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370A -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370A
KR20100024370A KR1020090078714A KR20090078714A KR20100024370A KR 20100024370 A KR20100024370 A KR 20100024370A KR 1020090078714 A KR1020090078714 A KR 1020090078714A KR 20090078714 A KR20090078714 A KR 20090078714A KR 20100024370 A KR20100024370 A KR 20100024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edium
specific
modul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영
Original Assignee
이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영 filed Critical 이은영
Publication of KR20100024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3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2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object cod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IPTV, 이동통신, DMB 등의 다양한 매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컨텐츠를 다른 종류의 매체에 대응하는 컨텐츠로 자동 변환하여 저장하고, 변환된 컨텐츠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은 복수의 매체를 통해 접속 가능한 통합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매체 중 특정 매체의 접속을 허락하는 단계; 접속된 특정 매체로부터 특정 컨텐츠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접속된 특정 매체의 단말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단말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접속된 특정 매체와 대응되는 특정 객체 코드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호출하는 단계; 호출된 특정 객체 코드의 조합을 통해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특정 컨텐츠를 상기 특정 매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of providing contents for several media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인터넷, IPTV, 이동통신, DMB 등의 다양한 매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컨텐츠를 다른 종류의 매체에 대응하는 컨텐츠로 자동 변환하여 저장함으로써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과 이동통신망의 확산과 더불어 인터넷 웹, IPTV, 이동통신, DMB 등의 이른바 다매체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사용자는 데스크탑 PC나 노트북을 이용하여 유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PDA나 모바일폰을 이용하여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DMB 또는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접속하거나, TV를 이용하여 인터넷 방송(IPTV)을 시청하는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컨텐츠를 접하고 있다.
그러나, 매체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창작될 수 있는 컨텐츠의 종류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주로 이용하는 매체를 통해 한정된 컨텐츠를 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의 하나로, 인터넷 웹 상의 컨텐츠를 이동통신망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이 제안되었다. WAP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이동 통신 가입자들이 원하는 여러 가지 인터넷 정보를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지원해주는 일련의 프로토콜”을 통칭한다.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PC를 통하여 웹에 올려진 정보를 이용하려면 IP, HTTP, URL, SSL 등 여러 가지 프로토콜이나 스크립트 언어, 컨텐츠 형식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토콜, 스크립트 언어, 컨텐츠 형식을 무선통신 단말기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 무선통신 단말기는 일반 데스크탑과 달리 저용량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사용하고, 사용하는 배터리의 용량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합한 별도의 프로토콜이나 지원이 필요하게 된다. WAP은 이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탄생한 프로토콜이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매체에 대하여 창작된 컨텐츠를 다른 매체에 대응하도록 자동으로 변환해주는 기술은 아직 소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제1매체에 대응하는 제1컨텐츠를 제2매체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로 자동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매체의 컨텐츠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 매체에 대응하는 특정 객체 코드와 연계된 객체의 조합을 통해 특정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특정 컨텐츠를 특정 매체에 제공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매체를 통해 접속 가능한 통합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매체 중 특정 매체의 접속을 허락하는 단계; 접속된 특정 매체로부터 특정 컨텐츠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접속된 특정 매체의 단말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단말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접속된 특정 매체와 대응되는 특정 객체 코드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호출하는 단계; 호출된 특정 객체 코드의 조합을 통해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특정 컨텐츠를 상기 특정 매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매체를 통해 특정 컨텐츠 제공을 요청받는 단계; 특정 서버로부터 제2매체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를 전송받는 단계; 제2컨텐츠를 이용하여 제1매체에 대응하는 제1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컨텐츠 요청자에게 제1매체를 통해 상기 생성된 제1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매체를 통해 접속 가능한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매체 중 특정 매체의 접속 신호 및 접속된 특정 매체로부터 특정 컨텐츠의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접속된 특정 매체의 단말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선택 모듈; 코드와 연계된 객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추출된 단말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접속된 특정 매체와 대응되는 특정 객체 코드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호출하는 호출 모듈; 호출된 특정 객체 코드의 조합을 통해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생성하는 변환 모듈; 생성된 특정 컨텐츠를 상기 특정 매체에 제공하는 전송 모듈; 및 특정 매체의 접속을 허락하고, 상기 수신 모듈, 상기 선택 모듈, 상기 데이터 베이스, 상기 호출 모듈, 상기 변환 모듈, 및 상기 전송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매체를 통해 특정 컨텐츠 제공을 요청받는 수신모듈; 특정 서버로부터 제2매체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를 전송받는 컨텐츠수집모듈; 제2컨텐츠를 이용하여 제1매체에 대응하는 제1컨텐츠를 생성하는 변환모듈; 및 컨텐츠 요청자에게 제1매체를 통해 상기 생성된 제1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컨텐츠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다양한 매체에 대응하 는 컨텐츠로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제작자의 입장에서는 변환되는 매체 수만큼 컨텐츠의 노출 기회가 높아지므로 광고 효과를 손쉽게 강화할 수 있고, 컨텐츠 변환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변환 수수료에 의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으며, 고객 입장에서는 어떠한 매체를 통해서든 동일한 컨텐츠를 접할 수 있으므로 정보 획득의 기회가 넓어진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 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1매체 및 제2매체로 IPTV, 이동통신, 인터넷 웹(Web), DMB 등이 사용될 수 있다.
IPTV는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방송채널, VOD(Video On Demand),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 등을 하나의 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IPTV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CP(Contents Provider), PP(Program Provider) 등으로부터 컨텐츠의 수집 및 가공과 IPTV망으로의 원활한 전송을 위하여 압축하는 컨텐츠 포맷 결정, 컨텐츠를 보유한 저작권자의 권리 보호와 불법 유통을 방지하기 위한 컨텐츠 보호기술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IPTV는 단순한 인터넷 TV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가 아닌 단순한 리모컨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전용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매체를 가리킨다.
이동통신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2세대 이동통신, WCDMA(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CDMA2000,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등의 3세대 이동통신 및 Wibro,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차세대 이동통신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휴대를 전제로 하는 모바일폰(Mobile Phone)의 상대적으로 작은 화면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전용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매체를 가리킨다.
인터넷 웹(Internet Web)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이용하여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xml(extended markup language),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등의 마크업 언어로 제작된 문서를 전송하는 매체를 가리킨다.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는 지상파 DMB 및 위성 DMB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휴대 가능한 DMB 단말기의 상대적으로 작은 화면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전용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매체를 가리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의 개념을 도시한다. 도면에서 보듯,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100,200)은 동일한 컨텐츠에 대하여 IPTV, 이동통신 및 인터넷(Web) 등의 매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통합적으로 제공한다.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1매체에 대응하는 제1컨텐츠가 등록되면, 제1매체와 상이한 제2매체~제n매체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제n컨텐츠로 자동으로 변환된다. 상기 컨텐츠 변환은 특정 매체의 전송 규격 또는 재생 환경을 고려한 규격 변환, 및 편집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상기 컨텐츠 변환을 위해 객체화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상기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100)은 수신 모듈(110), 객체화 모듈(120), 데이터 베이스(130), 선택 모듈(140), 호출 모듈(150), 변환 모듈(160), 전송 모 듈(170), 보정 모듈(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100)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실시 태양에 따라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이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복수 개의 매체를 통해 접속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매체는 IPTV, DMB, 인터넷, 이동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IPTV, DMB, 인터넷, 이동통신 등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는 상기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다.
수신 모듈(110)은 다양한 신호, 또는 컨텐츠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모듈(110)은 특정 매체의 접속 신호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특정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접속 신호는 제어 모듈(190)로 전달되어 분석될 수 있다. 제어 모듈(190)는 상기 접속 신호를 분석하여, 접속된 매체의 종류, 접속 매체의 위치 정보, 또는 접속 매체의 사용자 정보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제어 모듈(190)는 상기 분석된 정보를 토대로 특정 매체의 접속 허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접속이 허락된 경우,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접속 매체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 모듈(110)는 접속되는 매체에 대응되게 수신 통로를 구비할 수도 있다(미도시). 예를 들어, 모바일을 통한 접속신호 제1수신 통로로 수신되고, 인터넷 웹을 통한 접속신호는 제2수신 통로로 수신되고, TV를 통한 접속신호는 제3수신 통로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수신 모듈(110)는 상기 접속되는 매체에 대응되는 수신 통로를 통해 접속 매체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객체화 모듈(120)은 제1컨텐츠를 객체별로 분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객체라 함은 컨텐츠를 이루는 구성요소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분할의 정도에 따라 세분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컨텐츠가 특정 브랜드에 관한 기사이고, 상기 특정 브랜드에 관한 기사가 이미지와 텍스트로 구성된 경우, 이미지 및 텍스트 모두 하나의 객체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가 제1이미지 영역과 제2이미지 영역으로 세분화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1이미지 영역 및 제2이미지 영역도 각각의 객체가 될 수 있다.
또한, 객체화 모듈(120)은 분할된 객체를 코드와 연계시킬 수 있다. 특히, 객체화 모듈(120)은 각 객체의 속성을 특정 코드와 연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A는 A코드와 연계되고, B객체는 B코드와 연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객체의 속성이라 함은 특정 객체를 다른 객체와 구분 짓기 위한 본질적인 특성을 말한다. 객체의 모든 특성을 특정 코드와 연계시키시는 방법보다 객체의 속성만 추출하여 연계시키는 방법을 통해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100)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1은 객체 A, 객체 B, 및 객체 C로 구성되고, 컨텐츠 2는 객체 A, 객체 B, 및 객체 D로 구성되었다고 가정하자. 만약, 컨텐츠 단위로 컨텐츠를 데이터 베이스(130)에 저장할 경우, 데이터 베이스(130)에는 컨텐츠 1(객체 A+객체 B+객체 C) 및 컨텐츠 2(객체 A+객체 B+객체 D)가 저장되어, 객체 A 및 객체 B가 중복 저장될 수 있다. 하지만, 객체별로 분할하여, 분할된 객체 및 분할된 객체와 연계된 특정 코드가 데이터 베이스(130)에 저장될 경우, 데이터 베이스(130)에 저장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는 객체 A, 객체 B, 객체 C, 객체 D, 및 해당 객체에 연계된 코드 정보만 저장되면 된다. 따라서 상기 객체별 분할 방법을 이용하여 컨텐 츠를 제작하고, 저장할 경우, 데이터 베이스(311)에 저장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 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가 객체별로 분할되어 있을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 시에도, 로딩(loading)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130)는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이다. 예를 들어, 특정 컨텐츠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130)에 저장될 수 있다. 특정 컨텐츠는 특정 브랜드에 관련된 기사, 동영상, 이미지, 제품의 상세 정보, 제품에 관한 기사, 제품 이미지, 및 제품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 모듈(140)은 상기 매체의 단말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단말 특성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130)로부터 추출될 수도 있고, 상기 접속된 매체로부터 추출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 특성 정보는 상기 접속된 매체의 디코딩 성능 정보 및 디스플레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호출 모듈(150)은 객체와 연계된 특정 코드를 호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접속된 매체와 대응되는 특정 코드를 선별하여 호출할 수 있다.
또한, 호출 모듈(150)은 선택 모듈(140)에서 추출된 상기 접속 매체의 단말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특정 코드를 호출할 수 있다.
변환 모듈(160)은 제매체에 대응되는 제1컨텐츠를 이용하여 제2매체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변환 모듈(160)은 단순히 제1컨텐츠의 규격을 제2컨텐츠 규격으로 변환하는 이른바 단순 규격변환을 수행할 수도 있고, 제1컨텐츠의 멀티미디어 요소를 제2컨텐츠의 실정에 맞게 재인코딩 및/또는 재배치하는 이 른바 편집변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1매체가 인터넷 웹이고 제2매체가 이동통신이라면 변환 모듈(160)은 단순 규격변환으로 html, xml 규격의 제1컨텐츠를 WAP의 규격에 따르는 제2컨텐츠로 변환한다. 또한 편집변환의 예로, 키보드와 마우스를 이용하여 비교적 복잡한 조작이 가능하고 고품질의 이미지 및 동영상으로 구성된 제1컨텐츠가, 한정된 개수의 번호키로 조작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저품질의 이미지 및 동영상으로 구성된 제2컨텐츠로 변환될 수 있다.
제1매체가 인터넷 웹이고 제2매체가 IPTV라면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단위 페이지 각각을 스틸 이미지로 캡쳐하거나, 액티브 X, 플래시 등의 애드인 프로그램들을 제외한 이미지와 동영상으로만 구성된 파일로 변환한다. 제2매체가 DMB라면 이미지 및 동영상의 품질을 보다 낮추는 방식으로 변환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대역폭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변환 모듈(160)은 상기 제2매체에 대응되는 제2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호출 모듈(150)을 통해 호출된 특정 코드의 조합을 통해 제2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매체는 접속된 매체를 의미할 수 있다.
전송 모듈(170)은 데이터 베이스(130)에 저장된 객체의 조합을 통해 생성된 컨텐츠를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외부공간으로 전송한다. 외부 공간이라 함은 상기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100) 이외의 외부 공간을 말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공간은 사용자 단말기, 광고주 단말기, 특정 웹 사이트(또는 특정 웹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공간은 외부 사용자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사용자 공간은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100) 외부에 존재하는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사용자와 연계된 공간을 말한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의 미니 홈피, 블로그, 이메일(E-mai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송 모듈(170)은, 제어 모듈(190)의 제어를 통해,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100)에 접속된 매체를 고려하여 특정 데이터(예를 들어, 객체 조합을 통해 생성된 컨텐츠 또는 링크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모듈(170)은 모바일 단말기에 모바일용 컨텐츠를, TV에는 TV용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송 모듈(170)은 접속되는 매체에 대응되게 전송 통로를 구비할 수도 있다(미도시). 예를 들어, 모바일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제1전송 통로를 통해 전송되고, 인터넷 웹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제2전송 통로로 전송되고, TV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제3전송 통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보정 모듈(180)은 객체 조합을 통해 특정 컨텐츠를 생성하는 경우에 경계를 이루는 두 객체간의 색차가 임계치 이상일 경우,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정을 통해 획득된 보정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30)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모듈(190)은 객체 조합을 통해 생성된 컨텐츠를 접속된 매체에 전송할 경우, 상기 보정 정보도 함께 전송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보정의 일례로 경계를 이루는 영역의 색을 두 객체의 중간 색으로 하여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제어 모듈(190)은 접속된 매체에 컨텐츠를 제공할 경우, 두 개의 레이 어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의 조합을 통해 생성된 컨텐츠를 하나의 이미지 파일로 압축한 이미지 레이어와 상기 이미지의 구성 객체의 인터렉션 기능이 설정된 오브젝트 레이어를 상기 접속 매체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터렉션 기능이 설정된 경우, 인터렉션 기능이 설정된 영역을 통해 특정 기능(예를 들어, 링크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제어 모듈(190)은 수신 모듈(110), 객체화 모듈(120), 데이터 베이스(130), 선택 모듈(140), 호출 모듈(150), 변환 모듈(160), 전송 모듈(170), 보정 모듈(180)에서 수행하는 전반적인 기능을 유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100)를 컨텐츠를 제공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수신 모듈(110)는 특정 매체의 접속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01). 수신 모듈(110)이 사용자의 접속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 모듈(190)은 접속 허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90)은 상기 접속 신호를 분석하여, 접속된 매체의 종류, 접속 매체의 위치 정보, 또는 접속 매체의 사용자 정보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제어 모듈(190)은 상기 분석된 정보를 토대로 특정 매체의 접속 허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접속이 정상적인 경우, 제어 모듈(190)는 특정 매체를 통한 사용자 접속을 허락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모듈(110)은 접속된 매체로부터 특정 컨텐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02). 상기 특정 컨텐츠라 함은 상기 접속 매체에 최적화된 컨텐츠의 요청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된 매체가 모바일인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 요청은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컨텐츠(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특정 동영상) 요청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 경우, 선택 모듈(140)은 접속된 특정 매체의 단말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103). 상기 단말 특성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130)에 기 저장된 경우, 데이터 베이스(13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선택 모듈(140)은 접속된 매체를 통해 추출할 수도 있다.
상기 접속 매체의 단말 특성 정보가 추출된 경우, 호출 모듈(150)은 추출된 단말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특정 객체 코드를 데이터 베이스(130)에서 호출할 수 있다(S104). 상기 단말 특성 정보는 디스플레이 정보 및 디코딩 성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환 모듈(160)은 호출된 코드와 연계된 객체의 조합을 통해 특정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105). 이 경우, 제어 모듈(190)은 특정 매체의 디스플레이 규격의 최대폭을 넘지 않도록 상기 호출된 특정 코드와 연계된 객체의 조합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규격의 최대폭을 넘지 않도록 상기 호출된 특정 코드와 연계된 객체를 조합하여 특정컨텐츠를 생성함으로써, 접속 매체에서 특정 텐츠 재생 시, 스크롤 없이도 한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변환 모듈(160)은 특정 컨텐츠 생성 시, 객체화 기술 외에 다른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로서, 변환 모듈(160)은 사용자가 등록한 UCC를 다운로드하여 소스를 분석하고, 포스트 검색 기능/RSS(Rich Site Summary) 구독 기능 등을 제거하고 이미지와 포스트 위주로 재구성하여 IPTV에 적당한 컨텐츠로 재 생성할 수 있다. 동시에, 등록된 UCC의 각 이미지를 상대적으로 슬림한 크기(또는 해상도)로 변환함으로써 이동통신에 적당한 컨텐츠로 재구성할 수 있다.
전송 모듈(170)은 생성된 특정 컨텐츠를 접속된 매체로 전송할 수 있다(S106). 이 경우, 객체 조합을 통해 생성된 특정 컨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특정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링크 정보만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은 객체 조합을 통해 특정 컨텐츠를 생성하는 경우에 경계를 이루는 두 객체간의 색차가 임계치 이상일 경우,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정을 통해 획득된 보정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3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190)은 객체 조합을 통해 생성된 컨텐츠를 접속된 매체에 전송할 경우, 상기 보정 정보도 함께 전송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보정의 일례로 경계를 이루는 영역의 색을 두 객체의 중간 색으로 하여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제어 모듈(190)은 생성된 특정 컨텐츠에 대하여 암호화된 워터마크나 특수 문자를 삽입하는 등의 방식으로 디지털 저작 관리(Digital Right Management; DRM)를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제1컨텐츠 객체화를 통해 제2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100)을 통해 매체별로 컨텐츠를 생성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별로 제1컨텐츠가 분할된 경우, 분할된 객체를 매체별 성격에 맞게 조합하여 제2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제2컨텐츠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130)는 제1컨텐츠를 구성하는 객체에 대한 매핑(mapping) 테이블(131) 및 분할된 객체가 저장된 객체 데이터 베이스(1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출 모듈(150)은 모바일용 컨텐츠 1을 제공하기 위해, 객체 구성 코드 A, B, 및 C를 호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 구성 코드라 함은 분할된 특정 객체와 연계된 특정 코드를 말한다. 상기 객체 구성 코드 A, B, 및 C가 호출되면 변환 모듈(160)은 상기 호출된 코드와 연계된 객체를 객체 데이터 베이스(132)로부터 추출하여 조합한 후, 제2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호출 모듈(150)은 인터넷용 컨텐츠 1을 제공하기 위해, 객체 구성 코드 A, B, C, 및 D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객체 구성 코드 A, B, C, 및 D가 호출되면 변환 모듈(160)은 상기 호출된 코드와 연계된 객체를 객체 데이터 베이스(132)로부터 추출하여 조합한 후, 제2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모바일용 컨텐츠 1과 인터넷용 컨텐츠 1의 구성 객체가 다른 이유는 매체별 환경에서 기인한다. 예를 들어, 매체별로 디코딩 또는 재생 능력이 다르기 때문에, 컨텐츠를 구성하는 객체 구성 코드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해 생성된 복수 개의 컨텐츠는 각 매체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가 다양한 매체에 대한 컨텐츠 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만을 미리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요청이 있으면 해당 컨텐츠를 불러와서 요청된 매체에 대응하는 컨텐츠로 변환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다.
제1매체를 이용하는 단말기(21) 사용자는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접속하여 제1컨텐츠에 대한 제2매체의 제2컨텐츠를 요청한다.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통합 컨텐츠 정보 DB(261)를 검색하여 제2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해당 위치로부터 제2컨텐츠를 전송받는다. 그리고, 제2컨텐츠를 제1매체에 대응하는 제1컨텐츠로 변환한 후 사용자 단말기(21)로 변환된 제1컨텐츠를 제공한다.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수신모듈(210), 컨텐츠수집모듈(220), 변환모듈(230), 저장모듈(240), 전송모듈(250)을 포함하며, 정보수집모듈(260) 및 인증모듈(27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모듈(210)은 제1매체를 통해 제2매체에 대응하는 특정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받는다.
인증모듈(270)은 특정 컨텐츠의 수신 요청에 앞서 해당 요청자를 인증한다. 이를 위해, 최초 접속자에게는 회원 가입을 위한 아이디 및 비밀번호 발급, 기본 회원 정보 입력 등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공인인증기 관 또는 공인된 사설인증기관에 의뢰하여 본인 확인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서를 발급하고, 발급된 인증서를 통해 회원 가입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컨텐츠 요청자는 미리 발급된 아이디/비밀번호 또는 인증서를 이용하여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로그인하고 특정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한다.
한편, 인증모듈(270)은 제1컨텐츠에 대응하는 제1매체의 종류를 파악하기 위해 최초 회원 가입 시 사용매체종류 및 위치정보(예를 들면, URL)를 입력하도록 강제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등록 요청자가 로그인하면 아이디에 매칭되는 사용매체종류를 회원 DB(271)로부터 검색한다.
컨텐츠수집모듈(220)은 제2컨텐츠의 전송 요청이 있으면 통합 컨텐츠 정보 DB(261)를 검색하여 제2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해당 위치로부터 제2컨텐츠를 전송받는다.
정보수집모듈(260)은 제2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미리 수집하여 통합 컨텐츠 정보 DB(261)에 저장한다. 제2컨텐츠의 식별정보는 컨텐츠 요청자의 단말기(21)와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200) 간에 공유되어야 하며, 요청자 단말기(21)는 제2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수신모듈(210)에 전송함으로써 해당 컨텐츠의 전송 요청을 갈음한다.
변환모듈(230)은 컨텐츠수집모듈9220)이 수신한 제2컨텐츠를 이용하여 제1매체에 대응하는 제1컨텐츠를 생성하고, 저장모듈(240)은 제1컨텐츠를 컨텐츠 DB(도면에 미도시)에 저장한다.
전송모듈(260)은 수신모듈(210)을 통해 요청받은 제2컨텐츠의 변환본을 컨텐츠 DB(도면에 미도시)에서 검색하고, 회원 DB(271)로부터 요청자의 로그인 아이디에 매칭되는 위치정보를 검색한 후, 검색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매체를 통해 검색된 위치로 해당 컨텐츠를 전송한다. 상기 위치정보는 요청자의 회원 가입시 미리 등록될 수도 있고, 특정 컨텐츠의 요청을 위해 접속해온 때 실시간으로 파악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여기서는 컨텐츠 변환을 의뢰하는 주체가 CP1이고, CP1이 사용하는 제1매체는 인터넷(웹)이며, 제1컨텐츠가 변환될 제2매체는 IPTV 또는 이동통신이고, CP2가 IPTV 형식으로 변환된 제2컨텐츠를 요청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용이한 실시를 위해 요청자 단말기(21)에서 미리 설정할 사항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매체별로 산재해 있는 컨텐츠들을 요청자의 매체에 맞도록 변환해주는 중간 변환자 역할을 담당하므로, 요청자 단말기(21)에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일종의 프록시 서버(이하 '통합 컨텐츠 프록시 서버'라 함)로 등록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요청자 단말기(21)에 통합 컨텐츠 프록시 서버를 등록하는 화면예를 도시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요청자 단말기(21)가 모바일 폰이라 가정할 때 사용자는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여 통합 컨텐츠 프록시 서버 등록 화면(801)을 열고, 자신이 서비스 가입되어 있는 통합 컨텐츠 프록시 서버(도면에서 elle 서버)를 선택하거나 또는 새로이 등록한다.
도 8b에서 보듯, 만약 요청자 단말기(21)가 PC이라면 네트워크 환경 설정에 관한 메뉴를 선택하여 통합 컨텐츠 프록시 서버 등록 화면(802)을 열고, 자신이 서비스 가입되어 있는 통합 컨텐츠 프록시 서버(도면에서 192.168.10.9)를 선택하거나 또는 새로이 등록한다.
요청자 단말기(21)에 통합 컨텐츠 프록시 서버를 등록한 후, 사용자는 소정의 '컨텐츠 시청하기' 메뉴를 선택하여 이종(異種) 매체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요청자 단말기(21)로 시청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인 화면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요청자 단말기로 이종(異種) 매체의 컨텐츠를 요청하는 화면예를 도시한다.
요청자 단말기(21)가 모바일 폰이라 가정할 때 사용자는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여 시청하고자 하는 이종(異種) 매체의 선택 화면을 연다(S9-1). 그리고, 선택한 이종(異種) 매체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의 목록이 표시되면 그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고 '시청' 메뉴를 선택한다(S9-2).
이하, 요청자 단말기(모바일 폰)(21)가 제2매체(IPTV)가 제공하는 제2컨텐츠(특정 영화)를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elle 서버)(200)에 요청하는 경우를 실례로 들어 본 실시예의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인증모듈(270)은 사용자의 모바일 폰(21)이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접근하면 아이디/비밀번호를 묻거나 인증서/인증서 암호를 요구하여 정식 회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201).
수신모듈(210)은 모바일 폰(21)으로부터 특정 영화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영화의 이동통신 변환본의 제공을 요청받는다(S203).
컨텐츠수집모듈(220)은 수신모듈(210)로부터 제공받은 영화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컨텐츠 정보 DB(261)를 검색하고, 그로부터 해당 영화 파일의 위치 정보를 파악한다(S205). 그리고, 파악된 위치로부터 영화 파일을 전송받는다(S207).
변환모듈(230)은 컨텐츠수집모듈(220)이 전송받은 영화 파일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에 적합한 수준의 화질/음향으로 재인코딩하고(S209), 저장모듈(240)은 재인코딩된 영화 파일을 컨텐츠 DB(도면에 미도시)에 저장한다.
전송모듈(260)은 컨텐츠 DB(도면에 미도시)에 저장된 영화 파일을 사용자의 모바일 폰(21)으로 전송한다(S211). 모바일 폰(21)과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200) 사이에 통신 세션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라면 상기 영화 파일의 전송은 곧바로 수행된다. 그러나, 변환 시간의 일정 수준 이상으로 지속되어 통신 세션이 종료된 경우라면, 전송모듈(260)은 회원 DB(271)로부터 요청자의 로그인 아이디에 매칭되는 위치정보를 검색한 후, 검색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매체를 통해 검색된 위치로 해당 컨텐츠를 전송한다. 상기 위치정보는 요청자의 회원 가입시 미리 등록될 수도 있고, 특정 컨텐츠의 요청을 위해 접속해온 때 실시간으로 파악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고,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제1매체에 대응하는 제1컨텐츠를 제2매체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매체 및 제2매체로 이용되는 인터넷 웹 분야, IPTV 분야, 이동통신 분야 및 DMB 분야의 컨텐츠 활용도를 높여 전자상거래를 증진하는 데 기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의 개념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100)를 컨텐츠를 제공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100)을 통해 매체별로 컨텐츠를 생성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요청자 단말기(21)에 통합 컨텐츠 프록시 서버를 등록하는 화면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요청자 단말기로 이종(異種) 매체의 컨텐츠를 요청하는 화면예를 도시한다.

Claims (18)

  1. 복수의 매체를 통해 접속 가능한 통합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매체 중 특정 매체의 접속을 허락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특정 매체로부터 특정 컨텐츠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특정 매체의 단말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단말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접속된 특정 매체와 대응되는 특정 객체 코드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호출하는 단계;
    상기 호출된 특정 객체 코드의 조합을 통해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특정 컨텐츠를 상기 특정 매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매체의 단말 특성 정보는
    디스플레이 정보 및 디코딩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컨텐츠 생성단계는 상기 추출된 객체 조합 시, 경계를 이루는 두 객체의 영상의 색차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 영상 신호를 보정 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생성된 특정 컨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보정 단계를 통해 획득된 영상 신호의 보정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 보정 단계는
    상기 경계를 이루는 영역의 색을 상기 두 객체의 중간 색으로 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매체는
    상기 IPTV, DMB, 인터넷, 이동통신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
  6. (a) 제1매체를 통해 특정 컨텐츠 제공을 요청받는 단계;
    (b) 특정 서버로부터 제2매체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를 전송받는 단계;
    (c) 상기 제2컨텐츠를 이용하여 제1매체에 대응하는 제1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컨텐츠 요청자에게 제1매체를 통해 상기 생성된 제1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e) 제2매체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미리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은
    (a-1) 제1매체를 통해 제2매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및
    (a-2) 상기 전송받은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위치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매체 및 제2매체는 IPTV, DMB, 인터넷, 이동통신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
  10. 복수의 매체를 통해 접속 가능한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매체 중 특정 매체의 접속 신호 및 접속된 특정 매체로부터 특정 컨텐츠의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접속된 특정 매체의 단말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선택 모듈;
    코드와 연계된 객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추출된 단말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접속된 특정 매체와 대응되는 특정 객체 코드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호출하는 호출 모듈;
    상기 호출된 특정 객체 코드의 조합을 통해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생성하는 변환 모듈;
    상기 생성된 특정 컨텐츠를 상기 특정 매체에 제공하는 전송 모듈; 및
    상기 특정 매체의 접속을 허락하고, 상기 수신 모듈, 상기 선택 모듈, 상기 데이터 베이스, 상기 호출 모듈, 상기 변환 모듈, 및 상기 전송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매체의 단말 특성 정보는
    디스플레이 정보 및 디코딩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는
    보정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보정 모듈을 통해 상기 추출된 객체 조합 시, 경계를 이루는 두 객체의 영상의 색차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 영상 신호를 보정 하고,
    상기 보정 모듈을 통해 획득된 영상 신호의 보정 정보를 상기 전송 모듈을 통해 상기 생성된 특정 컨텐츠 제공 시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모듈은
    상기 경계를 이루는 영역의 색을 상기 두 객체의 중간 색으로 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매체는
    상기 IPTV, DMB, 인터넷, 이동통신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
  15. 제1매체를 통해 특정 컨텐츠 제공을 요청받는 수신모듈;
    특정 서버로부터 제2매체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를 전송받는 컨텐츠수집모듈;
    상기 제2컨텐츠를 이용하여 제1매체에 대응하는 제1컨텐츠를 생성하는 변환모듈; 및
    상기 컨텐츠 요청자에게 제1매체를 통해 상기 생성된 제1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는
    제2매체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미리 수집하여 저장하는 정보수집모듈을 더 포함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은
    제1매체를 통해 제2매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전송받은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위치정보를 검색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매체 및 제2매체는 IPTV, DMB, 인터넷, 이동통신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통합 컨텐츠 제공 장치.
KR1020090078714A 2008-08-25 2009-08-25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000243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2712 2008-08-25
KR1020080082712 2008-08-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370A true KR20100024370A (ko) 2010-03-05

Family

ID=42176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714A KR20100024370A (ko) 2008-08-25 2009-08-25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43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267B1 (ko) * 2010-04-14 2012-04-12 한국과학기술원 컨텐츠 변환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80378A (ko) * 2011-01-07 2012-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 수집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45024A (ko) * 2013-10-17 2015-04-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267B1 (ko) * 2010-04-14 2012-04-12 한국과학기술원 컨텐츠 변환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80378A (ko) * 2011-01-07 2012-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 수집 방법 및 그 장치
WO2012093839A3 (en) * 2011-01-07 2012-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content
CN103329163A (zh) * 2011-01-07 2013-09-25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收集内容的方法及装置
US9288532B2 (en) 2011-01-07 2016-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content
KR20150045024A (ko) * 2013-10-17 2015-04-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0644B2 (en) Optimization of web page content including video
US9106709B2 (en) Server side mobile audience intelligence creation
US20180309765A1 (en) Redirection method for electronic content
US10055598B2 (en) Content and service aggregation, management and presentation system
CN110069661B (zh) 链接内容文件
US8695054B2 (en) Ingesting heterogeneous video content to provide a unified video provisioning service
US1039496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he dynamic creation of a translated website
US89595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pplications to various devices
EP1143679B1 (en) A conversational portal for providing conversational browsing and multimedia broadcast on demand
US8560683B2 (en) Video and site analytics
US20100087179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stributed online services
US9307042B2 (en) Orchestration server for video distribution network
US20070288836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nd accessing podcasts
US8234280B1 (en) Dynamic bitwise sharding of live stream comment groups
US20120317272A1 (en) Video Aware Paths
US9251501B2 (en) Cross-platform reporting user interface
US9172594B1 (en) IPv6 to web architecture
US202103776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information
KR20110047768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CN102113004B (zh) 采集因特网内容
US9032021B2 (en)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advertisement/news on scalable application service system
CN102469155A (zh) 家庭网络系统中的应用业务和共享方法
KR20100024370A (ko)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00250708A1 (en) Digital media referral and distribution
CN106302553A (zh) 推送信息服务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