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512B1 - 약액 공급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약액 공급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512B1
KR102456512B1 KR1020200033882A KR20200033882A KR102456512B1 KR 102456512 B1 KR102456512 B1 KR 102456512B1 KR 1020200033882 A KR1020200033882 A KR 1020200033882A KR 20200033882 A KR20200033882 A KR 20200033882A KR 102456512 B1 KR102456512 B1 KR 102456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reservoir
chemical
valve
suppl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3135A (ko
Inventor
김용현
Original Assignee
김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현 filed Critical 김용현
Priority to TW109137143A priority Critical patent/TWI772939B/zh
Priority to US17/773,260 priority patent/US20240082483A1/en
Priority to EP20880690.1A priority patent/EP4052741A4/en
Priority to JP2022525389A priority patent/JP7427779B2/ja
Priority to CN202080076410.8A priority patent/CN114616006A/zh
Priority to PCT/KR2020/014899 priority patent/WO2021086046A1/ko
Priority to IL292621A priority patent/IL292621A/en
Publication of KR20210053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07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0Closure caps or plugs for connectors or open ends of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26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the piston being actuated by flui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86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a flexible diaphrag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61M5/16881Regulat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3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 A61M5/365Ai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2005/1401Functional features
    • A61M2005/1402Prim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0Closure caps or plugs for connectors or open ends of tubes
    • A61M2039/205Closure caps or plugs for connectors or open ends of tubes comprising air ve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6Valves closing automatically on disconnecting the line and opening on reconnec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 조절 장치의 상기 약액 유로는, 유입구로부터 유출구까지 약액이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의 분류점에서 약액이 분류되도록 안내하고 분류된 약액이 상기 제1 유로의 상기 분류점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합류점에서 합류되도록 안내하는 제2 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약액 공급 조절 장치는, 상기 제2 유로 상에서 약액을 저장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리저버; 상기 제1 유로에서의 상기 분류점 및 상기 합류점의 사이 구간을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유로 밸브; 및 상기 제2 유로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유로 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약액 공급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MEDICINAL LIQUID SUPPLY CONTROL APPARATUS AND MEDICINAL LIQUID INJEC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는 약액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약액 공급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자에게 약물을 공급하기 위해, 환자에게 액상의 약액(예를 들어, 주사액)을 주입하는 약액 주입 장치가 알려져 있다. 약액 주입 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저장 공간 내에 있는 약액이 환자와 연결되는 통로(예를 들어, 관 및 주사 바늘의 내부 공간)를 통과하여, 환자의 체내로 유입된다.
약액 중에는 시간당 주입량을 제한하여 환자의 신체 내로 주입해야 하는 약액(예를 들어, 항생제, 진통제 및 항암제)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약액은 환자의 신체 내로 시간당 일정한 양이 주입된다. 그러나, 환자의 상태 등 조건에 따라 일시적으로 약액의 공급량을 늘려 주입해야 하는 소요도 발생한다. 이러한 일시적으로 약액을 증량하여 주입하는 것을 볼루스 주입(bolus injection)이라고 한다.
이러한 지속적 약액 주입과 볼루스 주입이 가능한 약액 공급 조절 장치가 알려져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2861호
종래의 약액 공급 조절 장치는 지속적으로 약액이 흐르는 연속 유로(continuous line)와 볼루스 주입시에만 약액이 흐르는 볼루스 유로(bolus line)를 가지고 있는데, 연속 유로는 처방된 약액이 주입 완료될 때까지 무조건 열려 있으므로 환자에게 약액 주입량을 줄이는 것이 어려웠고, 연속 유로를 막기 위해서는 볼루스 유로까지 막아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종래의 약액 공급 조절 장치는 외부에 장착된 에어 필터를 사용함에 따라 에어 필터와 약액 공급 조절 장치 내의 모세관 사이에 존재하거나 발생하는 에어를 배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약액의 흐름을 안내하는 약액 유로를 가진 약액 공급 조절 장치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 조절 장치의 상기 약액 유로는, 유입구로부터 유출구까지 약액이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의 분류점에서 약액이 분류되도록 안내하고 분류된 약액이 상기 제1 유로의 상기 분류점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합류점에서 합류되도록 안내하는 제2 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약액 공급 조절 장치는, 상기 제2 유로 상에서 약액을 저장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리저버; 상기 제1 유로에서의 상기 분류점 및 상기 합류점의 사이 구간을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유로 밸브; 및 상기 제2 유로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유로 밸브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하나의 측면은 약액 주입 장치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는, 상기 약액 공급 조절 장치; 약액을 가압하도록 구성된 펌핑 모듈; 및 상기 펌핑 모듈에서의 가압에 따라 상기 펌핑 모듈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약액이 흐르도록 구성되는 연장튜브를 포함한다. 상기 약액 공급 조절 장치의 상기 약액 유로는 상기 연장튜브에 연결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약액 공급 조절 장치의 연속 유로와 볼루스 유로 중 연속 유로만 막는 것이 가능하므로, 환자에게 약액 주입량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편리해진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약액 공급 조절 장치 내에 존재하거나 발생하는 에어를 쉽게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의 전체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푸시 장치의 사시도로서, 코터를 제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 부재를 조작하는 모습이 도시된다.
도 3은 도 2의 약액 푸시 장치의 사시도로서, 약액 푸시 장치에 코터를 결합할 수 있는 방식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약액 푸시 장치에서 제1 케이스 파트 및 제2 케이스 파트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약액 푸시 장치에서 가이드 파트를 추가로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약액 푸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약액 푸시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구성들 중 일부만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로서, 도 6과 달리 몇몇 부품들은 서로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모습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로서, 일 부분의 확대도(E)가 도시된다.
도 10은 도 9의 라인 S1-S1’를 따라 약액 푸시 장치를 자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라인 S2-S2’를 따라 약액 푸시 장치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라인 S3-S3’을 따라 약액 푸시 장치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라인 S4-S4’를 따라 약액 푸시 장치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6의 버튼 부재, 리저버 푸시 부재, 가압 부재, 지지 슬라이더 및 슬라이더 스프링의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16 내지 도 20은 버튼 부재, 리저버 푸시 부재, 가압 부재, 지지 슬라이더 및 슬라이더 스프링의 작동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도 15의 라인 S5-S5’를 따라 약액 푸시 장치를 자른 부분 종단면도들이다.
도 21은 도 17의 라인 S6-S6’을 따라 약액 푸시 장치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라인 S7-S7’을 따라 약액 푸시 장치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슬라이더(1600’) 및 슬라이더 스프링(1700’)을 가진 약액 푸시 장치의 부분 종단면 개념도들로서, 도 23은 버튼 부재가 하강하기 전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고, 도 24는 버튼 부재가 하강한 상태의 모습을 보여준다.
도 25는 도 23의 모습을 라인 S8-S8’을 따라 자른 횡단면 개념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모습을 라인 S9-S9’를 따라 자른 횡단면 개념도이다.
도 27 및 도 28은 도 6의 리저버 푸시 부재, 셀렉터 및 코터의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29는 도 3의 약액 푸시 장치에서 케이스를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0 내지 도 32는 도 3의 약액 푸시 장치에서 코터를 이용하여 셀렉터를 작동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3은 도 30의 약액 푸시 장치에서 케이스를 투명하게 처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2의 약액 푸시 장치에서 케이스를 투명하게 처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0의 라인 S10-S10’을 따라 약액 푸시 장치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6은 도 31의 라인 S11-S11’을 따라 약액 푸시 장치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7 및 도 38은 락 바, 락 탄성 부재, 및 스위칭 부재 등을 포함한 몇몇 부품들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9는 도 37의 라인 S12-S12’를 따라 약액 푸시 장치의 일부 부품들을 절개한 단면도로서, 유로(P2)가 밸브(318)에 의해 막혀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0은 도 39에서 버튼 부재가 일부 구간만큼 하강하여 버튼 부재와 락 바가 접촉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1은 도 40에서 버튼 부재가 더 하강하여 버튼 부재가 락 바를 이동시켜 유로(P2)가 밸브(318)에 의해 열려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2는 도 3의 약액 푸시 장치에서 스위칭 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3 및 도 44는 도 42의 라인 S13-S13’를 따라 약액 푸시 장치를 자른 일부 단면도들로서, 도 43은 유로(P1)가 밸브(316)에 의해 열려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도 44는 도 43에서 스위칭 부재가 이동함으로써 유로(P1)가 밸브(316)에 의해 막혀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45는 도 6 및 도 7의 필터 바디, 필터 캡, 제1 공기 통과 필터, 제2 공기 통과 필터, 경계 필터 및 필터 스페이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6은 도 45의 필터 캡과 필터 스페이서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43의 라인 S12-S12’를 따라 도 45의 부품들의 조립체를 자른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화살표 U의 방향을 의미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화살표 D의 방향을 의미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개시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기준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상기 방향지시어들은 그에 맞추어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류" 및 "하류"는, 펌핑 모듈(10)이 약액을 가압할 때 약액이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도 1의 화살표 F2, F3 및 도 1의 화살표 F4의 방향이 하류 방향으로 정의되고, 상기 하류 방향의 반대 방향이 상류 방향으로 정의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약액"은 치료용 물질이 포함된 액체뿐만 아니라, 치료용 물질을 보조하거나 치료용 물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액체, 환자에게 투입될 수 있는 액체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후술하는 프라이밍용 액체는 이러한 약액 중 하나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의 전체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를 이용하여 약액을 환자에게 주입하는 과정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프라이밍(Priming) 단계 및 약액 주입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상기 프라이밍 단계에서, 프라이밍용 액체가 연장튜브(30)를 따라 흘러가도록 한다. 연장튜브(30)를 따라 흐르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는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 내로 유입된다. 약액 주입 장치(1)는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의 하류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엔드 캡(7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튜브(30)의 내부의 공기는 엔드 캡(7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튜브(30) 및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의 내부에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채워진다.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는 치료용 물질이 포함된 액체 또는 식염수 등의 환자에게 투입될 수 있는 액체일 수 있다.
엔드 캡(70)은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를 거친 공기 및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엔드 캡(70)은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되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엔드 캡(70)은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의 통과를 막되 기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벤트 필터(71)를 포함한다. 벤트 필터(71)는 소수성 필터를 포함한다. 엔드 캡(70)은 벤트 필터(71)의 상류 측에 배치되는 스펀지(72)를 포함할 수 있다. 엔드 캡(70)은 벤트 필터(71)를 내부에 수용하는 엔드 캡 케이싱(73)을 포함한다. 엔드 캡 케이싱(73)은 스펀지(72)를 내부에 수용한다. 엔드 캡 케이싱(73)은 기체가 통과하는 벤트 홀(73a)을 형성한다. 엔드 캡(70)은 약액 주입 장치(1)의 연장튜브(30)의 하류측 말단을 구성하는 하류 연결부(36)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엔드 캡 결합부(74)를 포함한다. 도 1의 화살표 E2는 엔드 캡 결합부(74)의 하류 연결부(36)에 대한 결합 및 분리 방향을 도시한다.
엔드 캡(70)에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채워지면, 엔드 캡(70)을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로부터 분리시키고,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와 환자 연결 유닛(60, 60')을 연결할 수 있다.
환자 연결 유닛(60, 60')은 주사 바늘(61)이나 카테터(cathe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환자 연결 유닛(60, 60')은 주사 바늘(61) 등 환자의 체내로 인입되는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환자 연결 유닛(60, 60')은, '주사 바늘(61) 등 환자의 체내로 인입되는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인입 부품'과 '나머지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입 부품과 상기 나머지 부품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입 부품은 환자와 연결되어 있되 상기 나머지 부품과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나머지 부품을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와 결합시킨 후, 상기 인입 부품과 상기 나머지 부품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를 거친 액체는 순차적으로 상기 나머지 부품과 상기 인입 부품을 거쳐, 환자의 체내로 유입될 수 있다.
환자 연결 유닛(60, 60')은 주사 바늘(61)을 지지하는 주사 지지부(62)를 포함한다. 환자 연결 유닛(60, 60')은 약액 주입 장치(1)의 하류 연결부(36)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유닛 결합부(63)를 포함한다. 도 1의 화살표 E3은 유닛 결합부(63)의 하류 연결부(36)에 대한 결합 및 분리 방향을 도시한다.
일 예로, 환자 연결 유닛(60)은 주사 바늘(61), 주사 지지부(62) 및 유닛 결합부(63)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환자 연결 유닛(60')은 유닛 결합부(63)의 하류 측에 연결되는 환자 연결관 고정부(65')를 더 포함한다. 환자 연결 유닛(60')은 환자 연결관 고정부(65')와 주사 지지부(62)를 연결하는 환자 연결관(64')을 더 포함한다. 환자 연결관(64')은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환자 연결 유닛(60')은 주사 바늘(61), 주사 지지부(62), 환자 연결관(64'), 환자 연결관 고정부(65') 및 유닛 결합부(63)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약액 주입 단계에서, 펌핑 모듈(10)에서의 가압에 따라 약액이 환자의 체내로 유입된다. 약액 주입 단계에서의 약액이란 치료용 물질이 포함된 액체이다.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치료용 물질이 포함된 액체가 아니고 식염수 등인 경우에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먼저 환자의 체내로 유입되고,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의 뒤를 이어 흘러가는 치료용 물질이 포함된 액체가 환자의 체내로 유입될 수 있다.
펌핑 모듈(10)은 약액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펌핑 모듈(10)은 약액을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된 챔버(11)를 포함한다. 챔버(11)는 가압 유닛(12)과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 공간에 약액이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 공간에 일시적으로 식염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챔버(11)에는, 챔버(11) 내부의 액체가 배출되는 배출 포트부(11a)가 형성된다.
펌핑 모듈(10)은 가압 유닛(12)이 가압 방향(Ap1)으로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가압 동작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압 동작부(13)는, 가스 활성(gas activation)에 의한 부피 팽창을 이용하여 챔버(11) 내의 액체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압 동작부(13)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부분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힘으로 가압 유닛(12)을 상기 가압 방향(Ap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예로, 가압 유닛(12)은, 벌룬(balloon) 등의 탄성체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액체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 유닛(12)은 상기 벌룬 내의 액체가 가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약액 주입 밸브(20)는 챔버(11) 내로 액체를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액체가 외부로부터 약액 주입 밸브(20)를 통해 연장튜브(30) 또는 챔버(11)로 유입될 수 있다. 약액 주입 밸브(20)는 연장튜브(30)에 연결되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약액 주입 밸브(20)는 챔버(11)에 연결될 수도 있다.
약액 주입 밸브(20)는 연장튜브(30)의 제1 연결부(31)의 하류 측 말단에 연결되는 제1 연장부(21)와, 연장튜브(30)의 제2 연결부(32)의 상류 측 말단에 연결되는 제2 연장부(22)를 포함한다. 약액 주입 밸브(20)는 외부로부터 액체가 유입 가능하도록 구성된 유입부(23)와, 유입부(2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유입 포트 개폐부(24)를 포함한다. 도 1의 화살표 E1은, 유입 포트 개폐부(24)의 유입부(23)에 대한 결합 및 분리 방향을 도시한다.
연장튜브(30)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연장튜브(30)는 펌핑 모듈(10)로부터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까지 약액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연장튜브(30)는 펌핑 모듈(10)에서의 가압에 따라 펌핑 모듈(10)로부터 유출되는 약액이 흐르도록 구성된다. 연장튜브(30)의 상류측 말단은 펌핑 모듈(10)에 연결된다. 연장튜브(30)는 펌핑 모듈(10)의 배출 포트부(11a)에 연결되는 상류 연결부(35)를 포함한다. 연장튜브(30)는 엔드 캡(70) 또는 환자 연결 유닛(60, 60')에 연결되는 하류 연결부(36)를 포함한다. 연장튜브(30) 중 상류 구간(31, 32)를 거친 액체는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의 유입 연결부(217)를 통해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 내부로 유입되고,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의 유출 연결부(218)를 통해 연장튜브(30) 중 하류 구간(33)으로 유입된다.
연장튜브(30)는, 상류 연결부(35)와 약액 주입 밸브(20)의 제1 연장부(21)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31)를 포함한다. 연장튜브(30)는, 약액 주입 밸브(20)의 제2 연장부(22)와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의 유입 연결부(217)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32)를 포함한다. 연장튜브(30)는,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의 유출 연결부(218)와 하류 연결부(36)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33)를 포함한다.
약액 주입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 개폐 모듈(4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 개폐 모듈(40)은 연장튜브(30)의 외부를 눌러주어 연장튜브(30) 중 일 지점의 액체의 흐름을 막아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 개폐 모듈(40)은 제1 연결부(31)의 일 지점(B1)의 개폐 여부를 변경할 수 있는 제1 연결관 개폐 모듈(41)과, 제2 연결부(32)의 일 지점(B2)의 개폐 여부를 변경할 수 있는 제2 연결관 개폐 모듈(4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관 개폐 모듈(40)은 클램프(clamp)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약액 주입 장치(1)는 연장튜브(30) 상에 배치되는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 외부의 필터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가 후술할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는, 불순물을 걸러주는 파티클(particle) 필터 및/또는 공기 방울(기포)을 걸러주는 에어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밍 단계 및 약액 주입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밍 단계에서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로서 약액이 아닌 식염수 등을 이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밍 단계에서, 유입 포트 개폐부(24)를 유입부(23)로부터 분리하고, 제1 연결관 개폐 모듈(41)로 제1 연결부(31)를 차단하며(B1 참고), 제1 연결부(31)를 제외한 연장튜브(30)의 나머지 부분은 개방한다. 화살표 F1, F3 및 F4를 참고하여, 식염수 등의 프라이밍용 액체는 유입부(23), 제2 연장부(22), 제2 연결부(32),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 및 제3 연결부(33)를 순차적으로 흐름으로써, 연장튜브(30)의 내부 및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의 내부가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로 채워진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밍 단계 후,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단계가 진행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단계에서, 유입 포트 개폐부(24)를 유입부(23)로부터 분리하고, 제2 연결관 개폐 모듈(42)로 제2 연결부(32)를 차단하며(B2 참고), 제1 연결관 개폐 모듈(41)을 제1 연결부(31)로부터 분리하여 제1 연결부(31)를 개방한다. 화살표 F0을 참고하여, 약액이 약액 주입 밸브(20) 및 제1 연결부(31)를 거쳐 챔버(11) 내로 유입되면서, 가압 유닛(12)은 상기 방향(Ap2)로 이동한다. 그 후, 유입 포트 개폐부(24)를 유입부(23)에 결합시키고, 제2 연결관 개폐 모듈(42)을 제2 연결부(32)로부터 분리하여 연장튜브(30)를 개방 상태로 만든다. 화살표 F2, F3 및 F4를 참고하여, 그 후 가압 유닛(12)을 상기 가압 방향(Ap1)으로 이동시켜, 약액이 연장튜브의 상류 구간(31, 32),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 및 연장튜브의 하류 구간(33)을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밍 단계 및 약액 주입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밍 단계에서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로서 약액을 이용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밍 단계에서, 챔버(11) 내에 약액을 채우고, 엔드 캡(70)을 하류 연결부(36)와 연결하고, 유입 포트 개폐부(24)로 유입부(23)를 차단하며, 연결관 개폐 모듈(40)을 연장튜브(30)로부터 분리하여 연장튜브(30)를 개방 상태로 만든다. 화살표 F2, F3 및 F4를 참고하여, 그 후 가압 유닛(12)을 상기 가압 방향(Ap1)으로 이동시켜, 프라이밍용 액체인 약액이 연장튜브의 상류 구간(31, 32),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 및 연장튜브의 하류 구간(33)을 순차적으로 흐름으로써, 연장튜브(30) 및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의 내부가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로 채워진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밍 단계 후,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단계가 진행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단계에서, 화살표 F2, F3 및 F4를 참고하여, 가압 유닛(12)을 상기 가압 방향(Ap1)으로 더 이동시켜, 약액이 연장튜브의 상류 구간(31, 32),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 및 연장튜브의 하류 구간(33)을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의 사시도로서, 코터(1100)를 제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 부재(700)를 조작하는 모습이 도시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약액 주입 장치(1)는 연장튜브(30)에 연결되는 약액 유로를 가진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를 포함한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약액의 흐름을 안내하는 약액 유로를 가진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상류 측의 연장튜브 부분(32)과 연결되는 유입 연결부(217)와, 하류 측의 연장튜브 부분(33)과 연결되는 유출 연결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은 유입 연결부(217)의 유입구(Qi)를 통해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 내부로 유입되어 유출 연결부(218)의 유출구(Qo)를 통해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약액 유로는 유입구(Qi)로부터 유출구(Qo)까지 약액이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1 유로(P1)를 포함한다. 연결관 개폐 모듈(40) 또는 후술할 제1 유로 밸브(316) 등에 의해 유로가 닫혀있지 않는 상태에서, 제1 유로(P1)는 유입구(Qi)로부터 유출구(Qo)까지 약액이 연속적으로 흐르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약액 유로는 제1 유로(P1)의 후술할 분류점(Qd)에서 약액이 분류되도록 안내하는 제2 유로(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로(P2)는 분류된 약액이 제1 유로(P1)의 분류점(Qd)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후술할 합류점(Qu)에서 합류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2 유로(P2)는 개폐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환자에게 공급되는 약액의 양을 환자 스스로 증가시키도록 조작되는 약액 공급 조절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제1 유로(P1) 및 제2 유로(P2)를 가지고, 제2 유로(P2) 상에 위치하는 내부 공간(400s)을 가진 리저버(400)에 저장된 약액을 볼루스 주입 가능하게 구성된 장치이다.
이하,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의 각 구성들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이다. 특히, 리저버(400)와 리저버 푸시 부재(500)와 버튼 부재(700)와 가압 부재(10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쉽게 삭제, 치환, 변형 및 변경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게 구비된 버튼 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코터(cotter)(1100)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부재(700)의 일 부분인 조작부(710)가 케이스(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예를 들어, 환자)는 조작부(710)를 눌러 약액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코터(1100)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전에 버튼 부재(700)를 조작하지 못하도록 케이스(100)에 삽입될 수 있다. 코터(1100)는 조작부(710)를 하측으로 누른 상태로 케이스(100)에 삽입된다. 코터(1100)가 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되면, 후술할 가압 부재(1000) 또는 탄성 부재(SP)에 의해 버튼 부재(70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버튼 부재(700)를 하측으로 누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3은 도 2의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의 사시도로서,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에 코터(1100)를 결합할 수 있는 방식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에서 제1 케이스 파트(100A) 및 제2 케이스 파트(100B)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에서 가이드 파트(100C)을 추가로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각각의 용도에 맞도록 구비된 복수의 코터(11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의사 등의 의료진에게 하나의 코터(1100)가 제공되고 경우에 따라 3가지 위치(1100a, 1100b, 1100c 참고)에서 코터(1100)를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코터(1100a)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전에 버튼 부재(700)를 조작하지 못하도록 케이스(100)에 삽입될 수 있다. 코터(1100a)를 케이스(100)로부터 인출 방향(M1)으로 빼냄으로써, 가압 부재(1000) 또는 별도의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버튼 부재(70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버튼 부재(700)를 하측으로 누를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케이스(100)에는 셀렉터(1800)의 셀렉터 조작부(1812)가 노출되는 셀렉터 홀(110h, 12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케이스 파트(100B)에 형성된 홀(110h)과 가이드 파트(100C)에 형성된 홀(123)이 서로 연통하여, 셀렉터 홀(110h, 123)이 형성될 수 있다. 셀렉터 홀(110h, 123)은 일측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셀렉터 홀(110h, 123)은 셀렉터 조작부(1812)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에는, 스위칭 부재(1900)를 밀기 위해 코터(1100c)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스위칭 홀(110g, 12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케이스 파트(100A)에 형성된 홀(110g)과 가이드 파트(100C)에 형성된 홀(124)이 서로 연통하여 스위칭 홀(110g, 124)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리저버 푸시 부재(500)의 이동 방향으로 안내하는 푸시 가이드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 가이드부(125)는 버튼 부재(700)의 돌기부(730)가 삽입되는 홀 또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푸시 가이드부(125)의 홀 또는 홈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기부(730)가 상기 홈 또는 홀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푸시 가이드부(125)는 케이스(100)의 가이드 파트(100C)에 형성되고, 돌기부(730)는 버튼 부재(700)의 상부 파트(700A)에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은 도 3의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의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케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상기 약액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바디(20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밸브 플레이트(31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연결 플레이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약액을 저장하는 리저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리저버(400)를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리저버 푸시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락 바(61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락 탄성 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버튼 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약액의 시간당 유량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약액 이송관(800)을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적어도 하나의 실러(90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가압 부재(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코터(110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상기 약액 유로 내의 공기를 걸러내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과 필터(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상기 약액 유로 상에 배치되는 친수성(hydrophilic)의 경계 필터(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필터 스페이서(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지지 슬라이더(160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슬라이더 스프링(1700)을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셀렉터(180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스위칭 부재(1900)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부재(700)는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버튼 부재(700)가 조작될 때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후술할 탄성 부재(SP)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케이스(100)는 서로 결합되는 제1 케이스 파트(100A)와 제2 케이스 파트(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가이드 파트(100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케이스 파트(100A), 제2 케이스 파트(100B) 및 가이드 파트(100C)이 서로 결합되어 케이스(100)를 구성하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 파트(100C)에 형성된 각종 홀과 대응되는 홀이 제1 케이스 파트(100A) 및/또는 제2 케이스 파트(100B)에 대신 형성되고 가이드 파트(100C)없이 케이스(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케이스(100)는 바디(2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실링 플레이트(3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제1 유로 밸브(316)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제2 유로 밸브(318)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리저버(4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리저버 푸시 부재(5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락 바(610) 및 락 탄성 부재(62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가압 부재(10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셀렉터(18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버튼 부재(700)의 조작부(710)를 제외한 구성들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100)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홀(100h)을 형성할 수 있다. 조작부(710)는 홀(100h) 내에서 노출될 수 있다. 코터(1100)는 홀(100h)의 관통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홀(100h)을 가로지르도록 케이스(100)에 삽입 가능하다. 케이스(100)에는 코터(1100)가 삽입되는 홀(100g)이 형성된다.
도 8 및 도 9는 도 6의 구성들 중 일부만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들로서, 도 6과 달리 몇몇 부품들은 서로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도 9의 라인 S1-S1'를 따라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를 자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바디(200)는 복수의 파트(210, 220, 230, 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파트(210, 220, 230, 240)는 서로 조립될 수 있다. 복수의 파트(210, 220, 230, 240)는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서로 조립될 수 있다. 복수의 파트(210, 220, 230, 240)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며 서로 조립될 수 있다.
바디(200)는 상기 약액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 홀(220h)을 형성하는 유로 형성 파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장 홀(220h)은 복수의 연장 홀(220h1, 220h2, 220h3, 220h4)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200)는 밸브 플레이트(31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밸브 지지 파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지지 파트(210) 및 유로 형성 파트(22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바디(200)는 상기 약액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 홀(230h)을 형성하는 연결 파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장 홀(230h)은 복수의 연장 홀(230h1, 230h2, 230h3, 230h4)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200)는 리저버(40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리저버 지지 파트(24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저버 지지 파트(240)는 연결 플레이트(320)의 상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연결 파트(230) 및 리저버 지지 파트(24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유로 형성 파트(220)와 연결 파트(23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310)는 유로 형성 파트(220)의 하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310)는 밸브 지지 파트(210)의 상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 플레이트(310)는 밸브 지지 파트(210) 및 유로 형성 파트(2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320)는 연결 파트(230)의 상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320)는 리저버 지지 파트(240)의 하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320)는 연결 파트(230) 및 리저버 지지 파트(2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 형성 파트(220) 및 밸브 플레이트(310)의 사이에는 유로 형성 파트(220) 및 밸브 플레이트(310)에 의해 구획되는 안내 유로(예를 들어, P1a, P2a, P1e, P2e)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유로 형성 파트(220)는 상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밸브 플레이트(310)의 상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 홈(222)을 형성할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310)가 유로 형성 파트(220)의 유로 홈(222)을 덮음으로써 유로 형성 파트(220) 및 밸브 플레이트(310)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안내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밸브 플레이트(310)는 하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유로 형성 파트(220)의 하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 홈(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유로 형성 파트(220)가 밸브 플레이트(310)의 유로 홈을 덮음으로써 유로 형성 파트(220) 및 밸브 플레이트(310)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안내 유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유로 형성 파트(220) 및 밸브 플레이트(310)의 사이에는 유로 형성 파트(220) 및 밸브 플레이트(310)에 의해 구획되는 안내 유로(예를 들어, P1a, P2a, P1e, P2e)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파트(230) 및 연결 플레이트(320)의 사이에는 연결 파트(230) 및 연결 플레이트(320)에 의해 구획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파트(230)는 하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연결 플레이트(320)의 하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 홈(232)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320)가 연결 파트(230)의 유로 홈(232)을 덮음으로써 연결 파트(230) 및 연결 플레이트(320)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 홈(222)은 밸브 플레이트(310)에 덮여 상기 약액 유로의 일부를 구성한다. 유로 홈(232)은 연결 플레이트(320)에 덮여 상기 약액 유로의 일부를 구성한다.
유로 형성 파트(220)는 밸브 플레이트(310)의 상측면을 향해 돌출되고 밸브 플레이트(310)의 상기 상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유로 가이드 리브(221)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 리브(221)는 유로 홈(222)을 구획한다. 유로 가이드 리브(221)는 밸브 플레이트(310)에 접촉한다. 유로 가이드 리브(221)가 밸브 플레이트(310)를 가압함으로써, 유로 홈(222)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가 더욱 안정적으로 실링될 수 있다.
연결 파트(230)는 연결 플레이트(320)의 하측면을 향해 돌출되고 연결 플레이트(320)의 상기 하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유로 가이드 리브(231)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 리브(231)는 유로 홈(232)을 구획한다. 유로 가이드 리브(231)는 연결 플레이트(320)에 접촉한다. 유로 가이드 리브(231)가 연결 플레이트(320)를 가압함으로써, 유로 홈(232)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가 더욱 안정적으로 실링될 수 있다.
도 9의 확대도(E)를 참고하여, 상기 약액 유로 내에 위치하는 지점들(Qd, Qd1, Qd2, Qu, Qu1, Qu2)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약액 유로의 상류측 시점에 유입구(Qi)가 위치하고, 상기 약액 유로의 하류측 종점에 유출구(Qo)가 위치한다. 분류(分流)점(Qd)은 제1 유로(P1)를 따라 흐르는 약액이 제2 유로(P2)로 분류되는 지점이다. 합류(合流)점(Qu)은 제2 유로(P2)를 따라 흐르는 약액이 제1 유로(P1)로 합류되는 지점이다. 제1 유로(P1) 상에는 분류점(Qd)과 합류점(Qu)의 사이에 제1 분류 안내점(Qd1)이 위치한다. 제2 유로(P2) 상에는 분류점(Qd)과 합류점(Qu)의 사이에 제1 분류 안내점(Qd1)이 위치한다. 제1 유로(P1) 상에는 분류점(Qd)과 합류점(Qu)의 사이에 제1 합류 안내점(Qu1)이 위치한다. 제1 합류 안내점(Qu1)은 제1 유로(P1) 상에서 제1 분류 안내점(Qd1)과 합류점(Qu)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유로(P2) 상에는 분류점(Qd)과 합류점(Qu)의 사이에 제2 합류 안내점(Qu2)이 위치한다. 제2 합류 안내점(Qu2)은 제2 유로(P2) 상에 제2 분류 안내점(Qd2)과 합류점(Qu)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유로 홈(222a)에 분류점(Qd), 제1 분류 안내점(Qd1) 및 제2 분류 안내점(Qd2)이 위치할 수 있다. 유로 홈(222b)에 합류점(Qu), 제1 합류 안내점(Qu1) 및 제2 합류 안내점(Qu2)이 위치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밸브 지지 파트(210)는 제1 유로(P1)의 후술할 유입 유로(P1i)의 일부 및 유출 유로(P1o)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밸브 지지 파트(210)에 유입구(Qi) 및 유출구(Qo)가 형성될 수 있다. 밸브 지지 파트(210)는 유입구(Qi)를 형성하는 유입 연결부(217) 및 유출구(Qo)를 형성하는 유출 연결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지지 파트(210)는 서로 결합하는 필터 바디(210A) 및 필터 캡(210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필터 바디(210A)에 경계 필터(1300)가 배치될 수 있다. 경계 필터(1300)의 일 표면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필터 캡(210B)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밸브 지지 파트(210)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과 필터(1200)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캡(210B)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과 필터(1200)가 고정될 수 있다. 밸브 지지 파트(210)는 상기 약액 유로에서 분기되는 공기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밸브 지지 파트(210)는 상기 공기의 통로가 외부 공간과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벤트 홀(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벤트 홀은 필터 캡(210B)에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캡(210B)은 유입 유로(P1i)에서 분기되는 공기가 유출되는 벤트 홀을 형성하는 유입 필터 캡(210B1)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캡(210B)은 유출 유로(P1o)에서 분기되는 공기가 유출되는 벤트 홀을 형성하는 유출 필터 캡(210B2)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지지 파트(210)에는 상기 약액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 홀(210h)이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유로 홀(210h)은 유입 유로(P1i)의 일부를 구성하는 유입 유로 홀(210h1)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로 홀(210h)은 유출 유로(P1o)의 일부를 구성하는 유출 유로 홀(210h2)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 유로 홀(210h1)의 일단은 유입구(Qi)를 형성하고, 유입 유로 홀(210h1)의 타단은 밸브 플레이트(310)를 마주본다. 유출 유로 홀(210h2)의 일단은 유출구(Qo)를 형성하고, 유출 유로 홀(210h2)의 타단은 밸브 플레이트(310)를 마주본다.
밸브 지지 파트(210)에는 밸브 플레이트(310)의 돌출부(314)가 삽입되는 삽입 홈(214)이 형성된다. 삽입 홈(214)은 밸브 플레이트(310)를 바라보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삽입 홈(214)은 유입 유로 홀(210h1)의 상기 타단이 위치하는 상류 삽입 홈(214a)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 홈(214)은 유출 유로 홀(210h2)의 상기 타단이 위치하는 하류 삽입 홈(214b)을 포함할 수 있다.
유로 형성 파트(220)의 하측면에 밸브 플레이트(310)가 접촉될 수 있다. 유로 형성 파트(220)의 하측에 밸브 지지 파트(210)가 결합될 수 있다. 유로 형성 파트(220)의 상측부에 약액 이송관(800)이 배치될 수 있다. 유로 형성 파트(220)는 약액 이송관(80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유로 형성 파트(220)는 제1 약액 이송관(810)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유로 형성 파트(220)는 제2 약액 이송관(820)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유로 형성 파트(2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 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로 홈(222)은 분류 유로 홈(222a) 및 합류 유로 홈(222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분류 유로 홈(222a)은 밸브 플레이트(310)에 덮여 분류 안내 유로(P1a, P2a)를 구성할 수 있다. 합류 유로 홈(222b)은 밸브 플레이트(310)에 덮여 합류 안내 유로(P1e, P2e)를 구성할 수 있다.
분류 유로 홈(222a)에 분류점(Qd), 제1 분류 안내점(Qd1) 및 제2 분류 안내점(Qd2)이 위치할 수 있다. 분류 유로 홈(222a)은 밸브 플레이트(310)의 상류 연결 홀(310h1)의 관통 방향(상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류 연결 홀(310h1)의 상단은 분류점(Qd)을 마주본다.
합류 유로 홈(222b)에 합류점(Qu), 제1 합류 안내점(Qu1) 및 제2 합류 안내점(Qu2)이 위치할 수 있다. 합류 유로 홈(222b)은 밸브 플레이트(310)의 하류 연결 홀(310h2)의 관통 방향(상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류 연결 홀(310h2)의 상단은 합류점(Qu)을 마주본다.
분류 유로 홈(222a)과 합류 유로 홈(222b)은 서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분류 유로 홈(222a)과 합류 유로 홈(222b)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유로 형성 파트(220)는 밸브 플레이트(310)에 접촉하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유로 가이드 리브(221)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 리브(221)는 분류 유로 홈(222a)을 구획하는 분류 유로 가이드(221a)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 리브(221)는 합류 유로 홈(222b)을 구획하는 합류 유로 가이드(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형성 파트(220)에는 상기 약액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 홀(220h)이 형성된다. 연장 홀(220h)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 홀(220h)의 하단은 유로 홈(222)에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장 홀(220h)은 후술할 제1 상류 연장 유로(P1b)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장 홀(220h1)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 홀(220h1)의 하단은 제1 분류 안내점(Qd1)을 마주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장 홀(220h)은 후술할 제2 상류 연장 유로(P2b)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장 홀(220h2)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 홀(220h2)의 하단은 제2 분류 안내점(Qd2)을 마주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장 홀(220h)은 후술할 제1 하류 연장 유로(P1d)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장 홀(220h3)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 홀(220h3)의 하단은 제1 합류 안내점(Qu1)을 마주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장 홀(220h)은 후술할 제2 하류 연장 유로(P2d)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장 홀(220h4)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 홀(220h4)의 하단은 제2 합류 안내점(Qu2)을 마주볼 수 있다.
연결 파트(230)의 하측부에 약액 이송관(800)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 파트(230)는 약액 이송관(800)의 상단을 지지할 수 있다. 연결 파트(230)는 제1 약액 이송관(810)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다. 연결 파트(230)는 제2 약액 이송관(820)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다.
연결 파트(230)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 홈(232)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로 홈(232)은 유입 유로 홈(232a), 유출 유로 홈(232b) 및 연결 유로 홈(232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유로 홈(232a)은 연결 플레이트(320)에 덮여 리저버 유입 유로(P2ci)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유출 유로 홈(232b)은 연결 플레이트(320)에 덮여 리저버 유출 유로(P2co)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연결 유로 홈(232c)은 연결 플레이트(320)에 덮여 제1 연결 안내 유로(P1c)를 구성할 수 있다.
유입 유로 홈(232a)은 연결 플레이트(320)의 연결 홀(320h1)의 관통 방향(상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 홀(320h1)의 하단은 유입 유로 홈(232a)을 마주본다.
유출 유로 홈(232b)은 연결 플레이트(320)의 연결 홀(320h2)의 관통 방향(상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 홀(320h2)의 하단은 유출 유로 홈(232b)을 마주본다.
연결 플레이트(320)의 하측면은 연결 유로 홈(232c)을 덮어줄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320)는 연결 유로 홈(232c)의 전체를 덮어주어, 연결 유로 홈(232c)은 상측으로 연결된 유로가 없도록 만들 수 있다.
유입 유로 홈(232a)과 유출 유로 홈(232b)은 서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유입 유로 홈(232a), 유출 유로 홈(232b) 및 연결 유로 홈(232c)은 서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연결 파트(230)는 연결 플레이트(320)에 접촉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유로 가이드 리브(231)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 리브(231)는 유입 유로 홈(232a)을 구획하는 유입 유로 가이드(231a)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 리브(231)는 유출 유로 홈(232b)을 구획하는 유출 유로 가이드(231b)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 리브(231)는 연결 유로 홈(232c)을 구획하는 연결 유로 가이드(231c)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파트(230)에는 상기 약액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 홀(230h)이 형성된다. 연장 홀(230h)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 홀(230h)의 상단은 유로 홈(232)에 위치한다.
적어도 하나의 연장 홀(230h)은 후술할 제1 상류 연장 유로(P1b)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장 홀(230h1)과, 후술할 제2 상류 연장 유로(P2b)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장 홀(230h2)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 홀(230h1)의 상단 및 연장 홀(230h2)의 상단은 연결 유로 홈(232c)에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장 홀(230h)은 후술할 제1 하류 연장 유로(P1d)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장 홀(230h3)과, 후술할 제2 하류 연장 유로(P2d)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장 홀(230h4)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 홀(230h3)의 상단은 유입 유로 홈(232a)에 위치할 수 있다. 연장 홀(230h4)의 상단은 유출 유로 홈(232b)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상류 연장 유로(P1b)는 유로 형성 파트(220)의 연장 홀(220h1), 제1 약액 이송관(810)의 모세 유로(810p) 및 연결 파트(230)의 연장 홀(230h1)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류 연장 유로(P2b)는 유로 형성 파트(220)의 연장 홀(220h2), 제2 약액 이송관(820)의 모세 유로(820p) 및 연결 파트(230)의 연장 홀(230h2)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류 연장 유로(P1d)는 연결 파트(230)의 연장 홀(230h3) 및 유로 형성 파트(220)의 연장 홀(220h3)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류 연장 유로(P1d)는 연결 파트(230)의 연장 홀(230h4) 및 유로 형성 파트(220)의 연장 홀(220h4)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유로 형성 파트(220) 및 연결 파트(230)의 적어도 하나는 약액 이송관(800)이 안착되는 이송관 안착부(238a, 238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관 안착부(238a, 238b)는 제1 약액 이송관(810)이 안착되는 제1 이송관 안착부(238a)와, 제2 약액 이송관(820)이 안착되는 제2 이송관 안착부(238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관 안착부(238a, 238b)는 약액 이송관(800)이 삽입되는 홀을 형성할 수 있고, 약액 이송관(800)이 삽입되는 상기 홀은 상술한 연장 홀과 연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파트(230)에 이송관 안착부(238a, 238b)가 형성되고, 제1 이송관 안착부(238a)의 홀에 연장 홀(230h1)이 연통되고, 제2 이송관 안착부(238b)의 홀에 연장 홀(230h2)이 연통된다.
유로 형성 파트(220) 및 연결 파트(230)의 적어도 하나는 상술한 연장 홀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시키는 유로 형성부(239a, 239b)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형성부(239a, 239b)는 이송관 안착부(238a)와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로 형성부(239a, 239b)는 연결 파트(230)에 형성되고, 제1 유로 형성부(239a)는 연장 홀(230h1)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제2 유로 형성부(239b)는 연장 홀(230h4)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시킨다.
연결 파트(230)에는 돌출부(324)가 삽입되는 리브 홈(233)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파트(230)에는 돌출부(324a)가 삽입되는 리브 홈(233a)과, 돌출부(324b)가 삽입되는 리브 홈(233b)이 형성될 수 있다. 리브 홈(233)은 유로 가이드 리브(23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리브 홈(233)은 하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유로 형성 파트(220)와 연결 파트(230)의 사이에 실러(900)가 끼여서 배치될 수 있다. 유로 형성 파트(220)와 연결 파트(230)는 내부에 약액 이송관(800)이 배치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리저버 지지 파트(240)는 후술할 제2 연결 안내 유로(P2c)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리저버 지지 파트(240)에 연결 홀(240h)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홀(240h)은 리저버 지지 파트(240)를 상하로 관통할 수 있다. 연결 홀(240h)은 리저버 지지 파트(24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홀(240h)은 유입 연결 홀(240h1)과 유출 연결 홀(240h2)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 연결 홀(240h1) 및 유출 연결 홀(240h2)은 제2 유로(P2)의 일부를 구성한다.
리저버 지지 파트(240)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저버 지지 파트(240)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저버 지지 파트(240)에는 상측 돌출부(326)이 삽입되는 홈(246)이 형성될 수 있다. 홈(246)은 상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약액 유로는 밸브 플레이트(310)를 관통할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310)에는 유로 홈(222)에 연결되고 상기 약액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결 홀(310h)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홀(310h)은 밸브 플레이트(310)를 상하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약액 유로는 연결 플레이트(320)를 관통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320)에는 유로 홈(232)에 연결되고 상기 약액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결 홀(320h)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홀(320h)은 연결 플레이트(320)를 상하로 관통할 수 있다.
밸브 지지 파트(210)의 유로 홀(210h)과, 밸브 플레이트(310)의 연결 홀(310h)과, 유로 형성 파트(220) 및 밸브 플레이트(310)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안내 유로는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약액 유로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유로 형성 파트(220)의 연장 홀(220h)과, 상기 안내 유로가 연결되어 상기 약액 유로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리저버 지지 파트(240)의 연결 홀(240h)과, 연결 플레이트(320)의 연결 홀(320h)과, 연결 파트(230) 및 연결 플레이트(320)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유로는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약액 유로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파트(230)의 연장 홀(230h)과, 연결 파트(230) 및 연결 플레이트(320)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유로가 연결되어 상기 약액 유로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310)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310)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310)의 재질은 유로 형성 파트(220)의 재질보다 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밸브 플레이트(310)의 재질은 밸브 지지 파트(210)의 재질보다 더 플렉서블한 재질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더 플렉서블하다'는 것의 의미는 '탄성계수가 더 작다'는 의미이다. 본 실시예에서, 유로 형성 파트(220) 및 밸브 지지 파트(210)의 재질은 합성수지를 포함하고, 밸브 플레이트(310)의 재질은 고무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다.
밸브 플레이트(310)는 유로 형성 파트(220)에 접촉되는 커버면(311)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310)는 밸브 지지 파트(210)에 접촉되는 보조 커버면(312)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면(311)은 상측면을 형성하고, 보조 커버면(312)은 하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310)에는 분류 유로 홈(222a)에 연결되는 상류 연결 홀(310h1)과, 합류 유로 홈(222b)에 연결되는 하류 연결 홀(310h2)이 형성될 수 있다. 밸브 지지 파트(210)의 유입 유로 홀(210h1)과 상류 연결 홀(310h1)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유입 유로(P1i)가 형성될 수 있다(도 10 참고). 하류 연결 홀(310h2)과 밸브 지지 파트(210)의 유출 유로 홀(210h2)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유출 유로(P1o)를 형성할 수 있다(도 10 참고).
밸브 플레이트(310)는 보조 커버면(312)에서 밸브 지지 파트(210)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14)의 하단에 연결 홀(310h)의 하단이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4)는 상류 연결 홀(310h1)에 대응되는 상류 돌출부(314a)와, 하류 연결 홀(310h2)에 대응되는 하류 돌출부(314b)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310)는 유로 가이드 리브(221)를 둘러싸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실링 리브(315)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리브(315)는 합류 유로 가이드(221b)를 둘러쌀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310)는 분류 유로 가이드(221a)를 둘러싸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실링 리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형성 파트(220)의 하측면에는 상측으로 함몰되어 실링 리브(315)가 삽입되는 실링 홈(224)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320)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320)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320)의 재질은 연결 파트(230)의 재질보다 더 플렉서블한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연결 플레이트(320)의 재질은 리저버 지지 파트(240)의 재질보다 더 플렉서블한 재질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파트(230) 및 리저버 지지 파트(240)의 재질은 합성수지를 포함하고, 연결 플레이트(320)의 재질은 고무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다.
연결 플레이트(320)는 연결 파트(230)에 접촉되는 커버면(321)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320)는 리저버 지지 파트(240)에 접촉되는 보조 커버면(322)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면(321)은 하측면을 형성하고, 보조 커버면(312)은 상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320)에는 제2 유로(P2)의 일부를 구성하며 리저버 지지 파트(240)의 유입 연결 홀(240h1)에 연결되는 제1 연결 홀(320h1)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320)에는 제2 유로(P2)의 일부를 구성하며 리저버 지지 파트(240)의 유출 연결 홀(240h2)에 연결되는 제2 연결 홀(320h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 홀(320h1)의 하단은 연결 파트(230)의 유입 유로 홈(232a)을 마주보고, 제2 연결 홀(320h2)의 하단은 연결 파트(230)의 유출 유로 홈(232b)을 마주볼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320)는 유로 가이드 리브(231)를 둘러싸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24)를 포함할 수 잇다. 돌출부(324)는, 유입 유로 가이드(231a) 및 유출 유로 가이드(231b)를 둘러싸는 돌출부(324a)와, 연결 유로 가이드(231c)를 둘러싸는 돌출부(324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320)는 상측으로 돌출되고 연결 홀(320h)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상측 돌출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리저버 어셈블리(A400)는 리저버(400)와 리저버 지지 파트(240)의 조립체를 포함하는 부품이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리저버 어셈블리(A40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저버(reservoir)(400)는 약액을 저장하는 내부 공간(400s)을 형성한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에서 리저버(400)의 내부 공간(400s)은 상기 약액 유로 상에 위치한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에서 리저버(400)의 내부 공간(400s)은 제2 유로(P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리저버(400)는 내부 공간(400s)의 볼륨(volume)이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리저버(400)의 내부 공간(400s)의 볼륨이 커지면서 약액을 저장하고, 리저버(400)의 내부 공간(400s)의 볼륨이 작아지면서 저장된 약액을 유출시킬 수 있다.
리저버(400)는 서로 결합되는 상측의 제1 필름(410)과 하측의 제2 필름(4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름(410)과 제2 필름(420)은 각각 PVC(폴리염화비닐) 필름일 수 있다. 제1 필름(410)과 제2 필름(420)은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하로 결합하여, 제1 필름(410)과 제2 필름(420)의 사이에 내부 공간(400s)을 형성할 수 있다.
리저버(400)의 외표면의 일 부분(421)에 내부 공간(400s)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420h)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홀(420h)은 유입 홀(420h1) 및 유출 홀(420h2)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 홀(420h1)은 리저버 유입 유로(P2ci)의 일부를 구성하고, 유출 홀(420h2)은 리저버 유출 유로(P2co)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리저버(400)의 상기 일 부분(421)은 리저버 지지 파트(24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 부분(421)은 리저버(40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일 부분(421)은 리저버(400)의 하측면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일 부분(421)은 제2 필름(420)에 위치할 수 있다.
리저버 지지 파트(240)는 리저버(4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리저버(400)는 리저버 지지 파트(240)의 상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리저버 지지 파트(240)의 상측면은 상측으로 볼록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리저버(400)의 상기 일 부분(421)은 리저버 지지 파트(240)의 상측면의 일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리저버 지지 파트(240)의 상기 일 부분은 리저버 지지 파트(24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리저버(400)의 상기 일 부분(421)은 리저버(400)의 하측면의 중앙에 위치하고, 리저버 지지 파트(240)의 상기 볼록한 표면은 리저버(400)의 상기 중앙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리저버 지지 파트(240)에는 상기 약액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며 리저버(400)의 유입 홀(420h1)에 연결되는 유입 연결 홀(240h1)이 형성될 수 있다. 리저버 지지 파트(240)에는 상기 약액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며 유출 홀(420h2)에 연결되는 유출 연결 홀(240h2)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 연결 홀(240h1)은 리저버 유입 유로(P2ci)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유입 연결 홀(240h1)은 리저버(400)의 유입 홀(420h1)에 연결될 수 있다. 유입 홀(420h1) 및 유입 연결 홀(240h1)은 상하로 연결될 수 있다. 유입 연결 홀(240h1)은 연결 플레이트(320)의 제1 연결 홀(320h1)에 연결될 수 있다. 유입 연결 홀(240h1) 및 제1 연결 홀(320h1)은 상하로 연결될 수 있다.
유출 연결 홀(240h2)은 리저버 유출 유로(P2co)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유출 연결 홀(240h2)은 리저버(400)의 유출 홀(420h2)에 연결될 수 있다. 유출 홀(420h2) 및 유출 연결 홀(240h2)은 상하로 연결될 수 있다. 유출 연결 홀(240h2)은 연결 플레이트(320)의 제2 연결 홀(320h2)에 연결될 수 있다. 유출 연결 홀(240h2) 및 제2 연결 홀(320h2)은 상하로 연결될 수 있다.
리저버 푸시 부재(500)는 리저버(400)를 가압 가능하게 구성된다. 리저버 푸시 부재(500)는 리저버(4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리저버 푸시 부재(500)는 리저버(400)를 하측으로 가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리저버 푸시 부재(500)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리저버(400)는 리저버 푸시 부재(500)와 리저버 지지 파트(240)의 사이에서 눌림으로써, 리저버(400)의 내부 공간(400s)의 약액이 리저버(40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리저버 푸시 부재(500)는 어퍼 플레이트(510)와 리저버 가압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저버 푸시 부재(500)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드 돌기(516)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돌기(516)는 리저버 푸시 부재(500)의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510)는 리저버 가압부(52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510)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510)는 리저버 가압부(520)의 상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면(511)과, 가압 부재(1000)에 의해 가압되는 누름면(512)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510)는 결합면(51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리저버 가압부(520)의 가장자리에 접촉되는 측면 가이드(513)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돌기(516)는 어퍼 플레이트(510)에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돌기(516)는 지지 슬라이더(16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구성된다.
리저버 가압부(520)는 리저버(400)를 가압하는 하측면을 포함한다. 리저버 가압부(520)는 어퍼 플레이트(510)보다 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어퍼 플레이트(510)의 재질은 합성수지를 포함하고, 리저버 가압부(520)의 재질은 고무 또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락 바(610)는 케이스(1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락 탄성 부재(620)는 락 바(610)를 상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락 탄성 부재(620)는 락 바(610)가 하측으로 이동 할 때 탄성 변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락 탄성 부재(620)는 바디(200)에 배치될 수 있다. 락 탄성 부재(620)는 락 바(610)를 지지할 수 있다.
락 탄성 부재(620)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알려진 다양한 방식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락 탄성 부재(620)는 압축 스프링, 에어 스프링 등 다양한 방식의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고, 고무 등의 재질로 탄성 압축되게 구성된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버튼 부재(700)는 하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버튼 부재(7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버튼 부재(700)는 리저버 푸시 부재(50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버튼 부재(700)는 가압 부재(1000)의 상단을 하측으로 가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버튼 부재(700)의 조작부(710)를 하측으로 누르면, 버튼 부재(700)가 가압 부재(1000)를 하측으로 누르고, 가압 부재(1000)가 리저버 푸시 부재(500)를 하측으로 누른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버튼 부재(700)는 리저버 푸시 부재(50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가능하되, 리저버 푸시 부재(500)를 하측으로 가압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버튼 부재(700)의 조작부(710)를 하측으로 누르면, 버튼 부재(700)가 직접 리저버 푸시 부재(500)를 하측으로 누를 수 있다.
버튼 부재(700)는 지지 슬라이더(1600)의 상측을 덮어주는 상면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부재(700)는 상면부(720)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조작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 부재(1000)는 버튼 부재(700)와 리저버 푸시 부재(500) 사이에 배치된다. 가압 부재(1000)는 리저버 푸시 부재(500)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 부재(1000)는, 상단이 버튼 부재(700)에 의해 하측으로 눌릴 때 상하 방향으로 압축 탄성 변형하면서 하단이 리저버 푸시 부재(500)를 하측으로 누르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가압 부재(1000)는 버튼 부재(700)가 조작될 때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가압 부재(1000)는 리저버 푸시 부재(500)와 버튼 부재(700)가 서로 가까워질 때 탄성 변형하도록 구성된다. 가압 부재(1000)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알려진 다양한 방식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부재(1000)는 압축 스프링, 토크 스프링, 에어 스프링 등 다양한 방식의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고, 고무 등의 재질로 탄성 압축되게 구성된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 부재는 스프링 등이 아닌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되고, 버튼 부재와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여 리저버 푸시 부재(500)를 하측으로 누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버튼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상기 약액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모세 유로(810p, 820p)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약액 이송관(800)을 포함할 수 있다. 약액 이송관(800)은 바디(200)에 결합된다. 약액 이송관(800)은 약액의 시간당 유량을 제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약액 이송관(800)은 모세관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약액 이송관(800)은 고분자 마이크로튜브(microtube)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약액 이송관(800)은 모세 유로를 가지는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세 유로(820p)는 약 0.04 내지 0.08 mm의 직경을 가짐으로써 시간당 약액의 유량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약액 이송관(800)은 제1 유로(P1)의 일부를 구성하는 모세 유로(810p)를 형성하는 제1 약액 이송관(8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약액 이송관(810)은 복수의 파트(210, 220, 230, 2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세 유로(810p)는 제1 상류 연장 유로(P1b)의 일부를 구성하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모세 유로(810p)는 제1 하류 연장 유로(P1d)의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약액 이송관(800)은 제2 유로(P2)의 일부를 구성하는 모세 유로(820p)를 형성하는 제2 약액 이송관(8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약액 이송관(820)은 복수의 파트(210, 220, 230, 2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세 유로(820p)는 제2 상류 연장 유로(P2b)의 일부를 구성하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모세 유로(820p)는 제2 하류 연장 유로(P2d)의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약액 이송관(800)의 적어도 일부는 바디(200)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약액 이송관(800)은 실러(910)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실러(900)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러(900)는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러(900)는 유로 형성 파트(220)와 연결 파트(230)의 사이에 끼여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러(900)는 약액 이송관(800)의 외측면과 하우징(81)의 내측면 사이에 끼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관 실러(9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관 실러(910)는 약액이 약액 이송관(800)의 외측면 및 바디(200)의 내측면 사이로 흘러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송관 실러(910)는 약액 이송관(800)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송관 실러(910)는 제1 약액 이송관(810)의 외측면과 바디(200)의 내측면 사이에 끼여 배치되는 제1 이송관 실러(911)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송관 실러(910)는 제2 약액 이송관(820)의 외측면과 바디(200)의 내측면 사이에 끼여 배치되는 제2 이송관 실러(912)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러(900)는 서로 결합하는 2개의 파트(220, 230) 사이에 끼여, 2개의 파트(220, 230) 사이에 약액의 유출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실러(9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실러(930)는 상기 약액 유로 중 약액 이송관(800)이 배치되지 않는 부분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 실러(930)는 서로 결합하는 2개의 파트(220, 23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하류 연장 유로(P1d)에 배치되는 제1 연결 실러(931)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 실러(930)는 서로 결합하는 2개의 파트(220, 230)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하류 연장 유로(P2d)에 배치되는 제2 연결 실러(932)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소수성(hydrophobic)의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과 필터(120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통과 필터(1200)는 약액의 통과를 차단하되 공기를 통과시킨다. 공기 통과 필터(1200)는 필터 지지 파트(210)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지지 파트(210)는 유입 유로(P1i)에서 분기되는 공기의 통로(R1)를 형성할 수 있다(도 11 참고). 필터 지지 파트(210)는 유출 유로(P1o)에서 분기되는 공기의 통로(R2)를 형성할 수 있다(도 12 참고). 도 11의 화살표 A1은 통로(R1)를 따라 공기가 통과하는 방향을 도시하고, 도 12의 화살표 A2는 통로(R2)를 따라 공기가 통과하는 방향을 도시한다.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과 필터(1200)는 제1 유로(P1) 상에서 분류점(Qd)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류 공기 통과 필터(120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류 공기 통과 필터(1200A)는 제1 유로(P1)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류 공기 통과 필터(1200A)는 공기의 통로(R1)와 유입 유로(P1i)의 경계에 배치되는 제1 공기 통과 필터(1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류 공기 통과 필터(1200A)는 공기 통로(R1) 상에 배치되는 제2 공기 통과 필터(1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과 필터(1200)는 제1 유로(P1) 상에서 합류점(Qu)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 공기 통과 필터(1200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류 공기 통과 필터(1200B)는 제1 유로(P1)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류 공기 통과 필터(1200B)는 공기의 통로(R2)와 유출 유로(P1o)의 경계에 배치되는 제1 공기 통과 필터(1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류 공기 통과 필터(1200A)는 공기 통로(R2) 상에 배치되는 제2 공기 통과 필터(1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통과 필터(1200)는 공기의 통로(R1, R2) 상에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공기 통과 필터(1210) 및 제2 공기 통과 필터(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기 통과 필터(1220)는 제1 공기 통과 필터(1210)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제2 공기 통과 필터(1220)는 제1 공기 통과 필터(1210)의 기공이나 접착 부위 등이 손상된 경우에도 내부의 약액이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공기 통과 필터(1220)는 제1 공기 통과 필터(1210)와 동일 재질이거나, 다공질의 플라스틱 소재가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공기 통과 필터(1220)는 소수성의 다공질의 플라스틱 수지 재료가 공기의 통로(R1, R2)의 일부의 단면적을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공기 통과 필터(1220)의 재료는 미국 조지아주 페어번(Fairburn, GA 30213) 소재의 포렉스코포레이션(Porex Corporation)(웹사이트:www.porex.com)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상기 포렉스코포레이션의 포렉스 하이드로포빅 벤트(Porex Hydrophobic Vents)라는 이름으로 나오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제품은 폴리에틸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ethyl polytetrafluoroethylene)의 재료로 만든 것이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상기 약액 유로 상에 배치되는 친수성(hydrophilic)의 적어도 하나의 경계 필터(1300)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계 필터(1300)는 상기 약액 유로를 가로지르며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경계 필터(1300)는 유입 유로(P1i) 상에서 상류 공기 통과 필터(1200A)와 분류점(Qd) 사이에 배치되는 상류 경계 필터(1300A)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경계 필터(1300)는 유출 유로(P1o) 상에서 유출구(Qo)와 하류 공기 통과 필터(1200B) 사이에 배치되는 하류 경계 필터(1300B)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계 필터(1300)는 약액이 적셔진 경우 경계 필터(1300)를 기준으로 상류측의 유로 부분과 하류측의 유로 부분의 압력 경계면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경계 필터(1300)에 의해 상기 상류측의 유로 부분과 상기 하류측의 유로 부분이 서로 다른 내부 압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계 필터(1300)는 그물망 구조 및 화이버(fiber) 구조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경계 필터(1300)는 불순물을 필터링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가질 수 있다.
필터 스페이서(1400)는 필터 캡(210B)의 상기 공기의 통로를 구획하는 내측면과 공기 통과 필터(1200)를 이격시킬 수 있다. 필터 스페이서(1400)는 필터 캡(210B)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1은 도 9의 라인 S2-S2'를 따라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라인 S3-S3'을 따라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라인 S4-S4'를 따라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제1 유로(P1)는 유입 유로(P1i), 제1 분류 안내 유로(P1a), 제1 상류 연장 유로(P1b), 제1 연결 안내 유로(P1c), 제1 하류 연장 유로(P1d), 제1 합류 안내 유로(P1e) 및 유출 유로(P1o)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모세 유로(810p)는 제1 상류 연장 유로(P1b)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유로(P2)는 제2 분류 안내 유로(P2a), 제2 상류 연장 유로(P2b), 리저버 유입 유로(P2ci), 리저버(400)의 내부 공간(400s), 리저버 유출 유로(P2co), 제2 하류 연장 유로(P2d) 및 제2 합류 안내 유로(P2e)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모세 유로(820p)는 제2 상류 연장 유로(P2b)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유입 유로(P1i)는 유입구(Qi)로부터 분류점(Qd)까지의 유로 구간이다. 약액은 유입 유로(P1i)를 따라 흐른 후(화살표 Hi 참고), 분류점(Qd)에서 분류(分流)되어 분류 안내 유로(P1a, P2a)를 따라 흐른다. 제1 분류 안내 유로(P1a)는 분류점(Qd)으로부터 제1 분류 안내점(Qd1)까지의 유로 구간이다. 약액은 제1 분류 안내 유로(P1a)를 따라 흐른 후, 제1 상류 연장 유로(P1b)를 따라 흐른다(화살표 H11 참고). 또한, 제2 분류 안내 유로(P2a)는 분류점(Qd)으로부터 제2 분류 안내점(Qd2)까지의 유로 구간이다. 약액은 제2 분류 안내 유로(P2a)를 따라 흐른 후, 제2 상류 연장 유로(P2b)를 따라 흐른다(화살표 H21 참고).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여, 제1 연결 안내 유로(P1c)는 제1 상류 연장 유로(P1b)의 하류측 말단과 제1 하류 연장 유로(P1d)의 상류측 말단을 연결할 수 있다. 약액은 순차적으로 제1 상류 연장 유로(P1b) 및 제1 연결 안내 유로(P1c)를 따라 흐른 후, 제1 하류 연장 유로(P1d)를 따라 흐른다(화살표 H13).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여, 제2 연결 안내 유로(P2c)는 제2 상류 연장 유로(P2b)의 하류측 말단과 제2 하류 연장 유로(P2d)의 하류측 말단을 연결할 수 있다. 약액은 순차적으로 제2 상류 연장 유로(P2b) 및 제2 연결 안내 유로(P2c)를 따라 흐른 후, 제2 하류 연장 유로(P2d)를 따라 흐른다(화살표 H24).
도 13을 참고하여, 리저버 유입 유로(P2ci)는 연결 파트(230)의 유입 유로 홈(232a), 연결 플레이트(320)의 제1 연결 홀(320h1), 리저버 지지 파트(240)의 유입 연결 홀(240h1) 및 리저버(400)의 유입 홀(420h1)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여, 리저버 유출 유로(P2co)는 리저버(400)의 유출 홀(420h2), 리저버 지지 파트(240)의 유출 연결 홀(240h2), 연결 플레이트(320)의 제2 연결 홀(320h2) 및 연결 파트(230)의 유출 유로 홈(232b)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리저버(400)의 내부 공간(400s) 내의 약액은 리저버 유출 유로(P2co)를 따라 흐른 후(화살표 H23 참고), 제2 하류 연장 유로(P2d)를 따라 흐른다(화살표 H24 참고).
도 12를 참고하여, 분류 안내 유로(P1a, P2a)에 의해 분류된 약액은 합류 안내 유로(P1e, P2e)를 통해 합류(合流)되어, 유출 유로(P1o)를 따라 흐른다(화살표 Ho 참고). 제1 합류 안내 유로(P1e)는 제1 합류 안내점(Qu1)으로부터 합류점(Qu)까지의 유로 구간이다. 약액은 제1 하류 연장 유로(P1d)를 따라 흐른 후(화살표 H13 참고), 제1 합류 안내 유로(P1e)를 따라 흐른다. 또한, 제2 합류 안내 유로(P2e)는 제2 합류 안내점(Qu2)으로부터 합류점(Qu)까지의 유로 구간이다. 약액은 제2 하류 연장 유로(P2d)를 따라 흐른 후(화살표 H24 참고), 제2 합류 안내 유로(P2e)를 따라 흐른다. 유출 유로(P1o)는 합류점(Qu)으로부터 유출구(Qo)까지의 유로 구간이다. 약액은 합류 안내 유로(P1e, P2e)를 따라 흐른 후, 유출 유로(P1o)를 따라 흐른다(화살표 Ho 참고).
도 14 및 도 15는 도 6의 버튼 부재(700), 리저버 푸시 부재(500), 가압 부재(1000), 지지 슬라이더(1600) 및 슬라이더 스프링(1700)의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16 내지 도 20는 버튼 부재(700), 리저버 푸시 부재(500), 가압 부재(1000), 지지 슬라이더(1600) 및 슬라이더 스프링(1700)의 작동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도 15의 라인 S5-S5'를 따라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을 자른 부분 종단면도들이다. 도 21은 도 17의 라인 S6-S6'을 따라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라인 S7-S7'을 따라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를 자른 단면도이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중심축(X)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을 '원주 방향'이라 정의하고, 중심축(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반경 외측 방향'으로 정의하며, 중심축(X)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반경 내측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22을 참고하여,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버튼 부재(700)가 하강을 완료한 이후에도 탄성 압축된 가압 부재(1000)가 리저버 푸시 부재(500)를 하측으로 하강시키도록 밀어주게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리저버(400) 내의 약액이 모두 유출될 때까지 버튼 부재(700)를 계속해서 누르지 않아도, 가압 부재(1000)가 리저버 푸시 부재(500)를 리저버(400) 내의 약액이 모두 유출될 때까지 눌러주게 된다. 코터(1100a)는 버튼 부재(700)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케이스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도 3 참고).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리저버(400), 버튼 부재(700), 지지 슬라이더(1600), 슬라이더 스프링(1700), 가압 부재(1000), 리저버 푸시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에는 지지 슬라이더(1600)의 걸림 돌기(1610)가 삽입 가능한 걸림 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 홈(121)은 가이드 파트(100C)에 형성된다. 걸림 홈(121)에 걸림 돌기(1610)가 걸림될 수 있다. 복수의 걸림 돌기(1610)에 대응하는 복수의 걸림 홈(121)이 가이드 파트(100C)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파트(100C)는 버튼 부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파트(100C)는 리저버 푸시 부재(50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파트(100C)는 버튼 부재(70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파트(100C)는 리저버 푸시 부재(50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 슬라이더(1600)는 버튼 부재(700)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슬라이더(1600)는 버튼 부재(700)와 함께 상하 이동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 슬라이더(160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슬라이더(1600)는 상하 방향을 가로지르는 걸림 방향(G1)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1610)를 포함할 수 있다(도 21 참고). 본 개시에서 해제 방향(G2)은 걸림 방향(G1)의 반대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도 22 참고). 복수의 걸림 돌기(1610)를 가진 지지 슬라이더(1600)의 경우, 각각의 걸림 돌기에 대응하는 걸림 방향(G1) 및 해제 방향(G2)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 방향(G1)은 반경 외측 방향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상기 걸림 방향은 반경 외측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버튼 부재(70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 도달할 때 걸림 돌기(1610)가 걸림 홈(121)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17 및 도 21 참고). 지지 슬라이더(1600)는 걸림 돌기(1610)가 걸림 홈(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걸림되도록 구성된다. 버튼 부재(700)에 지지 슬라이더(1600)가 배치되므로, 버튼 부재(700) 및 지지 슬라이더(1600)는 걸림 돌기(1610)가 걸림 홈(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걸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 슬라이더(1600)는 해제 방향(G2)으로 슬라이드 돌기(516)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1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1630)는 해제 방향(G2)으로 슬라이드 돌기(516)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접촉부(1630)의 상기 접촉면은 슬라이드 돌기(516)에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드 돌기(516)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 슬라이더(1600)는 걸림 돌기(1610)와 대응하는 접촉부(1630)를 서로 연결하며 연장되는 연결 연장부(1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연장부(1620)는 걸림 방향(G1)으로 압축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슬라이더(1600)가 소정의 위치로 하강하지 않아 걸림 돌기(1610)가 걸림 홈(121)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연결 연장부(1620)가 걸림 방향(G1)으로 압축 탄성 변형하며, 접촉부(1630)가 지지 슬라이더(1600)의 제1 부분(516a)에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연장부(1620)는 탄성 변형할 수 있도록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 슬라이더(1600)는 슬라이더 스프링(1700)이 걸림되도록 돌출된 스프링 걸림부(16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걸림부(1650)는 접촉부(1630)의 반경 외측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걸림부(1650)에 슬라이더 스프링(1700)이 걸림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슬라이더는 리저버 푸시 부재(500)의 슬라이드 돌기(516)를 중심으로 각각의 걸림 방향(G1)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걸림 동작부(1600a, 1600b, 1600c)를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걸림 동작부만 가질 수도 있다.
복수의 걸림 동작부(1600a, 1600b, 1600c)는 각각 걸림 돌기(1610), 접촉부(1630) 및 연결 연장부(16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걸림 동작부(1600a, 1600b, 1600c)는 각각 스프링 걸림부(16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걸림 동작부(1600a, 1600b, 1600c)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지지 슬라이더(1600)는, 복수의 걸림 동작부(1600a, 1600b, 1600c) 중 서로 인접한 어느 2개를 연결하며 연장되는 탄성 연결부(164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연결부(1640)는 서로 인접한 2개의 접촉부(1630)를 연결하면 연장될 수 있다. 탄성 연결부(1640)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걸림 동작부(1600a, 1600b, 1600c)의 복수의 접촉부(1630)가 반경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인접한 2개의 접촉부(1630)가 원주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탄성 연결부(1640)가 원주 방향으로 짧아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걸림 동작부(1600a, 1600b, 1600c)의 복수의 접촉부(1630)가 반경 외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인접한 2개의 접촉부(1630)가 원주 방향으로 멀어지도록 탄성 연결부(1640)가 원주 방향으로 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연장부(1620)는 탄성 변형할 수 있도록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 스프링(1700)은 접촉부(1630)를 해제 방향(G2)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촉부(1630)는 슬라이드 돌기(516)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슬라이더 스프링(1700)은 지지 슬라이더(1600)의 스프링 걸림부(1650)에 걸림될 수 있다. 슬라이더 스프링(1700)은 접촉부(1630)의 반경 외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 스프링(1700)은 예를 들어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 스프링(1700)은 반경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 접촉부(1630)에 반경 내측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더 스프링(1700)은 C형 스프링이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탄성력을 발휘하는 알려진 다양한 방식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 스프링(1700)는 압축 스프링, 인장 스프링, 토크 스프링, 에어 스프링 등 다양한 방식의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고, 고무 등의 재질로 탄성 압축되게 구성된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버튼 부재(700)의 내부에 지지 슬라이더(1600) 및 슬라이더 스프링(1700)이 배치될 수 있다. 버튼 부재(700)는 가압 부재(1000)의 상단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하부 파트(700B)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부재(700)는 하부 파트(700B)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파트(700A)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파트(700B)는 지지 슬라이더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슬라이더(1600)는 버튼 부재(700)의 상부 파트(700A)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파트(700A) 및 하부 파트(700B)의 사이에 지지 슬라이더(1600)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파트(700B)에는 리저버 푸시 부재(500)의 슬라이드 돌기(516)가 삽입되는 홀(700h)이 형성될 수 있다. 홀(700h)은 하부 파트(700B)의 중앙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슬라이드 돌기(516) 중 홀(700h)을 통해 하면 파트(700B)의 상측으로 통과한 부분이 지지 슬라이더(1600)의 접촉부(1630)에 접촉될 수 있다.
가압 부재(1000)는, 걸림 돌기(1610)가 걸림 홈(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면서 탄성 복원하여 리저버 푸시 부재(500)를 하측으로 누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압 부재(1000)가 리저버 푸시 부재(500)를 누르는 탄성 복원력(도 18 및 도 19의 화살표 F 참고)를 기설정하도록 가압 부재(1000)의 탄성 계수를 기설정함으로써, 리저버(400) 내부로부터 약액이 유출되는 속도를 기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저버 푸시 부재(500)는 버튼 부재(700)와의 접촉 없이 가압 부재(1000)에 의해 하측으로 눌려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저버 푸시 부재(500)의 누름면(512)은 버튼 부재(700)가 아닌 가압 부재(1000)에 의해 눌릴 수 있다.
슬라이드 돌기(516)는, 슬라이드 돌기(516)의 하부를 구성하는 제1 부분(516a)과, 슬라이드 돌기(516)의 상부를 구성하는 제2 부분(51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516a)은 접촉부(1630)에 접촉 가능한 접촉면을 가진다. 제2 부분(516b)은 접촉부(1630)에 접촉 가능한 접촉면을 가진다
제1 부분(516a)의 상기 접촉면은 제2 부분(516b)의 상기 접촉면을 기준으로 걸림 방향(G1) 측에 위치한다(도 17 및 도 21 참조). 본 실시예에서, 제1 부분(516a)의 둘레면의 위치는 제2 부분(516b)의 둘레면의 위치보다 반경 외측 방향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제1 부분(516a)의 원주 길이(도 21 참고)는 제2 부분(516b)의 원주 길이(도 22 참고)보다 클 수 있다.
이하 도 16 내지 도 22를 참고하여, 버튼 부재(700), 지지 슬라이더(1600), 가압 부재(1000), 리저버 푸시 부재(500) 및 리저버(400) 등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6을 참고하여, 리저버(400)에 약액이 저장되어 부푼 초기 상태에서, 버튼 부재(700)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17 및 도 21을 참고하여, 버튼 부재(700)가 하측 방향(MB)으로 이동하면, 지지 슬라이더(1600)와 버튼 부재(700)는 일체로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지지 슬라이더(1600)는 슬라이드 돌기(516)에 접촉한 상태로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가압 부재(1000)는 탄성 압축된다. 또한, 지지 슬라이더(1600)가 슬라이드 돌기(516)의 제2 부분(516b)에서 제1 부분(516a)으로 이동하면, 접촉부(1630)가 걸림 방향(G1)으로 이동하며 슬라이더 스프링(1700)이 탄성 변형한다. 지지 슬라이더(1600)가 걸림 홈(121)에 삽입되어 걸림되기 전 상태에서 지지 슬라이더(1600)의 접촉부(1630)가 슬라이드 돌기(516)의 제1 부분(516a)에 접촉할 때, 지지 슬라이더(1600)의 연결 연장부(1620)가 걸림 방향(G1)으로 탄성 압축하고, 이에 따라 걸림 돌기(1610)가 가이드 파트(100C)의 내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또한, 탄성 연결부(1640)도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슬라이더(1600)가 더 하강하여 걸림 홈(121)과 같은 레벨 상에 도달할 때, 연결 연장부(1620)가 탄성 복원하면서 걸림 돌기(1610)가 걸림 홈(121)에 삽입되어 걸림된다. 접촉부(1630)가 제1 부분(516a)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걸림 돌기(1610)가 걸림 홈(121)에 걸림된 상태가 유지되고, 지지 슬라이더(1600) 및 버튼 부재(700)는 케이스(1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8를 참고하여, 가압 부재(1000)는 탄성 압축되어 있으므로 탄성 복원하며 리저버 푸시 부재(500)를 하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리저버 푸시 부재(500)는 하측으로 이동하며 리저버(400)를 가압하고, 리저버(400) 내부의 약액이 유출된다.
도 19 및 도 22을 참고하여, 리저버 푸시 부재(500)가 더 하측으로 이동하여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지지 슬라이더(1600)의 접촉부(1630)가 슬라이드 돌기(516)의 제2 부분(516b)에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슬라이더 스프링(1700)이 탄성 복원하며, 접촉부(1630)를 반경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 부분(516b)에 접촉시킨다. 여기서, 탄성 연결부(1640)도 탄성 복원하며 접촉부(1630)를 제2 부분(516b)에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리저버 푸시 부재(500)의 상기 소정 위치는 리저버 푸시 부재(500)가 리저버(400)를 완전히 압축 시킨 상태의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접촉부(1630)가 슬라이드 돌기(516)의 제2 부분(516b)에 접촉하면, 지지 슬라이더(1600)의 형태는 도 16의 초기 상태로 복원되므로, 걸림 돌기(1610)가 걸림 홈(121)으로부터 빠져나온다.
도 20을 참고하여, 걸림 돌기(1610)가 걸림 홈(121)으로부터 빠져나오면, 가압 부재(10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지지 슬라이더(1600)와 버튼 부재(700)가 일체로 상측(MA)으로 이동한다. 이 때, 리저버 푸시 부재(500)와 리저버 지지 파트(240)는 서로 가까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약액이 리저버(400) 내부로 유입되면 리저버(400)에 의해 리저버 푸시 부재(50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버튼 부재(7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복원력을 가하는 추가적인 탄성 부재(SP)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도 20 참고). 탄성 부재(SP)는 버튼 부재(700)가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게 구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SP)는 버튼 부재(700)와 리저버 푸시 부재(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SP)는 가압 부재(1000)에 비해 탄성 변형 길이는 더 길고 탄성 계수는 더 작게 구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SP)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알려진 다양한 방식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SP)는 압축 스프링, 토크 스프링, 에어 스프링 등 다양한 방식의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고, 고무 등의 재질로 탄성 압축되게 구성된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슬라이더(1600') 및 슬라이더 스프링(1700')을 가진 약액 공급 조절 장치의 부분 종단면 개념도들로서, 도 23은 버튼 부재(700)가 하강하기 전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고, 도 24는 버튼 부재(700)가 하강한 상태의 모습을 보여준다. 도 25는 도 23의 모습을 라인 S8-S8'을 따라 자른 횡단면 개념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모습을 라인 S9-S9'를 따라 자른 횡단면 개념도이다.
도 23 내지 도 26를 참고하여,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의 변형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형예에 따른 약액 공급 조절 장치에 대한 설명 중,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그 설명을 생략하는 대신, 동일한 도면 부호를 도면에 표기한다. 변형예에 따른 약액 공급 조절 장치는, 슬라이더 스프링(1700')의 일단이 버튼 부재(700)에 형성된 스프링 지지부(701)에 지지되고, 슬라이더 스프링(1700')의 타단이 지지 슬라이더(1600')에 지지되게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 스프링(1700')은 걸림 방향(G1)으로 탄성 압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슬라이더 스프링(1700')이 탄성 압축된 상태에서 지지 슬라이더(1600')를 해제 방향(G2)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복수의 걸림 동작부(1600a, 1600b, 1600c)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연결부(1640)에 의해 탄성 연결부(1640)가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7 및 도 28은 도 6의 리저버 푸시 부재(500), 셀렉터(1800) 및 코터(1100)의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29는 도 3의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에서 케이스(100)를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0 내지 도 32는 도 3의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에서 코터(1100)를 이용하여 셀렉터(1800)를 작동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3은 도 30의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에서 케이스(100)를 투명하게 처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2의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에서 케이스(100)를 투명하게 처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7 내지 도 34를 참고하여,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리저버(400)의 내부 공간(400s)의 최대 볼륨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사 등의 사용자는 코터(1100b)를 셀렉터 조작부(1812)에 결합시켜, 셀렉터(1800)를 위치 이동(화살표 M2, M3 참고)시킴으로써, 내부 공간(400s)의 상기 최대 볼륨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리저버(400), 리저버 푸시 부재(500) 및 셀렉터(180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리저버 푸시 부재(500)를 하측으로 가압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압 부재(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셀렉터(1800)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셀렉터(18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코터(1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셀렉터(1800)의 둘레를 둘러싸는 케이스(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저버(400)는 내부 공간(400s)의 볼륨이 커질 때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가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저버 푸시 부재(500)는 리저버(400)의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가 커질 때 리저버(400)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저버 푸시 부재(500)는 리저버(400)를 하측으로 가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셀렉터(1800)는 리저버 푸시 부재(500)의 상측으로의 최대 이동 위치를 제한하도록 리저버 푸시 부재(500)와 접촉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리저버 푸시 부재(500)는 설정된 최대 이동 위치에서 셀렉터(1800)의 하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셀렉터(1800)는 상기 상측으로의 최대 이동 위치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 복수의 설정 상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셀렉터(1800)는 상기 상측으로의 최대 이동 위치가 제1 한계 위치로 설정된 제1 설정 상태로부터 상기 상측으로의 최대 이동 위치가 상기 제1 한계 위치보다 낮은 제2 한계 위치로 설정된 제2 설정 상태(도 32 및 도 34 참고)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셀렉터(1800)는 상기 제1 설정 상태에서 상기 제2 설정 상태로 가역적으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설정 상태에서 상기 제2 설정 상태로 비가역적으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0 및 도 33을 참고한 제1 설정 상태에서, 셀렉터(1800)의 리미트(1815)의 하단면(1817)은 제1 레벨면(517)에 접촉되고, 이 때 리저버 푸시 부재(500)의 상측으로의 최대 이동 위치는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된다. 도 32 및 도 34를 참고한 제2 설정 상태에서, 셀렉터(1800)의 리미트(1815)의 하단면은 제2 레벨면(518)에 접촉되고, 이 때 리저버 푸시 부재(500)의 상측으로의 최대 이동 위치는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셀렉터(1800)가 일측 방향(M2)으로 이동(예를 들어, 회전 이동)하여 제1 위치에 위치한 제1 설정 상태가 되고(도 30 및 도 33 참고), 셀렉터(1800)가 타측 방향(M3)으로 이동(예를 들어, 회전 이동)하여 제2 위치에 위치한 제2 설정 상태가 된다(도 32 및 도 34 참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는 셀렉터(1800)의 중심축(X)을 중심으로 한 회전 이동에 따라 서로 달라지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는 셀렉터(1800)의 직선 이동 등에 따라 서로 달라질 수도 있다.
도 27 및 도 28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서 셀렉터(1800)는 서로 결합되는 제1 셀렉터 파트(1810)와 제2 셀렉터 파트(1820)을 포함하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셀렉터(1800)는 일체로 형성된 부품일 수도 있다. 제1 셀렉터 파트(1810)는 케이스(100)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셀렉터 파트(1810)는 둘레 방향(원주 방향)의 일단 및 타단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셀렉터 파트(1820)는 제1 셀렉터 파트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셀렉터 파트(1820)는 둘레 방향(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조 과정에서 케이스(100)의 내부에 제1 셀렉터 파트(1810)를 탄성 변형시켜 삽입시키는 것이 편리해지면서도, 제2 셀렉터 파트(1820)를 이용하여 셀렉터(180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제1 셀렉터 파트(1810)는 셀렉터 바디(1811)와 셀렉터 조작부(18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셀렉터 파트(1810)는 걸림부(18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셀렉터 파트(1810)는 가이드 돌기(18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셀렉터 파트(1810)는 리미트(18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셀렉터 파트(182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보강 바디(18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셀렉터 파트(1820)는 보강 바디(1821)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1829)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부(1829)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셀렉터 파트(1810)의 반경 내측 방향의 표면에는 결합부(1829)가 맞물려 결합되는 결합 대응부(1819)를 포함할 수 있다.
셀렉터(1800)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1800h)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 부재(1000)는 개구부를 하측으로 통과하여 리저버 푸시 부재(500)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가압 부재(1000)는 탄성 압축 변형되는 스프링이나, 다른 실시예에서 바(ba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34를 참고하여, 셀렉터(1800)는, 셀렉터(1800)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설정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설정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셀렉터(1800)는 가이드 파트(100C)에 대한 상하 방향의 위치가 고정되고, 가이드 파트(100C)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셀렉터(1800)는 중심축(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리저버 푸시 부재(500) 및 셀렉터(1800)는 상하로 접촉 가능하게 구성된다. 셀렉터(1800)는, 셀렉터(1800) 및 리저버 푸시 부재(500) 중 어느 하나의 제1 접촉면에 접촉 가능한 다른 하나의 제2 접촉면이 달라짐으로써, 상기 제1 설정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설정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면 및 상기 제2 접촉면은 상하 방향으로 접촉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접촉면은 셀렉터(1800)의 제2 하단면(1817)이고, 상기 제1 설정 상태에서의 상기 제2 접촉면은 제1 레벨면(517)이며, 상기 제2 설정 상태에서의 상기 제2 접촉면은 제2 레벨면(518)이다. 다른 예로, 상기 제1 접촉면은 리저버 푸시 부재(500)의 제2 레벨면(518)이고, 상기 제1 설정 상태에서의 상기 제2 접촉면은 제1 하단면(1816)이며, 상기 제2 설정 상태에서의 상기 제2 접촉면은 제2 하단면(1817)이다.
상기 제2 설정 상태에서의 상기 제2 접촉면은, 상기 제1 설정 상태에서의 상기 제2 접촉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접촉면을 바라보는 방향 측에 위치한다. 일 예로, 리저버 푸시 부재(500)에서 상기 제2 설정 상태에서의 상기 제2 접촉면인 제2 레벨면(518)은 상기 제1 설정 상태에서의 상기 제2 접촉면인 제1 레벨면(517)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에 위치한다. 다른 예로, 셀렉터(1800)에서 상기 제2 설정 상태에서의 상기 제2 접촉면인 제2 하단면(1817)은 상기 제1 설정 상태에서의 상기 제2 접촉면인 제1 하단면(1816)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에 위치한다.
셀렉터(1800) 및 리저버 푸시 부재(500) 중 상기 제1 접촉면을 가진 어느 하나는, 셀렉터(1800) 및 리저버 푸시 부재(500) 중 상기 제2 접촉면을 가진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하여 상기 다른 하나를 향한 상기 제1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셀렉터(1800)는 리저버 푸시 부재(500)를 향해 돌출하여 리저버 푸시 부재(500)를 향한 제2 하단면(1817)을 형성한다. 다른 예로, 리저버 푸시 부재(500)는 셀렉터(1800)를 향해 돌출하여 셀렉터(1800)를 향한 제2 레벨면(518)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2개의 레벨의 상기 제2 접촉면이 구성된다. 그러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3개 이상의 레벨의 상기 제2 접촉면이 구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 리저버(400)의 내부 공간(400s)의 최대 볼륨이 3가지 이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설정 상태에서 제1 하단면(1816) 및 제2 하단면(1817)이 각각 리저버 푸시 부재(500)의 상측면(518, 517)에 접촉한다. 그러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설정 상태에서 제1 하단면(1816) 및 제2 하단면(1817) 중 어느 하나만 리저버 푸시 부재(500)의 상측면(518, 517)에 접촉할 수 있다.
셀렉터(1800) 및 리저버 푸시 부재(50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리미트(1815)를 포함하고, 셀렉터(1800) 및 리저버 푸시 부재(500) 중 상기 다른 하나는 리미트(1815)가 접촉 가능한 제1 레벨면(517) 및 제2 레벨면(5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벨면(517) 및 제2 레벨면(518)은 상하 방향으로의 레벨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셀렉터(1800)가 하측으로 돌출된 리미트(1815)를 포함하고 리저버 푸시 부재(500)가 제1 레벨면(517) 및 제2 레벨면(518)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측면에서, 리저버 푸시 부재(500)가 상측으로 돌출된 리미트(518)를 포함하고 셀렉터(1800)가 제1 레벨면(1816) 및 제2 레벨면(1817)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셀렉터(1800)는 하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리미트(1815)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리미트(1815)는 셀렉터(18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리미트(18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리저버 푸시 부재(500)의 상측으로의 최대 이동 위치를 제한할 수 있고, 셀렉터(1800)가 안정적인 회전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리미트(1815)의 회전 이동 궤도 상에 제1 레벨면(1816) 및 제2 레벨면(1817)이 위치하게 하여 설정 상태를 쉽게 전환할 수 있다.
셀렉터(1800)는 리미트(1815)의 하단을 형성하는 제2 하단면(1817)과, 제2 하단면(1817)보다 레벨이 높은 제1 하단면(18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단면(1816) 및 제2 하단면(1817)은 셀렉터(1800)의 회전 이동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리저버 푸시 부재(500)는 상단을 형성하는 제2 레벨면(518)과, 제2 레벨면(518)보다 레벨이 낮은 제1 레벨면(5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벨면(517) 및 제2 레벨면(518)은 셀렉터(1800)의 회전 이동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리저버 푸시 부재(500)는 복수의 리미트(1815)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레벨면(517)을 포함할 수 있다. 리저버 푸시 부재(500)는 복수의 리미트(1815)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레벨면(518)을 포함할 수 있다.
리저버 푸시 부재(500)는 제1 레벨면(517)과 제2 레벨면(518)을 연결하는 경사면(519)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519)은 셀렉터(1800)의 회전 이동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셀렉터(1800)는 셀렉터(1800)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셀렉터 바디(1811)를 포함할 수 있다. 리미트(1815)는 셀렉터 바디(1811)에서 하측으로 돌출할 수 있다.
셀렉터(1800)는 셀렉터 바디(1811)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181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814)는 가이드 파트(100C)에 형성된 셀렉터 가이드 홈(122)에 삽입될 수 있다(도 4 참고). 가이드 돌기(1814)는 셀렉터 가이드 홈(122)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셀렉터(1800)는, 케이스(100)를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하는 셀렉터 조작부(1812)를 포함할 수 있다. 셀렉터 조작부(1812)는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케이스(100)에는, 셀렉터 조작부(1812)가 통과하는 셀렉터 홀(110h, 123)이 형성된다(도 29 참고). 셀렉터 조작부(1812)는, 상기 제1 설정 상태에서 셀렉터 홀(110h, 123)에서의 제1 설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도 30 참고), 상기 제2 설정 상태에서 셀렉터 홀(110h, 123)에서의 상기 제1 설정 위치와 다른 제2 설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32 참고).
도 35는 도 30의 라인 S10-S10'을 따라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6은 도 31의 라인 S11-S11'을 따라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5를 참고하여, 셀렉터 조작부(1812)는, 케이스(100)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 홈이 형성된 헤드부(181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은 헤드부(1812a)에서 반경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1812a)는 코터(1100)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코터(1100)는 헤드부(1812a)의 상기 홈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셀렉터 조작부(1812)는 헤드부(1812a)와 셀렉터 바디(1811)을 연결해주며 연장된 연결부(1812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812b)는 셀렉터 바디(1811)로부터 반경 외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1812b)는 셀렉터 홀(110h, 123)을 통과할 수 있다.
도 31, 도 35 및 도 36를 참고하여, 케이스(100) 및 셀렉터(180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걸림부(1813)를 포함할 수 있다. 셀렉터 조작부(1812)가 셀렉터 홀(110h, 123)의 '상기 제1 설정 위치 또는 상기 제2 설정 위치'(예를 들어, 도 30 또는 도 32의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설정 위치와 상기 제2 설정 위치의 중간의 위치'(예를 들어, 도 31의 상태)로 이동할 때, 걸림부(1813)가 탄성 변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 및 셀렉터(1800) 중 상기 다른 하나는 셀렉터 조작부(1812)가 '상기 제1 설정 위치와 상기 제2 설정 위치의 중간의 위치'에 있을 때, 걸림부(1813)에 접촉하여 가압하는 돌기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110)의 가압에 의해 걸림부(1813)는 탄성 변형하고, 걸림부(181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셀렉터 조작부(1812)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경로 상에서 벗어나게 하여, 셀렉터 조작부(1812)가 기설정된 설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셀렉터(1800)가 걸림부(1813)를 포함하고 케이스(100)가 돌기부(110)를 포함하나,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케이스(100)가 상기 걸림부를 포함하고 셀렉터(1800)가 상기 돌기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셀렉터(1800)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예를 들어, 회전 이동)하는 과정에서, 걸림부(1813)가 케이스(100)의 돌기부(110)에 의해 탄성 변형되게 함으로써, 셀렉터(1800)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위치를 유지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부(1813)는 셀렉터 바디(1811)로부터 반경 위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부(1813)는 반경 외측 방향으로 자유단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는 헤드부(1812a)에서 반경 내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걸림부(1813)는 연결부(1812b)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걸림부(1813)는 연결부(1812b)와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걸림부(1813)는 셀렉터 홀(110h, 123)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걸림부(1813)가 연결부(1812b)를 사이에 두고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1813)는 연결부(1812b)가 배치된 방향으로 휘어지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셀렉터 홀(110h, 123)의 중간 지점을 얇게 하도록 돌출된 돌기부(11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의 돌기부(110)는 셀렉터 조작부(1812)의 이동 경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 쌍의 걸림부(1813)에 대응하는 한 쌍의 돌기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돌기부(110)의 돌출 말단이 걸림부(1813)를 가압하여 걸림부(1813)가 탄성 휨 변형할 수 있다.
도 37 및 도 38은 락 바(610), 락 탄성 부재(620), 및 스위칭 부재(1900) 등을 포함한 몇몇 부품들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7 내지 도 44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상기 약액 유로 중 일부 구간을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유로 형성 파트(220)와 밸브 플레이트(31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밸브 지지 파트(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로 밸브는 제1 유로 밸브(316) 및 제2 유로 밸브(318)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의 리저버(400)에 저장된 약액을 필요한 시점에 환자에게 주입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1 유로(P1)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약액의 주입을 중지시켜, 약액의 주입량 조절을 다양한 방식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로 밸브는 제2 유로 밸브(318)을 포함하되 제1 유로 밸브(316)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유로(P2)없이 제1 유로(P1)만 구비된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로 밸브는 제1 유로 밸브(316)을 포함하되 제2 유로 밸브(318)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유로 밸브(318)는 제2 유로(P2)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유로 밸브(316)는 제1 유로(P1)에서의 분류점(Qd) 및 합류점(Qu)의 사이 구간을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유로 밸브(316)는 제1 유로(P1)에서의 분류점(Qd) 및 합류점(Qu)의 사이 구간을 닫힘 상태로부터 열림 상태로 전환하지 못하도록 구성되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유로 밸브(316)는 제1 유로(P1)에서의 분류점(Qd) 및 합류점(Qu)의 사이 구간을 개폐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약액 유로 잠금 장치는 제1 유로(P1)를 닫힘 상태에서 다시 열림 상태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유로 밸브(316)와 제2 유로 밸브(318)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제1 및 제2 유로 밸브(316, 318)을 포함하는 동시에, 셀렉터(1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리저버(400)는 내부 공간(400s)의 볼륨이 커질 때 소정의 방향으로의 길이가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저버 푸시 부재(500)는 리저버(400)의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의 길이가 커질 때 리저버(400)에 의해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밀려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셀렉터(1800)는 리저버 푸시 부재(500)의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의 최대 이동 위치를 제한하도록 리저버 푸시 부재(500)와 접촉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셀렉터(1800)는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의 최대 이동 위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복수의 설정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유로의 개폐 여부, 리저버(400)의 약액 저장량의 변경, 및 제1 유로(P1)에서의 분류점(Qd) 및 합류점(Qu)의 사이 구간 개폐 여부를 조합하여, 약액의 주입량 조절을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방향은 상측 방향일 수 있다.
도 37 내지 도 44를 참고하여, 이하의 유로 밸브(316, 318), 연장 홀(220h3, 220h4), 누름부(317, 319) 및 경사부(313a, 313b)에 대한 설명은 제1 유로 밸브(316) 및 제2 유로 밸브(318)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한 설명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유로 형성 파트(220)는 연장 홀(220h3, 220h4)을 형성한다. 유로 형성 파트(220)의 하측면에 연장 홀(220h3, 220h4)의 일단(하단)이 위치할 수 있다. 유로 형성 파트(220)는 제1 유로(P1)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연장 홀(220h3)을 형성할 수 있다. 유로 형성 파트(220)는 제2 유로(P2)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연장 홀(220h4)을 형성할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310)는 연장 홀(220h3, 220h4)의 상기 일단이 위치한 부분을 포함한 하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310)는 연장 홀(220h3, 220h4)의 상기 일단을 향해 상측으로 돌출된 유로 밸브(316, 3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 밸브(316)는 제1 연장 홀(220h3)의 상기 일단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 밸브(318)는 제2 연장 홀(220h4)의 상기 일단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310)는 유로 밸브(316, 318)의 하단에 위치하는 누름부(317, 319)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밸브 플레이트(310)에 제1 유로 밸브(316) 및 제2 유로 밸브(318)가 형성된다. 밸브 플레이트(310)는 유로 형성 파트(220)의 일부를 덮는다. 밸브 플레이트(310)는 제1 유로 밸브(316)가 작동되기 위하여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310)는 제2 유로 밸브(318)가 작동되기 위하여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로 형성 파트(220) 및 밸브 플레이트(310)의 사이에는 유로 형성 파트(220) 및 밸브 플레이트(310)에 의해 구획되는 합류 안내 유로(P1e, P2e)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누름부(317)에 대한 상측으로의 가압이 해제된 해제 상태에서, 연장 홀(220h3)의 상기 일단을 통해 연장 홀(220h3) 및 안내 유로(P1e)가 연결되어 상기 약액 유로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누름부(319)에 대한 상측으로의 가압이 해제된 해제 상태에서, 연장 홀(220h4)의 상기 일단을 통해 연장 홀(220h4) 및 안내 유로(P2e)가 연결되어 상기 약액 유로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유로 형성 파트(220) 및 밸브 플레이트(310)의 사이에서 제2 유로 밸브(318)의 둘레를 따라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도 39 내지 도 41 참고). 제2 누름부(319)에 대한 상측으로의 가압이 해제된 해제 상태에서, 제2 연장 홀(220h4)의 상기 일단을 통해 제2 연장 홀(220h4) 및 상기 간극이 연결되어 상기 약액 유로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유로 형성 파트(220) 및 밸브 플레이트(310)의 사이에서 제1 유로 밸브(316)의 둘레를 따라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도 43 및 도 44 참고). 제1 누름부(317)에 대한 상측으로의 가압이 해제된 해제 상태에서, 제1 연장 홀(220h3)의 상기 일단을 통해 제1 연장 홀(220h3) 및 상기 간극이 연결되어 상기 약액 유로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연장 홀(220h3, 220h4)은, 상기 약액 유로에서의 분류점(Qd) 및 합류점(Qu)의 사이 구간에서, 제1 유로(P1)의 일부 또는 제2 유로(P2)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연장 홀(220h3)은 상기 약액 유로에서의 분류점(Qd) 및 합류점(Qu)의 사이 구간에서 제1 유로(P1)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연장 홀(220h4)은 상기 약액 유로에서의 분류점(Qd) 및 합류점(Qu)의 사이 구간에서 제2 유로(P2)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누름부(317, 319)가 상측으로 가압된 락 상태에서, 밸브 플레이트(310)가 탄성 변형되어 유로 밸브(316, 318)가 연장 홀(220h3, 220h4)의 상기 일단을 막도록 구성될 수 있다. 누름부(317, 319)에 대한 상측으로의 가압이 해제된 해제 상태에서, 밸브 플레이트(310)가 탄성 복원되어 유로 밸브(316, 318)가 연장 홀(220h3, 220h4)의 상기 일단을 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누름부(317)가 상측으로 가압된 락 상태에서, 밸브 플레이트(310)가 탄성 변형되어 제1 유로 밸브(316)가 제1 연장 홀(220h3)의 상기 일단을 막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누름부(317)에 대한 상측으로의 가압이 해제된 해제 상태에서, 밸브 플레이트(310)가 탄성 복원되어 제1 유로 밸브(316)가 제1 연장 홀(220h3)의 상기 일단을 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누름부(319)가 상측으로 가압된 락 상태에서, 밸브 플레이트(310)가 탄성 변형되어 제2 유로 밸브(318)가 제2 연장 홀(220h4)의 상기 일단을 막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누름부(319)에 대한 상측으로의 가압이 해제된 해제 상태에서, 밸브 플레이트(310)가 탄성 복원되어 제2 유로 밸브(318)가 제2 연장 홀(220h4)의 상기 일단을 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밸브 플레이트(310)는, 제1 유로 밸브(316)의 돌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말단에 위치하는 제1 누름부(317)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310)는, 제2 유로 밸브(318)의 돌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말단에 위치하는 제2 누름부(3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누름부(317)가 눌림되거나 눌림 해제됨으로써 제1 유로 밸브(316)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누름부(319)가 눌림되거나 눌림 해제됨으로써 제2 유로 밸브(318)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누름부(317, 319)는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누름부(317, 319)는 밸브 플레이트(310)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누름부(317)는 제1 유로 밸브(316)의 하측으로의 연장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누름부(319)는 제2 유로 밸브(318)의 하측으로의 연장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누름부(319)가 제1 누름부(317)보다 하측으로 길게 돌출될 수 있다.
밸브 지지 파트(210)에는, 누름부(317, 319)가 하측으로 통과하는 누름부 관통 홀(211, 212)이 형성될 수 있다. 밸브 지지 파트(210)에는, 제1 누름부(317)가 하측으로 통과하는 제1 누름부 관통 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밸브 지지 파트(210)에는 제2 누름부(319)가 하측으로 통과하는 제2 누름부 관통 홀(212)이 형성될 수 있다. 누름부 관통 홀(211, 212)에 의해, 누름부(317, 319)가 상측으로 눌릴 때 누름부(317, 319)의 좌굴없이 기설정된 탄성 변형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누름부(317, 319)의 하단부가 상측으로 가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누름부(317)은 스위칭 부재(1900)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누름부(319)의 하단부는 락 바(610)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310)는, 상기 해제 상태에서 누름부(317, 319)의 둘레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313a, 31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313a, 313b)는 누름부(317, 319)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경사부(313a, 313b)는 밸브 플레이트(310)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경사질 수 있다. 경사부(313a, 313b)는 밸브 플레이트(310)의 상측면에서 하측으로 함몰되게 경사질 수 있다. 제1 누름부(317)의 둘레를 따라 제1 경사부(313a)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누름부(319)의 둘레를 다라 제2 경사부(313b)가 구비될 수 있다. 경사부(313a, 313b)를 통해, 탄성 변형에 따른 유로 밸브(316, 318)의 상하 방향으로의 가동 범위가 커질 수 있고, 유로 밸브(316, 318)의 둘레를 따라 밸브 플레이트(310)와 유로 형성 파트(220) 사이의 간극을 쉽게 만들어낼 수 있다.
도 39는 도 37의 라인 S12-S12'를 따라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의 일부 부품들을 절개한 단면도로서, 유로(P2)가 밸브(318)에 의해 막혀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0은 도 39에서 버튼 부재(700)가 일부 구간만큼 하강하여 버튼 부재(700)와 락 바(610)가 접촉(contact)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1은 도 40에서 버튼 부재(700)가 더 하강하여 버튼 부재(700)가 락 바(610)를 이동시켜 유로(P2)가 밸브(318)에 의해 열려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7 내지 도 41을 참고하여, 이하 제2 유로 밸브(318)와 관련된 구성을 설명한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사용자가 버튼 부재(700)를 누름으로써 제2 유로(P2)를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경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락 바(610)와 락 탄성 부재(620)를 포함한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버튼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유로 형성 파트(220) 및 밸브 플레이트(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밸브 지지 파트(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락 바(610)에 락 탄성 부재(620)의 일단(621)이 지지될 수 있다. 바디(200)는 락 탄성 부재(620)의 타단(622)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00)는 락 탄성 부재(620)가 배치되는 스프링 배치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도 20 참고).
밸브 플레이트(310)는 락 바(610)에 의해 눌려지는 제2 누름부(319)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310)는 제2 누름부(319)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돌출된 제2 유로 밸브(318)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부재(7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버튼 부재(700)는, 제2 누름부(319)가 상측으로 가압된 상기 락 상태에서 상기 해제 상태로 전환될 때, 하측으로 이동하여 락 바(610)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지지 슬라이더(1600)가 가이드 파트(100C)에 걸림된 상태에서, 버튼 부재(700)는 지지 슬라이더(1600)와 함께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며 락 바(610)를 하측으로 누르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버튼 부재(700)는, 리저버 푸시 부재(500)가 리저버(400)를 가압하는 동시에 제2 유로 밸브(318)가 제2 유로(P2)를 열도록, 소정의 누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누름 방향은 하측 방향이다.
버튼 부재(700)는, 제2 누름부(319)에 대한 상측으로의 가압이 해제된 해제 상태에서 상기 락 상태로 전환될 때, 상측으로 이동하여 락 바(610)에 대한 가압을 해제할 수 있다. 이 때, 버튼 부재(700)는 락 바(61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버튼 부재(700)는, 리저버 푸시 부재(500)가 리저버(400)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동시에 제2 유로 밸브(318)가 제2 유로(P2)를 닫도록, 상기 누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버튼 부재(700)는 락 바(610)를 가압하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돌기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730)는 버튼 부재(700)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기부(730)는 락 바(610)의 상단(612)를 가압할 수 있다.
락 바(61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락 바(610)는 케이스(1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락 바(610)는, 제2 누름부(319)에 대한 상측으로의 가압이 해제된 상기 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락 상태로 전환될 때,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2 누름부(319)를 상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락 바(610)는 상기 락 상태로부터 상기 해제 상태로 전환될 때,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2 누름부(319)에 대한 상측으로의 가압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락 바(610)는 버튼 부재(700)에 의해 하측으로 눌림되도록 구성되는 락 누름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락 누름부(612)는 락 바(610)의 상단을 형성할 수 있다. 락 바(610)는 락 누름부(612)로부터 제2 누름부(319)의 하측까지 연장되는 락 연장부(611)를 포함할 수 있다. 락 연장부(61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락 바(610)는 제2 누름부(319)의 하단을 상측으로 가압 가능하게 구성되는 락 가압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락 가압부(613)는 락 연장부(611)의 하단에서 반경 내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락 가압부(613)는 제2 누름부(319)의 하단에 접촉하는 상측면을 포함한다. 락 바(610)는 상하 방향으로의 운동 방향을 안내 받도록 바디(200)에 가이드되는 락 슬라이더(615)를 포함할 수 있다. 락 슬라이더(615)는 락 연장부(611)에서 반경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락 바(610)는 락 탄성 부재(620)의 일단(621)이 지지되는 락 탄성 부재 지지부(617)를 포함할 수 있다. 락 탄성 부재 지지부(617)는 락 탄성 부재(620)의 일단(621)이 삽입되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락 탄성 부재 지지부(617)의 홈은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락 탄성 부재 지지부(617)는 락 가압부(613)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39 내지 도 41을 참고하여, 버튼 부재(700), 락 바(610), 락 탄성 부재(620) 및 제2 유로 밸브(318) 등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9를 참고하여, 버튼 부재(700)가 눌리지 않고 상측으로 이동해 있는 초기 상태에서, 락 바(610)는 락 탄성 부재(6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측으로 눌린 상태이다. 이에 따라 락 바(610)는 제2 누름부(319)를 상측으로 누르게 되며, 제2 누름부(319)가 눌림에 따라 밸브 플레이트(310)는 탄성 변형하며 제2 유로 밸브(318)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유로(P2)를 폐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초기 상태에서 버튼 부재(700)와 락 바(610)는 이격된 상태로 설정되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초기 상태에서 버튼 부재(700)와 락 바(610)가 서로 접촉된 상태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40를 참고하여, 버튼 부재(700)가 일부 거리만큼 하측으로 이동하여 버튼 부재(700)와 락 바(610)가 접촉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 락 바(610)의 락 누름부(612)와 버튼 부재(700)의 돌기부(730)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초기 상태로부터 상기 접촉한 상태로 변경될 동안, 락 바(610)의 위치 변동은 없고, 제2 유로 밸브(318)는 유로(P2)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 41를 참고하여, 버튼 부재(700)가 하측으로 더 이동하여 버튼 부재(700)가 락 바(610)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락 바(610)는 락 탄성 부재(620)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락 바(610)는 제2 누름부(319)에 대한 누름을 해제하게 된다. 제2 누름부(319)의 눌림이 해제됨에 따라, 밸브 플레이트(310)는 탄성 복원하며 제2 유로 밸브(318)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유로(P2)를 연다. 그 후, 버튼 부재(70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락 바(610)는 락 탄성 부재(6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측으로 눌려, 다시 상기 초기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도 42는 도 3의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에서 스위칭 부재(1900)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3 및 도 44는 도 42의 라인 S13-S13'를 따라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를 자른 일부 단면도들로서, 도 43은 유로(P1)가 밸브(316)에 의해 열려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도 44는 도 43에서 스위칭 부재(1900)가 이동함으로써 유로(P1)가 밸브(316)에 의해 막혀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42 내지 도 44를 참고하여, 이하 제1 유로 밸브(316)와 관련된 구성을 설명한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제1 유로 밸브(316)를 구비함으로써, 제1 유로(P1)를 따라 지속적으로 흐르는 약액을 필요에 따라 차단하여 환자에게 제2 유로(P2)를 통한 약액만 주입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스위칭 부재(1900)와 코터(1100)를 포함한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유로 형성 파트(220) 및 밸브 플레이트(31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밸브 지지 파트(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310)는 스위칭 부재(1900)에 의해 눌려지는 제1 누름부(317)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310)는 제1 누름부(317)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돌출된 제1 유로 밸브(3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로 밸브(316)는 유로 형성 파트(220)의 제1 연장 홀(220h3)의 상기 일단을 향해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310)는 제2 유로 밸브(3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부재(1900)는 제1 유로 밸브(316)를 작동시키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칭 부재(1900)는 제2 유로 밸브(318)로부터 독립적으로 제1 유로 밸브(316)를 작동시킬 수 있다. 스위칭 부재(1900)는 밸브 지지 파트(210)에 상하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칭 부재(1900)는 상하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칭 부재(1900)는 밸브 지지 파트(2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칭 부재(1900)에는 제1 누름부(317)의 하단이 삽입 가능한 홈(1920)이 형성된다. 스위칭 부재(1900)의 상측면에 홈(1920)이 형성된다. 제1 누름부(317)의 하단이 스위칭 부재(1900)의 홈(1920)에 삽입되는 해제 상태에서, 제1 유로 밸브(316)가 제1 연장 홀(220h3)의 상기 일단을 연다. 제1 누름부(317)의 하단이 스위칭 부재(1900)의 상측면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된 락 상태에서, 제1 유로 밸브(316)가 제1 연장 홀(220h3)의 상기 일단을 막는다. 제1 누름부(317)가 홈(1920)으로부터 빠져나올 때 홈(1920)을 구획하는 부분에 걸림되지 않도록, 제1 누름부(317)의 하측면은 스위칭 부재(1900)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향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홈(1920)을 구획하는 부분의 상단부는 모따기되어 있을 수 있다.
밸브 지지 파트(210)에는 스위칭 부재(1900)가 삽입된 스위칭 부재 배치 홀(213)이 형성된다. 밸브 지지 파트(210)의 측면에 스위칭 부재 배치 홀(213)이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칭 부재 배치 홀(213)에 의해 스위칭 부재(1900)의 이동 경로가 안내된다. 스위칭 부재 배치 홀(213)로 코터(110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밸브 지지 파트(210) 및 스위칭 부재(190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위치설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하나에는 위치설정 돌기(1910)가 삽입 가능한 위치설정 홈(21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누름부(317)의 하단이 스위칭 부재(1900)의 상측면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된 상기 락 상태에서, 위치설정 돌기(1910)가 위치설정 홈(216)에 맞물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칭 부재(1900)는 위치설정 돌기(1910)를 포함하고 밸브 지지 파트(210)에는 위치설정 홈(216)이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밸브 지지 파트(210)는 위치설정 돌기를 포함하고 스위칭 부재(1900)에는 위치설정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위치설정 돌기(1910)는 스위칭 부재(1900)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스위칭 부재(1900)는 일측 방향에 고정단을 두고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자유단을 형성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자유단 부분의 상측에 위치설정 돌기(1910)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에는, 스위칭 부재(1900)를 밀기 위해 코터(1100c)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스위칭 홀(110g, 124)이 형성될 수 있다. 코터(1100)는 스위칭 부재(1900)를 이동시키도록 케이스(100)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코터(1100)는 스위칭 홀(110g, 124)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코터(1100)는 버튼 부재(700)를 잠금시키도록 케이스(100)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코터(1100)는 상하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스위칭 부재(1900)를 가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위칭 부재가 상기 상하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도 43 및 도 44를 참고하여, 스위칭 부재(1900), 코터(1100) 및 제1 유로 밸브(316) 등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3을 참고하여, 스위칭 부재(1900)가 기설정된 방향(도 3의 M4 참고)으로 눌리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스위칭 부재(1900)의 홈(1920)에 제1 누름부(317)가 삽입되고, 제1 유로 밸브(316)가 유로(P1)를 열어주는 상태이다. 이 때, 스위칭 부재(1900)의 위치설정 돌기(1910)은 밸브 지지 파트(210)의 위치설정 홈(216)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이다.
도 44를 참고하여, 코터(1100c)를 케이스(100)의 스위칭 홀(110g, 124)에 삽입시켜, 스위칭 부재(1900)를 기설정된 방향(M4)으로 밀어줌으로써, 스위칭 부재(1900)가 기설정된 방향(M4)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칭 부재(1900)의 홈(1920)으로부터 제1 누름부(317)의 하단이 이탈된다. 스위칭 부재(1900)의 상측면은 제1 누름부(317)를 상측으로 눌러주고, 밸브 플레이트(310)가 탄성 변형하며, 제1 유로 밸브(316)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1 유로(P1)를 막을 수 있다. 이 때, 스위칭 부재(1900)의 위치설정 돌기(1910)은 밸브 지지 파트(210)의 위치설정 홈(216)에 삽입된다.
도 45는 도 6의 필터 바디(210A), 필터 캡(210B), 제1 공기 통과 필터(1210), 제2 공기 통과 필터(1220), 경계 필터(1300) 및 필터 스페이서(14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6은 도 45의 필터 캡(210B)과 필터 스페이서(1400)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43의 라인 S12-S12’를 따라 도 45의 부품들의 조립체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5 내지 도 47을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서,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공기 통과 필터(1210) 및 필터 스페이서(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필터 캡(21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제2 공기 통과 필터(1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는, 경계 필터(1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통과 필터(1210)는 약액 중 포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입 유로 측과 유출 유로 측에 각각 공기 통과 필터(1210)가 구비되나, 유입 유로 측과 유출 유로 측 중 어느 하나에만 공기 통과 필터(121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단일의 약액 유로(즉, 제2 유로 없이 제1 유로만으로 구성된 유로)를 가진 공기 필터 장치에 공기 통과 필터(1210)가 구비될 수도 있다. 공기 통과 필터(1210)에 대응하는 필터 스페이서(1400), 필터 캡(210B), 필터 바디(210A), 제2 공기 통과 필터(1220) 및/또는 경계 필터(1300)가 구비될 수 있다.
약액 공급 조절 장치(80)에는, 상기 약액 유로에서 분기되어 외부로 연결되는 공기의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통과 필터(1210)는 상기 공기의 통로와 상기 약액 유로의 경계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 통과 필터는 소수성의 필터일 수 있다. 필터 캡(210B)에 공기 통과 필터(1210)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캡(210B)는 상기 공기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필터 스페이서(1400)는, 필터 캡(210B)의 상기 공기의 통로를 구획하는 내측면과 공기 통과 필터(1210)를 이격시킨다. 필터 스페이서(1400)는 필터 캡(210B)에 삽입된다. 필터 스페이서(1400)는 공기 통과 필터(1210)의 배면측에 배치된다. 필터 스페이서(1400)는 공기 통과 필터(1210)에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스페이서(1400)는 공기 통과 필터(1210)가 약액의 압력에 의해 하류측으로 휘어지는 현상을 막거나 저감시키도록 구성된다.
필터 스페이서(1400)의 공기 통과 필터(1210)를 바라보는 면은 돌기부(1410)를 형성하여 돌기부(1410)의 사이의 틈으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돌기부(1410)는 엠보싱이나 주름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필터 스페이서(1400)의 공기 통과 필터(1210)를 바라보는 면의 반대측 면은 돌기부(1420)를 형성하여 돌기부(1420)의 사이의 틈으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부(1420)는 엠보싱이나 주름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필터 캡(220B)에는 필터 스페이서(1400)가 삽입되는 배치 홈(210s)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캡(220B)은 필터 스페이서(1400)의 측면을 필터 캡(220B)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부(210x)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캡(220B)은 필터 스페이서(1400)의 다른 측면을 필터 캡(220B)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부(210y)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캡(220B)은 필터 스페이서(1400)의 배면을 필터 캡(220B)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부(210z)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 스페이서(1400)와 필터 캡(220B)의 내측면 사이로 원활하게 공기가 흐를 수 있다. 필터 캡(220B)에는 공기 통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공기 홀(210r)이 형성된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 약액 주입 장치, 80: 약액 공급 조절 장치, P1: 제1 유로, P2: 제2 유로, 100: 케이스, 200: 바디, 310: 밸브 플레이트, 320: 연결 플레이트, 400: 리저버, 500: 리저버 푸시 부재, 610: 락 바, 620: 락 탄성 부재, 700: 버튼 부재, 800: 약액 이송관, 900: 실러, 1000: 가압 부재, 1100: 코터, 1200: 공기 통과 필터, 1300: 경계 필터, 1400: 필터 스페이서, 1600: 지지 슬라이더, 1700: 슬라이더 스프링, 1800: 셀렉터, 1900: 스위칭 부재

Claims (11)

  1. 약액의 흐름을 안내하는 약액 유로를 가진 약액 공급 조절 장치이며,
    상기 약액 유로는, 유입구로부터 유출구까지 약액이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의 분류점에서 약액이 분류되도록 안내하고 분류된 약액이 상기 제1 유로의 상기 분류점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합류점에서 합류되도록 안내하는 제2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로 상에서 약액을 저장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리저버;
    상기 제1 유로에서의 상기 분류점 및 상기 합류점의 사이 구간을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유로 밸브; 및
    상기 제2 유로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유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로 밸브로부터 독립적으로 상기 제1 유로 밸브를 작동시키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위칭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약액 공급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를 가압 가능하게 구성되는 리저버 푸시 부재; 및
    상기 리저버 푸시 부재가 상기 리저버를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유로 밸브가 상기 제2 유로를 열도록 소정의 누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리저버 푸시 부재가 상기 리저버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유로 밸브가 상기 제2 유로를 닫도록 상기 누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버튼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약액 공급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 상기 제1 유로 밸브 및 상기 제2 유로 밸브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버튼 부재를 잠금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스위칭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코터를 더 포함하는,
    약액 공급 조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연장 홀 및 상기 제2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연장 홀을 형성하는 유로 형성 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로 밸브는 상기 제1 연장 홀의 일단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2 유로 밸브는 상기 제2 연장 홀의 일단을 향해 돌출되는,
    약액 공급 조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 밸브 및 상기 제2 유로 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 형성 파트의 일부를 덮고, 상기 제1 유로 밸브 및 상기 제2 유로 밸브가 작동되기 위하여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원되도록 구성되는 밸브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약액 공급 조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유로 밸브의 돌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말단에 위치하고, 눌림되거나 눌림 해제됨으로써 상기 제1 유로 밸브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누름부; 및
    상기 제2 유로 밸브의 돌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말단에 위치하고, 눌림되거나 눌림 해제됨으로써 상기 제2 유로 밸브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누름부를 포함하는,
    약액 공급 조절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연장 홀을 형성하는 유로 형성 파트;
    상기 제1 유로 밸브의 하단에 위치하는 누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부재에는 상기 누름부의 하단이 삽입 가능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 밸브는 상기 제1 연장 홀의 일단을 향해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누름부의 하단이 상기 스위칭 부재의 상기 홈에 삽입되는 해제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로 밸브가 상기 제1 연장 홀의 상기 일단을 열도록 구성되고,
    상기 누름부의 하단이 상기 스위칭 부재의 상측면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된 락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로 밸브가 상기 제1 연장 홀의 상기 일단을 막도록 구성되는,
    약액 공급 조절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는, 상기 내부 공간의 볼륨이 커질 때 소정의 방향으로의 길이가 커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리저버의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의 길이가 커질 때 상기 리저버에 의해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밀려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리저버 푸시 부재; 및
    상기 리저버 푸시 부재의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의 최대 이동 위치를 제한하도록 상기 리저버 푸시 부재와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의 최대 이동 위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복수의 설정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셀렉터를 더 포함하는,
    약액 공급 조절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 공급 조절 장치에는, 상기 약액 유로에서 분기되어 외부로 연결되는 공기의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의 통로와 상기 약액 유로의 경계에 배치되는 소수성의 공기 통과 필터;
    상기 공기 통과 필터가 배치되고 상기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는 필터 캡; 및
    상기 필터 캡의 상기 공기의 통로를 구획하는 내측면과 상기 공기 통과 필터를 이격시키도록 상기 필터 캡에 삽입되는 필터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약액 공급 조절 장치.
  11.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약액 공급 조절 장치;
    약액을 가압하도록 구성된 펌핑 모듈; 및
    상기 펌핑 모듈에서의 가압에 따라 상기 펌핑 모듈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약액이 흐르도록 구성되는 연장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약액 공급 조절 장치의 상기 약액 유로는 상기 연장튜브에 연결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0200033882A 2019-11-01 2020-03-19 약액 공급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456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9137143A TWI772939B (zh) 2019-11-01 2020-10-26 藥液推壓裝置及包括該裝置的藥液注入裝置
US17/773,260 US20240082483A1 (en) 2019-11-01 2020-10-29 Medicinal liquid pushing apparatus and medicinal liquid injection apparatus including same
EP20880690.1A EP4052741A4 (en) 2019-11-01 2020-10-29 LIQUID MEDICATION PUSHING DEVICE AND LIQUID MEDICATION INJECTION DEVICE THEREOF
JP2022525389A JP7427779B2 (ja) 2019-11-01 2020-10-29 薬液プッシュ装置及びこれを含む薬液注入装置
CN202080076410.8A CN114616006A (zh) 2019-11-01 2020-10-29 药液推压装置及包括该装置的药液注入装置
PCT/KR2020/014899 WO2021086046A1 (ko) 2019-11-01 2020-10-29 약액 푸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IL292621A IL292621A (en) 2019-11-01 2020-10-29 A medical fluid pushing device and a medical fluid injection device includ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895 2019-11-01
KR20190138895 2019-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135A KR20210053135A (ko) 2021-05-11
KR102456512B1 true KR102456512B1 (ko) 2022-10-20

Family

ID=75915072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355A KR102367650B1 (ko) 2019-11-01 2020-01-13 약액 공급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0200004336A KR102491623B1 (ko) 2019-11-01 2020-01-13 약액 공급 조절 장치, 약액 공급 조절 장치용 리저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0200033875A KR102456508B1 (ko) 2019-11-01 2020-03-19 약액 저장 볼륨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0200033869A KR102456501B1 (ko) 2019-11-01 2020-03-19 약액 푸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0200033882A KR102456512B1 (ko) 2019-11-01 2020-03-19 약액 공급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0200033885A KR102456520B1 (ko) 2019-11-01 2020-03-19 약액 밸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355A KR102367650B1 (ko) 2019-11-01 2020-01-13 약액 공급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0200004336A KR102491623B1 (ko) 2019-11-01 2020-01-13 약액 공급 조절 장치, 약액 공급 조절 장치용 리저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0200033875A KR102456508B1 (ko) 2019-11-01 2020-03-19 약액 저장 볼륨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0200033869A KR102456501B1 (ko) 2019-11-01 2020-03-19 약액 푸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885A KR102456520B1 (ko) 2019-11-01 2020-03-19 약액 밸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395431A1 (ko)
EP (1) EP4052742A4 (ko)
JP (1) JP7427778B2 (ko)
KR (6) KR102367650B1 (ko)
CN (1) CN114641323A (ko)
IL (1) IL292618A (ko)
TW (2) TWI7805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6046A1 (ko) * 2019-11-01 2021-05-06 김용현 약액 푸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929B1 (ko) * 2009-01-19 2016-12-07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유체 조성물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2907B2 (ja) * 1991-07-10 1998-02-16 株式会社ニッショー 薬液を自己注入するための器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装置
JP3147347B2 (ja) * 1996-04-23 2001-03-19 株式会社ニッショー 薬液自己注入用具
US5957895A (en) 1998-02-20 1999-09-2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Low-profile automatic injection device with self-emptying reservoir
JP3928248B2 (ja) 1998-02-27 2007-06-13 ニプロ株式会社 薬液自己注入用具
WO2000071190A1 (fr) * 1999-05-24 2000-11-30 Tsukada Medical Research Co., Ltd. Dispositif portatif de soulagement de la douleur
US6936035B2 (en) * 2002-12-31 2005-08-30 I-Flow Corporation Patient controlled drug administration device
KR100578001B1 (ko) * 2004-05-03 2007-11-30 (주)이화바이오메딕스 약액 유량 조절기
KR100468222B1 (ko) * 2004-07-16 2005-01-26 메인텍 주식회사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JP2009511223A (ja) * 2005-10-17 2009-03-19 ノボ・ノルデイスク・エー/エス 通気式薬剤リザーバユニット
KR100805314B1 (ko) 2007-02-13 2008-02-20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약액 정량주입 밸브
JP5060829B2 (ja) * 2007-05-25 2012-10-31 オーベクス株式会社 薬液注入器
KR101068806B1 (ko) * 2008-09-26 2011-10-04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고정식 약액 공급량 조절기와 임의식 약액 공급량 조절기가구비된 약액 공급장치.
JP5517029B2 (ja) * 2009-03-25 2014-06-11 ニプロ株式会社 薬液自己注入装置
JP5569792B2 (ja) * 2010-04-21 2014-08-13 ニプロ株式会社 薬液自己注入装置
WO2012030316A1 (en) * 2010-09-02 2012-03-0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elf-injection device having needle cover with activation preventer
US8308688B2 (en) * 2010-12-15 2012-11-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rge-volume bolus patient controlled drug administration device
WO2013008929A1 (ja) * 2011-07-14 2013-01-17 株式会社根本杏林堂 医療用の液体回路キット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液体回路システム
KR101381180B1 (ko) * 2012-03-28 2014-04-04 (주)이화프레지니우스카비 약물 주입 장치
US9572931B2 (en) 2012-06-26 2017-02-21 Ambu A/S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elf-administration of a treatment fluid
JP6069936B2 (ja) * 2012-08-01 2017-02-01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輸液セット
EP3124071B1 (en) * 2014-03-26 2022-06-22 Terumo Kabushiki Kaisha Connector and infusion set
KR101667192B1 (ko) * 2015-02-27 2016-10-18 (주)이화바이오메딕스 약액 주입기 및 이를 구비하는 약액 공급 장치
KR101715691B1 (ko) * 2015-10-20 2017-03-27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충전된 정량의 약액을 지속적으로 주입하는 약액주입장치
KR102022768B1 (ko) * 2017-07-24 2019-11-05 김기운 약액이 추가 주입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102168021B1 (ko) * 2017-10-20 2020-10-21 김용현 위험 약액 주입용 플러싱 장치 및 위험 약액 주입 장치
KR102085515B1 (ko) * 2018-02-27 2020-03-05 주식회사 이화메디텍 약액 공급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주사액 주입장치
KR102001674B1 (ko) * 2019-04-12 2019-07-18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
WO2021086046A1 (ko) * 2019-11-01 2021-05-06 김용현 약액 푸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929B1 (ko) * 2009-01-19 2016-12-07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유체 조성물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508B1 (ko) 2022-10-20
KR20210053135A (ko) 2021-05-11
KR102491623B1 (ko) 2023-01-27
JP2023500852A (ja) 2023-01-11
KR102367650B1 (ko) 2022-02-28
TWI780506B (zh) 2022-10-11
US20220395431A1 (en) 2022-12-15
KR20210053136A (ko) 2021-05-11
JP7427778B2 (ja) 2024-02-05
KR102456501B1 (ko) 2022-10-20
KR20210053120A (ko) 2021-05-11
KR20210053134A (ko) 2021-05-11
KR102456520B1 (ko) 2022-10-20
KR20210053133A (ko) 2021-05-11
TW202128236A (zh) 2021-08-01
EP4052742A4 (en) 2022-12-14
IL292618A (en) 2022-07-01
EP4052742A2 (en) 2022-09-07
TWI772939B (zh) 2022-08-01
KR20210053119A (ko) 2021-05-11
CN114641323A (zh) 2022-06-17
TW202118523A (zh) 2021-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969B1 (ko) 멀티형 약액 유량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US8298195B2 (en) Needleless access port valve
KR102456512B1 (ko) 약액 공급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JP4871078B2 (ja) 液体混注具
EP4052741A1 (en) Liquid medicine push device and liquid medicine injection device including same
KR101739368B1 (ko) 멀티형 유량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KR102331798B1 (ko) 약액 밸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US20220355027A1 (en) Medicinal liquid flow control apparatus
CN114641326B (zh) 药液流量调节装置
KR102013945B1 (ko) 의료용 튜브 커넥터
KR102209967B1 (ko) 스톱콕
KR20150025847A (ko) 의료용 유량 조절 장치
KR20200044632A (ko) 공기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