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468B1 - 시공성이 편리한 관 점검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시공성이 편리한 관 점검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468B1
KR101449468B1 KR1020140035035A KR20140035035A KR101449468B1 KR 101449468 B1 KR101449468 B1 KR 101449468B1 KR 1020140035035 A KR1020140035035 A KR 1020140035035A KR 20140035035 A KR20140035035 A KR 20140035035A KR 101449468 B1 KR101449468 B1 KR 101449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xagonal
upper flange
nut
hexagonal bol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두환
Original Assignee
(주)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영 filed Critical (주)일영
Priority to KR1020140035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수도의 지하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환경을 감안하여 상부플랜지의 이면에 체결시 육각 너트가 겉돌지 않고 고정되도록 육각 너트의 너비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돌기부와 육각 너트의 일측 상면에 자성체를 갖도록 함으로써, 육각 너트를 손으로 잡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시공성이 편리한 관 점검 세척장치는 상,하수도관에 결합하기 위해 양측에 형성된 투입관체(100)와, 상기 투입관체(100)의 상부에 형성하되 상면에는 피그투입구가 형성된 상부플랜지(110)를 구비한 관 점검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의 피그투입구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부(120); 상기 상부플랜지와 덮개부를 체결하는 복수개의 육각 볼트(150) 및 너트(140); 수충압 흡수 및 관로 상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변(130);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플랜지(110)의 이면에는 체결시 육각 볼트(150)가 겉돌지 않고 고정되도록 육각 볼트의 머리부 너비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일자형 고정돌기부(160); 상기 육각 볼트(150)의 머리부 안쪽에는 상기 상부플랜지(110)의 이면과 부착되도록 하는 자성체(155)를 갖게 하며, 상기 공기변(130)은 육각 너트(140)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고, 덮개부 중앙에서 육각볼트 사이 안쪽에 위치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공성이 편리한 관 점검 세척장치{PIPE CHECKING WASHING APPARATUS FOR CONVENIENT CONSTRUCTABILITY}
본 발명은 상수도관의 내부에 침적된 녹, 이물질 및 슬러지 등을 용이하게 제거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공성이 편리한 관 점검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플랜지의 상면에 덮개부를 결합할 때에 체결되는 너트를 손으로 잡지 않고서도 손쉽게 체결할 수 있으며, 또한 덮개부의 중앙 상부로 돌출된 공기변을 덮개부에 체결된 너트의 높이로 낮추어 육각 너트 사이의 안쪽에 형성하여 콤팩트화함으로써, 부피를 줄일 뿐만 아니라, 기기의 이동시 돌출된 부분이 외부와의 충돌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시공성이 편리한 관 점검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관은 다수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지하에 매설시키고 관로로 상수를 이동시켜 각 가정에 공급하고 있으며 상기 상수도관은 시간이 경과 할수록 파이프 자체에서 발생하는 녹과 함께 상수에 용해되어 있는 구리, 철, 아연 등의 금속성 영양물질 및 미네랄 등이 소독약품인 염소와 상수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발생되는 관내에 슬라임, 이물질, 슬러지 등이 침적되어 상수도관의 내경이 작아지게 되어 상수의 이동에 문제를 발생시키고 공급되는 상수의 수질을 저하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관 점검 세척장치는 덮개부에 결합되며 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수충압을 흡수시키기 위한 공기변이 중앙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기기의 부피를 크게 할 뿐만 아니라, 이동시 외부와의 충돌로 인하여 파손되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부플랜지와 덮개부를 육각 볼트와 너트로 체결할 때에, 상부플랜지의 하면에 있는 관통공 주변에서 육각 볼트를 한손으로 잡고서 체결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하수도의 지하 좁은 공간에서 불안정한 자세로 육각 볼트를 힘없이 손으로 잡다 보면 육각 볼트가 겉돌게 되어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하수도의 지하 좁은 공간에서도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기기의 부피를 줄이고 이동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관 점검 세척장치가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관 점검 세척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기기의 부피를 줄일 뿐만 아니라, 외부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시공성이 편리한 관 점검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부플랜지와 덮개부를 육각 볼트로 체결시 상/하수도의 지하 좁은 공간에서도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시공성이 편리한 관 점검 세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투입관체의 양측에는 일정거리를 갖도록 연장관을 형성함으로써 관 점검 세척장치를 상,하수도관 사이에 결합시 설치간격 및 위치에 관계없이 작업자가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시공성이 편리한 관 점검 세척장치는 상,하수도관에 결합하기 위해 양측에 형성된 투입관체와, 상기 투입관체의 상부에 형성하되 상면에는 피그투입구가 형성된 상부플랜지를 구비한 관 점검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의 피그투입구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부; 상기 상부플랜지와 덮개부를 체결하는 복수개의 육각 볼트 및 육각 너트; 수충압 흡수 및 관로 상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변;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플랜지의 이면에는 체결시 육각 볼트가 겉돌지 않고 고정되도록 육각 볼트의 머리부 너비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일자형 고정돌기부; 상기 육각 볼트의 머리부 안쪽에는 상기 상부플랜지의 이면과 부착되도록 하는 자성체를 갖게 하며, 상기 공기변은 육각 너트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고, 육각 너트 사이의 안쪽에 위치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플랜지의 이면을 육각 볼트가 수용되도록 육각 음각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투입관체의 양측에는 일정거리를 갖도록 연장관을 형성함으로써 상,하수도관 사이에 결합시 설치간격 및 위치에 관계없이 작업자가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플랜지와 덮개부를 체결하는 육각 볼트 및 육각 너트는 8~20쌍이고, 육각 볼트는 상부플랜지의 관통공과 덮개부의 관통공을 차례로 통과하여 덜개부 상면에서 육각 너트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공성이 편리한 관 점검 세척장치는 상/하수도의 지하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환경을 감안하여 상부플랜지의 이면에 체결시 육각 볼트가 겉돌지 않고 고정되도록 육각 볼트의 너비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일자형 고정돌기부와 육각 볼트의 머리부 안쪽에 자성체를 갖도록 함으로써, 육각 볼트를 손으로 잡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변의 높이를 육각 너트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여 콤팩트화하고, 덮개부 중앙에서 육각 너트 사이 안쪽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기기의 부피를 줄일 뿐만 아니라, 외부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특별한 효과가 있다.
또한, 투입관체의 양측에는 일정거리를 갖도록 연장관을 형성함으로써 관 점검 세척장치를 상,하수도관 사이에 결합시 설치간격 및 위치에 구애되지 않고 투입관체의 여유있는 길이를 적당한 간격으로 절단함으로써, 작업자가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관 점검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관 점검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부플랜지와 덮개부를 육각 볼트 및 육각 너트에 의해 체결된 상태도이다.
도 4은 육각 볼트의 머리부 안쪽에 형성한 자성체(155)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상부플랜지(110)의 이면에 일자형 고정돌기부 대신에 육각 음각홈을 형성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종래의 관 점검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수도관에 결합되며 폴리피그를 투입하기 위한 피그투입구가 상부에 형성된 투입관체(100)와, 상기 투입관체(100)의 상부에 형성하되 중앙에 피그투입구가 형성된 상부플랜지(110)와, 상기 상부플랜지의 피그투입구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부(120); 상기 상부플랜지와 덮개부를 체결하는 복수개의 육각 볼트(150) 및 육각 너트(140); 상기 덮개부와 결합되며 수충압 흡수 및 관로 상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변(13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플랜지(110)와 덮개부(120)를 육각 볼트와 너트로 체결할 때에, 상부플랜지의 하면에 있는 관통공 주변에서 육각 볼트(150)를 한손으로 잡고서 체결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하수도의 지하 좁은 공간에서 불안정한 자세로 육각 볼트를 힘없이 손으로 잡다 보면 육각 볼트가 겉돌게 되어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수충압을 흡수시키기 위한 공기변이 중앙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관 점검 세척장치의 부피를 크게 할 뿐만 아니라, 이동시 외부와의 충돌로 인하여 파손되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공성이 편리한 관 점검 세척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수도관에 결합하기 위해 양측에 형성된 투입관체(100)와, 상기 투입관체(100)의 상부에 형성하되 상면에는 피그투입구가 형성된 상부플랜지(110)를 구비한 관 점검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의 피그투입구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부(120); 상기 상부플랜지와 덮개부를 체결하는 복수개의 육각 볼트(150) 및 너트(140); 수충압 흡수 및 관로 상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변(130);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플랜지(110)의 이면에는 체결시 육각 볼트(150)가 겉돌지 않고 고정되도록 육각 볼트의 머리부 너비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일자형 고정돌기부(160); 상기 육각 볼트(150)의 머리부 안쪽에는 상기 상부플랜지(110)의 이면과 부착되도록 하는 자성체(155)를 갖게 하며, 상기 공기변(130)은 육각 너트(140)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고, 육각 너트(140) 사이의 안쪽에 위치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변(130)은 관로 상에 공기가 주입되면 물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고, 물속에 함유되어있는 성분이 공기와 결합하며 슬라임, 스케일 등의 현상을 일으켜 관로의 구경을 축소시키거나 관로를 부식시키기 때문에 공기변(130)을 이용하여 관로 상의 공기를 제거하고, 수충압을 흡수하여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덮개부(120)의 중앙에서 외측 즉, 육각 너트(140)의 사이에서 안쪽으로 위치시키며, 공기변(130)의 높이를 육각 너트(140)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한다.
상기 공기변(130)의 높이를 육각 너트(140)의 머리부 높이와 동일하게 하여 콤팩트화함으로써, 관 점검 세척장치의 부피를 줄일 뿐만 아니라, 기기 이동시 외부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자형 고정돌기부(160)는 상기 상부플랜지(110)의 이면에 육각 볼트(150)의 머리부 너비만큼 이격되어 일자형으로 형성하며, 상기 상부플랜지(110)와 덮개부(120)의 체결시 육각 볼트(150)가 겉돌지 않고 고정되도록 육각 볼트(150)가 하중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안착시킬 뿐만 아니라, 헛바퀴가 도는 것을 방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성체(155)는 육각 볼트(150)의 머리부 안쪽에 형성하여 자력에 의해 육각 볼트(150)를 상기 상부플랜지(110)의 이면에 부착함으로써, 육각 볼트(150)를 손으로 잡지 않고서도 체결 작업이 원만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플랜지(110)의 이면에 일자형 고정돌기부 대신에 육각 볼트(150)가 수용되도록 육각 음각홈(115)을 형성하고, 육각 볼트(150)의 머리부 안쪽에 형성한 자성체(155)의 자력에 의해 육각 볼트(150)를 상기 상부플랜지(110)의 육각 음각홈(115)에 수용. 부착함으로써, 육각 볼트(150)를 손으로 잡지 않고서도 체결 작업이 원만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관체(100)의 양측에는 일정거리를 갖도록 연장관(105)을 형성함으로써 상,하수도관 사이에 결합시 설치간격 및 위치에 관계없이 작업자가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플랜지와 덮개부를 체결하는 육각 볼트 및 너트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8~20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투입관체 105 : 연장관
110 : 상부플랜지 115 : 육각 음각홈
120 : 덮개부 130 : 공기변
140 : 육각 너트 150 : 육각 볼트
155 : 자성체 160 : 일자형 고정돌기부

Claims (3)

  1. 상,하수도관에 결합하기 위해 양측에 형성된 투입관체(100)와, 상기 투입관체(100)의 상부에 형성하되 상면에는 피그투입구가 형성된 상부플랜지(110)를 구비한 관 점검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의 피구투입구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부(120);
    상기 상부플랜지와 덮개부를 체결하는 복수개의 육각 볼트(150) 및 너트(140);
    수충압 흡수 및 관로 상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변(130);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플랜지(110)의 이면에는 체결시 육각 볼트(150)가 겉돌지 않고 수용되도록 형성하여 접촉면적을 크게 한 육각 음각홈(115);
    상기 육각 볼트(150)의 머리부 안쪽에는 상기 상부플랜지(110)의 이면과 부착되도록 하는 자성체(155)를 형성하며,
    상기 공기변(130)은 외부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육각 너트(140)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고, 육각 너트(140) 사이의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투입관체(100)의 양측에는 상,하수도관 사이에 결합시 설치간격 및 위치에 구애되지 않고 투입관체의 여유있는 길이를 적당한 간격으로 절단되도록 일정거리를 갖도록 연장관(105)을 형성하고,
    상기 육각 볼트 및 너트는 8~20쌍이며,
    육각 볼트(150)는 작업자가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부플랜지(110)의 관통공과 덮개부(120)의 관통공을 차례로 통과하여 덮개부 상면에서 육각 너트(140)와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편리한 관 점검 세척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40035035A 2014-03-26 2014-03-26 시공성이 편리한 관 점검 세척장치 KR101449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035A KR101449468B1 (ko) 2014-03-26 2014-03-26 시공성이 편리한 관 점검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035A KR101449468B1 (ko) 2014-03-26 2014-03-26 시공성이 편리한 관 점검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468B1 true KR101449468B1 (ko) 2014-10-13

Family

ID=51997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035A KR101449468B1 (ko) 2014-03-26 2014-03-26 시공성이 편리한 관 점검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4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520A (ko)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신진수도 관로 점검장치
KR20220032983A (ko) * 2020-09-08 2022-03-15 (주)일영 관로점검세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705U (ja) * 1997-06-23 1998-01-16 勇 小林 建築金物
KR200406018Y1 (ko) 2005-11-01 2006-01-11 강두환 소방호스 연결밸브와 공기변을 부설한 관 세척 및 점검구
KR20120014723A (ko) * 2010-08-10 2012-02-20 윤재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기밀형 체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705U (ja) * 1997-06-23 1998-01-16 勇 小林 建築金物
KR200406018Y1 (ko) 2005-11-01 2006-01-11 강두환 소방호스 연결밸브와 공기변을 부설한 관 세척 및 점검구
KR20120014723A (ko) * 2010-08-10 2012-02-20 윤재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기밀형 체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520A (ko)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신진수도 관로 점검장치
KR20220032983A (ko) * 2020-09-08 2022-03-15 (주)일영 관로점검세척장치
KR102456644B1 (ko) * 2020-09-08 2022-10-19 ㈜일영 관로점검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468B1 (ko) 시공성이 편리한 관 점검 세척장치
KR200457795Y1 (ko) 입상관 층막음 고정구
CN201439718U (zh) 采煤工作面割煤用两道防尘水幕
US8776281B2 (en) System for unclogging toilets
KR20100004641A (ko) 배수로 덮개 결합체
KR101599464B1 (ko)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
US9238908B1 (en) Curb vent stack plunger
KR101356121B1 (ko) 소프트실 가동형 제수밸브
CN210105824U (zh) 钻杆无损通径规
KR102225550B1 (ko) 압축 에어 분기용 기구적 죠인트
KR100823645B1 (ko) 지중 전력케이블 보호구조
CN110841977A (zh) 一种建筑卷扬机用辅助清洁装置
CN111425690B (zh) 一种疏排水管末端装置
CN204919448U (zh) 吸尘车吸尘口固定装置
KR200418632Y1 (ko) 조립식 콘크리트 맨홀의 연결구조
KR200418633Y1 (ko) 조립식 콘크리트 맨홀의 연결구조
CN214187862U (zh) 一种具有喷水降尘功能的墙壁开孔器
CN204208400U (zh) 一种适用于煤矿井下的空气过滤装置
KR200375104Y1 (ko) 관로연결구
CN210887552U (zh) 吸污车罐体的软管卡扣
CN210088179U (zh) 一种片夹式水管固定装置
CN207987990U (zh) 一种法兰式声测管
CN212129406U (zh) 一种易清洁的侧排水地漏
KR200445161Y1 (ko) 상수도 자재 보관대
CN208685758U (zh) 便于安装的市政排水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