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871Y1 - 수정얼음용기 제조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되는수정얼음용기 - Google Patents

수정얼음용기 제조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되는수정얼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871Y1
KR200276871Y1 KR2020010041045U KR20010041045U KR200276871Y1 KR 200276871 Y1 KR200276871 Y1 KR 200276871Y1 KR 2020010041045 U KR2020010041045 U KR 2020010041045U KR 20010041045 U KR20010041045 U KR 20010041045U KR 200276871 Y1 KR200276871 Y1 KR 2002768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air
water
crystal
ic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1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호석
Original Assignee
오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호석 filed Critical 오호석
Priority to KR20200100410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8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8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871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한 접시형상을 만들기 위한 얼음틀 중앙부에 공기를 주입하면서 가장자리부터 얼리도록 하여 수정얼음을 제공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얼음용기 제조장치와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수정얼음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물을 넣을 수 있는 일정한 공간부를 갖는 얼음틀과;
상기 얼음틀에 공기를 주입시켜 물의 출렁거림을 유도하여 물속에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며,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에어 주입에 의하여 공기가 빠진 상태에서 얼음이 얼리기 때문에 보다 순정의 얼음을 생산해 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정얼음용기 제조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되는 수정얼음용기{Crystal Ice Tool Manufacturing Unit and Crystal Ice Thereof}
본 고안은 수정얼음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한 접시형상을 만들기 위한 얼음틀 중앙부에 공기를 주입하면서 가장자리부터 얼리도록 하여 수정얼음을 제공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얼음용기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수정얼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용기는 플라스틱이나 목재로 이루어지며 오목부에 음식물이나 음식재료 등을 담을 수 있도록 하고, 플랜지 형태의 가장자리는 운반시 손잡이로 이용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액상용기는 그 형태 및 쓰임새가 다양하여 업소에서 음식을 담을 때에도 많이 사용되며, 또한 음식을 식지않게 하기 위해 돌솥을 구운 상태에서 그 안에 음식을 담도록 하여 음식을 먹는 시간동안에도 계속 뜨거운 상태를 유지토록 할 수도 있고, 맥주집 같은 곳에서 잔을 얼리고 여기에 생맥주를 부어 차가운 맥주의 맛을 오랜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즉, 일반적인 그릇은 담는 용도에만 사용하기 때문에 일정한 온도 상태를 계속 유지시키기 위해서 외부에서 열을 가하거나 냉각시키도록 하여 열이 식는동안에는 계속적으로 일정한 열이 공급되도록 하고, 냉각상태를 지속시키는 기능의 그릇은 열이 오르는 동안 냉기를 공급토록 하였다.
한편, 횟집 등에서도 횟감의 신선도를 높이기 위하여 그릇자체를 얼리기도 하는등 재료의 신선함을 장기간 유지시키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또한, 요즘에는 그릇을 얼린 다음 횟감을 장착하는 것보다, 아애 얼음으로 용기를 제작하고, 그 위에 횟감을 올려놓토록 하여 얼음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냉기가 횟감에 스며들도록 하여 되도록 오랜시간동안 횟감의 상태가 보존되도록 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러한 얼음용기 제작에 있어서 문제점은 물 자체에 공기가 함유되어 있어, 물을 얼리는 과정에서 공기도 동시에 얼어붙게 되므로 기포가 같이 얼린 상태의 얼음이 제작되어 깔끔한 형태의 얼음이 나오지 않는데 있다.
즉, 불순물이나 기포가 거의 없는 깨끗한 형태의 수정얼음을 제작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관계로 기포가 많이 박혀있는 형태의 얼음이 제조되므로 미관상 별로 수려하지 못하고, 깨끗한 느낌이 들지 않아 상품성이 좋지 못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횟감을 올려놓는 접시형태의 얼음용기를 제작시 보다 깨끗한 수정얼음형태로 접시를 제작토록 하여 보는이로 하여금 미관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내부에 물을 넣을 수 있는 일정한 공간부를 갖는 얼음틀과; 상기 얼음틀에 공기를 주입시켜 물의 출렁거림을 유도하여 물속에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얼음틀은 오목부 및 볼록부가 연속되는 하부판과; 오복부와 볼록부가 연속되면서 동시에 가장자리보다 중간자리가 더 상승되어 상기 하부판과 결합시 가장자리는 얇고 가운데는 두꺼운 공간부를 갖도록 하는 상부판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얼음틀의 상부판의 중앙에는 물을 넣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얼음틀의 상부판에는 개구된 공간을 차단하기 위한 받침부를 더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장치는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컴퓨레셔와; 받침대의 중앙을 통해 공간부로 연장되며 상기 에어컴프레셔로 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물속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용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용 파이프는 하부판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하부판과 상부판이 서로 겹쳐진 얼음틀에 물을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얼음틀의 중앙에 일정한 세기로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와; 일정한 온도로 서서히 온도를 낮추어 가장자리부터 얼리는 단계와; 중앙부 근처까지 얼게 되면 공기 주입용 파이프를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수정얼음틀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수정얼음.
도 3은 본 고안의 수정얼음을 받침부와 결합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얼음틀 11: 하부판
12: 상부판 13: 가이드 바
20: 덮게판 30: 공기주입용 파이프
31: 에어 컴프레셔 100: 얼음용기
110: 물 배출용 홀 200: 얼음 받침대
210: 지지봉 220: 받침핀
230: 경사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수정얼음틀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수정얼음.
도 3은 본 고안의 수정얼음을 받침부와 결합한 상태도로서,
먼저, 도 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수정얼음틀을 나타내었는바,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판(11)과 상부판(12) 사이에 공간부를 이루고 상기 공간부에 물을 체워 얼리는 얼음틀(10)과; 상기 얼음틀(10)의 상부판(12)을 덮는 덥게판(20)과; 상기 덮게판(20)의 중앙을 통해 공간부로 연장되며 에어컴프레셔(31)로 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공기를 주입함으로서 수정얼음이 되도록 유도하는 공기주입용 파이프(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상부판(12)은 가장자리보다 중앙쪽이 돌출된 형태이고, 하부판(11)은 물결모양의 형태로서 상기 상부판(12)과 하부판(11)을 연결하여 접시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된다.
또한, 수정얼음용기(100)의 가장자리에는 얼음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 배출용 홀(110)을 형성하며, 상기 물 배출용 홀(110)을 형성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바(13)를 형성한다.
그러면 완성되는 얼음용기는 도 2와 같이 물 배출용 홀(110)이 형성되어 있어 얼음용기가 녹으면서 발생하는 물이 상기 물배출용 홀(110)을 통해 밑으로 빠져 나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판(12)의 중앙부에는 일정 지름만큼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물을 공간부 안으로 진입시킨다.
상기 공간부는 만들고자 하는 접시에 따라서 그 모양을 다양화 할 수 있으며, 이는 상부판(12)과 하부판(11)의 하우징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가능하다.
상기 공간부는 가장자리는 두께가 얇고 중심부분은 비교적 두께가 두껍게 제작되는바, 이는 얼음을 제조시 가장자리부터 쉽게 얼릴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12)의 개구부에는 덮게판(20)을 설치하여 일정량의 물을 집어넣은 다음에는 덮게판(20)에 공기주입용 파이프를 설치후 개구부에 덮어 일정한 크기의 얼음용기(100)가 제작되도록 한다. 상기 덮게판(20)은 십자형태이며 나머지 부위로 공기가 유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덮게판(20)을 관통하여 공기주입용 파이프(30)를 설치하는바, 상기 파이프(30)는 하부판(11)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설치하며, 반대쪽에는 에어컴프레셔 (31)와 호스를 통해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에어컴프레셔(31)를 통해 에어가 공급되면 얼음틀(10)에 들어있는 물속으로 계속해서 공기가 주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장치가 완료되면 본 고안의 얼음틀(10)을 냉동고에 집어넣고, 서서히 얼리도록 하며, 이때 내용물이 완전히 얼때까지 에어컴프레셔(31)를 작동시켜 공기 주입용 파이프를 통해 에어를 제공토록 한다.
그러면 가장자리부터 얼기 시작하면서 마지막에 중앙부위가 얼게 되며, 또한 완전한 수정얼음이 생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완전한 수정얼음(100)이 생산되는 원리는 중앙부위에서 계속 기포가 발생하면서 물을 계속 흔들어 주어 물속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이며, 이는 물을 저어주면서 얼리게 되면 물속에 존재하는 공기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얼리기 때문에 수정얼음(100)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즉, 일반적인 물의 속에는 일정한 농도로 공기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그대로 얼리면 공기도 같이 얼리게 되어 작은 기포형태의 모양이 성형되어 깨끗한 형태의 수정얼음이 만들어지지 않지만, 본 고안에서와 같이 물이 흔들리도록 계속 자극을 준 상태에서 얼리게 되면 물이 흔들리면서 계속적으로 진동이 발생하여 물에 포함된 공기가 외부로 서서히 분출되면서 얼음 속에는 공기가 거의 없는 상태의 수정얼음이 생산된다.
더 상세하게는 공간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공기가 서서히 가운데로 몰리면서 상부로 배출되며, 마치 공기가 빠져 나가는 공간을 얼음이 체워나가는 현상과 비슷하게 얼음이 얼리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공기를 외부로 빼내는 기술구성으로서 공기를 분사시키는 시스템을 갖추도록 하였으며, 상기와 같이 공기를 물에 계속 주입하게 되면 기포가 증발하면서 물에 자극을 주어 물속에 포함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에어주입용 파이프(30)를 설치할 때에는 하부판(11)에 밀접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이유는 하부판(11)과 밀접할수록 얼음틀(10) 내부의 물 전체에 강한 자극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얼음틀 공간부의 가장자리는 비교적 얇게 그리고 가운데 방향으로 비교적 두껍게 형성하는데, 이러한 이유는 냉동시 공간부가 얇은 부분부터 얼음이 얼기 때문이며, 상기와 같이 제작하게 되면 가장자리의 공기부터 중앙으로 이동하여 배출되면서 얼고, 마지막으로 가운데 부분이 얼게 된다.
물론, 중앙부 일정영역까지 얼음이 얼게 되면 공기 주입용 파이프(20)를 해제하여야 한다.
이러한 얼음틀(10)은 다수개 냉동고에 집어넣고 에어컴프레셔(31)로 부터 호스를 다수개 분할하여 여러개의 얼음틀(10)에 동시에 공기를 집어넣게 되면 원하는 갯수만큼의 수정얼음(100)을 만들어 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확장은 본원고안의 원리를 이용하면 해결되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자신이 필요한 만큼의 얼음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수정얼음이 완성되면 도 3과 같은 형태의 전용 받침대 (200)에 올려놓게 되는바, 상기 받침대(200)는 얼음용기(100)에 결합되는 지지봉(210)이 중앙에 설치되어 있고, 양 사이드에는 받침핀(220)이 설치되며, 맨 끝에는 경사진 판(23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경사진 판(230)은 얼음용기의 물 배출용 홀(110)보다 바깥쪽에 위치하여 물 배출용 홀을 통해 발생하는 물을 배출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얼음용기 전용 받침대를 사용하게 되면 얼음용기를 지면으로 부터 일정하게 이격시킬 수 있고, 동시에 얼음용기에서 발생하는 물이 전용 받침대안쪽으로 모이게 하므로 얼음용기 이용이 간편해진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설명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은 포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에어 주입에 의하여 공기가 빠진 상태에서 얼음이 얼리기 때문에 보다 순정의 얼음을 생산해 낼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내부에 물을 넣을 수 있는 일정한 공간부를 갖는 얼음틀과;
    상기 얼음틀에 공기를 주입시켜 물의 출렁거림을 유도하여 물속에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얼음용기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틀은 오목부 및 볼록부가 연속되는 하부판과;
    오복부와 볼록부가 연속되면서 동시에 가장자리보다 중간자리가 더 상승되어 상기 하부판과 결합시 가장자리는 얇고 가운데는 두꺼운 공간부를 갖도록 하는 상부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얼음용기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틀의 일단에는 얼음용기에 물 배출용 홀을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바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얼음용기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틀의 상부판에는 개구된 공간을 차단하기 위한 덮게판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얼음용기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장치는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컴퓨레셔와;
    받침대의 중앙을 통해 공간부로 연장되며 상기 에어컴프레셔로 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물속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용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얼음용기 제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용 파이프는 하부판에 근접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얼음용기 제조장치.
  7. 얼음용기에 결합되는 지지봉이 중앙에 설치되어 있고, 양 사이드에는 받침핀이 설치되며, 맨 끝에는 경사진 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얼음용기 받침대.
  8. 청구항 1의 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얼음용기.
KR2020010041045U 2001-12-31 2001-12-31 수정얼음용기 제조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되는수정얼음용기 KR2002768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1045U KR200276871Y1 (ko) 2001-12-31 2001-12-31 수정얼음용기 제조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되는수정얼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1045U KR200276871Y1 (ko) 2001-12-31 2001-12-31 수정얼음용기 제조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되는수정얼음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8933A Division KR100452151B1 (ko) 2001-12-31 2001-12-31 수정얼음용기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871Y1 true KR200276871Y1 (ko) 2002-05-27

Family

ID=73115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1045U KR200276871Y1 (ko) 2001-12-31 2001-12-31 수정얼음용기 제조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되는수정얼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8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151B1 (ko) * 2001-12-31 2004-10-15 오호석 수정얼음용기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151B1 (ko) * 2001-12-31 2004-10-15 오호석 수정얼음용기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72833B2 (ja) 製氷装置
US5970735A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manufacturing of sculptures made of ice
US5148682A (en) Ice molding device and method
JP3852607B2 (ja) 製氷装置、冷凍冷蔵庫、製氷方法
JP2004053036A (ja) 透明氷の製氷装置および透明氷の製氷方法
JP2004150787A (ja) 製氷機
CA2273520A1 (en) Shaped ice article and article for making same
JP2005318869A (ja) シャーベットの製造方法、その装置および飲料過冷却装置
JP2004278894A (ja) 製氷装置
JP4140641B2 (ja) 製氷装置、冷凍冷蔵庫
JP4333202B2 (ja) 製氷装置
JP2006275510A5 (ko)
KR200276871Y1 (ko) 수정얼음용기 제조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되는수정얼음용기
JPH04161774A (ja) 自動製氷装置
KR100452151B1 (ko) 수정얼음용기 제조장치
CN213040813U (zh) 制冰装置
JP2008157619A (ja) 製氷装置、冷凍冷蔵庫
JP2005090801A (ja) 製氷装置
US7272935B1 (en)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ice around a bottle
KR102089129B1 (ko) 내부에 공동을 포함하는 얼음 제조 장치 및 얼음 제조 방법
KR20030038230A (ko) 얼음용기 제조방법
KR20150068927A (ko) 눈꽃얼음 제조장치
KR200322378Y1 (ko) 냉각판을 이용한 아이스크림 및 빙과류 제조기
CN219222934U (zh) 冰箱及制冰装置
KR100470841B1 (ko) 개방형 조각얼음 제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