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829B1 -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829B1
KR102456829B1 KR1020210085666A KR20210085666A KR102456829B1 KR 102456829 B1 KR102456829 B1 KR 102456829B1 KR 1020210085666 A KR1020210085666 A KR 1020210085666A KR 20210085666 A KR20210085666 A KR 20210085666A KR 102456829 B1 KR102456829 B1 KR 102456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lid
mold
outer panel
preform
w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순
금종원
노재우
Original Assignee
(주)탑아이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탑아이엔디 filed Critical (주)탑아이엔디
Priority to KR1020210085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2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4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and 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i.e. combined with compressing after the lay-up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6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은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의 성형 시, 미리 제작된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을 금형 내에 인서트한 상태로 성형과 동시에 접착되도록 하여 별도의 접합공정 없이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과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을 일체로 성형한다.

Description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trunk lid using composite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과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을 별도의 접합공정 없이 일체로 성형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 차량은 후방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인 트렁크 룸(trunk room)이 제공되며, 트렁크 룸은 트렁크 리드(trunk lid)에 의해 개폐된다.
트렁크 리드는 트렁크 룸을 여닫는 도어 기능을 가지며, 비, 먼지, 직사광선, 외기온 등으로부터 짐을 보호하는 기능이 있으며, 도난방지의 목적도 있다.
이러한 트렁크 리드는 외관을 이루는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과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 및 후방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 패널 등으로 이루어져 상호 조립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트렁크 리드는 스틸(steel) 소재의 패널을 프레스 성형을 통해 제작하여 각 부품을 상호 용접 접합 등을 통해 조립하며, 목적에 맞게 다양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트렁크 리드는 스틸 또는 알루미늄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됨에 따라 성형 및 용접 등의 생산공정이 많고, 제조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무엇보다 중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차체 외관을 형성하는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과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 및 후방 패널 등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과다한 보강부재가 적용되는 경우도 있어 최근 차체 경량화 추세에 역행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트렁크 리드가 갖는 단점을 해소하고, 차체 경량화 추세에 맞추어 경량 소재인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의 제조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의 성형 시, 미리 제작된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을 금형 내에 인서트한 상태로 성형과 동시에 접착되도록 하여 별도의 접합공정 없이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과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을 일체로 성형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에 있어서,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프리폼 금형 내에서 탄소계 연속 섬유 소재를 온간 상태로 가압 성형하여 프리폼 소재를 성형하는 프리폼 성형 공정(S10); 상기 프리폼 성형 공정에서 성형된 프리폼 소재를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온간 금형 내에서 수지 혼합물을 도포하여 온간 상태로 습식 압축 성형하여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을 성형하는 습식 압축 성형 공정(S20); 상기 습식 압축 성형 공정에서 성형된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을 트렁크 리드용 온간 금형 내에 인서트하고,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의 상부에 탄소계 비연속 섬유 혼합 시트 소재를 적층한 후, 온간 상태로 습식 압축 성형하여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과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을 일체로 성형하는 인서트 습식 압축 성형 공정(S30)을 포함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리폼 성형 공정(S10)은 연속 섬유 소재를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프리폼 금형 내에 안착하는 단계(S11);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프리폼 금형의 하형에 상형을 합형하여 온간 상태로 가압 성형하는 단계(S12); 및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프리폼 금형에 의해 성형된 프리폼 소재를 트림라인을 따라 컷팅하는 단계(S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속 섬유 소재는 여러 장 적층된 탄소계 트윌(Twill) 원단을 바인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습식 압축 성형 공정(S20)은 상기 프리폼 성형 공정에서 성형된 프리폼 소재를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온간 금형 내에 안착시켜 제1, 제2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개시제와 촉매제가 혼합된 수지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S21);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온간 금형의 하형에 상형을 합형하여 상기 수지 혼합물이 프리폼 소재에 함침되도록 온간 상태로 습식 압축 성형하는 단계(S22); 및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온간 금형에 의해 성형된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을 취출하여 트림라인을 따라 컷팅 및 후가공하는 단계(S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수지 혼합물은 에폭시(Epoxy)계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서트 습식 압축 성형 공정(30)은 상기 습식 압축 성형 공정에서 성형된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을 트렁크 리드용 온간 금형내에 인서트하는 단계(S31);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의 상부에 탄소계 비연속 섬유 혼합 시트 소재를 적층하여 투입하는 단계(S32); 상기 트렁크 리드용 온간 금형의 하형에 상형을 합형하여 인서트된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에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이 계면 접착된 상태로 일체로 성형되도록 설정온도로 인서트 습식 압축 온간 성형하는 단계(S33); 상기 트렁크 리드용 온간 금형으로부터 성형된 트렁크 리드 패널을 취출하는 단계(S34); 및 상기 트렁크 리드 패널의 트림라인을 따라 트림 성형 및 후 가공하는 단계(S3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계 비연속 섬유 시트 소재는 시트 몰딩 컴파운딩(sheet molding compounding) 방식으로, 수지 혼합물에 탄소섬유가 함침되어 제조된 시트 형태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계 비연속 섬유 시트 소재의 수지 혼합물은 에폭시(Epoxy)계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온도는 상기 트렁크 리드용 온간 금형의 상기 상형의 설정온도에 비하여 상기 하형의 설정온도가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에 의하면, 프리폼 성형 공정과 습식 압축 성형 공정을 통하여 성형된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을 인서트 습식 압축 성형 공정의 금형 내에 인서트 한 상태로,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의 성형 시, 성형과 동시에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과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이 일체로 접착되어 성형됨으로 별도의 접합공정이 필요하지 않은 이점이 있다.
또한,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과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을 일체로 성형함에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탄소계 연속 섬유 소재와 탄소계 비연속 섬유 소재를 이용함에 따라 강성 및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반면, 중량은 최소화 할 수 있어 차체 경량화에 효과가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 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의 공정 블록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의 단계별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에서, 도 2의 S12 단계의 공정도 상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에서, 도 2의 S21 단계의 공정도 상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에서, 도 3의 S32 단계의 공정도 상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에서, 도 3의 S33 단계의 공정도 상의 D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에서, 도 3의 S33 단계의 공정도 상의 E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에서, 도 3의 S33 단계의 공정도 상의 F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의 공정 블록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의 단계별 공정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은 프리폼 성형 공정(S10), 습식 압축 성형 공정(S20) 및 인서트 습식 압축 성형 공정(S30)을 포함한다.
먼저, 프리폼 성형 공정(S10)은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프리폼 금형 내에서 연속 섬유 소재(15)를 온간 상태로 가압 성형하여 프리폼 소재(17)를 성형한다.
이러한 프리폼 성형 공정(S1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속 섬유 소재(15)를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프리폼 금형 내의 하형(11)에 안착하는 단계(S11)를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연속 섬유 소재는 여러 장 적층된 탄소계 트윌(Twill) 원단을 바인딩하여 이루어진다.
이후,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프리폼 금형의 하형(11)에 상형(13)을 합형하여 온간 상태로 가압 성형하는 단계(S12)를 진행한다.
이어서,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프리폼 금형에 의해 성형된 프리폼 소재(17)를 트림라인을 따라 컷팅하는 단계(S13)를 진행한다.
그리고 이어서 진행되는 습식 압축 성형 공정(S20)은 상기 프리폼 성형 공정(S10)에서 성형된 프리폼 소재(17)를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온간 금형 내에서 수지 혼합물(S)을 도포하여 온간 상태로 습식 압축 성형하여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29)을 성형한다.
이러한 습식 압축 성형 공정(S2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프리폼 성형 공정(S10)에서 성형된 프리폼 소재(17)를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온간 금형 내의 하형(21)에 안착시켜 제1, 제2 탱크(25)(27)로부터 공급되는 개시제와 촉매제가 혼합된 수지 혼합물(S)을 금형 내부의 수지 공급구(L)를 통해 프리폼 소재(17)의 상부에 도포하는 단계(S21)를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탱크(25)(27)로부터 공급되는 수지 혼합물(S)은 에폭시(Epoxy)계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온간 금형의 하형(21)에 상형(23)을 합형하여 상기 수지 혼합물(S)이 프리폼 소재(17)에 함침되도록 온간 상태로 습식 압축 성형하는 단계(S22)를 진행한다.
이어서,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온간 금형에 의해 성형된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29)을 취출하여 트림라인을 따라 컷팅을 진행한 후, 후가공하는 단계(S23)를 진행한다.
이후,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29)을 이용하여 트인서트 습식 압축 성형 공정(S30)이 진행된다.
상기 인서트 습식 압축 성형 공정(S30)은 상기 습식 압축 성형 공정(S20)에서 성형된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29)을 트렁크 리드용 온간 금형 내의 하형(31)에 인서트하고,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29)의 상부에 탄소계 비연속 섬유 혼합 시트 소재(35)를 적층한 후, 온간 상태로 습식 압축 성형하여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29)과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37)을 일체로 성형한다.
이러한 인서트 습식 압축 성형 공정(3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습식 압축 성형 공정(S20)에서 성형된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29)을 트렁크 리드용 온간 금형의 하형(31)내에 인서트하는 단계(S31)를 진행한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29)의 상부에 탄소계 비연속 섬유 혼합 시트 소재(35)를 적층하여 투입하는 단계(S32)를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탄소계 비연속 섬유 시트 소재(35)는 시트 몰딩 컴파운딩(SMC: sheet molding compounding) 방식으로, 수지 혼합물에 탄소섬유가 함침되어 제조된 시트 형태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탄소계 비연속 섬유 시트 소재(35)에 사용되는 수지 혼합물은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의 성형 시, 사용된 동일한 에폭시(Epoxy)계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트렁크 리드용 온간 금형의 하형(31)에 상형(33)을 합형하여 인서트된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29)에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37)이 계면 접착된 상태로 일체로 성형되도록 설정온도로 인서트 습식 압축 온간 성형하는 단계(S33)를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온도는 상기 트렁크 리드용 온간 금형의 상기 상형의 설정온도에 비하여 상기 하형의 설정온도가 낮게 설정되어야 한다.
즉, 상기 하형(31)의 설정온도가 상형(33)에 비하여 낮은 이유는 에폭시(Epoxy)계 고분자 수지를 이용한 탄소계 비연속 섬유 시트 소재(35)가 온도에 대한 반응이 빨라 동일한 온도로 설정할 경우 금형이 가압하기 전에 일부 경화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면 굴곡 발생 및 품질이 저하될 수 있어 가사시간 확보를 위해 하형(31)의 설정온도를 약 90℃로 조절하고, 상형(33)의 설정온도를 하형(31)보다 높은 140℃로 조절하게 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29)은 성행 공정에서 선단에 트림단(29a)을 추가로 형성하여 성형과정에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37)의 소재인 탄소계 비연속 섬유 시트 소재(35)가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29)의 경계부를 덮거나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트렁크 리드용 온간 금형의 합형으로 트렁크 리드 패널(40)의 성형이 완료되면, 트렁크 리드 패널(40)을 금형으로부터 취출하는 단계(S34)를 진행한다.
이후, 상기 트렁크 리드 패널(40)은 트림라인을 따라 트림 성형된 후, 후 가공을 통해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29)에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37)이 계면 접착된 상태로 일체로 성형된 트렁크 리드 패널이 제조된다.(S35)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에 의하면, 프리폼 성형 공정(S10)을 통해 탄소계 연속 섬유 소재(15)를 이용하여 프리폼 소재(17)을 먼저 성형하고, 이후, 습식 압축 성형 공정(S20)을 통해 프리폼 소재(17)를 이용하여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29)을 성형한다.
이와 같이, 성형된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29)은 인서트 습식 압축 성형 공정(S30)을 통해 트렁크 리드용 온간 금형 내에 먼저 인서트된 상태로,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37)을 성형하기 위한 탄소계 비연속 섬유 혼합 시트 소재(35)와 함께 인서트 습식 압축 성형을 통하여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29)과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37)의 일체로 성형된 트렁크 리드 패널(40)로 제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은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37)의 성형 시, 미리 제작된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29)을 금형 내에 인서트한 상태로 성형과 동시에 접착되도록 하여 별도의 접합공정 없이도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37)과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29)을 일체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37)과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29)을 일체로 성형함에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무엇보다 탄소계 연속 섬유 소재와 탄소계 비연속 섬유 소재를 이용함에 따라 강성 및 강도는 향상되는 반면, 중량은 최소화 할 수 있어 차체 경량화에 유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들과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1: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프리폼 금형의 하형
13: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프리폼 금형의 상형
15: 연속 섬유 소재
17: 프리폼 소재
21: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온간 금형의 하형
23: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온간 금형의 상형
25: 제1, 제2 탱크
27: 제1, 제2 탱크
29: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
29a: 트림단
31: 트렁크 리드용 온간 금형의 하형
33: 트렁크 리드용 온간 금형의 하형
35: 탄소계 비연속 섬유 혼합 시트 소재
37: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
40: 트렁크 리드 패널
L: 수지 공급구
S: 수지 혼합물

Claims (15)

  1.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에 있어서,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프리폼 금형 내에서 탄소계 연속 섬유 소재를 온간 상태로 가압 성형하여 프리폼 소재를 성형하는 프리폼 성형 공정(S10);
    상기 프리폼 성형 공정에서 성형된 프리폼 소재를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온간 금형 내에서 수지 혼합물을 도포하여 온간 상태로 습식 압축 성형하여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을 성형하는 습식 압축 성형 공정(S20); 및
    상기 습식 압축 성형 공정에서 성형된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을 트렁크 리드용 온간 금형 내에 인서트하고,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의 상부에 탄소계 비연속 섬유 혼합 시트 소재를 적층한 후, 온간 상태로 습식 압축 성형하여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과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을 일체로 성형하는 인서트 습식 압축 성형 공정(S30)을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 습식 압축 성형 공정(30)은
    상기 습식 압축 성형 공정에서 성형된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을 트렁크 리드용 온간 금형 내에 인서트하는 단계(S31);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의 상부에 탄소계 비연속 섬유 혼합 시트 소재를 적층하여 투입하는 단계(S32);
    상기 트렁크 리드용 온간 금형의 하형에 상형을 합형하여 인서트된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에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이 계면 접착된 상태로 일체로 성형되도록 설정온도로 인서트 습식 압축 온간 성형하는 단계(S33);
    상기 트렁크 리드용 온간 금형으로부터 성형된 트렁크 리드 패널을 취출하는 단계(S34); 및
    상기 트렁크 리드 패널의 트림라인을 따라 트림 성형 및 후 가공하는 단계(S35)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온도는 상기 트렁크 리드용 온간 금형의 상기 상형의 설정온도에 비하여 상기 하형의 설정온도가 낮게 설정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폼 성형 공정(S10)은
    연속 섬유 소재를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프리폼 금형 내에 안착하는 단계(S11);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프리폼 금형의 하형에 상형을 합형하여 온간 상태로 가압 성형하는 단계(S12); 및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프리폼 금형에 의해 성형된 프리폼 소재를 트림라인을 따라 컷팅하는 단계(S13);
    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섬유 소재는
    여러 장 적층된 탄소계 트윌(Twill) 원단을 바인딩하여 이루어지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압축 성형 공정(S20)은
    상기 프리폼 성형 공정에서 성형된 프리폼 소재를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온간 금형 내에 안착시켜 제1, 제2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개시제와 촉매제가 혼합된 수지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S21);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온간 금형의 하형에 상형을 합형하여 상기 수지 혼합물이 프리폼 소재에 함침되도록 온간 상태로 습식 압축 성형하는 단계(S22); 및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온간 금형에 의해 성형된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을 취출하여 트림라인을 따라 컷팅 및 후가공하는 단계(S23);
    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수지 혼합물은
    에폭시(Epoxy)계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비연속 섬유 시트 소재는
    시트 몰딩 컴파운딩(sheet molding compounding) 방식으로, 수지 혼합물에 탄소섬유가 함침되어 제조된 시트 형태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비연속 섬유 시트 소재의 수지 혼합물은
    에폭시(Epoxy)계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
  9. 삭제
  10.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연속 섬유 소재를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프리폼 금형 내에 안착하는 단계(S11)와,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프리폼 금형의 하형에 상형을 합형하여 온간 상태로 가압 성형하는 단계(S12), 및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프리폼 금형에 의해 성형된 프리폼 소재를 트림라인을 따라 컷팅하는 단계(S13)로 이루어지는 프리폼 성형 공정(S10);
    상기 프리폼 성형 공정에서 성형된 프리폼 소재를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온간 금형 내에 안착시켜 제1, 제2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개시제와 촉매제가 혼합된 수지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S21)와,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온간 금형의 하형에 상형을 합형하여 상기 수지 혼합물이 프리폼 소재에 함침되도록 온간 상태로 습식 압축 성형하는 단계(S22), 및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용 온간 금형에 의해 성형된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을 취출하여 트림라인을 따라 컷팅 및 후가공하는 단계(S23)로 이루어지는 습식 압축 성형 공정(S20); 및
    상기 습식 압축 성형 공정에서 성형된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을 트렁크 리드용 온간 금형 내에 인서트하는 단계(S31)와,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의 상부에 탄소계 비연속 섬유 혼합 시트 소재를 적층하여 투입하는 단계(S32)와, 상기 트렁크 리드용 온간 금형의 하형에 상형을 합형하여 인서트된 상기 트렁크 리드 아웃터 패널에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이 계면 접착된 상태로 일체로 성형되도록 설정온도로 인서트 습식 압축 온간 성형하는 단계(S33)와, 상기 트렁크 리드용 온간 금형으로부터 성형된 트렁크 리드 패널을 취출하는 단계(S34), 및 상기 트렁크 리드 패널의 트림라인을 따라 트림 성형 및 후 가공하는 단계(S35)로 이루어지는 인서트 습식 압축 성형 공정(30)을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 습식 압축 성형 공정(30)의 상기 설정온도는 상기 트렁크 리드용 온간 금형의 상기 상형의 설정온도에 비하여 상기 하형의 설정온도가 낮게 설정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섬유 소재는
    여러 장 적층된 탄소계 트윌(Twill) 원단을 바인딩하여 이루어지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수지 혼합물은
    에폭시(Epoxy)계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비연속 섬유 시트 소재는
    시트 몰딩 컴파운딩(sheet molding compounding) 방식으로, 수지 혼합물에 탄소섬유가 함침되어 제조된 시트 형태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비연속 섬유 시트 소재의 수지 혼합물은
    에폭시(Epoxy)계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
  15. 삭제
KR1020210085666A 2021-06-30 2021-06-30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 KR102456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666A KR102456829B1 (ko) 2021-06-30 2021-06-30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666A KR102456829B1 (ko) 2021-06-30 2021-06-30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829B1 true KR102456829B1 (ko) 2022-10-21

Family

ID=83805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666A KR102456829B1 (ko) 2021-06-30 2021-06-30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8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6264A (ja) * 2002-02-06 2003-08-12 Kobe Steel Ltd 車体パネル
JP2011020614A (ja) * 2009-07-17 2011-02-03 Toray Ind Inc 自動車用フードパネル
JP2018008588A (ja) * 2016-07-12 2018-01-18 トヨタ自動車東日本株式会社 樹脂製パネル構造及び自動車用樹脂製ドア並びに樹脂製ドアの製造方法
KR20200072660A (ko) * 2018-12-13 2020-06-23 (주)엘지하우시스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외부 패널을 포함한 트렁크 리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6264A (ja) * 2002-02-06 2003-08-12 Kobe Steel Ltd 車体パネル
JP2011020614A (ja) * 2009-07-17 2011-02-03 Toray Ind Inc 自動車用フードパネル
JP2018008588A (ja) * 2016-07-12 2018-01-18 トヨタ自動車東日本株式会社 樹脂製パネル構造及び自動車用樹脂製ドア並びに樹脂製ドアの製造方法
KR20200072660A (ko) * 2018-12-13 2020-06-23 (주)엘지하우시스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외부 패널을 포함한 트렁크 리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6339B2 (ja) 乗用車用のサイドパネル組立体
US5000990A (en) One piece molded composite par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230391172A1 (en) Hybrid composite tailgate
DE102011118980B4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ußenmoduls mit einer Außenbeplankung für eine modular aufgebaute Gehäusekomponente
US20170282484A1 (en) Structure with Honeycomb Core
US8465084B2 (en) Bodyshell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WO2010012348A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bauteils aus kunststoff,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s verbundbauteil und verwendung eines solchen
US20130334843A1 (en) Interior Lining for a Motor Vehicle, which Comprises a Roof Liner and a Stiffening Fram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ame
DE102008009438A1 (de) Verfahren und Anlage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mit veredelter Sichtfläche aus Faserverbundkunststoffen
US9862254B2 (en) Functionally optimized fiber composite compon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2456829B1 (ko)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제조 방법
KR102144435B1 (ko)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외부 패널을 포함한 트렁크 리드 및 그 제조방법
US10576811B2 (en) Folding top having panel bows
US20190389107A1 (en) Vehicle outer surface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vehicle outer surface component
KR101705628B1 (ko) 자동차 트렁크보드 및 그 제조방법
US20210276299A1 (en) Vehicle PU composite component comprising a layered construction having a honeycomb structure
US20150298373A1 (en) Method for producing a flat motor vehicle body member and motor vehicle body member
US11554815B2 (en) Fiber-reinforced vehicle body
KR101776432B1 (ko) 자동차 루프용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56830B1 (ko) 복합소재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US10427505B2 (en) Roof module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roof module
US20230150582A1 (en) Outer Skin Component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an Outer Skin Component
KR20160136506A (ko) 자동차 보강멤버 및 그 제조방법
DE102014015063B4 (de) Karosserieaußenhautteil in Kunststoff-Verbundbauweise
KR20010037121A (ko)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자동차 후방문 조립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