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342Y1 - 기능성 신발 깔창 - Google Patents

기능성 신발 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342Y1
KR200281342Y1 KR2020020010059U KR20020010059U KR200281342Y1 KR 200281342 Y1 KR200281342 Y1 KR 200281342Y1 KR 2020020010059 U KR2020020010059 U KR 2020020010059U KR 20020010059 U KR20020010059 U KR 20020010059U KR 200281342 Y1 KR200281342 Y1 KR 2002813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insole
functional
wrapper
fabric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효진
Original Assignee
윤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효진 filed Critical 윤효진
Priority to KR2020020010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3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3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342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성 신발 깔창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여러 종류의 한약재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혼합물을 한지 등으로 구성되는 제 1 내포지와, 면직물등으로 구성되는 제 2 내포지와 마직물 등으로 구성되는 외포지로 구성되는 신발 깔창의 내부에 수용하고 재봉선을 통해 균일하고 안정적인 분포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내, 외포지와 기능성 혼합물을 통해 발 냄새 제거와 땀의 흡수, 세균 및 곰팡이 등의 항진균 기능 및 향기 발생 기능 등의 다양한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신발 깔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신발 깔창 외포지에는 필요에 따라 지압돌기를 형성하여 발바닥이 지면과 접촉시 발바닥의 경혈을 자극하여 인체의 각 기관의 혈액순환을 돕고 지압효과 및 맛사지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신발 깔창{Functional Shoes Insoles}
본 고안은 기능성 신발 깔창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여러 종류의 한약재를 주성분으로 하고, 보조성분으로서 향기 발산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한약재 혼합물을 한지 등으로 구성되는 제 1 내포지와, 면직물 등으로 구성되는 제 2 내포지와 마직물 등으로 구성되는 외포지로 구성되는 신발 깔창의 내부에 수용하고 재봉선을 통해 균일하고 안정적인 분포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내, 외포지와 기능성 혼합물을 통해 발 냄새 제거 가능(소취기능)과 땀의 흡수, 세균 및 곰팡이 등의 항균 기능, 방부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신발 깔창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시판되고 있는 신발 깔창들은 코르크, 폴리우레탄 또는 라텍스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하였고 이를 통하여 신발에 쿠션을 주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장시간을 걸을 때 발의 피로감을 경감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22875호에는 일정 두께를 갖는 평판형의 코르크판을 신발의 바닥면과 유사한 형상으로 절단하여 코르크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코르크 부재와 동일 형상으로 종이와 섬유를 경질로 압축성형하여 구성한 텍션 부재를 접착제 등으로 부착시킨 신발 깔창이 게시되어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18433호에는 신발 깔창에 돌출턱을 형성하여 발바닥과 접촉시 맛사지 기능을 강화시킨 신발 깔창이 게시되어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0017685호에는 만곡형 타입의 원형 모양의 옥(玉)을 깔창에 끼워 일한 배열로 원형의 홈부를 형성하여 옥(玉)을 삽입하여 부착토록 해줌으로 다수개의 옥(玉)을 지닌 지압 깔창이 게시되어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0013194호에는 숯을 넣어 만든 숯 신발 깔창에 관한 것으로 숯의 강한 흡습력에 의한 공기정화의 효과에 착안하여 발냄새 제거와 발의 건강도모를 위해 숯을 넣어만든 신발 깔창이 게시되어 있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제1996-9925호는 게르마늄 성분이 함유된 신발 깔창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는데, 다량의 산소이온을 방출하는 게르마늄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규소화합물에 PVC, EVA 등의 연질수지를 혼합하여 제조한 신발 깔창이 게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1996-28093호에는 통기성이 좋은 면포지의 내부에 꽃이나 과일 냄새를 풍기는 방향제를 혼입한 향기나는 신발 깔창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발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는 신발의 구조적 특성 때문에, 항상 장시간동안 신발을 신고 있는 관계로 신발에 감싸진 발 부분이 외부 공기와 차단될 수밖에 없는 것이며, 따라서, 발바닥에서 나오는 땀과 신발에서 발생되는 이물질 등에 의해 박테리아 등 세균이 생기고 각종 세균이 증식하면서 만드는 "이소 발레릭산"이라는 물질에 의해 고약한 악취가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신발 내부의 밀폐된 환경으로 인하여 곰팡이 균이 번식하여 무좀 등과 같은 질병을 유발시키게 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국내에도 많은 발명 및고안이 개발되었으나 땀에 의한 악취와 항균기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지는 못하였다.
이는 기존의 신발 깔창이 충격방지 기능에 치우치거나, 맛사지 기능을 강화하거나 또는 신발내의 냄새를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방향제를 넣어 냄새를 중화시키는 기능에 불과하여, 발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곰팡이균의 발생방지에 있어 제일 중요한 요건인 제습과 항균 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기능성 신발 깔창으로서의 소기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시킬 수 없었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자는 오랜 기간동안 예의 연구한 결과 소취(발 냄새 제거) 및 세균 및 곰팡이 균에 대한 항균 기능 등과 발 냄새의 효과를 갖는 기능성 한약재 혼합물과 통풍성과 땀의 흡수성이 뛰어난 한지, 마직물 및 면직물의 내, 외포지 적층시트를 이용하여 발 냄새 제거와 항균기능을 혁신적으로 개선한 기능성 신발 깔창을 개발하게 되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여러 종류의 한약재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혼합물을 한지 등으로 구성되는 제 1 내포지와, 면직물 등으로 구성되는 제 2 내포지와 마직물 등으로 구성되는 외포지로 적층, 합지된 신발 깔창의 내부에 수용하고 재봉선을 통해 균일하고 안정적인 분포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내, 외포지와 기능성 혼합물을 통해 발 냄새 제거와 땀의 흡수,세균 및 곰팡이 등의 항진균 기능 및 향기 발생 기능 등의 다양한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 기능성신발 깔창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외관을 보이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깔창 시트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신발 깔창
2: 마감지
3,3': 상, 하 외포지
4,4': 상, 하 제 2내포지
5,5': 상, 하 제 1내포지
6: 한약재 혼합물
7: 재봉선
8: 포켓부
9: 요입부
10: 지압돌기
도1은 본 고안의 외관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적층 깔창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테두리에 마감지(2)를 재봉하여서 된 공지 형상의 신발 깔창(1)에 있어서, 각각 발 및 신발 창과 접촉될 수 있도록 신발 깔창(1)의 바깥면을 이루며 레이온직물, 마(麻)직물, 면직물, 마면(麻綿), 교직물, 모직물, 모시직물, 혼방마직물, 혼방면직물, 혼방모직물 또는 합성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상, 하 외포지(3)(3')와;
상기 상, 하 외포지(3)(3')의 내면에 접착 구성되며 면직물, 혼방면직물, 마직물, 혼방마직물, 모직물 및 혼방모직물 중에서 선택되는 제 2 내포지(4)(4')와 ;
상기 제 2 내포지(4)(4')의 내면에 접착 구성되며 한지나 창호지, 판지, 모조지, 필기용지, 포장용지, 부직포 또는 도화용지 중에서 선택 적용될 수 있으며 흡수성과 통풍성을 부여하기 위한 제 1내포지(5)(5')와;
상기 제 1내포지(5)(5')내에 수용되며 당귀, 천궁, 박하, 인진쑥, 참숯(백탄), 강활등의 필수성분과 백두구, 정향, 황기, 환련, 향부자, 단자향, 오향, 곽향, 용뇌 및 계피중에서 1이상 선택되는 보조성분으로 구성되는 기능성 한약재 혼합물(6)과;
상기 상,하 외포지(3)(3') 및 제1, 2 내, 외포지(5)(5')(4)(4')를 일정간격으로 봉착하여 상기 기능성 한약재 혼합물(6)을 분할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포켓부(8)와 신발 깔창(1)의 외표면에 다수의 요입부(9)가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재봉선(7)을 각각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기능성 신발 깔창(1)은 주성분인 한약재 성분이 발바닥의 피부로 흡수되어 피부의 표피, 진피, 피하의 지방조직을 통하여, 그 기운으로 발 냄새를 제거하고, 항균 및 방습기능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한약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한약재 혼합물(6)을 한지와 면직물의 상, 하 내, 외포지로 구성되는 신발 깔창의 내부에 수용하고 재봉선을 통해 균일하고 안정적인 분포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세균의 침입을 초기에 방어하여 발 냄새의 원인을 차단하고, 무좀, 습진, 가려움증이나 염증까지 제거하는 효과 및 발의 혈액순환을 도와주어 발의 피로를 풀어주며, 땀을 잘 흡수하여, 항상 건강하고 깨끗한 발의 상태로 유지시키는 특징이 있다.
한편 재봉선(7)을 구성함으로써 신발 깔창(1)의 바깥 면에 마련되는 다수의 요입부(9)를 통해 발과 또는 신발 창과의 사이에 공간부를 만들게 됨으로 통기성과 쿠션효과가 향상될 수 있으며, 신발 깔창(1)의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포켓부(8)는 상기 한약재 혼합물(6)을 균일한 분포로 수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보행 시 기능성 한약재 혼합물(6)이 일 측으로 치우쳐 한약재 성분이 이동하여 한약재 성분 내용물이 불균질하게 두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신발 깔창의 상 외포지(3)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압돌기(10)를 압입, 형성하여 발바닥이 지면과 접촉시 발바닥의 경혈을 자극하여 인체의 각 기관의 혈액순환을 돕고 지압효과 및 맛사지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본 고안의 돌기(10)는 산화알루미늄(Al2O3) 40∼60중량%, 이산화규소(SiO2) 30∼40중량%, 산화마그네슘(MgO) 2∼5중량%, 산화아연(ZnO) 1∼3중량%, 산화칼슘(CaO2) 0.5∼2, 산화망간(MnO) 1∼3중량%, 기타성분(은가루) 0.5∼1.0중량%을 압축,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지압돌기의 압입, 성형공정은 상기의 상, 하 외포지 및 제1, 제2 내, 외포지를 적층, 합지하기 전에 상 외포지(3)에 지압돌기를 사전에 압입, 형성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기능성 한약재 혼합물(5)은 당귀, 천궁, 박하, 인진쑥, 참숯(백탄), 강활등의 필수성분과 백두구, 정향, 황기, 황련, 향부자, 단자향, 오향, 곽향, 용뇌 및 계피중에서 1이상 선택되는 보조성분으로 구성된다. 한약재 혼합물 중 필수성분인 당귀, 천궁, 박하, 인진쑥, 강활은 한약재 혼합물의 총중량비를 기준으로 5∼15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며, 참숯(백탄)은 3∼5중량% 범위내애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성분은 백두구, 정향, 황기, 황련, 향부자, 단자향, 오향, 곽향, 용뇌 및 계피중에서 1이상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사용량은 총충량비 기준으로 3∼10중량%의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당귀는 미나리과에 속한 다년생 식물인 승검초의 뿌리이다. 이 식물 은 2∼3년생 초본으로 1∼2m 정도 곧게 자라며, 전체가 자주빛이 나 고 뿌리는 굵고 향기가 강하다. 8∼9월에 꽃이 피고 9∼10월에 열매 가 달리는데, 어린 순은 나물로 먹기도 한다.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맵고 달면서 쓰다.
당귀는 임상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약물 중의 하나이다. 혈액 순환 불량, 신체 허약, 관절통, 두통, 복통, 어지러움, 변비, 소화 기능 쇠약으로 인해 수척할 때, 타박상, 삔 데, 혈관 질환으로 인해 생긴 내출혈, 혈류 정체, 종창, 동통에 사용하며, 부인병의 주된 약재로 월경 조절, 진정(鎭靜) 작용이 있다.
천궁(川芎)은 한방에서 보혈활혈정혈제로 부인병에 주로 쓰는 대표적인 약재다. 생리불순, 냉증, 생리통, 산후에 당귀와 같이 쓰는 귀중한 약재로 천궁은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여 체내의 악혈을 빨리 운반하여 없애고 강한 살균작용으로 외과질환도 신속히 치유하며 자궁수축작용으로 출산후에 피를 멎게 한다. 또한 진통진정제로도 효과가 우수하여 두통, 어지럼증, 빈혈 등에 쓰이고 강장약으로도 효과가 뛰어나다.
박하는 잎에서 향이 나는데, 그 향을 박하향이라고 한다. 향료로 쓰이며, 사탕 제조 등 한약재로 쓰인다. 성분이 따뜻하고 맛이 달고 매우며 독이 없으며 풍과 담을 사라지게 하여서 머리와 눈을 말게 하고 뼈가 쑤시듯이 아픈데도 효능이 있다.
인진쑥은 국화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풀인 사철쑥, 또는 더위지기 풀을 가리킨다. 인진쑥은 소화흡수도 잘되고 복부를 따뜻하게 하여 위장을 편안하게 하고 장의 활력을 도와 주며, 피를 맑게 하며 피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도와주며 지방의 대사를 도와 비만 예방에도 도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 지고 잇다. 또한, 인진쑥은 비타민, 칼슘, 철분 등이 함유되어 피부가 필요로 하는 많은 영양소를 공급하여 피부유지에 도움을 주며, 냉기와 습기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되며 몸을 따뜻하게 한다.
참숯은 양전기를 중화시켜 주는 음이온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숯덩이를 방안에 두면 공기가 맑아지는 것이다. 숯은 이처럼 흡착력이 강하기 때문에 실내의 습도를 조절해 주는 기능이 있다. 숯은 흡착성 때문에 약으로도 사용되어 대장염이나 위궤양, 숙변제거 등에 좋은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강활은 뿌리를 약용으로 하며,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감기로 인하여 전신과 머리가 아픈데 쓴다.
정향은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매운 성질을 지녔다. 위장을 따뜻하게 하고, 한기로 인하여 심복이 아픈 증세에 통증을 멈추게 하며 구토를 치료한다.
황기(黃耆)는 한국·일본·만주·중국 북동부·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흔히 약초로서 재배하며 한방에서는 가을에 채취하여 노두(蘆頭)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빛에 말린 것을 황기라 한다. 땀을 많이 흘리거나 빈혈, 소화불량, 소변불리등에 쓰이며 보신과 기를 보(補)하는 작용과 비장이 허(虛)해져서 소화에 이상을 일으켜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황련(黃連)은 한방에서는 11월경에, 재식 5∼6년 된 황련·왜황련의 뿌리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것을 황련(黃連)이라 하며, 건위·진정·소염·항균 등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위염·장염·복통·구토·이질·심계(心悸)·번열(煩熱)·정신불안·인후종통(咽喉腫痛)·토혈·코피·하혈·화상 등의 치료에 처방한다.
향부자(香附子)는 한방에서는 두통 ·복통 및 월경불순에 사용하고 민간에서 폐결핵의 진핵제로도 사용한다. 한국(제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오향(五香란)이란 백단향(白檀香)·울금향(鬱金香)·침향(沈香)·정향(丁香)·용뇌향(龍腦香)의 다섯 가지 향을 이르는 말이다.
곽향(藿香)은 성분이 약간 따뜻하고 맛이 매우며 독이 없고 풍수의 독종을 낫게 하고 악기를 버리며 곽란과 비위토역을 없애주는 가장 좋은 약이다. 손과 발의 태음경에 들어가서 구토를 그치게 하고 풍한을 발산하는 중요한 약이다. 약에 쓰는 것은 물에 씻어서 흙과 줄거리를 버리고 잎을 쓴다.
용뇌(龍腦) 또는 보르네오 장뇌(樟腦)라고도 한다. 분자량 154℃이며, 녹는점 203~204℃이다. 상온에서 휘발하고 가열하면 승화한다. 이전에는 희귀약품 또는 향료로 중용되었다. 식물로부터는 수증기 증류에 의해 얻어지고, 일반적으로는 장뇌의 환원 또는 피넨에 유기산을 작용시키는 등의 합성법에 의해 얻어진다. 각종화장품 ·의약 ·청량제 및 향료로 쓰고 있다
계피(桂皮)는 계수나무의 뿌리 ·줄기 ·가지 등의 껍질을 벗겨서 말리거나, 껍질을 벗기지 않고 건조시킨 가느다란 가지를 말한다. 계피는 방향성(芳香性)의 건위제(健胃劑)로서 그 분말을 다른 산제(散劑)와 배합하여 식욕 증진제로 사용한다. 한방에서는 땀이 나게 하고 식은땀을 거두게 하는 이 약재를 계지탕 ·갈근탕(칡뿌리탕)에 배합하며, 특히 감기를 포함한 소화기와 순환기 질환 ·급성열병 ·노인병 등에 첨가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신발 깔창을 착용하여 장기간 보행하여 본 바,
강한 땀 흡수력 및 소취력에 의하여 땀이 제거됨과 동시에 남에게 불쾌감을 주는 땀 냄새를 제거하면서, 한약재 성분에 의한 향기로운 향이 발산되었으며,
신발 안의 제습 기능 및 신발의 장기간 착용에 따른 유해한 세균, 곰팡이등의 항균기능이 매우 우수하게 발휘되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방향, 탈취, 살균, 제습 효능이 매우 우수하고 세균 및 곰팡이 균등의 항균기능과 소취기능을 갖는 기능성 한약재 혼합물을 통풍성과 땀의 흡수력이 뛰어난 3층의 내, 외포지로 적층구성된 신발 깔창을 구성함으로써 항균기능과, 소취 기능(발 냄새 제거) 및 땀의 흡수, 무좀의 방지 가능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신발 깔창의 상 외포지에 지압돌기(10)를 균일하게 압입, 형성시킴으로서 발바닥이 지면과 접촉시 발바닥의 경혈을 자극하여 인체의 각 기관의 혈액순환을 돕고 지압효과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Claims (6)

  1. 테두리에 마감지(2)를 재봉하여서 된 공지 형상의 신발 깔창(1)에 있어서, 각각 발 및 신발 창과 접촉될 수 있도록 신발 깔창(1)의 바깥면을 이루며 땀의 흡수성 및 보온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상, 하 외포지(3)(3')와;
    상기 상, 하 외포지(3)(3')의 내면에 접착 구성되며 흡수성과 통풍성을 부여하기 위한 제 2 내포지(4)(4')와 ;
    상기 상, 하 외포지(3)(3')의 내면에 접착 구성되며 흡수성과 통풍성을 부여하기 위한 제 1내포지(5)(5')와;
    상기 제 1내포지(5)(5')내에 수용되는 기능성 한약재 혼합물(6)과;
    상기 상,하 외포지(3)(3') 및 제1, 2 내, 외포지(5)(5')(4)(4')를 일정간격으로 봉착하여 상기 기능성 한약재 혼합물(6)을 분할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포켓부(8)와 신발 깔창(1)의 외표면에 다수의 요입부(9)가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재봉선(7)을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깔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 외포지(3)(3')는 레이온직물, 마(麻)직물, 면직물, 마면(麻綿), 교직물, 모직물, 모시직물, 혼방마직물, 혼방면직물, 혼방모직물 또는 합성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깔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포지(4)(4')는 면직물, 혼방면직물, 마직물,혼방마직물, 모직물 및 혼방모직물 중에서 선택되는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깔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포지(5)(5')는 한지나 창호지, 판지, 모조지, 필기용지, 포장용지, 부직포 또는 도화용지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깔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한약재 혼합물(6)은 당귀, 천궁, 박하, 인진쑥, 참숯(백탄), 강활등의 필수성분과, 백두구, 정향, 황기, 환련, 향부자, 단자향, 오향, 곽향, 용뇌, 계피중에서 1이상 선택되는 보조성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깔창.
  6. 제 1항에 있어서, 발바닥의 경혈을 자극하여 인체의 각 기관의 혈액순환을 돕고 지압효과 및 맛사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상 외포지(3)에 지압돌기(10)를 추가로 압입,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깔창.
KR2020020010059U 2002-04-03 2002-04-03 기능성 신발 깔창 KR2002813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059U KR200281342Y1 (ko) 2002-04-03 2002-04-03 기능성 신발 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059U KR200281342Y1 (ko) 2002-04-03 2002-04-03 기능성 신발 깔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342Y1 true KR200281342Y1 (ko) 2002-07-13

Family

ID=73120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059U KR200281342Y1 (ko) 2002-04-03 2002-04-03 기능성 신발 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34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123A (ko) * 2002-04-03 2002-06-14 윤효진 기능성 신발 깔창용 한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깔창의 제작방법
KR100711267B1 (ko) 2006-02-02 2007-04-25 박광한 구두 안창
KR101151445B1 (ko) 2011-05-19 2012-06-01 서영학 한약재 조성물이 적용된 신발 깔창의 제작방법
KR20210014159A (ko) * 2018-05-31 2021-02-08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블래더 및 라스팅 구성요소를 구비한 신발류 스트로벨 및 제조 방법
CN114888870A (zh) * 2022-03-08 2022-08-12 温州医科大学 基于热成像的人工智能糖尿病足溃疡识别的鞋垫剪裁方法
KR20240056920A (ko) 2022-10-24 2024-05-02 이현준 기능성 신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123A (ko) * 2002-04-03 2002-06-14 윤효진 기능성 신발 깔창용 한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깔창의 제작방법
KR100711267B1 (ko) 2006-02-02 2007-04-25 박광한 구두 안창
KR101151445B1 (ko) 2011-05-19 2012-06-01 서영학 한약재 조성물이 적용된 신발 깔창의 제작방법
KR20210014159A (ko) * 2018-05-31 2021-02-08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블래더 및 라스팅 구성요소를 구비한 신발류 스트로벨 및 제조 방법
KR102513706B1 (ko) * 2018-05-31 2023-03-23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블래더 및 라스팅 구성요소를 구비한 신발류 스트로벨 및 제조 방법
CN114888870A (zh) * 2022-03-08 2022-08-12 温州医科大学 基于热成像的人工智能糖尿病足溃疡识别的鞋垫剪裁方法
CN114888870B (zh) * 2022-03-08 2023-08-29 温州医科大学 基于热成像的人工智能糖尿病足溃疡识别的鞋垫剪裁方法
KR20240056920A (ko) 2022-10-24 2024-05-02 이현준 기능성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6452B1 (ko)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US6991691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functional shoe insoles using a herbal composition
KR20180055187A (ko) 건강용 기능성 패치 및 그 이용방법
KR200281342Y1 (ko) 기능성 신발 깔창
CN106259533A (zh) 驱蚊组合物及由驱蚊组合物制成的驱蚊包及其驱蚊包的使用方法
KR20140098329A (ko) 기능성 일회용신발깔창
KR20020029414A (ko) 기능성 신발 깔창용 한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깔창의 제작방법
KR200287705Y1 (ko) 기능성 신발 깔창
KR200343133Y1 (ko) 기능성 신발 깔창
KR20160087071A (ko) 기능성 신발 깔창용 한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깔창의 제작방법
KR200352334Y1 (ko) 기능성 신발 깔창
KR20060125973A (ko) 수면촉진 숨쉬는 베개용볼 및 베개 제작방법
CN1628757A (zh) 外用保健药制剂
WO2011124085A1 (zh) 中药保健鞋垫
KR20040001513A (ko) 악취제거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악취제거 및 치료제
CN105029730A (zh) 一种灵香草天然芳香保健纺织文胸及其制作方法
CN108783752A (zh) 一种保健鞋垫的制作方法
CN2862768Y (zh) 一种保健鞋垫
CN213370286U (zh) 保健鞋
KR102629601B1 (ko) 기능성 경추 베개
CN107184034A (zh) 一种用于白发转黑的保健枕芯和枕头
CN101785487A (zh) 桑拿箱木板杀虫剂及制备方法
KR200265420Y1 (ko) 기능성 신발 깔창
KR100457436B1 (ko) 찜질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용방법
KR100704330B1 (ko) 한약재를 이용한 반신욕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