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071A - 기능성 신발 깔창용 한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깔창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신발 깔창용 한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깔창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071A
KR20160087071A KR1020150004521A KR20150004521A KR20160087071A KR 20160087071 A KR20160087071 A KR 20160087071A KR 1020150004521 A KR1020150004521 A KR 1020150004521A KR 20150004521 A KR20150004521 A KR 20150004521A KR 20160087071 A KR20160087071 A KR 20160087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functional
shoe insole
sheet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4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병 호 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성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성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성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50004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7071A/ko
Publication of KR20160087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0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신발 깔창용 한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깔창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
러 종류의 한약재로 구성된 기능성 혼합물을 내, 외포지로 구성되는 신발 깔창의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발 냄새 제거와
땀의 흡수, 세균 및 곰팡이 등의 항균기능, 방부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 신발 깔창용 한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깔창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당귀, 천궁, 박하,인진쑥,참숯(백탄), 강활 등의 필수성분과 백두구, 정향, 황기, 황련, 향부자, 단자향, 오향,
곽향, 용뇌 및계피중에서 1이상 선택되는 보조성분을 소정의 중량비로 배합, 혼합하여 기능성 한약재 조성물을 제조하
는 공정과;
상기 기능성 혼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직물중에서 택일되는 외포지 및 제 1, 제2 내포지를 소정의 작업
가능한 크기로 재단 후 소정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적층시키는 내, 외포지 합지공정과;
상기 제1, 제2 내포지 및 외포지가 적층, 합체된 합지시트를 제 1 내포지가 안으로 위치되도록 적층한 상태에서 신발
깔창의 형상으로 프레스로 절편, 성형하는 깔창시트 성형공정과;
상기 성형공정을 거친 깔창시트를 기능성 한약재 혼합물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신발 깔창 앞부분에 소정 폭의 개방된
입구를 형성하도록 일정 부분을 만을 남긴 채 깔창시트의 가장자리를 일체로 접합시켜 주기 위한 재봉공정과;
상기 신발 깔창시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포켓공간에 상기 한약재 혼합물을 충잔, 혼입시키는 혼합물 충진공정과;
- 1 -
공개특허 특2002-0029414
상기 기능성 혼합물의 충진이 완료된 상태에서 미 접합시킨 입구를 재봉시키는 마무리 재봉공정과;
상기 기능성 혼합물을 고르게 편 상태에서 깔창시트에 다수의 봉착선이 형성되도록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재
봉하는 봉착선 형성공정과;상기의 봉착선이 형성된 신발 깔창의 내측면(안쪽면)에 소정의 간격과 크기로 펀치 타공하여 구멍을 형성하여 100%
순동의 스냅형 단추를 압착, 결합시키는 결착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신발 깔창용 한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깔창의 제작방법{Herbal composition of functional shoes insoles andprocess for making functional shoes insoles using thesame}
본 발명은 기능성 신발 깔창용 한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깔창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종류의 한약재로 구성된 기능성 혼합물을 내, 외포지로 구성되는 신발 깔창의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발 냄새 제거와
땀의 흡수, 세균 및 곰팡이 등의 항균기능, 방부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 신발 깔창용 한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깔창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시판되고 있는 신발 깔창들은 코르크, 폴리우레탄 또는 라텍스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하였고 이를 통하여 신발에 쿠션을 주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장시간을 걸을 때 발의 피로감을 경감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22875호에는 일정 두께를 갖는 평판형의 코르크판을 신발의 바닥면과 유사한 형상으로 절단하여 코르크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코르크 부재와 동일 형상으로 종이와 섬유를 경질로 압축 성형하여 구성한 텍션 부재를 접착제 등으로 부착시킨 신발 깔창이 게시되어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18433호에는 신발 깔창에 돌출턱을 형성하여 발바닥과 접촉시 맛사지 기능을 강화시킨 신발 깔창이 게시되어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0017685호에는 만곡형 타입의 원형 모양의 옥(玉)을 깔창에 끼워 일한 배열로 원형의 홈부를 형성하여 옥(玉)을 삽입하여 부착토록 해줌으로 다수개의 옥(玉)을 지닌 지압 깔창이 게시되어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0013194호에는 숯을 넣어 만든 숯 신발 깔창에 관한 것으로 숯의 강한 흡습력에 의한 공기정화의 효과에 착안하여 발냄새 제거와 발의 건강도모를 위해 숯을 넣어 만든 신발 깔창이 게시되어 있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제1996-9925호는 게르마늄 성분이 함유된 신발 깔창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는데, 다량의 산소이온을 방출하는 게르마늄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규소화합물에 PVC, EVA 등의 연질수지를 혼합하여 제조한 신발 깔창이 게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1996-28093호에는 통기성이 좋은 면포지의 내부에 꽃이나 과일 냄새를 풍기는 방향제를 혼입한 향기나는 신발 깔창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발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는 신발의 구조적 특성 때문에, 항상 장시간동안 신발을 신고 있는 관계로 신발에 감싸진 발 부분이 외부 공기와 차단될 수밖에 없는 것이며, 따라서, 발바닥에서 나오는 땀과 신발에서 발생되는 이물질 등에 의해 박테리아 등 세균이 생기고 각종 세균이 증식하면서 만드는 " 이소 발레릭산" 이라는 물질에 의해 고약한 악취가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신발 내부의 밀폐된 환경으로 인하여 곰팡이 균이 번식하여 무좀 등과 같은 질병을 유발시키게 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국내에도 많은 발명 및 고안이 개발되었으나 땀에 의한 악취와 항균기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지 못하였다. 이는 기존의 신발 깔창이 충격방지 기능에 치우치거나, 맛사지 기능을 강화하거나 또는 신발내의 냄새를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방향제를 넣어 냄새를 중화시키는 기능에 불과하여, 발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곰팡이균의 발생방지에 있어 제일 중요한 요건인 제습과 항균 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기능성 신발 깔창으로서의 소기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시킬 수 없었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자는 오랜 기간동안 예의 연구한 결과 소취(발 냄새 제거) 및 세균 및 곰팡이 균에 대한 항균 기능 등과 발 냄새의 효과를 갖는 기능성 한약재 혼합물과 통풍성과 땀의 흡수성이 뛰어난 한지, 마직물 및 면직물의 내, 외포지 적층시트를 이용하여 발냄새 제거와 항균기능을 혁신적으로 개선한 기능성 신발 깔창을 개발하게 되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한약재로 구성되는 기능성 혼합물을 한지 등으로 구성되는 제 1 내포지와, 면직물 등으로 구성되는 제 2 내포지와 마직물 등으로 구성되는 외포지로 적층, 합지된 신발 깔창의 내부에 수용하고 재봉선을 통해 균일하고 안정적인 분포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내, 외포지와 기능성 혼합물을 통해 발 냄새 제거와 땀의 흡수, 세균 및 곰팡이 등의 항진균 기능 및 향기 발생 기능 등의 다양한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신발 깔창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당귀, 천궁, 박하,인진쑥,참숯(백탄), 강활 등의 주성분과 백두구, 정향, 황기, 황련, 향부자, 단자향, 오향, 곽향, 용뇌,계피로 구성되는 보조성분을 소정의 중량비로 배합, 혼합하여 기능성 한약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기능성 한약재 조성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직물중에서 택일되는 외포지 및 제 1, 제2 내포지를 소정의 작업가능한 크기로 재단 후 소정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적층시키는 내, 외포지 합지공정과; 상기 제1, 제2 내포지 및 외포지가 적층, 합체된 합지시트를 제 1 내포지가 안으로 위치되도록 적층한 상태에서 신발 깔창의 형상으로 프레스로 절편, 성형하는 깔창시트 성형공정과; 상기 성형공정을 거친 깔창시트를 기능성 한약재 혼합물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신발 깔창 앞 부분에 소정 폭의 개방된 입구를 구성하도록 일정 부분을 만을 남긴 채 깔창시트의 가장자리를 일체로 접합시켜 주기 위한 재봉공정과; 상기 신발 깔창시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포켓공간에 상기 한약재 혼합물을 충잔, 혼입시키는 혼합물 충진공정과; 상기 기능성 혼합물의 충진이 완료된 상태에서 미 접합시킨 입구를 재봉시키는 마무리 재봉공정과; 상기 기능성 혼합물을 고르게 편 상태에서 깔창시트에 다수의 봉착선이 형성되도록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재봉하는 봉착선 형성공정과; 상기의 봉착선이 형성된 신발 깔창의 내측면(안쪽면)에 소정의 간격과 크기로 펀치 타공하여 구멍을 형성한 후, 100% 순동(純銅)의 스냅형 단추를 압착, 결합시키는 결착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발바닥이 지면과 접촉시 발바닥의 경혈을 자극하여 인체의 각 기관의 혈액순환을 돕고 지압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신발 깔창의 적층, 합지공정 이전에 상(上) 외포지에 지압돌기를 압입, 형성하는 공정이나 발 냄새의 원활한 배출 및 습기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과 크기로 원형상의 펀치를 타공하여 구멍을 형성하여 구멍쇠를 끼워 압착, 결착하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들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깔창의 제작방법에 따르면, 신발 깔창의 주된 구성 요소인 기능성 혼합물에 의해 발 냄새 제거와 땀의 흡수, 무좀의 치료, 세균 및 곰팡이발생억제, 방부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그 제작공정이 단순함으로, 인건비와 제작비용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깔창 제작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깔창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깔창의 요부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깔창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깔창의 제작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깔창 제작방법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깔창 제작방법은 당귀, 천궁, 박하,인진쑥,참숯(백탄), 강활등의 필수성분과 백두구, 정향, 황기, 황련, 향부자, 단자향, 오향, 곽향, 용뇌 및계피 등에서 1이상 선택되는 보조성분을 소정의 중량비로 배합, 혼합하여 기능성 한약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S1)과;
상기 기능성 혼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직물중에서 택일되는 외포지 및 제 1, 제2 내포지를 소정의 작업 가능한 크기로 재단 후 소정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적층시키는 내, 외포지 합지공정과(S2);
상기 제1, 제2 내포지 및 외포지가 적층, 합체된 합지시트를 제 1 내포지가 안으로 위치되도록 적층한 상태에서 신발 깔창의 형상으로 프레스로 절편, 성형하는 깔창시트 성형공정(S3)과;
상기 성형공정을 거친 깔창시트를 기능성 한약재 혼합물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신발 깔창 앞부분에 소정 폭의 개방된 입구를 형성하도록 일정 부분을 만을 남긴 채 깔창시트의 가장자리를 일체로 접합시켜 주기 위한 1차 재봉공정(S4)과;
상기 신발 깔창시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포켓공간에 상기 한약재 혼합물을 충잔, 혼입시키는 혼합물 충진공정(S5)과;
상기 기능성 혼합물의 충진이 완료된 상태에서 미 접합시킨 입구를 재봉시키는 마무리 재봉공정(S6)과;
상기 기능성 혼합물을 고르게 편 상태에서 깔창시트에 다수의 봉착선이 형성되도록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재봉하는 봉착선 형성공정(S7)과;
상기의 봉착선이 형성된 신발 깔창의 내측면(안쪽면)에 소정의 간격과 크기로 펀치 타공하여 구멍을 형성한 후, 100% 순동의 스냅형 단추를 압착, 결합시키는 결착공정(S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능성 한약재 조성물의 배합, 혼합공정(S1)에서 사용되는 본 발명의 기능성 한약재 조성물(6)은 당귀, 천궁, 박하, 인진쑥, 참숯(백탄), 강활 등의 필수성분과 백두구, 정향, 황기, 황련, 향부자, 단자향, 오향, 곽향, 용뇌, 계피로 구성되는 보조성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필수성분중 당귀, 천궁, 박하, 인진쑥, 및 강활은 한약재 조성물의 총중량비 기준으로 5∼15중량%의 범위 내에서, 참숯(백탄)은 3∼5중량% 범위내에서 혼합, 건조한 후, 균질하게 분쇄하여 사용된다.
한편, 향 발산기능제로서 역할을 하는 보조성분들은 백두구, 정향, 황기, 황련, 향부자, 단자향, 오향, 곽향, 용뇌 및 계피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되며, 보조성분의 첨가량은 한약제 조성물의 총중량비 기준으로 3∼10중량%의 범위내에서 사용된다.
상기의 기능성 혼합물(6) 중 당귀는 미나리과에 속한 다년생 식물인 승검초의 뿌리이다. 이 식물은 2∼3년생 초본으로 1∼2m 정도 곧게 자라며, 전체가 자주빛이 나 고 뿌리는 굵고 향기가 강하다. 8∼9월에 꽃이 피고 9∼10월에 열매 가달리는데, 어린 순은 나물로 먹기도 한다.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맵고 달면서 쓰다.
당귀는 임상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약물 중의 하나이다. 혈액 순환 불량, 신체 허약, 관절통, 두통, 복통, 어지러움, 변비, 소화 기능 쇠약으로 인해 수척할 때, 타박상, 삔 데, 혈관 질환으로 인해 생긴 내출혈, 혈류 정체, 종창, 동통에 사용하며, 부인병의 주된 약재로 월경 조절, 진정(鎭靜) 작용이 있다.
천궁(川芎)은 한방에서 보혈활혈정혈제로 부인병에 주로 쓰는 대표적인 약재다. 생리불순, 냉증, 생리통, 산후에 당귀와 같이 쓰는 귀중한 약재로 천궁은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여 체내의 악혈을 빨리 운반하여 없애고 강한 살균작용으로 외과질환도 신속히 치유하며 자궁수축작용으로 출산후에 피를 멎게 한다. 또한 진통진정제로도 효과가 우수하여 두통, 어지럼증, 빈혈 등에 쓰이고 강장약으로도 효과가 뛰어나다.
박하는 잎에서 향이 나는데, 그 향을 박하향이라고 한다. 향료로 쓰이며, 사탕 제조 등 한약재로 쓰인다. 성분이 따뜻하고 맛이 달고 매우며 독이 없으며 풍과 담을 사라지게 하여서 머리와 눈을 말게 하고 뼈가 쑤시듯이 아픈데도 효능이 있다.
인진쑥은 국화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풀인 사철쑥, 또는 더위지기 풀을 가리킨다. 인진쑥은 소화흡수도 잘되고 복부를 따뜻하게 하여 위장을 편안하게 하고 장의 활력을 도와 주며, 피를 맑게 하며 피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도와주며 지방의 대사를 도와 비만 예방에도 도움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인진쑥은 비타민, 칼슘, 철분 등이 함유되어 피부가 필요로 하는 많은 영양소를 공급하여 피부유지에 도움을 주며, 냉기와 습기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되며 몸을 따뜻하게 한다.
참숯은 양전기를 중화시켜 주는 음이온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숯덩이를 방안에 두면 공기가 맑아지는 것이다. 숯은 이처럼 흡착력이 강하기 때문에 실내의 습도를 조절해 주는 기능이 있다. 숯은 흡착성 때문에 약으로도 사용되어 대장염이나 위궤양, 숙변제거 등에 좋은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강활은 뿌리를 약용으로 하며,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감기로 인하여 전신과 머리가 아픈데 쓴다. 정향은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매운 성질을 지녔다. 위장을 따뜻하게 하고, 한기로 인하여 심복이 아픈 증세에 통증을 멈추게 하며 구토를 치료한다. 황기(黃耆)는 한국·일본·만주·중국 북동부·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흔히 약초로서 재배하며 한방에서는 가을에 채취하여 노두(蘆頭)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빛에 말린 것을 황기라 한다. 땀을 많이 흘리거나 빈혈, 소화불량, 소변불리등에 쓰이며 보신과 기를 보(補)하는 작용과 비장이 허(虛)해져서 소화에 이상을 일으켜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황련(黃連)은 한방에서는 11월경에, 재식 5∼6년 된 황련·왜황련의 뿌리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것을 황련(黃連)이라 하며, 건위·진정·소염·항균 등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위염·장염·복통·구토·이질·심계(心悸)·번열(煩熱)·정신불안·인후종통(咽喉腫痛)·토혈·코피·하혈·화상 등의 치료에 처방한다.
향부자(香附子)는 한방에서는 두통 ·복통 및 월경불순에 사용하고 민간에서 폐결핵의 진핵제로도 사용한다. 한국(제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오향(五香란)이란 백단향(白檀香)·울금향(鬱金香)·침향(沈香)·정향(丁香)·용뇌향(龍腦香)의 다섯 가지 향을 이르는 말이다.
곽향(藿香)은 성분이 약간 따뜻하고 맛이 매우며 독이 없고 풍수의 독종을 낫게 하고 악기를 버리며 곽란과 비위토역을 없애주는 가장 좋은 약이다. 손과 발의 태음경에 들어가서 구토를 그치게 하고 풍한을 발산하는 중요한 약이다. 약에 쓰는 것은 물에 씻어서 흙과 줄거리를 버리고 잎을 쓴다.
용뇌(龍腦) 또는 보르네오 장뇌(樟腦)라고도 한다. 분자량 154℃이며, 녹는점 203~204℃이다. 상온에서 휘발하고 가열하면 승화한다. 이전에는 희귀약품 또는 향료로 중용되었다. 식물로부터는 수증기 증류에 의해 얻어지고, 일반적으로는 장뇌의 환원 또는 피넨에 유기산을 작용시키는 등의 합성법에 의해 얻어진다. 각종 화장품 ·의약 ·청량제 및 향료로 쓰고 있다
계피(桂皮)는 계수나무의 뿌리 ·줄기 ·가지 등의 껍질을 벗겨서 말리거나, 껍질을 벗기지 않고 건조한 가느다란 가지를 말한다. 계피는 방향성(芳香性)의 건위제(健胃劑)로서 그 분말을 다른 산제(散劑)와 배합하여 식욕 증진제로 사용한다.
한방에서는 땀이 나게 하고 식은땀을 거두게 하는 이 약재를 계지탕 ·갈근탕(칡뿌리탕)에 배합하며, 특히 감기를 포함한 소화기와 순환기 질환 ·급성열병 ·노인병 등에 첨가하여 사용한다.
상기 내, 외포지 합지공정(S2)에서는 상기 기능성 한약재 조성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레이온직물, 마(麻)직물, 면직물, 마면(麻綿), 교직물, 모직물, 모시직물, 혼방마직물, 혼방면직물, 혼방모직물 또는 합성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상, 하 외포지(3)(3')와 면직물, 혼방면직물, 마직물, 혼방마직물, 모직물 및 혼방모직물 중에서 선택되는 제 2 내포지(4)(4')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각각 적층, 합지시키고, 이어서, 상기 제 2내포지(4)(4') 내면을 한지나 창호지, 판지, 모조지, 필기용지, 포장용지, 부직포 또는 도화용지 중에서 선택되는 제 1 내포지(5)(5')와 각각 적층, 합지시킨다.
상기 깔창시트 성형공정(S3)에서는 외포지 및 제 1,제2 내포지가 적층, 합체된 합지시트를 제 1 내포지가 안으로 위치되도록 적층한 상태에서 신발 깔창의 형상으로 프레스를 이용 깔창 형상으로 절편, 성형한다.
상기 1차 재봉공정(S4)에서는 깔창시트(1)에 상기 기능성 한약재 조성물(6)을 수용할 수 있는 포켓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 제 1내포지(5)(5')가 내부로 위치되게 세장의 합지시트(3)(3')(4)(4')(5)(5')를 적층한 상태에서
신발 깔창 앞부분에 소정 폭의 개방된 입구가 형성되도록 소정의 폭만큼만 남긴 채 깔창시트의 가장자리를 일체로 재봉시켜 준다. 미재봉 부분 폭의 길이는 전체 가장자리 길이의 약 10%정도만 남겨 두는 것이 한약재를 충진하기에 편리하다.
상기 혼합물 충진공정(S5)에서는 상기 신발 깔창 앞 부분에 개방된 입구(3)를 통해 상기 한약재 조성물(6)을 투입, 충진하게 된다.
상기 마무리 재봉공정(S6)에서는 충입된 상기 기능성 혼합물(1)이 완전히 밀폐 수용될 수 있도록 미 재봉한 입구를 완전히 밀폐, 재봉하게 된다.
상기 봉착선 형성공정(S7)에서는 깔창시트(1)의 접합된 가장자리를 감싸줌으로써 미관의 향상과 가장자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내구성이 강한 직물지로 구성되는 마감지(2)를 덧대어 봉착시킨 후, 상기 상기 깔창시트(1)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기능성 한약재 조성물을(6)을 균일하게 편 상태에서 공지의 재봉틀 등을 이용하여 깔창시트(1)에 다수의 봉착선(7)이 형성되도록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재봉한다. 이와 같이 봉착선(7)을 형성하면 봉착선(7)을 중심으로 표면에 요입부(9)가 형성되는 것이므로 발과 또는 신발 창과의 사이에 포켓부(8)를 형성하게 됨으로 통기성과 쿠션효과가 향상될 수 있으며, 기능성 혼합물(6)이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여 두께가 불균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결착공정(S8)에서는 봉착선(7)이 형성된 신발 깔창의 내측면(안쪽면)에 소정의 간격과 크기로 펀치 타공하여 구멍을 형성하여 100% 순동의 스냅형 단추를 압착, 결합시키는 결착공정(S8)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발 깔창에 타공하여 스냅형 단추를 결착시키는(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 이유는 신발 내에서의 공기의 흐름 및 유통을 원활히 하여 땀 및 발 냄새를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신발 깔창의 상 외포지(3)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압돌기(10)를 압입, 형성하여 발바닥이 지면과 접촉시 발바닥의 경혈을 자극하여 인체의 각 기관의 혈액순환을 돕고 지압효과 및 맛사지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돌기(10)는 산화알루미늄(Al2 O3 ) 40∼60중량%, 이산화규소(SiO 2 ) 30∼40중량%, 산화마그네슘(MgO) 2∼5중량%, 산화아연(ZnO) 1∼3중량%, 산화칼슘(CaO 2 ) 0.5∼2, 산화망간(MnO) 1∼3중량%, 기타성분(은가루) 0.5∼1.0중량%을 균질하게 혼합, 반죽하여 압축,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지압돌기의 압입, 성형공정은 상기의 상, 하 외포지(3)(3') 및 상,하 제1, 제2 내포지(5)(5')(4)(4')를 적층, 합지하기 전에 상 외포지(3)에 지압돌기를 사전에 압입, 형성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발 냄새의 원할한 배출 및 습기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과 크기로 원형상의 펀치를 타공하여 구멍을 형성하여 구멍쇠를 끼워 압착, 결착하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신발 깔창을 착용하고 장기간 보행하니 강한 땀 흡수력 및 소취력에 의하여 땀이 제거됨과 동시에 남에게 불쾌감을 주는 땀 냄새를 제거하면서, 한약재 성분에 의한 향기신발 안의 제습 기능 및 신발의 장기간 착용에 따른 유해한 세균, 곰팡이 등의 항균기능이 매우 우수하게 발휘되었다.
S1: 배합, 혼합공정
S2: 내, 외포지 합지공정
S3: 깔창시트 성형공정
S4: 1차 재봉공정
S5: 한약재 충진공정
S6: 마무리 재봉공정
S7: 봉착선 형성공정
S8: 구멍쇠 결착공정
1: 신발 깔창
2: 마감지
3,3': 상, 하 외포지
4,4': 상, 하 제 2내포지
5,5': 상, 하 제 1내포지
6: 기능성 한약재 조성물
7: 재봉선
8: 포켓부
9: 요입부
10: 지압돌기

Claims (1)

  1. 당귀, 천궁, 박하,인진쑥,참숯(백탄), 강활 등의 필수성분과 백두구, 정향, 황기, 황련, 향부자, 단자향, 오향(팔각향), 곽향, 용뇌 및계피중에서 1이상 선택되는 보조성분을 소정의 중량비로 배합, 혼합하여 기능성 한약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기능성 혼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직물중에서 택일되는 외포지 및 제 1, 제2 내포지를 소정의 작업 가능한 크기로 재단 후 소정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적층시키는 내, 외포지 합지공정과;
    상기 제1, 제2 내포지 및 외포지가 적층, 합체된 합지시트를 제 1 내포지가 안으로 위치되도록 적층한 상태에서 신발 깔창의 형상으로 프레스로 절편, 성형하는 깔창시트 성형공정과;
    상기 성형공정을 거친 깔창시트를 기능성 한약재 조성물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신발 깔창 앞 부분에 소정 폭의 개방된 입구를 형성하도록 일정 부분을 만을 남긴 채 깔창시트의 가장자리를 일체로 접합시켜 주기 위한 재봉공정과;
    상기 신발 깔창시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포켓공간에 상기 한약재 조성물을 충잔, 혼입시키는 조성물 충진공정과;
    상기 기능성 한약재 조성물의 충진이 완료된 상태에서 미 접합시킨 입구를 재봉시키는 마무리 재봉공정과;
    상기 기능성 조성물을 고르게 편 상태에서 깔창시트에 다수의 봉착선이 형성되도록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재봉하는 봉착선 형성공정과;
    상기의 봉착선이 형성된 신발 깔창 내측면(안쪽면)에 소정의 간격과 크기로 펀치 타공하여 구멍을 형성한 후, 100% 순동의 스냅형 단추를 압착, 결합시키는 결착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깔창의 제작방법.
KR1020150004521A 2015-01-13 2015-01-13 기능성 신발 깔창용 한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깔창의 제작방법 KR201600870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521A KR20160087071A (ko) 2015-01-13 2015-01-13 기능성 신발 깔창용 한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깔창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521A KR20160087071A (ko) 2015-01-13 2015-01-13 기능성 신발 깔창용 한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깔창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071A true KR20160087071A (ko) 2016-07-21

Family

ID=56680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4521A KR20160087071A (ko) 2015-01-13 2015-01-13 기능성 신발 깔창용 한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깔창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70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118A (ko) * 2021-03-29 2022-10-06 김진영 정전기 방지용 운동화
KR20230033413A (ko) 2021-09-01 2023-03-0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118A (ko) * 2021-03-29 2022-10-06 김진영 정전기 방지용 운동화
KR20230033413A (ko) 2021-09-01 2023-03-0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1691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functional shoe insoles using a herbal composition
CN104287298A (zh) 一种保健鞋及制作方法
CN101322608A (zh) 中药枕
KR101685631B1 (ko) 숙면용 한방 방향제
KR101757732B1 (ko) 훈증 및 아로마테라피 효과가 있는 핫팩
KR20160087071A (ko) 기능성 신발 깔창용 한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깔창의 제작방법
CN106259533A (zh) 驱蚊组合物及由驱蚊组合物制成的驱蚊包及其驱蚊包的使用方法
KR20140098329A (ko) 기능성 일회용신발깔창
KR200281342Y1 (ko) 기능성 신발 깔창
KR20020029414A (ko) 기능성 신발 깔창용 한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깔창의 제작방법
CN102860939B (zh) 健胸调理复方精油
KR20170079329A (ko)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발 뒤꿈치 각질 완화용 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74102B1 (ko) 홍삼박을 주재로 한 입욕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343133Y1 (ko) 기능성 신발 깔창
KR200287705Y1 (ko) 기능성 신발 깔창
KR200352334Y1 (ko) 기능성 신발 깔창
WO2011124085A1 (zh) 中药保健鞋垫
CN108783752A (zh) 一种保健鞋垫的制作方法
CN105029730A (zh) 一种灵香草天然芳香保健纺织文胸及其制作方法
KR20040001513A (ko) 악취제거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악취제거 및 치료제
CN101310638A (zh) 纯中药保健鞋垫
KR200352333Y1 (ko) 기능성 신발깔창 시트
KR20140060883A (ko) 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4203896A5 (ko)
KR101105011B1 (ko) 한약재를 이용한 방향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