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369B1 - 구형 얼음틀 - Google Patents

구형 얼음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369B1
KR102456369B1 KR1020220076418A KR20220076418A KR102456369B1 KR 102456369 B1 KR102456369 B1 KR 102456369B1 KR 1020220076418 A KR1020220076418 A KR 1020220076418A KR 20220076418 A KR20220076418 A KR 20220076418A KR 102456369 B1 KR102456369 B1 KR 102456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cell
water
spher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우석
Original Assignee
서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우석 filed Critical 서우석
Priority to KR1020220076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25C1/243Moulds made of plastics e.g. silic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6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deforming bodies with which the ice is in contact, e.g. using inflat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4Level of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에 형성된 구멍(유입홀부)으로 물을 넣어서 냉동실에서 얼리는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진 구형 얼음틀에 수위조절을 자동으로 맞춰주는 구멍(레벨링홀부)을 더 형성함으로써, 균일한 물의 양(수위)을 조절해줌으로서 구 형상의 얼음을 제빙할 수 있는 구형 얼음틀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구 형상의 얼음을 제빙할 수 있는 구형 얼음틀로써, 구형 제빙셀부를 형성하는 얼음틀; 상기 얼음틀의 제빙셀부에 물을 넣을 수 있도록 구형 제빙셀부 상단에 형성되는 유입홀부; 및 상기 유입홀부를 통해 구형 제빙셀부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설정된 높이의 수위로 정량만이 채워지도록 제빙셀부의 소정 높이에 형성되어 균일한 물의 양(수위)을 조절하는 레벨링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형 얼음틀{round ice tray}
본 발명은 구형 얼음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형성된 구멍(유입홀부)으로 물을 넣어서 냉동실에서 얼리는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진 구형 얼음틀에 수위조절을 자동으로 맞춰주는 구멍(레벨링홀부)을 더 형성함으로써, 균일한 물의 양(수위)을 조절해 줄 수 있어서 구 형상의 얼음을 제빙할 수 있는 구형 얼음틀에 관한 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얼음은 직육면체나 반구형 등 적어도 일면이 편평하고 넓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는, 얼음의 형상을 결정하는 틀인 트레이에 물을 담고 얼린 다음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빼내는 탈빙 작업을 거치야 하는 제빙 과정 상, 트레이의 형상이 상광하협의 형태를 가져야 하는 데에 기인한다.
한편, 종래부터 구 형상의 얼음에 대한 수요가 있어 왔다. 구 형상의 얼음이 외관상 미려하다는 점 이외에도, 커피나 칵테일 등의 음료에 넣는 경우, 구 형상의 얼음이 다른 형태의 얼음에 비해 녹는 속도가 느리고 일정하여 음료의 농도와 맛이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유지되기 때문이다.
이에, 특허 등록번호 제10-1890939호의 '아이스 메이커'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아이스 메이커는, 구 형상의 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자동 제빙기로서 각각 반구형의 제빙셀을 가지는 상판 트레이 및 하판 트레이를 결합하여 구형의 제빙틀을 형성하고, 상하판 트레이를 결합한 다음 상판 트레이의 상부에 형성된 급수부(구멍)로 물을 공급하여 결합된 제빙틀 내부 공간에 물을 채워넣고 제빙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는 구 형상의 얼음을 자동으로 제빙하는 자동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구조가 복잡하다.
이에, 구조가 간단하며 수동으로 구 형상의 얼음을 제빙할 수 있는 구형 얼음틀이 알려져 있으며, 시중에 나와 있는 구형 얼음틀은 상부로 물을 주입하거나, 틀 안에 물을 담아 뚜껑만을 덮어서 얼리는 방식이다.
그러나, 기존의 구형 얼음틀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얼음이 구 형상으로 제빙되지 못하고, 일측으로 찌그러지는 일명, '짱구'형상으로 얼음이 제빙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구 형상의 얼음을 제빙할 때 생기는 가장 큰 문제점은 얼음을 얼리기 위한 물의 양(수위)이 중요한데, 기존에는 물의 양을 맞출 수 없었기 때문에 원에 가까운 구 형상의 얼음 제빙이 어려웠다. 예컨대, 구 형상의 얼음은 물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얼음이 팽창하여 원형의 얼음이 만들어지지 않고, 한쪽으로 치우쳐서 얼려지는 '짱구' 현상이 생기며, 여러모로 구 형상의 얼음이 잘 만들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구 형상의 얼음을 제빙하기 위한 핵심은 물의 양 조절이라고 할 수 있는 데, 현재 알려져 있는 구형 얼음틀에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는 없는 상태이므로, 구 형상의 얼음을 제빙하기에는 실질적으로 어려운게 현실이다.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1890939호, 아이스 메이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에 형성된 구멍(유입홀부)으로 물을 넣어서 냉동실에서 얼리는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진 구형 얼음틀에 수위조절을 자동으로 맞춰주는 구멍(레벨링홀부)을 더 형성함으로써, 균일한 물의 양(수위)을 조절해줌으로서 구 형상의 얼음을 제빙할 수 있는 구형 얼음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 형상의 얼음을 제빙할 수 있는 구형 얼음틀로써, 하부로 볼록한 반구형의 하부 제빙셀부가 형성된 하부틀; 상기 하부틀의 상부에 대향 설치되어 상기 하부 제빙셀부와 맞닿아 구형 제빙셀부를 형성하는, 상부로 볼록한 반구형의 상부 제빙셀부가 형성된 상부틀; 상기 상부틀과 하부틀이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끼움돌부와 상기 끼움돌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안착홈부로 이루어지는 끼움고정부; 상기 끼움고정부에 의해 끼움 결합되는 상부틀과 하부틀에 형성되는 상부 제빙셀부와 하부 제빙셀부의 맞닿는 부위가 정확히 일치하여 씰링되며 지지되도록 상기 상부 제빙셀부의 하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내측지지돌부와 상기 내측지지돌부가 끼움 결합되어 씰링되도록 상기 하부 제빙셀부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외측지지돌부로 이루어지는 제빙지지부; 상기 상부틀에 형성되는 상부 제빙셀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제빙셀부와 상부 제빙셀부가 맞닿아 형성되는 구형 제빙셀부에 물을 넣을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물이 구형의 얼음으로 제빙되는 과정에서 물의 팽창압에 의해 제빙셀부의 빈공간부에 있는 내부공기가 배출되는 역할을 하는 유입홀부; 및 상기 유입홀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구형 제빙셀부 내에서 설정된 높이의 수위로 정량만이 채워지도록 상기 상부 제빙셀부의 소정 높이에 형성되어 균일한 물의 양(수위)을 조절함과 아울러 물이 구형의 얼음으로 제빙되는 과정에서 물의 팽창압에 의해 제빙셀부의 빈공간부에 있는 내부공기가 배출되는 역할을 하는 레벨링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링홀부는: 구형 제빙셀부 전체 높이 중 하부로부터 4/5 지점의 높이를 이루는 위치에 35~40°의 입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틀과 하부틀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에 의하면, 상부에 형성된 구멍(유입홀부)으로 물을 넣어서 냉동실에서 제빙하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구형 얼음틀에, 수위조절을 자동으로 맞춰주는 구멍(레벨링홀부)을 더 형성함으로써, 균일한 물의 양(수위)을 조절해줄 수 있게 하여, 종래 일측으로 찌그러지는 일명 '짱구' 형상의 얼음이 제조되지 않고, 정확한 원을 이루는 구 형상의 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의 상부틀과 하부틀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의 상부틀과 하부틀이 결합되어 내부에 구형 제빙셀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에 구비되는 레벨링홀부에 의해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높이(수위)를 나탄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에 구비되는 레벨링홀부의 입사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을 구성하는 상부틀의 상면을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을 구성하는 상부틀과 하부틀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이미지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을 구성하는 상부틀의 상면과 하부틀의 상면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을 구성하는 상부틀의 하면과 하부틀의 상면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에 구비되는 유입홀부를 통해 물을 주입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촬영한 사진으로, 유입홀부틀 통해 물을 주입하는 상태의 사진과, 레벨링홀부를 통해 물이 나오는 사진, 그리고 레벨링홀부를 통해 물이 빠져나온 후의 사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구형 얼음틀을 구성하는 상부틀과 하부틀에 의해 구 형상의 얼음을 제빙한 후, 상부틀과 하부틀은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에 의해 제빙된 구 형상의 얼음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12는 기존의 구형 얼음틀에 의해 제빙된 구 형상의 얼음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들은 직접적인 접촉이나 연결뿐만 아니라 구성과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통해 접촉이나 연결된 것도 같은 범위로 해석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의 상부틀과 하부틀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의 상부틀과 하부틀이 결합되어 내부에 구형 제빙셀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에 구비되는 레벨링홀부에 의해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높이(수위)를 나탄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에 구비되는 레벨링홀부의 입사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을 구성하는 상부틀의 상면을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을 구성하는 상부틀과 하부틀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이미지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을 구성하는 상부틀의 상면과 하부틀의 상면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을 구성하는 상부틀의 하면과 하부틀의 상면을 보인 이미지이다.
또한,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에 구비되는 유입홀부를 통해 물을 주입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촬영한 사진으로, 유입홀부틀 통해 물을 주입하는 상태의 사진과, 레벨링홀부를 통해 물이 나오는 사진, 그리고 레벨링홀부를 통해 물이 빠져나온 후의 사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구형 얼음틀을 구성하는 상부틀과 하부틀에 의해 구 형상의 얼음을 제빙한 후, 상부틀과 하부틀은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에 의해 제빙된 구 형상의 얼음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은 구 형상의 얼음을 제빙할 수 있는 것으로, 얼음틀(10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얼음틀(100)에는 구 형상의 얼음을 제빙할 수 있는 구형 제빙셀부(1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형 제빙셀부(110)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얼음틀(100)은 상부틀(104)과 하부틀(10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부틀(102)에는 하부로 볼록한 반구형의 하부 제빙셀부(1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하부틀(102)의 상부에 대향 설치되어 상기 하부 제빙셀부(112)와 맞닿아 구형 제빙셀부(110)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틀(104)에는 상부로 볼록한 반구형의 상부 제빙셀부(1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제빙셀부(114)와 하부 제빙셀부(112)의 맞닿는 부위가 정확히 일치하도록 함과 아울러 제빙시 발생하는 팽창압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빙지지부(1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빙지지부(120)는 상기 상부 제빙셀부(114)의 하단 테두리에는 내측지지돌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지지돌부(122)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 제빙셀부(112)의 상단 테두리에는 외측지지돌부(1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빙지지부(120)에 의해 상기 상부 제빙셀부(114)와 하부 제빙셀부(112)가 맞닿아 구형 제빙셀부(110)를 형성하고, 상부 제빙셀부(114)와 하부 제빙셀부(112)가 맞닿는 부위를 외측지지돌부(124)와 외측지지돌부(124)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상부 제빙셀부(114)와 하부 제빙셀부(112)가 맞닿는 경계부위를 두고 상부로 내측지지돌부(122)와 외측지지돌부(124)가 형성되어 지지부를 형성함으로, 그 지지부에 의해 얼음이 제빙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팽창압을 견디어 상부 제빙셀부(114)와 하부 제빙셀부(112)가 맞닿은 경계부위가 밀리지 않게 함으로 정확한 원을 갖는 구 형상의 얼음이 제빙되게 할 수 있다.
예컨데, 통상의 구형 얼음틀은 상부와 하부가 맞닿는 부위가 단순히 맞닿게만 형성되어 있음으로, 그 맞닿는 부위를 통해 얼음이 제빙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팽창압에 의해 그 경계부위가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요인으로 인해 구 형상의 얼음이 제빙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내측지지돌부(122)와 외측지지돌부(124)에 의해 그 맞닿는 경계부위에 지지부를 형성하여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에는 유입홀부(2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홀부(200)는 제빙셀부에 물을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형 제빙셀부(110) 상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틀(104)에 형성되는 상부 제빙셀부(114)의 상단에 유입홀부(200)가 형성되어 구형 제빙셀부(110)에 물을 넣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한 유입홀부(200)는 물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내경이 상광하협의 테이퍼 형상을 이루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의 입구는 넓고 하부의 출구는 좁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입홀부(200)는 구형 제빙셀부(110)에 물을 넣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이 구 형상의 얼음으로 제빙되는 과정에서 물의 팽창압에 의해 제빙셀부의 빈공간부에 있는 내부공기가 배출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에는 레벨링홀부(3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레벨링홀부(300)는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이다.
상기 레벨링홀부(300)는 구형 제빙셀부(110)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입홀부(200)를 통해 구형 제빙셀부(1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설정된 높이의 수위로 정량만이 채워지도록 하여 균일한 물의 양(수위)을 조절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 제빙셀부(114)의 소정 높이에 레벨링홀부(30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레벨링홀부(300)는 구형 제빙셀부(110) 전체 높이 중 하부로부터 4/5 지점의 높이(H)를 이루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레벨링홀부(300)는 35~40°의 입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구형 제빙셀부(110)의 내부 직경이 60mm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구형 제빙셀부(110) 하단으로부터 45~50mm의 높이에서 물의 수위가 형성되도록 상기 구형 제빙셀부(110) 하단으로부터 45~50mm 지점의 높이(H)에 상기 레벨링홀부(300)가 35~40°의 입사각(a)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레벨링홀부(300)는 38.5°의 입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9a 내지 도 9e는 구형 얼음틀에 구비되는 유입홀부(200)를 통해 물을 주입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촬영한 사진으로, 상기 유입홀부(200)틀 통해 물을 주입하게 되면, 상기 레벨링홀부(300)를 통해 물이 나올때 까지 주입하여 수위를 맞추어 원에 최대한 가까운 형태의 구 형상의 얼음을 제빙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의 실시예로써, 하부로 볼록한 반구형의 하부 제빙셀부(112)가 형성된 하부틀(102)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틀(102)의 상부에 대향 설치되어 상기 하부 제빙셀부(112)와 맞닿아 구형 제빙셀부(110)를 형성하는, 상부로 볼록한 반구형의 상부 제빙셀부(114)가 형성된 상부틀(10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틀(104)과 하부틀(102)이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끼움고정부(1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고정부(130)는 상부틀(104)의 테두리를 따라 끼움돌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부(132)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틀(102)의 테두리를 따라 안착홈부(13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끼움고정부(130)에 의해 상기 상부틀(104)과 하부틀(102)을 끼움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틀(104)과 하부틀(102)에 형성되는 상부 제빙셀부(114)와 하부 제빙셀부(112)의 맞닿는 부위가 정확히 일치하여 씰링되며, 물이 얼음으로 제빙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팽창압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제빙지지부(1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빙지지부(120)는 상부 제빙셀부(114)의 하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내측지지돌부(122)와 상기 내측지지돌부(122)가 끼움 결합되어 씰링되도록 상기 하부 제빙셀부(112)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외측지지돌부(12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빙지지부(120)에 의해 상부 제빙셀부(114)와 하부 제빙셀부(112)가 맞닿는 부위의 경계를 두고 상부로 내측지지돌부(122)와 외측지지돌부(124)가 형성되어 지지부를 형성함으로, 그 지지부에 의해 얼음이 제빙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팽창압을 견디어 상부 제빙셀부(114)와 하부 제빙셀부(112)가 맞닿은 경계부위가 밀리지 않게 함으로 정확한 원을 갖는 구 형상의 얼음이 제빙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도 유입홀부(200)와 레벨링홀부(3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유입홀부(200)가 레벨링홀부(300)는 위에서 설명하였음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특히, 상기 유입홀부(200)와 레벨링홀부(300)를 통해 물이 구 형상의 얼음으로 제빙되는 과정에서 물의 팽창압에 의해 제빙셀부의 빈공간부에 있는 내부공기가 배출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얼음틀은 상부에 형성된 구멍(유입홀부)으로 물을 넣어서 냉동실에서 얼리는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수위조절을 자동으로 맞춰주는 구멍(레벨링홀부)을 형성함으로서 균일한 물의 양(수위)을 조절해 줌으로서 구 형상의 얼음이 제빙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구 형상의 얼음의 핵심은 물의 양 조절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물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해 줌으로서 특별한 계량을 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부의 물을 주입하는 유입홀부와, 수위를 조절해 주는 레벨링홀부의 구멍이 있음으로 해서 물이 팽창하며 얼려질 시 팽창되는 얼음이 밖으로 잘 빠져나오게 하는 역할도 있다. 즉, 내부에 있는 공기가 얼음이 팽창하는 과정에서 팽창압에 의해 용이하게 배출되게 된다.
통상, 원형(60ml)의 얼음이 만들어지려면 대략 100ml의 물이 필요한데, 계량을 하여 물을 넣지 않는 이상 얼마나 들어가는지 모르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38.5°의 입사각을 갖도록 구멍(레벨링홀부)을 형성하여 물의 수위(대략 100ml)를 맞춰주게끔 한 것이 특징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얼음틀에 의해 만들어진 얼음의 직경은 60mm이며, 안쪽에 뚫려진 구멍(레벨링홀부)의 입사각은 38.5°이다. 따라서, 물 100ml를 넣을 경우 대략 47.5mm의 높이로 차오르게 된다. 이와 같이 47.5mm로 차오르면 대략 구멍(레벨링홀부)의 2/3 또는 1/2 지점까지 차오르며, 수막현상에 의해 물이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그러나, 물이 100ml이상으로 넣어지게 되면, 수막현상과는 무관하게 구멍(레벨링홀부) 밖으로 물을 흘려나와 자연스럽게 물의 수위가 조절되게 되어 항상 일정향의 물이 채워지게 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원형(60ml)의 얼음을 제빙할 경우 110ml 이상 넘게 물을 넣어서 얼렸을 시 원형이 찌그러짐 현상이 심하게 일어나기 시작하며, 원형의 얼음이라고 할 수 없는 형태가 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레벨링홀부를 형성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확한 원형을 갖는 구 형상의 얼음을 제빙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0 - 얼음틀 102 - 하부틀
104 - 상부틀 110 - 구형 제빙셀부
112 - 하부 제빙셀부 114 - 상부 제빙셀부
120 - 제빙지지부 122 - 내측지지돌부
124 - 외측지지돌부 130 - 끼움고정부
132 - 끼움돌부 134 - 안착홈부
200 - 유입홀부 300 - 레벨링홀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구 형상의 얼음을 제빙할 수 있는 구형 얼음틀에 있어서,
    하부로 볼록한 반구형의 하부 제빙셀부가 형성된 하부틀;
    상기 하부틀의 상부에 대향 설치되어 상기 하부 제빙셀부와 맞닿아 구형 제빙셀부를 형성하는, 상부로 볼록한 반구형의 상부 제빙셀부가 형성된 상부틀;
    상기 상부틀과 하부틀이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끼움돌부와 상기 끼움돌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안착홈부로 이루어지는 끼움고정부;
    상기 끼움고정부에 의해 끼움 결합되는 상부틀과 하부틀에 형성되는 상부 제빙셀부와 하부 제빙셀부의 맞닿는 부위가 정확히 일치하여 씰링되며 지지되도록 상기 상부 제빙셀부의 하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내측지지돌부와 상기 내측지지돌부가 끼움 결합되어 씰링되도록 상기 하부 제빙셀부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외측지지돌부로 이루어지는 제빙지지부;
    상기 상부틀에 형성되는 상부 제빙셀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제빙셀부와 상부 제빙셀부가 맞닿아 형성되는 구형 제빙셀부에 물을 넣을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물이 구형의 얼음으로 제빙되는 과정에서 물의 팽창압에 의해 제빙셀부의 빈공간부에 있는 내부공기가 배출되는 역할을 하는 유입홀부; 및
    상기 유입홀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구형 제빙셀부 내에서 설정된 높이의 수위로 정량만이 채워지도록 상기 상부 제빙셀부의 소정 높이에 형성되어 균일한 물의 양(수위)을 조절함과 아울러 물이 구형의 얼음으로 제빙되는 과정에서 물의 팽창압에 의해 제빙셀부의 빈공간부에 있는 내부공기가 배출되는 역할을 하는 레벨링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링홀부는:
    구형 제빙셀부 전체 높이 중 하부로부터 4/5 지점의 높이를 이루는 위치에 35~40°의 입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얼음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틀과 하부틀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얼음틀.
KR1020220076418A 2022-06-22 2022-06-22 구형 얼음틀 KR102456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418A KR102456369B1 (ko) 2022-06-22 2022-06-22 구형 얼음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418A KR102456369B1 (ko) 2022-06-22 2022-06-22 구형 얼음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369B1 true KR102456369B1 (ko) 2022-10-18

Family

ID=8380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418A KR102456369B1 (ko) 2022-06-22 2022-06-22 구형 얼음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3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256A (ko) * 2001-11-14 2001-12-08 김철만 얼음골프공을 생산하는 제빙 틀
JP3089533U (ja) * 2002-02-01 2002-10-31 健二 藤 立体的な形状の氷を作る製氷容器
KR20130009521A (ko) * 2011-07-15 2013-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KR101890939B1 (ko) 2011-07-15 2018-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KR20190100119A (ko) * 2019-08-13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256A (ko) * 2001-11-14 2001-12-08 김철만 얼음골프공을 생산하는 제빙 틀
JP3089533U (ja) * 2002-02-01 2002-10-31 健二 藤 立体的な形状の氷を作る製氷容器
KR20130009521A (ko) * 2011-07-15 2013-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KR101890939B1 (ko) 2011-07-15 2018-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KR20190100119A (ko) * 2019-08-13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4811B2 (en) Transparent ice maker
US200400990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tereoscopic ice of transparent sphere or the like
KR100627443B1 (ko) 차류 제조용 용기
KR20040039090A (ko) 제빙기
JP2016521170A (ja) ドリップコーヒー製造機
KR102456369B1 (ko) 구형 얼음틀
CN107144065A (zh) 一种制冰模具及其制冰方法
CN104943938A (zh) 形成塑料瓶子的方法
US6442961B1 (en) Method of chilling and consuming an alcoholic beverage and apparatus therefor
US93476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glass with an ice lining
US7374469B2 (en) Method of making a toy ball
CN113237260A (zh) 制冰模组及制冰方法
CN220338760U (zh) 一种透明冰制冰机
EP0362112A2 (en) A mould container for making ice cubes
US20080264265A1 (en) Ice coffee maker
KR20170051306A (ko) 기울어진 상태에서 내용물이 채워짐에 따라 회전하면서 똑바로 서고, 내용물이 전부 채워지면 내용물을 쏟아낸 후 원래의 기울어진 상태로 되돌아가는 용기
JP2006198213A (ja) 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KR102283676B1 (ko) 드립커피장치
JP7253696B1 (ja) 製氷器
CN209018324U (zh) 一种能自动泡茶的保温杯
JP2022110343A (ja) 製氷器
KR200276871Y1 (ko) 수정얼음용기 제조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되는수정얼음용기
KR100452151B1 (ko) 수정얼음용기 제조장치
JP6682675B1 (ja) 製氷器及び氷を製造する方法
CN205525787U (zh) 一种生鲜肉丸包装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