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670B1 - 기능성 헤드 밴드 - Google Patents

기능성 헤드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670B1
KR102456670B1 KR1020220045576A KR20220045576A KR102456670B1 KR 102456670 B1 KR102456670 B1 KR 102456670B1 KR 1020220045576 A KR1020220045576 A KR 1020220045576A KR 20220045576 A KR20220045576 A KR 20220045576A KR 102456670 B1 KR102456670 B1 KR 102456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head
sweat
head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썸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썸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썸스타
Priority to KR1020220045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36Hair straps; Hair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8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08L21/02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16Cyclodextri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헤드 밴드는, 머리에 끼워서 착용하여 탄력적으로 착용자의 두부에 접촉하는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두부 전면 일 측을 감싸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단부에서 상기 착용자의 두부 후면 측으로 각각 절곡 연장된 것으로, 상기 전면부 측에서 상기 착용자의 후면 방향으로 선광후협(先廣後狹)하게 테이퍼 처리된 한 쌍의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헤드 밴드에 따르면, 두부의 전면부를 효과적으로 감싸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두부 후면부에 있어서는 그 폭이 좁아져 목 뒤를 과하게 조이지 않도록 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헤드 밴드{functional headband}
본 발명은 기능성 헤드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인뿐만 아니라 청소년, 노약자, 장애인을 포함하는 다양한 착용자가 레포츠나 일상생활에서 착용할 수 있는 것으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머리카락에 의한 간섭, 레포츠 시 발생할 수 있는 땀에 의한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헤드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작업을 하거나, 등산 또는 운동 등을 할 경우 신체의 활동에 따라 많은 양의 땀이 배출된다. 땀에는 수분을 주로 하며 일부 요소, 요산, 지방산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마라톤, 조깅, 사이클 및 등산 등의 운동을 하거나 야외 작업 등을 하면 체온 조절을 위해 땀이 흐르며, 이러한 땀에 함유된 미량의 화학성분이 눈에 들어가게 되면, 눈에 통증이 오게 되고 시야를 흐리게 하여 운동이나 등산을 함에 있어 방해 요소가 된다.
즉, 마라톤, 조깅, 사이클, 등산, 피지컬 피트니스(physical fitness) 등의 운동 시, 신체부위 중 머리에서 이마로부터 흐르는 땀이 안면으로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땀의 흡수를 위한 헤드 밴드를 착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헤드 밴드는 헤어 밴드라고도 불리는데, 주로 섬유재로 형성된 것으로 땀을 흡수하여 배출되는 땀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다양한 디자인 및 외형을 지닌 헤드 밴드는 그 자체로도 심미적 효과가 있어 ‘애슬래틱(Atheletic)’과 ‘레저(Leisure)’의 합성어인 애슬레저(Athleisure) 룩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헤드 밴드에 있어,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84010호에 ‘재 사용 가능한 땀 흡수용 머리띠’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고안은 운동, 등산, 현장작업, 농부가 밭에서 눈에 땀이 들어가지 않도록 머리에 착용하는 머리띠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사용자의 머리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천연섬유(면직물)를 포함한 면스판직물을 사용함으로 일회용이 아닌 재 사용할 수 있게 하였으며, 그 내면에 땀을 흡수, 저장, 보관하고 땀이 머리띠에서 포화상태가 되면 손으로 짜서 다시 머리에 착용하여 여러 번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술한 헤드 밴드는 면스판직물로 부직포를 감싸 재봉한 원형 형상의 헤드 밴드에 지나지 않으며, 보다 뛰어난 착용감을 제공하기에는 어려움을 제공할 수 있다는 한계성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용자가 레포츠나 일상생활에서 착용하여 땀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헤드 밴드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실용 제 20-0384010호
본 발명은 아동, 청소년, 노약자, 장애인을 포함하는 다양한 착용자가 착용하여 일상생활 및 레포츠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성 헤드 밴드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활동 시 발생하는 땀이 착용자에게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체액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헤드 밴드에서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헤드 밴드는, 머리에 끼워서 착용하여 탄력적으로 착용자의 두부에 접촉하는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두부 전면 일 측을 감싸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단부에서 상기 착용자의 두부 후면 측으로 각각 절곡 연장된 것으로, 상기 전면부 측에서 상기 착용자의 후면 방향으로 선광후협(先廣後狹)하게 테이퍼 처리된 한 쌍의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전면부의 내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 재질의 땀흘림 방지 패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땀흘림 방지 패드는, 트리클로산(Triclosan)을 포함하는 소취성 기능제 1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헤드 밴드에 따르면,
1) 두부의 전면부를 효과적으로 감싸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두부 후면부에 있어서는 그 폭이 좁아져 목 뒤를 과하게 조이지 않도록 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2) 땀흘림 방지 패드를 통해 이마나 두피에서 발생한 땀이 중력을 타고 내려와 착용자의 눈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땀이 귀 뒤나 두부 후면으로 유도되게 하여 레포츠 시 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착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3) 땀흘림 방지 패드에 소취성 기능제가 포함됨에 따라 땀과 같은 체액이 땀흘림 방지 패드에 배었을 때 날 수 있는 불쾌한 냄새를 없앰과 동시에 항균 효과를 더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헤드 밴드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헤드 밴드의 테이퍼부 구조가 드러나게 측면을 촬영한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땀흘림 방지 패드가 나타나도록 전면부의 내측을 촬영한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소취성 기능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헤드 밴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헤드 밴드의 테이퍼부 구조가 드러나게 측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헤드 밴드(1)는 머리에 끼워서 착용하여 탄력적으로 착용자의 두부에 접촉하는 것으로서, 전면부(10) 및 테이퍼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면부(10)는 착용자의 두부 전면 일 측, 즉 두부 중에서도 앞부분 일 측을 감싸는 것으로, 이때 전면부(10)의 폭이나 길이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따라서 전면부(10)는 두부의 앞부분, 바람직하게는 착용자의 이마에 접촉되어 이마를 감싸는 형태를 갖게 된다.
이때 전면부(10)의 재질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탄성을 가진 섬유재, 예시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아미드 66(polyamide 66),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올레핀(polyolefine), 레이온(rayon), 비스코스(viscose)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전면부의 재질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전면부(10)의 양 단부에서는 테이퍼부(20)가 각각 절곡 연장되어 있는데, 이때 테이퍼부(20)는 전면부(10)의 단부에서 착용자의 두부 후면 측으로 연장될수록 점차 그 폭이 좁아지도록, 선광후협(先廣後狹)하게 테이퍼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테이퍼부(20)는 바람직하게 전면부(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면부(10)와 맞닿은 테이퍼부(20)의 일 단은 그 폭이 상대적으로 넓으나, 착용자의 두부 후면 측에 위치한 테이퍼부(20)의 타 단부는 그 폭이 좁아 두부 후면 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질 수 있다.
나아가 착용자의 후면에 위치한 테이퍼부(20)의 양 단은 별도의 마감이 이루어져 귀에 꽂거나 별도의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테이퍼부(20)의 양 단이 서로 맞닿게 재봉되거나 혹은 테이퍼부(20)에 양 단에 벨크로가 구비되어 벨크로를 매개로 테이퍼부(20)의 양 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자의 두부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두부를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테이퍼부(20)의 양 단이 맞닿아 재봉되어 일체형 밴드 형상이 구현된 것을 도시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선광후협하게 테이퍼 처리된 헤드 밴드(1)에 따르면, 두부의 전면부를 효과적으로 감싸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두부 후면부에 있어서는 그 폭이 좁아져 목 뒤를 과하게 조이지 않도록 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따라서 헤드 밴드(1)가 레포츠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머리카락에 의한 간섭이나 눈 찌름을 방지하여 보다 활동적인 레포츠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땀이 흘러내리는 것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땀이 흘러내리거나 눈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땀흘림 방지 패드가 나타나도록 전면부의 내측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면부(10)의 내측에는 탄성 재질의 땀흘림 방지 패드(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땀흘림 방지 패드(30)는 이마 측에서 흘러내린 땀이 헤드 밴드(1)를 타고 두부 아래쪽으로 흘러내려 특히 눈에 땀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헤드 밴드(1)의 후면 측, 다시 말해 두부의 후면 측이나 귀 쪽으로 땀을 유도하여 흘려보내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땀흘림 방지 패드(30)는 전면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땀흘림 방지 패드(30)는 바람직하게 전면부(10)의 내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바람직하게는 전면부(10)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므로 착용 시 외관으로 드러나지는 않으며,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 라텍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땀흘림 방지 패드(30)가 전면부(10)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땀흘림 방지 패드(30)는 바람직하게 전면부(10)의 내측에 별도의 접착제를 매개로 부착되거나 열융착, 혹은 봉제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땀흘림 방지 패드(30)가 헤드 밴드(1)의 전면부(10)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있어 헤드 밴드(1)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헤드 밴드(1)가 두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마나 두피에서 발생한 땀이 중력을 타고 내려와 착용자의 눈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땀이 귀 뒤나 두부 후면으로 유도되게 하여 레포츠 시 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착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 밴드(1), 그중에서도 땀흘림 방지 패드(30)는 착용자의 피부와 항상 접촉되게 되는데, 레포츠나 운동 시 이용하게 되는 헤드 밴드(1)에 있어 땀에 의해 헤드 밴드(1)가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땀이 눈 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이와 같은 땀흘림 방지 패드(30)는 착용자의 두부, 그중에서도 두부의 전면인 이마에서 땀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헤드 밴드(1)가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였다.
이때 땀흘림 방지 패드(30)는 일반적으로 레포츠나 운동 시 사용하게 되는 본 발명의 기능성 헤드 밴드(1)의 특성 상 체액, 그중에서도 땀과 접촉이 잦을 수밖에 없어, 체액과의 반복적 접촉에 의해 땀흘림 방지 패드(30)에서 불쾌한 냄새가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상술한 땀흘림 방지 패드(30)는 트리클로산(Triclosan)을 포함하는 소취성 기능제 1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바람직하게 상술한 땀흘림 방지 패드(30)는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 라텍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탄성 베이스 90 내지 99 중량부, 소취성 기능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소취성 기능제의 유효 성분인 트리클로산은 항생물질로서 방균제 및 살균제로도 쓰이며, 강력한 살균력 및 탈취력을 겸비하여 땀흘림 방지 패드(30)에 닿거나 배어 들은 체액으로 인해 땀흘림 방지 패드(30)에서 악취가 나는 것을 방지하고 항균성을 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소취성 기능제의 소취 효과를 보다 높이기 위해, 소취성 기능제는 트리클로산 외에도 α-사이클로덱스트린(α-cyclodextrin), 리튬마그네슘소듐실리케이트(Lithium Magnesium Sodium Silicat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소취성 기능제는 유효 성분으로서 트리클로산, α-사이클로덱스트린, 리튬마그네슘소듐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그 조성에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는다.
트리클로산은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소취 효과가 있는 물질이고, α-사이클로덱스트린은 강력한 탈취 효과를 가지고 있어 트리클로산의 탈취효과를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6개의 설탕 고리 분자를 가진 원형 구조 안에 냄새 분자를 가둬서 냄새를 없애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불어 산화되기 쉬운 화합물의 안정화를 돕고, 물에 잘 녹지 않는 물질의 용해도를 증가시켜 주며, 쓴맛의 차폐, 조해성 물질의 안정화 등을 돕는 기능을 수행하며, 유화제로서의 역할을 겸비하여 소취성 기능제에 포함된 유효 성분 간의 혼합성을 극대화한다.
리튬마그네슘소듐실리케이트는 벌킹제로서 첨가되는 것으로서, 트리클로산 및 α-사이클로덱스트린의 기화 속도를 조절하여 냄새 제거 성분이 오래 유지되도록 도움과 동시에 소취성 기능제가 포함된 땀흘림 방지 패드(30) 조성물의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소취성 기능제에 따르면, 강력한 탈취 효과 및 살균 효과를 가지고 있어 땀과 같은 체액이 땀흘림 방지 패드에 배었을 때 날 수 있는 불쾌한 냄새를 없앰과 동시에 항균 효과를 더할 수 있으며, 나아가 소취성 성분이 쉽게 휘발되지 않고 오랜 시간 지속되어 소취 효과가 긴 시간 지속되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헤드 밴드에 포함된 땀흘림 방지 패드(3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소취성 기능제는 트리클로산, α-사이클로덱스트린, 리튬마그네슘소듐실리케이트 이외에도 추가적인 조성을 포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다 특징적인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는데, 이러한 소취성 기능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소취성 기능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소취성 기능제는,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1),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2), 소취성 기능제를 완성하는 단계(S13)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S11)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가장 먼저, 폴리락틱애씨드(Poly lactic acid) 25 내지 45 중량부와,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Poly hydroxy butylate) 20 내지 40 중량부 및, 폴리글리콜릭애씨드(Poly glycolic acid) 15 내지 3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한다.
폴리락틱애씨드는 감자, 옥수수 등의 전분과 같은 재생 가능한 자연원료에서 추출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일종으로서, 친환경적이며 인체에 무해하다는 특징이 있고, 점도성을 가진다. 이러한 소취성 기능제는 소취성 성분을 담지하는 수지계 베이스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나아가 소취성 기능제 혼합에 따라 땀흘림 방지 패드(30)의 도막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 역시 생분해성플라스틱의 일종이며, 부착력이 매우 뛰어나 생체용 접착제로 쓰이기도 하는 재질이다. 소취성 기능제가 포함된 땀흘림 방지 패드(30) 조성물에 대한 점착력 및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폴리글리콜릭애씨드는 글리콜산의 중축합 혹은 글리콜리드의 개환 중합으로 합성되는 가장 대표적인 생분해성 합성 고분자이며, 수술용 흡수성 봉합사로도 이용되는 생체 친화적 재질이다. 제 1 용액에서는 폴리락틱애씨드 및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의 혼합을 위한 용매로써 첨가된다.
따라서 제 1 용액의 제조 과정은 소취성 성분을 담지하는 수지 베이스를 제조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이때 수지 베이스를 친환경적이고 생분해 가능한 재질로 제조함과 동시에 그 혼합성을 높이고 적정 수준의 부착력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 폴리락틱애씨드,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 폴리글리콜릭애씨드를 혼합하게 된다.
(S12)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제 1 용액 75 내지 85 중량부와, 트리클로산(Triclosan) 5 내지 15 중량부와, α-사이클로덱스트린(α-cyclodextrin) 3 내지 10 중량부, 리튬마그네슘소듐실리케이트(Lithium Magnesium Sodium Silicate)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한다.
트리클로산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항생물질로서 방균제 및 살균제로도 쓰이며, 강력한 살균력 및 탈취력을 겸비한 물질이라고 하였다.
α-사이클로덱스트린은 상술한 바에서 트리클로산의 탈취효과를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산화되기 쉬운 화합물의 안정화를 돕고, 유화제로서의 역할을 겸비하여 혼합성을 극대화한다고 하였다.
리튬마그네슘소듐실리케이트는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트리클로산 및 α-사이클로덱스트린의 기화 속도를 조절하여 냄새 제거 성분이 오래 유지되도록 도움과 동시에 소취성 기능제가 포함된 땀흘림 방지 패드(30)의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 2 용액의 제조 과정에서 제조된 수지 베이스에 소취성을 갖는 물질들을 혼합하게 되는 것이며, 나아가 소취성 기능제에 포함된 소취성 유효 성분의 휘발을 막고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벌킹제를 함께 혼합하여 땀흘림 방지 패드(30)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도록 한다.
(S13) 소취성 기능제를 완성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상기 제 2 용액 85 내지 95 중량부와, 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galactosyldiacylglycerol) 5 내지 10 중량부 및, 아인산염콤플렉스(Phosphite Complex)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소취성 기능제를 완성한다.
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은 일종의 글리세롤 당지질이며,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과 같이 원핵광합성생물 라멜라나 식물 엽록체의 틸라코이드막 총지질의 약 7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취성 기능제가 첨가된 땀흘림 방지 패드(30) 표면의 유연성 향상에 도움이 되어 헤드 밴드(1)를 착용할 시 피부에 접촉되는 땀흘림 방지 패드(30)로 하여금 보다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하게 할 수 있다.
아인산염콤플렉스는 땀흘림 방지 패드(3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내구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땀흘림 방지 패드(30)의 체액에 의한 착색 및 물질의 변형, 기능 저하 등의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땀흘림 방지 패드(30)의 기능적 안정성을 보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취성 기능제 첨가로 인해, 체액에 반복적으로 노출될 수밖에 없는 땀흘림 방지 패드(30)에 있어 땀과 같은 체액에 의해 발생한 불쾌한 냄새가 배는 것을 방지하며, 땀에 의한 변색을 방지함을 물론이거니와 소취성 기능제가 첨가된 땀흘림 방지 패드(30)의 도막강도 향상 및 표면의 유연성 강화 효과를 더할 수 있다.
더하여 이때 단계적으로 수지 베이스를 제조하고, 유효 성분인 소취성 성분을 첨가한 뒤, 산화 방지 성분 및 도막의 유연성 개선 성분을 단계적으로 첨가하도록 함으로써 도막 강도 저하, 소취성 기능 향상, 나아가 조성물의 산화 방지 및 피막의 물성 개선을 단계적으로 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소취성 기능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소취성 기능제를 포함하는 땀흘림 방지 패드의 실시예 1 내지 3으로 구성되어 있고, 비교예는 소취성 기능제를 포함하지 않은 공지의 땀흘림 방지 패드이다.
<실시예 1>
폴리락틱애씨드 30g,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 35g, 폴리글리콜릭애씨드 35g을 혼합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제 1 용액 80g, 트리클로산 10g, α-사이클로덱스트린 7g, 리튬마그네슘소듐실리케이트 3g을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제 2 용액 90g, 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 7g, 아인산염콤플렉스 3g을 혼합하여 소취성 기능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소취성 기능제과 실리콘 수지를 혼합하여 소취성 기능제 5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준비된 수지 조성물을 띠 형상으로 성형한 뒤 헤드 밴드의 내주면에 부착하였다.
<실시예 2>
트리클로산 45g, α-사이클로덱스트린 45g, 리튬마그네슘소듐실리케이트 10g을 60℃에서 혼합하여 소취성 기능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소취성 기능제과 실리콘 수지를 혼합하여 소취성 기능제 5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준비된 수지 조성물을 띠 형상으로 성형한 뒤 헤드 밴드의 내주면에 부착하였다.
<실시예 3>
소취성 기능제로서 트리클로산을 준비하였다.
제조된 소취성 기능제과 실리콘 수지를 혼합하여 소취성 기능제 5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준비된 수지 조성물을 띠 형상으로 성형한 뒤 헤드 밴드의 내주면에 부착하였다.
<비교예>
종래의 실리콘 수지를 띠 형상으로 성형한 뒤 헤드 밴드의 내주면에 부착하였다.
<실험예 1> 관능평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의 조성에 의해 제조된 헤드 밴드를 20~30세 20명으로 구성되는 품평단(panel)을 대상으로 1개월 동안 하루 30분의 야외 운동 시마다 사용하게 한 후, 설문 항목에 5점 척도로 답하게 하는 심플 모나딕 시험법(simple monadic test)을 실시하여 헤드 밴드의 미끄럼 방지 및 악취 발생, 전반적 품질에 대한 사용 품질을 평가하였다. 이때 심플 모나딕 시험법에 따르면 해당 제품의 품질이 만족스러울수록 5점에 가깝게, 불만족스러울수록 1점에 가깝게 평가하도록 하였다.
표 1은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미끄럼 방지 4.6 4.0 4.1 3.6
악취 발생 4.2 4.5 4.3 2.8
전반적 품질 4.5 4.2 4.1 3.4
상술한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헤드 밴드는 비교예에 비해 미끄럼 방지 및 악취 발생, 전반적 품질에 관련한 관능평가 결과에서 우수한 점수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 1 내지 3의 상호 비교를 수행하면, 소취성 기능제의 유효 성분만을 포함하는 실시예 2 내지 3이 실시예 1에 비해서는 악취 발생에 있어 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이나, 미끄럼 방지 성능에 있어 실시예 1이 실시예 2,3에 비해 보다 좋은 성능을 나타내어, 종합적으로는 실시예 1이 가장 높은 전반적 만족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탈취 효과 실험
트리메틸아민은 비린내 냄새를 내며 황화수소, 메르머캅탄류, 아민류, 기타 자극성 있는 기체와 함께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악취에 속한다. Gastec Model 801 시험기기를 이용하여 염기성 비린내를 내는 악취물질인 트리메틸아민에 대한 탈취능력을 평가하였다. 10L 용량의 테들라백 내에 악취 발생원인중 하나인 트리메틸아민 가스와 공기를 주입하여 초기 농도를 50 ppm으로 맞춘 다음 초기농도가 조절된 테들라백에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의 헤드 밴드를 주입하였다. 이후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경과시점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표 2는 탈취 효과 실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항목 시간 농도(ppm)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트리메틸아민 0분 50 50 50 50
30분 37 36 37 49
1시간 31 28 29 48
2시간 26 24 25 48
4시간 23 21 22 48
6시간 21 19 20 47
상술한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헤드 밴드는 비교예에 비해 트리에틸아민에 대한 탈취 실험 결과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헤드 밴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헤드 밴드 10 : 전면부
20 : 테이퍼부 30 : 땀흘림 방지 패드

Claims (6)

  1. 기능성 헤드 밴드로서,
    머리에 끼워서 착용하여 탄력적으로 착용자의 두부에 접촉하는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두부 전면 일 측을 감싸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단부에서 상기 착용자의 두부 후면 측으로 각각 절곡 연장된 것으로, 상기 전면부 측에서 상기 착용자의 후면 방향으로 선광후협(先廣後狹)하게 테이퍼 처리된 한 쌍의 테이퍼부;
    상기 전면부의 내측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 소취성 기능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의 땀흘림 방지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소취성 기능제는,
    폴리락틱애씨드(Poly lactic acid) 25 내지 45 중량부와,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Poly hydroxy butylate) 20 내지 40 중량부 및, 폴리글리콜릭애씨드(Poly glycolic acid) 15 내지 3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용액 75 내지 85 중량부와, 트리클로산(Triclosan) 5 내지 15 중량부와, α-사이클로덱스트린(α-cyclodextrin) 3 내지 10 중량부, 리튬마그네슘소듐실리케이트(Lithium Magnesium Sodium Silicate)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2 용액 85 내지 95 중량부와, 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galactosyldiacylglycerol) 5 내지 10 중량부 및, 아인산염콤플렉스(Phosphite Complex)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소취성 기능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헤드 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땀흘림 방지 패드는,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 라텍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헤드 밴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20045576A 2022-04-13 2022-04-13 기능성 헤드 밴드 KR102456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576A KR102456670B1 (ko) 2022-04-13 2022-04-13 기능성 헤드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576A KR102456670B1 (ko) 2022-04-13 2022-04-13 기능성 헤드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670B1 true KR102456670B1 (ko) 2022-10-19

Family

ID=83804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576A KR102456670B1 (ko) 2022-04-13 2022-04-13 기능성 헤드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101B1 (ko) * 2022-11-03 2024-03-14 김천대학교산학협력단 객담 배출을 위한 신체용 보조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009Y1 (ko) * 1988-06-28 1991-05-09 염춘택 땀을 흡수하는 일회용 머리띠
KR100321528B1 (ko) * 1996-05-31 2002-09-17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악취억제제를 갖는 통기성 땀 패드
KR200384010Y1 (ko) 2004-01-26 2005-05-11 김건일 재 사용 가능한 땀 흡수용 머리띠
KR20050086889A (ko) * 2002-12-23 2005-08-3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악취 제어 성질을 갖는 연신가능한 기재를 포함하는 흡수물품
KR20190071321A (ko) * 2017-12-14 2019-06-24 안규백 분리형 땀흐름 방지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009Y1 (ko) * 1988-06-28 1991-05-09 염춘택 땀을 흡수하는 일회용 머리띠
KR100321528B1 (ko) * 1996-05-31 2002-09-17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악취억제제를 갖는 통기성 땀 패드
KR20050086889A (ko) * 2002-12-23 2005-08-3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악취 제어 성질을 갖는 연신가능한 기재를 포함하는 흡수물품
KR200384010Y1 (ko) 2004-01-26 2005-05-11 김건일 재 사용 가능한 땀 흡수용 머리띠
KR20190071321A (ko) * 2017-12-14 2019-06-24 안규백 분리형 땀흐름 방지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101B1 (ko) * 2022-11-03 2024-03-14 김천대학교산학협력단 객담 배출을 위한 신체용 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6670B1 (ko) 기능성 헤드 밴드
KR20150102578A (ko) 항균 물티슈 및 그 제조방법
EP1250914B2 (en) Cooling compositions
KR101553259B1 (ko) 피부친화성이 우수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CN1337874A (zh) 无气味并非刺激性的基于薄荷醇和乳酸薄荷酯的化妆品组合物
CN111588116A (zh) 香味缓释微囊口罩及其制备方法
WO2008032998A1 (en) Mugwort aroma mask
JP2008105979A (ja) フィルムガード製剤
ES2713009T3 (es) Artículo higiénico comprendiendo un sistema eficaz de control de olores
KR102473190B1 (ko) 스포츠 활동의 부상 방지용 관절 보호대
JP2007075236A (ja) 血流速促進弾性ストッキング
KR200281342Y1 (ko) 기능성 신발 깔창
KR19980087632A (ko) 은 건 제품 제조방법
US20040194189A1 (en) Fitness wear
Bagaria et al. Achilles tendon rupture secondary to kite string (manja) injury: a rare etiology seen in two cases
JP2004027449A (ja) 保湿性手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61528A (ja) 竹炭入りバンド及びソックス
KR200310525Y1 (ko) 향기나는 모자
CN216493594U (zh) 一种降温吸汗护腕
JP3002198U (ja) 冷却用のヘッドバンド
CN217089791U (zh) 一种具有防臭抑菌的保健鞋垫
KR102629601B1 (ko) 기능성 경추 베개
JP2005290599A (ja) かつら用基布及びかつら
JP3686756B2 (ja) 制汗剤
KR100603429B1 (ko) 근골격계 질환의 진통해소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여제조된 기능성 양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