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413A -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3413A
KR20230033413A KR1020210116345A KR20210116345A KR20230033413A KR 20230033413 A KR20230033413 A KR 20230033413A KR 1020210116345 A KR1020210116345 A KR 1020210116345A KR 20210116345 A KR20210116345 A KR 20210116345A KR 20230033413 A KR20230033413 A KR 20230033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hestnut
pomegranate
extracte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0487B1 (ko
Inventor
김형주
정윤석
이주연
최용근
송학진
오경빈
조정욱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16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487B1/ko
Publication of KR20230033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2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skullcap, selfheal, lavender, perilla, pennyroyal, peppermint or spearmi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6Rutaceae [Rue family], e.g. lime, orange, lemon, corktree or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밤, 석류, 메리골드자몽, 오레가노와 같은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ANTIBAC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PLANT EXTRACT}
본 발명은 밤, 석류, 골드메리자몽, 오레가노와 같은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신발 깔창 및 화장품용 방부제 용도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 시판되고 있는 신발 깔창들은 코르크, 폴리우레탄 또는 라텍스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하였고 이를 통하여 신발에 쿠션을 주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장시간을 걸을 때 발의 피로감을 경감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발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는 신발의 구조적 특성 때문에, 항상 장시간동안 신발을 신고 있는 관계로 신발에 감싸진 발 부분이 외부 공기와 차단될 수밖에 없는 것이며, 특히, 장시간의 운동 또는 생활 활동에 의해 발바닥에서 나오는 땀과 신발에서 발생되는 이물질 등에 의해 박테리아 등 세균이 생기고 각종 세균이 증식하면서 피부상재균의 조성이 달라져 고약한 악취가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신발 내부의 밀폐된 환경으로 인하여 곰팡이 균이 번식하여 무좀 등과 같은 질병을 유발시키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87071호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과일 및 채소 추출물로부터 우수한 항균 효과를 갖는 천연 추출물을 선별하고, 이의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밤, 석류, 골드메리자몽, 오레가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및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신발 깔창용 조성물 및 화장품용 방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밤, 석류, 골드메리자몽, 오레가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신발 깔창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깔창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신발 깔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방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사용하여 피부상재균 증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어, 신발 깔창의 악취를 억제하거나 화장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독성이 없는 천연 추출물을 사용하여 피부에 직접적으로 닿을 경우에도 부작용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과일 및 채소의 (A) 에탄올 추출물 및 (B) 열수 추출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A) 가운데 양성 대조군과 1로 표시된 밤 추출물 및 (B) 2로 표시된 석류 추출물에서 억제환이 나타난 디스크 확산법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1로 표시된 밤 추출물과 2로 표시된 석류 추출물에 의한 피부상재균 S.epidermidis의 생장 억제환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토클레이브 적용 후 (A) 1일 및 (B) 3일 경과시 석류 추출물(점선의 왼쪽 위) 및 밤 추출물(점선의 오른쪽 아래)의 억제환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밤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A) S.epidermidis 및 (B) M.luteus의 억제환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석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A) S.epidermidis 및 (B) M.luteus의 억제환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밤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S.epidermidis 억제환 직경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석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S.epidermidis 억제환 직경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밤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M.luteus 억제환 직경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석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M.luteus 억제환 직경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의 (A) M.luteus 및 (B) S.epidermidis 에 대한 억제환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의 (A) Microbacterium oxydans/Microbacterium maritypicum, (B) Staphylococcus hominis/Staphylococcus haemolyticus 및 (C) Bacillus altitudinis/Bacillus xiamenensis에 대한 억제환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이 적용된 인솔(깔창)의 세균 번식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이 적용된 인솔(깔창)의 세균 번식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이 적용된 화장품 샘플의 균의 수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밤, 석류, 골드메리자몽, 오레가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및 시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 추출법은 이 기술 분야에서 보통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변형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물 추출물은 밤, 석류, 및 메리골드자몽의 과피, 과육 또는 씨 또는 오레가노 허브 자체를 건조하거나 건조하지 않은 생과로부터 열수추출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기용매 추출물은 밤, 석류, 오레가노 및 메리골드자몽의 과피, 과육 또는 씨 또는 오레가노 허브 자체를 건조 및 분쇄한 분쇄물로부터 추출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밤 추출물은 밤의 외피 및 내피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석류 추출물은 과피와 씨를 포함한 과육 전체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고, 상기 메리골드자몽 추출물은 과피와 씨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오레가노는 허브 자체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밤 및 석류를 3 내지 6 : 4 내지 7의 부피비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밤, 석류 및 메리골드자몽을 1 : 1 : 1 의 부피비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밤, 석류 및 오레가노를 1 : 1 : 1 의 부피비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피부 상재균인 Microbacterium oxydans, Microbacterium maritypicum, Bacillus aerius, Bacillus stratosphericus, Micrococcus aloeverae, Micrococcus yunnanensis, Micrococcus yunnanensis, Micrococcus luteus, Staphylococcus hominis, Staphylococcus haemolytic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균에 대해 항균 작용을 갖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신발 깔창용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신발 깔창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방부제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추출물의 제조
실험 재료의 준비
40종의 과일 및 채소를 준비하고, 자체적으로 함유하고 있는 수분에 의한 추출률 저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48시간 이상을 dry oven에서 수분을 증발시켰다.
과일의 과피와 종자 부분을 주로 하였고 독성이 알려진 사과의 씨부분 등의 경우에는 해당 부분을 제외하고 추출에 이용하였다.
과일의 양은 보통 한 과육 기준으로 수급했고 나중에 추출 양으로는 갈아서 만든 분말 1g씩을 기준으로 했다. 열수추출의 경우 25g씩을 기준으로 했다. 일반적으로는 과육 한 개 분량의 무게였다.
사용한 과일 및 채소는 하기와 같이 추출하였다.
사과: 씨부분의 독성을 고려하여 껍질만 이용하여 추출
포도: 껍질과 종자 둘 다 이용하여 건조시키고 갈아서 추출
파프리카: 안쪽에 씨들이 들어있는 대 부분을 위주로 갈아서 추출
귤: 껍질만 이용하여 추출
코코넛: 외피에 붙어있는 내피 부분을 위주로 추출함
도라지: 껍질부분 추출
밤: 밤송이부분을 제외한 보통 밤알에서 겉껍질(외피), 속껍질(내피)만 추출
레드키위: 껍질부분 추출
아보카도(씨): 껍질부분이 거칠어 작열감 또는 추출이 안 될 것 등을 대비해 씨부분에서만 추출
오레가노: 허브 자체를 갈아서 추출
방울토마토: 자체를 갈아서 추출
메리골드자몽: 껍질과 씨 부분을 갈아서 추출
마: 껍질부분 추출
고구마: 껍질부분 추출
연근: 껍질부분 추출
당근: 껍질부분 추출
청포도: 껍질과 씨 부분을 갈아서 추출
감자: 껍질부분 추출
생강: 껍질부분 추출
씀바귀: 껍질부분 추출
가지: 껍질과 씨 부분을 갈아서 추출
양송이: 자체를 갈아서 추출
오이: 껍질부분 추출
대파: 껍질부분 추출
무: 껍질부분 추출
우엉: 껍질부분 추출
더덕: 껍질부분 추출
바나나: 껍질을 포함한 바나나 자체를 갈아서 추출
할라피뇨: 껍질과 씨 부분을 갈아서 추출
석류: 껍질과 씨를 포함한 석류 자체를 갈아서 추출
모과: 씨부분의 독성을 고려하여 껍질만 이용하여 추출
브로콜리: 자체를 갈아서 추출
깻잎: 자체를 갈아서 추출
양파: 껍질부분만 추출
단호박: 껍질부분 위주로 추출
비트: 껍질부분 위주로 추출
피망: 껍질부분, 씨 위주로 추출
블루베리:자체를 갈아서 추출
콜라비:껍질부분 위주로 추출
마늘:껍질부분만 추출
건조한 상기 과일 및 채소를 분쇄기(hammer mill)를 이용해서 분쇄하였다.
에탄올 추출
상기 건조 후 분쇄한 분말 상태의 과피 및 종자 부분을 각각 1g씩 뚜껑이 밀봉될 수 있는 통에 넣고 질량의 10배 가량의 70%에탄올 용액으로 실온에 48h 침지시켜 추출한 후 추출액을 감압농축기 등으로 농축하고 원심분리하여 그 상등액을 냉장보관하여 사용하였다(도 1A).
열수 추출
건조하지 않은 생과일 및 생채소의 과피 및 종자 부분을 그대로 또는 갈은 후 각각 뚜껑이 밀봉될 수 있는 통에 넣고 질량의 10배 가량의 증류수(DW)로 70°C 가량의 수조(water bath)에 24h 침지시켜 추출한 후 추출액을 감압농축기 등으로 농축하고 원심분리하여 그 상등액을 냉장보관하여 사용하였다(도 1B).
실험예 1. 항균 효과 확인
디스크 확산법(Disk diffusion method)을 사용하여 세균의 항생제 감수성을 측정하였다. 항생제가 포함된 디스크를 배지에 올려두면 디스크 주위로 항생제 성분이 농도 기울기를 형성하면서 확산한다. 세균이 항생제 감수성을 가질 경우, 항생제 성분이 특정 농도 이상인 부분에서 세균의 생장이 억제되어 고리 모양의 억제 영역을 관찰할 수 있다. 억제 영역의 지름을 측정하여 세균이 항생제에 어느 정도의 감수성을 가지는지 판별할 수 있다.
우선, E-tube에 샘플링한 균 배양액을 멸균된 식염수에 넣어서 희석시켰다. 사용한 균은 개봉한 화장품 샘플에서 수득한 균들로, 주로 피부에 서식하는 그람 양성균이며, 표 1에 나타냈다. TSA 배지에 도말한 후 2일±2시간 후에 형성된 콜로니를 확인하였다. 그런 다음, 콜로니를 따서 액체배지에 옮겨 14시간 정도 지수성장기에서 밤새 배양한 후, Mcfarland Scale no.0.5 의 흡광도에 맞게 희석시켰다. 조정된 균액 0.1 ml를 고체배지의 표면에 도말하였으며, Muller-Hinton agar를 표준배지로 사용하였다. 도말한 고체배지 위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흡수시킨 다스크를 올렸다. 이 때, 일반적으로 추출물을 디스크가 흡수할 수 있을 정도의 양에 맞춰 바로 주입하는데, 에탄올로 침지시켜 추출한 추출물 등의 경우 용매(에탄올) 자체가 생물에 대해 자체적인 독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미리 멸균 디스크에 주입하여 이러한 용매를 날려보낸 후에 배지에 올렸다. 그런 다음 19-20시간을 37℃에서 배양한 후 억제환의 유무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표 2 내지 4에 나타냈다. 하기 표 2 및 3은 건조된 과일 및 채소 분쇄물의 에탄올 추출물의 결과이고, 표 4는 생과일 및 생채소의 열수 추출물의 결과이다.
또한, 용매(에탄올) 자체가 생물에 대해 자체적인 독성을 나타낼 가능성을 대비하여 음성 대조로 에탄올, 양성 대조로는 Streptomycin sulfate salt를 이용하여 디스크 확산법을 통한 균 생장 저하 능력을 실험하였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실험한 추출물 중, 밤 및 메리골드자몽의 에탄올 추출물 및 석류 열수 추출물이 5개 내지 6개의 균에 대해 억제환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2).
실험예 2. 항균 효과 확인
실험예 1에서 우수한 항균 활성을 보이는 밤 및 석류 추출물을 이용하여 무좀 및 발냄새를 일으키는 균으로 주로 알려져 있는 두 균인 M.luteusS.epidermidis에 대하여 디스크 확산법을 통해 항균효과를 실험하였다.
그 결과, S.epidermidis에 대한 디스크 확산 실험에서 121℃에서 15분 이상 진행하여 멸균하는 고압증기멸균 과정 이후에서도 항균활성을 보이는 결과를 얻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밤 추출물보다 석류 추출물에서 더 큰 억제환 직경을 보였다. 그러나,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말 이후 1일 경과시에는 비슷한 직경을 보이다가 3일 경과시에는 에탄올을 용매로 추출한 밤 추출물(점선의 오른쪽 아래)이 물을 용매로 추출한 석류 추출물(점선의 왼쪽 위)보다 더 넓은 직경을 더 오래 유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각 추출물의 적용 용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농도에 따른 억제환 크기를 caliper로 재어 도식화하였다. 두 균 M.luteusS.epidermidis에 대하여 농도에 따른 20μl의 밤 추출물(도 5)과 석류 추출물(도 6)의 억제환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냈다(1. 100%, 2. 80%, 3. 60%, 4. 40%, 5. 20%, 및 6. 대조(에탄올 20μl)). 농도에 따른 억제환 감소폭의 측정 결과는 도 7 내지 10에 나타냈다. 도 7 내지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0% 미만의 농도에서도 항균효과가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차함수 그래프에 따르면 0 초과 x절편(약 4%) 초과에서부터 억제환이 관찰될 수 있고, 또한 농도가 높아질수록 억제환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혼합 추출물의 항균 효과 확인
실험예 1에서 우수한 항균 활성을 보이는 밤 및 석류 추출물의 최적 혼합 비율 및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석류 열수 추출물과 밤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농축한 후 각자 중량비 10배의 용매를 넣어 침지한 다음 농축기로 더 이상 양이 줄어들지 않을 때 까지 농축하여 사용하였다. 석류 열수 추출물과 밤 에탄올 추출물을 90 부피% 내지 10 부피% : 10 부피% 내지 90 부피%의 비율로 혼합한 후, 디스크당 20μl씩 처리하여 M.luteusS.epidermidis에 대하여 억제환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석류 열수 추출물과 밤 에탄올 추출물을 70 부피% : 30 부피%, 60 부피% : 40 부피% 및 50 부피% : 50 부피%의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큰 억제환 직경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1).
또한, 석류 열수 추출물과 밤 에탄올 추출물 이외에 다른 추출물과의 혼합물의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1 : 1 : 1 : 1의 부피비로 혼합한 밤, 오레가노, 석류 및 자몽의 혼합 추출물, 1 : 1 : 1의 부피비로 혼합한 밤, 자몽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 1 : 1 : 1의 부피비로 혼합한 오레가노, 아보카도씨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 및 1 : 1 : 1의 부피비로 혼합한 밤, 오레가노, 석류 및 밤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고, CC(Microbacterium oxydans, Microbacterium maritypicum), SY(Staphylococcus hominis, Staphylococcus haemolyticus) 및 SB(Bacillus altitudinis, Bacillus xiamenensis)(표 1)에 대한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밤, 자몽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 및 오레가노, 아보카도씨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이 큰 억제환 직경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인솔 적용 실험
인솔(깔창)의 왼쪽 및 오른쪽 각각에서 다른 조건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왼쪽의 인솔은 대조구로서 추출물이 없는 상태에서 NA 배지 내지 MHA 배지를 도포하여 굳힌 후 세균 번식 여부 확인하였으며, 오른쪽의 인솔은 석류 열수 추출물과 밤 에탄올 추출물을 1 : 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물이 첨가되어 오토클레이브까지 같이 돌린 NA 배지 내지 MHA 배지를 도포한 후 세균 번식 여부를 확인하였다. 상기 석류 열수 추출물과 밤 에탄올 추출물은 추출물을 농축한 후 각자 중량비 10배의 용매를 넣어 침지한 다음 농축기로 더 이상 양이 줄어들지 않을 때 까지 농축하여 사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농축한 농축물을 각각 100ul씩 도포하여 혼합하였다.
도 13은 깔창+추출물, 배지, 균 순서로 도말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추출물을 도포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 균 콜로니가 많이 형성되는 형태가 보였으나(도 13A), 본 발명의 추출물을 도포한 경우 균 콜로니가 관찰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도 13B).
도 14는 깔창+추출물, 균, 배지 순서로 도말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추출물을 도포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 균 콜로니가 많이 형성되는 형태가 보였으나(도 14A), 본 발명의 추출물을 도포한 균 콜로니가 비교적 관찰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도 14B).
실험예 4. 도말 및 현미경 검경
화장품의 표면에 배지와 혼합한 추출물을 도포한 다음 시간이 지나고 관찰되는 균의 수를 현미경으로 검경하였다. 이 때 대조군으로는 배지만 도포한 것을 비교하였다. 추출물은 석류 열수 추출물과 밤 에탄올 추출물을 1 : 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석류 열수 추출물과 밤 에탄올 추출물은 추출물을 농축한 후 각자 중량비 10배의 용매를 넣어 침지한 다음 농축기로 더 이상 양이 줄어들지 않을 때 까지 농축하여 사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농축한 농축물을 각각 100ul씩 도포하여 혼합하였다.
그 결과, 도 1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왼쪽의 추출물을 도포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 균의 수가 많이 보이고,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도포한 오른쪽의 경우 균의 수가 비교적 관찰되지 않은 결과를 보인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밤, 석류, 골드메리자몽, 오레가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밤 추출물은 밤의 외피 및 내피로부터 추출된 것인 항균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석류 추출물은 과피와 씨를 포함한 과육 전체로부터 추출된 것인 항균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리골드자몽 추출물은 과피와 씨로부터 추출된 것인 항균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밤 및 석류를 3 내지 6 : 4 내지 7의 부피비로 포함하는 것인 항균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밤, 석류 및 메리골드자몽을 1 : 1 : 1 의 부피비로 포함하는 것인 항균 조성물.
  7. 상기 항균 조성물은 밤, 석류 및 오레가노를 1 : 1 : 1 의 부피비로 포함하는 것인 항균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인 항균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및 시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항균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신발 깔창용 조성물.
  11. 제 10 항에 따른 신발 깔창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신발 깔창.
  12.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방부제 조성물.
KR1020210116345A 2021-09-01 2021-09-01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650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345A KR102650487B1 (ko) 2021-09-01 2021-09-01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345A KR102650487B1 (ko) 2021-09-01 2021-09-01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413A true KR20230033413A (ko) 2023-03-08
KR102650487B1 KR102650487B1 (ko) 2024-03-25

Family

ID=85508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345A KR102650487B1 (ko) 2021-09-01 2021-09-01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4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148A (ko) * 1998-06-09 2000-01-15 최영신 항균 및 항진균 작용이 있는 정유 조성물
KR20160087071A (ko) 2015-01-13 2016-07-21 주식회사 부성코퍼레이션 기능성 신발 깔창용 한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깔창의 제작방법
KR20210097384A (ko) * 2020-01-30 2021-08-0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148A (ko) * 1998-06-09 2000-01-15 최영신 항균 및 항진균 작용이 있는 정유 조성물
KR20160087071A (ko) 2015-01-13 2016-07-21 주식회사 부성코퍼레이션 기능성 신발 깔창용 한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깔창의 제작방법
KR20210097384A (ko) * 2020-01-30 2021-08-0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고종호 외 4인, "석류씨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한국조리과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71-179 (2005.04.) 1부.* *
김용두 외 5인, "밤 부위별 추출물의 항균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Vol.12, No.3, pp.257-262, (2005.06.) 1부.* *
박헌국 외 1인, "자몽 종자 추출물의 항균성", 한국식품영양학회, Vol.19, No.4, pp.526-531 (2006.) 1부.* *
최무영 외 1인, "오레가노 추출물의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효과", Korean J. Plant Res. 21(5) pp.352-356 (2008.)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487B1 (ko) 202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icot et al. Biological control and biopesticide suppression of Botrytis-incited diseases
Daniel et al. In vivo application of garlic extracts in combination with clove oil to prevent postharvest decay caused by Botrytis cinerea, Penicillium expansum and Neofabraea alba on apples
Saikia et al. Rhizospheric biological weapons for growth enhancement and Meloidogyne incognita management in Withania somnifera cv. Poshita
Sukorini et al. Control of postharvest green mold of citrus fruit with yeasts, medicinal plants, and their combination
Hou et al. Berberine as a natural compound inhibits the development of brown rot fungus Monilinia fructicola
El-Katatny et al. Control of postharvest tomato rot by spore suspension and antifungal metabolites of Trichoderma harzianum
Che et al. Biocontrol of Lasiodiplodia theobromae, which causes black spot disease of harvested wax apple fruit, using a strain of Brevibacillus brevis FJAT-0809-GLX
Ibrahim et al. Evaluation of antifungal activity of some plant extracts and their applicability in extending the shelf life of stored tomato fruits.
Ghareeb et al.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of five Egyptian plant species
US7927632B2 (en) Compositions for sterilizing spores of spore-forming microorganisms comprising the extracts of torilidis fructus
Sangwanich et al. Biocontrol of citrus green mould and postharvest quality parameters.
Mohamed et al. Biochemical and cell wall ultrastructural changes in crown tissue of banana (Musa AAA ‘Berangan’) fruit as mediated by UVC irradiation against crown rot fungal infection
Hashem et al. A multiple volatile oil blend prolongs the shelf life of peach fruit and suppresses postharvest spoilage
Dalla Pasqua et al. Combined application of Pochonia chlamydosporia and solid by-product of the wine industry for the control of Meloidogyne javanica
Zhan et al. Control of postharvest stem-end rot on mango by antifungal metabolites of Trichoderma pinnatum LS029-3
Bång Screening of natural plant volatiles to control the potato (Solanum tuberosum) pathogens Helminthosporium solani, Fusarium solani, Phoma foveata and Rhizoctonia solani
KR20230033413A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ena Antifungal activities of Monsonia burkeana and Euphorbia ingens extracts against Penicillium digitatum, the causal agent of citrus green mould
Hamza et al. New trends for biological and non-biological control of tomato root rot, caused by Fusarium solani, under greenhouse conditions.
Sattar et al. Efficacy of selected plant extracts for inhibition of Penicillium expansum growth on apple fruits
De Corato et al. Evaluation of an alternative mean for controlling postharvest Rhizopus rot of strawberries
Hussain et al. IN VITRO EVALUATION OF FUNGICIDES AND PLANT EXTRACTS FOR SUPPRESSING MYCELIUM GROWTH OF MACROPHOMINA PHASEOLINACAUSES CHARCOAL ROT OF SUNFLOWER
Elhelaly et al. Effect of some aqueous plant extracts on controlling orange, green mold disease and quality of “Washington” navel orange
Xa et al.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us by various indigenous microorganisms from different cropping systems in Soc Trang Province, Vietnam
Kareem Control of damping-off and root rot diseases of Acacia tree using some biological control agents and plant extra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