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537B1 -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537B1
KR102456537B1 KR1020190153597A KR20190153597A KR102456537B1 KR 102456537 B1 KR102456537 B1 KR 102456537B1 KR 1020190153597 A KR1020190153597 A KR 1020190153597A KR 20190153597 A KR20190153597 A KR 20190153597A KR 102456537 B1 KR102456537 B1 KR 102456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vacuum
automatic
supply
storage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4881A (ko
Inventor
오동길
Original Assignee
오동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동길 filed Critical 오동길
Priority to KR1020190153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537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8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 B65G65/4881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horizont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식품를 저장하는 식품 저장 호퍼는 물론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 전체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여서, 식품 저장 호퍼 내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는 물론 유해 미생물이나 세균 등을 제거함으로써, 식품를 항상 신선하고 청결하게 유지하여서 실내 공기의 오염을 방지하고, 애견을 건강을 보호할 수 있으며, 센서유닛에 의해서, 습도, 온도, 진공 상태를 감지하고, 제어부에서 식품배출과 공급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관리가 매우 용이하며, 항상 적정량의 식품만 애견에게 공급될 수 있으므로, 애견의 과식을 방지하고, 항상 깨끗하고 위생적인 관리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VACUUM TYPE AUTOMATIC SUPPLYING SYSTEM OF PET FOOD}
본 발명은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식품를 저장하는 식품 저장 호퍼는 물론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 전체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여서, 식품 저장 호퍼 내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는 물론 유해 미생물이나 세균 등을 제거함으로써, 식품를 항상 신선하고 청결하게 유지하여서 실내 공기의 오염을 방지하고, 애견을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동물(愛玩動物)은 인간이 주로 즐거움을 위해 사육하는 동물을 말하는데, 오늘날에는 단순히 인간의 장난감이 아니라 반려자(친구)로서 대우하자는 의미에서 반려동물(伴侶動物)로 부르기도 한다.
애완동물을 건강하게 사육하기 위해서는 각별한 애정과 관리가 필수적인데, 특히 급식에 있어 적시에 정량 및 청결한 식품나 간식을 공급하지 않으면, 영양 결핍이나 비만 또는 과식문제 등이 생길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
그러나 바쁜 현대인들의 경우는 매일 정해진 시간마다 애완동물에게 정량의 식품와 간식을 제공하는 일은 대단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가족들 모두 외출을 하거나 피치 못할 사정으로 인해서 애완동물을 동반하지 않고 여행을 가게 될 경우, 홀로 남은 애완동물에 대하여 급식 문제도 심각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애완동물에게 한꺼번에 많은 양의 식품를 제공한 후, 외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이 한꺼번에 많은 양의 식품를 제공하게 되면, 애완동물이 한꺼번에 식품를 많이 먹게 됨에 따라 과식으로 인한 탈이 생기게 되거나, 특히 장마철에는 습기로 인해 식품가 눅눅해지거나 쉽게 상하게 됨에 따라, 애완동물의 건강상 이상이 발생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공기 중에 노출된 많은 양의 식품로 인해 집안에 불쾌한 냄새가 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급식기 내부에 식품를 보관한 후 정해진 시간에 정량의 식품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식품 자동급식기가 공개특허공보 제10-2009-80836호(공개일자 : 2009. 07. 27일)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애완동물용 식품 자동급식기는, 식품 저장 통 안에 식품와 함께 공기가 포함되어 있고, 그 공기 안에 습기는 물론 유해 미생물이나 세균 등이 함께 포함되어 있어 식품를 눅눅하게 함은 물론 식품를 부패시켜서 실내공기를 오염시키고, 애견을 건강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식품 자동급식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진공펌프를 설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자동급식기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이에 의해 식품 자동급식기가 파손되거나 내부에 있는 식품가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식품를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자동급식기 내부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식품가 보관된 내부의 진공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식품를 외부로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321953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품를 저장하는 식품 저장 호퍼는 물론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 전체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여서, 식품 저장 호퍼 내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는 물론 유해 미생물이나 세균 등을 제거함으로써, 식품를 항상 신선하고 청결하게 유지하여서 실내 공기의 오염을 방지하고, 애견을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유닛에 의해서, 습도, 온도, 진공 상태를 감지하고, 제어부에서 식품배출과 공급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관리가 매우 용이하며, 항상 적정량의 식품만 애견에게 공급될 수 있으므로, 애견의 과식을 방지하고, 항상 깨끗하고 위생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가 저장된 내부공간의 진공상태를 24시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외부로 효율적으로 식품를 공급할 수 있어, 식품의 신선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이에 의해 식품 저장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는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는, 내부에 공간 부가 형성되며, 전면에 식품 공급 홀이 형성되며, 상부에 덮개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 상기 공간 부 안에 설치되며, 내부에 식품을 저장하는 식품 저장 호퍼; 상기 식품 저장 호퍼의 하부에 연장 설치되며, 식품을 배출하기 위한 식품 배출구멍을 구비하는 식품 배출 가이드 덕트; 상기 식품 배출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 봉; 상기 식품 배출구멍의 개방시, 상기 식품 배출구멍을 통해서 배출되는 식품을 상기 식품 공급 홀을 통해서 상기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의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식품 배출구멍의 직 하방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식품 받침 가이드;상기 차단 봉을 업 다운시켜서 상기 식품 배출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단 봉 업다운 유닛; 상기 식품 공급 홀을 선택적으로 개방시켜서 상기 식품 받침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 된 식품을 애견에게 공급하는 식품 공급 유닛; 및 식품의 배출과 공급의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식품 공급 유닛은, 모터 회동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아암; 상기 회동 아암의 회동에 따라 상기 식품 공급 홀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회동 아암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는 식품 공급 홀 차단 덮개; 상기 모터 회동 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 아암을 회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모터; 및 상기 식품 공급 홀의 개방 시, 상기 회동 아암의 회동에 의해서 상기 식품 받침 가이드에 놓인 식품을 상기 식품 공급 홀을 통해서 푸시하도록 상기 회동 아암의 후면에 형성되는 푸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품 저장 호퍼에 저장된 식품 중 일정량의 식품만을 상기 식품 배출 가이드 덕트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식품 저장 호퍼의 하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 봉 업다운 유닛은 상기 차단 봉의 하부에 연결되는 랙 기어;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식품 배출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고 상기 차단 봉을 업 다운시키는 제1 구동모터; 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이 절개되어 식품를 수용할 수 있는 식품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모터에 의해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 봉은 그 상단부가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식품 배출구멍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차단 봉이 상기 식품 배출구멍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저장 호퍼의 내벽에 브래킷이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의 전면에 송풍 팬이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의 내부에 흡습제가 교체 가능하게 수용되는 흡습제 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의 내부에 송풍 팬(16)이 설치되고, 상기 송풍 팬(16)의 일면에 열전소자(1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방법은, 상기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작동버튼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자동 공급장치 본체의 공간 부에 배치된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이 작동하여 상기 식품 저장 호퍼에 저장된 식품 중 일정량의 식품만을 상기 식품 배출 가이드 덕트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공간 부(11) 안에 설치된 제2 진공펌프의 작동이 중단되어 상기 식품 저장 호퍼 내부 저장공간의 진공상태가 해제되는 단계; 상기 차단 봉 업다운 유닛이 작동하여 상기 차단 봉을 하강시키고, 상기 식품 배출구멍을 개방하는 단계; 상기 식품 배출구멍의 개방 시, 상기 식품 배출구멍을 통해서 배출되는 식품이 상기 식품 받침 가이드로 낙하하고 상기 식품 받침 가이드의 경사면을 따라 가이드 되어 이동하는 단계; 상기 차단 봉 업다운 유닛이 작동하여 상기 차단 봉을 상승시키고, 상기 식품 배출구멍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공간 부 안에 설치된 제2 진공펌프가 작동하여 상기 식품 저장 호퍼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진공펌프의 작동이 중단되어 상기 공간 부의 진공상태가 해제되는 단계; 상기 식품 공급 유닛이 상기 식품 공급 홀을 개방시켜서 상기 식품 받침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 된 식품을 애견에게 공급한 후, 상기 식품 공급 홀을 다시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진공펌프가 작동하여 상기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저장 호퍼 내부에 설치된 센서유닛은 상기 식품 저장 호퍼 내부의 온도와 습도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진공펌프 및 제2 진공펌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품를 저장하는 식품 저장 호퍼는 물론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 전체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여서, 식품 저장 호퍼 내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는 물론 유해 미생물이나 세균 등을 제거함으로써, 식품를 항상 신선하고 청결하게 유지하여서 실내 공기의 오염을 방지하고, 애견을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유닛에 의해서, 습도, 온도, 진공상태를 감지하고, 제어부에서 식품 배출과 공급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관리가 매우 용이하며, 항상 적정량의 식품만 애견에게 공급할 수 있으므로, 애견의 과식을 방지하고, 항상 깨끗하고 위생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으로서, 덮개의 개방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에서, 식품 공급 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에서, 식품 저장 호퍼의 하부에 설치된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의 공간 안에 식품가 담긴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의 회전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송풍 팬 및 열전소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차단 봉이 식품 배출구멍을 차단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차단 봉이 식품 배출구멍을 개방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차단 봉 업다운 유닛 및 식품 받침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식품 공급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식품 공급유닛에 의해서 식품가 식품 공급 홀을 통해서 공급(투하)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어부에 의해서 식품 배출과 공급을 자동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방법의 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으로서, 덮개의 개방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에서, 식품 공급 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에서, 식품 저장 호퍼의 하부에 설치된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의 공간 안에 식품가 담긴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의 회전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송풍 팬 및 열전소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차단 봉이 식품 배출구멍을 차단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차단 봉이 식품 배출구멍을 개방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차단 봉 업다운 유닛 및 식품 받침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식품 공급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식품 공급유닛에 의해서 식품가 식품 공급 홀을 통해서 공급(투하)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어부에 의해서 식품 배출과 공급을 자동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방법의 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는 내부에 공간 부(11)가 형성되고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는 자동 공급장치 본체(10), 공간 부(11) 안에 설치되며, 내부에 식품를 저장하는 식품 저장 호퍼(20), 식품를 배출하기 위한 식품 배출구멍(21)을 구비하는 식품 배출 가이드 덕트(29), 식품 저장 호퍼(20)에 저장된 식품중 일정량의 식품만을 이송하는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30), 식품 배출구멍(21)을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 봉(40), 식품 배출구멍(21)의 직 하방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식품 받침 가이드(50), 식품 배출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단 봉 업다운 유닛(60), 식품를 애견에게 공급하는 식품 공급 유닛(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는 박스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면 혹은 측면에 식품 공급 홀(12)이 형성되고, 상부에 덮개(13)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부에 덮개(13)가 배치된 경우,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 내부의 공간부(11)와 식품 저장 호퍼(20)의 내부에 형성된 식품 저장공간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즉, 식품가 저장되는 저장공간과 다 수의 구성이 배치되는 공간 부(11)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식품 공급 홀(12)의 내주 면에는 시일용 패킹(12a)이 설치된다. 시일용 패킹(12a)은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할 때에, 식품 공급 홀(12)과 후술하는 식품 공급 홀 차단 덮개(72)와의 틈새(gap)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상기 덮개(13)는 힌지(13a)로 연결되어 그 힌지(13a)를 중심으로 회동하여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덮개(13)의 내면에는 식품 저장 호퍼(20)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인너 덮개(15)가 설치될 수 있다. 인너 덮개(15)에 의해 식품 저장 호퍼(20)의 저장공간과 본체(10)의 공간 부(11)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를 덮는 덮개(13)의 내측 면에 식품 저장 호퍼(20)를 덮는 인너 덮개(15)가 설치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덮개(13)와 인너 덮개(15)가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의 내부에는, 송풍 팬(16)이 설치되고 그 송풍 팬(16)의 후면에 열전소자(17)가 설치될 수 있다. 송풍 팬(16)과 열전소자(17)를 조합한 구조를 온도조절부로 총칭할 수 있고, 온도조절부를 통해 식품 자동 공급장치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열전소자는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직접 변환하는 효과를 이용한 소자로서, 펠티에 효과에 의한 흡열 또는 발열을 이용하여, 단열재로 열 절연하는 동시에 발열 측에서는 날개(fin)를 부착하여 방열한다.
열전소자(17)에 의해 발생한 열은 송풍 팬(16)이 작동하여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 내부 전체에 퍼지도록 하여,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 내의 온도를 상승시켜서 습도를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히팅 수단으로서 열전소자(17)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히팅 코일이나 방열핀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는 사각형뿐만 아니라 원통형이나 다른 형상으로도 가능하고, 통상적으로 실내에 설치되므로 부피를 최소화하고 운반이 용이하도록 가벼운 재질로 제작되며, 표면은 은 나노 코팅처리 하여서 잘 오염되지 않도록 하여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품 저장 호퍼(20)는 공간 부(11) 안에 설치되며, 내부에 식품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제공하도록 배치되어,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가 인너 덮개(15)에 의해서 밀폐되면 식품 저장 호퍼(20)의 내부공간 역시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식품 저장 호퍼(20)의 바닥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식품가 하방으로 미끄러져 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식품 저장 호퍼(20)의 내벽에는 브래킷(28)이 설치되고, 그 브래킷(28)의 전면에 송풍 팬(23)이 설치되고, 그 브래킷(28)의 내부에 흡습제(미도시)가 교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흡습제는 실리카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브래킷(28)은 내부에 흡습제가 수용될 수 있는 흡습제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배출 가이드 덕트(29)는 식품 저장 호퍼(20)의 하부에 연장 설치되며, 식품를 배출하기 위한 식품 배출구멍(21)을 구비한다. 후술할 차단 봉(40)에 의하여 식품 배출구멍(21)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식품 배출 가이드 덕트(29)는 식품 저장 호퍼(2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구조물로서, 식품 저장 호퍼(2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품 배출 가이드 덕트(29)와 식품 저장 호퍼(20)가 별개의 구성부품으로 구성된 구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일체의 구성부품으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30)은 식품 저장 호퍼(20)에 저장된 식품중 일정량의 식품만을 식품 배출 가이드 덕트(29)로 이송하기 위하여 식품 저장 호퍼(20)의 하부에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30)은 식품를 수용할 수 있는 식품 수용공간(32), 즉 그 일부가 절개되어 식품를 수용할 수 있는 식품 수용공간(32)을 구비할 수 있고, 식품 수용공간(32)에 수용되는 식품만을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식품 수용공간(32)은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30)의 상부에만 형성된다.
상기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30)은 사각형의 서포트 브래킷(35) 위에 안착 되고,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모터(33)는 회전축(31)을 중심으로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30)을 180° 회전시켜서 공간(32) 안에 수용된 소정량의 식품를 하방으로 낙하(落下)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애견의 식성이나 애견 크기에 따라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30)의 사이즈를 변경하거나, 모터(33)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식품의 1회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 봉(40)은 식품 배출구멍(21)을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차단 봉(40)은 그 상단부가 원추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식품 배출구멍(21)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차단 봉(40)이 식품 배출구멍(21)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차단 봉(40)이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식품가 배출되는 식품 배출구멍(21)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식품가 끼이거나 걸리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식품 받침 가이드(50)는 식품 배출구멍(21)의 개방 시, 식품 배출구멍(21)을 통해서 배출되는 식품를 식품 공급 홀(12)을 통해서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의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식품 배출구멍(21)의 직 하방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식품 받침 가이드(50)의 경사각도는 설계조건에 따라 적절한 각도로 설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30~40°로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상기 식품 받침 가이드(50)는 정단면이 "U"자 형의 채널로 이루어져 효율적으로 식품가 모여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포스트 브래킷(51)에 의해서 지지가 된다.
상기 식품 받침 가이드(50)의 후단부에는 걸림 턱(52)이 형성된다. 걸림 턱(52)은 식품가 식품 받침 가이드(50) 위에서 외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식품 받침 가이드(50)의 바닥면에는 차단 봉(40)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5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 봉 업다운 유닛(60)은 차단 봉(40)을 업 다운시켜서 식품 배출구멍(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기능을 한다. 상세히, 상기 차단 봉 업다운 유닛(60)은 차단 봉(40)의 하부에 연결되는 랙 기어(61); 랙 기어(61)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62); 및 식품 배출구멍(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피니언 기어(62)를 회전시키고 차단 봉(40)을 업 다운시키는 제1 구동모터(63)를 포함한다.
상기 랙 기어(61)의 형상은 본 발명의 도면에 개시된 형상에 국한되지 않으며,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공급 유닛(70)은 식품 공급 홀(12)을 선택적으로 개방시켜서 식품 받침 가이드(50)에 의해 가이드 된 식품를 애견에게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식품 공급 유닛(70)은 모터 회동 축(73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아암(71); 회동 아암(71)의 회동에 따라 식품 공급 홀(12)을 개폐하기 위하여 회동 아암(71)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는 식품 공급 홀 차단 덮개(72); 모터 회동 축(73a)을 중심으로 회동 아암(71)을 회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모터(73); 및; 식품 공급 홀(12)의 개방시, 회동 아암(71)의 회동에 의해서 식품 받침 가이드(50)에 놓인 식품를 식품 공급 홀(12)을 통해서 푸시하도록 회동 아암(71)의 후면에 형성되는 푸셔(74)를 포함한다.
즉, 상기 회동 아암(71)은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 내벽 면에 모터 회동 축(73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제2 구동모터(73)는 모터 회동 축(73a)을 중심으로 회동 아암(71)을 소정각도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식품 공급 홀 차단 덮개(72)는 회동 아암(71)의 회동에 따라 식품 공급 홀(12)을 개폐하기 위하여 회동 아암(71)의 끝단에 고정 설치된다.
식품 공급 홀 차단 덮개(72)가 식품 공급 홀(12)을 차단한 경우는, 자동 공급장치 본체(10)와 식품 공급 홀 차단 덮개(72)의 표면 색상이 서로 동일하도록 구성하여서, 전체 미관(美觀)을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 식품 공급 홀 차단 덮개(72)는 원형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푸셔(74)는 회동 아암(71)의 후면에 연장 형성된 구조물로서, 식품 공급 홀(12)의 개방 시, 회동 아암(71)의 회동에 의해서 식품 받침 가이드(50)에 놓인 식품를 식품 공급 홀(12) 쪽으로 푸시함으로써, 식품 공급 홀(12)을 통해서 식품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상세히, 푸셔(74)는 식품를 푸시하기 위한 일단이 주걱 또는 갈고리 형상으로 굽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식품 받침 가이드(50)의 식품가 식품 공급 홀(12)이 개방된 경우, 식품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는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여, 내부 습도를 제거하고 식품가 눅눅해지고 부패하는 현상을 방지하며,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 등을 제거함으로써, 항상 청결하고 건강한 식품를 애견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간 부(11) 및 식품 저장 호퍼(20) 내부공간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진공펌프(P1, P2), 식품 저장 호퍼(20) 내부의 온도와 습도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유닛(80), 그리고 식품의 배출과 공급의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진공펌프(P1)는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공간 부(11)에 안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진공펌프(P2)는 식품 저장 호퍼(20)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공간 부(11)에 안에 설치된다. 즉, 제1 진공펌프(P1) 및 제2 진공펌프(P2)에 의해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 내부, 즉 공간 부(11) 뿐만 아니라 식품 저장 호퍼(20)의 내부 공간 역시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진공펌프(P1) 및 제2 진공펌프(P2)의 위치는 본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설계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센서유닛(80)은 식품 저장 호퍼(20) 내부의 온도와 습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유닛(80)은 온도센서, 습도센서, 진공센서 등을 포함한다. 센서유닛(80)은 식품 저장 호퍼(20) 내부의 온도, 습도 및 진공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일련의 동작과정을 제어하기 위해, 식품 배출 회전 통(30), 차단 봉 업다운 유닛(60), 식품 공급 유닛(70) 및 하나 이상의 진공펌프(P1, P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C)의 동작 구성에 대하셔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는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30)이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모터(33)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C)는 모터(33)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3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식품의 1회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차단 봉 업다운 유닛(60)을 제어하여 차단 봉(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세히, 제어부(C)는 차단 봉 업다운 유닛(60)의 제1 구동모터(63)를 제어하여 랙 시어(61) 및 피니언 기어(6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단 봉(40)의 상하 동작을 제어하여 식품 배출 구멍(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C)는 식품 공급 유닛(70)을 제어하여 식품의 외부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상세히, 제어부(C)는 식품 공급 유닛(70)의 제2 구동모터(73)를 제어하여 회동 아암(71)의 동작에 의해 식품 공급 홀 차단 덮개(72)가 식품 공급 홀(1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할 수 있고, 식품 공급 홀(12)이 개방되도록 식품 공급 홀 차단 덮개(72)가 동작한 경우, 식품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C)는 하나 이상의 진공펌프(P1, P2)를 제어하여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 내부 공간 부(11) 및 식품 저장 호퍼(20)의 저장공간의 진공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C)는 제1 진공펌프(P1) 및 제2 진공펌프(P2)를 각각 별도로 제어할 수 있다.
상세히, 제어부(C)는 상기 식품 공급유닛(70)이 상기 식품 공급 홀(12)을 폐쇄한 경우, 상기 제1 진공펌프(P1)를 작동시키고, 상기 식품 공급유닛(70)이 상기 식품 공급 홀(12)을 개방한 경우, 상기 제1 진공펌프(P1)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식품 공급 홀(12)이 개방되어 외부와 공간 부(11)가 서로 연통하게 되는 경우, 내외부 압력차가 줄어들 수 있어 장치에 부하가 걸리지 않을 뿐 아니라, 식품 공급 홀(12)이 폐쇄되면 공간 부(11)의 진공상태를 다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차단 봉(40)이 상기 식품 배출구멍(21)을 폐쇄한 경우, 상기 제2 진공펌프(P2)를 작동시키고, 상기 차단 봉(40)이 상기 식품 배출구멍(21)을 개방한 경우, 제2 진공펌프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식품 배출구멍(21)이 개방되어 공간 부(11)와 식품 저장 호퍼(20)의 저장공간이 서로 연통되는 경우 각 공간간의 압력차이가 줄어들어 장치의 부하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공간 부(11)와 식품 저장 호퍼(20)의 저장공간이 폐쇄된 경우, 식품 저장 호퍼(20)의 저장공간의 진공상태를 다시 유지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의 식품 공급방법은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는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의 식품 자동공급 방법으로서, 작동버튼(미도시)을 누르는 단계(S110);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30)이 작동하여 식품 저장 호퍼(20)에 저장된 식품중 일정량의 식품만을 식품 배출 가이드 덕트(29)로 이송하는 단계(S120); 제2 진공펌프(P2)의 작동이 중단되어 식품 저장 호퍼(20)의 내부의 진공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S130); 차단 봉 업다운 유닛(60)이 작동하여 차단 봉(40)을 하강시키고, 식품 배출구멍(21)을 개방하는 단계(S140); 식품 배출구멍(21)의 개방 시, 식품 배출구멍(21)을 통해서 배출되는 식품가 식품 받침 가이드(50) 위로 떨어지고 식품 받침 가이드(50)의 경사면을 따라 가이드 되어 이동하는 단계(S150); 차단 봉 업다운 유닛(60)이 작동하여 차단 봉(40)을 상승시키고, 식품 배출구멍(21)을 차단하는 단계(S160); 제2 진공펌프(P2)가 작동하여 식품 저장 호퍼(20)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S170); 제1 진공펌프(P1)가 작동을 중지하여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 내부 공간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는 단계(S180); 식품 공급 유닛(70)이 식품 공급 홀(12)을 개방시켜서 식품 받침 가이드(50)에 의해 가이드 된 식품를 애견에게 공급한 후, 식품 공급 홀(12)을 다시 차단하는 단계(S190); 및 제1 진공펌프(P1)가 재작동하여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의 공간부(11)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의 식품 공급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단계(S110)에서는, 사용자가 작동버튼(미도시) 등을 눌러서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을 하되,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서 작동할 수도 있고, 근접 센서가 애견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작동버튼은 통상의 버튼은 물론 원격지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조작할 수 있는 버튼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본 발명의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단계(S120)에서는,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30)이 작동하여 식품 저장 호퍼(20)에 저장된 식품중 일정량의 식품만을 식품 배출 가이드 덕트(29)로 떨어뜨려 이동시킨다. 즉,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30)이 회전축(31)을 중심으로 180° 회전하여 식품 수용공간(32)에 수용된 식품를 식품 배출 가이드 덕트(29)로 낙하시킨 후, 다시 180° 회전하여 다시 원래의 자리로 복귀한다.
상기 단계(S130)에서는, 제2 진공펌프(P2)의 작동이 중단되어 식품 저장 호퍼(20)의 내부의 진공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는 추후 차단 봉 업다운 유닛(60)이 작동하여 차단 봉(40)을 하강시키는 경우, 공간 부(11)와 식품 저장 호퍼(20)의 저장공간이 서로 연통되는 경우 각 공간간의 압력차를 줄이기 위함이다.
상기 단계(S140)에서는, 차단 봉 업다운 유닛(60)이 작동하여 차단 봉(40)을 하강시키고, 상기 식품 배출구멍(21)을 개방하여, 식품 배출 가이드 덕트(29)의 식품를 식품 받침 가이드(50)로 배출시킨다.
상세히, 차단 봉 업다운 유닛(60)의 작동을 살펴보면, 제1 구동모터(63)가 구동하여 피니언 기어(62)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피니언 기어(62)에 치합되어 있는 랙 기어(61)가 하강하면서 차단 봉(40)을 하강시키고, 차단 봉(40)이 하강하면서 식품 배출구멍(21)을 개방한다. 식품 배출구멍(21)이 개방되면서 식품 배출 가이드 덕트(29)의 식품가 식품 배출구멍(2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단계(S150)에서는, 상기 식품 배출구멍(21)의 개방 시, 식품 배출구멍(21)을 통해서 배출되는 식품가 식품 받침 가이드(50) 상부로 낙하될 수 있고, 식품 받침 가이드(50)의 경사면을 따라 식품가 가이드 되어 하강하면서 식품 공급 홀(1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단계(S160)에서는, 상기 차단 봉 업다운 유닛(60)이 작동하여 차단 봉(40)을 상승시키고, 상기 식품 배출구멍(21)을 다시 폐쇄할 수 있다.
상세히, 차단 봉 업다운 유닛(60)의 작동을 살펴보면, 제1 구동모터(63)가 구동하여 피니언 기어(62)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피니언 기어(62)에 치합되어 있는 랙 기어(61)가 상승하면서 차단 봉(40)을 상승시키며, 차단 봉(40)이 상승하면서 식품 배출구멍(21)을 폐쇄한다. 식품 배출구멍(21)이 폐쇄되면서 식품 배출 가이드 덕트(29)의 식품 배출이 중단될 수 있다.
상기 단계(S170)에서는, 제2 진공펌프(P2)가 작동하여 식품 저장 호퍼(20)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한다. 즉, 식품 배출구멍(21)이 개방되어 식품 저장 호퍼(20)의 내부 공간과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의 공간부(11)가 순간적으로 연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부 진공상태가 어긋날 수 있는 바, 식품 배출구멍(21)이 폐쇄되면 식품 저장 호퍼(20)의 내부공간의 진공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제2 진공펌프(P2)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단계(S180)에서는, 제1 진공펌프(P1)의 작동이 중지되어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 내부의 공간부(11)의 진공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세히, 제1 진공펌프(P1)가 작동되어 공간부(11)의 진공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식품 공급 홀(12)이 개방되기 전에 제1 진공펌프(P1)의 작동이 중지되어 공간부(11)의 진공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추후 공간부(11)가 외부로 연통되면서 생기는 기압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치에 압력차에 따른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잇다.
상기 단계(S190)에서는, 식품 공급 유닛(70)이 식품 공급 홀(12)을 개방시켜서 공간 부(11)에 배치된 식품 받침 가이드(50)에 의해 가이드 된 식품를 애견에게 공급한 후, 상기 식품 공급 홀(12)을 다시 차단한다. 단계(S180)에서 제1 진공펌프(P1)의 작동이 중지된 바, 식품 공급 유닛(70)이 작동하여 식품 받침 가이드(50)의 식품를 식품 공급 홀(12)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세히, 식품를 식품 공급 홀(12)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식품 공급 유닛(70)의 작동을 살펴보면, 제2 구동모터(73)가 구동하여 모터 회동 축(73a)을 중심으로 회동 아암(71)을 회동시켜 식품 공급 홀 차단 덮개(72)가 상부로 회동하여 식품 공급 홀(12)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회동 아암(71)의 후면에 형성된 푸셔(74)가 식품 받침 가이드(50)에 놓인 식품를 식품 공급 홀(12) 방향으로 푸시하여서, 식품를 외부로 배출하여 공급할 수 있다.
식품공급이 완료된 이후에는 식품 공급 유닛(70)이 식품공급 시 동작의 역순으로 작동하여 식품 공급 홀(12)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00)에서는, 제1 진공펌프(P1)가 재작동하여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세히, 식품 공급 홀(12)의 개방에 의해 외부 공기가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의 공간 부(11)에 유입되기 때문에 제1 진공펌프(P1)가 재가동되어 공간 부(11)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품를 저장하는 식품 저장 호퍼는 물론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 전체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여서,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는 물론 유해 미생물이나 세균 등을 제거함으로써, 식품를 항상 신선하고 청결하게 유지하여서 실내 공기오염을 방지하고, 애견을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유닛에 의해서, 습도, 온도, 진공상태를 감지하고, 제어부에서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권리가 매우 용이하며, 항상 적정량의 식품만 애견에게 공급되므로, 애견의 과식을 방지하고, 항상 깨끗하고 위생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자동 공급장치 본체
11: 공간 부
12: 식품 공급 홀
12a: 시일용 패킹
13: 덮개
13a: 힌지
15: 인너 덮개
16: 송풍 팬
17: 열전소자
20: 식품 저장 호퍼
21: 식품 배출구멍
28: 브래킷
23: 송풍 팬
29: 식품 배출 가이드 덕트
30: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
31: 회전축
32: 식품 수용공간
35: 서포트 브래킷
40: 차단 봉
50: 식품 받침 가이드
51: 포스트 브래킷
52: 걸림 턱
60: 차단 봉 업다운 유닛
61: 랙 기어
62: 피니언 기어
63: 제1 구동모터
70: 식품 공급 유닛
71: 회동 아암
72: 식품 공급 홀 차단 덮개
73: 제2 구동모터
73a: 모터 회동 축
74: 푸셔
80: 센서유닛
C: 제어부
P1: 제1 진공펌프
P2: 제2 진공펌프

Claims (10)

  1.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는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 부(11)가 형성되며, 전면에 식품 공급 홀(12)이 형성되며, 상부에 덮개(13)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
    상기 공간 부(11) 안에 설치되며, 내부에 식품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식품 저장 호퍼(20);
    상기 식품 저장 호퍼(20)의 하부에 연장 설치되며, 식품을 배출하기 위한 식품 배출구멍(21)을 구비하는 식품 배출 가이드 덕트(29);
    상기 식품 배출구멍(21)을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 봉(40);
    상기 식품 배출구멍(21)의 개방시, 상기 식품 배출구멍(21)을 통해서 배출되는 식품을 상기 식품 공급 홀(12)을 통해서 상기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의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식품 배출구멍(21)의 직 하방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식품 받침 가이드(50);
    상기 차단 봉(40)을 업 다운시켜서 상기 식품 배출구멍(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단 봉 업다운 유닛(60);
    상기 식품 공급 홀(12)을 선택적으로 개방시켜서 상기 식품 받침 가이드(50)에 의해 가이드 된 식품을 애견에게 공급하는 식품 공급 유닛(70); 및
    식품의 배출과 공급의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C); 를 포함하며,
    상기 식품 공급 유닛(70)은,
    모터 회동 축(73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아암(71);
    상기 회동 아암(71)의 회동에 따라 상기 식품 공급 홀(12)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회동 아암(71)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는 식품 공급 홀 차단 덮개(72);
    상기 모터 회동 축(73a)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 아암(71)을 회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모터(73); 및
    상기 식품 공급 홀(12)의 개방 시, 상기 회동 아암(71)의 회동에 의해서 상기 식품 받침 가이드(50)에 놓인 식품을 상기 식품 공급 홀(12)을 통해서 푸시하도록 상기 회동 아암(71)의 후면에 형성되는 푸셔(74);를 포함하는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저장 호퍼(20)에 저장된 식품중 일정량의 식품만을 상기 식품 배출 가이드 덕트(29)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식품 저장 호퍼(20)의 하부에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30)을 더 포함하는 식품 자동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봉 업다운 유닛(60)은
    상기 차단 봉(40)의 하부에 연결되는 랙 기어(61);
    상기 랙 기어(61)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62); 및
    상기 식품 배출구멍(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피니언 기어(62)를 회전시키고 상기 차단 봉(40)을 업 다운시키는 제1 구동모터(63); 를 포함하는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3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이 절개되어 식품을 수용할 수 있는 식품 수용공간(32)이 형성되며, 모터에 의해서 상기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봉(40)은 그 상단부가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식품 배출구멍(21)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차단 봉(40)이 상기 식품 배출구멍(21)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저장 호퍼(20)의 내벽에 브래킷(28)이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28)의 일면에 송풍 팬(23)이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28)의 내부에 흡습제가 교체 가능하게 수용되는 흡습제 수용공간이 상기 저장공간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의 내부에 송풍 팬(16)이 설치되고, 상기 송풍 팬(16)의 일면에 열전소자(1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
  9. 제 1 항의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를 이용한 식품공급 방법으로,
    상기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작동버튼이 입력되는 단계(S110);
    상기 자동 공급장치 본체(10)의 공간 부(11)에 배치된 적량 식품 배출 회전 통(30)이 작동하여 상기 식품 저장 호퍼(20)에 저장된 식품 중 일정량의 식품만을 상기 식품 배출 가이드 덕트(29)로 이송하는 단계(S120);
    상기 공간 부(11) 안에 설치된 제2 진공펌프(P1)의 작동이 중단되어 상기 식품 저장 호퍼(20) 내부 저장공간의 진공상태가 해제되는 단계(S130);
    상기 차단 봉 업다운 유닛(60)이 작동하여 상기 차단 봉(40)을 하강시키고, 상기 식품 배출구멍(21)을 개방하는 단계(S140);
    상기 식품 배출구멍(21)의 개방 시, 상기 식품 배출구멍(21)을 통해서 배출되는 식품이 상기 식품 받침 가이드(50)로 낙하하고 상기 식품 받침 가이드(50)의 경사면을 따라 가이드 되어 이동하는 단계(S150);
    상기 차단 봉 업다운 유닛(60)이 작동하여 상기 차단 봉(40)을 상승시키고, 상기 식품 배출구멍(21)을 차단하는 단계(S160);
    상기 공간 부(11) 안에 설치된 제2 진공펌프(P2)가 작동하여 상기 식품 저장 호퍼(20)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S170);
    상기 제1 진공펌프(P1)의 작동이 중단되어 상기 공간 부(11)의 진공상태가 해제되는 단계(S180);
    상기 식품 공급 유닛(70)이 상기 식품 공급 홀(12)을 개방시켜서 상기 식품 받침 가이드(50)에 의해 가이드 된 식품을 애견에게 공급한 후, 상기 식품 공급 홀(12)을 다시 차단하는 단계(S190); 및
    상기 제1 진공펌프(P1)가 작동하여 상기 식품 자동 공급장치 본체(1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단계(S200); 를 포함하는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의 식품 자동 공급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저장 호퍼(20) 내부에 설치된 센서유닛(80)은 상기 식품 저장 호퍼(20) 내부의 온도와 습도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C)가 상기 제1 진공펌프(P1) 및 제2 진공펌프(P2)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의 식품 자동 공급방법.

KR1020190153597A 2019-11-26 2019-11-26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 KR102456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597A KR102456537B1 (ko) 2019-11-26 2019-11-26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597A KR102456537B1 (ko) 2019-11-26 2019-11-26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881A KR20210064881A (ko) 2021-06-03
KR102456537B1 true KR102456537B1 (ko) 2022-10-18

Family

ID=76396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597A KR102456537B1 (ko) 2019-11-26 2019-11-26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5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68038B (zh) * 2022-03-21 2023-06-06 山东畜牧兽医职业学院 一种肉串自动切割装置的实现方法
CN114916457B (zh) * 2022-06-09 2023-07-21 深圳有哈科技有限公司 一种抽真空喂食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776B1 (ko) 2008-02-22 2009-02-18 배창석 진공쌀통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1916A (ko) * 2010-08-23 2012-03-09 김현우 진공기능이 구비된 식재료 저장장치
KR101321953B1 (ko) 2012-09-26 2013-10-28 박두환 애완동물용 사료 및 간식 자동급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776B1 (ko) 2008-02-22 2009-02-18 배창석 진공쌀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881A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6537B1 (ko) 진공식 식품 자동 공급장치
US8776725B1 (en) Pet waiter systems
US7592570B2 (en) Oven with convection air current and energy savings features
KR101373321B1 (ko) 애완동물 자동먹이 공급장치
KR102336831B1 (ko) 진공식 사료 자동 공급장치
WO2015138009A1 (en) Dehydrator
KR102336837B1 (ko) 진공식 사료 자동 공급장치
WO2007013031A2 (en) A toasting apparatus
KR101733757B1 (ko) 견과류 로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견과류 로스팅 방법
KR102335181B1 (ko) 진공식 사료 자동 공급장치
US8276543B2 (en) Animal compartment assembly
US9877463B2 (en) Piglet drying apparatus
US5386930A (en) Storing and dispensing device for granular foodstuff, particularly dogfood
US20140102311A1 (en) Popcorn Making Machine with a Sensor for Control of Overloading
CA2982479C (en) Piglet drying apparatus
KR102122175B1 (ko) 착탈형 신발수납장치
JPH0622863A (ja) フライ食品調理施設
JP3581872B2 (ja) 生ゴミ処理機
US8558144B2 (en) Pet/people canned food warming device
CA1041850A (en) Automatic fish feeder
CN112890623B (zh) 一种智能保温消毒罩
KR200489204Y1 (ko) 양돈용 사료 제한급이기
WO2010080162A1 (en) Piglet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JP4260088B2 (ja) 自動販売機
US2759451A (en) Lateral hot air broo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