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644B1 - 관로점검세척장치 - Google Patents

관로점검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644B1
KR102456644B1 KR1020200115002A KR20200115002A KR102456644B1 KR 102456644 B1 KR102456644 B1 KR 102456644B1 KR 1020200115002 A KR1020200115002 A KR 1020200115002A KR 20200115002 A KR20200115002 A KR 20200115002A KR 102456644 B1 KR102456644 B1 KR 102456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ipe
opening
manhol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2983A (ko
Inventor
강두환
Original Assignee
㈜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영 filed Critical ㈜일영
Priority to KR1020200115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644B1/ko
Publication of KR20220032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10Treating the inside of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수밸브의 하/상류단에 각각 설치되어 관로의 점검과 세척을 유도하는 관로점검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제수밸브와 인접하는 지반에 설치되어 관로공간(10a)과 개폐공간(10b)을 마련해주는 기초부재(10); 상기 관로공간(10a)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제수밸브 사이에 위치하는 상수도관에 장착되어 포리피그의 투입과 배출을 유도하는 세척구(20); 상기 세척구(20)의 양단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제수밸브나 상수도관과 연통되게 연결해주는 이음관(30); 상기 개폐공간(10b)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세척구(20)로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세척구실(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초부재와 세척관실을 잇따라 조립되는 구조로 개선하여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다단으로 적층시공이 가능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신속 간편하게 해체할 수 있어 우수한 작업효율을 기대할 수 있고, 세척구의 개폐플랜지 저면으로 너트를 따라 육각볼트가 헛돌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돌기를 부가함으로써, 작업자가 육각볼트를 일일이 잡지 않아도 됨에 따라 개폐작업에 소요되는 공수를 단축할 수 있으며, 세척구실이 다양한 외부요인을 차단해주는 벙커형태의 작업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관로점검세척장치{Pipeline inspection and washing device}
본 발명은 상수도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수밸브의 하/상류단에 각각 설치되어 관로의 점검과 세척을 유도하는 관로점검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초부재와 세척관실을 잇따라 조립되는 구조로 개선하여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다단으로 적층시공이 가능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신속 간편하게 해체할 수 있어 우수한 작업효율을 기대할 수 있고, 세척구의 개폐플랜지 저면으로 너트를 따라 육각볼트가 헛돌지 않게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돌기를 부가함으로써, 작업자가 육각볼트를 일일이 잡지 않아도 됨에 따라 개폐작업에 소요되는 공수를 단축할 수 있으며, 세척구실이 다양한 외부요인을 차단해주는 벙커형태의 작업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관로점검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가정과 식당 등에 식수를 공급하는 상수도관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부에 물때가 달라붙어 스케일(scale)이 발생한다.
이러한 스케일은 상수도관의 노화와 식수에 투입되는 살균약품에 의해 가속화되고 있다.
즉, 상수도관에 물때가 달라붙으면 상수도관 내부의 직경이 좁아지게 되므로 식수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한다.
따라서 수압이 높아져 상수관의 파손 및 누수는 물론 오염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어 주기적으로 상수도관의 내부를 세척할 필요가 있다.
일예로, 상수도관 내부의 물때를 제거하는 방식으로는 상수도관 내부에 일정시간 동안 오존수를 주입하여 물때를 오존수로 산화시킨 다음, 다시 고압으로 상수관의 내부에 물을 주입하여 세척하였다.
다른 예로, 특허문헌1에 개시된 것처럼 제수밸브의 하/상류단에 연결되어 총알형태를 갖는 피그를 이용하여 관내에 달라붙은 물때를 제거해주는 관로점검세척장치가 있다.
이러한 관로점검세척장치는 세척구의 상단에 형성된 피그 투입구와, 피그 투입구의 상면에 결합되는 덮개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수밸브를 잠근 상태에서 피그 투입구로 피그를 투입한 후 제수밸브를 개방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고압수를 송출하면, 피그가 상수도관의 내부를 고속으로 통과하면서 상수도관 내벽에 묻어있는 물때를 제거하면서 다음에 위치하는 세척구를 통해 빠져나오게 된다.
한편, 피그 투입구와 덮개를 육각볼트와 육각너트로 체결 또는 해체할 경우, 육각볼트가 헛돌지 않도록 육각볼트를 한손으로 잡고서 체결 또는 해체해야 함에 따라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덮개의 탈장착과 피그투입을 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세척구실 또는 밸브실이 매우 협소한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어 작업 시 불안정한 자세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세척구실 또는 밸브실의 설치 및 해체가 비교적 복잡하고 어려운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시공성과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2363호 (발명의 명칭: 상수관용 점검구의 피그 배출 가이드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기초부재와 세척관실을 잇따라 조립되는 구조로 개선하여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다단으로 적층시공이 가능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신속 간편하게 해체할 수 있어 우수한 작업효율을 기대할 수 있고, 세척구의 개폐플랜지 저면으로 너트를 따라 육각볼트가 헛돌지 않게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돌기를 부가함으로써, 작업자가 육각볼트를 일일이 잡지 않아도 됨에 따라 개폐작업에 소요되는 공수를 단축할 수 있으며, 세척구실이 다양한 외부요인을 차단해주는 벙커형태의 작업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관로점검세척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관로점검세척장치는 덮개플랜지와 개폐플랜지에 의한 2단 구조를 가짐으로써, 세척구덮개 상에 물의 수압측정 및 탁도유량 등의 측정기를 부착할 수가 있어 각종 계측에 활용하도록 공기변과 플러싱 밸브를 부착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드플레이트 내부에는 원형의 포리피그 입ㆍ출구인 통로만 확보하고 포리피그 작업시 기존 맨홀보다 한 치수 크게 설계하여 내부에서 포리피그 작업을 편리하게 하며, 안정성이 탁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제수밸브와 인접하는 지반에 설치되어 관로공간과 개폐공간을 마련해주는 기초부재; 상기 관로공간 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제수밸브 사이에 위치하는 상수도관에 장착되어 포리피그의 투입과 배출을 유도하는 세척구; 상기 세척구의 양단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제수밸브나 상수도관과 연통되게 연결해주는 이음관; 상기 개폐공간 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세척구로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세척구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기초부재는, 상기 제수밸브와 인접하는 터파기된 지반에 매립 설치되어 상기 관로공간을 마련해주는 U형 단면형상의 관로프레임; 상기 관로프레임의 상단에 수평하게 장착되어 상기 세척구실이 장착되게 지지하는 중간판; 상기 관로프레임의 양측 상단에 수직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폐공간을 마련해주는 벽판; 상기 벽판의 상단에 수평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폐공간을 밀폐하며 지표면을 마감하는 상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관로프레임은, 상기 중간판이 삽입 장착되도록 양측 최상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소정 높이로 이격된 위치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중간판은, 상기 벽판이 끼움 장착되도록 양측에 하나 이상의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구실이 정 위치에 거치되도록 상면에 세척구실의 외측 모서리와 맞물리게 돌출된 복수의 안내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벽판은, 상기 관로프레임의 양측 상단에 삽입 장착되도록 하단에 내측으로 요입되는 삽입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판의 양단 상측으로 끼움 장착되도록 저면으로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이 삽입 장착되도록 상단에 외측으로 요입되는 거치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중간판과 상판은 각각 세척구와 세척구실이 지상과 연통되도록 중앙에 소정 크기의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세척구는, 일방향의 유체가 흐르는 수평관과, 포리피그가 투입 및 배출되는 수직관이 상호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된 ㅗ형 단면형상의 세척구몸체; 상기 세척구몸체의 양측 하단으로 돌출되어 관로공간 내에 장착을 유도하는 ㄴ형 단면형상의 고정다리; 상기 수직관의 상단에 포리피그가 투입되도록 개폐를 유도하는 개폐플랜지; 상기 개폐플랜지의 상단에 육각볼/너트로 결합되어 수직관을 개폐하는 세척구덮개;로 구성되되, 상기 육각볼트가 개폐플랜지의 저면에서 세척구덮개로 관통 경유하여 육각너트를 통해 조임과 풀림작용 시 육각볼트가 헛돌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개폐플랜지의 저면으로 육각볼트의 머리부와 맞물려 구속하는 잠금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이음관은, 상기 세척구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어 상기 세척구를 설치하기 위해 절단된 상수도관의 절단폭에 맞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세척구실은, 상기 세척구를 포용하는 너비를 가지고, 상기 세척구가 노출되게 중앙으로 통로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단에 원기둥 또는 각기둥형상으로 수직하게 장착되어 내부에 작업공간을 마련하는 사이드플레이트;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상단에 감싸지게 장착되고, 중앙에 작업자가 드나드는 통로가 형성된 덮개플레이트; 상기 덮개플레이트의 상단에 장착되어 통로의 개폐를 유도하는 링형의 맨홀프레임; 상기 맨홀프레임의 상단에 삽입 장착되어 통로를 개폐하며 지표면을 마감하는 맨홀덮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사이드플레이트가 서로 접하는 외측으로 내구성을 가중시키는 복수의 보강리브;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와 덮개플레이트에 각각 돌출되어 호이스트를 통한 운반을 유도하는 복수의 운반후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덮개플레이트는,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상단을 내측으로 감싸지게 수용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저면에 원형 또는 각형의 덮개홈이 형성되고, 완전 개방시킨 상태에서 세척구실이 다양한 외부요인을 차단해주는 벙커형태의 작업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작업을 쉽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맨홀프레임의 저면에 압박 밀착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단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링형의 덮개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맨홀프레임과 너트로 체결되도록 너트와 함께 덮개플랜지에 방사형으로 삽입 체결되는 복수의 전산볼트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맨홀프레임은, 상기 덮개플레이트의 상단에 마련된 앵커에 체결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의 내측 상단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통로를 연장해주는 맨홀관과, 맨홀관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맨홀덮개를 수용하는 덮개링으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링과 맨홀관이 서로 접하는 외측으로 내구성을 가중시키는 복수의 보조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링의 상단 내측으로 맨홀덮개를 평편하게 지지하는 덮개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맨홀덮개는, 상기 맨홀프레임으로부터 탈장착할 수 있도록 소정 부위에 수직하게 관통되어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의 걸림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개폐홀이 형성되고, 상면에 지상에서 세척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안내문자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초부재와 세척관실을 잇따라 조립되는 구조로 개선하여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다단으로 적층시공이 가능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신속 간편하게 해체할 수 있어 우수한 작업효율을 기대할 수 있고, 세척구의 개폐플랜지 저면으로 너트를 따라 육각볼트가 헛돌지 않게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돌기를 부가함으로써, 작업자가 육각볼트를 일일이 잡지 않아도 됨에 따라 개폐작업에 소요되는 공수를 단축할 수 있으며, 세척구실이 다양한 외부요인을 차단해주는 벙커형태의 작업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관로점검세척장치는 덮개플랜지와 개폐플랜지에 의한 2단 구조를 가짐으로써, 세척구덮개 상에 물의 수압측정 및 탁도유량 등의 측정기를 부착할 수가 있어 각종 계측에 활용하도록 공기변과 플러싱 밸브를 부착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드플레이트 내부에는 원형의 포리피그 입ㆍ출구인 통로만 확보하고 포리피그 작업시 기존 맨홀보다 한 치수 크게 설계하여 내부에서 포리피그 작업을 편리하게 하며, 안정성이 탁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점검세척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점검세척장치의 주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점검세척장치의 세척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점검세척장치의 세척구실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점검세척장치의 세척구실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수도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수밸브의 하/상류단에 각각 설치되어 관로의 점검과 세척을 유도하는 관로점검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처럼 기초부재(10)와 세척구(20) 및 이음관(30) 그리고 세척구실(40)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관로점검세척장치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기초부재(10)는 도 1처럼 세척구(20) 내지 세척구실(40)을 지반에 매립 장착시키는 구조물로, 제수밸브와 인접하는 지반에 설치되어 관로공간(10a)과 개폐공간(10b)을 마련해준다.
이러한 기초부재(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프레임(11)과 한 쌍의 중간판(12) 및 벽판(13) 그리고 상판(14)으로 구성된다.
관로프레임(11)은 U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제수밸브와 인접하는 터파기된 지반에 매립 설치되어 세척구(20)를 수용하는 관로공간(10a)을 마련해준다.
여기서 관로프레임(11)은 양측 최상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소정 높이로 이격된 위치에 서로 마주보는 수평방향으로 삼각 단면형상의 지지단턱(11a)이 돌출된다.
이러한 지지단턱(11a)은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도 중간판(12)을 수평하게 삽입 장착시켜준다.
중간판(12)은 관로프레임(11)의 상단에 수평하게 장착되어 관로공간(10a)을 밀폐하며 상단으로 세척구실(40)이 장착되게 지지한다.
여기서 중간판(12)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세척구(20)의 수직관(21b)이 세척구실(40) 내부로 통과 노출시키는 통로(A)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A)는 세척구(20)의 머리 모양에 따라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판(12)의 양측에는 벽판(13)이 끼움 장착되도록 상하로 관통된 하나 이상의 삽입구멍(12a)이 형성된다.
또한, 중간판(12)의 상면에는 세척구실(40)의 외측 모서리와 맞물리게 ㄱ형 윤곽형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안내돌기(12b)가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돌기(12b)는 세척구실(40)이 정 위치에 거치되도록 유도해줌으로써, 신속 간편한 시공과 함께 시공의 완성도를 향상시켜준다.
벽판(13)은 관로프레임(11)의 양측 상단에 수직하게 장착되어 세척구실(40)을 수용하며 필요에 따라 보수작업을 유도하는 개폐공간(10b)을 마련해준다.
이러한 벽판(13)은 관로프레임(11)의 양측 상단과 맞물리게 삽입 장착되도록 하단에 내측으로 요입되는 삽입단턱(13a)이 형성된다.
그리고 벽판(13)의 저면에는 중간판(12)의 삽입구멍(12a)에 끼움 장착되도록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13b)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벽판(13)의 상단에는 상판(14)이 삽입 장착되도록 외측으로 요입되는 거치단턱(13c)이 형성된다.
상판(14)은 벽판(13)의 상단이 형성된 거치단턱(13c)에 수평하게 장착되어 개폐공간(10b)을 밀폐하며 지표면을 마감해준다.
이러한 상판(14)의 중앙에는 세척구실(40)의 맨홀프레임(44)을 상면과 동일선상으로 관통 수용하는 통로(A)가 형성된다.
이때, 기초부재(10)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벽판(13)이 전후방향으로도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세척구(20)는 상수도관내로 포리피그의 투입과 배출을 유도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처럼 관로공간(10a)내에 수평하게 고정 장착된다.
이러한 세척구(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구몸체(21)와 고정다리(22) 및 개폐플랜지(23)와 세척구덮개(24)로 구성된다.
세척구몸체(21)는 제수밸브로부터 일방향의 유체가 흐르는 수평관(21a)과, 포리피그가 투입 및 배출되는 수직관(21b)이 상호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된 ㅗ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다리(22)는 세척구몸체(21)의 양측 하단으로 ㄴ형 단면형상으로 돌출되어 관로공간(10a)내에 장착을 유도한다.
개폐플랜지(23)는 수직관(21b)의 상단에 포리피그가 투입되도록 개폐를 유도한다.
세척구덮개(24)는 개폐플랜지(23)의 상단에 육각볼/너트(HB)(HN)로 결합되어 수직관(21b)을 개폐해준다.
여기서 개폐플랜지(23)와 세척구덮개(24)는 상하로 관통되어 육각볼/너트(HB)(HN)로 체결을 유도하는 체결구멍이 방사로 배열 형성된다.
즉, 육각볼트(HB)는 개폐플랜지(23)의 저면에서 세척구덮개(24)로 관통 경유하고, 세척구덮개(24)의 상단으로 돌출된 육각볼트(HB)의 몸통부에 육각너트(HN)가 체결된다.
따라서 세척구덮개(24)의 상단에 위치하는 육각너트(HN)의 조임과 풀림을 통해 세척구덮개(25)를 탈/장착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개폐플랜지(23)의 저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볼트(HB)의 머리부와 맞물려 구속하는 잠금돌기(25)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잠금돌기(25)는 육각너트(HN)를 조이거나 풀림작용 시 육각볼트(HB)가 헛돌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시켜준다.
따라서 작업자가 육각볼트(HB)의 머리부를 일일이 잡지 않아도 됨에 따라 개폐작업에 소요되는 공수를 단축할 수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음관(30)은 도 1 내지 도 4처럼 세척구(20)의 양단에 삽입 장착되어 세척구(20)를 상수도관과 서로 연통되게 연결해준다.
즉, 상수도관에 세척구(2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하류 제수밸브를 모두 잠금 상태에서 기 구축된 상수도관을 세척구(20)와 연결 가능한 폭으로 절단한다.
여기서 상수도관 사이에 세척구(2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세척구(20)의 양단 길이보다 큰 폭으로 절단할 수 밖에 없다.
즉, 이음관(30)은 세척구(20)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 장착됨에 따라 상수도관의 절단 폭에 구애받지 않고 세척구(20)를 연결할 수가 있다.
여기서 이음관(30)과 절단된 상수도관은 맞대기 이음된 상태에서 실링재로 연결될 수 있고, KP이음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척구실(40)은 도 1 및 도 2처럼 세척구(20)로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개폐공간(10b)내에 고정 장착된다.
이러한 세척구실(4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41), 사이드플레이트(42), 덮개플레이트(43), 맨홀프레임(44), 맨홀덮개(45), 보강리브(46), 운반후크(47)로 구성된다.
베이스플레이트(41)는 적어도 세척구(20)의 수직관(21b)을 포용하는 너비를 갖는 판재이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41)의 중앙에는 세척구(20)의 수직관(21b)이 내부로 통과 노출시키는 통로(A)가 형성된다.
사이드플레이트(42)는 베이스플레이트(41)의 상단 내측으로 원기둥 또는 각기둥형상으로 수직하게 장착되어 내부에 작업공간을 마련해준다.
또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42) 내부에는 원형의 포리피그 입ㆍ출구인 통로만 확보하고 포리피그 작업시 기존 맨홀보다 한 치수 크게 설계하여 내부에서 포리피그 작업을 편리하게 하며, 안정성이 탁월하다.
덮개플레이트(43)는 사이드플레이트(42)의 상단 외측을 감싸지게 장착되고, 중앙에는 작업자가 드나드는 통로(A)가 형성되며, 완전 개방시킨 상태에서 세척구실이 다양한 외부요인을 차단해주는 벙커형태의 작업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세척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플레이트(43)의 저면에는 사이드플레이트(42)의 상단을 내측으로 감싸지게 수용하는 원형 또는 각형의 덮개홈(43a)이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플레이트(43)의 상단 중앙에는 맨홀프레임(44)의 저면에 압박 밀착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링형의 덮개플랜지(43b)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덮개플랜지(43b)는 맨홀프레임(44)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긴밀한 이음을 유도한다.
여기서 덮개플랜지(43b)에 중앙주변에는 맨홀프레임(44)과 너트로 체결되도록 너트와 함께 덮개플랜지(43b)에 방사형으로 삽입 체결되는 복수의 전산볼트(43c)가 배열된다.
즉, 덮개플랜지(43b)의 중앙주변에는 전산볼트(43c)를 삽입 수용하는 복수의 구멍이 배열되고, 이러한 구멍마다 전산볼트(43c)가 삽입된다.
이때, 전산볼트(43c)는 구멍에 나사체결될 수도 있지만, 회전방지와 제작의 편의성을 위해 하부에서 별도의 너트가 고정 체결되며, 너트를 체결하면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전산볼트(43c)는 덮개플랜지(43b)의 상단에 소정 높이로 돌출된 상태로 용접으로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맨홀프레임(44)은 중앙이 개구된 링형으로 형성되고, 덮개플레이트(43)의 상단에 장착되어 통로(A)의 개폐를 유도한다.
이러한 맨홀프레임(44)은 고정링(44a)과 맨홀관(44b) 및 덮개링(44c)으로 구획 형성된다.
고정링(44a)은 덮개플레이트(43)의 상단에 밀착 장착되고, 앵커(43c)와 너트로 고정된다.
맨홀관(44b)은 고정링(44a)의 내측 상단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통로(A)를 지상까지 연장해준다.
덮개링(44c)은 맨홀관(44b)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맨홀덮개(45)를 수용한다.
여기서 고정링(44a)과 맨홀관(44b)이 서로 접하는 외측에는 내구성을 가중시키는 복수의 보조리브(44d)가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링(44c)의 상단 내측에는 맨홀덮개(45)를 평편하게 지지하는 덮개단턱(44e)이 형성된다.
상기 덮개플랜지(43b)와 개폐플랜지(23)에 의한 2단 구조를 가짐으로써, 세척구덮개(24) 상에 물의 수압측정 및 탁도유량 등의 측정기를 부착할 수가 있어 각종 계측에 활용하도록 공기변과 플러싱 밸브를 부착 활용할 수 있다.
맨홀덮개(45)는 맨홀프레임(44)의 상단에 삽입 장착되어 통로(A)를 개폐하며 지표면을 마감해준다.
이러한 맨홀덮개(45)의 소정 부위에는 수직하게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개폐홀(45a)이 형성된다.
즉, 개폐홀(45a)은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가 걸리도록 손잡이 역할을 해줌으로써, 맨홀프레임(44)으로부터 맨홀덮개(45)의 탈/장착을 용이하게 도모한다.
그리고 맨홀덮개(45)의 상면에는 지상에서 세척구(2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안내문자(45b)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보강리브(46)는 베이스플레이트(41)와 사이드플레이트(42)가 서로 접하는 외측으로 복수개로 형성되어 내구성을 가중시켜준다.
운반후크(47)는 사이드플레이트(42)와 덮개플레이트(43)에 각각 복수개로 돌출되어 호이스트를 통한 운반을 유도한다.
즉, 운반후크(47)를 통해 비교적 고 하중 구조물인 사이드플레이트(42)와 덮개플레이트(43)를 신속 간편하게 시공 및 해체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관로점검세척장치는 덮개플랜지(43b)와 개폐플랜지(23)에 의한 2단 구조를 가짐으로써, 세척구덮개(24) 상에 물의 수압측정 및 탁도유량 등의 측정기를 부착할 수가 있어 각종 계측에 활용하도록 공기변과 플러싱 밸브를 부착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세척점검구가 150 이상일 경우에는 세척구덮개(24) 80mm를 장착한다.
여기서 플랜지타입 외에도 이형관 체결 타입으로도 제작이 가능함에 따라 각종 장애물을 회피하고 시공의 편리를 도모하며 시설물의 거치가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관로점검세척장치는 T형과 십자형으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관로점검세척장치는 시공사 및 설계에 따라 이토변으로도 활용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A: 통로
HB: 육각볼트
HN: 육각너트
10: 기초부재
10a: 관로공간
10b: 개폐공간
11: 관로프레임
11a: 지지단턱
12: 중간판
12a: 삽입구멍
12b: 안내돌기
13: 벽판
13a: 삽입단턱
13b: 끼움돌기
13c: 거치단턱
14: 상판
20: 세척구
21: 세척구몸체
21a: 수평관
21b: 수직관
22: 고정다리
23: 개폐플랜지
24: 세척구덮개
25: 잠금돌기
30: 이음관
40: 세척구실
41: 베이스플레이트
42: 사이드플레이트
43: 덮개플레이트
43a: 덮개홈
43b: 덮개플랜지
43c 전산볼트
44: 맨홀프레임
44a: 고정링
44b: 맨홀관
44c: 덮개링
44d: 보조리브
44e: 덮개단턱
45: 맨홀덮개
45a: 개폐홀
45b: 안내문자
46: 보강리브
47: 운반후크

Claims (6)

  1. 적어도 제수밸브와 인접하는 지반에 설치되어 관로공간(10a)과 개폐공간(10b)을 마련해주는 기초부재(10);
    상기 관로공간(10a)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제수밸브 사이에 위치하는 상수도관에 장착되어 포리피그의 투입과 배출을 유도하는 세척구(20);
    상기 세척구(20)의 양단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제수밸브나 상수도관과 연통되게 연결해주는 이음관(30);
    상기 개폐공간(10b)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세척구(20)로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세척구실(40);을 포함하여,
    상기 세척구실(40)은,
    상기 세척구(20)를 포용하는 너비를 가지고, 상기 세척구(20)가 노출되게 중앙으로 통로(A)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41);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1)의 상단에 원기둥 또는 각기둥형상으로 수직하게 장착되어 내부에 작업공간을 마련하는 사이드플레이트(42);
    상기 사이드플레이트(42)의 상단에 감싸지게 장착되고, 중앙에 작업자가 드나드는 통로(A)가 형성된 덮개플레이트(43);
    상기 덮개플레이트(43)의 상단에 장착되어 통로(A)의 개폐를 유도하는 링형의 맨홀프레임(44);
    상기 맨홀프레임(44)의 상단에 삽입 장착되어 통로(A)를 개폐하며 지표면을 마감하는 맨홀덮개(45);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1)와 사이드플레이트(42)가 서로 접하는 외측으로 내구성을 가중시키는 복수의 보강리브(46);
    상기 사이드플레이트(42)와 덮개플레이트(43)에 각각 돌출되어 호이스트를 통한 운반을 유도하는 복수의 운반후크(47);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점검 세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구(20)는,
    일방향의 유체가 흐르는 수평관(21a)과, 포리피그가 투입 및 배출되는 수직관(21b)이 상호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된 ㅗ형 단면형상의 세척구몸체(21);
    상기 세척구몸체(21)의 양측 하단으로 돌출되어 관로공간(10a)내에 장착을 유도하는 ㄴ형 단면형상의 고정다리(22);
    상기 수직관(21b)의 상단에 포리피그가 투입되도록 개폐를 유도하는 개폐플랜지(23);
    상기 개폐플랜지(23)의 상단에 육각볼/너트(HB)(HN)로 결합되어 수직관(21b)을 개폐하는 세척구덮개(24);로 구성되되,
    상기 육각볼트(HB)가 개폐플랜지(24)의 저면에서 세척구덮개(24)로 관통 경유하여 육각너트(HN)를 통해 조임과 풀림작용 시 육각볼트(HB)가 헛돌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개폐플랜지(23)의 저면으로 육각볼트(HB)의 머리부와 맞물려 구속하는 잠금돌기(25);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점검 세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30)은,
    상기 세척구(20)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어 상기 세척구(20)를 설치하기 위해 절단된 상수도관의 절단폭에 맞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점검 세척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플레이트(43)는,
    상기 사이드플레이트(42)의 상단을 내측으로 감싸지게 수용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저면에 원형 또는 각형의 덮개홈(43a)이 형성되고,
    상기 맨홀프레임(44)의 저면에 압박 밀착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단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링형의 덮개플랜지(43b)가 형성되며,
    상기 맨홀프레임(44)과 너트로 체결되도록 너트와 함께 덮개플랜지(43b)에 방사형으로 삽입 체결되는 복수의 전산볼트(43c)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점검 세척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맨홀프레임(44)은,
    상기 덮개플레이트(43)의 상단에 밀착 체결되는 고정링(44a)과, 상기 고정링(44a)의 내측 상단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통로(A)를 연장해주는 맨홀관(44b)과, 맨홀관(44b)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맨홀덮개(45)를 수용하는 덮개링(44c)으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링(44a)과 맨홀관(44b)이 서로 접하는 외측으로 내구성을 가중시키는 복수의 보조리브(44d)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링(44c)의 상단 내측으로 맨홀덮개(45)를 평편하게 지지하는 덮개단턱(44e)이 형성되며,
    상기 맨홀덮개(45)는,
    상기 맨홀프레임(44)으로부터 탈장착할 수 있도록 소정 부위에 수직하게 관통되어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의 걸림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개폐홀(45a)이 형성되고, 상면에 지상에서 세척구(2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안내문자(45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점검 세척장치.
KR1020200115002A 2020-09-08 2020-09-08 관로점검세척장치 KR102456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002A KR102456644B1 (ko) 2020-09-08 2020-09-08 관로점검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002A KR102456644B1 (ko) 2020-09-08 2020-09-08 관로점검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983A KR20220032983A (ko) 2022-03-15
KR102456644B1 true KR102456644B1 (ko) 2022-10-19

Family

ID=80817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002A KR102456644B1 (ko) 2020-09-08 2020-09-08 관로점검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6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921B1 (ko) 2005-10-21 2006-03-30 씨엠엔지니어링(주) 하수도관 맨홀
JP2008291453A (ja) 2007-05-22 2008-12-04 Kanaflex Corporation 地中埋設箱
KR101449468B1 (ko) * 2014-03-26 2014-10-13 (주)일영 시공성이 편리한 관 점검 세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7596A (ko) * 2008-04-10 2009-10-14 김상철 점검구 및 제수겸용 폴리피그 삽입형 세관밸브장치
KR101182363B1 (ko) 2011-11-10 2012-09-12 여명철강 주식회사 상수관용 점검구의 피그 배출 가이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921B1 (ko) 2005-10-21 2006-03-30 씨엠엔지니어링(주) 하수도관 맨홀
JP2008291453A (ja) 2007-05-22 2008-12-04 Kanaflex Corporation 地中埋設箱
KR101449468B1 (ko) * 2014-03-26 2014-10-13 (주)일영 시공성이 편리한 관 점검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983A (ko)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4593B2 (en) Double check valve assembly
EP2466177B1 (en) Sluice valve for operations
JP5908760B2 (ja) 空気弁
US20170096806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drain jetting
KR101451935B1 (ko) 밸브개폐용 철개가 구비된 밸브실
US20080017589A1 (en) Water flushing system providing treated discharge
KR102456644B1 (ko) 관로점검세척장치
JPH10281380A (ja) 分岐管の接続構造
KR102294906B1 (ko) 점검구겸 세척 퇴수 제수밸브
US20040252556A1 (en) Remotely actuated quick connect/disconnect coupling
US7093608B2 (en) Vacuum pressure breaker and freeze protection for a water flushing system
CN102737955B (zh) 一种半导体处理装置
KR101535984B1 (ko) 보수세척 일체형 밸브
JP2009024772A (ja) 残留ガス排出補助具及び残留ガス排出方法
KR101418958B1 (ko) 다관경의 세척과 점검용 밸브체
JP2013238304A (ja) 弁装置
US20040020269A1 (en) Pipeline leak- testing device
JP6587919B2 (ja) 閉塞装置、及び該閉塞装置を用いた管接続部材の撤去方法
KR101039255B1 (ko)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대구경의 관로시스템
EP2999910B1 (en) Pipe connection
US20240035599A1 (en) Spade Flange Tool with Fluid Passage
US7069781B2 (en) Stillwell apparatus
KR20120002366U (ko)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
KR200384604Y1 (ko) 안경형 배관파이프 개폐 분리구
JP2008285818A (ja) 螺旋案内路付き縦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