서비스 통합 처리부 340: 컨텐츠 제공부

Claims (14)

  1. 컨텐츠 제공 서버가 단말기에 상기 단말기가 가입하지 않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를 인증 -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제1 단말기는 가입되어 있지 않음 - 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를 인증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 - 상기 식별 정보는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되 상기 제1 단말기에서 해석 가능한 코드로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생성됨 - 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인증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되 상기 제1 단말기에서 해석 가능한 코드는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함께 상기 제2 단말기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제공 서버가 단말기에 상기 단말기가 가입하지 않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 고유의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가 단말기에 상기 단말기가 가입하지 않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2 단말기는 셋톱 박스인, 컨텐츠 제공 서버가 단말기에 상기 단말기가 가입하지 않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삭제
  5. 컨텐츠 제공 서버에 있어서,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를 등록하도록 구성된 서비스 등록부;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를 인증 -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제1 단말기는 가입되어 있지 않음 - 하도록 구성된 인증부; 및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를 인증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이고,
    상기 인증부는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 - 상기 식별 정보는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되 상기 제1 단말기에서 해석 가능한 코드로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생성됨 - 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인증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비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송신하되,
    상기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되 상기 제1 단말기에서 해석 가능한 코드는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함께 상기 제2 단말기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제공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 고유의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2 단말기는 셋톱 박스인, 컨텐츠 제공 서버.
  8. 삭제
  9. 단말기가 가입하지 않은 서비스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눈으로 식별할 수 없되 제1 단말기에 의해 인식 가능한 식별 코드는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함께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식별 코드를 인식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 상기 식별 코드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함 -;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식별 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식별 코드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상기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가 가입하지 않은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 고유의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2 단말기는 셋톱 박스인, 컨텐츠 제공 방법.
  12.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단말기에 상기 단말기가 가입하지 않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를 인증 -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제1 단말기는 가입되어 있지 않음 - 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를 인증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되 상기 제1 단말기에서 해석 가능한 코드로 식별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가 제공하는 컨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 -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식별 코드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가 획득함 - 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인증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 상기 제2 단말기가 가입한 서비스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단말기에 상기 단말기가 가입하지 않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 고유의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단말기에 상기 단말기가 가입하지 않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2 단말기는 셋톱 박스인,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단말기에 상기 단말기가 가입하지 않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210021908A 2021-02-18 2021-02-18 컨텐츠 제공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57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908A KR102457065B1 (ko) 2021-02-18 2021-02-18 컨텐츠 제공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220129648A KR102616832B1 (ko) 2021-02-18 2022-10-11 컨텐츠 제공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908A KR102457065B1 (ko) 2021-02-18 2021-02-18 컨텐츠 제공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9648A Division KR102616832B1 (ko) 2021-02-18 2022-10-11 컨텐츠 제공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144A KR20220118144A (ko) 2022-08-25
KR102457065B1 true KR102457065B1 (ko) 2022-10-20

Family

ID=831114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908A KR102457065B1 (ko) 2021-02-18 2021-02-18 컨텐츠 제공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220129648A KR102616832B1 (ko) 2021-02-18 2022-10-11 컨텐츠 제공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9648A KR102616832B1 (ko) 2021-02-18 2022-10-11 컨텐츠 제공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57065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2411A (ko) 2008-12-22 2010-07-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Iptv와 이동통신 단말기간 컨텐츠 공유 브리지 서버와 시스템 및 방법
KR101094275B1 (ko) * 2010-01-06 2011-12-1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아이피티비 환경에서 이동 단말을 위한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1579603B1 (ko) * 2012-06-27 2016-01-04 네이버 주식회사 이미지 인증키를 이용한 tv와 스마트폰의 연동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948840B1 (ko) * 2015-04-02 2019-02-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멀티디바이스 환경에서 컨텐츠 제공을 지원하기 위한 셋탑박스 및 이를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6304851A (zh) 2015-04-23 2017-01-04 Lg电子株式会社 发送广播信号的装置、接收广播信号的装置、发送广播信号的方法和接收广播信号的方法
KR101797361B1 (ko) 2016-05-27 2017-11-13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워터마킹을 이용한 tv 쇼핑 간편 결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784A (ko) 2022-10-27
KR20220118144A (ko) 2022-08-25
KR102616832B1 (ko)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025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ssing private demographic information between hyperlink destinations
CN104618622B (zh) 一种通过移动终端将用户帐号与图像形成设备绑定的方法及系统
US7699228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outputt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9391961B2 (en) Information operating device, information output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9716908B2 (en) Distributing media content via media channels based on associated content being provided over other media channels
US9264783B2 (en) Displaying encoded video content via a display adapter
US201202115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connection betwe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communication apparatus, setting information identifier outputt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TW201242369A (en) Network media device with code recognition
CN109561059B (zh) 一种账号登录方法及其系统、终端、存储介质
WO2013174080A1 (zh) 适用于多种显示类型的家庭网关的界面显示方法和系统
US1160027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23522266A (ja)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配信の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媒体
WO2002056220A1 (fr) Programme sur support de stockage d'informations pour facturer et utiliser du contenu et dispositif charge du programme
CN113038192B (zh) 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2457065B1 (ko) 컨텐츠 제공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4208860A1 (en) Broadcast image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broadcast image
JP2011221706A (ja) 操作装置、データ処理装置、転送装置、操作システム、操作装置の制御方法、データ処理装置の制御方法、転送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406243B1 (ko)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4658814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コンテンツ提供装置および認証管理装置
US20150052589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ation ser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JP3578091B2 (ja) コンテンツ取得方法及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コンテンツ取得装置及びコンテンツ提供装置及びコンテンツ取得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
CN108601064A (zh) 一种提供及获取无线接入点相关信息的方法
KR20150068686A (ko)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3262495A (zh) 在网络上传送多媒体数据的方法
KR20220118143A (ko)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단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