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920A - 기능성 신발 - Google Patents

기능성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6920A
KR20240056920A KR1020220136999A KR20220136999A KR20240056920A KR 20240056920 A KR20240056920 A KR 20240056920A KR 1020220136999 A KR1020220136999 A KR 1020220136999A KR 20220136999 A KR20220136999 A KR 20220136999A KR 20240056920 A KR20240056920 A KR 20240056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shoe
shoe body
barefoot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준
Original Assignee
이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준 filed Critical 이현준
Priority to KR1020220136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6920A/ko
Publication of KR20240056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6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15Plastics or artificial leath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기능성 신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신발은 흙 충전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되 맨발로 싣는 신발 본체; 및 맨발 걷기가 가능하게 상기 신발 본체의 흙 충전공간에 교체 가능하게 충전되는 건강 흙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신발{Functional shoes}
본 발명은,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소와 무관하게 맨발로 흙을 밟고 걷는 이른바 맨발 걷기를 실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건강 증진의 효과를 만끽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발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땅바닥에 있을지 모를 위험한 물체에게서 발을 보호한다. 그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보온 기능도 제공하는데, 운동화 등은 신체 활동을 돕기도 한다.
최근 제작되는 신발은 상기 본연의 기능에서 벗어나 특별한 기능성이 추가되기도 한다. 예컨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1342호 (등록일자: 2002년 06월 27일),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3593호 (등록일자: 1999년 05월 11일)처럼 기능성이 강화된 깔창이 이에 해당한다. 물론, 상기 문헌 외에도 신발에 스프링 등을 추가해서 완충, 쿠션 기능을 한층 더 강화한 신발도 제안되는 추세다.
다만, 상기 문헌을 비롯한 통상의 신발은 깔창의 성분이나 구성을 변경하거나 스프링 등의 추가적인 구조를 부가한 것에 지나지 않을 뿐, 예컨대 맨발로 흙을 밟고 걷는, 이른바 맨발 걷기의 효능은 결코 제공하지 못한다.
참고로, 맨발 걷기를 하면 발 전체에 지압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발바닥의 아치 형태로 옴폭하게 들어간 부분을 추가적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맨발의 접지 효과로 인해 활성 산소를 효과적으로 배출함으로써 혈액순환 증진에 따른 건강에 이롭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맨발로 흙을 밟는 맨발 걷기를 수시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 아스팔트로 된 도심지에서 맨발 걷기를 하기 어렵고, 설사 흙이 있더라도 플라스틱 잔해, 유리병 잔해 등의 위험요소가 있을 수 있어서 실질적으로 맨발 걷기를 하기가 쉽지 않다.
그뿐더러 맨발 걷기를 할 수 있는 산책로 등이 거주지역마다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설사 그 지역 내에 있다 하더라도 집에서 해당 장소까지 차를 타고 이동하고 주차를 하여야 하는 등의 수고로움을 견디고 시간을 들여야 한다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맨발 걷기를 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산책로에는 흙 위에 작은 돌이나 자갈이 많아서 걸을 때마다 느껴지는 발바닥 통증에 취약한 사람은 건강에 좋은 맨발 걷기를 시도조차 하지 못한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볼 때,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성 신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1342호 (등록일자: 2002년 06월 27일)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3593호 (등록일자: 1999년 05월 11일)
본 발명의 목적은, 장소와 무관하게 맨발로 흙을 밟고 걷는 이른바 맨발 걷기를 실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건강 증진의 효과를 만끽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부분 아스팔트로 된 도심지에서 맨발 걷기를 하기 어렵고, 설사 흙이 있더라도 플라스틱 잔해, 유리병 잔해 등의 위험요소가 있을 수 있어서 실질적으로 맨발 걷기를 하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을 해소하고 쉽게 맨발 걷기를 실현할 수 있게 함으로써 건강 증진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맨발 걷기를 할 수 있는 산책로 등이 거주지역마다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설사 그 지역 내에 있다 하더라도 집에서 해당 장소까지 차를 타고 이동하고 주차를 하여야 하는 등의 수고로움을 견디고 시간을 들여야 한다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맨발 걷기를 하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을 해소하고 쉽게 맨발 걷기를 실현할 수 있게 함으로써 건강 증진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책로에는 흙 위에 작은 돌이나 자갈이 많아서 걸을 때마다 느껴지는 발바닥 통증에 취약한 사람은 건강에 좋은 맨발 걷기를 시도조차 하지 못한다는 점을 해소하고 쉽게 맨발 걷기를 실현할 수 있게 함으로써 건강 증진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흙 충전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되 맨발로 싣는 신발 본체; 및 맨발 걷기가 가능하게 상기 신발 본체의 흙 충전공간에 교체 가능하게 충전되는 건강 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신발 본체는, 지면에 배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둘레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상기 바닥부와 함께 상기 흙 충전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전면에서 이웃한 부분보다 높게 배치되어 발의 앞부분과 발 등의 일부를 덮는 발 커버부; 및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되 상기 흙 충전공간에 충전된 건강 흙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흙 넘침 방지용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 커버부에는 복수 개의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발 본체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발에 상기 신발 본체를 착용했을 때, 상기 신발 본체가 임의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식 안전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발 본체 또는 상기 회전식 안전고리가 실리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소와 무관하게 맨발로 흙을 밟고 걷는 이른바 맨발 걷기를 실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건강 증진의 효과를 만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착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능성 신발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건강 흙을 제거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발이 배치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메모식 장식모듈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착용 상태도, 도 2는 도 1의 기능성 신발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건강 흙을 제거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발이 배치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100)은 장소와 무관하게 맨발로 흙을 밟고 걷는 이른바 맨발 걷기를 실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건강 증진의 효과를 만끽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신발 본체(120)와, 신발 본체(120) 내에 충전 가능한 건강 흙(110)을 포함할 수 있다.
신발 본체(120)는 흙 충전공간(121)이 내부에 형성되되 도 1 및 도 4처럼 맨발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내부에 건강 흙(110)이 충전되어야 하고, 또한 건강 흙(110)을 필요에 따라 교체한 후, 신발 본체(120)를 세척해야 한다는 점에서 신발 본체(120)는 신축성이 우수하면서도 세척이 용이한 실리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신발 본체(120)에는 회전식 안전고리(130)가 연결될 수 있다. 회전식 안전고리(130)는 신발 본체(120)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도 1처럼 발에 신발 본체(120)를 착용했을 때, 신발 본체(120)가 임의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회전식 안전고리(130) 역시, 신축성이 우수하면서도 세척이 용이한 실리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회전식 안전고리(130)를 극히 개략적으로 도시했는데, 도면의 구조에서 벗어나 회전식 안전고리(130)의 중간 부분 즉, 발목 뒷부분에 닿는 부분을 벨크로 타입으로 연결해서 신발을 신는 사람의 사이즈에 맞추어 밸크로로 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뒤꿈치 혹은 발목 뒷부분을 편안하고 안정감 있게 받쳐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실제, 이러한 방식대로 제작할 경우, 보행 시 더욱 안정감 있게 걸을 수 있을 것이다.
신발 본체(120)는 전술한 것처럼 건강 흙(110)을 포함하는데, 건강 흙(110)이 포함되게 신발 본체(120)는 지면에 배치되는 바닥부(122)와, 바닥부(122)의 둘레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바닥부(122)와 함께 흙 충전공간(121)을 형성하는 측벽부(123)와, 측벽부(123)의 전면에서 이웃한 부분보다 높게 배치되어 발의 앞부분과 발 등의 일부를 덮는 발 커버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발 커버부(124)에는 복수 개의 통기공(125)이 형성된다. 따라서, 맨발로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100)을 착용할 때, 발의 앞부분과 발 등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신발 본체(120)의 구조에서 건강 흙(110)은 흙 충전공간(121)에 충전되는데, 흙 충전공간(121)에 충전된 건강 흙(110)이 넘치지 않게 흙 넘침 방지용 플랜지(126)가 신발 본체(120)에 마련된다.
다시 말해, 흙 넘침 방지용 플랜지(126)는 측벽부(123)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되 흙 충전공간(121)에 충전된 건강 흙(110)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발바닥이 건강 흙(110)이 닿아야 하기 때문에, 흙 넘침 방지용 플랜지(126)의 크기는 그리 크지 않아도 된다.
흙 넘침 방지용 플랜지(126)는 신발 본체(120)의 제작 시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혹은 별도로 제작한 다음에 신발 본체(120)에 부착할 수도 있다.
건강 흙(110)은 맨발 걷기가 가능하게 신발 본체(120)의 흙 충전공간(121)에 교체 가능하게 충전되는 흙이다.
건강 흙(110)은 통상의 모래흙에서부터 황토흙, 진흙에 이르기까지 다양할 수 있다. 필요시 건강에 유익한 재료를 건강 흙(110)에 포함시켜 신발 본체(120)에 충전해도 된다.
이에, 도 3에서 도 2처럼 신발 본체(120)의 흙 충전공간(121)에 건강 흙(110)을 채운 후, 도 1 및 도 4처럼 발에 착용해서 걸으면 된다.
발을 디딜 때는 발 전체보다 발의 앞쪽부터 닿게 하는 것이 좋으며, 천천히 걷기 시작해서 정해진 시간만큼 수시로 걷는 것이 좋다.
걷기가 완료된 후에는 발 피부와 각질을 위해 미온수로 깨끗이 씻어준 후, 보습 로션을 바르면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100)을 착용해서 걸으면 맨발 걷기의 효과, 즉 발 전체에 지압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발바닥의 아치 형태로 옴폭하게 들어간 부분, 즉 아치부를 추가적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맨발의 접지 효과로 인해 활성 산소를 효과적으로 배출함으로써 혈액순환 증진에 따른 건강에 이로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맨발 걷기에 대해 부연 설명한다.
첫째, 맨발 걷기에 따른 지압 효과이다.
발바닥 지압은 고대로부터 이어온 오랜 시간 검증된 민간요법이다. 발바닥의 특정 부분을 자극하면 그 부분과 연결된 신체 부위가 반응을 일으키면서 신체 곳곳에 이로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신체 스트레스 감소는 물론이거니와 소화기관 활성화, 뇌 활성화 등 신체에 전반적으로 유익한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한방 병원 외에 양방 병원에서도 맨발 걷기를 권장하는 추세다.
둘째, 맨발 걷기에 따른 아치(arch) 자극 효과이다.
사람의 발은 중간 안쪽에 옴폭하게 들어간 아치 형태의 아취부를 갖는다. 아취부가 평평한 사람을 소위, 병발이라 한다. 발바닥의 아취부는 탄력적으로 설계되어 신체 피로도를 줄이는 한편,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한다. 따라서, 신발을 신고 걸으면 아취부를 자극할 수 없지만, 맨발 걷기를 진행하면 아취부를 자극할 수 있어서 건강에 큰 도움이 된다.
셋째, 맨발 걷기에 따른 접지 효과이다.
접지란 전기 회로를 도체와 연결하는 행위를 뜻한다. 맨발 걷기도 이와 유사하다. 즉 사람이 걸을 때, 몸에는 미세 전류가 발생한다. 가만히 있어도 대략 2~5볼드 정도가 흐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자연에는 음전하(-)를 띠는 자율전자가 풍부한데, 맨발로 흙을 밟아 접지하면 순간 흙의 자율전자가 몸속으로 들어와 제로(zero) 볼트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체내 활성 산소를 배출할 수 있다. 활성 산소란 본디 몸의 상처를 치유하는 역할을 하는데, 그 소임을 다한 활성 산소는 배출되지 못하고 몸속을 다니면서 체내 건강한 세포를 공격한다. 따라서, 맨발 걷기를 실행하면 이러한 활성 산소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서 건강 증진에 큰 도움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장소와 무관하게 맨발로 흙을 밟고 걷는 이른바 맨발 걷기를 실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건강 증진의 효과를 만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대부분 아스팔트로 된 도심지에서 맨발 걷기를 하기 어렵고, 설사 흙이 있더라도 플라스틱 잔해, 유리병 잔해 등의 위험요소가 있을 수 있어서 실질적으로 맨발 걷기를 하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을 해소하고 쉽게 맨발 걷기를 실현할 수 있게 함으로써 건강 증진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맨발 걷기를 할 수 있는 산책로 등이 거주지역마다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설사 그 지역 내에 있다 하더라도 집에서 해당 장소까지 차를 타고 이동하고 주차를 하여야 하는 등의 수고로움을 견디고 시간을 들여야 한다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맨발 걷기를 하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을 해소하고 쉽게 맨발 걷기를 실현할 수 있게 함으로써 건강 증진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산책로에는 흙 위에 작은 돌이나 자갈이 많아서 걸을 때마다 느껴지는 발바닥 통증에 취약한 사람은 건강에 좋은 맨발 걷기를 시도조차 하지 못한다는 점을 해소하고 쉽게 맨발 걷기를 실현할 수 있게 함으로써 건강 증진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200) 역시, 신발 본체(120)와, 신발 본체(120)의 흙 충전공간(121)에 충전 가능한 건강 흙(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조, 구성의 기능과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건강 흙(210)은 흙 주머니(211) 내에 마련되며, 건강 흙(210)이 들어 있는 흙 주머니(211)를 신발 본체(120)의 흙 충전공간(121)에 배치하는 형태로 건강 흙(210)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흙 주머니(211)의 개구는 흙 넘침 방지용 플랜지(126)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발이 접할 수 있는 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장소와 무관하게 맨발로 흙을 밟고 걷는 이른바 맨발 걷기를 실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건강 증진의 효과를 만끽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300) 역시, 신발 본체(120)와, 신발 본체(120)의 흙 충전공간(121)에 충전 가능한 건강 흙(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조, 구성의 기능과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300)은 착탈식 투명 케이스(350)를 더 포함한다. 기능성 신발(300)을 착용하지 않을 때는 건강 흙(110)이 노출된 형태를 취할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 건강 흙(110)이 수분에 의해 젖거나 오염될 수 있다. 실제, 오염된 흙은 밟는 것은 의미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처럼 기능성 신발(300)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착탈식 투명 케이스(350)로 건강 흙(110) 영역을 덮어 건강 흙(110)이 수분에 의해 젖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신발 본체(120)가 실리콘 재질이라서 착탈식 투명 케이스(350)를 설치하는 데는 큰 어려움이 없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장소와 무관하게 맨발로 흙을 밟고 걷는 이른바 맨발 걷기를 실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건강 증진의 효과를 만끽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400) 역시, 신발 본체(420)와, 신발 본체(420)의 흙 충전공간(421)에 충전 가능한 건강 흙(4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조, 구성의 기능과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신발 본체(420)를 이루는 바닥부(422)에 상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422a)가 형성된다. 돌출부(422a)는 표면이 매끄러운 아크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422a)는 흙 충전공간(421)의 부피를 줄여 건강 흙(410)의 충전량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그뿐만 아니라 건강 흙(410)을 충전하지 않았을 때, 발의 지압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장소와 무관하게 맨발로 흙을 밟고 걷는 이른바 맨발 걷기를 실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건강 증진의 효과를 만끽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메모식 장식모듈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500) 역시, 신발 본체(120)와, 신발 본체(120)의 흙 충전공간(121)에 충전 가능한 건강 흙(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조, 구성의 기능과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메모식 장식모듈(550)이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메모식 장식모듈(550)은 헤드부(551)와, 헤드부(551)에 연결되고 신발 본체(120)의 통기공(125) 중 하나에 삽입 결합하는 샤프트(552)를 포함한다. 신발 본체(120)가 실리콘 재질이라서 샤프트(552)를 끼울 때, 임의로 잘 빠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때, 메모식 장식모듈(550)의 헤드부(551)의 그 자체로 장식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헤드부(551)에는 메모부(553)가 더 마련된다. 메모부(553)에 예컨대, 건강 흙(110)을 교체한 날짜 등을 간단히 기입해둘 수 있다. 그러면, 건강 흙(110)의 교체 주기를 잊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메모부(553)는 수성잉크로 쉽게 지울 수 있게 투명 필름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장소와 무관하게 맨발로 흙을 밟고 걷는 이른바 맨발 걷기를 실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건강 증진의 효과를 만끽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기능성 신발 110 : 건강 흙
120 : 신발 본체 121 : 흙 충전공간
122 : 바닥부 123 : 측벽부
124 : 발 커버부 125 : 통기공
126 : 흙 넘침 방지용 플랜지 130 : 회전식 안전고리

Claims (5)

  1. 흙 충전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되 맨발로 싣는 신발 본체; 및
    맨발 걷기가 가능하게 상기 신발 본체의 흙 충전공간에 교체 가능하게 충전되는 건강 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본체는,
    지면에 배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둘레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상기 바닥부와 함께 상기 흙 충전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전면에서 이웃한 부분보다 높게 배치되어 발의 앞부분과 발 등의 일부를 덮는 발 커버부; 및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되 상기 흙 충전공간에 충전된 건강 흙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흙 넘침 방지용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 커버부에는 복수 개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본체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발에 상기 신발 본체를 착용했을 때, 상기 신발 본체가 임의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식 안전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본체 또는 상기 회전식 안전고리가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KR1020220136999A 2022-10-24 2022-10-24 기능성 신발 KR20240056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999A KR20240056920A (ko) 2022-10-24 2022-10-24 기능성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999A KR20240056920A (ko) 2022-10-24 2022-10-24 기능성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6920A true KR20240056920A (ko) 2024-05-02

Family

ID=9107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999A KR20240056920A (ko) 2022-10-24 2022-10-24 기능성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692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593Y1 (ko) 1997-03-12 1999-08-02 김진기 황토흙의 깔창을 갖는 신발
KR200281342Y1 (ko) 2002-04-03 2002-07-13 윤효진 기능성 신발 깔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593Y1 (ko) 1997-03-12 1999-08-02 김진기 황토흙의 깔창을 갖는 신발
KR200281342Y1 (ko) 2002-04-03 2002-07-13 윤효진 기능성 신발 깔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522B1 (ko) 기능성 신발 깔창
KR20240056920A (ko) 기능성 신발
KR100995997B1 (ko) 기능성 세라믹 지압 안창
CN206699538U (zh) 一种符合人体工程学的鞋垫或鞋底
CN105768361A (zh) 具有按摩穴道及减压功能的鞋垫
JP3166236U (ja) 蒸れ防止機能付き中敷及びその中敷を備えた靴
CA2182140A1 (en) Spa slipper
JP3129014U (ja) 凸部を有する履き物
KR101429199B1 (ko) 맨발용 건강 신발
KR102274031B1 (ko) 족압 공기순환식 지압형 인솔
CN108158126A (zh) 一种减震按摩鞋
CN217906500U (zh) 一种新型多功能足疗鞋
CN213188377U (zh) 一种中草药抗菌内增高鞋垫及其鞋底
KR200456481Y1 (ko) 기능성 보조 깔창
CN203234114U (zh) 按摩鞋
CN215225112U (zh) 一种多功能双向解压鞋
CN214016269U (zh) 一种eva艾草负重鞋
KR200186431Y1 (ko) 양말
CN210841747U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鞋底
CN209825377U (zh) 一种保健鞋垫
CN209749957U (zh) 一种鞋底
CN201595239U (zh) 按摩型休闲拖鞋
KR100732496B1 (ko) 지압용 신발
JP3030610U (ja) 履物の中底構造
KR200330116Y1 (ko) 무좀예방 깔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