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792B1 - 전동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792B1
KR102456792B1 KR1020150159364A KR20150159364A KR102456792B1 KR 102456792 B1 KR102456792 B1 KR 102456792B1 KR 1020150159364 A KR1020150159364 A KR 1020150159364A KR 20150159364 A KR20150159364 A KR 20150159364A KR 102456792 B1 KR102456792 B1 KR 102456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piston
elastically deformable
screw bar
brak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6144A (ko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9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792B1/ko
Publication of KR20170056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02Fluid-pressure mechanisms
    • F16D2125/06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02Fluid-pressure mechanisms
    • F16D2125/08Seals, e.g. piston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전동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는: 캘리퍼바디의 내측에 위치하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크루바와, 스크루바의 외측에 기어 연결되며 스크루바의 회전으로 직선 이동되는 스핀들과, 스핀들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스핀들과 함께 이동되어 패드부재를 가압하는 피스톤 및 탄성 변형되는 재질로 성형되어 스핀들과 피스톤의 사이에 설치되며 스핀들과 함께 이동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 브레이크 장치{ELECTRO MECHANICAL BRAKE DEVICE}
본 발명은 전동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동력 발생시 캘리퍼바디의 틸팅 거동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동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 시스템인 BBW(Brake By Wire System, 이하 'BBW')는 유압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차량을 제동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BBW에는 휠 디스크 제동력으로, 구동모터의 동력을 이용하는 방식인 EMB(Electro Mechanical Brake, 이하 'EMB')나, 구동모터의 동력을 웨지구조로 자가배력(Self-Energizing)시켜 큰 제동력을 형성시켜주는 방식인 EWB(Electro Wedge Brake, 이하 'EWB')가 적용된다.
EMB는 유압을 사용하지 않고,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스크류와 너트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피스톤을 가압하는 전동식 제동장치를 말한다. EMB에서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증가한 기어로 스크류 기어가 회전되면, 스핀들이 스크류 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피스톤을 가압한다. 가압된 피스톤은 마찰재인 패드를 휠디스크에 압착시키므로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종래에는 EMB 제동시 캘리퍼바디에 제동력이 가해지면 상부를 기준으로 벤딩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피스톤의 상측은 피스톤의 하측보다 많은 힘이 걸리게 되어 스핀들이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스핀들의 동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34052호(2015.04.02 공개, 발명의 명칭: 전동 브레이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동력 발생시 캘리퍼바디의 틸팅 거동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동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는: 캘리퍼바디의 내측에 위치하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크루바와, 스크루바의 외측에 기어 연결되며 스크루바의 회전으로 직선 이동되는 스핀들과, 스핀들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스핀들과 함께 이동되어 패드부재를 가압하는 피스톤 및 탄성 변형되는 재질로 성형되어 스핀들과 피스톤의 사이에 설치되며 스핀들과 함께 이동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핀들은, 스크루바의 외측에 형성된 수나사산에 맞물리는 암나사산이 내측에 구비되는 스핀들몸체 및 스핀들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탄성변형부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장착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핀들은, 스핀들몸체에서 피스톤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외측은 곡면을 형성하는 라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스톤은, 스핀들이 삽입되는 일측은 개구되며 패드부재를 향한 타측은 차폐된 피스톤몸체 및 라운드부와 마주하는 내측에 곡면을 형성하는 내측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피스톤몸체와 캘리퍼바디의 사이에 설치되어 기밀작용을 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변형부는, 탄성을 구비하며 링 형상으로 성형되며, 스핀들 이동시 실링부재보다 큰 마찰력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는, 캘리퍼바디 틸팅 거동시 스핀들과 피스톤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변형부가 변형되어 캘리퍼바디의 틸팅에 의해 스핀들이 변형됨을 감소시키므로 기기의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핀들 이동시 스핀들과 피스톤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변형부가 피스톤의 내측에 접하면서 마찰력을 발생시키므로 스핀들과 피스톤의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져서 비제동시 잔류 드래그 토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의 외측에 탄성변형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에서 탄성변형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변형부와 실링부재의 마찰력을 선도로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의 외측에 탄성변형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에서 탄성변형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변형부와 실링부재의 마찰력을 선도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1)는, 캘리퍼바디(10)의 내측에 위치하며 구동모터(도시생략)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크루바(20)와, 스크루바(20)의 외측에 기어 연결되며 스크루바(20)의 회전으로 직선 이동되는 스핀들(30)과, 스핀들(3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스핀들(30)과 함께 이동되어 패드부재(12)를 가압하는 피스톤(40) 및 탄성 변형되는 재질로 성형되어 스핀들(30)과 피스톤(40)의 사이에 설치되며 스핀들(30)과 함께 이동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변형부(50)를 포함한다.
EMB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기어에 의해 증가시켜 스크루바(20)를 회전시키며, 스크루바(20)는 스핀들(30)의 내측에 기어 연결된다. 스크루바(20)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측에 수나사산이 구비된다. 스크루바(20)는 스핀들(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스핀들(30)의 내측에 구비된 암나사산에 맞물리며, 피스톤(40)의 내측에서 스핀들(30)의 회전은 구속된다. 따라서 스크루바(20)의 회전으로 피스톤(40)은 좌우방향으로 이동된다.
스핀들(30)은 회전방향에 대해 회전이 구속되며, 스크루바(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으면 따라 회전하지 않고 직선운동을 하여 패드부재(12)와 마주하는 피스톤(40)을 가압한다.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크루바(20)가 역회전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스핀들(30)은 패드부재(1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을 한다. 브레이크의 제동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구동모터의 동작으로 피스톤(40)의 후진되므로 비 제동시 잔류 드래그를 최소화할 수 있다. EMB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와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 등의 구성은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캘리퍼바디(10)는 제동력 발생시 상부(도 1기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벤딩 변형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패드부재(12)와 접하고 있는 피스톤(40)의 상단부에는 많은 힘이 걸리고, 하단부에는 비교적 적은 힘이 걸린다. 이때, 캘리퍼바디(10)와 같이 피스톤(40)이 벤딩될 때, 스핀들(30)의 라운드부(36) 형상에 의해 스핀들(30)의 벤딩이 1차 감소되며, 탄성변형부(50)의 변형에 의해 스핀들(30)의 벤딩이 2차 감소된다. 따라서 캘리퍼바디(10)의 벤딩 현상이 발생되어도, 스핀들(30)의 벤딩이 발생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발생하므로 스핀들(30)의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핀들(30)에 결합되는 스크루바(20)는 캘리퍼바디(10)의 내측에 위치하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스핀들(30)은 스크루바(20)의 외측에 기어 연결되며, 스크루바(20)의 회전으로 직선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30)은 스핀들몸체(32)와 장착홈부(34)와 라운드부(36)를 포함한다.
스핀들몸체(32)는 스크루바(20)의 외측에 형성된 수나사산에 맞물리는 암나사산이 내측에 구비된다. 스핀들몸체(32)의 외측에는 복수의 돌기가 돌출되어 스핀들몸체(32)의 길이방향(도 2기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스핀들몸체(32)와 마주하는 피스톤(40)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따라서 스핀들(30)의 회전은 구속되며, 좌우방향 직선 이동만 허용된다.
장착홈부(34)는 스핀들몸체(32)의 외측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므로 장착홈부(34)의 내측에 탄성변형부(50)가 삽입된다. 장착홈부(34)는 스핀들몸체(32)에서 패드부재(12)를 향한 일측에 위치한다.
라운드부(36)는 스핀들몸체(32)에서 피스톤(40)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외측은 곡면을 형성한다. 스핀들몸체(32)에서 패드부재(12)를 향한 일측에 연결된 라운드부(36)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스핀들몸체(32)에서 패드부재(12)를 향하여 연장된 라운드부(36)의 외측 둘레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스핀들(30)과 피스톤(40)이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피스톤(40)과 접하는 스핀들(30)의 일측이 둥근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제동시 캘리퍼바디(10)의 틸팅 변형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즉, 캘리퍼바디(10)와 함께 피스톤(40)이 회전되어도, 피스톤(40)에 접하는 스핀들(30)의 일측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스핀들(30)이 피스톤(40)과 같이 회전되지 않거나, 회전되어도 회전되는 각도를 작게 할 수 있다.
피스톤(40)은 스핀들(3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스핀들(30)과 함께 이동되어 패드부재(12)를 가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40)은 스핀들(30)이 삽입되는 일측은 개구되며 패드부재(12)를 향한 타측은 차폐된 피스톤몸체(42)를 포함한다. 피스톤몸체(4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스핀들(30)이 삽입되는 방향은 개구되었으며, 패드부재(12)와 마주하는 부분은 차폐된 형상이다. 스핀들(30)의 라운드부(36)와 마주하는 피스톤몸체(42)의 내측은 라운드부(36)의 테두리와 이격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라운드부(36)와 같이 곡면을 형성하는 형상으로 내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40)은 라운드부(36)와 마주하는 내측에 곡면을 형성하는 내측곡면부(44)를 포함하므로, 스핀들(30)이 피스톤(40)과 함께 틸팅되어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부(50)는 탄성 변형되는 재질로 성형되어 스핀들(30)과 피스톤(40)의 사이에 설치되며, 스핀들(30)과 함께 이동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피스톤(40)과 스핀들(30) 사이에 플렉시블(Flexible)한 탄성변형부(50)가 설치된다. 피스톤(40)과 스핀들(30)이 분리되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스핀들(30)은 후진 이동을 할 수 있으나 피스톤(40)은 강제 후진 이동을 할 수 없다. 이로 인하여 비 제동시 잔류 드래그 토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핀들(30)과 피스톤(40) 사이에 플렉시블한 재질의 부품인 탄성변형부(50)를 설치하여 스핀들(30)과 피스톤(40) 사이의 습동 저항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1)에서는 스핀들(30)의 후진 이동시 피스톤(40)도 같이 후진 이동할 수 있다.
탄성변형부(50)가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는 플렉시블한 특징을 가지므로, 캘리퍼바디(10)의 틸팅 모멘트 발생시 탄성변형부(50)의 형상이 변형되어 캘리퍼바디(10)의 틸팅 모멘트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탄성변형부(50)의 강성이 커지면 피스톤(40)과 스핀들(30) 사이의 습동 저항력이 작아지며, 탄성변형부(50)의 습동 저항력이 커지면 탄성변형부(50)의 강성이 작아진다. 따라서 탄성변형부(50)의 설계시 탄성변형부(50)의 강성과 탄성변형력에 의해 발생되는 습동 저항력을 고려하여야 하며, 피스톤(40)에 가해지는 제동 클램핑력에 비하면 탄성변형부(50)가 스핀들(30)에 미치는 힘은 그다지 큰 값이 아니므로 설계 자유도가 좁아지지는 않는다.
피스톤(40)과 스핀들(30) 사이의 탄성변형부(50)는 실링부재(60)의 용도는 아니며, 스핀들(30)의 후진이동시 피스톤(40)도 같이 후진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높은 저항력을 발생시킨다.
실링부재(60)는 피스톤몸체(42)와 캘리퍼바디(10)의 사이에 설치되어 기밀작용을 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기밀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실링부재(60)는 피스톤(40)과 마주하는 캘리퍼바디(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실링부재(60)에 의해 발생되는 습동저항은 탄성변형부(50)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습동저항보다 작다. 스핀들(30)의 직선 이동시 스핀들(30)과 함께 이동되는 탄성변형부(50)가 피스톤(40)의 내측에 접하면서 발생되는 습동저항은, 피스톤(40)과 실링부재(60)가 접하면서 발생되는 습동저항보다 크다. 따라서 스핀들(30)과 함께 피스톤(40)이 전진과 후진을 하므로 브레이크의 제동과 제동해제시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0)의 단면은 "X"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실링부재(60)는 탄성변형부(50)보다 습동저항이 작다.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부(50)는, 탄성을 구비하며 링 형상으로 성형되며, 스핀들(30) 이동시 실링부재(60)보다 큰 마찰력을 형성한다.
탄성변형부(50)의 플렉시블한 정도와 습동 저항력 사이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탄성변형부(50)의 설계가 이루어진다.
탄성변형부(50)에 의한 마찰력을 제1마찰력(70)이라 하며, 실링부재(60)에 의한 마찰력을 제2마찰력(72)이라 한다. 제1마찰력(70)은 제2마찰력(72)보다 커야 하며, 실링부재(60)를 일반 유압 캘리퍼의 사각단면 실(Seal)을 사용할 경우 제2마찰력(72)은 10kN 내지 30kN로 설정한다. 또는 실링부재(60)를 "X"자 단면 형상을 갖는 실을 사용하는 경우, 제2마찰력(72)은 10kN 이하로 낮출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동저항인 습동 마찰력을 Y축으로 하며, 전동 브레이크 장치(1)의 클램핑력을 X축으로 하는 선도를 그릴 경우, 설정지점(74) 이하에서는 제1마찰력(70)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나, 설정지점(74)을 넘어가서는 제1마찰력(70)에 의한 습동 마찰력 지수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아도 된다. 제1마찰력(70)의 변곡점이 되는 설정지점(74)은 1kN 내지 10kN으로 설정하며, 전동 브레이크 장치(1)의 크기와 용도에 따라 설정지점(74)의 설정값은 변경될 수 있다.
탄성변형부(50)의 플렉시블한 정도는 스핀들(30)의 효율이 중요해지는 고하중 조건에서 캘리퍼 바디의 틸팅 모멘트에 의해 탄성변형부(50)가 변형되는 동작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동 브레이크 장치(1)에 의한 제동력이 형성할 경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은 스크루바(20)가 회전되면, 스크루바(20)에 나사산이 맞물리는 스핀들(30)이 패드부재(12)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스핀들(30)은 피스톤(40)의 내측에 접하여 피스톤(40)을 패드부재(12)를 향한 방향으로 가압하면, 피스톤(40)은 패드부재(12)를 가압하여 제동력을 형성한다.
제동력 형성시 캘리퍼바디(10)의 상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틸팅 모멘트가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캘리퍼바디(10)와 함께 피스톤(40)이 소정 각도 회전된다. 피스톤(40)과 마주하는 스핀들(30)의 일단에 라운드부(36)가 구비다. 따라서, 피스톤(40) 회전시 스핀들(30)이 맞물려 회전되지 않고 라운드부(36)의 곡면 형상에 의해 피스톤(40)과 스핀들(30)의 회전이 동기화되지 않으므로 스핀들(30)의 변형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제동력을 해제할 경우, 스크루바(20)를 역회전시켜 패드부재(1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스핀들(30)을 이동시킨다. 스핀들(30)과 함께 이동되는 탄성변형부(50)가 피스톤(40)의 내측에 접하면서 발생되는 제1마찰력(70)이 실링부재(60)가 피스톤(40)의 외측에 접하면서 발생시키는 제2마찰력(72)보다 크므로, 스핀들(30)과 함께 피스톤(40)은 패드부재(1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캘리퍼바디(10) 틸팅 거동시 스핀들(30)과 피스톤(40)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변형부(50)가 변형되어 캘리퍼바디(10)의 틸팅에 의해 스핀들(30)이 변형됨을 감소시키므로 기기의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핀들(30) 이동시 스핀들(30)과 피스톤(40)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변형부(50)가 피스톤(40)의 내측에 접하면서 마찰력을 발생시키므로 스핀들(30)과 피스톤(40)의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져서 비제동시 잔류 드래그 토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전동 브레이크 장치
10: 캘리퍼바디 12: 패드부재
20: 스크루바 30: 스핀들
32: 스핀들몸체 34: 장착홈부
36: 라운드부 40: 피스톤
42: 피스톤몸체 44: 내측곡면부
50: 탄성변형부 60: 실링부재
70: 제1마찰력 72: 제2마찰력 74: 설정지점

Claims (6)

  1. 캘리퍼바디의 내측에 위치하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크루바;
    상기 스크루바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스크루바의 회전으로 직선 이동되는 스핀들;
    상기 스핀들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스핀들과 함께 이동되어 패드부재를 가압하는 피스톤; 및
    탄성 변형되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스핀들과 상기 피스톤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스핀들과 함께 이동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고,
    제동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벤딩 변형 시, 상기 탄성변형부는 벤딩되는 상기 피스톤과 접촉되어 변형되고, 상기 스핀들은 상기 탄성변형부의 변형량만큼 상기 피스톤의 벤딩 변형량보다 감소되어 벤딩되며,
    상기 스핀들이 상기 패드부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후진 시,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스핀들과 함께 이동되면서 마찰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을 함께 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브레이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은, 상기 스크루바의 외측에 형성된 수나사산에 맞물리는 암나사산이 내측에 구비되는 스핀들몸체; 및
    상기 스핀들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변형부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장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브레이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은, 상기 스핀들몸체에서 상기 피스톤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외측은 곡면을 형성하는 라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브레이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스핀들이 삽입되는 일측은 개구되며, 상기 패드부재를 향한 타측은 차폐된 피스톤몸체; 및
    상기 라운드부와 마주하는 내측에 곡면을 형성하는 내측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브레이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몸체와 상기 캘리퍼바디의 사이에 설치되어 기밀작용을 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브레이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는, 탄성을 구비하며 링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스핀들 이동시 상기 실링부재보다 큰 마찰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브레이크 장치.
KR1020150159364A 2015-11-13 2015-11-13 전동 브레이크 장치 KR102456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364A KR102456792B1 (ko) 2015-11-13 2015-11-13 전동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364A KR102456792B1 (ko) 2015-11-13 2015-11-13 전동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144A KR20170056144A (ko) 2017-05-23
KR102456792B1 true KR102456792B1 (ko) 2022-10-20

Family

ID=59050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364A KR102456792B1 (ko) 2015-11-13 2015-11-13 전동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7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2299B (zh) * 2017-09-26 2021-02-2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线控制动系统及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783B1 (ko) 2012-09-10 2013-11-21 주식회사 만도 주차기능을 갖는 전자식 캘리퍼 브레이크
US20140231189A1 (en) * 2013-02-18 2014-08-21 Mando Corporation Electric caliper brake
KR101536598B1 (ko) 2014-06-17 2015-07-14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2267A (ja) * 1997-10-30 1999-05-18 Nisshinbo Ind Inc ディスクブレーキのパッド間隙自動調整装置
KR100622473B1 (ko) * 2003-12-10 2006-09-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디스크브레이크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783B1 (ko) 2012-09-10 2013-11-21 주식회사 만도 주차기능을 갖는 전자식 캘리퍼 브레이크
US20140231189A1 (en) * 2013-02-18 2014-08-21 Mando Corporation Electric caliper brake
KR101536598B1 (ko) 2014-06-17 2015-07-14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144A (ko) 201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19584B (zh) 电动钳式制动器
KR101878692B1 (ko)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US9874257B2 (en) Electric caliper brake
EP2687743B1 (en) Caliper parking brake
US8668057B2 (en) Parking brake
KR101816397B1 (ko) 전동식 브레이크
US9919686B2 (en) Disc brake for a motor vehicle, having a sealing arrangement designed for an electronic parking brake
CN110173519B (zh) 电子钳式制动器
US20190277355A1 (en) Drag reducing structure and electric disk brake having the same
KR102611404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US20230123351A1 (en) Brake assembly with active piston retraction
KR102456792B1 (ko) 전동 브레이크 장치
KR20150137718A (ko) 전자식 캘리퍼 브레이크
KR101853760B1 (ko) 전자식 캘리퍼 브레이크
KR101796492B1 (ko)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KR102223847B1 (ko) 페달 시뮬레이터
KR101536598B1 (ko)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KR102588922B1 (ko)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KR102488518B1 (ko) 전자식 캘리퍼 브레이크
KR102670365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KR101956721B1 (ko) 스핀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KR102032723B1 (ko) 피스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20180047864A (ko)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JP2010038334A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KR20230003897A (ko)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