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685B1 - 소성회전계수를 고려한 이중클립게이지 기반의 파괴인성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소성회전계수를 고려한 이중클립게이지 기반의 파괴인성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685B1
KR102456685B1 KR1020210020502A KR20210020502A KR102456685B1 KR 102456685 B1 KR102456685 B1 KR 102456685B1 KR 1020210020502 A KR1020210020502 A KR 1020210020502A KR 20210020502 A KR20210020502 A KR 20210020502A KR 102456685 B1 KR102456685 B1 KR 102456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displacement
load
test piece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6974A (ko
Inventor
김명현
박정열
임영철
남수정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0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685B1/ko
Publication of KR20220116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Crack, flaws, fracture or rupture
    • G01N2203/0062Crack or flaws
    • G01N2203/0064Initiation of crac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02Control of the test
    • G01N2203/0212Theories, calcu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성회전계수를 고려한 이중클립게이지 기반의 파괴인성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시험편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된 시험편의 상단에 기설정된 인장하중을 가하는 하중 인가부와, 상기 하중에 의해 상기 시험편에 발생되는 균열에 대한 변위정보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부를 포함하는 시험 장치를 이용한 파괴인성 측정 방법에 있어서, 기설정된 표준 규격에 따른 노치가 형성된 시험편을 준비하여 상기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시험편의 상단에 소정 높이의 안착면을 가지는 지그를 설치하고, 상기 노치 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변위 측정부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하중 인가부를 이용해 상기 노치의 상단에 일정 진폭의 반복 인장하중을 부가하여 상기 노치의 내측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예비피로균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변위 측정부를 상기 지그의 안착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준정적 인장하중을 적용하여 상기 예비피로균열의 입구에 대한 변위량을 측정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예비피로균열의 선단에 기초한 소성영역에서의 변위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소성영역에서의 변위량과 상기 안착면과 상기 시험편의 상단면 사이의 높이차에 기초하여 상기 소성영역에 대한 소성회전계수 값과 파괴인성 예측값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파괴인성 예측값의 산출 시 시험편의 예비균열선단에 발생하는 소성변형에 영향을 주는 소성회전계수 값을 수정하여 종래의 경우보다 소성변형을 더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성회전계수를 고려한 이중클립게이지 기반의 파괴인성 측정 방법{METHOD OF MEASURING FRACTURE TOUGHNESS CONSIDERING THE PLASTIC ROTATIONAL FACTOR BASED ON DOUBLE CLIP GAUGE}
본 발명은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표준규격에 기초한 시험편에 대한 파괴인성값 측정 시 소성 변형 측정에 기여하는 소성회전계수를 고려한 이중클립게이지 기반의 파괴인성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형구조물의 예기치 못한 파손은 심각한 손실을 가져오기 때문에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기법의 구조건전성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용 중인 구조물의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에 가해진 응력 정보, 구조물 내부에 존재하는 결함 정보, 그리고 구조물 소재의 물성 정보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선박 및 해양플랜트 설계 시 선급 및 선주는 적용 강재 및 용접부에 대한 건전성 평가를 필수로 요구하는데 이러한 건전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소재의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는 파괴인성 평가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파괴인성 평가는 규격화된 특정한 모양과 크기의 시편을 제작하여 해당 시편에 예비균열을 형성한 후 그 균열 주위의 응력과 변형량을 역학적으로 해석하여, 균열의 크기와 진전방향 등을 측정한 올바른 시험법을 확립한 후, 그 시험을 통하여 파괴가 일어나는 조건을 구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파괴인성 평가에서는 재료의 취성파괴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는 파괴인성(Fracture Toughness)을 확인할 수 있는 평면 변형 파괴인성값(Plane Strain Fracture Toughnes, JIC)과 탄소성 등가응력확대계수(Stress Intensity Factor, KJC)가 중요한 파괴인성 파라미터로 이용된다.
대표적인 파괴인성 시험방법은 피로예비균열(Fatigue Precracking)을 도입한 컴팩트 인장시험(compact tension)과 3점 굽힘시험(3-point-single edge notched bend)이 있다. 이러한 실험을 위해서는 재료의 원판으로부터 소정의 방향과 크기(하중방향과 균열진전방향에 대한 ASTM 규격 참조)로 다수의 시편을 채취하고, 이를 실제로 파괴하면서 균열의 진전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한편, 종래에는 영국 표준 규격(BS)을 기반으로 단일클립게이지(single clip gauge)를 이용하여 CTOD(Crack Tip Opening Displacement)를 측정한 결과에 따라 파괴인성을 평가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 들어 CTOD 관련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기존의 CTOD 정의 개선, 균열 개구 변위 실측 및 구속효과가 감소된 SENT 시험편을 적용하는 방법 등이 새롭게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범용화된 영국 표준 규격(BS) 기반의 단일클립게이지를 이용한 CTOD 측정 방식의 경우, 재료의 소성 변형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불가하거나 파괴인성의 편차가 크게 발생하는 한계가 존재한다.
KR 10-1254547 B1 KR 10-1289905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표준규격에 기초한 시험편에 대한 파괴인성값 측정 시 소성 변형 측정에 기여하는 소성회전계수를 고려하는 이중클립게이지 기반의 파괴인성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파괴인성 측정 방법은, 소정의 시험편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된 시험편의 상단에 기설정된 인장하중을 가하는 하중 인가부와, 상기 하중에 의해 상기 시험편에 발생되는 균열에 대한 변위정보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부를 포함하는 시험 장치를 이용한 파괴인성 측정 방법에 있어서, 기설정된 표준 규격에 따른 노치가 형성된 시험편을 준비하여 상기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시험편의 상단에 소정 높이의 안착면을 가지는 지그를 설치하고, 상기 노치 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변위 측정부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하중 인가부를 이용해 상기 노치의 상단에 일정 진폭의 반복 인장하중을 부가하여 상기 노치의 내측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예비피로균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변위 측정부를 상기 지그의 안착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준정적 인장하중을 적용하여 상기 예비피로균열의 입구에 대한 변위량을 측정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예비피로균열의 선단에 기초한 소성영역에서의 변위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소성영역에서의 변위량과 상기 안착면과 상기 시험편의 상단면 사이의 높이차에 기초하여 상기 소성영역에 대한 소성회전계수 값과 파괴인성 예측값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그는 기설정된 두 개의 서로 상이한 높이값에 대응하는 제1 안착면 및 제2 안착면을 가지는 것이며, 상기 변위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변위 측정부의 접촉단을 상기 제1 안착면 및 제2 안착면에 각각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하중 인가부에 의해 준정적 인장하중을 부가함에 따른 상기 예비피로균열의 입구에 대한 개구 변위량에 대응하는 제1 입구변위값 및 제2 입구변위값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와, 소정 재료에 대한 인장응력의 탄성 한계에 대응하는 항복점을 기준으로 탄성영역과 소성영역으로 구분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소성 힌지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인장하중에 대한 상기 제1 입구변위값 및 제2 입구변위값에 따른 하중-변위 곡선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도출된 하중-변위 곡선에 따른 상기 탄성영역의 기울기와, 상기 제1 안착면 및 제2 안착면 각각으로부터 상기 시험편의 상단면 사이의 높이차에 대응하는 제1 선단에지값 및 제2 선단에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예비피로균열의 선단에 대한 상기 소성영역에서의 개구 변위량에 대응하는 제1 선단변위값 및 제2 선단변위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예비피로균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변위량을 산출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노치의 초기길이와 상기 시험편의 너비값과 상기 시험편에 대한 하중선변위값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예측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상기 노치의 초기길이, 상기 시험편의 너비값 및 하중선변위값과, 상기 산출된 제1 선단변위값, 제2 선단변위값, 제1 선단에지값 및 제2 선단에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소성회전계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소성회전계수, 제1 선단변위값 및 제2 선단변위값을 기저장된 CTOD 예측식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파괴역학 파라미터에 각각 적용한 결과에 기초하여 파괴인성 예측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괴인성 예측값의 산출 시 시험편의 예비균열선단에 발생하는 소성변형에 영향을 주는 소성회전계수 값을 수정하여 종래의 경우보다 소성변형을 더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괴인성 시험 특성상 동일 강재에 대한 여러 번의 반복 측정이 필수로 요구되는데 측정횟수별로 산출한 결과값의 편차가 종래 대비 짧은 시간 내에 안정적으로 산출되므로, 시험 관련 불필요한 시간 및 인력 소모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재료의 파괴인성 측정 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시험편에 대한 소성 변형의 민감도 및 정확도를 향상함으로써 대규모의 자본이 투입되는 조선 및 해양구조물의 구조적 무결성을 신뢰성 있게 평가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성회전계수를 고려한 이중클립게이지 기반의 파괴인성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착 단계에 시험 장치에 안착되는 시험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설치 단계에 의해 시험편의 상단에 지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설치 단계에 의해 변위측정부가 시험편의 노치 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하중-변위곡선 도출 단계에 도출된 하중-변위곡선에서 탄성영역 및 소성영역을 구분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선단변위량 산출 단계에서 삼각형 닮음비를 이용하여 선단 변위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종래의 단일클립게이지를 이용하여 하나의 선단에지값을 기준으로 복수 회 측정한 하중에 따른 변위값에 대응하는 제1 하중-변위 곡선을 측정회차별로 구분하여 나타낸 비교 그래프이고,
도 8은 도 1의 하중-변위곡선 도출 단계에서 제1 조건 및 제2 조건 각각에 따라 기설정된 두 개의 선단에지값을 기준으로 복수 회 측정한 하중에 따른 변위값에 대응하는 제2 하중-변위 곡선 및 제3 하중-변위 곡선을 각각 도출한 후 측정회차별로 구분하여 나타낸 비교 그래프이고,
도 9는 도 1의 선단변위량 산출 단계에서 상기 제2 하중-변위 곡선 및 제3 하중-변위 곡선 각각에 기초하여 예비피로균열의 선단에 대한 선단변위값을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종래의 유한요소해석을 바탕으로 한 연구 해석 결과별로 제안된 소성회전계수 값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종래와 본 발명 각각의 측정 방식에 따라 복수 회 측정된 파괴인성값의 범위 및 편차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성회전계수를 고려한 이중클립게이지 기반의 파괴인성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착 단계에 시험 장치에 안착되는 시험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설치 단계에 의해 시험편의 상단에 지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설치 단계에 의해 변위측정부가 시험편의 노치 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하중-변위곡선 도출 단계에 도출된 하중-변위곡선에서 탄성영역 및 소성영역을 구분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선단변위량 산출 단계에서 삼각형 닮음비를 이용하여 선단 변위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괴인성 측정 방법은 소정의 시험편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된 시험편의 상단에 기설정된 인장하중을 가하는 하중 인가부와, 상기 하중에 의해 상기 시험편에 발생되는 균열에 대한 변위정보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부를 포함하는 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시험 장치는 구동 방식이나 형상에 따라 특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재료 시험 장치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기본 구성(안착부, 하중인가부, 변위측정부)만 포함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성회전계수를 고려한 이중클립게이지 기반의 파괴인성 측정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기설정된 표준 규격에 따른 노치(22)가 형성된 시험편(10)을 준비하여 시험장치의 안착부에 안착시킨다(S100).
여기서, 상기 S100 단계에 준비되는 시험편(10)은, 영국 표준협회에 의해 표준화된 BS 7448 규격에 의거하여 제작되는 CTOD 시험편 중에서 컴팩트 인장 시험편(CT; Compact tension specimen)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험편(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 및 두께의 평판으로 마련되며, 상단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한 쌍의 통공(21)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단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내측으로 소정 깊이만큼 함몰되되 내측단에서 V자 형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의 노치(22)가 형성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험편(10)은 용접 구조물의 제작에 사용되는 강재에 대하여 전술한 BS 7448 규격에 의거하여 폭(C)의 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비례값을 갖도록 시험편(10)의 두께, 통공(21)의 직경, 노치(22)의 초기길이(a0) 등을 설계한 후 이에 따라 상기 강재를 방전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시험편(10)의 상단에 소정의 안착면을 가지는 지그(J)를 설치하고, 상기 시험편(10)의 노치 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변위 측정부를 설치한다(S200).
여기서, 상기 지그(J)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기설정된 두 개의 서로 상이한 높이값에 대응하는 안착면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지그(J1) 및 제2 지그(J2)는 시험편(10)의 상단면에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노치(22)의 중앙선(31)에서 지그(J)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y'이고, 노치의 중앙선(31)을 기준으로 한 제1 지그(J1) 및 제2 지그(J2)까지의 거리는 각각 'x1' 및 'x2'이고, 시험편(10)의 상단면과 지그(J)의 제1 안착면(41) 사이의 거리는 'z1'이고, 시험편(10)의 상단면과 지그(J)의 제2 안착면(42) 사이의 거리는 'z2'로 정의된다.
아래의 표 1은 상기 지그(J)의 제1 높이값 및 제2 높이값을 2가지 케이스 각각에 대한 조건별로 정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case 1 case 2
h1 = z1 = 2mm h1 = z1 = 2mm
h2 = z2 = 6mm h2 = z2 = 10mm
여기서, z1은 제1 높이값, z2은 제2 높이값, h1은 제1 선단에지값, h2는 제2 선단에지값을 나타내며, h1과 z1의 값이 같고, h2와 z2의 값이 같다.
여기서, 상기 변위 측정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접촉단을 구비한 이중클립게이지(double clip gaug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접촉단을 상기 지그(J)의 제1 안착면과 제2 안착면 중 어느 하나에 접촉시킨 상태로 시험편(10)의 변위정보를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비록, 상기 도 1에 기재되어 있진 않으나, 상기 S200 단계 바로 다음에 노치(22)의 초기길이(a0)와 시험편(10)의 너비값(C)과 시험편(10)에 대한 하중선변위(LLD; Load Line Displacement) 값(W)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시험 장치의 하중 인가부를 이용해 노치(22)의 상단에 반복 인장하중을 부가하여 노치(22)의 내측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예비피로균열을 형성한다(S300).
여기서, 시험 장치의 하중 인가부는 상기 S100 단계에 준비된 시험편(10)의 상단에 형성된 통공(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통공(21)에 일정 진폭의 반복 인장하중을 인가하되, 상기 인장하중의 크기가 해당 균열에 도달할 때까지 일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노치(22)의 초기길이(a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편(10)의 통공(21)의 중심에서 노치(22)의 최하단까지의 수직거리로 정의된다.
다음으로, 상기 S300 단계에 형성된 예비피로균열에 준정적 인장하중을 적용하여 발생된 변위량을 산출한다(S400).
구체적으로, 상기 S400 단계에서는 시험 장치의 하중 인가부에 의해 준정적 인장하중을 부가함에 따른 상기 예비피로균열에 대한 입구 변위량(v1,v2)을 상기 S200 단계에 설치된 변위 측정부를 이용해 측정한 후 측정된 입구 변위량을 기설정된 소성힌지모델에 적용함에 따라 상기 예비피로균열의 선단에 대한 소성영역에서의 변위량(vp1,vp2)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400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변위량 측정 단계(S410), 하중-변위곡선 도출 단계(S420) 및 선단변위량 산출 단계(S430)를 포함할 수 있다.
입구변위량 측정 단계(S410)는 상기 예비피로균열의 입구에 대한 개구 변위량에 대응하는 제1 입구변위값(V1) 및 제2 입구변위값(V2)을 변위 측정부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S410 단계는 상기 변위 측정부를 상기 지그(J)의 제1 안착면에 접촉시킨 후 상기 제1 안착면에 기초한 높이(z1)에 대응하는 선단에지값(h1)에 대한 제1 입구변위값(V1)을 측정하고, 상기 변위 측정부를 상기 지그(J)의 제2 안착면에 접촉시킨 후 상기 제2 안착면에 기초한 높이(z2)에 대응하는 선단에지값(h2)에 대한 제2 입구변위값(V2)을 측정할 수 있다.
하중-변위곡선 도출 단계(S420)는 기설정된 소성 힌지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인장하중에 대한 입구변위량 측정 단계(S410)에 측정된 제1 입구변위값(V1) 및 제2 입구변위값(V2)에 따른 하중-변위 곡선(P-V1-V2)을 도출한다.
여기서, 상기 하중-변위곡선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재료에 대한 인장응력의 탄성 한계에 대응하는 항복점을 기준으로 소성영역(Ap)에 대한 소성변위구간(Vp)과 탄성변위구간(Ve)으로 구분 가능한 곡선 그래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도 5에 기초한 소성 힌지 모델을 적용한 결과에 따라 도출되는 종래의 BS 7448 규격 기반의 CTOD 예측식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21018631646-pat00001
여기서, δpl은 파괴인성(CTOD)값, rp는 소성회전계수, W는 시험편(10)에 대한 하중선변위(LLD)값, a0는 노치 초기길이, Vp는 입구측 개구변위값을 나타낸다.
이때, 소성회전계수(rp)는 유한요소해석을 바탕으로 한 연구 해석을 통해 어느 하나의 고정된 값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한다.
예컨대, 상기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표준화된 BS 7448 규격에선 rp값을 "0.46"으로 간주하고, 그 외에는 연구 해석 방식에 따라 Kolednik에 의해 제시된 "0.57"이나 Yoichi와 Tomoya에 의해 제시된 "0.52"를 rp값으로 간주하고 있다.
선단변위량 산출 단계(S430)는 상기 S420 단계에 의해 도출된 하중-변위 곡선에 따른 상기 탄성영역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예비피로균열의 선단(팁)에 대한 상기 소성영역에서의 개구 변위량에 대응하는 제1 선단변위값(Vp1) 및 제2 선단변위값(Vp2)을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S430 단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중클립게이지를 이용하는 SENT 시험편에 기초한 복수 개의 파라미터 각각에 대하여 삼각형의 닮음비를 적용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선단변위값(Vp1) 및 제2 선단변위값(Vp2)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출되는 BS 8571 규격 기반의 CTOD 예측식은 아래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21018631646-pat00002
여기서, δpl은 파괴인성(CTOD)값, V1은 제1 입구변위값, V2는 제2 입구변위값, a0는 노치의 초기길이, z1 및 z2는 지그(J)에 대응하는 제1 선단에지값 및 제2 선단에지값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S400 단계에 의해 산출된 변위량과 기설정된 선단에지값에 기초하여 소성회전계수(rp) 및 파괴인성(CTOD) 예측값을 각각 산출한다(S500).
여기서, 상기 S500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성회전계수 산출 단계(S510) 및 파괴인성 예측값 산출 단계(S520)를 포함한다.
소성회전계수 산출 단계(S510)는, 상기 S430 단계에 의해 산출된 제1 선단변위값 및 제2 선단변위값(Vp1,Vp2)과, 상기 S200 단계에 시험편(10)의 상단에 설치된 지그(J)의 제1 안착면 및 제2 안착면에 기초한 높이(z1,z2)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선단에지값(h1) 및 제2 선단에지값(h2)에 기초하여 소성회전계수(rp)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510 단계는 전술한 상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소성회전계수(rp)에 관한 수식으로 정리한 아래의 수학식 3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21018631646-pat00003
여기서, Vp1은 제1 선단변위값, Vp2는 제2 선단변위값, h1은 제1 선단에지값, h2는 제2 선단에지값을 나타내며, z는 h1과 같은 값을 가진다.
파괴인성 예측값 산출 단계(S520)는 상기 S430 단계에 의해 산출된 제1 선단변위값(Vp1) 및 제2 선단변위값(Vp2)과, 상기 S510 단계에 의해 산출된 소성회전계수(rp)를 기저장된 CTOD 예측식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파괴역학 파라미터에 각각 적용한 결과에 기초하여 파괴인성(CTOD) 예측값을 산출한다.
여기서, 파괴인성(CTOD) 예측값(δ)은 도 5에 도시된 소성영역(Vp) 및 탄성영역(Ve) 각각에서의 파괴인성에 대한 소성 파괴인성값(δpl) 및 탄성 파괴인성값(δel)을 각각 구한 후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두 값을 합산하여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21018631646-pat00004
이때, 소성 파괴인성값(δpl)은 전술한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산출되고, 탄성 파괴인성값(δel)은 아래의 수학식 5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21018631646-pat00005
여기서, K는 평면 변형률 파괴인성값, υ는 포아송비, E는 탄성계수, σYS는 온도 및 하중속도에 대한 재료의 항복강도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괴인성 측정 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경우보다 소성변형을 더 민감하게 측정하는 특징을 가진다는 점에서, 상기 특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괴인성 측정 방법을 복수 회 반복해서 수행함에 따른 분석 결과와 종래의 분석 결과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은 종래의 단일클립게이지를 이용하여 하나의 선단에지값을 기준으로 복수 회 측정한 하중에 따른 변위값에 대응하는 제1 하중-변위 곡선을 측정회차별로 구분하여 나타낸 비교 그래프이고, 도 8은 도 1의 하중-변위곡선 도출 단계에서 제1 조건 및 제2 조건 각각에 따라 기설정된 두 개의 선단에지값을 기준으로 복수 회 측정한 하중에 따른 변위값에 대응하는 제2 하중-변위 곡선 및 제3 하중-변위 곡선을 각각 도출한 후 측정회차별로 구분하여 나타낸 비교 그래프이고, 도 9는 도 1의 선단변위량 산출 단계에서 상기 제2 하중-변위 곡선 및 제3 하중-변위 곡선 각각에 기초하여 예비피로균열의 선단에 대한 선단변위값을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아래의 표 2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상기 제1 하중-변위 곡선에 대응하여 상기 수학식 1,4,5에 따라 산출된 파괴인성(CTOD)값을 측정회차별로 정리하여 표로 나타낸 것이다.
Test number CTOD [mm]
#1 0.61
#2 0.63
#3 0.67
#4 0.68
#5 0.76
#6 0.77
예컨대,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CTOD 값은 0.61mm에서 0.77mm의 범위의 값을 가지고 편차는 0.16mm임을 확인할 수 있고, 표준규격인 BS 7448 기반의 소성회전계수(rp)값을 적용한 경우(#2)의 파괴인성(CTOD)값은 두번째로 낮은 값인 0.63mm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종래 방식의 경우엔 소성 변형에 대한 민감도 부족으로 인하여 CTOD 값의 편차가 크게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경우, 전술한 상기 표 1에 기재된 제1 조건(Case 1) 및 제2 조건(Case 2)에 기초하여 상기 S100 단계 내지 상기 S420 단계를 6회 반복하여 수행함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회차별로 구분되는 제2 하중-변위 곡선 및 제3 하중-변위 곡선을 도출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8에 기초한 하중-변위 곡선에 삼각형 닮음비를 적용한 결과로써 제1 선단변위값(Vp1) 및 제2 선단변위값(Vp2)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도 8에 따른 결과를 분석해보면, 최대 하중(Fm)은 약 55kN에서 60kN 정도이며, 재료의 항복 지점 직후 갑작스런 하중의 하락과 변위의 증가가 나타나는 현상(pop-in)은 별도로 발생하지 않았고, 제1 입구변위값(V1)과 제2 입구변위값(V2)의 차이는 평균값 기준으로 제1 조건(Case 1)의 경우엔 '0.31mm'이고 제2 조건(Case 2)의 경우엔 '0.43mm'이므로 지그(J)의 제2 안착면에 대응하는 높이값(z2)이 증가함에 따라 약 27%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클립형 게이지의 설치 높이 차이가 커질수록 입구변위값(CMOD)의 차이가 발생하고 그 결과는 파괴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소성회전계수(rp)값을 키워 구조물 설계 시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아래의 표 3은 전술한 상기 도 8에 도시된 제1 조건(Case 1)에 따른 상기 제2 하중-변위 곡선과 제2 조건(Case 2)에 따른 상기 제3 하중-변위 곡선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수학식 3에 따라 산출된 소성회전계수(rp) 값을 측정회차별로 정리하여 표로 나타낸 것이다.
Test number rp
Case 1 Case 2
#1 0.63 0.80
#2 0.64 0.76
#3 0.55 0.75
#4 0.68 0.75
#5 0.67 0.80
#6 0.61 0.79
예컨대,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제1 조건(Case 1)일 때의 소성회전계수(rp)는 '0.63'에서 '0.68'의 값으로 나타나고, 제2 조건(Case 2)일 때의 소성회전계수(rp)는 '0.63'에서 '0.68'의 값으로 나타남에 따라, 지그(J)에 마련된 제1 안착면 및 제2 안착면 각각에 대응하는 제1 높이값(z1) 및 제2 높이값(z2)의 차이(z2-z1)가 클수록 소성회전계수(rp) 값이 크게 계산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0에 도시된 종래의 유한요소해석을 바탕으로 한 연구 해석 결과별로 제안된 소성회전계수(rp) 값과 비교할 때, 전술한 제1 조건(Case 1)과 제2 조건(Case 2) 중에서는 제2 높이값(z2)이 더 작은 제1 조건(Case 1)일 때 소성회전계수(rp) 값에 대한 더욱 합리적인 결과를 얻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종래와 본 발명 각각의 측정 방식에 따라 복수 회 측정된 파괴인성값의 범위 및 편차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 11에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상기 제1 하중-변위 곡선에 대응하는 상기 표 3에 기재된 측정회차별 파괴인성(CTOD)값의 범위 및 편차값을 나타낸 제1 그래프(11)와, 상기 도 8에 도시된 제1 조건(Case 1)에 따른 상기 제2 하중-변위 곡선과 제2 조건(Case 2)에 따른 상기 제3 하중-변위 곡선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표 3에 기재된 측정 회차별 소성회전계수(rp) 값을 상기 수학식 1,4,5에 적용함에 따라 파괴인성(CTOD)값을 산출한 후 산출된 파괴인성(CTOD)값의 범위 및 편차값을 나타낸 제2 그래프(12) 및 제3 그래프(13)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11에 따른 결과를 분석해보면, 종래 방식에 따른 파괴인성(CTOD) 값의 범위는 '0.6mm'에서 '0.75mm'이고 발생된 편차는 '0.15mm'인 것으로 나타나는 데 반해, 본 발명의 제1 조건(Case 1)에 따른 파괴인성(CTOD) 값의 범위는 '0.66mm'에서 '0.69mm'이고 발생된 편차는 '0.03mm'인 것으로 나타나므로, 본 발명에 의해 산출된 파괴인성(CTOD)값의 편차가 종래 방식의 CTOD값의 편차 대비 약 5배 정도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원인으로는 본 발명의 상기 수학식 3에 기초한 소성회전계수(rp)를 산출하는 방식에 의해 소성 변형 민감도를 증가시킴으로써 CTOD 편차값을 감소시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파괴인성 예측값의 산출 시 시험편의 예비균열선단에 발생하는 소성변형에 영향을 주는 소성회전계수 값을 수정하여 종래의 경우보다 소성변형을 더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괴인성 시험 특성상 동일 강재에 대한 여러 번의 반복 측정이 필수로 요구되는데 측정횟수별로 산출한 결과값의 편차가 종래 대비 짧은 시간 내에 안정적으로 산출되므로, 시험 관련 불필요한 시간 및 인력 소모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재료의 파괴인성 측정 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시험편에 대한 소성 변형의 민감도 및 정확도를 향상함으로써 대규모의 자본이 투입되는 조선 및 해양구조물의 구조적 무결성을 신뢰성 있게 평가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강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써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시험편
21: 통공
22: 노치
41: 제1 안착면
42: 제2 안착면

Claims (3)

  1. 소정의 시험편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된 시험편의 상단에 기설정된 인장하중을 가하는 하중 인가부와, 상기 하중에 의해 상기 시험편에 발생되는 균열에 대한 변위정보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부를 포함하는 시험 장치를 이용한 파괴인성 측정 방법에 있어서,
    기설정된 표준 규격에 따른 노치가 형성된 시험편을 준비하여 상기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시험편의 상단에 기설정된 두 개의 서로 상이한 높이값에 대응하는 제1 안착면 및 제2 안착면을 가지는 지그를 설치하고, 상기 노치 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변위 측정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하중 인가부를 이용해 상기 노치의 상단에 일정 진폭의 반복 인장하중을 부가하여 상기 노치의 내측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예비피로균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노치의 초기길이와 상기 시험편의 너비값과 상기 시험편에 대한 하중선변위값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변위 측정부의 접촉단을 상기 제1 안착면 및 제2 안착면에 각각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하중 인가부에 의해 준정적 인장하중을 부가함에 따른 상기 예비피로균열의 입구에 대한 개구 변위량에 대응하는 제1 입구변위값 및 제2 입구변위값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
    소정 재료에 대한 인장응력의 탄성 한계에 대응하는 항복점을 기준으로 탄성영역과 소성영역으로 구분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소성 힌지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인장하중에 대한 상기 제1 입구변위값 및 제2 입구변위값에 따른 하중-변위 곡선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안착면 및 제2 안착면 각각으로부터 상기 시험편의 상단면 사이의 높이차에 대응하는 제1 선단에지값 및 제2 선단에지값에 대하여 상기 도출된 하중-변위 곡선에 따른 상기 탄성영역의 기울기에 기초한 삼각형의 닮음비를 적용함에 따라 상기 예비피로균열의 선단에 대한 상기 소성영역에서의 개구 변위량에 대응하는 제1 선단변위값 및 제2 선단변위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상기 노치의 초기길이, 상기 시험편의 너비값 및 하중선변위값과, 상기 산출된 제1 선단변위값, 제2 선단변위값, 제1 선단에지값 및 제2 선단에지값을 아래의 수학식 I에 적용하여 상기 소성영역에 대한 소성회전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소성회전계수, 제1 선단변위값 및 제2 선단변위값을 기저장된 CTOD 예측식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파괴역학 파라미터에 각각 적용한 결과에 기초하여 파괴인성 예측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회전계수를 고려한 이중클립게이지 기반의 파괴인성 측정 방법.
    (수학식 I)
    Figure 112022059968106-pat00017

    여기서, rp는 소성회전계수, Vp1은 제1 선단변위값, Vp2는 제2 선단변위값, h1은 제1 선단에지값, h2는 제2 선단에지값, C는 시험편의 너비값, W는 시험편의 하중선변위값, a0는 노치의 초기길이를 각각 나타내며, z는 h1과 같은 값을 가진다.
  2. 삭제
  3. 삭제
KR1020210020502A 2021-02-16 2021-02-16 소성회전계수를 고려한 이중클립게이지 기반의 파괴인성 측정 방법 KR102456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502A KR102456685B1 (ko) 2021-02-16 2021-02-16 소성회전계수를 고려한 이중클립게이지 기반의 파괴인성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502A KR102456685B1 (ko) 2021-02-16 2021-02-16 소성회전계수를 고려한 이중클립게이지 기반의 파괴인성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974A KR20220116974A (ko) 2022-08-23
KR102456685B1 true KR102456685B1 (ko) 2022-10-19

Family

ID=8309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502A KR102456685B1 (ko) 2021-02-16 2021-02-16 소성회전계수를 고려한 이중클립게이지 기반의 파괴인성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6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0631A (ja) 2014-10-21 2016-05-1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材料試験機
KR101707492B1 (ko) 2016-07-27 2017-02-17 (주)프론틱스 연속압입시험법을 이용한 파괴인성 측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3681A (ja) * 1991-02-20 1993-04-16 Meidensha Corp き裂開口変位測定装置
JP3836964B2 (ja) * 1997-11-19 2006-10-25 株式会社鷺宮製作所 J1c試験における試験片の荷重負荷制御方法及びj1c試験システム
KR20050090856A (ko) * 2004-03-10 2005-09-14 대한민국(공주대학교총장) 변위게이지
KR100994933B1 (ko) * 2008-07-21 2010-11-19 한국과학기술원 단일 인장시험부를 가지는 미세 압축시험기용 인장시편 및그 제조방법
KR20110049136A (ko) * 2009-11-04 2011-05-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인장 시험편용 보강 지그
KR101254547B1 (ko) 2010-12-22 2013-04-1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변위측정센서 설치용 부속챔버가 부착된 파괴인성 시험용 고온 진공로 시스템
KR101289905B1 (ko) 2011-12-15 2013-08-07 주식회사 포스코 파괴인성 시험장치
KR102047065B1 (ko) * 2017-05-19 2019-11-2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홈이 있는 소형시편을 이용한 크리프 균열성장 물성 측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0631A (ja) 2014-10-21 2016-05-1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材料試験機
KR101707492B1 (ko) 2016-07-27 2017-02-17 (주)프론틱스 연속압입시험법을 이용한 파괴인성 측정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컴팩트 인장 시편을 이용한 연성 재료의 불안점 균열 성장에 관한 연구’, 이홍서 등, 대한기계학회 논문집, 13(5), 1989.9, 938-94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974A (ko)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6473B1 (en) Evaluating method of the residual stress determining method using the continuous indentation method
CN105043865B (zh) 双场耦合下的混凝土损伤断裂性能测试方法
CN109299568A (zh) 基于纳米压痕试验的焊接接头本构模型反推方法
US9128018B2 (en) Method for evaluating corrosion-fatigue life of steel material
CN106644711B (zh) 一种延性材料单轴本构关系测试方法
CN108897946B (zh) 基于球、锥一体压头的材料等效应力-应变关系预测方法
WO2020199235A1 (zh) 一种利用压痕法计算断裂韧性的方法
CN111896373A (zh) 一种测定等效塑性应变成形极限图的试验与计算方法
CN108844824B (zh) 一种基于圆锥形压头的已知材料残余应力测定方法
CN114999594A (zh) 考虑数据分散性的eifs疲劳全寿命的预测方法
KR102456685B1 (ko) 소성회전계수를 고려한 이중클립게이지 기반의 파괴인성 측정 방법
CN113624671A (zh) 焊接接头腐蚀拉伸测试方法及测试装置
MORI et al. Influence of steel static strength on fatigue strength of web-gusset welded joints with UIT
Amaro et al. CTOA testing of pipeline steels using MDCB specimens
Kalyanam et al. Why conduct SEN (T) tests and considerations in conducting/analyzing SEN (T) testing
CN110940582A (zh) 一种通过拉伸试验预测金属材料疲劳强度的方法
JP2000275164A (ja) 応力腐食割れ試験方法
KR101191045B1 (ko) 압입자의 마모를 고려한 압입하중 인가곡선의 보정방법
Shin et al. Evaluating fatigue crack propagation properties using a cylindrical rod specimen
CN108254253A (zh) 材料或构件等效应力-应变关系测定方法
KR100402923B1 (ko) 금속재료,특히판금의2축변형거동을결정하기위한측정방법
Wang et al. Effect of crack-closure treatment on fatigue durability of cracked rib-to-deck welded joints in steel bridge decks
CN107101651B (zh) 一种基于等效m积分的材料损伤面积标定方法
KR20160055630A (ko) 유리소재 안전성 평가 장치 및 평가 방법
US20240219277A1 (en)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stress corrosion cracking sensitivity of welded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