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101B1 - 객담 배출을 위한 신체용 보조기 - Google Patents

객담 배출을 위한 신체용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101B1
KR102648101B1 KR1020220145502A KR20220145502A KR102648101B1 KR 102648101 B1 KR102648101 B1 KR 102648101B1 KR 1020220145502 A KR1020220145502 A KR 1020220145502A KR 20220145502 A KR20220145502 A KR 20220145502A KR 102648101 B1 KR102648101 B1 KR 102648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vibration
sputum
ch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5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훈
김경훈
Original Assignee
김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천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김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45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1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16/0006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means for creating vibrations in patients' airw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101/00Chemical composition of materials used in disinfecting, sterilising or deodorising
    • A61L2101/32Organic compounds
    • A61L2101/34Hydroxy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101/00Chemical composition of materials used in disinfecting, sterilising or deodorising
    • A61L2101/32Organic compounds
    • A61L2101/46Macromolecular compounds
    • A61L2101/50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05Materials having antiseptic or antimicrobial properties, e.g. silver compounds, rubber with sterilis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5Materials providing resistance against corro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객담 배출을 위한 신체용 보조기는, 탈착부를 매개로 탈착 가능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목 및 가슴 일 측을 포함하는 보호영역을 감싸 고정하는 보조기 본체; 상기 보조기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되어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부; 상기 진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 모듈을 구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객담 배출을 위한 신체용 보조기에 따르면, 장시간 착용에도 불편하지 않도록 목 및 가슴 일 측을 포함하는 보호영역을 감싸 고정한 상태에서 진동부를 통해 목 및 가슴에 진동을 제공함으로써 폐 및 기도에 막혀있는 객담에 진동을 가하여 객담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어, 객담 배출에 어려움을 겪는 사용자의 호흡 기능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Description

객담 배출을 위한 신체용 보조기{Orthosis for the body to drain sputum}
본 발명은 객담 배출을 위한 신체용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목 및 가슴 일부를 감싸 보호하는 상태에서 목과 가슴에 진동을 가해 막혀있는 객담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신체용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코로나 바이러스의 창궐 등에 의해 호흡기 질환 환자 수가 급증하였고, 그에 따라 호흡기 질환 환자에 대한 진료 및 관리의 중요성 역시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병원에서는 만성폐쇄성질환, 나아가 Covid-19 환자와 같이 객담 배출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객담 배출법을 적용하고 있는데, 객담 배출법은 환자의 흉곽부위에 진동을 주거나 두드려서 객담이 기관지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쉽게 배출되도록 도우며, 숨쉬기 편하도록 근육을 이완시키도록 돕는 보조 치료 중 하나이다. 이러한 객담 배출법에는 진동법과 타진법이 존재한다.
진동법은 환자의 흉벽에 치료사의 손을 평평하게 놓고 대상자가 호기하는 동안 치료사의 팔과 어깨 근육을 이용하여 빠르게 흉벽을 진동시키는 것이다. 분당 200회 정도로 몇 분 동안 수행되며 하루에 여러 번 실시한다.
타진법은 폐 분비물을 묽게 하여 분비물을 더욱 쉽게 뱉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치료사의 손을 오므려서 컵 모양으로 만든 후 폐 부위를 두드리는 것으로, 손목, 팔꿈치, 어깨의 이완상태를 유지하면서 폐엽의 전 부위를 리듬감 있게 치는 것이다. 이는 한 부위를 30~60초 정도 두드리며, 점도가 높은 분비물을 갖고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3~5분 정도를 행하는 타진법을 하루에 여러 번 행한다.
이러한 기존의 객담 배출법인 진동법이나 타진법은 두드리거나 진동을 주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힘을 사용함에 따라 물리치료사의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물리치료사가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특히, 물리 치료사와 환자가 서로 이성일 경우, 이러한 객담 배출법을 물리치료사가 적용 시 신체접촉 등에 의해, 불쾌감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객담 배출법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 10-1907099호에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 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호기시 진동을 체내에 전달하여 체내에 부착된 객담으로 체외로 배출시키는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기에 의한 진동의 세기를 환자에 맞게 조절 가능하고 호기의 강도를 환자나 의료진이 확인 가능하여 객담을 효율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객담 배출 기기는 진동을 환자에게 적합하게 조절하여 객담을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간편하게 세척 가능하게 구성부 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사용하도록 하며 환자의 호기를 감지하여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객담 배출 기기는 환자가 구강에 기기를 물고 이용해야 하는 만큼, 장시간 기기 이용 시 환자에게 불편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따름은 물론이거니와 착용 중 대화가 불가하여 치료 중에는 물리치료사나 의사와 별도의 대화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의 편의성을 높여 장시간 이용 시에도 불편감을 제공하지 않으며, 객담 배출에 있어 자극을 직접적으로 가해야 하는 목 및 가슴에 진동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신체용 보조기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 10-1907099호
본 발명은 장시간 동안 쉽게 착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불편감을 제공하지 않으며, 목 및 가슴에 진동을 제공하여 객담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신체용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체용 보조기의 착용감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체에서 발생한 체액에 의해 신체용 보조기에 불쾌한 냄새가 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객담 배출을 위한 신체용 보조기는, 탈착부를 매개로 탈착 가능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목 및 가슴 일 측을 포함하는 보호영역을 감싸 고정하는 보조기 본체; 상기 보조기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되어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부; 상기 진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 모듈을 구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보조기 본체는, 하드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탈착부를 포함하는 보호 프레임 및, 상기 보호 프레임의 내주면에 적층되어 상기 보호영역에 접촉하는 것으로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보호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보호 패드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보호 베이스 90 내지 99 중량부와 시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포함하는 소취 기능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객담 배출을 위한 신체용 보조기에 따르면,
1) 장시간 착용에도 불편하지 않도록 목 및 가슴 일 측을 포함하는 보호영역을 감싸 고정한 상태에서 진동부를 통해 목 및 가슴에 진동을 제공함으로써 폐 및 기도에 막혀있는 객담에 진동을 가하여 객담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어, 객담 배출에 어려움을 겪는 사용자의 호흡 기능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고,
2) 내주면에 소프트한 탄성 재질의 보호 패드를 더하여 착용감을 개선하였으며,
3) 보호 패드에 소취 기능제를 더하여 체액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여 신체용 보조기를 보다 쾌적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체용 보조기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신체용 보조기를 착용한 착용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보조기 본체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소취 기능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체용 보조기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신체용 보조기를 착용한 착용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객담 배출을 위한 신체용 보조기는 보조기 본체(100), 진동부(200), 컨트롤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조기 본체(100)는 사용자의 목 및 가슴 일 측을 포함하는 보호영역을 감싸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경추 뿐 아니라 가슴 일부를 감싸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가슴 일부, 즉 가슴 일 측이라 함은 목에서 연결된 가슴의 상부를 일컫는 것으로, 따라서 목으로부터 연장되어 가슴의 일 측을 지지하여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보조기 본체(100)는 탄성을 갖는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보호영역에 대한 압박 고정 및 이를 통한 신체 보호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하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 보조기 본체(100)를 구성하는 하드 재질은 ABS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나 PC(poly carbonate) 와 같은 하드 재질의 플라스틱일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보조기 본체(100)의 탈착을 위해 보조기 본체(100)의 일 측에는 탈착부(110)가 마련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보조기 본체(100)가 사용자의 보호영역 전면, 즉 얼굴의 앞부분(눈,코,입이 위치하는 안면의 정면)에서 연결된 목 및 가슴 전면을 보호하는 전면부(101) 및 사용자의 보호영역 후면, 즉 사용자의 뒤통수에서 연결된 목 및 가슴 전면을 보호하는 후면부(10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보조기 본체(100)가 전면부(101) 및 후면부(102)로 이루어진 두 개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면부(101) 및 후면부(102)가 탈착부(110)를 통해 고정 또는 해지될 수 있다. 이러한 탈착부(110)는 보조기 본체(100)의 구성, 즉 전면부(101) 및 후면부(102)의 고정 또는 해지를 위해 결합 여부가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탈착부(110)는 지퍼, 벨크로,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탈착 방법이나 위치에 있어서는 어떠한 제한도 두지 않는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탈착부(110)가 전면부(101) 및 후면부(102)의 결합 부위 인근에 구비되어 전면부(101) 및 후면부(102)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전면부(101) 및 후면부(102)를 포함하는 보조기 본체(100)가 사용자의 보호영역을 탈착 가능하게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보조기 본체(100)의 표면 일 측에는 복수의 관통공(120)이 관통 형성될 수 있어 관통공(120)을 매개로 외부 공기의 투과가 가능해져 보조기 본체(100)의 내부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보다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보조기 본체(100)의 일 측에는 진동부(200)가 구비되어 진동부(200)를 매개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데, 따라서 발생한 진동이 사용자의 보호영역, 즉 목 및 가슴 일 측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부(200)는 종래의 진동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 진동부(200)의 on/off는 후술할 컨트롤러(300)를 통해 제어가 가능하다.
나아가 진동부(200)는 단일 진동수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진동수단이 진동부(200)를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진동부(20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있어서는 어떠한 제한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보조기 본체(100)를 구성할 수 있는 후면부(102) 및 전면부(101)에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배치되어 사용자의 목 및 가슴에 고르게 진동을 가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신체용 보조기에는 컨트롤러(30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컨트롤러(300)는 구동 제어 모듈(310)을 포함하여 보조기 본체(100)의 일 측에 구비되어 진동부(200)의 on/off를 포함하는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구동 제어 모듈(310)은 진동부(200)의 on/off 뿐 아니라 진동 강도(세기)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며, 나아가 진동을 펄스로 제공하도록 펄스 파형이나 패턴을 컨트롤러(300)를 통해 조절할 수도 있어, 진동 제공 여부 뿐 아니라 진동의 세기나 진동의 패턴 등을 컨트롤러(300)의 구동 제어 모듈(310)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컨트롤러(300)는 통신부 등을 함께 포함하여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과 연동될 수 있으므로, 컨트롤러(300)를 통한 진동 on/off, 진동 세기, 진동 패턴을 스마트폰에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진동의 on/off, 진동 세기, 진동 패턴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과 컨트롤러(300)가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스마트폰을 통해 이루어진 조작 신호에 따라 컨트롤러(300)가 진동부(2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컨트롤러(300)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와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 기반에서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일련의 구체적 구성을 '모듈' 및 '부', '파트' 등의 구성단위로써 설명한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 또는 ‘파트’ 등 의 구성은 메인 서버의 저장수단에 설치 및 저장된 상태에서 CPU 및 메모리를 매개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내지 ASIC과 같은 하드웨어의 일 구성을 의미한다.
이때, '모듈' 또는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은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고,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더불어, 컨트롤러(3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객담 배출을 위한 신체용 보조기에 따르면, 목 및 가슴 일 측을 포함하는 보호영역을 감싸 고정한 상태에서 진동부(200)를 통해 목 및 가슴에 진동을 제공함으로써 폐 및 기도에 막혀있는 객담에 진동을 가하여 객담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어, 객담 배출에 어려움을 겪는 사용자의 호흡 기능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음과 동시에 목에 대한 견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자세 교정 및 압박 보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보조기 본체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보조기 본체(100)는 하드 재질로 기본으로 이루어지되, 탄성을 갖는 소프트 재질이 적층된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조기 본체(100)는 하드 재질로 이루어진 보호 프레임(130)과,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보호 패드(140)의 이중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보호 패드(140)는 보호 프레임(130)의 내주면에 적층되어 보호영역, 즉 목이나 가슴 일 측에 직접 접촉되므로 사용자에 의한 착용 상태에는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며, 보호 프레임(130)은 착용 상태에서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이 경우 탈착부(110)는 보호 프레임(130)에 구비되어, 겉으로 드러나는 외측에서 신체용 보조기를 체결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보호 프레임(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ABS 수지나 PC와 같은 하드 재질로 이루어져 신체용 보조기로 하여금 목과 가슴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보호 패드(140)는 부드러운 촉감을 지닌 소프트 탄성 재질, 예를 들어 우레탄 수지나 폴리염화비닐 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보다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보조기 본체(100)가 전면부(101)와 후면부(102)로 분리 가능한 구조인 경우, 전면부(101) 및 후면부(102) 각각이 보호 프레임(130) 및 보호 패드(1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면부(101) 및 후면부(102)의 형상을 이루는 것이 보호 프레임(130)이며, 보호 프레임(130)의 내주면, 즉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면에 보호 패드(140)가 적층 처리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이중 구조의 신체용 보조기에 따르면, 견고한 견인력과 동시에 편안한 착용감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여기서 보호 패드(140)의 경우, 보호영역, 즉 사용자의 목 및 가슴 일부를 포함하는 신체에 직접 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땀과 같은 체액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만큼, 체액이 배어들어 불쾌한 냄새가 날 수 있는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도록 보호 패드(140)는 소취성을 지닌 소취 기능제를 포함하여 불쾌한 이취를 제거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이러한 보호 패드(140)는 보호 베이스 90 내지 99 중량부와 소취 기능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 베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염화비닐수지나 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부드럽고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재질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소취 기능제는 유효 성분으로써 시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포함하는데, 시클로덱스트린은 바람직하게 α-시클로덱스트린을 의미하는 것으로, 강력한 탈취 효과를 가지고 있어 체액에 의한 이취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시클로덱스트린은 6개의 설탕 고리 분자를 가진 원형 구조 안에 냄새 분자를 가둬서 냄새를 없애는 기능을 수행하며, 더불어 산화되기 쉬운 화합물의 안정화를 돕고, 물에 잘 녹지 않는 물질의 용해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조해성 물질의 안정화 등을 돕는 기능을 수행하고 유화제로서의 역할을 겸비하여 보호 베이스와의 혼합 역시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보호 패드(140)의 조성에 따르면 편안하고 푹신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신체에 직접 접촉되는 보호 패드(140)에 소취 기능제를 첨가하여 체액에 의한 불쾌한 냄새가 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신체용 보조기를 장기간 동안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술한 소취 기능제는 바람직하게 시클로덱스트린 외에도 추가적인 조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소취 기능제를 제조하는 단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소취 기능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소취 기능제는 1차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S11), 2차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S12), 소취 기능제를 완성하는 단계(S13)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S11) 1차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먼저, 시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15 내지 30 중량부와 제올라이트(zeolite) 10 내지 20 중량부 및 폴리글리콜릭애씨드(poly glicolic acid) 50 내지 75 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 물질을 제조한다.
시클로덱스트린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취 기능이 뛰어나면서도 혼합물의 안정화를 돕고 혼합성이 뛰어나 보호 베이스와 혼합되어 안정한 조성을 이룰 수 있는 물질이라 하였다.
제올라이트는 3-10 Å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공동(tunnel 또는 open channel)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천연 및 합성 규산염광물질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는 천연의 암석권에서 자연적으로 산출되는 것 이외에 인공적으로 합성된 분자체(molecular sieving) 기능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여, 군집 명칭(group name)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제올라이트는 온도, 습도, 환경에 민감하게 변화하는 물질로 가습, 제습, 소취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어 소취 기능제의 소취성을 높임과 동시에 땀과 같은 체액에 대한 제습 효과를 겸비하도록 한다. 나아가 무기 필러로서 작용하므로, 소취 기능제가 포함된 보호 패드(140)의 강도와 같은 물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이다.
폴리글리콜릭애씨드는 글리콜산의 중축합 혹은 글리콜리드의 개환 중합으로 합성되는 가장 대표적인 생분해성 합성 고분자이며, 수술용 흡수성 봉합사로도 이용되는 생체 친화적 재질이다. 소취 기능제에서 시클로덱스트린 및 제올라이트의 혼합을 위한 용매로서 작용하며, 점증성을 높여 소취 기능제를 포함하는 보호 패드(140)가 보호 프레임(130)에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성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S12) 2차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이어서, 제조된 1차 물질 75 내지 85 중량부와 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galactosyldiacylglycerol) 5 내지 10 중량부 및 피트모스(peat moss) 10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2차 물질을 제조한다.
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은 일종의 글리세롤 당지질이며,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과 같이 원핵광합성생물 라멜라나 식물 엽록체의 틸라코이드막 총지질의 약 7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취 기능제가 첨가된 보호 패드(140) 표면의 유연성 향상에 도움이 되어 신체용 보조기를 착용할 시 피부에 접촉되는 보호 패드(140)로 하여금 보다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하게 할 수 있다.
피트모스는 수태 종류가 퇴적되어 만들어진 유기물질이며, 보온성 및 통기성 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물질이다. 나아가 악취의 주요 성분인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포름알데히드 등에 대한 소취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소취성 기능제에 첨가 시 소취 효과를 보다 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S13) 소취 기능제를 완성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2차 물질 90 내지 95 중량부와 바이칼린(Baicalin) 1 내지 5 중량부 및 아스트라갈린(Astragalin)을 포함하는 산화 방지제 3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소취 기능제를 완성한다.
바이칼린은 꿀풀과의 코가네바나(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에 다량 함유된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으로, 강력한 항산화, 항균, 항염증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소취 기능제가 첨가된 보호 패드(140)의 항균성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한다.
산화 방지제는 그 유효 성분으로서 아스트라갈린을 포함하는데, 아스트라갈린은 감잎, 뽕잎, 적포도, 고사리에서 추출되는 천연 물질로, 폴리페놀의 일종인 캠페롤에 글루코오스가 결합된 배당체이다. 산화 방지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체액에 반복적으로 접촉되는 보호 패드(140)의 산화를 방지하고, 나아가 산화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물성 저하 및 변색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소취 기능제에 따르면, 체액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불쾌한 이취를 제거하는 소취 효과가 뛰어남은 물론이고, 신체에 반복적으로 접촉되는 보호 패드(140)의 촉감을 보다 유연하게 하여 신체용 보조기의 착용감을 보다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체액에 의한 산화를 방지하여 물성 저하 및 변색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소취 기능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소취 기능제가 더해진 보호 패드를 구비한 보조기의 실시예 1 내지 2로 구성되어 있고, 비교예는 소취 기능제가 첨가되지 않은 보호 패드를 구비한 보조기이다.
<실시예 1>
소취 기능제로서 시클로덱스트린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소취 기능제를 실리콘 수지에 첨가하여 소취 기능제 5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해당 수지 조성물을 1cm 두께의 패드 형상으로 성형한 뒤 본 발명의 신체용 보조기의 보호 프레임 내부에 부착하여 신체용 보조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시클로덱스트린 20g, 제올라이트 15g, 폴리글리콜릭애씨드 65g을 혼합하여 1차 물질 100g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1차 물질 80g, 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 10g, 피트모스 10g을 혼합하여 2차 물질 100g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2차 물질 93g, 바이칼린 2g, 아스트라갈린 5g을 혼합하여 소취 기능제 100g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소취 기능제를 실리콘 수지에 첨가하여 소취 기능제 5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해당 수지 조성물을 1cm 두께의 패드 형상으로 성형한 뒤 본 발명의 신체용 보조기의 보호 프레임 내부에 부착하여 신체용 보조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실리콘 수지를 1cm 두께의 패드 형상으로 성형한 뒤 본 발명의 신체용 보조기의 보호 프레임 내부에 부착하여 신체용 보조기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관능평가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의 조성에 의해 제조된 신체용 보조기를 20~30세 20명으로 구성되는 품평단(panel)을 대상으로 1개월 동안 하루 30분의 야외 운동 시마다 사용하게 한 후, 설문 항목에 5점 척도로 답하게 하는 심플 모나딕 시험법(simple monadic test)을 실시하여 신체용 보조기의 이취 방지 성능, 착용감 및 전반적 품질에 대한 사용 품질을 평가하였다. 이때 심플 모나딕 시험법에 따르면 해당 제품의 품질이 만족스러울수록 5점에 가깝게, 불만족스러울수록 1점에 가깝게 평가하도록 하였다.
표 1은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이취 방지 성능 4.5 4.6 3.3
착용감 4.3 4.5 3.5
전반적 품질 4.4 4.6 3.4
상술한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신체용 보조기는 비교예에 비해 이취 방지 성능, 착용감, 전반적 품질에 관련한 관능평가 결과에서 우수한 점수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 1 내지 2의 상호 비교를 수행하면, 실시예 1에 비해 실시예 2의 신체용 보조기가 이취 방지 성능, 착용감, 전반적 품질에 있어 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소취 기능제로서 시클로덱스트린의 단일 사용에 비해 다양한 물질의 혼합 조성으로 이루어진 구성이 이취 방지 성능을 개선할 뿐 아니라 부드러운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전반적 품질을 개선하기 때문이다.
<실험예 2> 소취 효과 실험
트리메틸아민은 비린내 냄새를 내며 황화수소, 메르머캅탄류, 아민류, 기타 자극성 있는 기체와 함께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악취에 속한다. Gastec Model 801 시험기기를 이용하여 염기성 비린내를 내는 악취물질인 트리메틸아민에 대한 탈취능력을 평가하였다. 10L 용량의 테들라백 내에 악취 발생원인중 하나인 트리메틸아민 가스와 공기를 주입하여 초기 농도를 50 ppm으로 맞춘 다음 초기농도가 조절된 테들라백에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의 신체용 보조기를 투입하였다. 이후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경과시점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표 2는 소취 효과 실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항목 시간 농도(ppm)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트리메틸아민 0분 50 50 50
30분 44 41 49
1시간 38 35 48
2시간 33 28 47
4시간 28 26 47
6시간 24 21 46
상술한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의 신체용 보조기대는 비교예에 비해 트리에틸아민에 대한 소취 실험 결과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 1 내지 2 사이의 상호 비교 결과에 따르면, 소취 기능제로서 시클로덱스트린만을 단독 사용한 실시예 1에 비해 제올라이트 및 피트모스와 같이 소취성을 지닌 물질을 혼합 사용한 실시예 2의 소취 효과가 보다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객담 배출을 위한 신체용 보조기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0 : 보조기 본체 101 : 전면부
102 : 후면부 110 : 탈착부
120 : 관통공 130 : 보호 프레임
140 : 보호 패드 200 : 진동부
300 : 컨트롤러 310 : 구동 제어 모듈

Claims (6)

  1. 객담 배출을 위한 신체용 보조기로서,
    탈착부를 매개로 탈착 가능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목 및 가슴 일 측을 포함하는 보호영역을 감싸 고정하는 보조기 본체;와
    상기 보조기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되어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부; 및
    상기 진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 모듈을 구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기 본체는,
    하드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탈착부를 포함하는 보호 프레임 및, 상기 보호 프레임의 내주면에 적층되어 상기 보호영역에 접촉하는 것으로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보호 패드를 포함하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보호 베이스 90 내지 99 중량부와 소취 기능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소취 기능제는,
    상기 시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15 내지 30 중량부와 제올라이트(zeolite) 10 내지 20 중량부 및 폴리글리콜릭애씨드(poly glicolic acid) 50 내지 75 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1차 물질 75 내지 85 중량부와 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galactosyldiacylglycerol) 5 내지 10 중량부 및 피트모스(peat moss) 10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2차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물질 90 내지 95 중량부와 바이칼린(Baicalin) 1 내지 5 중량부 및 아스트라갈린(Astragalin)을 포함하는 산화 방지제 3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소취 기능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용 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 본체는,
    표면에서 관통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용 보조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20145502A 2022-11-03 2022-11-03 객담 배출을 위한 신체용 보조기 KR102648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502A KR102648101B1 (ko) 2022-11-03 2022-11-03 객담 배출을 위한 신체용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502A KR102648101B1 (ko) 2022-11-03 2022-11-03 객담 배출을 위한 신체용 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101B1 true KR102648101B1 (ko) 2024-03-14

Family

ID=90249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5502A KR102648101B1 (ko) 2022-11-03 2022-11-03 객담 배출을 위한 신체용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10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129B1 (ko) * 2006-08-11 2007-11-29 손기현 안전 작업복
KR101062142B1 (ko) * 2009-09-10 2011-09-05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향상된 입자 분산성 및 점도 안정성을 가지는 알칼리 팽윤성 에멀젼 조성물
KR20140119014A (ko) * 2012-01-26 2014-10-08 유겐가이샤 유카리 경부용 서포터
KR20170060548A (ko) * 2015-11-24 2017-06-0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
KR101907099B1 (ko) 2018-05-18 2018-10-11 (주)쓰리에스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
KR20220022981A (ko) * 2020-08-20 2022-03-0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진동자극을 이용한 웨어러블 객담 배출기
KR20220110238A (ko) * 2019-12-03 2022-08-05 로레알 4-(3-에톡시-4-히드록시페닐)부탄-2-온, 보존제 및/또는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및 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조성물을 사용하여 케라틴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KR102456670B1 (ko) * 2022-04-13 2022-10-19 주식회사 어썸스타 기능성 헤드 밴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129B1 (ko) * 2006-08-11 2007-11-29 손기현 안전 작업복
KR101062142B1 (ko) * 2009-09-10 2011-09-05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향상된 입자 분산성 및 점도 안정성을 가지는 알칼리 팽윤성 에멀젼 조성물
KR20140119014A (ko) * 2012-01-26 2014-10-08 유겐가이샤 유카리 경부용 서포터
KR20170060548A (ko) * 2015-11-24 2017-06-0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
KR101907099B1 (ko) 2018-05-18 2018-10-11 (주)쓰리에스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
KR20220110238A (ko) * 2019-12-03 2022-08-05 로레알 4-(3-에톡시-4-히드록시페닐)부탄-2-온, 보존제 및/또는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및 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조성물을 사용하여 케라틴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KR20220022981A (ko) * 2020-08-20 2022-03-0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진동자극을 이용한 웨어러블 객담 배출기
KR102456670B1 (ko) * 2022-04-13 2022-10-19 주식회사 어썸스타 기능성 헤드 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yor et al. Physiotherapy techniques
CN105362035B (zh) 植物状态患者被动康复训练多态促醒系统的盔甲装置
Levrini et al. Model of oronasal rehabilitation in children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undergoing rapid maxillary expansion: Research review
JP7245326B2 (ja) 腱ストレッチ・筋トレ多機能トレーニング椅子
Lothrop Fractures of the Superior Maxillary Bone Caused by Direct Blows over the Malar Bone; A Method for the Treatment of Such Fractures
CN108578123A (zh) 一种用于儿童下肢术后护理的骨科固定架
KR102648101B1 (ko) 객담 배출을 위한 신체용 보조기
Felício et al. Myofunctional therapy combined with occlusal splint in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pain syndrome
CN210933232U (zh) 一种心血管内科吸氧用鼻塞固定装置
CN210009297U (zh) 一种手指术后复健用装置
CN209332689U (zh) 一种针对膝关节炎的穴位贴
RU2162311C1 (ru)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пролежне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Bullock Athletic training methods
Hanekom et al. Burn injuries
RU2236831C2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детей, больных бронхиальной астмой
Jordan Reviews, Abstracts, Notes and Correspondence: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in Orthopedic Practice
Xiang et al. Exoskeleton-assisted walking improves pulmonary and exercise performances more than conventional exercise program in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a randomised controlled study
Marshall Neck injuries
CN2335594Y (zh) 止鼾器
RU40179U1 (ru) Барокамера
CN2521993Y (zh) 俯卧治疗枕
Hilling et al. Postural drainage therapy
Hasanova PHYSICAL THERAPY FOR SOME DISEASES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KNOPF Prevention of relapses in cases of arrested tuberculosis among soldiers
CN103251472B (zh) 结构改进的前置式踝足矫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